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947B1 -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947B1
KR101796947B1 KR1020110085315A KR20110085315A KR101796947B1 KR 101796947 B1 KR101796947 B1 KR 101796947B1 KR 1020110085315 A KR1020110085315 A KR 1020110085315A KR 20110085315 A KR20110085315 A KR 20110085315A KR 101796947 B1 KR101796947 B1 KR 101796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evaporator
conditioning system
failure
air cond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5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2278A (ko
Inventor
유찬직
정재휘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5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947B1/ko
Publication of KR20130022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2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failure of detection or safety means; Diagnostic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38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ompres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55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emperature
    • B60H2001/3263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at an evaporating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온도센서(17)에 의해 증발기(9)의 온도(Te1)를 측정하여(S12), 기설정된 증발기 허용온도(Ta)와 비교하는(S13) 증발기 온도검출단계(S10); 타이머(19)를 동작시켜 온도이상 경과시간(tl)의 측정을 개시하고(S21), 상기 에어컨 시스템(1)의 정상운전 여부를 파악하는(S22) 운전상황 파악단계(S20); 상기 타이머(19)에 의해 측정한 온도이상 경과시간(tl)을 설정 대기시간(ts)과 비교하는 온도이상 경과시간 확인단계(S30); 및 상기 증발기(9) 온도(Te2)를 다시 측정하여(S41), 상기 증발기 허용온도(Ta)와 비교하고(S42), 비교 결과 상기 재측정 온도(Te2)가 상기 허용온도(Ta)보다 높은 때, 상기 증발기(9)를 고장으로 진단하는(S43) 고장 진단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따라서 증발기 온도에 이상 고온이 발생한 때 증발기의 온도 조절에 관여하는 에어컨 시스템의 각종 부품들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 증발기 또는 증발기 온도센서 등의 고장을 진단하므로, 증발기 또는 온도센서 자체의 고장도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에어컨 시스템을 고장으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Failure diagnosing method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증발기의 온도에 따라 증발기 또는 온도센서 등 접점 신호에 의해 측정할 수 없는 증발기 자체의 고장 여부를 진단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크게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및 증발기로 이루어지며, 냉방에너지의 투입단인 압축기는 차량의 엔진이나 모터와 같은 구동원에 의해 작동하도록 되어 있는 바, 고속 주행하는 좁은 차량 내에 장착되는 특성 상 다양한 요인의 고장에 노출된다.
따라서, 차량용 공조장치의 고장을 확인, 진단하기 위해서는 고장 원인이나 부위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확인 및 진단방법이 활용되는데, 그 대표적인 예로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에어컨의 자동 고장 경보장치를 들 수 있다.
이 차량용 에어컨 자동 고장 경보장치는 도 1에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장 감지부(110), 경고부(120), 제어부(130), 에어컨 클러치부(140), 및 에어컨 릴레이부(150)로 구성되는 바, 여기에서 고장 감지부(110)는 다시 스위치 접촉 감지부(111), 온도 감지부(112), 및 압력 감지부(113)로 이루어지며, 경고부(120)는 다시 스위치 불량지시등(121), 냉각부 불량지시등(122), 및 냉매부족 지시등(123)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장 감지부(110)의 스위치 접촉 감지부(111)는 차량의 에어컨 작동 시스템의 작동 스위치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며, 온도 감지부(112)는 차량의 에어컨 작동 시스템의 냉각부의 냉각여부를 감지하고, 압력 감지부(113)는 차량의 에어컨 작동 시스템의 냉매의 압력여부를 감지한다.
또한, 경고부(120)는 제어부(13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에 의해 각 고장 요인별로 스위치불량 지시등(121), 냉각부불량 지시등(122), 및 냉매부족 지시등(123) 등을 통해 고장 사실을 운전자등에게 알린다.
또한, 제어부(130)는 고장 감지부(110)에서 감지된 신호를 제어하여 경고부(120)로 전송하는 등 고장 경보장치(101) 전반을 제어한다.
