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892B1 -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892B1
KR101796892B1 KR1020170031584A KR20170031584A KR101796892B1 KR 101796892 B1 KR101796892 B1 KR 101796892B1 KR 1020170031584 A KR1020170031584 A KR 1020170031584A KR 20170031584 A KR20170031584 A KR 20170031584A KR 101796892 B1 KR101796892 B1 KR 101796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medical device
cap base
hollow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철
Original Assignee
최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철 filed Critical 최영철
Priority to KR1020170031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892B1/ko
Priority to JP2018562369A priority patent/JP7152018B2/ja
Priority to CN201880002146.6A priority patent/CN109195504A/zh
Priority to US16/304,111 priority patent/US20200323425A1/en
Priority to EP18768518.5A priority patent/EP3510916B1/en
Priority to PCT/KR2018/002893 priority patent/WO201816926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61B1/12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cleaning in-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최소 침습 수술시 인체에 삽입하여 사용되는 관상 의료기기의 세정을 위해 별도의 브러쉬 등을 이용하지 않고 세정액과 함께 투입하여 관상 의료기기를 세정 및 소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세정볼은 표면 거칠기를 가지며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구 형상으로 제조된다.

Description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 및 이의 제조방법 {Cleaning balls for pipe-type medical devic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최소 침습 수술시 인체에 삽입하여 사용되는 관상 의료기기의 세정을 위해 별도의 브러쉬 등을 이용하지 않고 세정액과 함께 투입하여 관상 의료기기를 세정 및 소독할 수 있도록 구성된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소 침습 수술은 적어도 하나의 작은 절개부를 통하여 환자(또는 수술의 대상이 되는 동물 등)의 신체 내에 수술 도구를 삽입하고 수술을 수행하는 수술로 절개를 최소화하는 수술 기법이다.
최소 침습 수술의 일반적인 형태는 내시경 수술로, 그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수술은 복강 내에서 최소 침습 조사와 수술을 하는 복강경 수술이다.
표준 복강경 수술의 경우에는, 환자의 복부에 가스를 채워 넣고, 복강경 수술 도구에 대한 입구를 제공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작은 절개부를 만든 후에, 이를 통하여 투관침(trocar)을 삽입하는 과정을 거쳐서 수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수술의 수행 시에, 사용자는 투관침를 통하여 수술 부위 등에 복강경 수술 도구를 들여 보내고 복강 외부에서 그것을 조작(또는, 조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내시경은 통상 환자의 구강이나 항문 또는 복부 등의 절제부(節制部)를 통하여 환자의 몸속에 삽입하여 목적하는 환부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으로 환자를 검진하는데 있어서는 필수적인 것이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의료기구이다.
이와 같이 인체의 장기에 삽입하여 사용되는 내시경 장치나 혈액에 삽입하는 카테터(catheter), 투관침(trocar) 등은 가능한 재사용하지 않고 일회성으로 사용하여 재사용시 발생될 수 있는 2차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관상의 의료기기는 대부분 고가의 기기로 병원 환경 등 필요에 따라 한번 사용하고 폐기하는 것이 아니라 세정 후 소독하여 재사용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관상의 의료기기의 외부는 통상의 소독이나 세척을 통해 불순물을 제거하고 재사용이 가능할 정도로 세정 및 소독함이 용이하나, 관상 의료기기의 내부는 세정 및 소독이 용이하지 못함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이러한 의료기기를 다른 환자의 검진 등에 사용하기 위하여 인체에 무해하면서 병원균을 효과적으로 살균시키고 세정하는 방안은 (특허문헌 0001)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0822호와 (특허문헌 0002)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0043호에서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이 꾸준히 모색되어 왔다.
일 예로, 이러한 관상 의료기기의 세정(소독)을 위한 종래 기술로, 관상 의료기기를 뜨거운 증기로 살균 소독하거나 에틸렌 산화물 가스를 쐬게 하거나 또는 열건조 혹은 초음파 세정을 통한 방법이 수행되었다.
또한, 관상 의료기기의 내부에 부착된 잔류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관상에 삽입될 수 있는 브러쉬 등을 이용하여 세정하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세정방법은 의료기기가 열에 민감할 경우 사용이 어렵고 화학 약품이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분한 세정 효과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브러쉬를 이용한 종래의 관상 의료기기의 세정은, 관상에 삽입되는 브러쉬의 위치와 형태에 따라 브러쉬가 닿지 않는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밖에 없으며 이를 세정액 등을 분사하여 보완해도 충분한 세정 효과를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관상의 의료기기 내부에 물 등의 세정액과 함께 수 mm 에서 수 ㎝ 크기의 많은 세정볼을 투입하여, 관상의 의료기기를 세정하는 방안이 제시된 바 있다.
