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737B1 - 3분할 디지털 시네마의 상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3분할 디지털 시네마의 상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5737B1
KR101795737B1 KR1020160031510A KR20160031510A KR101795737B1 KR 101795737 B1 KR101795737 B1 KR 101795737B1 KR 1020160031510 A KR1020160031510 A KR 1020160031510A KR 20160031510 A KR20160031510 A KR 20160031510A KR 101795737 B1 KR101795737 B1 KR 101795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entral
additional
scree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1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7779A (ko
Inventor
김선태
김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네마이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네마이스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네마이스터
Priority to KR1020160031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5737B1/ko
Publication of KR20170107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7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5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5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02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04N9/312Driving therefor
    • G02B27/26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H04N13/042
    • H04N13/043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2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varifocal lenses or mi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04N13/339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using spatial multiple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5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images from a temporal image sequence, e.g. for a stroboscopic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넓은 디지털 시네마를 상영 할 수 있는 디지털 시네마 상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2개의 영상채널을 가지는 디지털 시네마 영상을 제작하고, 상기 제작된 2개의 영상채널을 순차적으로 주사하여, 상기 주사된 주사광의 광 경로를 채널별로 상이하게 변형하여 상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시네마의 상영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광 경로변경 컨버터(17)를 제공한다.

Description

3분할 디지털 시네마의 상영 방법 및 장치{3 split digital cinema screening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디지털 시네마 기술에 관한 것이며, 특히 디지털 시네마의 제작, 데이터 처리, 상영 방법 등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시네마는 디지털 기술에 의해 제작되고 상영된다. 다양한 영상 기술, 음향 기술, DRM 기술에 의해서 디지털 시네마 기술이 발전해 왔다.
최근 디지털 시네마의 영상은 종래의 2K 규격( 폭 2048 픽셀, 높이 1080 픽셀 )을 넘어서는 4K( 폭 4096 픽셀, 높이 21060 픽셀) 해상도를 가지는 디지털 시네마 영상의 촬영기술이 보편화되고 보급되고 있다. 따라서, 더 높은 해상도를 가지는 4K 해상도의 디지털 시네마 영상의 제작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높아진 해상도의 영상을 상영하기 위해서 영화관에서 사용되는 프로젝터도 4K 해상도에 맞추어 4K 해상도의 프로젝터 보급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시네마 영상의 촬영기술의 발전은 지속적으로 이루어 질 것이며, 또한, 제작되는 디지털 시네마 영상들은 4K 넘어서 8K, 16K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고 제작될 것이다. 그에따른 상영관에서 사용되는 프로젝터의 해상도 또한 증가할 것이다.
종래의 디지털 시네마에 대한 영화관에서의 관람자 시야각은 대략 30~60도 정도를 보였다. 종래의 관람자 시야각보다 더 넓은 시야각으로 관람자의 시청환경을 높이기 위해서는 적어도 2대 이상의 프로젝터를 사용해야 했다. 적어도 2대 이상의 프로젝터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하여 화면의 넓이를 증가시켜 관람자 시야각을 넓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영화 촬영 현장에서 적어도 2대 이상의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영상을 촬영 해야 하고 그에 따른 추가적인 제작비용의 발생을 피할 수 없다. 또한, 이와 같은 화면의 넓이가 넓은 디지털 시네마를 상영하는 종래의 영화관에서도 영상에 맞추어 추가적인 프로젝터의 설치가 되어야 하므로 비용 발생 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사용에 제약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넓은 시야각을 갖는 신규한 디지털 시네마를 상영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새로운 상영방법이라고 하더라도, 종래의 상영영기술과 비교하여 상영 장비의 변화를 초래한다면 영화를 상영하는 현장에서 적용되기 어렵다는 사실을 본 발명의 발명가들은 인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현장 상영기술에 특별한 변화를 초래하지 않음을 전제로 할 것이다.
