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362B1 - 증상 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증상 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362B1
KR101796362B1 KR1020150168925A KR20150168925A KR101796362B1 KR 101796362 B1 KR101796362 B1 KR 101796362B1 KR 1020150168925 A KR1020150168925 A KR 1020150168925A KR 20150168925 A KR20150168925 A KR 20150168925A KR 101796362 B1 KR101796362 B1 KR 101796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ntology
user
symptom
natural language
dis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3021A (ko
Inventor
장현철
김상현
이승호
서진순
김상균
이명구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68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362B1/ko
Publication of KR20170063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0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9/363
    • G06F17/30663
    • G06F17/30684
    • G06F17/30734
    • G06F19/3443
    • G06Q50/24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입력 정보에서 증상에 관한 자연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자연어에 연관되는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적합한 질병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증상 입력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증상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제1 증상에 연관되는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적어도 하나의 증상 각각에 연관되는 온톨로지 및 질병 데이터를 서로 매칭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입력 정보로부터 상기 제1 증상에 연관되는 자연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자연어를 포함하는 제1 온톨로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온톨로지에 매칭되는 제1 질병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증상 입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SYMPTOMS}
증상 입력 장치 및 방법에 연관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자연어 형태를 이용하는 증상 입력 장치 및 방법에 연관된다.
웰빙(well-being)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진료나 건강 관리를 위한 사용자의 증상 정보를 처리하는 일의 중요성 또한 증가하고 있다. 다만, 의료계에 종사하지 않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진료와 관리가 필요한 시점에서 자신의 증상과 증상의 변화를 전문 용어를 이용하여 정확하게 기억하고 설명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종래에는 사용자의 증상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의 판단에 따른 증상의 직접 입력 방법, 인체 부위 별로 출력된 증상을 선택하는 방법, 질환에 따라 출력된 증상을 선택하는 방법, 인체 기능 별로 출력된 증상을 선택하는 방법 등이 이용되었다. 다만, 종래의 방법들은 사용자의 오판이 있는 경우에는 정확한 진단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더하여 일반 사용자 입장에서는 증상 분류체계를 정확히 이해하고 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개선해야 할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일측에 따르면, 입력 정보에서 증상에 관한 자연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자연어에 연관되는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적합한 질병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증상 입력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증상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제1 증상에 연관되는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적어도 하나의 증상 각각에 연관되는 온톨로지 및 질병 데이터를 서로 매칭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입력 정보로부터 상기 제1 증상에 연관되는 자연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자연어를 포함하는 제1 온톨로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온톨로지에 매칭되는 제1 질병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증상에 상응하는 제1 질병의 명칭, 상기 제1 질병의 설명 및 사용자의 유의 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질병 데이터로서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질병에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증상을 출력하고, 상기 획득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증상에 상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확인 메시지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추출된 자연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온톨로지를 결정하지 못한 경우에, 상기 추출된 자연어와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연관 자연어를 포함하는 제2 온톨로지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획득부는 상기 제2 온톨로지에 상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확인 메시지를 획득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확인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2 온톨로지에 매칭되는 제2 질병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추출된 자연어를 상기 제2 온톨로지 및 상기 제2 질병 데이터와 매칭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추출된 자연어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연관 자연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온톨로지가 복수 개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 개의 상기 제2 온톨로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상기 획득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상기 제2 온톨로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을 수 