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547B1 - 편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편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547B1
KR101796547B1 KR1020160011824A KR20160011824A KR101796547B1 KR 101796547 B1 KR101796547 B1 KR 101796547B1 KR 1020160011824 A KR1020160011824 A KR 1020160011824A KR 20160011824 A KR20160011824 A KR 20160011824A KR 101796547 B1 KR101796547 B1 KR 101796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tract
water
cosmetic composition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0883A (ko
Inventor
이병환
정해랑
문진영
박승애
박미선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11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547B1/ko
Publication of KR20170090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0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여드름 개선에 현저한 효과를 주고, 화학 성분으로 인한 피부자극, 알레르기 유발 및 내분비계 교란등의 화학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편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SMETICS COMPOSTION COMPRISING CYPRESS EXTRACT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현대인들의 삶의 질은 향상되었지만, 환경오염, 식습관의 변화, 음주, 스트레스 및 미세먼지 등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과 유전적인 요인으로 인한 피부질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피부질환 중에서도 여드름 질환은 성인이 되고나서도 지속적으로 발병하기 때문에 더욱 심각한 상황에 있다.
이에 따라 피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여드름 치료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 및 천연 화장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및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기능성 화장품은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내기 위하여 알코올이나 글리콜류 및 파라핀 등의 화학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민감한 피부 및 외상 피부질환을 가진 사람이 사용할 경우에는 오히려 피부에 염증이 발생하고 트러블에 의한 부작용으로 오히려 피부가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중에 판매하는 천연화장품은 화장품 조성물에 소량의 천연물질을 첨가하여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에 대한 효능이 미흡하고, 일반 화장품에 비해 고가라는 문제점등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4-0008234호에는 피부미백용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008234호
본 발명은 편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여드름 개선에 현저한 효과를 주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학 성분으로 인한 피부자극, 알레르기 유발 및 내분비계 교란등의 화학 부작용을 방지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편백나무 추출물 5 내지 30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0.5 내지 5중량%, 어성초 추출물 1 내지 15중량%, 병풀 추출물 1 내지 15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2. 위 1에 있어서, 편백나무 추출물은 편백워터인, 화장품 조성물.
3. 위 1에 있어서, 편백오일 0.1 내지 2중량%, 동백오일 5 내지 20중량%, 녹차씨오일 5 내지 20중량% 및 에델바이스 추출물 1 내지 15중량%을 더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4. 위 1에 있어서, 상기 편백나무 추출물은
편백나무 잎에 수증기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편백나무 잎을 통과한 증기를 포집하고,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냉각된 증기로부터 수층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으로 얻어지는 것인, 화장품 조성물.
5. 위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로션, 스킨, 미스트, 수분크림, 영양크림, 립밤, 에센스, 팩, 클렌징 폼 및 샴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화장품 조성물.
6. 편백나무 추출물 5 내지 30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0.5 내지 5중량%, 어성초 추출물 1 내지 15중량%, 병풀 추출물 1 내지 15중량% 및 잔량의 물을 혼합해서 제조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수상혼합물과 유상혼합물의 합계 총 중량을 기준으로, 편백나무 추출물 5 내지 30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0.5 내지 5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수상혼합물과 편백오일 0.1 내지 2중량%, 동백오일 5 내지 20중량% 및 녹차씨오일 5 내지 20중량%을 포함하는 유상혼합물을 각각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한 유상혼합물과 수상혼합물을 혼합하고 상온까지 냉각하는 단계;
혼합된 유상혼합물과 수상혼합물에 어성초 추출물 1 내지 15중량%, 병풀 추출물 1 내지 15중량%, 및 에델바이스 추출물 1 내지 15중량%을 더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화장품 조성물은, 여드름 개선에 현저한 효과를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화장품 조성물은, 화학 성분으로 인한 피부자극, 알레르기 유발 및 내분비계 교란등의 화학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조된 화장품 조성물을 (a)사용 전 과 (b)사용 후 6일차의 피부 변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조된 화장품 조성물을 (a)사용 전 과 (b)사용 후 8일차의 피부 변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조된 화장품 조성물을 (a)사용 전 과 (b)사용 후 10일차의 피부 변화 사진이다.