넓은 시야각을 갖는 디지털 시네마의 상영을 위해서 적어도 2대 이상의 프로젝터를 사용 하여야 했던 종래의 방법과는 달리 본 발명은 넓은 시야각을 갖는 디지털 시네마를 상영함에 있어 종래와 같은 1대의 프로젝터를 사용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4K해상도를 넘어서 8K 이상의 규격에 대하여도 상영 장비의 변화를 초래하지 않음을 보장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국면은 디지털 시네마의 제작 방법으로서:
카메라 장치가 오브젝트를 촬영하여 원본 영상 파일을 획득하는 원본 영상 파일 획득 단계, 상기 원본 영상 파일의 영상 화면을 미리 정해진 유효범위에 따라 상하 부분을 절단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하는 편집 영상 생성 단계, 상기 생성된 편집 영상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들을 영상 화면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영상 및 상기 중앙영상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영상, 상기 중앙영상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영상으로 분할하는 영상 분할 단계, 상기 영상 분할 단계를 수행한 분할된 영상에 프레임 단위로 블랭크 영역을 할당하는 블랭크 영역 할당 단계, 상기 블랭크 영역이 할당 된 영상 중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붙여 부가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조합 단계, 상기 중앙영상과 상기 부가영상을 시간방향으로 교대로 배열하는 피부호화 프레임 구성 단계, 상기 구성된 피부호화 프레임을 규격에 맞게 부호화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 데이터 저장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본 영상 파일 획득 단계의 원본 영상 파일의 해상도 규격이 2n+1K(n은 자연수) 해상도인 경우에, 상기 영상 분할 단계의 중앙영상 및 상기 좌측영상과 상기 우측영상이 조합된 부가영상의 해상도는 각각 2nK 해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국면은 디지털 시네마의 상영 방법으로서:
중앙영상과 부가영상으로 구성되어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가지는 디지털 시네마 영상을 제작하는 영상 제작 단계, 상기 제작된 디지털 시네마의 영상파일을 컨텐츠서버(30)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영상파일을 프로젝터(16)로 전송하는 영상파일 전송 단계, 상기 전송받은 영상파일을 주사하는 영상 주사 단계, 상기 영상 주사 단계에서 주사된 주사광의 광경로를 중앙영상의 광경로와 부가영상의 광경로가 상이하게 변경하는 광경로 변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영상 제작 단계에서 제작하는 디지털 시네마 영상은 중앙영상과 좌측영상 및 우측영상을 조합한 부가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영상과 부가영상으로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중앙영상과 상기 부가영상이 프레임 단위로 시간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경로 변경 단계는, 상기 중앙영상이 스크린에 투사되는 중앙영상 투사영역과 상기 부가영상 중 좌측 스크린에 투사되는 좌측영상 투사영역 및 상기 부가영상 중 우측 스크린에 투사되는 우측영상 투사영역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중앙영상의 광경로와 부가영상의 광경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앙영상과 부가영상으로 구성되어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가지는 영상을 상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앙영상과 부가영상으로 구성되어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주사하는 영상 주사 단계, 상기 영상 주사 단계에서 주사되는 주사광의 광경로를 중앙영상의 광경로와 부개영상의 광경로가 상이하게 변경하는 광경로 변경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광경로 변경 단계는, 상기 중앙영상과 부가영상으로 구성되어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의 영상이 스크린에 투사되는 각각의 투사영역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광경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컨텐츠 서버(30)는 카메라 장치가 오브젝트를 촬영하여 원본 영상 파일을 획득하는 원본 영상 파일 획득 모듈, 상기 원본 영상 파일의 영상 화면을 미리 정해진 유효범위에 따라 상하 부분을 절단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하는 편집 영상 생성 모듈, 상기 생성된 편집 영상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들을 영상 화면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영상 및 상기 중앙영상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영상, 상기 중앙영상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영상으로 분할하는 영상 분할 모듈, 상기 영상 분할 모듈에서 분할된 영상에 프레임 단위로 블랭크 영역을 할당하는 블랭크 영역 할당 모듈, 상기 블랭크 영역이 할당 된 영상 중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붙여 부가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조합 모듈, 상기 중앙영상과 상기 부가영상을 시간방향으로 교대로 배열하는 피부호화 프레임 구성 모듈, 상기 구성된 