있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획득된 입력 정보로부터 증상에 대한 자연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자연어와 온톨로지를 이용하여 질병 데이터를 제공하는 증상 입력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증상 입력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제1 증상에 연관되는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입력 정보로부터 상기 제1 증상에 연관되는 자연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자연어를 포함하는 제1 온톨로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온톨로지에 매칭되는 제1 질병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증상 입력 방법은 상기 제1 증상과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제2 온톨로지를 상기 제1 온톨로지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온톨로지를 상기 제1 온톨로지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증상과 증상 부위, 증상 색상 및 증상 전개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여 상기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제2 증상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온톨로지를 상기 제1 온톨로지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질병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온톨로지에 매칭되는 상기 제2 온톨로지가 포함하는 제2 질병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질병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증상에 상응하는 제1 질병의 명칭, 상기 제1 질병의 설명 및 사용자의 유의 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질병 데이터로서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증상 입력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사용자로부터 제1 증상에 연관되는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명령어 세트, 상기 입력 정보로부터 상기 제1 증상에 연관되는 자연어를 추출하는 명령어 세트 및 상기 추출된 자연어를 포함하는 제1 온톨로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온톨로지에 매칭되는 제1 질병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명령어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증상 입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증상 입력 장치가 입력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증상 입력 장치에 저장된 온톨로지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증상 입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증상 입력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증상 입력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증상 입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110)로부터 입력 정보(120)를 입력 받는 증상 입력 장치(130)가 도시된다. 사용자(110)는 자연어를 이용하여 입력 정보(120)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자연어는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나타내고, 대한민국 언어인 한국어뿐만 아니고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과 같은 다양한 언어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더하여, 이러한 자연어는 기계 언어를 포함하는 인공어와는 대비되는 개념으로써 자연어 자체를 이용하여 장치와 소통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종래에는, 사용자(110) 자신이 장치에 출력된 병증 목록에서 증상에 대응하는 전문 용어 또는 질병을 선택하거나 의사, 한의사 등과 같은 전문가를 거쳐 의료 기기에 증상을 입력하는 구성을 이용하여, 증상 입력 장치에 관련 내용을 입력하였다.
다만, 본 실시예와 같이, 전문적 의료 지식이 많지 않은 사용자(110)들은 "머리 뒤쪽이 바늘로 찌르듯이 아파요." 등과 같이 자연어 형태로 입력 정보(120)를 입력하는 것이 자신의 상태를 표현하는데 용이할 것이다. 입력 정보(120)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것뿐만 아니라 "머리가 쑤셔요.", "머리가 지끈지끈 아파요.", "두통이 심해요."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자연어로 확장 가능하다는 것은 기술 분야의 전문가에게는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증상 입력 장치(130)는 입력 정보(120)에서 자연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자연어를 포함하는 온톨로지를 결정하여 사용자(110)에게 증상에 연관되는 질병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온톨로지는 언어로 표현된 개념 사이의 연관 관계 지식을 포함하는 데이터 네트워크를 나타내고, 구체적으로는 특정 질병에 연관되는 증상 부위, 증상 전개, 증상의 빈도 및 증상의 정도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자연어와 전문 용어를 체계적으로 포함하는 데이터 네트워크일 수 있다. 증상 입력 장치(130)가 입력 정보(120)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에 추가될 도면과 함께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증상 입력 장치가 입력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증상 입력 장치 내에서 처리되는 입력 정보(210), 자연어(220), 제1 온톨로지(230) 및 제1 질병 데이터(240)가 도시된다. 증상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머리 뒤쪽이 바늘로 찌르듯이 아파요."라는 입력 정보(210)를 획득할 수 있다. 입력 정보(210)는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한 음성 언어 형태 또는 키보드나 터치 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 장치를 이용한 텍스트(text) 형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증상 입력 장치는 입력 정보(210)로부터 "머리", "뒤쪽", "바늘", "찌르다", "아프다" 등과 같은 자연어(220)를 추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연어(220)는 의미의 기능을 부여하는 최소 단위인 형태소(morpheme) 형태로 추출될 수 있다. 더하여, 증상 입력 장치는 증상 부위에 연관되는 자연어(220)를 "머리"와 같은 명사 형태로 추출하고, 증상 전개에 연관되는 자연어(220)를 "아프다" 또는 "찌르다"와 같은 동사 형태 또는 형용사 형태로 추출할 수 있다.
증상 입력 장치는 내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추출된 자연어(220)에 연관되는 온톨로지를 검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 증상 입력 장치는 자연어(220)를 이용하여 후두통에 연관되는 제1 온톨로지(230)를 검색할 수 있다.