본 발명은 편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여드름 개선에 현저한 효과를 주고, 화학 성분으로 인한 피부자극, 알레르기 유발 및 내분비계 교란등의 화학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편백나무 추출물 5 내지 30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0.5 내지 5중량%, 어성초 추출물 1 내지 15중량%, 병풀 추출물 1 내지 15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편백워터일 수 있다. 편백워터란 보다 상세하게는 편백나무 잎에서 수증기로 추출한 추출액 중 수(水)층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편백나무는 항균작용, 살균작용, 스트레스 완화, 피부질환 개선, 유해 물질 분해 작용 및 각종 냄새 제거를 하는 효능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편백나무 추출물의 성분 중 피톤치드는 피부감염 모낭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어 항균작용에 효과적이고, 피톤치드의 주성분인 테르펜(terpene)은 탈취효과, 심신을 맑게하고 마음을 안정시키는 진정효과 및 살균작용 등의 효과가 있어,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의 조성물은 여드름 개선에 현저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편백나무 추출물은 편백오일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편백나무 추출물은 수증기증류법을 통해 추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 편백나무 추출물을 제조하는 일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편백나무 잎에 수증기를 공급한다.
편백나무 잎은 자연 건조 시킨 후 잎을 파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수증기의 공급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5℃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가 20℃이하이면, 수증기 공급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고, 온도가 55℃초과하면 편백나무 잎 고유의 성분이 파괴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편백나무 잎을 통과한 증기를 포집하고 냉각한다.
편백나무 잎을 통과한 증기는 포집되어 냉각관으로 이동하여 액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냉각된 증기로부터 수층을 분리한다.
냉각관에서 액화된 편백나무 추출물은 상층에 오일과 하층에 수층(증류액)으로 층분리가 되고, 상기 수층의 증류액만을 추출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 추출물로 사용할 수 있다.
나이아신아마이드는 피부를 맑고 깨끗하게 가꾸는데 도움이 되는 미백 기능성 원료로서, 피부를 보호하고 구성성분이 산화를 막아 피부 건강 유지에 도움을 주고,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고 에너지 수준을 증대시켜 신진대사에 도움을 주며 피부의 세라마이드와 지방산 레베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어성초 추출물은 퀘르시트린(quercitrin)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피부를 맑게 해주고, 피부속의 독을 없애주어 트러블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뛰어나며, 검버섯, 기미 및 주근깨 등의 피부질환, 피부노화방지, 주름살제거, 피부재생 및 탄력에 도움을 준다.
병풀 추출물은 생약성분인 센텔라아시아틱산이 함유되어 있어 상처치유에 효과가 있고, 각종 트러블 치료, 모공 흔적 치유, 콜라겐 합성 촉진으로 모공탄력 증가 및 모공 축소에 효과가 있다.
상기 추출방법은 당 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용매 추출법, 열수 추출법 및 초임계 유체 추출법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들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보습효과, 여드름 개선 및 주름완화 등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전술한 함량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피부개선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화장품 조성물은 편백오일 0.1 내지 2중량%, 동백오일 5 내지 20중량%, 녹차씨오일 5 내지 20중량% 및 에델바이스 추출물 1 내지 15중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편백오일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이 수증기증류법을 통해 얻어진 오일로써, 살균, 항균, 정화, 방충작용, 집 먼지진드기 및 세균등을 퇴치하여 면역력을 증강시켜 주고, 특히 세균에 강력하게 작용해 피부트러블을 완화시켜준다.
동백오일은 동백의 종자에서 추출하여 보습효과가 매우 뛰어나며, 피부노화방지, 피부 보호, 건성피부 완화 및 두피케어에 효과가 있다.
녹차씨오일은 녹차 종자에서 추출하여 피부보습, 피지조절, 피부진정 및 색소침착 억제에 효과가 있다. 녹차씨오일의 비타민 A와 타닌(tannin)은 피부세포나 점막세포를 건강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작용을 하여 뛰어난 피부미용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비타민 A와 B가 다량 함유되어 여드름을 가라앉히고 피부를 진정시키는 효과가 뛰어나며, 비타민 C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멜라닌 색소의 침착을 억제하고 기미나 주근깨의 색소 침착을 막아 피부 미백작용을 한다.
에델바이스 추출물은 피부의 흔적을 지우는데 효과가 있고, 피부 트러블을 완화시켜주는 작용을 한다.