피부호화 프레임을 규격에 맞게 부호화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 데이터 저장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 경로변경 컨버터(17)는, 프로젝터(16)가 주사하는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 상기 입력 받은 영상을 중앙영상과 좌측영상 및 우측영상으로 분리해 광경로를 분리하는 광 분리기, 상기 광 분리기에서 분리된 좌측영상을 스크린의 좌측 투사영역(120)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광 경로를 구성하는 제1 반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광 분리기에서 분리된 우측영상을 스크린의 우측 투사영역(130)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광 경로를 구성하는 제2 반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16)가 주사하는 영상은 중앙영상과 부가영상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영상은 프레임 단위로 순차적으로 주사되어 상기 영상 입력부로 입력되며,
상기 광 분리기는 입력 영상을 주기적으로 반사와 투과를 반복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부가영상 중 좌측영상은 상기 제 1 반사부재로 향하게 하고 상기 부가영상 중 우측영상은 상기 제 2 반사부재로 향하게 하며 중앙채널의 영상은 투과하여 스크린의 중앙투사영역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 분리기는, 상기 입력받은 영상 중 중앙영상은 P-편광 영상으로 변환 시키고, 입력받은 영상 중 부가영상은 S-편광 영상으로 변환 시키는 Polarizer(편광기)와 상기 변환된 P-편광 영상은 투과 시키고, 상기 변환된 S-편광 영상은 반사 시키는 PBS(편광 광 분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편광기(Polarizer)의 P-편광 및 S-편광 변환주기를 상기 컨텐츠 서버(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주기와 동기화함으로써, 상기 입력받은 영상 중 중앙영상은 P-편광 영상으로 변환 시키고, 입력받은 영상 중 부가영상은 S-편광 영상으로 변환 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 분리기는, 상기 입력받은 영상 중 중앙영상은 투과시키고, 입력받은 영상 중 부가영상은 반사시키는 REM(가역적 전기화학 미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REM(가역적 전기화학 미러)의 스위치와 상기 컨텐츠 서버(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주기를 동기화하여, 상기 입력되는 영상 이 중앙영상 일 경우에는 REM(가역적 전기화학 미러)의 스위치를 off 시키고, 입력된 영상 이 부가영상 일 경우에는 REM(가역적 전기화학 미러)의 스위치를 on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의한 영화상영 시스템은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으로 구성되어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가지는 디지털 시네마 영상을 저장하고 이를 프로젝터(16)로 출력하는 컨텐츠 서버(30), 상기 컨텐츠 서버(30)에 저장 되어 있는 부호화된 영상을 주사하는 프로젝터(16), 상기 프로젝터(16)와 스크린 사이에 위치하는 광 경로변경 컨버터(17) 및 상기 컨텐츠 서버(30)에서 출력되는 영상과 상기 광 분리기의 동작을 동기화하는 제어장치(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상술한 종래의 발명에 있어서 두개의 프로젝터(16)를 이용하여 넓은 화면을 구현 할 수 밖에 없는 점을 극복할 수 있다.
즉, 중앙영상과 부가영상으로 나누어진 영상을 광 경로변경 컨버터(17)를 이용하여 영상화면을 중앙 투사영역(110)과 좌측 투사영역(120) 및 우측 투사영역(130)으로 투사 함으로써 1개의 프로젝터(16)를 이용하여 2개의 프로젝터(16)를 이용한 것과 같은 넓은 화면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상영관에서는 종래의 장비의 교체 없이 관람자에게 시야각이 크고 화면의 동적 구현이 가능한 영화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따른 디지털 시네마 상영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따른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의 조합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프레임 시퀀셜(frame sequential) 방식을 도식화 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따른 디지털 시네마의 제작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프로우 도이다.
도 5는 디지털 시네마의 상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광 분리 컨버터(17)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광 분리 컨버터(17)의 구성중 광 분리기로 PBS(Polarizing Beam Splitter)가 사용된 경우의 구조와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써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지털 시네마의 제작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먼저 영화 촬영 현장에서 디지털 카메라 장치가 오브젝트를 촬영하여 원본 영상파일을 획득한다(S200). 영화를 촬영하는 현장에서는 다수의 카메라 장치가 사용될 것이지만, 카메라 장치들은 개별적으로 독립하여 영상 파일을 획득할 것이며, 편집 과정에서 상영되는 영상 파일이 결정될 것이다.
다음으로 원본 영상파일의 화면들을 미리 정해진 유효 범위에 따라 상하 부분을 절단한다(S210).
