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878B1 - 세미유닛 커튼월 및, 세미유닛 커튼월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세미유닛 커튼월 및, 세미유닛 커튼월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878B1
KR101795878B1 KR1020150179863A KR20150179863A KR101795878B1 KR 101795878 B1 KR101795878 B1 KR 101795878B1 KR 1020150179863 A KR1020150179863 A KR 1020150179863A KR 20150179863 A KR20150179863 A KR 20150179863A KR 101795878 B1 KR101795878 B1 KR 101795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ub
panel
mounting bracket
sub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2383A (ko
Inventor
임현창
심규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179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878B1/ko
Publication of KR20170072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건축물의 외피를 형성하는 서브프레임유닛;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의 배면에 삽입되어 고정하는 제1 설치브라켓; 상기 메인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을 거치하여 고정하는 제2 설치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은 공장에서 일체로 제작되고, 시공현장에서 상기 제1 설치브라켓 및, 상기 제2 설치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메인프레임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은, 건축물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구획하는 패널부재; 상기 패널부재의 배면에 제공되어 상기 패널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제1 설치브라켓에 삽입 고정되는 패널프레임; 및, 상기 패널프레임의 배면에서 가로방향으로 제공되어, 상기 제2 설치브라켓에 양단부가 거치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서브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패널프레임은, 상기 패널부재 배면의 세로방향 양단부 영역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세로방향으로 적층 연결되는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의 연결부분을 제공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을 매개로 상기 제2 설치브라켓에 고정되는 스택조인트; 상기 패널부재 배면의 중앙영역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패널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을 매개로 상기 제2 설치브라켓에 고정되는 가로패널프레임; 및, 상기 패널부재의 세로방향 테두리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설치브라켓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세로패널프레임;을 구비하는 세미유닛 커튼월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세미유닛 커튼월 및, 세미유닛 커튼월의 시공방법{SEMI-UNIT CURTAIN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세미유닛 커튼월 및, 세미유닛 커튼월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일반적으로 커튼월(Curtain Wall)이란, 건물에 있어서 건물의 하중을 지지하고 있지 않는 건물의 외벽을 말한다. 건물에 가해지는 수직하중과 바람이나 지진 등에 의한 수평하중은 기둥과 보로 이루어진 골조가 지지하는데, 이때 커튼월은 건물 내 거주자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커튼역할을 하게 된다.
커튼월은 비내력 칸막이벽이라고도 불리며, 외부로부터의 비나 바람을 막고 소음이나 열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러한 커튼월의 재료로는 스테인레스강, 알루미늄, 청동, 석재 등이 사용되지만, 최근에는 유리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유리 커튼월은 건물의 외적 이미지를 현대식으로 바꾸어 줄 뿐만 아니라, 건물 내부의 채광이 좋아지게 하는 장점이 있다.
유리를 사용하는 커튼월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건물의 골격(구조체 뼈대)에 수직프레임 또는 수평프레임과 같은 프레임부재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부재의 특정부위에 앵커볼트를 설치하기 위해 프레임부재에 구멍을 뚫거나 앵커볼트를 프레임부재에 용접하여 일체로 결합시킨다.
이러한 프레임부재에 앵커볼트가 고정되면 상기 앵커볼트에 다시 유리를 고정시키기 위해 캡을 이용하여 앵커볼트의 지압력을 통해 부착시키거나 유리의 소정부위를 천공하여 상기 앵커볼트에 결합되도록 한다. 앵커볼트 대신 구조실런트를 이용하여 유리부재를 프레임에 직접 부착하는 방식도 있다.
유리커튼월은 시공하는 방법에 따라 스틱타입(Stick Type)과 유닛타입(Unitized Type) 으로 구분할 수 있다.
스틱타입 커튼월 시공방법은 현장에서 프레임과 유리, 부자재 등의 모든 자재를 현장에서 조립 설치하는 방법이다.