더하여, 일실시예로서 증상 입력 장치는 후두통에 연관되는 제1 온톨로지(230)와 함께 매칭되어 저장된 제1 질병 데이터(240)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로서, 증상 입력 장치는 자연어(220)를 이용하여 검색된 제1 온톨로지(230)가 포함하는 "지끈지끈", "통증", "뒤통수" 등과 같은 추가적인 자연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사용자의 증상에 적합한 제1 온톨로지(230)를 검색한 것인지 확인 받을 수 있다. 더하여, 증상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추가적인 자연어들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제1 온톨로지(230)에 연관되는 제1 질병 데이터(240)를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를 때, 사용자는 일상적인 용어로 자신의 증상에 대한 통증, 부위, 전개를 설명하는 것만으로 증상 입력 장치로부터 전문적인 의학 지식을 포함하는 질병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는 더욱 증대될 것이고 더하여 의료 서비스를 접하기 어려운 지역의 환자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효과를 추가적으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증상 입력 장치에 저장된 온톨로지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서 설명된 제1 온톨로지(230)가 제2 온톨로지(310)와 매칭되어 저장된 예시적인 데이터 구조가 도시된다. 통상적으로 어느 하나의 증상이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어느 하나의 증상이 어느 하나의 질병과 일대일 대응되는 경우는 많지 않을 것이다. 하나의 질병이 동반하는 복수의 증상과 환자의 상태 등을 다양하게 고려하여 환자의 질병이 진단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에 따라, 증상 입력 장치는 제1 증상에 연관되는 제1 온톨로지(230)를 소정의 유사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온톨로지(310)와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정의 유사도는 증상 부위, 증상 전개, 증상 색상 등과 같은 개념을 공유하는 지 여부, 온톨로지 상에서 공유하는 자연어의 비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머리 후반부에 찌르는 듯한 아픔을 수반하는 후두통에 연관되는 제1 온톨로지(230)는 "머리가 아프다"는 점에서 뇌종양에 연관되는 제2 온톨로지(310)와 유사도가 존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온톨로지(230)는 "통증", "아프다", "머리", "지끈지끈", "바늘", "찌르다" 등의 자연어를 제2 온톨로지(310)와 공유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증상 입력 장치는 제1 온톨로지(230)와 함께 제2 온톨로지(310)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자신에게 더욱 적합한 어느 하나의 온톨로지를 선택 받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제2 온톨로지(310)를 선택하는 경우, 증상 입력 장치는 제2 온톨로지(310)에 대응하는 제2 질병 데이터(320)를 추가적으로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자연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자연어에 연관되는 복수의 온톨로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증상이 증상 입력 장치에 제대로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복수의 온톨로지를 확인하여 가장 적합한 하나를 선택하고, 증상 입력 장치가 제공하는 질병 데이터의 신뢰도와 정확도를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증상 입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상 생활에서 이용되는 자연어를 이용하여 자신의 증상을 설명하는 사용자(410)와 상기 자연어에 대응하는 질병 데이터를 사용자(410)에게 제공하는 증상 입력 장치(420)가 도시된다.
사용자(410)는 자신의 증상에 연관되는 입력 정보(431)를 증상 입력 장치(420)에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410)가 증상 입력 장치(420)로 입력 정보(431)를 입력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장치적 구현에 대한 실시예는 아래의 도 5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증상 입력 장치(4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입력 정보(431)를 획득하고, 상기 입력 정보(431)로부터 자연어를 추출(432)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3에서 개시된 실시예와 다르게, 추출된 자연어를 포함하는 온톨로지가 증상 입력 장치(420)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시적으로, 사용자(410)가 "머리를 송곳으로 찌르듯이 쑤셔요."라는 입력 정보(431)를 입력한 경우를 가정하자. 증상 입력 장치(420)는 "머리", "송곳", "찌르다.", "쑤시다."를 입력 정보(431)에 상응하는 자연어로서 추출(432)할 수 있을 것이다. 더하여, 증상 입력 장치(420)는 "머리", "송곳", "찌르다.", "쑤시다."를 포함하는 자연어를 이용하여 기저장된 복수의 온톨로지와의 유사도를 계산(433)할 수 있다.
증상 입력 장치(420)는 계산된 유사도를 이용하여 복수의 후보 온톨로지(434)를 사용자(4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후보 온톨로지(434)는 추출된 자연어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온톨로지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증상 입력 장치(420)는 후두통에 연관되는 제1 온톨로지 및 뇌종양에 연관되는 제2 온톨로지를 복수의 후보 온톨로지(434)로서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더하여, 복수의 후보 온톨로지(434)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구성에 대한 다양한 구현의 예시는 뒤에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될 것이다.