영화를 촬영할 때 화면의 어느 부분이 편집과정에서 절단되는지를 아는 것은 실무상 중요하다. 카메라 장치가 오브젝트를 촬영하고 있는 경우에,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영상이 카메라 장치의 모니터 화면에 표시된다. 이때 모니터 화면에는 이후 편집 과정에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따라 절단되는 부분과 남아 있는 부분이 함께 표시되는 것이다. 요컨대 볼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카메라 장치의 모니터 화면이 가이드박스가 표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대체 실시예에서는 모니터 화면에 선을 그어서 가이드박스를 표시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서 종래의 카메라 장치를 교체해야 하거나 종래의 방식과는 다르게 영상을 촬영해야 하는 기술적 불이익을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원본 파일의 영상 화면을 상하 부분으로 절단한 다음에는 편집 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을 도 2의 가이드라인에 따라서 영상 화면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영상 및 상기 중앙영상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영상, 상기 중앙영상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영상으로 분할 한다(S220).
상기 S220 단계를 통해서 영상을 중앙영상,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으로 분할하는 작업은 각 단위 영상 프레임마다 행해진다. 이때 중앙영상,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에 프레임 단위로 블랭크 영역을 할당한다(S230).
도 2는 상기 S230 단계를 수행한 영상 중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붙여 부가영상을 생성하는(S240) 것을 도시한 것이다.
블랭크 영역이 할당된 상기 중앙영상과 상기 부가영상을 시간방향으로 교대로 배열하여 피부호화 프레임을 구성한다(S250).
도 3(a)는 상기 S250 단계에서 중앙영상과 우측영상을 시간방향으로 교대로 배열(프레임 시퀀셜 : frame sequential방식)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상기 프레임 시퀀셜 방식은 풀(full)해상도의 영상 재생이 가능하다. 종래의 영상의 재생은 24fps(frame per second)로 1초에 24장의 화면을 출력 하는 것이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을 시간방향으로 교대로 배열하여 종래와 같은 24fps의 영상을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이 포함되어 48fps로 출력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프레임 시퀀셜 방식은 영상의 깜박임이 존재 할 수 있다. 따라서 3(b)와 같이 97fps, 144fps 이상으로 1초당 출력하는 영상의 수를 증가시켜 깜빡임을 줄일 수 있다.
상기 S250 단계를 실행하여 구성된 피부호화 프레임을 규격에 맞게 부호화하여 만들어진 영상 데이터를 저장(S260)하여 최종적으로 상영될 영상이 제작되는 것이다.
현재 촬영 현장의 장비는 주로 2K 카메라를 사용하여 때때로 4K 해상도 규격의 카메라를 사용하지만, 장차 8K 카메라를 사용하여 영화를 촬영할 수 있다. 마찬가지고 16K, 32K 규격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원본 영상 파일의 해상도 규격이 2n+1K(n은 자연수) 해상도인 경우에, 2nK 해상도의 영상 파일을 얻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따른 디지털 시네마 영상의 상영 방법의 전체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S260 단계를 수행하여 중앙영상과 부가영상으로 구성되어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가지는 디지털 시네마 영상을 제작한다(S100).
상기 S100 단계를 수행하여 제작된 디지털 시네마의 영상파일을 컨텐츠서버(30)에 저장한다(S110).
상기 S110 단계에서 저장된 영상파일을 프로젝터(16)로 전송한다(S120).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전송 받은 영상파일을 스크린으로 주사한다(S130). 상기 주사된 주사광의 광경로를 중앙영상의 광경로와 좌측영상의 광경로, 우측영상의 광경로가 상이하게 변경한다(S140).