상기 편백오일, 동백오일, 녹차씨오일 및 에델바이스 추출물이 상기 함량 범위 내에서 화장품 조성물에 더 포함될 경우, 피부개선에 더 극대화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편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편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는 편백나무 추출물 5 내지 30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0.5 내지 5중량%, 어성초 추출물 1 내지 15중량%, 병풀 추출물 1 내지 15중량% 및 잔량의 물을 혼합해서 제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품 조성물은 예를 들면 스킨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편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다른 일 실시예로서, 수상혼합물과 유상혼합물의 합계 총 중량을 기준으로, 편백나무 추출물 5 내지 30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0.5 내지 5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수상혼합물과 편백오일 0.1 내지 2중량%, 동백오일 5 내지 20중량% 및 녹차씨오일 5 내지 20중량%을 포함하는 유상혼합물을 각각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한 유상혼합물과 수상혼합물을 혼합하고 상온까지 냉각하는 단계; 혼합된 유상혼합물과 수상혼합물에 어성초 추출물 1 내지 15중량%, 병풀 추출물 1 내지 15중량%, 및 에델바이스 추출물 1 내지 15중량%을 더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수상혼합물과 유상혼합물의 합계 총 중량을 기준으로, 편백나무 추출물 5 내지 30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0.5 내지 5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수상혼합물과 편백오일 0.1 내지 2중량%, 동백오일 5 내지 20중량% 및 녹차씨오일 5 내지 20중량%을 포함하는 유상혼합물을 각각 가열한다.
상기 수상혼합물은 편백나무 추출물에 물을 첨가하여 혼합 후, 분말 첨가물인 나이아신아마이드를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상혼합물은 편백오일, 동백오일 및 녹차씨오일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 유상혼합물에 천연 유화제인 올리브유화왁스를 더 첨가함으로써 퍼짐성과 침투성이 용이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올리브유화왁스는 화장품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10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수상혼합물과 유상혼합물을 각각 60 내지 78℃의 온도가 되도록 가열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78℃, 보다 바람직하게는 73 내지 78℃ 일 수 있다.
가열 온도가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수상혼합물과 유상혼합물이 가장 용이하게 혼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열한 유상혼합물과 수상혼합물을 혼합하고 상온(20 내지 30℃)까지 냉각한다.
상기 유상혼합물과 상기 수상혼합물의 혼합은 천천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혼합과 동시에 교반을 수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교반을 통해 혼합물의 유화가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혼합된 유상혼합물과 수상혼합물에 어성초 추출물 1 내지 15중량%, 병풀 추출물 1 내지 15중량%, 및 에델바이스 추출물 1 내지 15중량%을 더 첨가한다.
상기 유화된 혼합물에 어성초 추출물, 병풀 추출물 및 에델바이스 추출물을 첨가하여 혼합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단계에서 필요에 따라 보존제와 같은 당분야에 공지된 첨가제를 더 첨가할 수도 있다. 첨가제는 천연 첨가제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조성물은 피부트러블을 일으킬 수 있는 모든 화학성분을 배제하고, 천연 성분만을 사용하여 피부자극, 알레르기 유발 및 내분비계 교란등의 화학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편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한 화장품 조성물은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로션, 스킨, 미스트, 수분크림, 영양크림, 립밤, 에센스, 팩, 클렌징 폼 및 샴푸 등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제조예 1: 편백나무 추출물 제조
편백 나무 잎을 파쇄한 후, 추출용기에 넣어 40℃에서 수증기를 10시간동안 공급하였다. 이후, 편백나무 잎을 통과한 증기를 포집하고 냉각관을 통해 상온에서 냉각하여 액화시켰다. 다음으로, 증기가 액화된 용액을 수층만 따로 분리하여 편백나무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
제조예 1의 편백나무 추출물 10g, 정제수 30g, 나이아신아마이드 1g, 어성초 추출물 5g, 병풀 추출물 1g 및 천연 보존제(에코프리) 1g을 첨가하고 10분동안 교반하여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제조예 1의 편백나무 추출물 10g, 정제수 22g 및 나이아신아마이드 1g을 첨가하여 10분동안 교반하여 수상혼합물을 제조하였고, 올리브유화왁스 3g, 편백오일 0.6g, 동백오일 6g 및 녹차씨오일 6g을 첨가하여 10동안 교반하여 유상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후, 각각의 수상혼합물과 유상혼합물이 70℃가 되도록 가열하고, 수상혼합물에 유상혼합물을 부어가면서 교반하여 5분 동안 유화시켰다.
이후, 유화된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어성초 추출물 2g, 병풀 추출물 2g, 에델바이스 추출물 2g 및 천연 보존제(에코프리) 1g을 첨가하여 10분동안 혼합시켜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편백나무 추출물 60g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여드름 개선 평가
편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평가를 위해, 실시예 1과 실시예 2를 만성 여드름 증상이 있는 10대 여성 1명, 10대 남성 1명 및 20대 여성 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평가 방법은 실시예 1과 실시예 2에 따른 편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10일 동안 사용하고, 사용 전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중 20대 실험자의 피부 변화 결과를 부위별로 도 1 내지 3에 나타내었다.
