KR101797075B1 - 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075B1
KR101797075B1 KR1020160032174A KR20160032174A KR101797075B1 KR 101797075 B1 KR101797075 B1 KR 101797075B1 KR 1020160032174 A KR1020160032174 A KR 1020160032174A KR 20160032174 A KR20160032174 A KR 20160032174A KR 101797075 B1 KR101797075 B1 KR 101797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wire
moving
stent
diagonal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2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8380A (ko
Inventor
한종현
박헌국
정민영
문종필
장봉석
윤호
지소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to KR1020160032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075B1/ko
Publication of KR20170108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8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61F2/90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10/00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10/0076Particular material properti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multilayered, e.g. laminated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63Three-dimensional shapes
    • A61F2230/0069Three-dimensional shapes cylindric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금속와이어의 상하 절곡을 통해 지그 상에 엮임으로써, 다수의 셀(Cell)을 구비하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를 이루는 금속와이어 층의 외측 또는 복수의 금속와이어 층 사이에 덮여지는 튜브 형태의 피막;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해당하며, 제1엮기 구조를 갖춘 제1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이어져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 해당하며, 제2엮기 구조를 갖추는 제2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이어져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해당하며, 와이어를 이용한 절곡을 통해 제1엮기 구조를 갖추는 제3몸체부;을 포함하며, 상기 피막은 상기 제2몸체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제2몸체부를 이루는 복수의 금속와이어 층 사이에 설치된다.

Description

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 {ST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ENT}
본 발명은 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텐트(Stent)는 일반적으로 협착이 발생한 병변부위와 같은 내강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후, 설치 위치에서 구조적 확장을 금속와이어의 형상기억 특성 또는 별도의 확장부재의 보조를 통해 이룸으로써, 내강 내에 일정한 형태를 장기간 유지하며 협착에 의해 좁아진 내강의 직경을 회복시키고 확장된 내강으로의 물질 이동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이동통로를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스텐트는 설치되고자 하는 내강의 구조에 대한 확장 구조적 대응의 정도, 설치 위치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성능 또는 설치 된 후 내강에 장기간 머물며 내강 직경의 회복 기능 외의 각종 부작용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성능 등이 고려되어 다양한 형태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와 같은 스텐트의 개발 방향성은 스텐트 전체의 구조적 변경, 스텐트를 이루는 와이어의 제조 방법적 변경 또는 스텐트를 이루는 구성의 부가 혹은 설계 변경 등 다양하게 시도되어지고 있다.
특히나 일자형 내강구조를 갖춘 신체 내 기관 외에 일정 수준 이상의 굴곡진 형상을 이루는 내강의 경우, 스텐트가 얼마나 이러한 휘어진 구조에 대응되어 유연하게 휘어지고, 이와 같이 휘어진 상태로 장시간 유지되어질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
다시 말해, 굴곡진 형상의 내강에 설치되는 스텐트는 얼마나 유연하게 휘어지는지에 대한 성질과 더불어 이와 같이 휘어진 상태를 얼마나 잘 유지하고 있는지에 대한 성질, 즉 스텐트 축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여 일자로 다시 펴지고 하는 복원력(축력, Axial force)이 스텐트의 확장 후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매우 낮은 수준으로 갖춰져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굴곡진 내강 내에 일정 수준의 유연성을 갖추어 쉽게 휘어지며 내강 구조에 대응되게 설치되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9043호의 "자가 팽창형 스텐트"(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유연성을 갖춘 스텐트의 경우, 스텐트 전체적인 구조에 걸쳐 일괄적인 스텐트 성능을 조정함으로써, 내강의 구조적 특성 상 휘어짐이 요구되는 구간과 일자로 펴짐이 요구되는 구간 간의 균형적 대응이 불가능 했으며, 제공하고자하는 유연성 및 복원력(축력, Axial force)의 낮음 정도가 미비한 수준에 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을 유연성 및 복원력(축력, Axial force)의 낮음 정도를 매우 높은 수준에서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휘어짐을 위한 성질이 요구되어지는 부분과 이와 반대로 일자형 펴짐을 위한 성질이 요구되는 부분을 하나의 스텐트 내에서 일괄적으로 제공하여 내강의 구조적 특성의 부분별 대응이 가능한 구조를 갖춘 스텐트 및 이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텐트는, 금속와이어의 상하 절곡을 통해 지그 상에 엮임으로써, 다수의 셀(Cell)을 구비하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를 이루는 금속와이어 층의 외측 또는 복수의 금속와이어 층 사이에 덮여지는 튜브 형태의 피막;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해당하며, 제1엮기 구조를 갖춘 제1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이어져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 해당하며, 제2엮기 구조를 갖추는 제2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이어져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해당하며, 와이어를 이용한 절곡을 통해 제1엮기 구조를 갖추는 제3몸체부;을 포함하며, 상기 피막은 상기 제2몸체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제2몸체부를 이루는 복수의 금속와이어 층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텐트는, 상기 제1몸체부 표면에 걸쳐 코팅 처리되어 형성되는 제1코팅막; 및 상기 제3몸체부 표면에 걸쳐 코팅 처리되어 형성되는 제2코팅막;을 더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1코팅막은 상기 피막의 양 단부 중 상기 제1몸체부 측 단부와 중첩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코팅막은 상기 피막의 양 단부 중 상기 제3몸체부 측 단부와 중첩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엮기 구조 및 제2엮기 구조는 스텐트의 원주(W)와 길이(L)를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임의로 설정한 원주분할선과 길이분할선이 교차하는 모든 위치점 각각에 상방으로 향하는 와이어와 하방으로 향하는 와이어가 X자형으로 교차되는 제1교차형태 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절곡하는 와이어와 하방에서 상방으로 절곡하는 와이어가 상호 걸리며 교차되는 제2교차형태 중 하나의 교차형태가 형성되며, 상기 제1엮기 구조는 각 위치점 별 교차형태의 배치 분포구조가 상기 제2엮기 구조와 상이하다.
여기서, 상기 제1엮기 구조는, 원주분할선을 기준으로 각 위치점 모두의 교차형태가 상기 제1교차형태로만 마련되는 복수의 제1위치점 그룹; 및 원주분할선을 기준으로 각 위치점 모두의 교차형태가 상기 제2교차형태로만 마련되는 복수의 제2위치점 그룹;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엮기 구조는 상기 제1위치점 그룹이 위치하는 원주분할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인접한 원주분할선 상에는 상기 제2위치점 그룹이 마련되는 구조를 이룬다.
또한, 상기 제1엮기 구조는, 원주분할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교차형태를 형성하는 위치점 및 제2교차형태를 형성하는 위치점이 번갈아 반복 배치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제3위치점 그룹;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엮기 구조는 상기 제3위치점 그룹이 위치하는 원주분할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인접한 원주분할선 상에는 상기 제2위치점 그룹이 마련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엮기 구조는, 원주분할선을 기준으로 각 위치점 모두의 교차형태가 상기 제1교차형태로만 마련되는 복수의 제4위치점 그룹; 및 원주분할선을 기준으로 각 위치점 모두의 교차형태가 상기 제2교차형태로만 마련되는 복수의 제5위치점 그룹;를 포함하고, 상기 제2엮기 구조는 상기 제4위치점 그룹이 위치하는 원주분할선의 개수가 상기 제5위치점 그룹이 위치하는 원주분할선의 개수에 비해 적게 마련되는 구조를 이룬다.