상기 S100단계에서 제작되는 디지털 시네마 영상은 중앙영상과 부가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영상과 부가영상으로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중앙영상과 상기 부가영상이 프레임 단위로 시간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S140 단계는, 상기 중앙영상이 스크린에 투사되는 중앙 투사영역(110)과 상기 부가영상 중 좌측 스크린에 투사되는 좌측 투사영역(120) 및 상기 부가영상 중 우측 스크린에 투사되는 우측 투사영역(130)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중앙영상의 광경로와 부가영상의 광경로를 변경하여 넓은 디지털 시네마를 상영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화상영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영화상영 시스템은, 중앙영상과 부가영상으로 구성되어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가지는 디지털 시네마 영상을 저장하고 이를 프로젝터(16)로 출력하는 컨텐츠 서버(30), 상기 컨텐츠 서버(30)에 저장되어 있는 부호화된 영상을 주사하는 프로젝터(16), 상기 프로젝터(16)와 스크린 사이에 위치하는 광 경로변경 컨버터(17), 상기 컨텐츠 서버(30)에서 출력되는 영상과 광 분리기의 동작을 동기화하는 제어장치(31)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서버(30)는, 원본 영상 파일 획득 모듈, 편집 영상 생성 모듈, 영상 분할 모듈, 블랭크 영역 할달 모듈, 피부호화 프레임 구성 모듈, 영상 데이터 저장 모듈로 구성 될 수 있다.
원본 영상 파일 획득 모듈은 촬영 현장에서 카메라 장치가 오브젝트를 촬영한 원본 영상 파일을 획득한다.
편집 영상 생성 모듈은 상기 원본 영상 파일의 영상 화면을 미리 정해진 유효범위에 따라 상하 부분을 절단하여 필요영상 부분으로 편집한다.
영상 분할 모듈은 상기 편집 영상 생성 모듈에서 편집된 편집영상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들을 영상 화면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영상 및 상기 중앙영상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영상, 상기 중앙영상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영상으로 분할한다.
블랭크 영역 할당 모듈은 상기 영상 분할 모듈에서 분할된 영상에 프레임 단위로 블랭크 영역을 할당한다.
영상 조합 모듈은 상기 블랭크 영역이 할당 된 영상 중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붙여 부가영상을 생성한다.
피부호화 프레임 구성 모듈은 상기 중앙영상과 상기 부가영상을 시간방향으로 교대로 배열하는 피부호화 프레임 구성한다.
영상 데이터 저장 모듈은 상기 구성된 피부호화 프레임을 규격에 맞게 부호화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따른 광 경로변경 컨버터(17)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광 경로변경 컨버터(17)는 프로젝터(16)가 주사하는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11), 상기 입력 받은 영상을 중앙영상과 부가영상의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으로 분리해 광경로를 분리하는 광 분리기(12), 상기 광 분리기(12)에서 분리된 좌측영상을 스크린의 좌측 투사영역(120)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광경로를 구성하는 제1 반사부재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분리기(12)에서 분리된 우측영상을 스크린의 우측 투사영역(130)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광 경로를 구성하는 제2 반사부재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프로젝터(16)가 주사하는 영상은 중앙영상과 부가영상은 프레임 단위로 순차적으로 주사되어 상기 영상 입력부(11)로 입력된다.
상기 영상이 입력된 입력부는 상기 중앙영상과 상기 부가영상을 상기 광 분리기(12)로 그대로 전달하고, 상기 광 분리기(12)는 입력 영상을 주기적으로 반사와 투과를 반복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광 분리기(12)로 입력된 영상 중에 부가영상을 구성하는 좌측영상은 상기 제 1 반사부재(13)로 반사된다. 또한, 상기 광 분리기(12)로 입력된 영상 중 부가영상을 구성하는 우측영상은 상기 제 2 반사부재로 반사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반사부재(13)로 진행된 상기 좌측영상은 상기 제 1 반사부재(13)에 반사되어 스크린의 좌측 투사영역(120) 방향으로 진행시킨다. 상기 제 2 반사부재(14)로 진행된 상기 우측영상은 상기 제 2 반사부재(14)에 반사되어 스크린의 우측 투사영역(130) 방향으로 진행시킨다. 반면, 상기 광 분리기(12)로 입력된 영상 중에 상기 중앙영상은 상기 광 분리기(12)를 투과하여 스크린의 중앙 투사영역(110) 방향으로 진행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의 상기 광 경로변경 컨버터(17) 내에 위치한 상기 광 분리기는 상기 입력받은 영상 우측영상은 P-편광 영상으로 변화시키고, 입력받은 영상 중 좌측영상과 부가영상으로 구성되는 부가영상은 S-편광 영상으로 변환시키는 Polarizer(편광기)(15)와 상기 변환된 P-편광 영상은 투과시키고, 상기 변환된 S-편광 영상은 반사시키는 PBS(편광 광 분할기)(18)를 포함하여 구성 할 수 있다. 상기 PBS(편광 광 분할기)(18)에서 반사된 부가영상을 구성하는 좌측영상은 상기 제 1 반사부재(13)에 반사되어 상기 스크린의 좌측 투사영역(120)으로 진행하고, 상기 PBS(편광 광 분할기)(18)에서 반사된 부가영상을 구성하는 우측영상은 상기 제 2 반사부재(14)에 반사되어 상기 스크린의 우측 투사영역(130)으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PBS(편광 광 분할기)(18)를 투과한 중앙영상은 상기 스크린의 중앙 투사영역(110)으로 진행한다.