도 1 내지 3을 참고하면, 편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사용한 전보다 사용한 후 여드름이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관능 평가
편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의 평가를 위해, 성인 여성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 내지 2와 비교예 1을 사용하도록 하고, 관능 평가를 설문 조사를 통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화장품의 향 유분감
아주
좋음
좋음 보통
(모름)
나쁨 아주
나쁨
아주
좋음
좋음 보통
(모름)
나쁨 아주
나쁨
실시예 1 24 62 4 7 3 19 67 2 12 0
실시예 2 30 55 8 4 3 21 57 17 3 2
비교예 1 8 13 24 40 15 3 20 35 27 15
표 1을 참고하면, 실시예들은 사용 후 향과 유분감이 좋다는 의견이 높게 나타났지만, 비교예들은 향과 유분감이 좋다는 의견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8)

  1. 편백나무 추출물 5 내지 30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0.5 내지 5중량%, 어성초 추출물 1 내지 15중량%, 병풀 추출물 1 내지 15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편백나무 추출물은 편백워터인, 여드름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편백오일 0.1 내지 2중량%, 동백오일 5 내지 20중량%, 녹차씨오일 5 내지 20중량% 및 에델바이스 추출물 1 내지 15중량%을 더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4. 삭제
  5.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 조성물은 로션, 스킨, 미스트, 수분크림, 영양크림, 립밤, 에센스, 팩, 클렌징 폼 및 샴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여드름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6. 삭제
  7. 수상혼합물과 유상혼합물의 합계 총 중량을 기준으로, 편백나무 추출물 5 내지 30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0.5 내지 5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수상혼합물과 편백오일 0.1 내지 2중량%, 동백오일 5 내지 20중량% 및 녹차씨오일 5 내지 20중량%을 포함하는 유상혼합물을 각각 가열하는 단계;
    상기 가열한 유상혼합물과 수상혼합물을 혼합하고 상온까지 냉각하는 단계;
    혼합된 유상혼합물과 수상혼합물에 어성초 추출물 1 내지 15중량%, 병풀 추출물 1 내지 15중량%, 및 에델바이스 추출물 1 내지 15중량%을 더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편백나무 추출물은
    편백나무 잎에 수증기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편백나무 잎을 통과한 증기를 포집하고, 냉각하는 단계; 및
    상기 냉각된 증기로부터 수층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으로 얻어지는 것인, 여드름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60011824A 2016-01-29 2016-01-29 편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96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824A KR101796547B1 (ko) 2016-01-29 2016-01-29 편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1824A KR101796547B1 (ko) 2016-01-29 2016-01-29 편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883A KR20170090883A (ko) 2017-08-08
KR101796547B1 true KR101796547B1 (ko) 2017-12-01

Family

ID=59653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824A KR101796547B1 (ko) 2016-01-29 2016-01-29 편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5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4465A (ko) 2020-12-14 2022-06-21 주식회사 유니온키드 편백나무 수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1723B1 (ko) * 2017-12-07 2019-10-14 김영미 흑초 및 나이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53095B1 (ko) 2020-11-06 2021-05-17 주식회사 허브테라피 여드름 피부 개선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 기능성 화장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4465A (ko) 2020-12-14 2022-06-21 주식회사 유니온키드 편백나무 수피 추출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0883A (ko) 2017-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33591B2 (en) Antibacterial essential oil
KR101516002B1 (ko) 아토피증상 완화 및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40248370A1 (en) Enhancement Composition
KR101796547B1 (ko) 편백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13600A (ko) 탈모 및 두피 관리용 조성물
CN105687035B (zh) 一种具有抗氧化、延缓肌肤衰老作用的复合银杏精油
KR102020667B1 (ko) 두피염증 예방 및 완화, 및 탈모방지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21183B1 (ko) 한방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CN106333909B (zh) 一种淡化面部红血丝修复肌肤的乳液及其制备方法
KR20190045548A (ko) 과일 추출물을 포함하는 반려동물용 보습제 화장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품
KR100962344B1 (ko) 블랙헤드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JP2016027023A (ja) 皮膚外用剤又は化粧料
KR101773115B1 (ko) 탈염 용암해수 및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2872240A (zh) 放松活络复方精油
KR101894747B1 (ko) 공진단 성분 추출물과 연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65204B1 (ko) 졸음운전 방지용 조성물
KR101236348B1 (ko) 팩조성물
KR101068320B1 (ko)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조성물
KR20150141078A (ko) 노인 악취 제거 조성물
KR101159265B1 (ko) 제주 천연 감귤향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CN104224604A (zh) 一种植物美白去斑修复霜
CN106974860A (zh) 一种含有树莓的护肤组合物及乳液
KR101537293B1 (ko) 포제 처리된 감국 또는 진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0030B1 (ko) 에센스 오일 화장료 제조방법
KR101188662B1 (ko)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