도 1(a)와 도 1(b)를 참조하면, 세정을 요하는 관상 의료기기(10)의 내부로 세정액(11)과 함께 세정볼(12)을 투입하고, 상기 세정볼(12)이 주입(A)되어 배출(B)되는 동안 내벽의 잔류물질(13)을 긁어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세정볼(12)은 표면 거칠기를 가지며, 이를 이용한 관상 의료기기(10)의 세정은 종래에 비해 의료기기(10) 내부의 잔류물질(13)을 손쉬우면서도 사각이 없이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세정볼(12)은 종래 뼈대를 구성하는 실패(12a)위에 섬유, 즉 원사를 강한 압력을 가하면서 감아 만든 것으로 제품의 제작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세정볼(12)의 제작이 어려워 한번에 대량 생산이 어려웠으며, 실패(12a)를 제거한 단순 섬유를 뭉쳐 실뭉치 형상으로 만들려고 해도 그 제작이 용이하지 않아 많은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세정볼(12)의 사용에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대량생산이 용이하면서도 종래의 브러쉬 등을 이용하지 않고 효율이 우수한 세정볼(12)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0822호 (2016.03.09 공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00043호 (2013.01.02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상부캡과 하부캡을 프레스 가공하여 대량 생산이 용이한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표면 거칠기를 가져 세정 과정에서 관상 의료기기 내부의 사각지대 없이 인체에 자극적인 잔류물질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대량 생산이 용이해 전체 비용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고 사용의 편이성을 증대시킨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세정볼은, 표면 거칠기를 가지는 섬유 직물 재질로 제조되며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구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세정볼은, 관상 의료기기 내부로 세정액과 함께 주입되어 관상 의료기기 내주면에 부착된 잔류물질을 긁어 제거하면서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세정볼은, 동일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반구 형상의 상부캡과 하부캡이 압착가공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압착된 접합부위를 따라 돌출된 플랜지부를 더 형성한다.
한편, 세정볼은, 중공 내부로 침입한 세정액에 의해 팽창된다.
이때, 상부캡과 하부캡은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표면 거칠기를 가진다.
한편, 필요에 따라 세정볼의 중공에는 볼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중합체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중합체는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 아크릴산 나트륨 또는 폴리 아크릴산 에스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세정볼의 제조방법은 베이스 제조단계와 상·하부 정렬단계 그리고 성형 및 절단 단계로 구성된다.
먼저, 베이스 제조단계는, 대응되어 서로 끼워질 수 있도록 홈부와 돌부를 각각 형성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에 표면 거칠기와 면적을 가지는 직물을 위치시키는 과정과, 위치된 직물을 프레스 가공하여 일면에 다수개의 반구를 형성한 상부캡 베이스와 하부캡 베이스로 제조하는 과정을 가진다.
그리고, 상·하부 정렬단계는, 베이스 제조단계를 통해 제조된 상부캡 베이스와 하부캡 베이스를 중심에 중공이 생기도록 반구를 서로 대응되게 위치 정렬하는 과정을 가진다.
이어서, 성형 및 절단 단계는, 상·하부 정렬단계를 통해 정렬된 상부캡 베이스와 하부캡 베이스를 프레스를 이용해 압착하면서 절단하여 중심에 중공을 가지는 구 형상의 세정볼로 제조하는 과정을 가진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성형 및 절단 단계는, 상부캡 베이스와 하부캡 베이스를 접합하기 위한 초음파 접합과정 또는 접착제 접합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람직하게, 상부캡 베이스의 반구 형상이 이루는 상부캡과, 하부캡 베이스의 반구 형상이 이루는 하부캡은 접합 부위가 압착됨에 따라 돌출되게 플랜지부를 더 형성한다.
필요에 따라, 상부캡과 하부캡은 서로 다른 표면 거칠기를 가진다.
한편, 필요에 따라 상.하부 정렬 단계는, 중공에 볼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중합체를 더 포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 중합체는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 아크릴산 나트륨 또는 폴리 아크릴산 에스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 및 이의 제조방법은, 표면 거칠기를 가지는 직물을 볼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하여 대량 생산이 용이하며 제작 및 사용시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사용 편이성을 증대시킨 효과를 가진다.