또한, 에어컨 클러치부(140)는 에어컨의 작동신호를 감지하여 에어컨 릴레이부(150)를 단락시키는 역할을 하며, 에어컨 릴레이부(150)는 에어컨 클러치부(140)의 신호를 접수하여 제어부(130)에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에어컨의 작동스위치를 온하면 에어컨 클러치부(140)에서 에어컨 릴레이부(150)에 신호를 보내 마그네틱 접점스위치를 온하여 제어부(130)의 전원을 온시키며, 이때 에어컨 스위치의 접촉이 불량일 경우에는 스위치 접점 감지부(111)에 의해 스위치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130)에 결과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에서는 접수된 신호를 제어하여 경고부(120)의 스위치 접점 불량 지시등(121)에 신호를 전송하여 지시등을 점등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스위치의 접촉불량을 신속하게 알린다.
또한 에어컨 시스템의 냉각부의 냉각성능이 불량일 경우에는 온도 감지부(112)에서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30)에 데이터를 전송하며, 이에 따라 제어부(130)에서는 접수된 신호를 제어하여 경고부(120)의 냉각부불량 지시등(122)에 신호를 보내 지시등을 점등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신속하게 냉각부의 고장을 알린다.
또한 에어컨 시스템의 냉매의 압력이 불량일 경우에도 압력 감지부(113)에서 냉매의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부(130)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어부(30)에서 접수된 신호를 제어하여 경고부(120)의 냉매부족 지시등(123)에 신호를 보내 지시등을 점등시킴으로써 운전자에게 신속하게 냉매 부족 상황을 알린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에어컨 자동 고장 경보장치 및 경보 방법은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 각 부분의 접점 신호를 받아서 해당 부위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특히 증발기 자체의 냉매 부족으로 인한 성능저하나 증발기의 온도센서 또는 밸브 자체의 고장이나 작동 불량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에어컨 시스템의 각 측정지점에서 접점신호를 입력 받아 해당 부위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증발기의 온도를 통해 증발기의 냉매부족이나 증발기 온도센서의 고장 여부 등을 판단함으로써, 증발기 또는 온도센서 자체에 발생한 고장을 진단할 수 있도록 하여 에어컨 시스템을 고장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에어컨 시스템이 온되었을 때, 온도센서에 의해 증발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기설정된 증발기 허용온도와 비교하는 증발기 온도검출단계; 상기 증발기 온도검출단계에서 검출한 증발기 온도가 상기 증발기 허용온도보다 큰 때, 타이머를 동작시켜 온도이상 경과시간의 측정을 개시하고, 상기 에어컨 시스템의 정상운전 여부를 파악하는 운전상황 파악단계; 상기 운전상황 파악단계에서 확인한 상기 에어컨 시스템의 현재 운전상황이 상기 증발기의 온도 상승을 야기하지 않는 때, 상기 타이머에 의해 측정한 온도이상 경과시간을 설정 대기시간과 비교하는 온도이상 경과시간 확인단계; 및 상기 온도이상 경과시간 확인단계에서 확인한 온도이상 경과시간이 설정 대기시간보다 큰 때, 상기 증발기 온도를 다시 측정하여, 상기 증발기 허용온도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 상기 재측정 온도가 상기 허용온도보다 높은 때, 상기 증발기를 고장으로 진단하는 고장 진단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운전상황 파악단계는, 블로어의 동작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클러치의 동작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 및 압축기의 동작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운전상황 파악단계에서 확인한 상기 에어컨 시스템의 현재 운전상황이 상기 증발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상황이면, 상기 에어컨 시스템을 정상으로 진단하고, 상기 증발기의 온도 상승이 상기 에어컨 시스템의 오동작에 기인한 것일 때, 오동작을 야기한 운전상황을 경고를 하는 오동작 경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장 진단단계에서 상기 에어컨 시스템을 고장으로 진단한 다음, 상기 에어컨 시스템의 고장에 대한 경고를 하는 고장 경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에 의하면, 증발기 온도에 이상 고온이 발생한 때 증발기의 온도 조절에 관여하는 에어컨 시스템의 각종 