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5473B1 - 외래어종 확산 차단을 위한 동계 서식처 조절 시설물 - Google Patents
외래어종 확산 차단을 위한 동계 서식처 조절 시설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95473B1 KR101795473B1 KR1020160102734A KR20160102734A KR101795473B1 KR 101795473 B1 KR101795473 B1 KR 101795473B1 KR 1020160102734 A KR1020160102734 A KR 1020160102734A KR 20160102734 A KR20160102734 A KR 20160102734A KR 101795473 B1 KR101795473 B1 KR 1017954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acility
- foreign
- surface portion
- winter
- species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2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4000062662 apex predator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2447 hatch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20169 heat 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4000062645 predator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721654 Lepomis macrochir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9250 Cope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578 Daphn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1 eutroph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71 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03 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01M23/08—Collecting-traps with approaches permitting entry only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A01M23/12—Collecting-traps with devices for throwing the animal to a collecting chamb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래어종 확산 차단을 위한 동계 서식처 조절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후적으로 여름과 겨울에 적응되어 있는 우리나라 토종 어종과는 다른 습성을 가지는 외래어종의 독특한 습성을 이용하여 외래어종만을 포획함으로써 외래어종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는 동계 서식처 조절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외래어종 확산 차단을 위한 동계 서식처 조절 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후적으로 여름과 겨울에 적응되어 있는 우리나라 토종 어종과는 다른 습성을 가지는 외래어종의 독특한 습성을 이용하여 외래어종만을 포획함으로써 외래어종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는 동계 서식처 조절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 도입된 외래어종 배스는 수중생태계에 있어서 최상위 포식자에 해당한다. 이러한 배스는 원산지에서는 중간포식자에 해당하였으나, 국내에 도입되면서 최상위 포식자가 되었고, 이에 따라 원산지에서는 예측할 수 없었던 다양한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
안정된 생태계에 있어서 최상위 포식자의 개체 수는 극히 제한적이지만 어떠한 요인에 의해 불균형이 초래되면 각각의 영양단계의 생물군에 연쇄적으로 전달되어 결과적으로 생태계의 붕괴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까닭에 최상위 포식어류는 대량번식을 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배스는 원산지에서 중간포식자였기 때문에 다량의 알(체장 40cm 개체에 약 125,000개를 포란)을 산란하고, 부화 후 어미가 치어까지 보호하는 습성이 있어 치어의 초기 도태 비율이 낮아 우리나라에서는 순식간에 대량 증식되는 문제가 있다.
배스가 안정된 수생태계에 유입되었을 때 발생되는 문제점으로는, 첫째, 섭식생태에서 배스의 포식에 의하여 다양한 토종어류의 개체수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 일부 종은 멸종될 우려가 있다는 점, 둘째, 배스 초기 치어의 먹이생물은 물벼룩류, 요각류 등과 같은 동물성 플랑크톤으로서, 일반적인 토종어류의 치어기 먹이생물과 동일하기 때문에, 토종어류의 치어가 배스의 치어에 대한 먹이경쟁에서 밀려 성장발육이 불안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먹이경쟁에서 우월하여 보다 빨리 일정크기로 성장한 배스의 치어에게 포식된다는 점, 셋째, 유기물을 섭식하는 새우류를 포함한 다양한 무척추동물이 포식되어 감소 또는 절멸된다는 점, 넷째, 산란 또는 서식을 위해 수생태계를 이용하는 육상동물까지 포식함으로써 육상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 다섯째, 담수이매패의 번식에 있어서 중간매체 역할을 하는 저서성 유영어류의 감소로 말미암아 이매패의 개체수가 감소한다는 점 등이 있다.
상술한 배스 도입의 부작용은 블루길의 경우에도 별반 차이가 없다.