아울러, 상기 제2엮기 구조는, 원주분할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교차형태를 형성하는 위치점 및 제2교차형태를 형성하는 위치점이 번갈아 반복 배치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제6위치점 그룹;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엮기 구조는 상기 제6위치점 그룹이 위치하는 원주분할선의 개수가 상기 제5위치점 그룹이 위치하는 원주분할선의 개수에 비해 적게 마련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스텐트 제조방법은, 금속와이어의 상하 절곡을 통해 지그 상에 엮임으로써, 다수의 셀(Cell)을 구비하는 몸체를 마련하는 A단계; 상기 A단계를 통해 마련된 몸체의 중앙부 외주면 또는 상기 중앙부를 이루는 복수의 와이어 층 사이에 튜브 형태의 피막을 설치하는 B단계; 및 상기 B단계를 통해 피막이 설치된 스텐트 몸체의 양 단부에 코팅 처리 공정을 통해 상기 피막의 양 단부와 중첩되는 코팅막을 형성하는 C단계; 포함하며, 상기 A단계를 통해 형성되는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해당하며, 제1엮기 구조를 갖춘 제1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이어져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 해당하며, 제2엮기 구조를 갖추는 제2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이어져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해당하며, 와이어를 이용한 절곡을 통해 상기 제1엮기 구조를 갖추는 제3몸체부;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조되는 스텐트와 동일한 지름과 길이(L)를 가지는 원통체의 원주(W)와 길이(L)를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설정한 원주분할선과 길이분할선이 교차하는 모든 위치점에 각각 탈착 가능한 돌출핀이 설치된 지그를 사용하되, 어느 하나의 기준이 되는 위치점을 시작점으로 하여 출발한 뒤,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한 돌출핀을 경유하도록 와이어를 상, 하로 절곡 이동하면서 와이어간의 교차에 의해 셀을 형성하는 상기 A단계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지그 상단의 제1시작점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제1지점까지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 이동시켜 제1몸체부의 제1부분 일부를 형성하는 A-1단계;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이의 하방에 위치한 지그의 제2지점까지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 이동시켜 제2몸체부의 제1부분 일부를 형성하는 A-2단계; 상기 제2지점으로부터 이의 하방에 위치한 지그의 제3지점까지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 이동시켜 제3몸체부의 제1부분 일부를 형성하는 A-3단계; 상기 제3지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하단의 제1전환점까지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하부 제1헤드를 형성하는 A-4단계; 상기 제1전환점으로부터 이의 상방에 위치한 지그의 제4지점까지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 이동시켜 제3몸체부의 제1부분 전체를 형성하는 A-5단계; 상기 제4지점으로부터 이의 상방에 위치한 지그의 제5지점까지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 이동시켜 제2몸체부의 제1부분 전체를 형성하는 A-6단계; 상기 제5지점으로부터 이의 상방에 위치한 지그의 제6지점까지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 이동시켜 제1몸체부의 제1부분 전체를 형성하는 A-7단계; 및 상기 제6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시작점까지 상기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상부 제1헤드를 형성하는 A-8단계;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원주분할선의 개수는 6+4x(x: 0 또는 자연수)개이며, 상기 길이분할선의 개수는 10+6y(y: 0 또는 자연수)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A-1단계는, 상기 제1시작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A-1-1단계; 및 상기 A-1-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4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A-1-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A-1-2단계;의 패턴을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A-2단계는, 상기 A-1-2단계의 마감점 중 최하단 마감점에 해당하는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A-2-1단계; 및 상기 A-2-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3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A-2-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A-2-2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A-3단계는, 상기 A-2-2단계의 마감점 중 최하단 마감점에 해당하는 상기 제2지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4ℓ만큼 이동시켜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A-3-1단계; A-3-1단계를 통해 이동된 위치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A-3-2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며, 복수의 상기 A-1-2단계의 마감점은 상기 제1시작점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상기 A-2-2단계의 마감점과 복수의 A-3-2단계의 마감점은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3지점은 복수의 A-3-2단계의 마감점 중 최하단 마감점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A-5단계는, 상기 제1전환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A-5-1단계; 및 상기 A-5-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4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A-5-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A-5-2단계;의 패턴을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A-6단계는, 상기 A-5-1단계의 마감점 중 최상단 마감점에 해당하는 상기 제4지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3ℓ만큼 이동시켜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A-6-1단계; A-6-1단계를 통해 이동된 위치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A-6-2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A-7단계는, 상기 A-6-1단계의 마감점 중 최상단 마감점에 해당하는 상기 제5지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A-7-1단계; 및 A-7-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4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A-7-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A-7-2단계;의 패턴을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제1전환점은 상기 제3지점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상기 A-5-2단계의 마감점은 상기 제1전환점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상기 A-6-1단계의 마감점 및 A-7-2단계의 마감점은 상기 제1시작점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6지점은 복수의 A-7-1단계의 마감점 중 최상단 마감점에 해당하며, 상기 제1시작점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A단계는, 상기 지그 상단의 제2시작점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제7지점까지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 이동시켜 제1몸체부의 제2부분 일부를 형성하는 A-9단계; 상기 제7지점으로부터 이의 하방에 위치한 지그의 제8지점까지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 이동시켜 제2몸체부의 제2부분 일부를 형성하는 A-10단계; 상기 제8지점으로부터 이의 하방에 위치한 지그의 제9지점까지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 이동시켜 제3몸체부의 제2부분 일부를 형성하는 A-11단계; 상기 제9지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하단의 제2전환점까지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하부 제2헤드를 형성하는 A-12단계; 상기 제2전환점으로부터 이의 상방에 위치한 지그의 제10지점까지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 이동시켜 제3몸체부의 제2부분 전체를 형성하는 A-13단계; 상기 제10지점으로부터 이의 상방에 위치한 지그의 제11지점까지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 이동시켜 제2몸체부의 제2부분 전체를 형성하는 A-14단계; 상기 제11지점으로부터 이의 상방에 위치한 지그의 제12지점까지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 이동시켜 제1몸체부의 제2부분 전체를 형성하는 A-15단계; 및 상기 제12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시작점까지 상기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상부 제2헤드를 형성하는 A-16단계; 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A-9단계는, 상기 제2시작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A-9-1단계; 및 상기 A-9-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4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A-9-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A-9-2단계;의 패턴을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A-10단계는, 상기 A-9-2단계의 마감점 중 최하단 마감점에 해당하는 상기 제7지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A-10-1단계; 및 상기 A-10-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3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A-10-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A-10-2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A-11단계는, 상기 A-10-2단계의 마감점 중 최하단 마감점에 해당하는 상기 제8지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4ℓ만큼 이동시켜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A-11-1단계; A-11-1단계를 통해 이동된 위치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A-11-2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며, 복수의 상기 A-9-2단계의 마감점은 상기 제2시작점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상기 A-10-2단계의 마감점과 복수의 A-11-2단계의 마감점은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9지점은 복수의 A-11-2단계의 마감점 중 최하단 마감점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A-13단계는, 상기 제2전환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A-13-1단계; 및 상기 A-13-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4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A-13-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A-13-2단계;의 패턴을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A-14단계는, 상기 A-13-1단계의 마감점 중 최상단 마감점에 해당하는 상기 제10지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3ℓ만큼 이동시켜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A-14-1단계; A-14-1단계를 통해 이동된 위치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A-14-2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A-15단계는, 상기 A-14-1단계의 마감점 중 최상단 마감점에 해당하는 상기 제11지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A-15-1단계; 및 A-15-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4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A-15-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A-15-2단계;의 패턴을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제2전환점은 상기 제9지점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상기 A-13-2단계의 마감점은 상기 제2전환점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상기 A-14-1단계의 마감점 및 A-15-2단계의 마감점은 상기 제2시작점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2지점은 복수의 A-15-1단계의 마감점 중 최상단 마감점에 해당하며, 상기 제2시작점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의해 일정 방식으로 절곡시켜 엮음으로써 소정의 셀 구조로 형성하는 스텐트는,
첫째, 제2엮기 구조를 갖추는 중앙부의 제2몸체부를 통해 구조적 유연성을 가지고 신체 내 다양한 형태로 굴곡된 내강의 종류에 무관하게 내강 벽에 밀착하여 협착 부위를 밀어낼 수 있다.
둘째, 제2엮기 구조를 갖추는 중앙부의 제2몸체부를 통해 매우 낮은 수준의 복원력(축력, Axial force)을 가지고 신체 내 다양한 형태로 굴곡된 내강에 대응되도록 확장 설치된 후, 해당 확장구조를 오랜 시간 일정하게 유지하여 복원력에 의한 내강의 손상 혹은 설치 위치의 이탈의 정도를 현격히 줄일 수 있다.
셋째, 제1엮기 구조를 갖추는 양 단부의 제1몸체부 및 제3몸체부를 통해 굴곡된 내강의 양단부의 일자형 내강 구조에 대응되어 확정 설치됨으로써, 일자형 내강 구조 내에서 유연성 및 낮은 수준의 복원력에 의해 내강과 불필요한 접촉을 유발시키거나 설치 위치의 이탈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
넷째, 제2엮기 구조를 갖추는 중앙부의 제2몸체부의 외측 혹은 와이어층 사이 공간에 용이하게 늘어나거나 휘어질 수 있는 탄성을 갖춘 피막을 추가 설치하여 스텐트 제2몸체부의 특성을 보강함으로써, 좀 더 높은 수준의 유연성, 낮은 수준의 복원력 및 내구성을 갖춤과 동시에 제2몸체부의 휘어짐에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는 엮기 구조상의 교차부분이 내강에 직접적 자극을 발생시키는 문제를 커버할 수 있는 스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다섯째, 제1엮기 구조를 갖추는 양 단부의 제1몸체부 및 제3몸체부의 표면상에 코팅막을 형성하여 제1몸체부 및 제3몸체부의 특성을 보강함으로써, 좀 더 높은 수준의 복원력 및 일자형 구조의 구조적 안전성을 갖춘 스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및 부분별 단면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텐트 및 부분별 단면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4 내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몸체부 제1부분 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몸체부 제1부분 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제3몸체부 제1부분 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제1헤드 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제3몸체부 제1부분 완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몸체부 제1부분 완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몸체부 제1부분 완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제1헤드 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와이어의 교차 및 절곡에 의한 몸체 제1부분 전체구조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몸체부 제2부분 형성단계 내지 제3몸체부 제2부분 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제2헤드 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몸체부 제2부분 완성단계 내지 제1몸체부 제2부분 완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제2헤드 형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와이어 및 제2와이어의 교차 및 절곡에 의한 몸체 제1부분 및 제2부분 전체구조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1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2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제조방법 내 스텐트 몸체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1. 스텐트 및 이를 이루는 엮기 구조 상의 교차형태 분포구조에 관한 설명
도1 내지 도3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스텐트(100)는 몸체(100S); 피막(140); 제1코팅막(150); 및 제2코팅막(160);을 포함한다.
몸체(100S)는 금속와이어(10, 20)의 상하 절곡을 통해 지그 상에 엮임으로써, 다수의 셀(Cell)을 구비하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는 스텐트 와이어 구조 전체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몸체(100S)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와이어(10, 20)에 의해 마련될 수 있으며, 두 개 이상의 금속와이어(10, 20)를 이용해 몸체(100S) 구조를 형성할 경우. 각각의 와이어가 마련하는 몸체 구조의 일부분을 구분하여 제1부분(100A)과 제2부분(100B)으로 나눠지되, 이들을 상호 엮기 구조를 통해 연결되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몸체(100S)는 전체 구조상의 위치 및 엮기 구조의 형태에 따라 제1몸체부(110), 제2몸체부(120) 및 제3몸체부(130)로 마련된다.