부품들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증발기 온도 이상이 일정 경과시간 동안 지속되는지를 확인하여 일정 시간 이상 고온 상태로 지속될 때 증발기 또는 서미스터와 같은 증발기 온도센서 등의 고장을 진단하므로, 에어컨 각 부분의 접점 신호에 의해 고장을 진단할 때 간과되는 증발기 또는 온도센서 자체의 고장도 파악할 수 있게 되어 에어컨 시스템을 고장으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고장 경보장치를 개략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이 적용되는 에어컨 시스템을 개략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을 상세 도시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이 적용되는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을 첨부도면을 참조로 먼저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장 진단방법이 적용되는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은 HVAC(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라고 하며, 도 2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3), 응축기(5), 팽창밸브(7), 증발기(9)로 이루어진 냉각라인과 증발기(9)로 송풍하는 블로어(11)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15)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압축기(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를 압축하는 부분으로서, 제어부(15)에서의 지령에 따라 온오프되어 구동 회전수를 변화시킴으로써 정해진 양의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응축기(5)는 압축기(3)에서 토출된 고온, 고압의 냉매를 저온 고압의 액체 냉매로 응축하시키는 부분으로서, 응축기에서 냉매는 외부로 열을 빼앗겨 차갑게 냉각됨으로써 액화된다, 팽창밸브(7)는 액화된 냉매를 증발기로 보내기 전에 미리 증발이 용이한 상태로 되게 하는 부분으로서, 저온, 고압의 액체냉매를 급속 팽창시켜 저온, 저압 상태로 감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증발기(9)는 팽창밸브(7)를 거친 저온, 저압의 액체냉매를 증발시켜 고온 저압의 냉매증기로 만드는 부분으로서, 냉매 증발을 위해 주위에서 열을 빼앗아 냉방을 이룬다.
이에 따라, 제어부(15)의 지령에 의해 엔진(2)으로부터 전동벨트 등 전동수단(4)과 클러치(6)을 통해 회전 구동력이 압축기(3)로 전달되면서, 구동력에 의해 압축기(3)가 온오프되고, 그에 따라 냉매가 고온, 고압 상태로 압축되면,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5)를 통과하면서 외기에 의해 냉각, 응축되어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에서 저온, 고압의 액체 상태로 상변화된다. 그리고 나서, 팽창밸브(7)로 투입된 냉매는 급속으로 팽창하여 저온, 저압의 액체 상태로 무화되어 증발기(9)로 투입되기 전에 증발에 적합한 상태로 변화되며, 증발기(9)를 통과하면서 외부에서 열을 빼앗아 고온, 저압의 냉매 증기로 상변화되는데, 이 과정에서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1)에 의한 차량 실내의 냉방이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의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에 의하면, 에어컨 시스템(1) 가동 중 상시로 동작 이상 유무를 파악할 수 있는 바, 이 고장 진단방법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 온도검출단계(S10); 운전상황 파악단계(S20); 이상온도 경과시간 확인단계(S30); 및 고장 진단단계(S40);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증발기 온도검출단계(S10)는 일차적으로 에어컨 시스템(1)에 고장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 자료로서 사용하기 위해 증발기(9)의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로서, 이 단계(S1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다시 온도센서(17)에 의해 증발기의 온도(Te1)를 측정하는 단계(S12)와, 이 단계(S12)에서 측정된 증발기 온도(Te1)를 제어부(15)에서 기설정된 증발기 허용온도(Ta)와 비교하는 단계(S1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증발기 온도검출단계(S10)에 의하면, 에어컨 시스템(1)이 온된 때(S11), 증발기(9)에 인접 설치된 써미스터 등과 같은 온도센서(17)에 의해 증발기(9)의 현재 온도(Te1)를 측정하고(S12), 측정된 온도값(Te1)을 제어부(15)에 기설정되어 있는 증발기 허용온도(Ta)와 비교한다(S13).