이와 같이 외래어종이 국내에 유입된 결과, 결과적으로 수생태계는 종다양성이 격감하게 되어 자정능력을 상실하게 된다. 자정능력을 상실한 수생태계는 오염원이 지속적으로 축적되어 부영양화를 야기하게 되고 이로 말미암아 녹조현상과 같은 수화현상이 빈번히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수질오염은 더욱 가속화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우리나라 토종 어종과는 다른 습성을 가지는 외래어종의 독특한 습성을 이용하여 외래어종만을 포획함으로써 외래어종의 확산을 차단할 수 있는 동계 서식처 조절 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동계에 하천 또는 저수지의 바닥에 설치되어 외래 어종을 유인하고 포획하는 시설물로서, 하천 또는 저수지 바닥 위에 놓여지는 저면부(10); 상기 저면부(10)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측면부(20); 상기 측면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상부면을 커버하는 상면부(30); 상기 저면부에 설치되는 발열본체(50); 및 상기 측면부 또는 상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마련되어, 시설물 외부의 외래 어종이 시설물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안내하고, 시설물 내부에 들어온 외래 어종이 다시 시설물 외부로 나가는 것을 억제하는 유입구(21,31);를 포함하는 시설물을 제공한다.
상기 시설물은, 상기 저면부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외향 연장되어 하천 또는 저수지 바닥과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시설물이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장면부(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설물의 발열본체(50)에는 발열본체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미끼열선(51)이 마련되고, 상기 미끼열선(51)은,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적어도 상기 상면부(30)에 마련된 상부유입구(31)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시설물의 상면부(30)에 마련된 상부유입구(31) 주변에는 상면부의 가장자리 쪽에서 상부유입구 쪽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경사면(23)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시설물의 측면부(20)에 마련된 측면유입구(21)에는 상단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설물 내부를 향해서는 열리고 시설물의 외부를 향해서는 열리지 않는 여닫이(25)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시설물의 측면부(20)에 마련된 측면유입구(21) 주변에는 외측에서 측면유입구(21) 쪽으로 갈수록 점점 시설물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경사면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계에 하천이나 저수지 바닥 최심부 부근에서 무리를 이루어 월동하고 구조물이나 장해물 근처에 서식하는 외래어종만의 국내 월동 특성을 이용하여, 하천이나 저수지 바닥면에 설치된 포획 시설물 내부에 설치된 발열본체로 시설물 내의 수온을 높여 외래어종만을 포획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미끼열선으로 외래어종을 더욱 강하게 유인할 수 있어 포획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계용 외래 어종 유인 포획 시설물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시설물의 정면 단면도들이다.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시설물의 정면 단면도들이다.
배스나 블루길과 같은 외래어종은 수온이 섭씨 15 ~ 25 도인 경우에는 활발한 활동을 보이지만, 수온이 섭씨 10도 이하로 떨어지는 동계에는 토종 어종과는 다른 습성을 보인다. 이들은 한국의 동계의 기후에 대해 월동을 하기 위해 수온이 안정적이고 수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최심부 근처에서 무리를 지어 소위 스쿨링(schooling)하며 월동을 한다. 특히 이러한 외래어종들은, 사계절이 뚜렷한 우리 나라 생태계에 적응해 왔던 오랜 세월 토종 어종들과 달리 수온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동계에 하천이나 저수지의 최심부, 즉 바닥에 이러한 외래어종을 유인하여 포획할 수 있는 시설물을 설치하고, 춘계가 오기 전에 상기 시설물에 의해 포획되는 외래어종을 제거하여, 외래어종의 확산을 막고자 한다.
이하, 동계에 외래 어종을 유인 및 포획하기 위한 시설물의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계용 외래 어종 유인 포획 시설물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시설물의 정면 단면도들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설물(1)은 대략 직육면체의 외관을 가지며 내부가 비어 있는 함체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가로 2m, 세로 3m, 높이 1m 정도를 가지는 직육면체의 함체가 예시된다. 다만 함체의 형태나 크기는 포획하고자 하는 외래 어종의 크기와 개체 수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시설물(1)은, 저수지 등의 바닥에 올려질 수 있는 저면부(10), 상기 저면부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네 측면부(20), 상기 측면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상부면을 커버하는 상면부(30)를 포함한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직육면체의 함체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함체의 저면부(10) 외측 가장자리에는, 외측을 향해 연장되어 하천 또는 저수지 바닥과 저면부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시설물이 바닥 밑으로 침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연장면부(11)를 더 포함한다.