스틱타입 커튼월은 현장 대응이 원활하고, 자재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으나, 현장에서의 품질관리가 어렵고 모든 부자재를 현장에서 조립하는 점에서 시공기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스틱타입 커튼월의 프레임부재는 주로 알루미늄이 많이 사용되지만, 최근에는 유리면의 대형화와 단열성능과 내화성능 향상을 위한 성능 요구에 따라 스틸(steel)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유닛타입 커튼월 시공방법은 공장에서 프레임, 유리, 부자재를 미리 제작하여 유닛화하고 현장에서는 유닛만을 설치하는 방법이다.
유닛타입 커튼월은 공장제작으로 품질이 향상되고, 시공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형상이 복잡하여 알루미늄 압출로만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스틸커튼월에 비해 구조적 성능, 내화성능, 단열성능 면에서 불리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커튼월을 구성하는 부품을 공장에서 제작하여 품질이 향상시키면서, 스틸프레임을 사용하여 구조적 성능, 내화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세미유닛 커튼월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건축물의 외피를 형성하는 서브프레임유닛;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의 배면에 삽입되어 고정하는 제1 설치브라켓; 상기 메인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을 거치하여 고정하는 제2 설치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은 공장에서 일체로 제작되고, 시공현장에서 상기 제1 설치브라켓 및, 상기 제2 설치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메인프레임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은, 건축물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구획하는 패널부재; 상기 패널부재의 배면에 제공되어 상기 패널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제1 설치브라켓에 삽입 고정되는 패널프레임; 및, 상기 패널프레임의 배면에서 가로방향으로 제공되어, 상기 제2 설치브라켓에 양단부가 거치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서브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패널프레임은, 상기 패널부재 배면의 세로방향 양단부 영역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세로방향으로 적층 연결되는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의 연결부분을 제공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을 매개로 상기 제2 설치브라켓에 고정되는 스택조인트; 상기 패널부재 배면의 중앙영역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패널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을 매개로 상기 제2 설치브라켓에 고정되는 가로패널프레임; 및, 상기 패널부재의 세로방향 테두리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설치브라켓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세로패널프레임;을 구비하는 세미유닛 커튼월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메인프레임은, 건축물의 외벽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롤포밍방식에 의해 제작된 폐단면 형상을 가지는 스틸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삭제
바람직하게, 제1 설치브라켓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면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설치되고, 세로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브라켓판; 상기 브라켓판의 가로방향 양단부측에서 전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연장바; 및, 상기 연장바에서 상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패널부재의 배면에 설치된 패널프레임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 고정되는 한 쌍의 상부절곡바;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설치브라켓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는 브라켓본체; 상기 브라켓본체의 상면에서 내입 형성되고, 상기 서브프레임이 설치되는 서브프레임 거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이 상기 서브프레임 거치부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프레임과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을 관통하여 체결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삭제
바람직하게, 서브프레임은, 상기 스택조인트의 배면 또는 상기 가로패널프레임의 배면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스택조인트의 배면 또는 상기 가로패널프레임의 배면에 고정되는 프레임고정부; 및, 상기 프레임고정부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설치브라켓에 거치된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브라켓고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벽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건축물의 외피를 형성하는 서브프레임유닛;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의 배면에 삽입되어 고정하는 제1 설치브라켓; 상기 메인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을 거치하여 고정하는 제2 설치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은 공장에서 일체로 제작되고, 시공현장에서 상기 제1 설치브라켓 및, 상기 제2 설치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메인프레임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은, 건축물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구획하는 패널부재; 상기 패널부재의 배면에 제공되어 상기 패널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제1 설치브라켓에 삽입 고정되는 패널프레임; 및, 상기 패널프레임의 배면에서 가로방향으로 제공되어, 상기 제2 설치브라켓에 양단부가 거치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서브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2 설치브라켓이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된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을 커버토록 제공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폐단면의 일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구비되고, 개방된 단부영역에 형성된 제1 체결부가, 상기 패널프레임의 배면에 형성된 제2 체결부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유닛 커튼월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세미유닛 커튼월의 시공방법이고, 건축물의 외부에 설치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을 준비하는 