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763B1 - Retractable step - Google Patents

Retractable ste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763B1
KR101794763B1 KR1020160039582A KR20160039582A KR101794763B1 KR 101794763 B1 KR101794763 B1 KR 101794763B1 KR 1020160039582 A KR1020160039582 A KR 1020160039582A KR 20160039582 A KR20160039582 A KR 20160039582A KR 101794763 B1 KR101794763 B1 KR 101794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unit
control wheel
link members
folding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5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12488A (en
Inventor
황정선
이상목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60039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763B1/en
Publication of KR20170112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4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7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9/00Equipment for handling freight; Equipment for facilitating passenger embarkation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접힘식 계단은 사용자의 외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어바퀴부에 의하여 이동하도록 서로 연결된 복수의 링크부재들을 포함한다.
사용자에 의하여 복수의 링크부재가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유압장치나 스프링 등 복잡한 기계 요소들이 불필요하므로 단순화된 접힘식 계단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정비소요 및 고장 발생요인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fold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link members interconnected by a control wheel portion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of a user.
Since a plurality of link members are configured to move by a user, complicated mechanical elements such as a hydraulic device and a spring are unnecessary, so that a simplified folding step can be realized, and maintenance and trouble factors can be minimized.

Description

접힘식 계단{RETRACTABLE STEP}Foldable stairs {RETRACTABLE STEP}

본 발명은 운송수단의 출입구에 적용할 수 있는 접힘식 계단에 관한 발명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step that can be applied to an entrance of a transportation means.

종래에는 운송수단 출입구에 계단이 필요한 경우 고정식 또는 접힘식 계단을 이용하여 왔다. 고정식 계단은 방식은 견고성을 보장하기는 하지만 외형곡선의 돌출에 의해 운행 시 안전 저해요인이 될 수 있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접힘식 계단은 다양한 방식이 선호되어 왔으며, 본 발명에서와 같이 링크 상호운동을 부분적으로 이용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지만 이때 링크운동을 제어하기 위해 유압계통을 적용함으로써 전반적으로 장치가 복잡해지고, 따라서 정비소요가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Conventionally, a stationary or folding staircase has been used when a staircase is required at the entrance of the transportation means. The rigid stairway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can be a safety hindrance when it is operated by the protrusion of the outline curve although the method assures the robustness. The collapsible stairs have been preferred in various ways and have commonality in that they partially use link mutual motions as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applying the hydraulic system to control link motions at this time complicates the overall apparatu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mand increases.

이에 본 발명의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접힘식 계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lding step with a simpl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힘식 계단은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어, 일단에 손잡이부가 장착되고,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한 제어바퀴부, 상기 제어바퀴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바퀴부의 회전에 의하여 서로 상대 회전하는 복수의 링크부재를 구비하는 좌측 링크유닛, 상기 좌측 링크유닛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링크부재로 이루어지는 우측 링크유닛 및 상기 좌측 및 우측 링크유닛에 연결되는 발판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d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upport part, a control wheel part fixed to the support part and equipped with a handle part at one end and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part, A left link unit having a plurality of link members rotatable relative to each other by rotation of the control wheel unit, a right link unit comprising a plurality of link member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left link unit, and a right link unit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link units As shown in Fig.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손잡이부가 고정되도록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홈과 상기 중심부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ortion may have a plurality of grooves for fixing the handle por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grooves and the center portion may be the sam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바퀴부의 회전 및 상기 복수의 링크유닛의 이동에 근거하여 상기 발판부가 상기 중심부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게 이동할 수 있다.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trest can be moved away from or closer to the center of the base, based on the rotation of the control wheel and the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link units.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좌측 및 우측 링크유닛은 제1 링크유닛을 이루고, 제2 링크유닛과 상기 제1 및 제2 링크유닛을 연결하는 연결링크유닛 및 상기 제2 링크유닛에 연결되는 제1 추가발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one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and right link units constitute a first link unit, a connection link unit connecting the second link unit and the first and second link units, and a connection link unit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unit And may further include a first additional foot por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제3 링크유닛 및 상기 제2 및 제3 링크유닛을 연결하는 추가 연결링크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링크유닛에 연결되는 제2 추가발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hird link unit and an additional connection link unit connecting the second and third link units, and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additional footrest unit connected to the third link unit hav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발판부가 상기 중심부로부터 가장 멀어진 상태에서, 일단이 상기 접힘식 계단이 고정되는 외부장치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 중 일부에 고정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cable fixed at one end to an external device to which the folding step is fixed, and fixed to a part of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with the foot part being farthest from the center part hav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슬릿,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홈을 포함하는 원격제어 패널, 상기 제1 및 제2 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 가능한 제어돌기 및 상기 제어돌기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어바퀴부가 회전되도록, 상기 제어돌기와 상기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mote control panel including a slit, a remote control panel including first and second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control protrusion insertable into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grooves, And a cable connecting the control protrusion and the handle to rotate the control wheel.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케이블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르래를 더 포함할 수 있다.As an example associat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comprise at least one pulley configured to support movement of the cable.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 및 상기 발판부를 수납하는 바디부를 구비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의 이동에 근거하여 열리는 뚜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an examp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case having a body portion for housing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and the foot plate portion, and the case may further include a lid portion opened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하여 인가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 링크부재들이 움직여 발판부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유압장치나 스프링 등 복잡한 기계 요소들이 불필요하므로 단순화된 접힘식 계단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정비소요 및 고장 발생요인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k members,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rotatable with each other by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by the user, move to move the footrest. Therefore, since complicated mechanical elements such as a hydraulic device and a spring are unnecessary, a simplified folding step can be realized, and maintenance and trouble factors can be minimized.