함체의 내부에는 다른 곳보다 함체 내부의 공간, 즉 상기 저면부, 측면부 및 상면부에 의해 구획되는 시설물의 내부 공간의 수온을 더 높여주기 위한 발열본체(50)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렇게 다른 곳보다 더 높은 수온을 효과적으로 유지해주기 위해, 적어도 상기 저면부, 측면부, 상면부의 전부 혹은 일부는 시설물 내부가 들여다보일 수 있는 합성수지제 판(plate) 형태로 제작 가능하다. 가령 이러한 합성수지는 광투과율이 좋은 아크릴일 수 있다. 시설물의 내부에는 외래 어종이 선호하는 구조물이나 장해물과 같은 후술할 조성구조(60)를 설치할 수 있고, 함체의 외면, 특히 측면부와 상면부를 투명하게 형성하면 외래어종이 이러한 시설물을 보고 접근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시설물 내부가 다른 곳보다 높은 수온을 유지하도록 하는 발열본체(50)와, 시설물 내부로 외래 어종이 들어오도록 하기 위한 유입구(21,31)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시설물(1) 내부 공간의 수온을 높이기 위해 발열하는 발열본체(50)는 시설물(1)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저면부(10) 상부에 설치된다. 발열본체(50)의 발열에 의해 데워진 물은 위로 대류하여 상승하며, 그 중 일부는 상면부(30)에 마련된 상부유입구(31)를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상부유입구(31)는 포획하고자 하는 외래 어종이 겨우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단면적을 가지며, 그 주변에는 시설물 외부의 외래 어종이 시설물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안내하고, 시설물 내부에 들어온 외래 어종이 다시 시설물 외부로 나가는 것을 억제하는 구조가 마련된다.
이러한 구조는, 상면부의 가장자리 쪽에서 상부유입구 쪽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경사면(32) 구조일 수 있다. 도 2에는 마치 깔때기와 같은 형태로 이러한 구조가 형성되어 있음이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경사면 구조는 통발과 유사하다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발열본체(50)에는, 상기 상부유입구(31)를 통해 데워진 물이 유출되는 것을 촉진할 수 있는 미끼열선(51)이 마련된다. 미끼열선(51)의 상단부에는 부력구(미도시)가 설치되어 미끼열선이 수초와 같이 직립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미끼열선(51)은, 시설물을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적어도 상기 상면부(30)에 마련된 상부유입구(31)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2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부유입구(31)과 경사면(32)을 다소 과장하여 크게 도시한 면이 있으므로, 도면을 참조함에 있어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야 할 것이다. 필요에 따라 상부유입구(31)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시설물(1)의 측면부(20)와 상면부(30)를 통해 시설물의 내부 공간의 물과 외부 공간의 물 사이에 서서히 열전달이 일어나 시설물(1) 주변의 수온이 높아지면, 동계에 월동하는 외래어종은 수온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시설물 주변으로 몰려들게 된다. 이때 상부유입구(31) 쪽에서 특히 물의 대류에 의해 상대적으로 따뜻한 물(약 섭씨 1 ~ 2도 가량 높음)이 소량 유출되는데, 수온에 민감한 외래어종들은 이를 감지하고 상기 상부유입구(31)로 유인되고, 경사면(32)을 따라 안내되어 시설물(1)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 일단 시설물(1) 내부로 들어온 외래어종은 입구를 찾기가 어렵고, 입구의 크기 자체가 작기 때문에 다시 외부로 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시설물(1) 내부에서 상부유입구(31)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시설물(1) 내부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측면부(20)에는 투수공(29)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투수공(29)은 시설물 외부에서 내부로만 물이 유동할 수 있는 체크밸브와 유사한 기능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물의 유동 방향에 상관 없이 물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투수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시설물(1)은 동계가 지난 후, 또는 동계 기간에도 외부에서 인양될 수 있다. 가령 시설물(1)에는 미도시한 인양고리나 인양와이어가 설치되어 있고, 이를 외부에서 들어올릴 수 있다. 이처럼 외부에서 시설물을 들어 올릴 때 상기 투수공(29)은 시설물(1) 내부의 물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여 시설물의 인양 작업을 간편하게 해준다. 