단계; 건축물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구획하는 서브프레임유닛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메인프레임을 건축물의 외벽에 세로방향으로 설치하는 메인프레임 설치단계; 복수 개의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을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된 설치브라켓에 설치하여, 건축물의 외피를 형성하는 서브프레임유닛 설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은, 건축물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구획하는 패널부재; 상기 패널부재의 배면에 제공되어 상기 패널부재를 지지하는 패널프레임; 및, 상기 패널프레임의 배면에서 가로방향으로 제공되어, 상기 설치브라켓에 양단부가 거치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서브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은 공장에서 일체로 제작되고, 시공현장에서 상기 제1 설치브라켓 및, 상기 제2 설치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메인프레임에 일체로 설치되는 세미유닛 커튼월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서브프레임유닛 설치단계는, 건축물의 상하층의 바닥구조물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에 하나의 서브프레임유닛을 세로방향 전체에 걸쳐서 일체로 설치하되, 복수 개의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을 가로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서브프레임유닛 설치단계는, 상기 패널프레임의 배면을 제1 설치브라켓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을 제2 설치브라켓에 거치하는 단계; 상기 서브프레임이 제2 설치브라켓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프레임과 상기 제2 설치브라켓을 체결부재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서브프레임유닛 설치단계는, 상기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2 설치브라켓이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된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을 커버토록 제공되는 커버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프레임, 서브프레임유닛을 공장에서 제작하여 품질이 향상시키면서, 구조적 성능, 내화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닛타입 커튼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세미유닛 커튼월의 시공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과 설치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서브프레임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메인프레임, 설치브라켓 및, 서브프레임유닛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X-X' 방향의 'A' 부분에서 제1 설치브라켓에 서브프레임유닛이 설치된 상태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Y-Y' 방향의 'B' 부분에서 제2 설치브라켓에 서브프레임유닛이 설치된 상태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설치브라켓에 서브프레임유닛이 설치된 상태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닛타입의 커튼월 시공방법은 공장에서 제작된 유닛화된 부품(10)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건축물의 외피를 형성한다.
건축물에 설치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수직프레임(20)이 연결되는 2개 이상의 유닛화된 부품(10)에 각각 분할된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유닛화된 부품(10)이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실링부재 등을 매개로 연결되면서 하중을 지지하는 수직프레임(2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분할된 형태의 분할프레임(21)이 체결구조 및, 실링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면서 수직프레임(20)을 형성할 수 있다.
유닛간의 연결을 위해 프레임 형상이 암수형태로 되어야 하므로 복잡한 형상을 가지므로 거의 대부분의 유닛타입 커튼월은 알루미늄 소재를 적용하고 있다. 스틸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롤포밍 가공이 필요하여 설비비가 크게 상승하고 품질관리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유닛타입 방식으로 알류미늄 커튼월이 설치되면 분할된 부재의 결합부분에서 스틸커튼월에 비해 구조적 성능, 내화성능, 단열성능 면에서 불리해 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미유닛 커튼월은 스틱타입 커튼월 시공방법과 유닛타입 커튼월 시공방법의 중간형태의 커튼월 시공방법으로 스틱타입 커튼월 시공방법과 유닛타입 커튼월 시공방법의 장점을 부각시키고 단점을 보완하도록 구성되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미유닛 커튼월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미유닛 커튼월은 메인프레임(100), 서브프레임유닛(200), 제1 설치브라켓(300) 및, 제2 설치브라켓(4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미유닛 커튼월은 건축물의 외벽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100)과,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설치되어 건축물의 외피를 형성하는 서브프레임유닛(200) 및,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서브프레임유닛(200)의 배면에 삽입되어 고정하는 제1 설치브라켓(300) 상기 메인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을 거치하여 고정하는 제2 설치브라켓(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브프레임유닛(200)은 공장에서 일체로 제작되고, 시공현장에서 상기 제1 설치브라켓(300) 및, 상기 제2 설치브라켓(400)을 매개로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0)은 건축물의 외벽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롤포밍방식에 의해 제작된 폐단면 형상을 가지는 스틸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인프레임(100)이 롤포밍방식에 의해 제작된 폐단면 형상을 가지는 스틸부재로 구성하여, 하나의 재질인 스틸로 메인프레임(100)을 구성하여 구조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유닛타입과는 달리 메인프레임(100)에 별도의 연결부분이 형성되지 않아, 열관류율을 저하시켜 내화성능 및 단열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유닛(200)은, 건축물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구획하는 패널부재(210)와, 상기 패널부재(210)의 배면에 제공되어 상기 패널부재(210)를 지지하는 패널프레임(230) 및, 상기 패널프레임(230)의 배면에서 가로방향으로 제공되어, 상기 설치브라켓에 양단부가 거치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서브프레임(25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브라켓은 제1 설치브라켓(300)과 제2 설치브라켓(400)을 구비할 수 있다.