또한, 세정볼은 섬유 직물 재질로 표면 거칠기를 가져 세정 과정에서 관상 의료기기의 손상과 내부의 사각지대 없이 인체에 자극적인 잔류물질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더불어, 세정볼이 중공을 가짐에 따라 침투된 세정액에 의해 팽창하며 이로 인해 세정볼의 표면적이 넓어지고 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에도 세정볼이 원형을 유지할 수 있어 잔류물질을 제거하는 전체 세정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세정볼의 중공에 포함된 중합체는 세정볼이 더욱어 외부 압력에도 원형을 유지할 수 있어 세정효율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관상 의료기기의 세정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b)는 종래 기술에 적용된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과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 및 이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시에서 관상 의료기기(10)는 주입구(A)측과 배출구(B)측이 서로 다른 입구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이를 위한 일 예일 뿐, 관상 의료기기(10) 자체의 형상에 따라 주입구(A)측과 배출구(B)측은 동일 위치에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을 설명함에 있어 설명된 요소와 동일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도록 기재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100)은, 표면 거칠기를 가지는 섬유 직물 재질로 제조되며 내부에 중공(101)을 가지는 구 형상을 가진다.
이와 같은 세정볼(100)은, 관상 의료기기(10) 내부로 세정액(11)과 함께 주입되어 관상 의료기기(10) 내주면에 부착된 잔류물질(13)을 긁어 제거하면서 외부로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정볼(100)은, 표면 거칠기를 가지는 재질로 제작되는데 바람직하게 섬유 직물 재질이 이용되며, 동일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반구 형상의 상부캡(110)과 하부캡(120)이 압착 프레스 가공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중공(101)을 가지는 구 형상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캡(110)과 하부캡(120)의 압착 부위는 돌출된 플랜지부(130)를 형성하며, 상기 플랜지부(130)는 관상 의료기기(10)의 내벽을 좀 더 용이하게 긁어 잔류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3의 (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로, 상기 세정볼(100)은 세정액과 함께 관상 의료기기(10) 내부로 주입되는데, 재질적 특성에 따라 세정액(11)이 중공(101) 내부로 주입되고 이에 의해 세정볼(100)은 팽창되어 표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관상 의료기기의 내벽을 긁을 수 있어 세정 효율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팽창된 세정볼(100)은 외부 압력에 대항하는 내부 압력을 가져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도 세정볼(100)의 원형을 유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관상 의료기기(10)의 잔류물질을 긁어 제거하는 효율을 높인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캡(110)과 하부캡(120)은 동일 표면 거칠기를 가지나, 필요에 따라 거칠기가 서로 다른 재질을 이용함으로 서로 다른 표면 거칠기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와 하부의 반구가 서로 다른 표면 거칠기를 가짐으로 세정볼(100)을 이용한 관상 의료기기(10)의 세정효율은 더욱 증대된다.
한편, 도 3의 (b)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로, 상기 세정볼(100)는 관상 의료기기(10)에 주입되어 내부 세정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외부 압력에도 더욱더 원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중공(101)에 탄성을 가지는 중합체(101a)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중합체(101a)는 중공(101)에 충진되어 있으며 단일 중합체 또는 다수의 중합체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101a)는 중합체 자체로서 탄성을 가져 그 형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중공(101)으로 세정액(11)이 침투됨에 따라 이를 흡수하여 팽창하거나 겔화되어 세정볼(100)이 볼 형상의 형상을 외부의 압력에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이와 같은 세정볼(100)의 형상 유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관상 의료기기(1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도 형상을 유지함이 용이하여 관상 의료기기(10)의 잔류물질을 충분히 긁어 제거함으로 세정효율을 극대화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합체(101a)는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 아크릴산 나트륨 또는 폴리 아크릴산 에스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과 흐름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의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100)은, 섬유 직물 재질로 제조되며 상부캡(110)과 하부캡(120)을 서로 밀착시키고 프레스 가공하여 일체형으로 제작함으로 전체가 구 형상을 가지도록 성형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세정볼(100)은 크게 베이스 제조단계(S1)과, 상·하부 정렬단계(S2) 그리고, 성형 및 절단 단계(S3)를 거쳐 완제품으로 제조된다.