투수공의 위치와 개수는 도 2에 도시된 것에 한정된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참고로 발열본체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선도 인양와이어와 함께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함체 벽면을 아크릴로 제작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 외에도 가령 스테인리스 철망과 같은 다양한 다른 구조물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3을 참조하면, 도 2와 대비하여 도 3의 시설물에서는 발열본체(50)가 저면부(10)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고, 측면부(20)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더 높으며, 내부에 외래 어종이 선호하는 조성구조(60)가 더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유입구(31) 주변에 마련된 외래 어종의 유입 안내 구조는, 상면부(30)의 적어도 일부가 상면부의 가장자리 쪽에서 상부유입구 쪽으로 갈수록 점점 낮아지는 경사면(32) 형태로 이루어져 있음이 예시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외래어종이 선호하는 구조물을 시설물(1) 내부에 조성하고, 외부에서 이를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래어종이 시설물 주변으로 모이도록 유인할 수 있고, 앞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수온이 높은 시설물 내부로 외래어종을 유인하여 가둘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도 4에는 도 2와 도 3과 달리 시설물(1)의 측면부(20)에 측면유입구(21)가 마련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 상 좌측에 도시된 측면유입구(21)의 주변에는, 외측에서 측면유입구(21) 쪽으로 갈수록 점점 시설물의 내부 공간을 향하는 경사면(22)이 마련되어 있고, 측면유입구(21)의 면적은 외래어종이 겨우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진다. 그리고 발열본체(50)는 이러한 측면유입구(21) 근처에 마련되어 외래어종을 유인할 수 있다. 또한 시설물(1) 내부 공간에 조성한 구조물(60)에 의해서도 외래어종의 유인을 촉진할 수 있다.
도면 상 우측에 도시된 측면유입구(21)에는, 상단부의 회전축(26)을 중심으로 시설물 내부를 향해서는 열리고 시설물의 외부를 향해서는 열리지 않는 여닫이(25)가 설치된다. 여닫이 역시 투명한 아크릴이거나 스테인리스 철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시설물 외부에서 따뜻한 시설물 내부를 향해 유영하는 외래 어종이 상기 여닫이(25)를 밀게 되면, 여닫이가 열리면서 외래어종이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내부로 들어간 순간 여닫이는 자중에 의해 닫히게 된다. 따라서 포획된 외래 어종은 다시 외부로 나가지 못한다.
발열본체(50)는 이러한 측면유입구(21) 근처에 마련되고 그 근방의 측면부(20)에는 투수공(29)이 마련되어 외래어종을 유인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시설물(1)은 수온이 낮 최고기온에도 섭씨 10도 이하로 떨어질 무렵부터 하천이나 저수지 바닥에 설치하여 외래어종을 유인 및 포획할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인양하여 내부에 포획된 외래어종을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춘계에 이르러 외래어종이 활성화되기 전에 포획을 함으로써, 이들의 산란을 억제하여 개체수를 줄여 나갈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발열본체(50)는 외래 어종의 유인에 보다 적합한 위치에 적합한 면적으로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와 관련하여 상술한 각 실시예의 구성들은 상호 치환되거나 조합할 수도 있다. 가령 측면유입구(21)와 상부유입구(31)가 모두 마련될 수도 있으며, 유입구 주변이 통발 형태이거나 일방으로 열리는 여닫이 문 형태인 것은 얼마든지 변경 내지 치환 가능하며, 아울러 통발 형태의 유인 구조와 여닫이 구조가 각각 적용된 형태가 모두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시설물
10: 저면부
11: 연장면부
20: 측면부
21: 측면유입구
22: 경사면
25: 여닫이
26: 회전축
29: 투수공
30: 상면부
31: 상부유입구
32: 경사면
50: 발열본체
51: 미끼열선
60: 조성구조
10: 저면부
11: 연장면부
20: 측면부
21: 측면유입구
22: 경사면
25: 여닫이
26: 회전축
29: 투수공
30: 상면부
31: 상부유입구
32: 경사면
50: 발열본체
51: 미끼열선
60: 조성구조
Claims (8)
- 동계에 하천 또는 저수지의 바닥에 설치되어 외래 어종을 유인하고 포획하는 시설물로서,
하천 또는 저수지 바닥 위에 놓여지는 저면부(10);
상기 저면부(10)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측면부(20);
상기 측면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상부면을 커버하는 상면부(30);
상기 저면부, 측면부 및 상면부에 의해 구획되는 시설물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발열본체(50); 및
상기 측면부 또는 상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마련된 유입구(21,31);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21,31)의 주변에는, 시설물 외부의 외래 어종이 시설물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안내하고, 시설물 내부에 들어온 외래 어종이 다시 시설물 외부로 나가는 것을 억제하는 구조가 마련되며,
상기 발열본체(50)에는 발열본체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미끼열선(51)이 마련되고,