설치브라켓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전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패널프레임(230)의 배면에 삽입되면서 상기 서브프레임유닛(200)을 고정하는 제1 설치브라켓(300) 및,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서브프레임유닛(200)의 양단부를 거치하여 고정하는 제2 설치브라켓(4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설치브라켓(300)은 브라켓판(310), 한 쌍의 연장바(330) 및, 한 쌍의 상부절곡바(350)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설치브라켓(30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전면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설치되고, 세로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브라켓판(310)과, 상기 브라켓판(310)의 가로방향 양단부측에서 전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연장바(330) 및, 상기 연장바(330)에서 상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패널부재(210)의 배면에 설치된 패널프레임(230)에 형성된 삽입홈(236)에 삽입 고정되는 한 쌍의 상부절곡바(350)를 구비할 수 있다.
연장바(330) 및, 상부절곡바(350)는 상기 패널프레임(230)의 가로방향 단부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00)에 설치되는 제1 설치브라켓(300)에는 가로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2개의 서브프레임유닛(200)이 고정될 수 있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유닛(200)의 패널부재(210) 배면에는 패널프레임(230)이 형성될 수 있고, 패널프레임(230)의 배면에 형성된 삽입홈(236)에 제1 설치브라켓(300)의 상부절곡바(350)가 삽입되면서 2개의 서브프레임유닛(200)은 하나의 제1 설치브라켓(300)에 2개의 상부절곡바(350)를 매개로 설치될 수 있다.
삽입홈(236)은 세로패널프레임(235)에 형성될 수 있고, 메인프레임(100)에 설치된 제1 설치브라켓(300)에 형성된 상부절곡바(350)가 삽입홈(236)에 삽입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설치브라켓(400)은 브라켓본체(410), 서브프레임 거치부(43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설치브라켓(40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측면에 설치되는 브라켓본체(410) 및, 상기 브라켓본체(410)의 상면에서 내입 형성되고, 상기 서브프레임(250)이 설치되는 서브프레임 거치부(430)를 구비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250)이 상기 서브프레임 거치부(430)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프레임(250)과 상기 서브프레임유닛(200)을 관통하여 체결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설치브라켓(400)은 서브프레임 거치부(430)보다 상측으로 돌출 형성된 커버거치부(45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설치브라켓(300)의 상부절곡바(350)가 패널프레임(230)의 배면에 형성된 삽입홈(236)에 삽입이라는 간이한 방식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서브프레임(250)이 상기 서브프레임 거치부(430)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프레임(250)과 상기 서브프레임유닛(200)을 관통하여 체결부재가 체결되면서 중첩적으로 고정되면서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프레임(230)은 스택조인트(231), 가로패널프레임(233) 및, 세로패널프레임(235)을 구비할 수 있다.
패널프레임(230)은 상기 패널부재(210) 배면의 세로방향 양단부 영역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세로방향으로 적층 연결되는 상기 서브프레임유닛(200)의 연결부분을 제공하고, 상기 서브프레임(250)을 매개로 상기 제2 설치브라켓(400)에 고정되는 스택조인트(231)와, 상기 패널부재(210) 배면의 중앙영역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패널부재(210)를 지지하고, 상기 서브프레임(250)을 매개로 상기 제2 설치브라켓(400)에 고정되는 가로패널프레임(233) 및, 상기 패널부재(210)의 세로방향 테두리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설치브라켓(300)이 삽입되는 삽입홈(236)이 형성되는 세로패널프레임(235)을 구비할 수 있다.