다음으로, 상기 운전상황 파악단계(S20)는 증발기(9)의 온도 상태에 이상이 있는 때 온도 이상이 증발기(9)가 아니 다른 원인으로 인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로서, 이 단계(S2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증발기(9)의 온도이상이 지속되는 시간(tl)을 측정하기 위해 타이머(19)의 작동을 개시하는 단계(S21)와, 증발기(9) 이외의 에어컨 시스템(1) 부분이 정상적으로 운전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S2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운전상황 파악단계(S20)에 의하면, 위 증발기 온도검출단계(S10)에서 검출한 증발기 온도(Te1)가 증발기 허용온도(Ta)보다 큰 것으로 즉, 증발기(9)의 현재온도(Te1)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된 때, 타이머(19)를 동작시켜 이러한 증발기(9)의 온도이상이 지속되는 경과시간(tl)의 측정을 개시한다(S21). 그리고 나서, 냉매 부족 또는 밸브(ECV) 고장 등으로 인한 증발기(9) 고장이나 온도센서(17) 고장(이하, 증발기(9) 고장으로 통칭함.)을 제외하고, 온도센서(17)에 의해 측정되는 증발기(9) 온도의 상승을 초래하는 운전 상황 또는 조건의 변화가 있는지를 제어부(15)에 의해 파악한다(S22).
이때, 제어부(15)에 의해 파악되는 운전 상황에는 여러 다양한 운전 요소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어 동작 파악단계(S221), 클러치 동작 파악단계(S222), 및 압축기 동작 파악단계(S223) 등을 들 수 있다.
이중에서, 먼저 블로어 동작 파악단계(S221)에서는, 블로어(1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바, 구동모터(13)에 의해 블로어(1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 때는 다음 단계로 진행하여 다른 운전 요소의 정상 여부를 파악하면 되고, 반대로 블로어(11)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면 위 온도검출단계(S10)에서 확인된 증발기(9)의 온도 이상이 블로어(11) 오동작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 증발기(9) 자체는 정상 상태인 것으로 진단한다(S23).
마찬가지로, 클러치 동작 파악단계(S222)에서는, 현재 클러치(6)가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바, 클러치(6)가 동작하고 있을 때는 엔진(2)으로부터 압축기(3)로 구동력이 전달됨에도 불구하고 증발기(9)가 이상 고온 상태이므로, 다음 단계로 진행하여 클러치(6) 외의 다른 운전 요소가 정상인지 여부를 파악한다. 그러나, 클러치(6)가 동작하고 있지 않을 때는 엔진(2)으로부터 압축기(3)로 전달되는 구동력이 단절되므로, 증발기(9)의 온도 상승을 클러치 이격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 증발기(9) 또는 온도센서(17)에는 이상이 없는 것으로 진단한다(S23).
또한, 압축기 동작 파악단계(S223)에서도, 압축기(3)가 정상 동작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게 되는 바, 압축기(3)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때에는 또 다른 운전요소로 인해 증발기(9)가 이상 고온이 되는지를 파악할 수도 있고, 아니면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더 이상 확인을 요하는 운전요소가 없다고 보고, 다음 단계로서 온도이상의 경과시간(tl)을 확인한다(S30). 그러나, 마찬가지로 압축기(3)가 비정상 동작하고 있는 때는 증발기(9)의 온도 상승이 압축기(3) 고장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 증발기(9)는 정상으로 진단한다(S23).
