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250B1 - 배뇨량 상태 판단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뇨량 상태 판단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250B1
KR101796250B1 KR1020150147738A KR20150147738A KR101796250B1 KR 101796250 B1 KR101796250 B1 KR 101796250B1 KR 1020150147738 A KR1020150147738 A KR 1020150147738A KR 20150147738 A KR20150147738 A KR 20150147738A KR 101796250 B1 KR101796250 B1 KR 101796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rine
patient
urin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7524A (ko
Inventor
박일형
박철우
정상현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47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250B1/ko
Publication of KR20170047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61B5/207Sensing devices adapted to collect urine
    • A61B5/208Sensing devices adapted to collect urine adapted to determine urine quantity, e.g. flow, volu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61B5/207Sensing devices adapted to collect urine
    • G06F19/32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배뇨량 상태 판단 시스템 및 방법은 환자의 신체 조건과 질환 종류를 포함한 환자의 개인 정보와 이에 따른 수액 투여 정보를 설정하며, 환자의 개인 정보와 설정한 수액 투여 정보에 따라 기설정된 가중치 정보를 측정한 배뇨량 정보에 적용하여 환자의 배뇨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지속적인 배뇨량과 수액량을 측정하여 체내의 수액 균형 및 관련 질환을 파악할 수 있어 임상적 지표가 되며 의료 사고의 예방과 의료진의 업무 가중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뇨량 상태 판단 시스템 및 방법{Amount of Urination for Determining State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배뇨량 상태 판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환자의 신체 조건과 질환 종류를 포함한 환자의 개인 정보와 이에 따른 수액 투여 정보를 설정하며, 환자의 개인 정보와 설정한 수액 투여 정보에 따라 기설정된 가중치 정보를 측정한 배뇨량 정보에 적용하여 환자의 배뇨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배뇨량 상태 판단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하루 평균 소변량은 약 1500ml로 24 시간동안 3 내지 4번 소변을 보고 있다. 단순히 하부에 나오는 소변의 양으로 자신의 콩팥의 여과 기능을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 수액 균형 상태와 나아가 생명을 유지하는데 가장 중요한 심박출량을 예측하는 지표로 이용할 수 있다.
우리 몸의 혈액이 신장에서 걸러져 생기는 소변의 양, 색, 냄새 등은 수분과 음식물 섭취, 일반 대사와 중간 대사에 따라 좌우되며 인체의 이상이 있으면 변화가 생긴다.
이러한 이유로 임상에서는 환자로부터 배설된 소변을 환자의 상태를 체크하는 중요한 요소로 사용하고 있다.
신기능이 정상인 환자는 대개 시간과 체중당 1ml 이상이 배설되면 순환혈량이 충분한 것을 의미하나 핍뇨가 생기는 경우 순환혈량의 부족, 마취제의 항이뇨 효과, 수술에 따른 스트레스, 급성 신부전의 임박, 심박출량의 감소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시시각각 변화하는 배뇨량을 알 수 있으면 이를 통해 환자의 생리 및 병리 상태를 파악하고 대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배뇨량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은 시간당 나오는 소변의 양을 측정하여 기록하는 것이다.
간호사가 보통 1시간마다 소변 배액병에 표시된 눈금을 읽어 소변의 양을 측정하고 기록한다.
환자의 배뇨량은 신장 기능, 체내의 수액 균형 상태 및 관련 질환을 파악할 수 있는 임상적 지표가 되며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기에 매우 중요하다.
배뇨량이 정량적으로 측정되지 않으면 소변 상태를 의료진이 신속하게 판단할 수 없어 의료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간호사들이 1시간마다 여러 환자들의 배뇨량을 체크하여 기록하는 것은 단순 반복적인 업무로 인력 관리상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
일반적으로 시간당 배뇨량이 100ml 이상일 경우 다뇨, 4 내지 15ml일 경우 핍뇨, 4ml 이하일 경우 무뇨로 비정상 상태를 판단한다.