스택조인트(231)는 적층 연결되는 상기 서브프레임유닛(200)과 상호 적층되면서 접합부분이 실링부재에 의해 밀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패널프레임(230)의 스택조인트(231) 및, 가로패널프레임(233)은 'ㄱ' 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서브프레임(250)과 상기 서브프레임(250)이 거치되는 제2 설치브라켓(400)을 매개로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250)은 프레임고정부(251) 및, 브라켓고정부(253)를 구비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250)은 메인프레임(100)의 측면에 설치된 제2 설치브라켓(400)에 거치된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어 서브프레임(250)과 제2 설치브라켓(400)이 고정되면서 메인프레임(100)에 고정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250)은 상기 스택조인트(231)의 배면 또는 상기 가로패널프레임(233)의 배면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스택조인트(231)의 배면 또는 상기 가로패널프레임(233)의 배면에 고정되는 프레임고정부(251) 및, 상기 프레임고정부(251)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설치브라켓(400)에 거치된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브라켓고정부(25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택조인트(231)의 배면 또는 가로방향프레임 배면에 세로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한 쌍의 체결홈부의 사이에는 서브프레임(250)의 프레임고정부(251)가 배치된 상태에서 스택조인트(231)와 프레임고정부(251)가 볼트부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거나, 가로방향프레임과 프레임고정부(251)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서브프레임(250)은 상기 스택조인트(231)의 배면 또는 상기 가로패널프레임(233)의 배면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좌우가 반전된 형태의 'ㄱ' 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부재로 구비되고, 메인프레임(100)의 측면에 형성된 제2 설치브라켓(400)의 서브프레임 거치부(430)에 서브프레임(250)의 브라켓거치부가 거치된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서브프레임(250)은 좌우가 반전된 'ㄱ' 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스틸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250)은 브라켓고정부(253) 및, 절곡판(255)을 구비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250)은 스택조인트(231)의 배면 또는 상기 가로패널프레임(233)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설치브라켓(400)에 거치된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브라켓고정부(253) 및, 상기 브라켓고정부(253)의 단부에서 하향 절곡되어 상기 제2 설치브라켓(400)을 감싸는 절곡판(255)을 구비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250)은 스택조인트(231)의 배면 또는 상기 가로패널프레임(233)의 배면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ㄱ' 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서브프레임(250)의 'ㄷ'자형 단면의 개방된 면은 제2 설치브라켓(400)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서브프레임(250)과 제2 설치브라켓(400)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서브프레임(250)은 'ㄱ' 자형의 단면을 가지는 알루미늄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미유닛 커튼월은 상기 서브프레임(250) 및, 상기 제2 설치브라켓(400)이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된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을 커버토록 제공되는 커버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설치브라켓(400)에 상기 서브프레임(250)이 거치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제2 설치브라켓(400)에 상기 서브프레임(250)이 체결된 상태에서 서브프레임(250)과 제2 설치브라켓(400)의 연결부분을 덮는 형태로 커버부재(50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500)는 폐단면의 일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구비되고, 커버부재(500)의 개방된 단부영역에 형성된 제1 체결부가 상기 패널프레임(230)의 배면에 형성된 제2 체결부와 체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체결부는 패널프레임(230)의 스택조인트(231)의 배면 또는 상기 가로패널프레임(233)의 배면에 형성된 제2 체결부와 체결될 수 있다.
제1 체결부는 개방된 단부영역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체결돌기로 구비되고, 제2 체결부는 상기 체결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체결돌기가 설치되는 한 쌍의 체결홈부로 구비될 수 있다.