우선, 제1몸체부(110)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S)의 일단부에 해당하며, 제1엮기 구조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제1몸체부(110)는 제1직경 크기의 중공형 원통을 이루는 일단부분(111)과 일단부분(111) 일단 측에서 제1직경에 비해 확장된 직경을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어 이탈방지를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 제1확관부분(112)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몸체부(130)는 몸체(100S)의 타단부에 해당하며, 와이어를 이용한 절곡을 통해 제1엮기 구조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제3몸체부(130)는 제1직경에 비해 큰 제2직경 크기의 중공형 원통을 이루는 타단부분(131)과 타단부분(131) 타단 측에서 제2직경에 비해 확장된 직경을 가지도록 연장 형성되어 이탈방지를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 제2확관부분(132)으로 마련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2몸체부(120)는 제1몸체부(110)의 타단과 제3몸체부(130)의 일단을 연결하여 몸체(100S)의 중앙부에 해당하며, 제2엮기 구조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제2몸체부(120)는 제1몸체부(110)의 타단과 이어져 제1직경의 크기를 갖추는 중공형 원통 부분으로 타단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 제1연결부분(121), 제3몸체부(130)의 일단과 이어져 제2직경의 크기를 갖추는 중공형 원통 부분으로 일단측을 향해 연장 형성된 제3연결부분(123) 및 제1연결부분(121)과 제3연결부분(123)을 직경이 제1직경에서 제2직경으로 확장되는 형태로 연결하는 제2연결부분(122)으로 마련된다.
또한, 이 중 제2몸체부(120) 외주면 상에는 구조적 유연성을 갖춘 튜브 형태의 피막(140)이 설치되어 지는데, 이러한 피막(140)은 테프론(Teflon), 실리콘, PTFE(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올레핀,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및 ePTFE(expanded-Polytetrafluoroethylene) 중에서 선택될 수 있지만, 특별한 제한 없이 피막에 사용되는 공지된 재료의 범위 내에서 선택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피막(140)이 테프론(Teflon), 실리콘, PTFE 중 하나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피막(140')의 설치 위치는 또 다른 실시예, 즉 복수의 와이어(10, 20)를 이용해 복수의 와이어층을 형성한 스텐트(100')의 경우에는 도3에 도시된 B'-B'의 단면 구조를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2몸체부(120')를 이루는 복수의 금속와이어 층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몸체부(110) 및 제3몸체부(130)를 이루는 제1엮기 구조는 상호 구조적인 동일성을 갖추되, 도13,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위상이 이동되어진 형태를 이루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제1엮기 구조는 제2몸체부(120)를 이루는 제2엮기 구조와 상호 상이한 구조적 특성을 갖춤으로써, 스텐트 부분별 구조적 특성, 구체적으로는 스텐트가 병변부위에 설치되어 쉽게 이탈되지 않고 오랜 시간 설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높은 이동방지성, 스텐트가 병변부위를 외측으로 밀어내어 내강의 직경을 회복하기 위한 스텐트 반지름 방향으로 작용하는 강한 팽창력(Radial force), 스텐트가 내강의 형태에 적합하게 설치되어 확장될 수 있도록 요구되는 높은 유연성, 스텐트의 확장 후 일정한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낮은 복원력(Axial force), 스텐트의 정확한 설치위치 확보를 위해 필요한 낮은 스텐트 길이의 단축율 및 금속와이어간의 사이 공간을 형성하는 셀의 크기 및 형태 등이 달라지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엮기 구조 및 제2엮기 구조라 함은 스텐트(100)의 원주(W)와 길이(L)를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임의로 설정한 원주분할선(a1, a2, a3, …, a18)과 길이분할선(b1, b2, b3,…, b28)이 교차하는 모든 위치점 각각에 상방으로 향하는 와이어와 하방으로 향하는 와이어가 X자형으로 교차되는 제1교차형태(B) 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절곡하는 와이어와 하방에서 상방으로 절곡하는 와이어가 상호 걸리며 교차되는 제2교차형태(A) 중 하나의 교차형태가 형성되며 교차형태들의 특정 배치 분포구조를 갖추게 되고, 제1엮기 구조는 각 위치점 별 교차형태의 배치 분포구조가 제2엮기 구조와 상이하다.
여기서, 제1엮기 구조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분할선을 기준으로 각 위치점 모두의 교차형태가 제1교차형태(B)로만 마련되는 복수의 제1위치점 그룹(G1) 및 원주분할선을 기준으로 각 위치점 모두의 교차형태가 제2교차형태(A)로만 마련되는 복수의 제2위치점 그룹(G2)이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 분포 되어 이루어지는 엮기 구조로써, 제1위치점 그룹(G1)이 위치하는 원주분할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인접한 원주분할선 상에는 상기 제2위치점 그룹(G2)이 마련되는 구조를 이룬다.
실시 형태에 따라 제1엮기 구조는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금속와이어(10, 20)를 이용해 제1몸체부(110) 및 제3몸체부(130)의 제1부분(110A, 130A) 및 제2부분(110B, 130B)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원주분할선을 기준으로 제1교차형태(B)를 형성하는 위치점 및 제2교차형태(A)를 형성하는 위치점이 번갈아 반복 배치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제3위치점 그룹(G3)이 추가 배치 분포 되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역시 제3위치점 그룹(G3)이 위치하는 원주분할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인접한 원주분할선 상에는 상기 제2위치점 그룹(G2)이 마련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와 같은 제1엮기 구조는 상대적으로 제2몸체부(120)에 비해 높은 수준의 복원력(축력)을 제공하여 제1몸체부(110) 및 제3몸체부(130) 평행하게 일자형으로 이루어진 내강 구조에 대응되어 내강 직경의 회복에 있어서 구조적으로 대응되는 정도가 우수하며 확장된 일자형 원통 구조의 지속적인 유지 성능을 개선시킨다.
다음으로, 제2엮기 구조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분할선을 기준으로 각 위치점 모두의 교차형태가 제1교차형태(B)로만 마련되는 복수의 제4위치점 그룹(G4) 및 원주분할선을 기준으로 각 위치점 모두의 교차형태가 제2교차형태(A)로만 마련되는 복수의 제5위치점 그룹(G5)이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 분포 되어 이루어지는 엮기 구조로써, 제4위치점 그룹(G4)이 위치하는 원주분할선의 개수가 제5위치점 그룹(G5)이 위치하는 원주분할선의 개수에 비해 적게 마련되는 구조를 이룬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4위치점 그룹(G4)이 위치하는 원주분할선이 복수 개로 마련될 경우, 이들은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고, 전체 원주분할선의 개수 중 1/6 수준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형태에 따라 제2엮기 구조는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금속와이어(10, 20)를 이용해 제1몸체부(110) 및 제3몸체부(130)의 제1부분(110A, 130A) 및 제2부분(110B, 130B)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원주분할선을 기준으로 각 위치점 모두의 교차형태가 제2교차형태(A)로만 마련되는 복수의 제5위치점 그룹(G5) 및 주분할선을 기준으로 제1교차형태(B)를 형성하는 위치점 및 제2교차형태(A)를 형성하는 위치점이 번갈아 반복 배치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제6위치점 그룹(G6)이 원주방향을 따라 배치 분포 되어 이루어지는 엮기 구조를 이룰수 있으며, 이 경우, 제6위치점 그룹(G6)이 위치하는 원주분할선의 개수가 제5위치점 그룹(G5)이 위치하는 원주분할선의 개수에 비해 적게 마련되는 구조를 이룬다.
이와 같이 스텐트 본체(100S) 및 피막(140)의 구조적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스텐트(100)는 부분적 코팅 처리 공정을 거쳐 제1몸체부(110) 표면에 걸쳐 코팅 처리되어 형성되는 제1코팅막(150) 및 제3몸체부(130) 표면에 걸쳐 코팅 처리되어 형성되는 제2코팅막(160)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1코팅막(150) 및 제2코팅막(160)은 폴리우레탄, 실리콘우레탄공중합체, 실리콘,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터, 불소수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콜라이드, 폴리락타이드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디옥사논, 폴리카프로락톤, 폴리포스파젠, 폴리안하이드라이드, 폴리아미노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 폴리아클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실록산, 폴리비닐피롤리돈, 데이크론 및 이들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 가능한 코팅액을 이용해 분사 처리하여 형성되는 막으로써, 이에 반드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코팅액을 이용해 구현 가능하다.
아울러, 제1코팅막(150)은 피막(140)의 양 단부 중 제1몸체부(110) 측 일단부와 중첩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며, 제2코팅막(160)은 피막(140)의 양 단부 중 제3몸체부(130) 측 타단부와 중첩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A 및 C-C의 단면 구조를 살펴보면 B-B의 단면 구조와는 달리 외측에 코팅막(150, 160)이 중첩 형성되어 피막(140)의 양단부는 코팅막과 중첩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각자의 유동성을 상호 보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와이어를 이용해 복수의 와이어 층을 갖추며 제2몸체부(120')를 이루는 와이어 층 사이에 피막(140')이 삽입 설치된 스텐트(100')의 경우 역시 A'-A' 및 C'-C'의 단면 구조를 살펴보면 B'-B'의 단면 구조와는 달리 외측에 코팅막(150, 160)이 중첩 형성되어 피막(140)의 양단부는 코팅막과 중첩되어 상호 연결됨으로써, 각자의 유동성을 상호 보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스텐트 제조방법에 관한 설명
본 발명의 스텐트 제조방법이 어떠한 과정으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해 이하에서 도1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1) 몸체 형성단계<S1000>
본 단계(A단계)에서는 도4 내지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와이어의 상하 절곡을 통해 지그 상에 엮임으로써, 다수의 셀(Cell)을 구비하는 몸체(100S)를 마련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본 단계(A단계)를 통해 스텐트(100)는 와이어에 의한 골격에 해당하는 몸체(100S)를 갖추게 되고, 이와 같은 스텐트 몸체(100S)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엮기 및 구조적 특성을 갖춘 제1몸체부(110), 제2몸체부(120) 및 제3몸체부(130)를 통해 마련된다.