이러한 종래의 배뇨량 측정 판단 방법은 몸무게, 질병 유무 등 환자 개인별 정보와 수액 투여 정보 등에 따라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환자의 신체 조건과 질환 종류를 포함한 환자의 개인 정보와 이에 따른 수액 투여 정보를 설정하며, 환자의 개인 정보와 설정한 수액 투여 정보에 따라 기설정된 가중치 정보를 측정한 배뇨량 정보에 적용하여 환자의 배뇨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배뇨량 상태 판단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배뇨량 상태 판단 시스템은,
수액이 투여된 환자의 소변을 투입받아 배뇨량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배뇨량 측정 장치(110); 및
환자의 신체 조건과 질환 종류를 포함한 환자의 개인 정보를 입력받고 환자의 개인 정보에 따라 수액 투여 정보를 설정하고, 배뇨량 측정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배뇨량을 감지한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배뇨량 정보를 측정하며, 환자의 개인 정보와 설정한 수액 투여 정보에 따라 기설정된 가중치 정보를 측정한 배뇨량 정보에 적용하여 환자의 배뇨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장치(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배뇨량 상태 판단 방법은,
환자의 신체 조건과 질환 종류를 포함한 환자의 개인 정보를 입력받고 환자의 개인 정보에 따라 수액 투여 정보를 설정하고 환자에게 설정한 수액 투여 정보를 투여하는 단계;
수액이 투여된 환자의 소변을 투입받아 배뇨량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배뇨량 측정 장치(110)에서 배뇨량을 감지한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배뇨량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및
환자의 개인 정보와 설정한 수액 투여 정보에 따라 기설정된 가중치 정보를 측정한 배뇨량 정보에 적용하여 환자의 배뇨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환자의 개인별 정보와 수액 투여량을 고려해 가중치를 적용하여 배뇨 상태 판단의 정보로 제공함으로써 의료진이 환자에게 신속한 조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액 투여량을 비교를 통한 배뇨량 판단 정보를 의료진에 제공하여 의료 사고를 줄이고 더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속적인 배뇨량과 수액량을 측정하여 체내의 수액 균형 및 관련 질환을 파악할 수 있어 임상적 지표가 되며 의료 사고의 예방과 의료진의 업무 가중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량 상태 판단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량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량 상태 판단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량 상태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량 판단 기준을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량 상태 판단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량 측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량 상태 판단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량 상태 판단 시스템(100)은 배뇨량 측정 장치(110) 및 제어장치(200)를 포함한다.
배뇨량 측정 장치(110)는 환자의 요속과 배뇨량을 감지하여 제어장치(200)로 전송한다.
제어장치(200)는 개인정보 입력부(210), 수액 투여량 처리부(220), 신호 처리부(230), A/D 변환부(240), 제어부(250), 표시부(260) 및 데이터 저장부(270)를 포함한다.
개인정보 입력부(210)는 환자의 몸무게, 질환 유무 등의 환자 개인별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 저장부(270)에 저장된다.
수액 투여량 처리부(220)는 환자의 신체 조건과 질환 종류를 포함한 환자의 개인 정보에 따라 수액의 투여량, 수액의 종류, 수액 투여 속도, 수액 투여 시간을 포함한 수액 투여 정보를 설정하며, 설정한 수액 투여 정보에 따라 수액을 투여한다.
수액의 투여는 환자의 몸무게, 질환 유무, 연령에 따라 수액의 종류, 수액 투여 속도, 수액 투여량, 수액 투여 시간을 다르게 설정한다.
배뇨량 측정 장치(110)는 소변이 투입되는 투입부(101)가 형성된 케이스(102)를 포함하고 케이스(102)의 내부에서 투입되는 소변의 요속과 배뇨량을 측정하는 요속 측정부(120)와 배뇨량 측정부(130)를 포함한다.
투입부(101)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진 형태이며, 소변이 투입된다.
케이스(102)는 내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고 상부면 일측에 형성된 투입부(101)를 통해 소변이 투입되어 집수판(126)으로 모이고, 내부 공간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집수판(126)으로부터 상방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소변을 받아서 소변의 하중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휠(121)과, 회전휠(121)의 회전 속도 변화를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전환하는 검출부(127)를 구비한 요속 측정부(120)를 포함한다.
검출부(127)는 투입되는 소변의 충격 에너지의 크기에 비례하여 요속을 산출하는 신호가 출력된다.
회전휠(121)은 한 쌍의 사이드 원형판(122) 사이에 다수개의 날개판(123)이 방사상으로 설치된 형태이고 날개판(123)의 길이보다 사이드 원형판(122)의 직경이 긴 구조로 이루어진다. 날개판(123)은 직선 형태의 중앙몸체(123b)와, 중앙몸체(123b)의 상부와 하부에 일정 각도로 굽어져 상부절곡부(123a)와 하부절곡부(123c)로 이루어진다.