스택조인트(231)의 배면 또는 가로방향프레임 배면에 세로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한 쌍의 체결홈부의 사이에는 서브프레임(250)의 프레임고정부(251)가 배치된 상태에서 스택조인트(231)와 프레임고정부(251)가 볼트부재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거나, 가로방향프레임과 프레임고정부(251)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세미유닛 커튼월의 시공방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세미유닛 커튼월의 시공방법은 건축물의 외부에 설치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100)을 준비하는 단계와, 건축물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구획하는 서브프레임유닛(200)을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메인프레임(100)을 건축물의 외벽에 세로방향으로 설치하는 메인프레임(100) 설치단계와, 복수 개의 상기 서브프레임유닛(200)을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형성된 설치브라켓에 설치하여, 건축물의 외피를 형성하는 서브프레임유닛(200) 설치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서브프레임유닛(200)은 건축물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구획하는 패널부재(210) 및, 상기 패널부재(210)의 배면에 제공되어 상기 패널부재(210)를 지지하는 패널프레임(230) 및, 상기 패널프레임(230)의 배면에서 가로방향으로 제공되어, 상기 설치브라켓에 양단부가 거치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서브프레임(250)을 구비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유닛(200)은 공장에서 일체로 제작되고, 시공현장에서 상기 제1 설치브라켓(300) 및, 상기 제2 설치브라켓을(400) 매개로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100)에는 설치브라켓이 공장에서 일체로 부착된 상태로 현장으로 운반될 수 있고, 메인프레임(100)에 설치된 설치브라켓에 서브프레임유닛(200)이 순차적으로 설치되면서 건축물의 외피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유닛(200) 설치단계는 건축물의 상하층의 바닥구조물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에 하나의 서브프레임유닛(200)을 세로방향 전체에 걸쳐서 일체로 설치하되, 복수 개의 상기 서브프레임유닛(200)을 가로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건축물의 상하층의 바닥구조물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에는 가로방향으로 복수 개의 메인프레임(100)이 이격 설치될 수 있다.
가로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2개의 메인프레임(100)의 사이에는 서브프레임유닛(200)이 건축물의 상하층의 바닥구조물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의 세로방향 전체에 걸쳐서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상기 서브프레임유닛(200)을 가로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연결되면서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이 구획되면서 건축물의 외피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서브프레임유닛(200) 설치단계는 상기 패널프레임(230)의 배면을 제1 설치브라켓(300)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서브프레임(250)을 제2 설치브라켓(400)에 거치하는 단계와, 상기 서브프레임(250)이 제2 설치브라켓(400)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프레임(250)과 상기 제2 설치브라켓(400)을 체결부재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설치브라켓(30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전면에 세로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가로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2개의 상기 서브프레임유닛(200)을 함께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설치브라켓(300)은 서브프레임유닛(200)의 패널프레임(230)의 배면에 형성된 삽입홈(236)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설치브라켓(400)은 메인프레임(100)의 측면에 세로방향으로 이격 형성되고, 상기 메인프레임(100)의 사이에 배치되는 서브프레임(250)이 거치될 수 있고, 체결부재에 의해 제2 설치브라켓(400)과 서브프레임(250)의 단부가 고정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유닛(200) 설치단계는, 상기 서브프레임(250) 및, 상기 제2 설치브라켓(400)이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된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을 커버토록 제공되는 커버부재(500)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유닛화된 부품 20: 수직프레임
21: 분할프레임 100: 메인프레임
200: 서브프레임유닛 210: 패널부재
230: 패널프레임 231: 스택조인트
233: 가로패널프레임 235: 세로패널프레임
236: 삽입홈 250: 서브프레임
251: 프레임고정부 253: 브라켓고정부
255: 절곡판 300: 제1 설치브라켓
310: 브라켓판 330: 연장바
350: 상부절곡바 400: 제2 설치브라켓
410: 브라켓본체 430: 서브프레임 거치부
450: 커버거치부 500: 커버부재

Claims (13)

  1. 건축물의 외벽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건축물의 외피를 형성하는 서브프레임유닛;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의 배면에 삽입되어 고정하는 제1 설치브라켓;
    상기 메인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을 거치하여 고정하는 제2 설치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은 공장에서 일체로 제작되고, 시공현장에서 상기 제1 설치브라켓 및, 상기 제2 설치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메인프레임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은,
    건축물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구획하는 패널부재;
    상기 패널부재의 배면에 제공되어 상기 패널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제1 설치브라켓에 삽입 고정되는 패널프레임; 및,
    상기 패널프레임의 배면에서 가로방향으로 제공되어, 상기 제2 설치브라켓에 양단부가 거치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서브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패널프레임은,
    상기 패널부재 배면의 세로방향 양단부 영역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세로방향으로 적층 연결되는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의 연결부분을 제공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을 매개로 상기 제2 설치브라켓에 고정되는 스택조인트;
    상기 패널부재 배면의 중앙영역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패널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을 매개로 상기 제2 설치브라켓에 고정되는 가로패널프레임; 및,