(2) 피막 형성단계<S2000>
본 단계(B단계)에서는 상기 단계(S1000)를 통해 형성된 스텐트 몸체(100S)의 중앙부에 해당하는 제2몸체부(120) 외주면 또는 제2몸체부(120')를 이루는 복수의 와이어 층 사이에 튜브 형태의 피막(140)을 설치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본 단계는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단계(S1000)를 통해 제1와이어(10)를 이용한 몸체 제1부분(100A)의 제조가 완료된 시점에서, 몸체 제2부분(100B)의 제조 전 혹은 제조 중에 피막(140)을 삽입 설치하는 과정이 수행되도록 설계 변경 가능하다.
여기서, 피막(140)의 설치 구조, 자체적 재질, 형태 등에 대한 특징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함으로 생략한다.
(3) 코팅막 형성단계<S3000>
본 단계(C단계)에서는 상기 단계(S2000)를 통해 설치된 피막(140)의 양 단부 측으로 일부가 중첩 되도록 제1몸체부(110) 및 제3몸체부(130)에 코팅 처리하는 공정을 수행하여 제1코팅막(150) 및 제2코팅막(160)을 구비하도록 한다.
여기서, 코팅막(150, 160)의 설치 구조, 자체적 재질, 형태 등에 대한 특징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함으로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스텐트 제조방법 중 몸체 형성단계(S1000)는 부분별 엮기 구조를 달리하여 부분별 기능의 제공 형태 및 정도를 달리 스텐트가 갖추도록 하기 위한 주요 단계로써, 이에 대해 도20의 흐름도 및 도4 내지 도18의 전개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4 내지 도13는 지그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스텐트 몸체(100S)를 제조하는 방법 중 제1와이어(10)에 의해 만들어지는 구조 및 방법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14 내지 도18은 지그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스텐트를 제조하는 방법 중 제1와이어(10)의 진행 완료 후 완성된 스텐트 구조상의 보강을 위해 제2와이어(20)를 통해 만들어지는 구조 및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4 내지 도12, 도14 내지 도17에 걸쳐 전개도 상에 나타난 점선은 기 진행된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실선은 각 도면의 해당 단계에서 진행되어 지는 와이어의 이동 경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18에서는 제1와이어(10)에 의한 몸체 제1부분(100A)의 구조를 제2와이어(20)에 의해 형성된 몸체 제2부분(100B)의 구조와 구분하기 위해 실선과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이를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적으로 설정한 부분이며, 이는 실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스텐트에 사용되는 와이어의 성질 및 직경과는 무관하다.
여기서, 지그는 제조되는 스텐트와 동일한 원주(W)와 길이(L)를 가지는 원통체의 원주(W)와 길이(L)를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임의로 설정한 원주분할선(a1, a2, a3, …, a18)과 길이분할선(b1, b2, b3,…, b28)이 교차하는 모든 위치점에 각각 탈착 가능한 돌출핀(P)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지그를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위치점을 시작점으로 설정하여, 그로부터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한 돌출핀(P)을 경유하도록 와이어(10, 20)를 상, 하로 절곡 이동시켜 교차가 일어나게 하여 셀을 형성함으로써 스텐트를 제조한다.
또한, 지그의 원주분할선 개수는 6+4x(x: 0 또는 자연수)개로 정의 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기 설명의 기준이 되는 지그의 원주분할선 개수는 x=3인 경우의 18개이다.
아울러, 지그의 길이분할선 개수는 10+6y(y: 0 또는 자연수)개로 정의 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기 설명의 기준이 되는 지그의 길이분할선 개수는 y=3인 경우의 28개이다.
(1)-1 제1몸체부 제1부분 형성단계<S110>
본 단계(A-1단계)에서는 도4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일단의 제1시작점(S'1, a7/b5)으로부터 지그 타단의 제1지점(F1-4, a7/b13)까지 제1와이어(10)를 지그재그로 절곡 이동시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스텐트의 제1몸체부 제1부분(110A) 일부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1시작점(S'1, a7/b5)은 절곡 패턴 상의 시작점으로써, 본 단계(A-1단계)는 실질적 실무상 지그에 와이어를 엮는 과정에서 제1시작점(S'1)의 핀에 와이어가 걸릴 수 있도록 제1시작점(S'1) 상측으로 일정 위치점에 실질적 시작점을 설정하여 이에 고정시킨 뒤, 제1시작점(S'1)으로부터 절곡 패턴을 시작하며, 이는 절곡 패턴을 고려하여 전체적인 형상의 변화를 주지 않도록 추후 설명될 상부 헤드 형성 후 제1시작점(S'1)으로의 복귀 패턴 상에 실질적 제1시작점(S1, a9/b3)을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이 과정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시작점(S'1)에서 제1와이어(10)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제1이동단계(A-1-1단계) 및 제1이동단계의 마감점(a11/b3)에서 제1와이어(10)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4ℓ만큼 이동시켜 제1이동단계에서 형성된 부분(a11/b3)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제1이격단계(A-1-2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1이동단계와 제1이격단계의 패턴은 번갈아가며 진행되어 첫 번째 제1이격단계 진행 후 다시 진행되는 제1이동단계는 앞서 수행한 제1이격단계를 통해 제1와이어(10)가 이격되어 이동한 제1이격단계의 마감점(F1-1, a7/b7)으로부터 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두 단계의 패턴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 진행되어 특정 제1이격단계의 마감점(F1-4, a7/b13)에서 제1몸체부 제1부분(110A) 형성단계(S110)를 마친다.
결과적으로 제1몸체부 제1부분(110A) 형성단계(S110)의 마지막 위치이자 제2몸체부 제1부분(120A) 형성단계(S120)의 시작 위치가 되는 제1지점은 제1이동단계와 제1이격단계가 번갈아가며 진행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복수의 마감점(F1-1, F1-2, F1-3, F1-4) 중에서 최하단에 위치하는 마지막 마감점(F1-4)에 해당하며, 이러한 제1지점(F1-4)을 비롯한 제1이동단계와 제1이격단계가 번갈아가며 진행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복수의 마감점(F1-1, F1-2, F1-3, F1-4)들은 제1시작점(S'1)이 위치한 원주분할선(a7)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한다.
(1)-2 제2몸체부 제1부분 형성단계<S120>
본 단계(A-2단계)에서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상의 제1지점(F1-4)으로부터 이의 하방에 위치한 제2지점(F2-4, a10/b18)까지 제1와이어(10)를 지그재그로 절곡 이동시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스텐트의 제2몸체부 제1부분(120A) 일부를 형성한다.
이 과정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점(F1-4)에서 제1와이어(10)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제2이동단계(A-2-1단계) 및 제2이동단계의 마감점(F2-1, a10/b12)에서 제1와이어(10)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3ℓ만큼 이동시켜 제1이동단계에서 형성된 부분(F2-1)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제2이격단계(A-2-2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2이동단계와 제2이격단계의 패턴은 번갈아가며 진행되어 첫 번째 제2이격단계 진행 후 다시 진행되는 제2이동단계는 앞서 수행한 제2이격단계를 통해 제1와이어(10)가 이격되어 이동한 제2이격단계의 마감점(a7/b15)으로부터 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두 단계의 패턴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 진행되어 특정 제2이동단계의 마감점(F2-4, a10/b18)에서 제2몸체부 제1부분(120A) 형성단계(S120)를 마친다.
결과적으로 제2몸체부 제1부분(120A) 형성단계(S120)의 마지막 위치이자 제3몸체부 제1부분(130A) 형성단계(S130)의 시작 위치가 되는 제2지점은 제2이동단계와 제2이격단계가 번갈아가며 진행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복수의 마감점(F2-1, F2-2, F2-3, F2-4) 중에서 최하단에 위치하는 마지막 마감점(F2-4)에 해당한다.
(1)-3 제3몸체부 제1부분 형성단계<S130>
본 단계(A-3단계)에서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상의 제2지점(F2-4)으로부터 이의 하방에 위치한 제3지점(F3-3, a10/b24)까지 제1와이어(10)를 지그재그로 절곡 이동시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스텐트의 제3몸체부 제1부분(130A) 일부를 형성한다.
이 과정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지점(F2-4)에서 제1와이어(10)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4ℓ만큼 이동시켜 제2지점(F2-4)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제3이격단계(A-3-1단계) 및 제3이격단계의 마감점(a6/b22)에서 제1와이어(10)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제3이동단계(A-3-2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3이격단계와 제3이동단계의 패턴은 번갈아가며 진행되어 첫 번째 제3이동단계 진행 후 다시 진행되는 제3이격단계는 앞서 수행한 제3이동단계를 통해 제1와이어(10)가 이동한 제3이동단계의 마감점(F3-1, a10/b20)으로부터 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두 단계의 패턴이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 진행되어 특정 제3이동단계의 마감점(F3-3, a10/b24)에서 제3몸체부 제1부분(130A) 형성단계(S130)를 마친다.
결과적으로 제3몸체부 제1부분(130A) 형성단계(S130)의 마지막 위치이자 하부 제1헤드 형성단계(S200)의 시작 위치가 되는 제3지점은 제3이격단계와 제3이동단계가 번갈아가며 진행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복수의 마감점(F3-1, F3-2, F3-3) 중에서 최하단에 위치하는 마지막 마감점(F3-3)에 해당하며, 이러한 제3지점(F3-3)을 비롯한 제3이동단계의 마감점(F3-1, F3-2, F3-3)들은 제2지점(F2-4)을 비롯한 제2이동단계의 마감점(F2-1, F2-2, F2-3, F2-4)과 동일한 원주분할선(a10) 상에 위치한다.