상부절곡부(123a)와 하부절곡부(123c)는 집수판(126)으로부터 상방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소변을 정확하게 접촉하기 위해서 약간 굽어져 회전휠(121)에서 회전한다.
회전휠(121)은 그 중심에 장착된 회전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케이스(102)에 내장된 형태이다. 회전축은 케이스(102)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회전휠(121)을 지지하고, 회전휠(121)과 함께 회전하는 외팔보 구조이며, 케이스(102)의 외부에 부착된 지지브라켓(125)에서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검출부(127)는 회전휠(121)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축의 회전 작동을 펄스 신호화하는 타코미터 또는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축의 회전 작동을 디지털 신호화하는 로터리엔코더로 이루어진다. 이외에 검출부(127)는 회전축과 연결되어 그 회전 속도를 측정하고 이를 신호화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 가능하다.
케이스(102)는 회전휠(121)을 거쳐 떨어진 소변의 배뇨량을 측정하기 위한 요량측정공간(103)이 회전휠(121)이 배치된 공간의 바닥면(104)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한다.
케이스(102)는 회전휠(121)이 설치되어 요속을 측정하는 요속측정공간과 회전휠(121)을 거쳐 하부 방향으로 떨어진 소변의 배뇨량을 측정하는 요량측정공간(103)으로 구획된다.
요량측정공간(103)은 케이스(102)의 내부 공간에서 회전휠(121)을 거쳐 떨어진 소변이 일측 방향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요속 측정부(120)가 형성된 공간보다 면적이 좁아진 형태로 형성되고 소변이 떨어져 모여 고이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부에 배출홀을 형성한다.
회전휠(121)이 배치된 공간의 바닥면(104)은 일측이 완만하게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져 떨어진 소변이 일측 방향에서 타측 방향인 요량측정공간(103)으로 잘 흘러갈 수 있도록 한다.
배뇨량 측정부(130)는 요량측정공간(103)이 형성된 위치의 케이스(102) 외주면을 관통하여 케이스(102)의 내부에 장입되는 장입체(131)와, 그 장입체(131)를 케이스(102)의 외주면에 탈착되게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 장소를 제공하는 플랜지(132)로 이루어지는 몸체(133)를 구비하고 있다.
장입체(131)는 내부에 일단만을 개구한 수용실(134)을 갖는 원통형체(135)와, 그 원통형체(135)의 개구된 일단과 대응하는 타단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돌출 형성된 돌기들(136)로 이루어져 단면으로 보아 전체 형상이 'ㄷ'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플랜지(132)는 원통형체(135)의 개구된 일단 외주면에 형성된다.
몸체(133)는 케이스(102)에 형성된 설치공(131)에 장입체(131)가 장입된 상태에서 플랜지(132)를 통한 케이스(102)와의 나사 결합으로 케이스(102)에 탈착되게 결합되며, 원통형체(135)의 외주면에 설치된 1개 이상의 오링 형태의 패킹부재(138)를 통해서 케이스(102)에 밀착성 있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장입체(131)는 내부의 수용실(134)에는 배뇨량 감지수단(140)을 설치되고 배뇨량 감지수단(140)과 결합된 익차(141)가 요량측정공간(103)에 소변이 떨어지는 경로에 설치된다
배뇨량 감지수단(140)은 배뇨량의 흐름에 기반하여 익차(141)의 회전 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익차(또는 임펠러)는 요량측정공간(103)의 내부에 회전축을 가지고 배뇨량에 의해 회전축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뇨량 감지수단(140)은 MR센서(자기저항효과센서), 홀센서(Hall sensor), 인덕터센서(inductorsensor) 및 광센서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인덕터센서의 경우 유도형 센서(Inductive Sensor) 또는 용량형 센서(Capacitive Sensor)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뇨량 감지수단(14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홀센서를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익차(141)는 각 날개들(142)에 자석(143)을 갖고 돌기들(136) 사이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하로 떨어지는 소변에 따라 회전된다.