상기 미끼열선(51)은,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적어도 상기 상면부(30)에 마련된 상부유입구(31)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20)에 마련된 측면유입구(21)에는 상단부의 회전축(26)을 중심으로 시설물 내부를 향해서는 열리고 시설물의 외부를 향해서는 열리지 않는 여닫이(25)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2734A KR101795473B1 (ko) | 2016-08-12 | 2016-08-12 | 외래어종 확산 차단을 위한 동계 서식처 조절 시설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2734A KR101795473B1 (ko) | 2016-08-12 | 2016-08-12 | 외래어종 확산 차단을 위한 동계 서식처 조절 시설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95473B1 true KR101795473B1 (ko) | 2017-11-13 |
Family
ID=60386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2734A KR101795473B1 (ko) | 2016-08-12 | 2016-08-12 | 외래어종 확산 차단을 위한 동계 서식처 조절 시설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95473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4196B1 (ko) * | 2011-06-30 | 2013-10-0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치어 복원용 침수형 인공섬 |
KR101570417B1 (ko) | 2015-02-17 | 2015-11-19 | 맹인호 | 난방 기능을 갖는 인공 어초 |
-
2016
- 2016-08-12 KR KR1020160102734A patent/KR10179547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4196B1 (ko) * | 2011-06-30 | 2013-10-02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치어 복원용 침수형 인공섬 |
KR101570417B1 (ko) | 2015-02-17 | 2015-11-19 | 맹인호 | 난방 기능을 갖는 인공 어초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16203144B2 (en) | Mosquito control devices using durable coating-embedded pesticides | |
US4819369A (en) | Apparatus for the "baitless" harvesting of crawfish | |
KR101453990B1 (ko) | 조식동물 포획을 위한 유인장치 | |
Fritz | The European LIFE+ northern bald ibis reintroduction project | |
KR101549056B1 (ko) | 문어 은신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해상 가두리 양식장 | |
Annett | Hunting behavior of Florida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floridanus, in a channelized river | |
KR101795473B1 (ko) | 외래어종 확산 차단을 위한 동계 서식처 조절 시설물 | |
CN102132693A (zh) | 花坞除蚊器 | |
Pitt et al. | A rat-resistant artificial nest box for cavity-nesting birds | |
JP2024007700A (ja) | スクミリンゴガイの駆除方法及びスクミリンゴガイの駆除容器 | |
JP6649835B2 (ja) | ホタル幼虫育成システム及びホタル幼虫育成方法 | |
Sidman | Song of the Water Boatman: & Other Pond Poems | |
Nielsen et al. | Effects of hydrological variation and planktivorous competition on macroinvertebrate community structure in experimental billabongs | |
Wisenden et al. | Young convict cichlids use visual information to update olfactory homing cues | |
Ogale | Endangered Deccan mahseer, Tor khudree(Sykes)-- a case study | |
CN101919373A (zh) | 花坞除蚊装置 | |
RU2707909C2 (ru) | Стационарная рыбная ловушка для рекреационной аквакультуры | |
CN103478062B (zh) | 河蟹扣蟹养殖池塘生态放生幼蛙的方法及装置 | |
Doyle | Can native Australian Percichthyid fishes control invasive common carp (Cyprinus carpio) | |
Csorbai et al. | The habitat use and selectivity by topmouth gudgeon (Pseudorasbora parva) | |
EP3092896B1 (en) | Mosquito control devices using durable coating-embedded pesticides | |
Vijayan et al. | Case report: Prey luring behaviour using beak by little egret Egretta garzetta | |
WO2021034278A1 (en) | Mosquito trap | |
Parkhurst | An overview of avian predation and management techniques at fish-rearing facilities | |
CN105076048A (zh) | 诱捕哲罗鱼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