(1)-4 하부 제1헤드 형성단계<S200>
본 단계(A-4단계)에서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상의 제3지점(F3-3)으로부터 지그 타단의 제1전환점(C1, a6/b24)까지 제1와이어(10)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하부 제1헤드를 형성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와이어(10)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지점(F3-3)으로부터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4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a6/b28)으로부터 제1와이어(10)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a4/b26)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여 제1와이어(10)가 제3지점(F3-3)과 동일한 원주분할선(a10) 상에 위치할 때까지 반복한다. 마지막으로, 그 결과 이동된 위치점(a10/b28)으로부터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4ℓ만큼 이동시켜 제1와이어(10)를 제3지점(F3-3)과 동일한 길이분할선(b24) 상에 위치한 제1전환점(C1)에 위치시킨다.
(1)-5 제3몸체부 제1부분 완성단계<S310>
본 단계(A-5단계)에서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상의 제1전환점(C1)으로부터 이의 상방에 위치한 제4지점(F'1-3, a10/b22)까지 제1와이어(10)를 지그재그로 절곡 이동시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스텐트의 제3몸체부 제1부분(130A) 전체를 형성한다.
이 과정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전환점(C1)에서 제1와이어(10)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제4이동단계(A-5-1단계) 및 제4이동단계의 마감점(F'1-1, a10/b26)에서 제1와이어(10)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4ℓ만큼 이동시켜 제4이동단계에서 형성된 부분(F'1-1)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제4이격단계(A-5-2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4이동단계와 제4이격단계의 패턴은 번갈아가며 진행되어 첫 번째 제4이격단계 진행 후 다시 진행되는 제4이동단계는 앞서 수행한 제4이격단계를 통해 제1와이어(10)가 이동한 제4이격단계의 마감점(a6/b22)으로부터 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두 단계의 패턴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 진행되어 특정 제4이동단계의 마감점(F'1-3, a10/b22)에서 제3몸체부 제1부분(130A) 완성단계(S310)를 마친다.
결과적으로 제3몸체부 제1부분(130A) 완성단계(S310)의 마지막 위치이자 제2몸체부 제1부분(130A) 완성단계(S320)의 시작 위치가 되는 제4지점은 제4이동단계와 제4이격단계가 번갈아가며 진행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복수의 마감점(F'1-1, F'1-2, F'1-3)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마지막 마감점(F'1-3)에 해당하며, 제4이격단계의 마감점(a6/b22, a6/b20)들은 제1전환점(C1)과 동일한 원주분할선(a6) 상에 위치한다.
(1)-6 제2몸체부 제1부분 완성단계<S320>
본 단계(A-6단계)에서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상의 제4지점(F'1-3)으로부터 이의 상방에 위치한 제5지점(F'2-6, a7/b9)까지 제1와이어(10)를 지그재그로 절곡 이동시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스텐트의 제2몸체부 제1부분(120A) 전체를 형성한다.
이 과정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지점(F'1-3)에서 제1와이어(10)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3ℓ만큼 이동시켜 제4지점(F'1-3)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제5이격단계(A-6-1단계) 및 제5이격단계의 마감점(a7/b19)에서 제1와이어(10)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제5이동단계(A-6-2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5이격단계와 제5이동단계의 패턴은 번갈아가며 진행되어 첫 번째 제5이동단계 진행 후 다시 진행되는 제5이격단계는 앞서 수행한 제5이동단계를 통해 제1와이어(10)가 이동한 제5이동단계의 마감점(a10/b20)으로부터 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두 단계의 패턴이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 진행되어 특정 제5이격단계의 마감점(F'2-6, a7/b9)에서 제2몸체부 제1부분(120A) 완성단계(S320)를 마친다.
결과적으로 제2몸체부 제1부분(120A) 완성단계(S320)의 마지막 위치이자 제3몸체부 제1부분(130A) 완성단계(S330)의 시작 위치가 되는 제5지점은 제5이격단계와 제5이동단계가 번갈아가며 진행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복수의 마감점(F'2-1, F'2-2, F'2-3, F'2-4, F'2-5, F'2-6)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마지막 마감점(F'2-6)에 해당하며, 제5지점(F'2-6)을 비롯한 제5이격단계의 복수의 마감점(F'2-1, F'2-2, F'2-3, F'2-4, F'2-5, F'2-6)들은 제1시작점(S'1)이 위치한 원주분할선(a7)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한다.
(1)-7 제1몸체부 제1부분 완성단계<S330>
본 단계(A-7단계)에서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상의 제5지점(F'2-6)으로부터 지그 타단의 제6지점(F'3-4, a11/b5)까지 제1와이어(10)를 지그재그로 절곡 이동시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스텐트의 제1몸체부 제1부분(110A) 전체를 형성한다.
이 과정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지점(F'2-6)에서 제1와이어(10)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제6이동단계(A-7-1단계) 및 제6이동단계의 마감점(F'3-1, a11/b11)에서 제1와이어(10)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4ℓ만큼 이동시켜 제6이동단계에서 형성된 부분(F'3-1)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제6이격단계(A-7-2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6이동단계와 제6이격단계의 패턴은 번갈아가며 진행되어 첫 번째 제6이격단계 진행 후 다시 진행되는 제6이동단계는 앞서 수행한 제6이격단계를 통해 제1와이어(10)가 이격되어 이동한 제6이격단계의 마감점(a7/b7)으로부터 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두 단계의 패턴이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 진행되어 특정 제6이동단계의 마감점(F'3-4, a11/b5)에서 제1몸체부 제1부분(110A) 완성단계(S330)를 마친다.
결과적으로 제1몸체부 제1부분(110A) 완성단계(S330)의 마지막 위치이자 상부 제1헤드 형성단계(S400)의 시작 위치가 되는 제6지점은 제6이동단계와 제6이격단계가 번갈아가며 진행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복수의 마감점(F'3-1, F'3-2, F'3-3, F'3-4)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마지막 마감점(F'3-4)에 해당하며, 이러한 제6지점(F'3-4)은 제1시작점(S'1)이 위치한 길이분할선(b5)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제6이격단계의 마감점들은 제1시작점(S'1)이 위치한 원주분할선(a7)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한다.
(1)-8 상부 제1헤드 형성단계<S400>
본 단계(A-8단계)에서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상의 제6지점(F'3-4)으로부터 지그 일단의 제1시작점(S'1)까지(실제, 실질적 제1시작점(S1)까지) 제1와이어(10)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상부 제1헤드를 형성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와이어(10)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지점(F'3-4)으로부터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4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a7/b1)으로부터 제1와이어(10)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a5/b3)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여 제1와이어(10)가 제6지점(F'3-4)과 동일한 원주분할선(a11) 상에 위치할 때까지 반복한다. 마지막으로, 그 결과 이동된 위치점(a11/b1)으로부터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4ℓ만큼 이동(실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제1와이어(10)를 실질적 제1시작점(S1)과 용접 등을 통해 연결시킨다.
즉, 상기 단계(S100 내지 S400)를 통해 제조된 스텐트 본체 제1부분(100A)의 구조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교차형태와 제2교차형태가 배치 분포 되어 있다.
다시 말해, 본체 제1부분(100A)의 제1몸체부 제1부분(110A) 및 제3몸체부 제1부분(130A)은 복수의 제1위치점 그룹(G1) 및 복수의 제2위치점 그룹(G2)이 도13과 같이 앞서 설명한 배치 분포 특성을 갖춘 제1엮기 구조를 이루게 되고, 제2몸체부 제1부분(120A)은 복수의 제4위치점 그룹(G4) 및 복수의 제5위치점 그룹(G5)이 도13과 같이 앞서 설명한 배치 분포 특성을 갖춘 제2엮기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체 제1부분(100A)의 구조적, 특징적 보강을 위해 설계자는 제2와이어(20)를 통해 아래 단계(S500 내지 S800)를 추가적으로 선택하여 진행함으로써, 본체 제2부분(100B) 상호 연결시킴으로써, 복수의 와이어 층 구조를 가진 두 개의 본체로 이루어진 또 하나의 스텐트 본체를 제조할 수 있다.
아래 설명되어지는 제2와이어(20)를 이용한 본체 제2부분(100B)의 제조 과정 상 상호 연결되어지는 형태는 제2와이어(20)를 기준으로 지그 상 상승 이동할 시에는 도16의 확대도 X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와이어(10)에 의한 구조가 외측에 위치하고 제2와이어(20)에 의한 구조가 내측에 위치하며, 제2와이어(20)를 기준으로 지그 상 하강 이동할 시에는 도16의 확대도 X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와이어(10)에 의한 구조가 내측에 위치하고 제2와이어(20)에 의한 구조가 외측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연결 구조를 통해 본체 제2부분(100B)은 본체 제1부분(100A)과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갖추면 연결되어 스텐트 전체를 이루고, 본체 제1부분(100A)에 의해 발현되는 기능적 특성을 저해하지 않고 오히려 보강하게 된다.
(1)-9 제1몸체부 제2부분 형성단계<S510>
본 단계(A-9단계)에서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일단의 제2시작점(s'1, a17/b4)으로부터 이의 하방에 위치한 제7지점(f1-5, a17/b14)까지 제2와이어(20)를 지그재그로 절곡 이동시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스텐트의 제1몸체부 제2부분(110B) 일부를 형성한다.