배뇨량 감지수단(140)은 원통형체(135)의 개구된 일단을 밀폐한 상태로 그 원통형체(135)의 수용실(134)에 설치되어 익차(141)의 날개들(142)을 따라 회전하는 자석(143)들과 단속적으로 반응하여 전기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기 위한 기능을 담당한다.
배뇨량 감지수단(140)은 홀센서로서, 자석(123)들의 자계에 반응해서 그 자계의 세기를 출력전압의 세기로 변환해서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데, 이러한 전기신호는 산업분야에서 전류의 세기, 전류의 방향, 회전방향, 회전수 등등 다양한 형태로 응용되어 사용된다.
홀센서는 그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원통형체(135)의 크기를 작게 한다.
배뇨량 감지수단(140)이 출력하는 전기신호는 제어장치(200)로 전송하여 환자가 배출하는 배뇨량을 산출하게 된다. 제어장치(200)는 배뇨량 감지수단(140)과 케이블(144)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장치(200)의 제어부(250)는 배뇨량 감지수단(140)으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로부터 배뇨량을 산출하기 위한 연산 기능을 갖으며 표시부(260)를 통해 표시한다.
이러한 배뇨량 측정부(130)는 익차(141)의 회전에 따른 배뇨량을 산출하는 구조를 자석(143)과 배뇨량 감지수단(140)을 채용함으로써 그 크기 및 무게가 현저하게 작고 가벼워진다. 이와 같이 배뇨량 측정부(130)를 컴팩트하게 구성하여 전체적으로 배뇨량 측정 장치(110)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배뇨량 측정부(130)는 소변을 모아서 배뇨량을 측정하지 않고 배출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렇게 배뇨량 측정부(130)를 구성한 이유는 소변을 모아서 배뇨량을 측정하게 되면 배뇨량 측정 장치(110)를 크게 형성해야 되며, 냄새 등 위생상 좋지 않은 단점이 있다.
제어장치(200)는 요속 측정부(120)의 검출부(127) 또는 배뇨량 측정부(130)의 배뇨량 감지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일차적으로 가공하는 신호 처리부(230)와, 신호 처리부(230)에 의해 인가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부(240)와, A/D 변환부(240)에 의해 획득한 데이터를 정해진 프로그램에 의해 가공 처리하는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신호 처리부(230)는 요속 측정부(120)의 검출부(127) 또는 배뇨량 측정부(130)의 배뇨량 감지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231)와, 증폭부(231)에 의해 증폭된 신호의 잡음을 필터링하는 필터부(232)가 구비된다.
요속 측정부(120)의 검출부(127) 또는 배뇨량 측정부(130)의 배뇨량 감지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는 증폭부(231)에 의해 증폭되고 증폭된 신호가 필터부(232)에 의해 잡음이 필터링된 후 A/D 변환부(240)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250)에 인가된다.
요속 측정부(120)의 검출부(127)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는 투입부(101)에서 떨어지는 소변의 충격 에너지의 크기에 비례하여 회전휠(121)의 회전 속도 변화를 감지하여 소변의 속도를 측정하게 되는 신호이다.
제어부(250)는 요속 측정부(120)의 검출부(127)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이용하여 투입부(101)에서 떨어지는 소변의 속도를 산출하여 표시부(260)에 디스플레이하며 데이터 저장부(270)에 저장한다.
제어부(250)는 배뇨량 측정부(130)에서 감지된 익차 회전수에 기반하여 배뇨량 정보를 산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배뇨량 정보는 단위 시간당 배뇨량 정보 또는 단위 시간당 배뇨량 신호 개수 정보 형태로 획득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250)는 마이컴(MCU) 형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이를 구성하는 중앙처리장치와 EEP-ROM에 입력된 배뇨량 산출 프로그램에 의해 익차 회전수에 대응한 배뇨량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배뇨량 정보가 합산된 현재 상태의 누적된 배뇨량 정보를 표시부(260)에 디스플레이하며 데이터 저장부(270)에 저장한다.
제어부(250)는 개인정보 입력부(210)에서 입력된 환자의 개인별 정보와 수액 투여량 처리부(220)에서 설정된 수액 투여 정보에 따라 현재 상태의 누적된 배뇨량 정보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환자의 배뇨 이상 유무를 판단한다.
제어부(250)는 환자의 배뇨 이상 정보를 생성하여 통신부를 통해 외부로 전송하거나 표시부(260)를 통해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량 상태 판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뇨량 판단 기준을 나타낸 도면이다.