상기 편광기(Polarizer)(15)의 P-편광 및 S-편광 변환주기를 상기 컨텐츠 서버(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주기와 동기화함으로써, 상기 입력받은 영상 중 중앙영상은 P-편광 영상으로 변환 시키고, 입력받은 영상 중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으로 구성되는 부가영상은 S-편광 영상으로 변환 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1)를 포함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경로변경 컨버터(17) 내에 위치한 상기 광 분리기(12)는 상기 입력받은 영상 중 중앙영상은 투과시키고, 입력받은 영상 중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으로 구성된 부가영상은 반사시키는 REM(가역적 전기화학 미러)으로 구성 할 수 있다. 상기 REM(가역적 전기화학 미러)에서 반사된 상기 부가영상 중 좌측영상은 상기 제 1 반사부재(13)에 반사되어 상기 스크린의 좌측 투사영역(120)으로 진행하고, 상기 REM(가역적 전기화학 미러)에서 반사된 상기 부가영상 중 우측영상은 상기 제 2 반사부재(14)에 반사되어 상기 스크린의 우측 투사영역(130)으로 진행한다. 반면, 상기 REM(가역적 전기화학 미러)을 투과한 상기 중앙채널 영상은 상기 스크린의 중앙 투사영역(110)으로 진행한다.
상기 REM(가역적 전기화학 미러)의 스위치와 상기 컨텐츠 서버(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주기를 동기화하여, 상기 입력되는 영상이 중앙영상 일 경우에는 REM(가역적 전기화학 미러)의 스위치를 off 시키고, 입력된 영상이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으로 구성된 부가영상 일 경우에는 REM(가역적 전기화학 미러)의 스위치를 on 시키는 제어부(31)를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11. 영상 입력부 30. 컨텐츠 서버
12. 광 분리기 31. 제어부
13. 제 1 반사부재 100. 스크린
14. 제 2 반사부재 110. 중앙 투사영역
15. Polarizer 120. 좌측 투사영역
16. 프로젝터 130. 우측 투사영역
17. 광 경로변경 컨버터
18. PBS(편광 광 분리기)

Claims (14)

  1. 카메라 장치가 오브젝트를 촬영하여 원본 영상 파일을 획득하는 원본 영상 파일 획득 단계;
    상기 원본 영상 파일의 영상 화면을 미리 정해진 유효범위에 따라 상하 부분을 절단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하는 편집 영상 생성 단계;
    상기 생성된 편집 영상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들을 영상 화면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영상 및 상기 중앙영상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영상, 상기 중앙영상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영상으로 분할하는 영상 분할 단계;
    상기 영상 분할 단계를 수행한 분할된 영상에 프레임 단위로 블랭크 영역을 할당하는 블랭크 영역 할당 단계;
    상기 블랭크 영역이 할당 된 영상 중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붙여 부가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조합 단계;
    상기 중앙영상과 상기 부가영상을 시간방향으로 교대로 배열하는 피부호화 프레임 구성 단계;
    상기 구성된 피부호화 프레임을 규격에 맞게 부호화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 데이터 저장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시네마의 제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 영상 파일 획득 단계의 원본 영상 파일의 해상도 규격이 2n+1K(n은 자연수) 해상도인 경우에, 상기 영상 분할 단계의 중앙영상 및 상기 좌측영상과 상기 우측영상이 조합된 부가영상의 해상도는 각각 2nK 해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시네마의 제작 방법.