이와 같이, 운전상황 파악단계(S20)에서 확인한 에어컨 시스템(1)의 현재 운전상황이 여러 가지 운전 요소의 영향으로 인해 증발기(9)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밖에 없는 경우에, 증발기(9)는 당연히 정상으로 진단하되(S23), 도 4에 점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오동작 경고단계(S50)에 의해 비정상인 운전 상황에 대한 오동작 경고를 할 수 있다. 따라서, 증발기(9)의 온도 상승이 에어컨 시스템(1)의 오동작 즉, 블로어(11)나 클러치(6) 또는 압축기(3)의 고장 등에 기인한 경우, 이러한 오동작 사실을 경고음이나 경광등 점멸을 통해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다.
다음으로, 온도이상 경과시간 확인단계(S30)는 증발기(9)의 비정상 온도상승이 지속된 시간을 측정하여 지속 시간이 허용범위 내에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 단계(S20)에서 증발기(9)의 비정상적인 온도 상승이 다른 어떤 운전 요소도 아닌 증발기(9) 자체의 또는 온도센서(17)의 이상에 기인한 것으로 확인된 때 즉, 증발기(9)를 제외한 에어컨 시스템(1)의 현재 운전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운전 요소들이 모두 증발기(9) 온도상승과는 무관할 때, 타이머(19)를 통해 증발기(9)가 이상 고온 상태로 된 경과시간(tl)을 측정하고, 측정된 경과시간(tl)을 제어부(15)에 의해 설정 대기시간(ts)과 비교하여 온도이상 경과시간을 측정한다.
끝으로, 상기 고장 진단단계(S40)는 증발기(9) 또는 온도센서(17)의 고장으로 인한 온도이상이 설정된 시간을 초과한 때 증발기(9)를 고장으로 진단하는 단계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9)의 온도(Te2)를 다시 측정하는 단계(S41)와, 위 단계(S41)에서 측정한 증발기(9)의 현재온도(Te2)와 허용온도(Ta)를 비교하는 단계(S42), 그리고 위 비교단계(S42)에서의 비교결과에 따라 증발기(9) 등의 고장여부를 진단하는 단계(S4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장 진단단계(S40)에 의하면, 위 온도이상 경과시간 확인단계(S30)에서 확인한 온도이상 경과시간(tl)이 설정 대기시간(ts)보다 긴 때, 먼저 증발기(9) 온도(Te2)를 다시 측정한다(S41). 그 다음 재차 측정된 증발기(9) 온도(Te2)를 증발기 허용온도(Ta)와 비교하고(S42), 비교 결과 증발기(9)를 재측정한 온도(Te2)가 증발기(9) 허용온도(Ta)보다 높은 것으로 제어부(15)에 의해 확인된 때, 증발기(9) 자체나 온도센서(17)를 최종 고장으로 진단한다(S43).
아울러, 위와 같이 고장 진단단계(S40)에서 증발기(9) 등이 고장을 일으킨 것으로 진단되면(S43), 증발기(9) 등의 고장 사실을 파악할 수 있도록 고장 경고단계(S60)를 통해 운전자 등에게 즉시 경고를 할 수도 있다.