개인정보 입력부(210)는 환자의 몸무게, 질환 유무 등의 환자 개인별 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 저장부(270)에 저장된다(S100).
수액 투여량 처리부(220)는 환자의 신체 조건과 질환 종류을 포함한 환자의 개인 정보에 따라 수액의 투여량, 수액의 종류, 수액 투여 속도, 수액 투여 시간을 포함한 수액 투여 정보를 설정하며, 설정한 수액 투여 정보에 따라 수액을 투여한다(S102).
배뇨량 측정 장치(110)는 환자가 투입한 소변의 배뇨량을 측정하여 측정한 배뇨량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270)에 저장한다(S104).
제어장치(200)의 제어부(250)는 개인정보 입력부(210)에서 입력된 환자의 개인별 정보와 수액 투여량 처리부(220)에서 설정된 수액 투여 정보에 따라 현재 상태의 측정된 배뇨량 정보에 기설정된 가중치 정보를 적용하여 환자의 배뇨 이상 유무를 판단한다(S106).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당 배뇨량이 100ml 이상의 경우, 다뇨이고, 10 내지 100ml의 경우, 정상이고, 5 내지 10ml의 경우 핍뇨이며, 5ml 이하의 경우 무뇨로 판단한다.
동일한 몸무게의 환자 중 암 환자와 암 환자가 아닌 경우 수액 투여량에 차이가 날 수 있다.
예를 들면, 80Kg의 암 수술을 마친 제1 환자와 80Kg의 암 수술이 아닌 가벼운 외상 수술을 마친 제2 환자는 수액의 투여량에 있어서 제2 환자가 제1 환자보다 더 많은 수액이 투여될 수 있다.
제1 환자의 배뇨량과 제2 환자의 배뇨량의 기준은 달라질 수 있으며, 제1 환자와 제2 환자의 배뇨량이 4ml로 동일한 경우, 제1 환자와 제2 환자를 모두 무뇨로 판단할 수 없다.
즉, 제1 환자는 환자의 개인 정보와 수액 투여 정보에 따라 가중치를 3ml으로 설정하며, 제2 환자는 환자의 개인 정보와 수액 투여 정보에 따라 가중치를 1ml로 설정된다.
제어부(2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환자의 경우 배뇨량이 4ml이므로 현재 상태의 배뇨량이 무뇨에서 가중치 3ml를 반영하여 최종 배뇨량 정보(4ml + 3ml)가 7ml로 배뇨량 > a+에 해당하므로 환자의 배뇨를 핍뇨로 판단하게 된다.
이에 반해, 제어부(2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환자의 경우 배뇨량이 4ml이므로 현재 상태의 배뇨량이 무뇨에서 가중치 1ml를 반영하여 최종 배뇨량 정보(4ml + 1ml)가 5ml로 배뇨량 > a+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환자의 배뇨를 그대로 무뇨로 판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어부(250)는 환자의 개인 정보와 수액 투여 정보에 따라 기설정된 가중치 정보를 측정한 환자의 배뇨량에 적용하고 측정한 환자의 배뇨량 정보를 증감하여 기설정된 특정 판단 기준(도 5)을 이용하여 측정한 배뇨량 정보에 대한 배뇨 이상 유무를 최종 판단한다.