  3. 중앙영상과 부가영상으로 구성되어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가지는 디지털 시네마 영상을 제작하는 영상 제작 단계;
    상기 제작된 디지털 시네마의 영상파일을 컨텐츠서버(30)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영상파일을 프로젝터(16)로 전송하는 영상파일 전송 단계;
    상기 전송받은 영상파일을 주사하는 영상 주사 단계;
    상기 영상 주사 단계에서 주사된 주사광의 광경로를 중앙영상의 광경로와 부가영상의 광경로가 상이하게 변경하는 광경로 변경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시네마의 상영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제작 단계에서 제작하는 디지털 시네마 영상은 중앙영상과 좌측영상 및 우측영상을 조합한 부가영상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영상과 부가영상으로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는;
    상기 중앙영상과 상기 부가영상이 프레임 단위로 시간방향으로 교대로 배열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시네마의 상영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로 변경 단계는,
    상기 중앙영상이 스크린에 투사되는 중앙영상 투사영역과 상기 부가영상 중 좌측 스크린에 투사되는 좌측영상 투사영역 및 상기 부가영상 중 우측 스크린에 투사되는 우측영상 투사영역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중앙영상의 광경로와 부가영상의 광경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시네마의 상영 방법.
  6. 중앙영상과 부가영상으로 구성되어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가지는 영상을 상영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앙영상과 부가영상으로 구성되어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를 주사하는 영상 주사 단계;
    상기 영상 주사 단계에서 주사되는 주사광의 광경로를 중앙영상의 광경로와 부개영상의 광경로가 상이하게 변경하는 광경로 변경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광경로 변경 단계는, 상기 중앙영상과 부가영상으로 구성되어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의 영상이 스크린에 투사되는 각각의 투사영역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광경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시네마의 상영 방법.
  7. 카메라 장치가 오브젝트를 촬영하여 원본 영상 파일을 획득하는 원본 영상 파일 획득 모듈;
    상기 원본 영상 파일의 영상 화면을 미리 정해진 유효범위에 따라 상하 부분을 절단하여 편집 영상을 생성하는 편집 영상 생성 모듈;
    상기 생성된 편집 영상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들을 영상 화면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영상 및 상기 중앙영상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영상, 상기 중앙영상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영상으로 분할하는 영상 분할 모듈;
    상기 영상 분할 모듈에서 분할된 영상에 프레임 단위로 블랭크 영역을 할당하는 블랭크 영역 할당 모듈;
    상기 블랭크 영역이 할당 된 영상 중 좌측영상과 우측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붙여 부가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조합 모듈;
    상기 중앙영상과 상기 부가영상을 시간방향으로 교대로 배열하는 피부호화 프레임 구성 모듈;
    상기 구성된 피부호화 프레임을 규격에 맞게 부호화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 데이터 저장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서버(30).
  8. 프로젝터(16)가 주사하는 영상을 입력받는 영상 입력부;
    상기 입력 받은 영상을 중앙영상과 좌측영상 및 우측영상으로 분리해 광경로를 분리하는 광 분리기;
    상기 광 분리기에서 분리된 좌측영상을 스크린의 좌측 투사영역(120)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광 경로를 구성하는 제1 반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광 분리기에서 분리된 우측영상을 스크린의 우측 투사영역(130)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광 경로를 구성하는 제2 반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프로젝터(16)로부터 주사되는 영상의 광 경로를 변경하는 광 경로변경 컨버터(17).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16)가 주사하는 영상은 중앙영상과 부가영상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영상은 프레임 단위로 순차적으로 주사되어 상기 영상 입력부로 입력되며;
    상기 광 분리기는,
    입력 영상을 주기적으로 반사와 투과를 반복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부가영상 중 좌측영상은 상기 제 1 반사부재로 향하게 하고;
    상기 부가영상 중 우측영상은 상기 제 2 반사부재로 향하게 하며;
    중앙채널의 영상은 투과하여 스크린의 중앙투사영역 방향으로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경로변경 컨버터(17).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 분리기는,
    상기 입력받은 영상 중 중앙영상은 P-편광 영상으로 변환 시키고, 입력받은 영상 중 부가영상은 S-편광 영상으로 변환 시키는 편광기(Polarizer)와;
    상기 변환된 P-편광 영상은 투과 시키고, 상기 변환된 S-편광 영상은 반사 시키는 PBS(편광 광 분할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경로변경 컨버터(17).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기(Polarizer)의 P-편광 및 S-편광 변환주기를 상기 영상 입력부에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주기와 동기화함으로써, 상기 입력받은 영상 중 중앙영상은 P-편광 영상으로 변환 시키고, 입력받은 영상 중 부가영상은 S-편광 영상으로 변환 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경로변경 컨버터(17).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 분리기는,
    상기 입력받은 영상 중 중앙영상은 투과시키고, 입력받은 영상 중 부가영상은 반사시키는 REM(가역적 전기화학 미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경로변경 컨버터(17).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REM(가역적 전기화학 미러)의 스위치와 상기 영상 입력부에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주기를 동기화하여,
    상기 입력되는 영상 이 중앙영상 일 경우에는 REM(가역적 전기화학 미러)의 스위치를 off 시키고, 입력된 영상 이 부가영상 일 경우에는 REM(가역적 전기화학 미러)의 스위치를 on시키는 제어부(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경로변경 컨버터(17).