1 :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 2 : 엔진
3 : 압축기 5 : 응축기
6 : 클러치 7 : 팽창밸브
9 : 증발기 11 : 블로어
15 : 제어부 17 : 온도센서
19 : 타이머

Claims (4)

  1. 에어컨 시스템(1)이 온(ON)되었을 때(S11), 온도센서(17)에 의해 증발기(9)의 온도(Te1)를 측정하여(S12), 기설정된 증발기 허용온도(Ta)와 비교하는(S13) 증발기 온도검출단계(S10);
    상기 증발기 온도검출단계(S10)에서 검출한 증발기 온도(Te1)가 상기 증발기 허용온도(Ta)보다 큰 때, 타이머(19)를 동작시켜 온도이상 경과시간(tl)의 측정을 개시하고(S21), 상기 에어컨 시스템(1)의 정상운전 여부를 파악하는(S22) 운전상황 파악단계(S20);
    상기 운전상황 파악단계(S20)에서 확인한 상기 에어컨 시스템(1)의 현재 운전상황이 상기 증발기(9)의 온도 상승을 야기하지 않는 때, 상기 타이머(19)에 의해 측정한 온도이상 경과시간(tl)을 설정 대기시간(ts)과 비교하는 온도이상 경과시간 확인단계(S30); 및
    상기 온도이상 경과시간 확인단계(S30)에서 확인한 온도이상 경과시간(tl)이 설정 대기시간(ts)보다 큰 때, 상기 증발기(9) 온도(Te2)를 다시 측정하여(S41), 상기 증발기 허용온도(Ta)와 비교하고(S42), 비교 결과 상기 재측정 온도(Te2)가 상기 허용온도(Ta)보다 높은 때, 상기 증발기(9)를 고장으로 진단하는(S43) 고장 진단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상황 파악단계(S20)는,
    블로어(11)의 동작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S221);
    클러치(6)의 동작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S222); 및
    압축기(3)의 동작 여부를 파악하는 단계(S2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상황 파악단계(S20)에서 확인한 상기 에어컨 시스템(1)의 현재 운전상황이 상기 증발기(9)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상황이면, 상기 에어컨 시스템(1)을 정상으로 진단하고(S23), 상기 증발기(9)의 온도 상승이 상기 에어컨 시스템(1)의 오동작에 기인한 것일 때, 오동작을 야기한 운전상황을 경고를 하는 오동작 경고단계(S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 진단단계(S40)에서 상기 에어컨 시스템(1)을 고장으로 진단한 다음(S43), 상기 에어컨 시스템(1)의 고장에 대한 경고를 하는 고장 경고단계(S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KR1020110085315A 2011-08-25 2011-08-25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KR101796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315A KR101796947B1 (ko) 2011-08-25 2011-08-25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5315A KR101796947B1 (ko) 2011-08-25 2011-08-25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278A KR20130022278A (ko) 2013-03-06
KR101796947B1 true KR101796947B1 (ko) 2017-11-13

Family

ID=48174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5315A KR101796947B1 (ko) 2011-08-25 2011-08-25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9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890B1 (ko) * 2017-10-12 2022-04-2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압축기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2278A (ko) 201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5461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low refrigerant charge and air conditioner protection system
CN109990439B (zh) 一种空调四通阀换向异常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空调器
EP3722771A1 (en) Refrigerant leak sensor pre-trip sequence and diagnostics
CN101566517B (zh) 空调器中制冷剂泄漏的判断方法
WO2010007448A1 (en) Automatic refrigerant leak detection system of indirect means for use on cooling and refrigeration units installed on vehicles and other transportation means.
JP2008501931A (ja) 二酸化炭素ヒートポンプ水加熱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11452587A (zh) 电动化车辆热管理系统
JP5984909B2 (ja) 自動車の冷却循環路内の欠陥を検知する方法および診断テスタ
JPH0599475A (ja) 空気調和機における騒音診断装置
JP3801516B2 (ja) 車両用空調システム、及び車両用空調システムの故障情報検出方法
KR101796947B1 (ko) 차량용 에어컨 시스템의 고장 진단방법
JPH02282673A (ja) 電子膨張弁の故障診断装置
KR20200017635A (ko) 냉난방 공조 시스템 및 이의 고장 판별방법
CN110836519A (zh) 一种空调器冷媒泄漏检测方法及检测系统
JP3656148B2 (ja) 寿命予測装置付空気調和機
JP2009145006A (ja) 空気調和機
KR100957159B1 (ko) 차량의 에어컨 시스템 진단장치 및 방법
JP6836159B2 (ja) 動力伝達ベルトの異常検出装置及び異常検出方法
KR20050096339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US2012014484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utomotive hvac apparatus
EP1186840B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monitoring the state of filling of a motor-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JP3011486B2 (ja) 故障予知、警報システム
KR20210034739A (ko) 차량용 전동압축기 이상 진단 방법
JP4090176B2 (ja) 冷凍空調装置
JP4182817B2 (ja) 内燃機関用燃料噴射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