    상기 패널부재의 세로방향 테두리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설치브라켓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세로패널프레임;을 구비하는 세미유닛 커튼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건축물의 외벽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롤포밍방식에 의해 제작된 폐단면 형상을 가지는 스틸부재로 구비되는 세미유닛 커튼월.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설치브라켓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면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설치되고, 세로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브라켓판;
    상기 브라켓판의 가로방향 양단부측에서 전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연장바; 및,
    상기 연장바에서 상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패널부재의 배면에 설치된 패널프레임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 고정되는 한 쌍의 상부절곡바;를 구비하는 세미유닛 커튼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설치브라켓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측면에 설치되는 브라켓본체;
    상기 브라켓본체의 상면에서 내입 형성되고, 상기 서브프레임이 설치되는 서브프레임 거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이 상기 서브프레임 거치부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프레임과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을 관통하여 체결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유닛 커튼월.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스택조인트의 배면 또는 상기 가로패널프레임의 배면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고,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스택조인트의 배면 또는 상기 가로패널프레임의 배면에 고정되는 프레임고정부; 및,
    상기 프레임고정부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2 설치브라켓에 거치된 상태에서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브라켓고정부;를 구비하는 세미유닛 커튼월.
  8. 삭제
  9. 건축물의 외벽에 세로방향으로 설치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에 설치되어 건축물의 외피를 형성하는 서브프레임유닛;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전면에 형성되고,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의 배면에 삽입되어 고정하는 제1 설치브라켓;
    상기 메인프레임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을 거치하여 고정하는 제2 설치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은 공장에서 일체로 제작되고, 시공현장에서 상기 제1 설치브라켓 및, 상기 제2 설치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메인프레임에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은,
    건축물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구획하는 패널부재;
    상기 패널부재의 배면에 제공되어 상기 패널부재를 지지하고, 상기 제1 설치브라켓에 삽입 고정되는 패널프레임; 및,
    상기 패널프레임의 배면에서 가로방향으로 제공되어, 상기 제2 설치브라켓에 양단부가 거치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서브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2 설치브라켓이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된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을 커버토록 제공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폐단면의 일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구비되고, 개방된 단부영역에 형성된 제1 체결부가, 상기 패널프레임의 배면에 형성된 제2 체결부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유닛 커튼월.
  10. 제1항, 제2항 제4항, 제5항, 제7항 및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세미유닛 커튼월의 시공방법이고,
    건축물의 외부에 설치되어 하중을 지지하는 메인프레임을 준비하는 단계;
    건축물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구획하는 서브프레임유닛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메인프레임을 건축물의 외벽에 세로방향으로 설치하는 메인프레임 설치단계;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된 상기 메인프레임에 형성된 제1설치브라켓 및, 제2 설치브라켓에 복수 개의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을 설치하여, 건축물의 외피를 형성하는 서브프레임유닛 설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은,
    건축물의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구획하는 패널부재;
    상기 패널부재의 배면에 제공되어 상기 패널부재를 지지하는 패널프레임; 및,
    상기 패널프레임의 배면에서 가로방향으로 제공되어, 상기 설치브라켓에 양단부가 거치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서브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은 공장에서 일체로 제작되고, 시공현장에서 상기 제1 설치브라켓 및, 상기 제2 설치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메인프레임에 일체로 설치되는 세미유닛 커튼월의 시공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유닛 설치단계는,
    건축물의 상하층의 바닥구조물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에 하나의 서브프레임유닛을 세로방향 전체에 걸쳐서 일체로 설치하되,
    복수 개의 상기 서브프레임유닛을 가로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미유닛 커튼월의 시공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유닛 설치단계는,
    상기 패널프레임의 배면을 제1 설치브라켓에 삽입하여 고정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을 제2 설치브라켓에 거치하는 단계;
    상기 서브프레임이 제2 설치브라켓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서브프레임과 상기 제2 설치브라켓을 체결부재로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미유닛 커튼월의 시공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유닛 설치단계는,
    상기 서브프레임 및, 상기 제2 설치브라켓이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된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영역을 커버토록 제공되는 커버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세미유닛 커튼월의 시공방법.