사용자(410)는 증상 입력 장치(420)가 출력하는 복수의 후보 온톨로지(434) 중 자신의 증상을 가장 잘 나타내는 자연어를 포함하는 어느 하나의 온톨로지를 선택할 수 있다. 더하여, 사용자(410)는 상기 선택의 결과에 상응하는 선택 메시지(435)를 증상 입력 장치(420)에 입력할 수 있다. 증상 입력 장치(42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 메시지(435)를 수신하고, 선택 메시지(435)에 상응하는 질병 데이터(436)를 사용자(4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증상 입력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증상 입력 장치(500)는 획득부(510), 데이터베이스(520) 및 프로세서(530)를 포함할 수 있다. 획득부(510)는 사용자로부터 제1 증상에 연관되는 입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입력 정보는 일상 생활에서 사용되는 자연어 형태일 수 있고, 사물이나 인간의 모양이나 형태를 나타내는 "욱신욱신", "지끈지끈" 등과 같은 의태어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획득부(510)는 사용자로부터 음성 언어 형태로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음성 인식 장치(sound recognition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로서, 획득부(510)는 키보드,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등과 같이 데이터를 입력 받기 위해 오늘날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 장치(input device)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획득부(510)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의 통신 기기를 통해 통신 데이터 형태로 입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인터넷 인터페이스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신 인터페이스는 외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유선 인터페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20)는 적어도 하나의 증상 각각에 연관되는 온톨로지 및 질병 데이터를 서로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530)는 상기 입력 정보로부터 상기 제1 증상에 연관되는 자연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자연어를 포함하는 제1 온톨로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온톨로지에 매칭되는 제1 질병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530)는 증상 입력 장치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상기 제1 질병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통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연관되는 전자 기기로 상기 제1 질병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530)는 상기 제1 증상에 상응하는 제1 질병의 명칭, 상기 제1 질병의 설명 및 사용자의 유의 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질병 데이터로서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로서, 프로세서(530)는 상기 제1 질병에 연관되는 제2 증상을 출력할 수 있고, 획득부(520)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증상에 상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확인 메시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프로세서(530)가 사용자에 연관되는 제1 질병이 뇌종양이라고 결정한 경우에, 프로세서(530)는 뇌종양에 연관되는 어지럼증, 구토, 시력 저하 등과 같은 추가적인 제2 증상들을 함께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확인 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기억하고 있는 제1 증상뿐만 아니라 증상 입력 장치(500)로부터 해당 제1 질병에 연관되는 다른 증상들을 함께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 자신이 상태를 증상 입력 장치(500)에 입력할 수 있는 도움을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프로세서(530)가 상기 추출된 자연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온톨로지를 결정하지 못한 경우에, 상기 추출된 자연어와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연관 자연어를 포함하는 제2 온톨로지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사람 마다 살아온 환경에 따라, 사용하는 자연어의 종류와 범위는 크게 상이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이유에 따라, 증상 입력 장치(500)는 자신의 데이터베이스(520) 내에 저장되지 않은 자연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증상 입력 장치(500)는 가장 높은 유사도를 갖는 제2 온톨로지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가 "다리가 띵띵 부었어요."라는 자연어를 입력한 경우에, "띵띵"이라는 의태어가 데이터베이스(520)에 저장되지 않은 경우를 가정하자. 증상 입력 장치(500)는 "다리", "띵띵", "부었다"와 가장 높은 유사성을 갖는 각기부종에 연관되는 제2 온톨로지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더하여, 증상 입력 장치(500)는 제2 온톨로지가 포함하는 "다리", "퉁퉁", "부종", "부었다" 등의 자연어를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증상 입력 장치(500)가 출력하는 제2 온톨로지를 확인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증상 입력 장치(500)는 상기 제2 온톨로지에 상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확인 메시지를 획득부(510)를 통해 입력 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530)는 상기 확인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2 온톨로지에 매칭되는 제2 질병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데이터베이스(520)는 상기 추출된 자연어를 상기 제2 온톨로지 및 상기 제2 질병 데이터와 매칭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 증상 입력 장치(500)는 각기부종에 연관되는 제2 질병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데이터베이스(520)는 사용자가 새롭게 사용한 자연어 "띵띵"을 제2 온톨로지 및 제2 질병 데이터에 매칭하여 업데이트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를 때, 사용자의 언어 습관을 고려하여 데이터베이스(520)가 저장하는 자연어의 업데이트 기능을 구현하기 때문에 다양한 사람의 자연어가 축적될 수 있고, 정확도와 신뢰도를 더욱 상승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증상 입력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증상 입력 방법(600)은 사용자로부터 제1 증상에 연관되는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610), 상기 입력 정보로부터 상기 제1 증상에 연관되는 자연어를 추출하는 단계(620) 및 상기 추출된 자연어를 포함하는 제1 온톨로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온톨로지에 매칭되는 제1 질병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6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610)는 사용자로부터 제1 증상에 연관되는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나타낼 수 있다. 