이러한 가중치 정보는 환자의 개인 정보와 수액 투여 정보에 따라 미리 기설정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배뇨량 상태 판단 시스템 101: 투입부
102: 케이스 103; 요량측정공간
104: 바닥면 110: 배뇨량 측정 장치
120: 요속 측정부 121: 회전휠
122: 원형판 123: 날개판
124: 회전축 125: 지지브라켓
126: 집수판 127: 검출부
130: 배뇨량 측정부 131: 장입체
132: 플랜지 133: 몸체
134: 수용실 135: 원통형체
136: 돌기들 137: 설치공
138: 패킹부재 140: 배뇨량 감지수단
141: 익차 142: 날개들
143: 자석 144: 케이블
200: 제어장치 210: 개인정보 입력부
220: 수액 투여량 처리부 230: 신호 처리부
231: 증폭부 232: 필터부
240: A/D 변환부 250: 제어부
260: 표시부 270: 데이터 저장부

Claims (9)

  1. 수액이 투여된 환자의 소변을 투입받아 배뇨량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배뇨량 측정 장치(110); 및
    환자의 신체 조건과 질환 종류를 포함한 환자의 개인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환자의 개인 정보에 따라 수액 투여 정보를 설정하고, 상기 배뇨량 측정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배뇨량을 감지한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배뇨량 정보를 측정하며, 상기 환자의 개인 정보와 상기 설정한 수액 투여 정보에 따라 다른 가중치 정보를 현재 상태의 누적된 배뇨량 정보에 적용하여 환자의 배뇨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제어장치(200)를 포함하며,
    상기 수액 투여 정보는 상기 환자의 개인 정보에 포함되는 신체 조건 또는 질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고,
    상기 가중치 정보는 상기 환자의 개인 정보와, 상기 다르게 설정된 상기 수액 투여 정보에 따라 환자별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뇨량 상태 판단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중치 정보는 환자의 개인 정보와 수액 투여 정보에 따라 다르게 기설정되는 정보이고,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측정한 배뇨량 정보에서 상기 가중치 정보를 적용하며 상기 측정한 배뇨량 정보를 증감하여 기설정된 특정 판단 기준에 이용하여 상기 측정한 배뇨량 정보에 대한 배뇨 이상 유무를 최종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뇨량 상태 판단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뇨량 측정 장치(110)는 내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고, 상부면 일측에 소변이 투입되는 투입부(101)가 형성된 케이스(102)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102)는 내부 공간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한 쌍의 사이드 원형판(122) 사이에 다수개의 날개판(123)이 방사상으로 설치된 형태이고, 상기 투입부(101)로부터 상방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소변을 받아서 소변의 충격 에너지의 크기에 비례하여 소변의 하중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휠(121)과, 상기 회전휠(121)의 회전 속도 변화를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인 신호로 전환하는 검출부(127)를 구비한 요속 측정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뇨량 상태 판단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2)의 내부 공간은 상기 회전휠(121)을 거쳐 떨어진 소변의 배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휠(121)을 거쳐 떨어진 소변이 일측 방향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상기 요속 측정부(120)가 형성된 공간보다 면적이 좁아진 형태의 요량측정공간(103)이 상기 회전휠(121)이 배치된 공간의 바닥면(104)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하고,
    상기 요량측정공간(103)이 형성된 위치의 케이스(102) 외주면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102)의 내부에 장입되는 장입체(131)와, 상기 장입체(131)를 상기 케이스(102)의 외주면에 탈착되게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 장소를 제공하는 플랜지(132)로 이루어지는 몸체(133)를 구비하고, 상기 요량측정공간(103)에 소변이 떨어지는 경로에 설치되어 각 날개들(142)에 자석(143)을 갖고 상기 소변의 유동에 따라 회전되는 익차(141)와, 상기 익차(141)의 날개들(142)을 따라 회전하는 상기 자석(143)들과 단속적으로 반응하여 전기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배뇨량 감지수단(140)이 상기 장입체(131)의 내부의 수용실(134)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뇨량 상태 판단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요속 측정부(120)의 검출부(127)로부터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투입부(101)에서 떨어지는 소변의 속도를 산출하여 표시부(260)에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배뇨량 감지수단에서 감지된 전기신호를 수신하여 익차 회전수에 기반하여 배뇨량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한 배뇨량 정보를 상기 표시부(260)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뇨량 상태 판단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판(123)은 직선 형태의 중앙몸체(123b)와, 상기 중앙몸체(123b)의 상부와 하부에 일정 각도로 굽어져 상부절곡부(123a)와 하부절곡부(123c)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뇨량 상태 판단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뇨량 측정 장치의 케이스(102)의 외주면 일측을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102)에 장입되도록 내부에 일단만을 개구한 수용실(134)을 갖는 원통형체(135)와, 상기 원통형체(135)의 개구된 일단과 대응하는 타단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돌출 형성되는 돌기들(136)로 이루어지는 장입체(131)로 이루어진 몸체(133);
    상기 돌기들(136)에 지지되어 소변이 떨어지는 경로에 설치되고 각 날개들(142)에 자석(143)을 갖으며 소변의 유동에 따라 회전되는 익차(141); 및
    상기 익차(141)의 날개들(142)을 따라 회전하는 상기 자석(143)들과 단속적으로 반응하여 전기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장치(200)로 전송하는 배뇨량 감지수단(140)이 상기 장입체(131)의 내부의 수용실(134)에 설치되는 배뇨량 측정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뇨량 상태 판단 시스템.