먼저, 상기 베이스 제조단계(S1)는, 세정볼(100)을 구성하는 상부캡(110)과 하부캡(120)의 반구 형태를 만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캡 형상의 상부캡(110)과 하부캡(120)을 다수개 형성한 상부캡 베이스(150)와 하부캡 베이스(160)를 제조한다.
이를 위해, 대응되어 서로 끼워질 수 있도록 홈부(201)와 돌부(202)를 각각 형성한 상부금형(200a)과 하부금형(200b) 사이에 표면 거칠기와 면적을 가지는 섬유 직물(140)을 위치시키는 과정과, 위치된 상기 직물(140)을 프레스 가공하여 일면에 다수개의 반구를 형성한 상부캡 베이스(150)와 하부캡 베이스(160)로 제조하는 과정을 가진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편평한 형상의 직물(140)은 돌출된 엠보싱 면을 가지는 상부캡 베이스(150)와 하부캡 베이스(160)로 재탄생 된다.
이때, 상기 상부캡 베이스(150)와 하부캡 베이스(160)는 동일 금형상에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별도의 금형상에서 제조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직물(140)은 상부금형(200a)과 하부금형(200b)의 금형 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는 크기와 면적을 가지며, 금형에 형성된 홈부(201)와 돌부(202)의 개수만큼 반구 형상, 즉 엠보싱을 가지게 된다.
상기 상부금형(200a)과 하부금형(200b)은 전체 금형면을 따라 다수개의 홈부(201)만을 가지거나 또는 다수개의 돌부(202)만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상·하부 정렬단계(S2)는 베이스 제조단계(S1)를 통해 제조된 상부캡 베이스(150)와 하부캡 베이스(160)를 중심에 중공(101)이 생기도록 반구를 서로 대응되게 위치 정렬하는 과정을 가진다.
이를 통해, 상부캡 베이스(150)와 하부캡 베이스(160)는 서로 마주보면서 중공(101)을 가지는 세정볼(100)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5와 도 6의 (a)를 참조하면, 이때 상기 세정볼(100)은 형성되는 중공(101)이 빈 공간을 가지도록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도 6의 (b)를 참조하면, 상.하부 정렬 단계(S2)는, 상기 중공(101)에 볼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중합체를 더 포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중합체(101a)는 중공(101)에 충진되어 있으며 단일 중합체 또는 다수의 중합체로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중합체(101a)는 중합체 자체로서 탄성을 가져 그 형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중공(101)으로 세정액(11)이 침투됨에 따라 이를 흡수하여 팽창하거나 겔화되어 세정볼(100)이 볼 형상의 형상을 외부의 압력에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중합체(101a)에 의한 세정볼(100)의 형상 유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관상 의료기기(1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관상 의료기기(10)의 잔류물질을 충분히 긁어 제거함으로 세정효율을 극대화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중합체(101a)는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 아크릴산 나트륨 또는 폴리 아크릴산 에스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성형 및 절단 단계(S3)는, 상·하부 정렬단계(S2)를 통해 정렬된 상부캡 베이스(150)와 하부캡 베이스(160)를 프레스(300)를 이용해 압착하면서 절단하여 중심에 중공(101)을 가지는 구 형상의 세정볼(100)로 제조하는 과정을 가진다.
프레스 가압시 발생되는 압력과 열에 의해 상부캡 베이스(150)와 하부캡 베이스(160)를 이루는 직물(140)이 서로 접합되게 되며, 각각의 반구와 마주보는 반구는 중심에 중공(101)을 형성하며 단일 세정볼(100)로 제조된다.
그리고, 상기 면적을 가지는 직물(140)의 크기와 반구의 개수에 따라 세정볼(100)은 동시에 다수개가 성형 제조된다.
한편, 필요에 따라 성형 및 절단 단계(S3)는, 절단 이전 상기 상부캡 베이스(150)와 하부캡 베이스(160)의 접합을 위해 별도의 초음파 접합과정과 접면 부위에 접착제를 이용한 접합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신체 내에 수술 도구를 삽입하고 수술을 행하게 되는 관상의 의료기기(10)는 사용에 따라 세정 및 소독을 필요로 하게 되며 내부에 잔류물질(13)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관상의 의료기기(10)를 세정하기 위하여 초음파 세정이나 세정통 안에 관상의 의료기기(10)를 담가 놓고 세정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관상 의료기기(10)의 내부를 완전히 세정하고 소독하기 위하여 별도의 세정액(11)을 상기 관상 의료기기(10)로 주입구(A)를 통해 주입하고 재차 배출구(B)를 통해 배출하면서 세정 과정을 가진다.