여기서, 제2시작점(s'1)은 절곡 패턴 상의 시작점으로써, 본 단계(A-9단계)는 실질적 실무상 지그에 와이어를 엮는 과정에서 제2시작점(s'1)의 핀에 와이어가 걸릴 수 있도록 제2시작점(s'1) 상측으로 일정 위치점에 실질적 시작점을 설정하여 이에 고정시킨 뒤, 제2시작점(s'1)으로부터 절곡 패턴을 시작하며, 이는 절곡 패턴을 고려하여 전체적인 형상의 변화를 주지 않도록 추후 설명될 상부 헤드 형성 후 제2 작점(s'1)으로의 복귀 패턴 상에 실질적 제2시작점(s1, a1/b2)을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이 과정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시작점(s'1)에서 제2와이어(20)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제7이동단계(A-9-1단계) 및 제7이동단계의 마감점(a3/b2)에서 제2와이어(20)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4ℓ만큼 이동시켜 제1이동단계에서 형성된 부분(a3/b2)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제7이격단계(A-9-2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7이동단계와 제7이격단계의 패턴은 번갈아가며 진행되어 첫 번째 제7이격단계 진행 후 다시 진행되는 제7이동단계는 앞서 수행한 제1이격단계를 통해 제2와이어(20)가 이격되어 이동한 제7이격단계의 마감점(f1-1, a17/b6)으로부터 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두 단계의 패턴이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 진행되어 특정 제7이격단계의 마감점(f1-5, a17/b14)에서 제1몸체부 제2부분(110B) 형성단계(S510)를 마친다.
결과적으로 제1몸체부 제2부분(110B) 형성단계(S510)의 마지막 위치이자 제제2몸체부 제2부분(120B) 형성단계(S520)의 시작 위치가 되는 제7지점은 제7이동단계와 제7이격단계가 번갈아가며 진행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복수의 마감점(f1-1, f1-2, f1-3, f1-4, f1-5) 중에서 최하단에 위치하는 마지막 마감점(f1-5)에 해당하며, 이러한 제7지점(f1-5)을 비롯한 제7이동단계와 제7이격단계가 번갈아가며 진행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복수의 마감점(f1-1, f1-2, f1-3, f1-4, f1-5)들은 제2시작점(s'1)이 위치한 원주분할선(a17)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한다.
(1)-10 제2몸체부 제2부분 형성단계<S520>
본 단계(A-10단계)에서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상의 제7지점(f1-5)으로부터 이의 하방에 위치한 제8지점(f2-4, a2/b19)까지 제2와이어(20)를 지그재그로 절곡 이동시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스텐트의 제2몸체부 제2부분(120B) 일부를 형성한다.
이 과정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7지점(f1-5)에서 제2와이어(20)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제8이동단계(A-10-1단계) 및 제2이동단계의 마감점(f2-1, a2/b13)에서 제2와이어(20)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3ℓ만큼 이동시켜 제8이동단계에서 형성된 부분(f2-1)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제8이격단계(A-10-2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8이동단계와 제8이격단계의 패턴은 번갈아가며 진행되어 첫 번째 제8이격단계 진행 후 다시 진행되는 제8이동단계는 앞서 수행한 제8이격단계를 통해 제2와이어(20)가 이격되어 이동한 제8이격단계의 마감점(a17/b16)으로부터 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두 단계의 패턴이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 진행되어 특정 제8이동단계의 마감점(f2-4, a10/b18)에서 제2몸체부 제2부분(120B) 형성단계(S520)를 마친다.
결과적으로 제2몸체부 제2부분(120B) 형성단계(S520)의 마지막 위치이자 제3몸체부 제2부분(130B) 형성단계(S530)의 시작 위치가 되는 제8지점은 제8이동단계와 제8이격단계가 번갈아가며 진행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복수의 마감점(f2-1, f2-2, f2-3, f2-4) 중에서 최하단에 위치하는 마지막 마감점(f2-4)에 해당한다.
(1)-11 제3몸체부 제2부분 형성단계<S530>
본 단계(A-11단계)에서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상의 제8지점(f2-4)으로부터 이의 하방에 위치한 제9지점(f3-3, a10/b24)까지 제2와이어(20)를 지그재그로 절곡 이동시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스텐트의 제3몸체부 제2부분(130B) 일부를 형성한다.
이 과정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8지점(f2-4)에서 제2와이어(20)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4ℓ만큼 이동시켜 제8지점(f2-4)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제9이격단계(A-11-1단계) 및 제9이격단계의 마감점(a16/b23)에서 제2와이어(20)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제9이동단계(A-11-2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9이격단계와 제9이동단계의 패턴은 번갈아가며 진행되어 첫 번째 제9이동단계 진행 후 다시 진행되는 제9이격단계는 앞서 수행한 제9이동단계를 통해 제2와이어(20)가 이동한 제9이동단계의 마감점(f3-1, a2/b21)으로부터 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두 단계의 패턴이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 진행되어 특정 제9이동단계의 마감점(f3-3, a2/b25)에서 제3몸체부 제2부분(130B) 형성단계(S530)를 마친다.
결과적으로 제3몸체부 제2부분(130B) 형성단계(S530)의 마지막 위치이자 하부 제2헤드 형성단계(S600)의 시작 위치가 되는 제9지점은 제9이격단계와 제9이동단계가 번갈아가며 진행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복수의 마감점(f3-1, f3-2, f3-3) 중에서 최하단에 위치하는 마지막 마감점(f3-3)에 해당하며, 이러한 제3지점(f3-3)을 비롯한 제3이동단계의 마감점(f3-1, f3-2, f3-3)들은 제8지점(f2-4)을 비롯한 제8이동단계의 마감점(f2-1, f2-2, f2-3, f2-4)과 동일한 원주분할선(a2) 상에 위치한다.
(1)-12 하부 제2헤드 형성단계<S600>
본 단계(A-12단계)에서는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상의 제9지점(f3-3)으로부터 지그 타단의 제2전환점(c1, a16/b25)까지 제2와이어(20)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하부 제2헤드를 형성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와이어(20)는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9지점(f3-3)으로부터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3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a17/b28)으로부터 제2와이어(20)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a16/b27)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여 제2와이어(20)가 제9지점(f3-3)으로부터 한 칸 더 이동한 원주분할선(a10) 상에 위치할 때까지 반복한다. 마지막으로, 그 결과 이동된 위치점(a1/b28)으로부터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3ℓ만큼 이동시켜 제2와이어(20)를 제9지점(f3-3)과 동일한 길이분할선(b25) 상에 위치한 제2전환점(c1)에 위치시킨다.
(1)-13 제3몸체부 제2부분 완성단계<S710>
본 단계(A-13단계)에서는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상의 제2전환점(c1)으로부터 이의 상방에 위치한 제10지점(f'1-3, a2/b23)까지 제2와이어(20)를 지그재그로 절곡 이동시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스텐트의 제3몸체부 제2부분(130B) 전체를 형성한다.
이 과정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전환점(c1)에서 제2와이어(20)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제10이동단계(A-13-1단계) 및 제10이동단계의 마감점(f'1-1, a2/b27)에서 제2와이어(20)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4ℓ만큼 이동시켜 제10이동단계에서 형성된 부분(f'1-1)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제10이격단계(A-13-2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10이동단계와 제10이격단계의 패턴은 번갈아가며 진행되어 첫 번째 제10이격단계 진행 후 다시 진행되는 제10이동단계는 앞서 수행한 제10이격단계를 통해 제2와이어(20)가 이동한 제10이격단계의 마감점(a16/b23)으로부터 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두 단계의 패턴이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 진행되어 특정 제10이동단계의 마감점(f'1-3, a2/b23)에서 제3몸체부 제2부분(130B) 완성단계(S710)를 마친다.
결과적으로 제3몸체부 제2부분(130B) 완성단계(S710)의 마지막 위치이자 제2몸체부 제2부분(130B) 완성단계(S720)의 시작 위치가 되는 제10지점은 제10이동단계와 제10이격단계가 번갈아가며 진행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복수의 마감점(f'1-1, f'1-2, f'1-3)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마지막 마감점(f'1-3)에 해당하며, 제10이격단계의 마감점(a16/b21, a16/b23)들은 제2전환점(c1)과 동일한 원주분할선(a16) 상에 위치한다.
(1)-14 제2몸체부 제2부분 완성단계<S720>
본 단계(A-14단계)에서는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상의 제10지점(f'1-3)으로부터 이의 상방에 위치한 제11지점(f'2-6, a17/b10)까지 제2와이어(20)를 지그재그로 절곡 이동시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스텐트의 제2몸체부 제2부분(120B) 전체를 형성한다.
이 과정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0지점(f'1-3)에서 제2와이어(20)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3ℓ만큼 이동시켜 제10지점(f'1-3)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제11이격단계(A-14-1단계) 및 제11이격단계의 마감점(f'2-1, a17/b20)에서 제2와이어(20)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제11이동단계(A-14-2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11이격단계와 제11이동단계의 패턴은 번갈아가며 진행되어 첫 번째 제11이동단계 진행 후 다시 진행되는 제11이격단계는 앞서 수행한 제11이동단계를 통해 제2와이어(20)가 이동한 제11이동단계의 마감점(a2/b21)으로부터 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두 단계의 패턴이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 진행되어 특정 제11이격단계의 마감점(f'2-6, a17/b10)에서 제2몸체부 제2부분(120B) 완성단계(S720)를 마친다.