  14. 우측채널 영상 프레임과 좌측채널 영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이를 프로젝터(16)로 출력하는 컨텐츠 서버(30);
    상기 컨텐츠 서버(30)에 저장 되어 있는 영상 파일을 주사하는 프로젝터(16);
    상기 프로젝터(16)와 스크린 사이에 위치하는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3중 어느 한 항의 광 경로변경 컨버터(17); 및
    상기 컨텐츠 서버(30)에서 출력되는 영상의 프레임주기와 상기 광 경로변경 컨버터(17)의 광 경로 변환 동작을 동기화하는 제어부(31);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영화상영 시스템.
KR1020160031510A 2016-03-16 2016-03-16 3분할 디지털 시네마의 상영 방법 및 장치 KR101795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510A KR101795737B1 (ko) 2016-03-16 2016-03-16 3분할 디지털 시네마의 상영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1510A KR101795737B1 (ko) 2016-03-16 2016-03-16 3분할 디지털 시네마의 상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779A KR20170107779A (ko) 2017-09-26
KR101795737B1 true KR101795737B1 (ko) 2017-12-07

Family

ID=60036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1510A KR101795737B1 (ko) 2016-03-16 2016-03-16 3분할 디지털 시네마의 상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573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5495A1 (ko) * 2017-08-16 2019-02-21 주식회사 시네마이스터 3분할 디지털 시네마의 상영 방법 및 장치
KR20170004180U (ko) * 2017-11-24 2017-12-13 김병규 빔 프로젝터 3면 분할 렌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7779A (ko) 2017-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4896B2 (en) Network synchronized camera settings
JP6432029B2 (ja) 低コストでテレビ番組を制作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70276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video images
US20150124048A1 (en) Switchable multiple video track platform
TWI458338B (zh) 使用近端及遠端聚焦影像之三維記錄及顯示系統
EA018293B1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видео- и телеприсутствия
US2016034499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PANORAMIC AND STEREOSCOPIC VIDEOS
KR20080019686A (ko) 다차원 이미징 시스템 및 방법
JP5957769B2 (ja) 映像処理装置及び映像処理方法
KR101795737B1 (ko) 3분할 디지털 시네마의 상영 방법 및 장치
US202201914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jecting 2d and 3d motion pictures at high frame rates
US20200213631A1 (en) Transmission system for multi-channel imag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multi-channel image playback method and apparatus
US2013012053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US20210037168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virtual camera configuration and selection
KR101577671B1 (ko) 동적 시네마의 제작 및 실행 방법
Grau et al. 3D-TV R&D activities in europe
WO2019035495A1 (ko) 3분할 디지털 시네마의 상영 방법 및 장치
GB2354388A (e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e, broadcast and display of moving images
KR20170107874A (ko) 2분할 디지털 시네마의 상영 방법 및 장치
US20180227504A1 (en) Switchable multiple video track platform
Wimmer Stereoscopic player and stereoscopic multiplexer: a computer-based system for stereoscopic video playback and recording
KR102124194B1 (ko) 영상분석을 위한 다채널 영상 전송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9035494A1 (ko) 2분할 디지털 시네마의 상영 방법 및 장치
Rakov Unfolding the Assemblage: Towards an Archaeology of 3D Systems
JPH08102970A (ja) 3次元画像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