이때, 상기 세정액(11)은 식염수나 물 또는 소독을 위한 약제를 포함한 물이 이용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주입구(A)로 주입되는 세정액(11)과 함께 필요에 따라 다량의 세정볼(100)을 포함하여 주입시킨다.
상기 세정볼(100)은 미리 세정액(11) 내부에 포함된 상태로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세정액(11)과 별도로 주입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세정볼(100)은 바람직하게 섬유 직물(140)로 제조된 것으로 표면 거칠기를 가지며 세정액(11)이 중공(101) 내부로 침투함으로 팽창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부캡(110)과 하부캡(120)의 접합 부위에는 프레스 가공됨에 따라 돌출된 플랜지부(130)를 포함하여, 세정볼(100) 표면의 거친면과 플랜지부(130)는 관상 의료기기(10)에 주입되어 주입구(A)에서 배출구(B)로 이동하면서 내벽에 부착되거나 잔류하고 있던 잔류물질(13)들을 긁어 제거하면서 배출된다.
이때, 중공(101) 내부로 침투된 세정액(11)에 의해 세정볼(100)은 외부 압력에도 원형을 유지하려는 힘을 가지게 되고, 관상 의료기기(10) 내부를 이동하면서 보다 용이하게 잔류물질(13)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세정액(11)은 관상 의료기기(10) 내부로 주입되면서 관상 의료기기(10)의 형태 또는 주입 압력에 따라 와류를 형성하며 이때 세정볼(100)은 관상 의료기기(10) 내벽에 부딪히면서 세정 작업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세정볼(100)은 관상 의료기기(10)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수 mm 에서 수 ㎝ 크기를 가지는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세정 방법에 따라 관상 의료기기(10)의 내부를 전부 채울 수 있는 양이 주입되기도 한다.
이때, 상기 세정볼(100)은 세정액(11)이 중공(101)에 침투됨에 따라 팽창되어 표면적이 넓어진 상태이며 관상 의료기기(10)의 내부를 밀접하게 채우면서 위치된다.
그리고, 주입되는 세정액(11)의 압력에 의해 팽창된 세정볼(100)은 관상 의료기기(1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보다 완전하게 상기 관상 의료기기(10)의 내벽을 세정 및 소독하게 된다.
다시 말해, 주입되는 세정볼(100)은 관상 의료기기(10)의 형태에 따라 주입되는 개수가 선택될 수 있으며, 세정액(11)과 함께 주입되거나 별도 주입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100)은 관상 의료기기 내부의 사각지대 없이 인체에 자극적인 잔류물질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0 : 관상 의료기기
11 : 세정액
13 : 잔류물질
100 : 세정볼
101 : 중공
110 : 상부캡
120 : 하부캡
130 : 플랜지부
140 : 직물
150 : 상부캡 베이스
160 : 하부캡 베이스

Claims (11)

  1. 표면 거칠기를 가지는 섬유 직물 재질로 내부에 중공(101)을 가지는 구 형상을 이루도록, 동일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반구 형상의 상부캡(110)과 하부캡(120)이 압착가공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압착된 접합부위를 따라 돌출된 플랜지부(130)를 형성하며;
    상기 중공(101)은, 내부에 볼 형상을 유지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중합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관상 의료기기(10) 내부에 세정액(11)과 함께 주입되어 상기 관상 의료기기(10) 내주면에 부착된 잔류물질(13)을 긁어 제거하면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110)과 하부캡(120)은 서로 다른 표면 거칠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는,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 아크릴산 나트륨 또는 폴리 아크릴산 에스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
  6. 표면 거칠기를 가지는 섬유 직물 재질로 내부에 중공(101)을 가지는 구 형상을 가지며, 관상 의료기기(10) 내부에 세정액(11)과 함께 주입되어 상기 관상 의료기기(10) 내주면에 부착된 잔류물질(13)을 긁어 제거하면서 외부로 배출되는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대응되어 서로 끼워질 수 있도록 홈부(201)와 돌부(202)를 각각 형성한 상부금형(200a)과 하부금형(200b) 사이에 표면 거칠기와 면적을 가지는 직물(140)을 위치시키는 과정과, 위치된 상기 직물(140)을 프레스 가공하여 일면에 다수개의 반구를 형성한 상부캡 베이스(150)와 하부캡 베이스(160)로 제조하는 과정을 가지는 캡 형상의 베이스 제조단계(S1)와;
    상기 베이스 제조단계(S1)를 통해 제조된 상부캡 베이스(150)와 하부캡 베이스(160)를 중심에 중공(101)이 생기도록 반구를 서로 대응되게 위치 정렬하는 과정을 가지는 상·하부 정렬단계(S2)와;