결과적으로 제2몸체부 제2부분(120B) 완성단계(S720)의 마지막 위치이자 제3몸체부 제2부분(130B) 완성단계(S730)의 시작 위치가 되는 제11지점은 제11이격단계와 제11이동단계가 번갈아가며 진행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복수의 마감점(f'2-1, f'2-2, f'2-3, f'2-4, f'2-5, f'2-6)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마지막 마감점(f'2-6)에 해당하며, 제11지점(f'2-6)을 비롯한 제5이격단계의 복수의 마감점(f'2-1, f'2-2, f'2-3, f'2-4, f'2-5, f'2-6)들은 제2시작점(s'1)이 위치한 원주분할선(a17)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한다.
(1)-15 제1몸체부 제2부분 완성단계<S730>
본 단계(A-15단계)에서는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상의 제11지점(f'2-6)으로부터 이의 상단에 위치한 제12지점(f'3-5, a3/b4)까지 제2와이어(20)를 지그재그로 절곡 이동시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스텐트의 제1몸체부 제2부분(110B) 전체를 형성한다.
이 과정은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지점(f'2-6)에서 제2와이어(20)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제12이동단계(A-15-1단계) 및 제12이동단계의 마감점(f'3-1, a3/b12)에서 제2와이어(20)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4ℓ만큼 이동시켜 제12이동단계에서 형성된 부분(f'3-1)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제12이격단계(A-15-2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12이동단계와 제12이격단계의 패턴은 번갈아가며 진행되어 첫 번째 제12이격단계 진행 후 다시 진행되는 제12이동단계는 앞서 수행한 제12이격단계를 통해 제2와이어(20)가 이격되어 이동한 제2이격단계의 마감점(a17/b8)으로부터 시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두 단계의 패턴이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 진행되어 특정 제12이동단계의 마감점(f'3-5, a3/b4)에서 제1몸체부 제2부분(110B) 완성단계(S730)를 마친다.
결과적으로 제1몸체부 제2부분(110B) 완성단계(S730)의 마지막 위치이자 상부 제2헤드 형성단계(S800)의 시작 위치가 되는 제12지점은 제12이동단계와 제12이격단계가 번갈아가며 진행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복수의 마감점(f'3-1, f'3-2, f'3-3, f'3-4, f'3-5)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마지막 마감점(f'3-5)에 해당하며, 이러한 제12지점(f'3-5)은 제2시작점(s'1)이 위치한 길이분할선(b4)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제12이격단계의 마감점들은 제2시작점(s'1)이 위치한 원주분할선(a17)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한다.
(1)-16 상부 제2헤드 형성단계<S800>
본 단계(A-16단계)에서는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 상의 제12지점(f'3-5)으로부터 지그 일단의 제2시작점(s'1)까지(실제, 실질적 제1시작점(s1)까지) 제2와이어(20)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상부 제2헤드를 형성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와이어(20)는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지점(f'3-5)으로부터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3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a18/b1)으로부터 제2와이어(20)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a17/b2)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여 제2와이어(20)가 제12지점(f'3-5)이 위치한 원주분할선에서 한 칸 더 이동한 원주분할선(a2) 상에 위치할 때까지 반복한다. 마지막으로, 그 결과 이동된 위치점(a2/b1)으로부터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3ℓ만큼 이동(실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제2와이어(20)를 실질적 제2시작점(s1)과 용접을 통해 연결시킨다.
즉, 앞서 설명한 단계(S100 내지 S800)를 통해 완성된 스텐트 본체(100S)는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교차형태와 제2교차형태가 배치 분포 되어 있다.
다시 말해, 제1몸체부(110) 및 제3몸체부(130)는 복수의 제1위치점 그룹(G1), 복수의 제2위치점 그룹(G2) 및 복수의 제3위치점 그룹(G3)이 도18과 같이 앞서 설명한 배치 분포 특성을 갖춘 제1엮기 구조를 이루게 되고, 제2몸체부(120)는 복수의 제6위치점 그룹(G6) 및 복수의 제5위치점 그룹(G5)이 도18과 같이 앞서 설명한 배치 분포 특성을 갖춘 제2엮기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제2몸체부(120)는 휘어진 내강 구조에 대응되도도록 높은 수준의 유연성 및 유연성에 의해 굽어진 구조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복원력(축력)의 수준이 낮게 마련되고, 더 나아가 축력의 지속적 발생에 의해 구조적 복원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내강과의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각종 부작용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몸체부(110) 및 제3몸체부(130)는 휘어진 내강 구조 양측 단부에 이어지는 일자형 내강 구조에 대응되도록 제2몸체부(120)와 비교해 높은 수준의 복원력(축력) 및 병변부위를 외측으로 밀어내어 내강의 직경을 회복하기 위한 스텐트 반지름 방향으로 작용하는 강한 팽창력(Radial force)과 함께 이탈 방지성 또한 확관부분을 통해 제공한다.
또한, 제2몸체부(120)의 외측 또는 와이어 층 사이에 삽입되는 피막을 제2몸체부(120)의 유연성 및 축력 수준에 의한 특성을 보조적으로 보강시킬 뿐만아니라 제2몸체부(120)가 유연성을 통해 굽어지는 과정에서 셀을 이루는 와이어 교차부분이 외측으로 돌출되어 내강에 직접적인 접촉을 유발함으로써, 발생 가능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스텐트
100S : 몸체
110 : 제1몸체부 120 : 제2몸체부
130 : 제3몸체부
140 : 피막
150 : 제1코팅막
160 : 제2코팅막
P : 돌출핀
A : 원형고리부
B : 교차부

Claims (16)

  1. 금속와이어의 상하 절곡을 통해 지그 상에 엮임으로써, 다수의 셀(Cell)을 구비하는 중공의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를 이루는 금속와이어 층의 외측 또는 복수의 금속와이어 층 사이에 덮여지는 튜브 형태의 피막;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해당하며, 제1엮기 구조를 갖춘 제1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이어져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 해당하며, 제2엮기 구조를 갖추는 제2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이어져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해당하며, 와이어를 이용한 절곡을 통해 제1엮기 구조를 갖추는 제3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막은 상기 제2몸체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제2몸체부를 이루는 복수의 금속와이어 층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엮기 구조 및 제2엮기 구조는 스텐트의 원주(W)와 길이(L)를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임의로 설정한 원주분할선과 길이분할선이 교차하는 모든 위치점 각각에 상방으로 향하는 와이어와 하방으로 향하는 와이어가 X자형으로 교차되는 제1교차형태 또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절곡하는 와이어와 하방에서 상방으로 절곡하는 와이어가 상호 걸리며 교차되는 제2교차형태 중 하나의 교차형태가 형성되며,
    상기 제1엮기 구조는 각 위치점 별 교차형태의 배치 분포구조가 상기 제2엮기 구조와 상이하되,
    상기 원주분할선의 개수는 6+4x개이며, 여기서, x는 0 또는 자연수이고, 상기 길이분할선의 개수는 10+6y개이고, 여기서, y는 0 또는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텐트는,
    상기 제1몸체부 표면에 걸쳐 코팅 처리되어 형성되는 제1코팅막; 및
    상기 제3몸체부 표면에 걸쳐 코팅 처리되어 형성되는 제2코팅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팅막은 상기 피막의 양 단부 중 상기 제1몸체부 측 단부와 중첩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2코팅막은 상기 피막의 양 단부 중 상기 제3몸체부 측 단부와 중첩될 수 있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엮기 구조는,
    원주분할선을 기준으로 각 위치점 모두의 교차형태가 상기 제1교차형태로만 마련되는 복수의 제1위치점 그룹; 및
    원주분할선을 기준으로 각 위치점 모두의 교차형태가 상기 제2교차형태로만 마련되는 복수의 제2위치점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엮기 구조는 상기 제1위치점 그룹이 위치하는 원주분할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인접한 원주분할선 상에는 상기 제2위치점 그룹이 마련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엮기 구조는,
    원주분할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교차형태를 형성하는 위치점 및 제2교차형태를 형성하는 위치점이 번갈아 반복 배치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제3위치점 그룹;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엮기 구조는 상기 제3위치점 그룹이 위치하는 원주분할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인접한 원주분할선 상에는 상기 제2위치점 그룹이 마련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엮기 구조는,
    원주분할선을 기준으로 각 위치점 모두의 교차형태가 상기 제1교차형태로만 마련되는 복수의 제4위치점 그룹; 및
    원주분할선을 기준으로 각 위치점 모두의 교차형태가 상기 제2교차형태로만 마련되는 복수의 제5위치점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엮기 구조는 상기 제4위치점 그룹이 위치하는 원주분할선의 개수가 상기 제5위치점 그룹이 위치하는 원주분할선의 개수에 비해 적게 마련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엮기 구조는,
    원주분할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교차형태를 형성하는 위치점 및 제2교차형태를 형성하는 위치점이 번갈아 반복 배치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제6위치점 그룹;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엮기 구조는 상기 제6위치점 그룹이 위치하는 원주분할선의 개수가 상기 제5위치점 그룹이 위치하는 원주분할선의 개수에 비해 적게 마련되는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9. 금속와이어의 상하 절곡을 통해 지그 상에 엮임으로써, 다수의 셀(Cell)을 구비하는 몸체를 마련하는 A단계;
    상기 A단계를 통해 마련된 몸체의 중앙부 외주면 또는 상기 중앙부를 이루는 복수의 와이어 층 사이에 튜브 형태의 피막을 설치하는 B단계; 및
    상기 B단계를 통해 피막이 설치된 스텐트 몸체의 양 단부에 코팅 처리 공정을 통해 상기 피막의 양 단부와 중첩되는 코팅막을 형성하는 C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를 통해 형성되는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일단부에 해당하며, 제1엮기 구조를 갖춘 제1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이어져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 해당하며, 제2엮기 구조를 갖추는 제2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의 타단으로부터 이어져 상기 몸체의 타단부에 해당하며, 와이어를 이용한 절곡을 통해 상기 제1엮기 구조를 갖추는 제3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A단계에서는, 제조되는 스텐트와 동일한 지름과 길이(L)를 가지는 원통체의 원주(W)와 길이(L)를 등간격으로 분배하여 설정한 원주분할선과 길이분할선이 교차하는 모든 위치점에 각각 탈착 가능한 돌출핀이 설치된 지그를 사용하되,
    상기 원주분할선의 개수는 6+4x개이며, 여기서, x는 0 또는 자연수이고, 상기 길이분할선의 개수는 10+6y개이고, 여기서, y는 0 또는 자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를 사용하되, 어느 하나의 기준이 되는 위치점을 시작점으로 하여 출발한 뒤, 대각선 방향으로 위치한 돌출핀을 경유하도록 와이어를 상, 하로 절곡 이동하면서 와이어간의 교차에 의해 셀을 형성하는 상기 A단계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지그 상단의 제1시작점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제1지점까지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 이동시켜 제1몸체부의 제1부분 일부를 형성하는 A-1단계;
    상기 제1지점으로부터 이의 하방에 위치한 지그의 제2지점까지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 이동시켜 제2몸체부의 제1부분 일부를 형성하는 A-2단계;
    상기 제2지점으로부터 이의 하방에 위치한 지그의 제3지점까지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 이동시켜 제3몸체부의 제1부분 일부를 형성하는 A-3단계;
    상기 제3지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하단의 제1전환점까지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하부 제1헤드를 형성하는 A-4단계;
    상기 제1전환점으로부터 이의 상방에 위치한 지그의 제4지점까지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 이동시켜 제3몸체부의 제1부분 전체를 형성하는 A-5단계;