단계(610)에는 도 5와 함께 설명된 획득부(510)에 대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620)는 상기 입력 정보로부터 상기 제1 증상에 연관되는 자연어를 추출하는 단계이다. 단계(620)에서 증상 입력 장치는 상기 입력 정보를 형태소로 나누어, 상기 형태소에 대응하는 자연어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630)는 상기 추출된 자연어를 포함하는 제1 온톨로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온톨로지에 매칭되는 제1 질병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질병 데이터는 상기 제1 증상에 상응하는 제1 질병의 명칭, 상기 제1 질병의 설명 및 사용자의 유의 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질병이 후두통인 경우에 후두통(occipital headache, 後頭痛)이라는 상기 제1 질병의 명칭, "머리 후반부에 찌르는 듯한 아픔을 수반하는 질병"이라는 상기 제1 질병의 설명 및 "물을 자주 드시고, 수면 시간을 늘려 주세요."라는 사용자의 유의 사항이 상기 제1 질병 데이터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더하여, 단계(630)는 상기 제1 온톨로지에 매칭되는 상기 제2 온톨로지가 포함하는 제2 질병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증상 입력 방법(600)은 상기 제1 증상과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제2 온톨로지를 상기 제1 온톨로지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온톨로지를 상기 제1 온톨로지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증상과 증상 부위, 증상 색상 및 증상 전개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여 상기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제2 증상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온톨로지를 상기 제1 온톨로지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13)

  1. 사용자로부터 제1 증상에 연관되는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적어도 하나의 증상 각각에 연관되는 온톨로지 및 질병 데이터를 서로 매칭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입력 정보로부터 상기 제1 증상에 연관되는 자연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자연어를 포함하는 제1 온톨로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온톨로지에 매칭되는 제1 질병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정보로부터 의미의 기능을 부여하는 최소 단위인 형태소(morpheme)로서 상기 자연어를 추출하고, 상기 결정된 제1 온톨로지에 포함되는 추가적인 자연어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추가적인 자연어들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제1 온톨로지와 제2 온톨로지를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2 온톨로지는 상기 제1 온톨로지에 포함되는 자연어들 중 소정 비율 이상의 자연어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온톨로지와 함께 상기 제2 온톨로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온톨로지 및 상기 제2 온톨로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증상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증상에 상응하는 제1 질병의 명칭, 상기 제1 질병의 설명 및 사용자의 유의 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질병 데이터로서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증상 입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질병에 연관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증상을 출력하고, 상기 획득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증상에 상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확인 메시지를 획득하는 증상 입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추출된 자연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온톨로지를 결정하지 못한 경우에, 상기 추출된 자연어와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연관 자연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온톨로지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증상 입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부는 상기 제2 온톨로지에 상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확인 메시지를 획득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확인 메시지에 따라 상기 제2 온톨로지에 매칭되는 제2 질병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증상 입력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추출된 자연어를 상기 제2 온톨로지 및 상기 제2 질병 데이터와 매칭하여 업데이트하는 증상 입력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자연어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연관 자연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온톨로지가 복수 개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 개의 상기 제2 온톨로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고, 상기 획득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상기 제2 온톨로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는 증상 입력 장치.