KR1020150179863A 2015-12-16 2015-12-16 세미유닛 커튼월 및, 세미유닛 커튼월의 시공방법 KR101795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863A KR101795878B1 (ko) 2015-12-16 2015-12-16 세미유닛 커튼월 및, 세미유닛 커튼월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863A KR101795878B1 (ko) 2015-12-16 2015-12-16 세미유닛 커튼월 및, 세미유닛 커튼월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383A KR20170072383A (ko) 2017-06-27
KR101795878B1 true KR101795878B1 (ko) 2017-11-09

Family

ID=59514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863A KR101795878B1 (ko) 2015-12-16 2015-12-16 세미유닛 커튼월 및, 세미유닛 커튼월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8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268B1 (ko) * 2020-12-18 2023-10-19 (주)거광기업 다기능 플랫폼 커튼월 시스템
KR102604089B1 (ko) * 2021-12-17 2023-11-22 삼성물산(주) 모듈 외배수 시스템과 유닛 내배수 시스템을 갖는 고성능 메탈패널 유닛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902B1 (ko) * 2010-04-07 2010-11-26 (주)원남양행 커튼월 시스템의 내부 마감 부재 및 그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902B1 (ko) * 2010-04-07 2010-11-26 (주)원남양행 커튼월 시스템의 내부 마감 부재 및 그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383A (ko) 201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3276B1 (ko) 스틸 커튼월 장치
US6148572A (en) Wall construction
JP5239603B2 (ja) 内壁構造
KR101795878B1 (ko) 세미유닛 커튼월 및, 세미유닛 커튼월의 시공방법
KR101173795B1 (ko) 조립식 트러스 구조
KR101071106B1 (ko) 체결 브라켓을 활용한 커튼월 시스템의 체결 구조
KR101230245B1 (ko) 스틸 커튼 월 시스템의 단열박스
KR20110015899A (ko) 스틸 커튼 월 시스템의 수직프레임 및 프레임 결합구조
US2960195A (en) Wall facing
KR101099368B1 (ko) 커튼월
KR20180048168A (ko) 스틸커튼월용 유리패널모듈의 수직고정장치
KR101673418B1 (ko) 건축물의 오픈 조인트 커튼 월 시공용 복합 외장 패널 조립체 유닛
KR101037195B1 (ko) 커튼월 프레임용 조립식 각관
KR101673423B1 (ko) 건축물의 오픈 조인트 커튼월 외장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N113073814A (zh) 一种pc外挂墙板板间窗的连接结构
KR101930473B1 (ko) 스테인레스 단열창호 프레임 구조
JP4782568B2 (ja) エレベータ乗かごの側板構造
CN210263535U (zh) 装配式隔墙结构及隔墙模块与墙面的连接节点结构
JP5912465B2 (ja) 建物及び建物の製造方法
CN111677410A (zh) 幕墙式窗
JP6872408B2 (ja) ダブルスキンカーテンウォール
KR20160079605A (ko) 삽입식 몰드 타입 커튼월
KR20190062360A (ko) 단열성이 향상된 복합성능 방화문
KR101428206B1 (ko) 벽체 패널유닛과 이를 이용한 벽체 구조체
CN214785681U (zh) 一种pc外挂墙板板间窗的连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