    상기 제4지점으로부터 이의 상방에 위치한 지그의 제5지점까지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 이동시켜 제2몸체부의 제1부분 전체를 형성하는 A-6단계;
    상기 제5지점으로부터 이의 상방에 위치한 지그의 제6지점까지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 이동시켜 제1몸체부의 제1부분 전체를 형성하는 A-7단계; 및
    상기 제6지점으로부터 상기 제1시작점까지 상기 제1와이어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상부 제1헤드를 형성하는 A-8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1단계는,
    상기 제1시작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A-1-1단계; 및
    상기 A-1-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4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A-1-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A-1-2단계;의 패턴을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A-2단계는,
    상기 A-1-2단계의 마감점 중 최하단 마감점에 해당하는 상기 제1지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A-2-1단계; 및
    상기 A-2-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3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A-2-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A-2-2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A-3단계는,
    상기 A-2-2단계의 마감점 중 최하단 마감점에 해당하는 상기 제2지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4ℓ만큼 이동시켜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A-3-1단계;
    A-3-1단계를 통해 이동된 위치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A-3-2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며,
    복수의 상기 A-1-2단계의 마감점은 상기 제1시작점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상기 A-2-2단계의 마감점과 복수의 A-3-2단계의 마감점은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3지점은 복수의 A-3-2단계의 마감점 중 최하단 마감점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A-5단계는,
    상기 제1전환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A-5-1단계; 및
    상기 A-5-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4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A-5-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A-5-2단계;의 패턴을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A-6단계는,
    상기 A-5-1단계의 마감점 중 최상단 마감점에 해당하는 상기 제4지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3ℓ만큼 이동시켜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A-6-1단계;
    A-6-1단계를 통해 이동된 위치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A-6-2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A-7단계는,
    상기 A-6-1단계의 마감점 중 최상단 마감점에 해당하는 상기 제5지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A-7-1단계; 및
    A-7-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제1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4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A-7-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A-7-2단계;의 패턴을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제1전환점은 상기 제3지점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상기 A-5-2단계의 마감점은 상기 제1전환점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상기 A-6-1단계의 마감점 및 A-7-2단계의 마감점은 상기 제1시작점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6지점은 복수의 A-7-1단계의 마감점 중 최상단 마감점에 해당하며, 상기 제1시작점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상기 지그 상단의 제2시작점으로부터 상기 지그의 제7지점까지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 이동시켜 제1몸체부의 제2부분 일부를 형성하는 A-9단계;
    상기 제7지점으로부터 이의 하방에 위치한 지그의 제8지점까지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 이동시켜 제2몸체부의 제2부분 일부를 형성하는 A-10단계;
    상기 제8지점으로부터 이의 하방에 위치한 지그의 제9지점까지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 이동시켜 제3몸체부의 제2부분 일부를 형성하는 A-11단계;
    상기 제9지점으로부터 상기 지그 하단의 제2전환점까지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하부 제2헤드를 형성하는 A-12단계;
    상기 제2전환점으로부터 이의 상방에 위치한 지그의 제10지점까지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 이동시켜 제3몸체부의 제2부분 전체를 형성하는 A-13단계;
    상기 제10지점으로부터 이의 상방에 위치한 지그의 제11지점까지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 이동시켜 제2몸체부의 제2부분 전체를 형성하는 A-14단계;
    상기 제11지점으로부터 이의 상방에 위치한 지그의 제12지점까지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 절곡 이동시켜 제1몸체부의 제2부분 전체를 형성하는 A-15단계; 및
    상기 제12지점으로부터 상기 제2시작점까지 상기 제2와이어를 지그재그로 절곡시키는 패턴을 반복하여 상부 제2헤드를 형성하는 A-16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A-9단계는,
    상기 제2시작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ℓ:원주분할선 1칸 당 길이분할선 1칸 이동한 대각선 거리)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A-9-1단계; 및
    상기 A-9-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4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A-9-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A-9-2단계;의 패턴을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A-10단계는,
    상기 A-9-2단계의 마감점 중 최하단 마감점에 해당하는 상기 제7지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A-10-1단계; 및
    상기 A-10-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3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A-10-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A-10-2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A-11단계는,
    상기 A-10-2단계의 마감점 중 최하단 마감점에 해당하는 상기 제8지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4ℓ만큼 이동시켜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A-11-1단계;
    A-11-1단계를 통해 이동된 위치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A-11-2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며,
    복수의 상기 A-9-2단계의 마감점은 상기 제2시작점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상기 A-10-2단계의 마감점과 복수의 A-11-2단계의 마감점은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9지점은 복수의 A-11-2단계의 마감점 중 최하단 마감점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A-13단계는,
    상기 제2전환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A-13-1단계; 및
    상기 A-13-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4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A-13-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A-13-2단계;의 패턴을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A-14단계는,
    상기 A-13-1단계의 마감점 중 최상단 마감점에 해당하는 상기 제10지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3ℓ만큼 이동시켜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A-14-1단계;
    A-14-1단계를 통해 이동된 위치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ℓ만큼 이동시켜 형성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A-14-2단계;를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A-15단계는,
    상기 A-14-1단계의 마감점 중 최상단 마감점에 해당하는 상기 제11지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하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킨 뒤, 그 위치점에서 다시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2ℓ만큼 이동시켜 지그재그 절곡된 패턴을 반복하는 A-15-1단계; 및
    A-15-1단계의 마감점에서 상기 제2와이어를 상부 방향의 대각선으로 4ℓ만큼 이동시켜 상기 A-15-1단계에서 형성된 부분으로부터 위치점을 이격시키는 A-15-2단계;의 패턴을 번갈아 진행하며,
    상기 제2전환점은 상기 제9지점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상기 A-13-2단계의 마감점은 상기 제2전환점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복수의 상기 A-14-1단계의 마감점 및 A-15-2단계의 마감점은 상기 제2시작점과 동일한 원주분할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2지점은 복수의 A-15-1단계의 마감점 중 최상단 마감점에 해당하며, 상기 제2시작점과 동일한 길이분할선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제조방법.
KR1020160032174A 2016-03-17 2016-03-17 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7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174A KR101797075B1 (ko) 2016-03-17 2016-03-17 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2174A KR101797075B1 (ko) 2016-03-17 2016-03-17 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380A KR20170108380A (ko) 2017-09-27
KR101797075B1 true KR101797075B1 (ko) 2017-11-15

Family

ID=60036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2174A KR101797075B1 (ko) 2016-03-17 2016-03-17 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07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8380A (ko) 2017-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8319B1 (ko) 스텐트 제조방법
JP6355115B2 (ja) 連結用ステ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64531B1 (ko) 형상기억합급을 이용한 가변상태 유지형 확장기구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확장기구
JP7092734B2 (ja) 減少した短縮および反跳を有するステント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588765B2 (en) Uniformly expandable stent
EP1819300B1 (en) Stent having phased hoop sections
US20020156525A1 (en) Spiral wound stent
EP1796588B1 (en) Optimized flex link for expandable stent
WO1999049810A1 (en) Stent
KR101797075B1 (ko) 스텐트 및 이의 제조방법
EP3466376A1 (en) Weaving method for nasal sinus stent and stent obtained thereof
AU5795401A (en) Low profile radio-opaque stent with increased longitudinal flexibility and radial rigidity
KR101713648B1 (ko) 스텐트 제조방법
EP1235535B1 (en) Stent
KR101631491B1 (ko) 스텐트 제조방법
WO2004105852A1 (en) A cylindrical stent
KR100548782B1 (ko) 원통형 스텐트
CN113347948A (zh) 支架及其制作方法
JP2023514102A (ja) 収縮を改善した螺旋状ステント
JP2021019711A (ja) ステント
AU2012202185A1 (en) Stent having phased hoop sections
KR20130006911A (ko) 레이저 커팅형 혈관 스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