  8. 환자의 신체 조건과 질환 종류를 포함한 환자의 개인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환자의 개인 정보에 따라 수액 투여 정보를 설정하고 환자에게 상기 설정한 수액 투여 정보를 투여하는 단계;
    수액이 투여된 환자의 소변을 투입받아 배뇨량을 감지하여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배뇨량 측정 장치(110)에서 배뇨량을 감지한 전기신호를 분석하여 배뇨량 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의 개인 정보와 상기 설정한 수액 투여 정보에 따라 다른 가중치 정보를 현재 상태의 누적된 배뇨량 정보에 적용하여 환자의 배뇨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액 투여 정보는 상기 환자의 개인 정보에 포함되는 신체 조건 또는 질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고,
    상기 가중치 정보는 상기 환자의 개인 정보와, 상기 다르게 설정된 상기 수액 투여 정보에 따라 환자별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뇨량 상태 판단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배뇨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가중치 정보는 환자의 개인 정보와 수액 투여 정보에 따라 다르게 기설정되는 정보이고, 상기 측정한 배뇨량 정보에서 상기 가중치 정보를 적용하며 상기 측정한 배뇨량 정보를 증감하여 기설정된 특정 판단 기준에 이용하여 상기 측정한 배뇨량 정보에 대한 배뇨 이상 유무를 최종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뇨량 상태 판단 방법.
KR1020150147738A 2015-10-23 2015-10-23 배뇨량 상태 판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796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738A KR101796250B1 (ko) 2015-10-23 2015-10-23 배뇨량 상태 판단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738A KR101796250B1 (ko) 2015-10-23 2015-10-23 배뇨량 상태 판단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524A KR20170047524A (ko) 2017-05-08
KR101796250B1 true KR101796250B1 (ko) 2017-11-10

Family

ID=60163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738A KR101796250B1 (ko) 2015-10-23 2015-10-23 배뇨량 상태 판단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2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805B1 (ko) * 2022-02-28 2023-08-29 (주)레이아이 요류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71065B (zh) * 2017-07-02 2019-09-11 鄭奕智 體液排出量監測裝置及方法
KR102236793B1 (ko) * 2019-07-15 2021-04-06 김재윤 소변량 모니터링 시스템 및 모니터링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805B1 (ko) * 2022-02-28 2023-08-29 (주)레이아이 요류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524A (ko) 201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46102A1 (en) Portable fluid monitoring fob and methods for accurately measuring fluid output
EP1144961B1 (en) Droplet counter for low flow rates
US20180188097A1 (en) Measur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A1188786A (en) Medical fluid measuring system
US5301673A (en) Ambulatory clearance function monitor
KR101796250B1 (ko) 배뇨량 상태 판단 시스템 및 방법
US6319221B1 (en) System for fluid retention management
US7736354B2 (en) Patient hydration system with hydration state detection
CN101310182B (zh) 用于测量体液的新型定量和定性分析装置
US20170307423A1 (en) System for automated measurement of fluid output
JPH10509056A (ja) 尿の濃度を算出する尿測定装置及び方法
JP3822639B2 (ja) 流体保持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
US3769497A (en) Urine liquid discharge monitor
CN111655139A (zh) 监测腹内压和排尿量的装置和方法
EP2716219A1 (en) Device for automatically measuring the amount of flowing liquid and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latter
EP2987473B1 (en) Fluid collection and expulsion apparatus
CN209059229U (zh) 一种带有报警功能的尿液计量装置
JP3124103B2 (ja) 尿分析装置
ES2614412T3 (es) Sistema de hidratación de pacientes con detección de estado anómalo
CN105477693B (zh) 集尿系统
EP4212096A1 (en) Device for measurement of urine flow and a system for diagnostics of micturition disorders comprising said device
JP3341479B2 (ja) 塩分摂取量測定装置
WO2020174063A1 (en) Installable system for regular continual analysis of an individual's urine to determine the level of hydration of said individual
CN205411767U (zh) 集尿系统
JP2020101381A (ja) 複合型尿流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