    상기 상·하부 정렬단계(S2)를 통해 정렬된 상부캡 베이스(150)와 하부캡 베이스(160)를 프레스(300)를 이용해 압착하면서 절단하여 중심에 중공(101)을 가지는 구 형상의 세정볼(100)로 제조하는 과정을 가지는 성형 및 절단 단계(S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하부 정렬 단계(S2)는, 상기 중공(101)에 볼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지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및 절단 단계(S3)는, 압착하여 절단하기 전 상부캡 베이스(150)와 하부캡 베이스(160)를 접합하기 위한 초음파 접합과정 또는 접착제 접합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의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 베이스(150)의 반구 형상이 이루는 상부캡(110)과, 상기 하부캡 베이스의 반구 형상이 이루는 하부캡(120)은 접합 부위가 압착됨에 따라 돌출되게 플랜지부(130)를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캡(110)과 하부캡(120)은 서로 다른 표면 거칠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는, 엘라스토머 또는 폴리 아크릴산 나트륨 또는 폴리 아크릴산 에스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의 제조방법.
KR1020170031584A 2017-03-14 2017-03-14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6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584A KR101796892B1 (ko) 2017-03-14 2017-03-14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8562369A JP7152018B2 (ja) 2017-03-14 2018-03-12 管状医療機器用洗浄ボ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201880002146.6A CN109195504A (zh) 2017-03-14 2018-03-12 管状医疗器清洁球及其制造方法
US16/304,111 US20200323425A1 (en) 2017-03-14 2018-03-12 Tubular medical device cleaning ba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EP18768518.5A EP3510916B1 (en) 2017-03-14 2018-03-12 Tubular medical device cleaning ba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PCT/KR2018/002893 WO2018169268A1 (ko) 2017-03-14 2018-03-12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584A KR101796892B1 (ko) 2017-03-14 2017-03-14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892B1 true KR101796892B1 (ko) 2017-11-13

Family

ID=60386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584A KR101796892B1 (ko) 2017-03-14 2017-03-14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8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911B1 (ko) 2022-03-10 2022-07-06 (주)에이치피앤씨 바이오 필름 제거효과가 우수한 의료기기용 세정제 조성물
KR20230143870A (ko) 2022-04-06 2023-10-13 최지희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202B1 (ko) * 2005-03-03 2008-04-18 서유진 연습용 모형 골프공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202B1 (ko) * 2005-03-03 2008-04-18 서유진 연습용 모형 골프공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911B1 (ko) 2022-03-10 2022-07-06 (주)에이치피앤씨 바이오 필름 제거효과가 우수한 의료기기용 세정제 조성물
KR20230143870A (ko) 2022-04-06 2023-10-13 최지희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00487A1 (en) Cannula cleaning device
US11298434B2 (en) Ultrasonic medical probe with failsafe for sterility and associated method
US20040187892A1 (en) Scrubbing element with leader
US11779200B2 (en) Variable pressure cleaning device and method
KR101796892B1 (ko)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 및 이의 제조방법
JP7152018B2 (ja) 管状医療機器用洗浄ボ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9907460B2 (en) Endoscope cleaning brush apparatus
US1192086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rying and/or cleaning endoscopic devices
KR102112671B1 (ko)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 및 이의 제조방법
CN207871178U (zh) 一种医用探头消毒支架
KR101918020B1 (ko) 내시경 커버 장착장치
KR20230143870A (ko) 관상 의료기기용 세정볼 및 이의 제조방법
JPH0681501U (ja) 硬性内視鏡の洗浄具
CN108743996A (zh) 一种易污染医用器械接头消毒用装置及方法
CN218105856U (zh) 一种便于清洗的腔镜手术器械内芯
CN213030607U (zh) 一种胃镜室护理肠窥镜护理装置
JP6720016B2 (ja) 内視鏡システム用のシース装置
WO202321989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rying and/or cleaning devices
CN118059376A (zh) 一种脐部清洁消毒器
WO2008122807A2 (en) Device, kit and method for cleaning an endoscopy port
JP2010005030A (ja) 医療器具先端部洗浄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