  8. 사용자로부터 제1 증상에 연관되는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입력 정보로부터 상기 제1 증상에 연관되는 자연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자연어를 포함하는 제1 온톨로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온톨로지에 매칭되는 제1 질병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온톨로지에 포함되는 자연어들 중 소정 비율 이상의 자연어를 공유하는 제2 온톨로지를 상기 제1 온톨로지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온톨로지와 함께 상기 제2 온톨로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온톨로지 및 상기 제2 온톨로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자연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정보로부터 의미의 기능을 부여하는 최소 단위인 형태소로서 상기 자연어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질병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제1 온톨로지에 포함되는 추가적인 자연어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추가적인 자연어들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증상 입력 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온톨로지를 상기 제1 온톨로지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증상과 증상 부위, 증상 색상 및 증상 전개 중 적어도 하나를 비교하여 상기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제2 증상을 포함하는 상기 제2 온톨로지를 상기 제1 온톨로지와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상 입력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질병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온톨로지에 매칭되는 상기 제2 온톨로지가 포함하는 제2 질병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증상 입력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질병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증상에 상응하는 제1 질병의 명칭, 상기 제1 질병의 설명 및 사용자의 유의 사항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질병 데이터로서 상기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상 입력 방법.
  13. 삭제
KR1020150168925A 2015-11-30 2015-11-30 증상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796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925A KR101796362B1 (ko) 2015-11-30 2015-11-30 증상 입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925A KR101796362B1 (ko) 2015-11-30 2015-11-30 증상 입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021A KR20170063021A (ko) 2017-06-08
KR101796362B1 true KR101796362B1 (ko) 2017-11-09

Family

ID=59220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925A KR101796362B1 (ko) 2015-11-30 2015-11-30 증상 입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3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1257B (zh) * 2018-08-20 2022-07-19 重庆柚瓣家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知识图谱的智慧问答系统及其方法
CN110931137B (zh) * 2018-09-19 2023-07-0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机器辅助对话系统、方法及装置
KR102167161B1 (ko) * 2018-11-21 2020-10-21 주식회사 쓰리빌리언 질병 증상 추천 시스템 및 방법
KR102266127B1 (ko) * 2018-11-27 2021-06-16 장민석 증상 기록 및 공유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이의 동작 방법
CN113012804B (zh) * 2019-12-20 2024-03-19 中移(成都)信息通信科技有限公司 症状确定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102242377B1 (ko) * 2020-10-12 2021-04-20 김태관 근기능학적 원인 분석을 통한 근골격계 통증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021A (ko) 201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362B1 (ko) 증상 입력 장치 및 방법
Kvestad et al. Low heritability of tinnitus: results from the second Nord-Trøndelag health study
KR20190008770A (ko) 건강 컨설팅의 성공 예측 방법
Albert Treatment of aphasia
US20100325078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cognizing emotion and intention of a user
US10847261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ioritizing comprehensive diagnoses
JP6908977B2 (ja) 医療情報処理システム、医療情報処理装置及び医療情報処理方法
US20140171819A1 (en) Neurological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CN109886740A (zh) 医疗信息咨询方法、医疗信息咨询装置、存储介质
Vajirkar et al. Context-aware data mining framework for wireless medical application
KR20170123172A (ko) 증상 검색을 통한 맞춤형 질병 정보 제공 시스템
JP2018527133A (ja) 別の検査を提案するパルスオキシメータ
Wang et al. Redefining big-data clinical trial (BCT)
CN112259243A (zh) 一种基于双向GRUs的单病种临床路径构建方法及系统
CN109817327B (zh) 挂号指导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电子设备
US1130833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fying and profiling biological tissue
CN111630607A (zh) 用于对可通过行为改变来治疗的疾病的治疗的系统、装置、方法以及程序
Vourvopoulos et al. Brain–computer interfacing with interactive systems—case study 2
Schuknecht Meniere's disease
Spring et al. First steps into the brave new transdiscipline of mobile health
KR102057760B1 (ko)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Nanda et al. COVID-19 risk assessment using the C4. 5 Algorithm
KR101781778B1 (ko) 사용자 맞춤형 가상현실 사후세계 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616189B1 (ko) 정신건강의학 관련 심리 상태 데이터 수집 및 환자 상태 분류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4822830B (zh) 问诊交互方法及相关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