또한, 케이블로 연결된 원격제어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가 멀리서도 링크부재들을 이동시킬 수 있는 바, 사용자가 운송장치에 탑승한 상태에서도 접힘식 계단을 구동시킬 수 있다. Also, the user can move the link members from a distance by a cable-connected remote control structure, so that the user can drive the folding step even when the user is on board the transportation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식 계단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접힘식 계단의 구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2b는 도 1의 접힘식 계단을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c는 도 1의 접힘식 계단을 C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d는 도 1의 접힘식 계단을 B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힘식 계단의 우측 링크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접힘식 계단을 구성하는 링크부재 및 제어바퀴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식 계단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접힘식 계단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2단 접힘식 계단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c는 제3 상태에서 상기 2단 접힙식 계단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근거한 3단 접힘식 계단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b는 제3 상태에서의 3단 접힘식 계단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9는 수동 케이블고리를 포함하는 접힘식 계단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ld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driving state of the folding step of FIG.
FIG. 2B is a view of the folding step of FIG. 1 viewed from the direction A. FIG.
FIG. 2C is a view of the folding step of FIG. 1 viewed in the direction C; FIG.
FIG. 2D is a view of the folding step of FIG. 1 viewed from direction B. FIG.
3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right link unit of a folding ste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4A to 4D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link member and the control wheel unit constituting the folding step.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structure for remotely controlling a fold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6A and 6B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folding step including a case.
7A and 7B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two-step folding ste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C is a view of the two-stepped hip-hop stair in one direction in the third state.
8A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three-step folding ste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B is a conceptual view of the three-step folding step in the third state in one direction. FIG.
Fig. 9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folding step including a manual cable loop. Fig.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접힘식 계단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Hereinafter, the fold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different embodiments in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식 계단의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ld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접힘식 계단은 링크유닛(210), 제어바퀴부(300), 발판부(100), 지지부(400)를 포함한다. The fold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ink unit 210, a control wheel unit 300, a foot unit 100, and a support unit 400.

상기 링크유닛(210)은 복수의 링크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크유닛(210)은 상기 발판부(100)의 양 측면에 고정되는 좌측 링크유닛(210a) 및 우측 링크유닛(210b)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판부(100)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좌측 링크유닛(210a)은 제1 내지 제5 링크부재(211a, 212a, 213a, 214a, 215a)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5 링크부재(211a, 212a, 213a, 214a, 215a)는 서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들은 핀, 볼트, 베어링 등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상기 우측 링크유닛(210b)도 제1 내지 제5 링크부재(211b, 212b, 213b, 214b, 215b)를 포함한다. 상기 좌측 링크유닛(210a)의 구조와 상기 우측 링크유닛(210b)의 구조는 상기 발판부(100)를 기준으로 대칭이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좌측 링크유닛(210a)의 제1 내지 제5 링크부재(211a, 212a, 213a, 214a, 215a)의 구조만을 설명한다. The link unit 210 includes a plurality of link members and the link unit 210 includes a left link unit 210a and a right link unit 210b that are fix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footrest unit 100. [ The footrest 100 is formed in a plate shape. The left link unit 210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first to fifth link members 211a, 212a, 213a, 214a, and 215a. The first to fifth link members 211a, 212a, 213a, 214a and 215a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pin, a bolt, and a bearing. The right link unit 210b also includes first to fifth link members 211b, 212b, 213b, 214b, and 215b. The structure of the left link unit 210a and the structure of the right link unit 210b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footing unit 100. Therefore, only the structure of the first to fifth link members 211a, 212a, 213a, 214a, and 215a of the left link unit 210a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상기 제1 링크부재(211a)의 일 단부는 상기 발판부(100)의 측면의 일 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제2 링크부재(212a)의 일 단부는 상기 발판부(100) 측면의 타 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제2 링크부재(212a)의 타단부는 상기 지지부(400)의 제2 측면(430)의 일 모서리와 인접한 영역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부(400)는 지지면(410)과 서로 마주보는 제1 및 제2 측면(420, 4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측면(420, 430)의 크기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211a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ide surface of the footstool 100. One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212a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side surface of the foot plate 100.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212a is fixed to an area adjacent to one corner of the second side surface 430 of the support part 400. [ The support portion 400 includes first and second side surfaces 420 and 430 facing the support surface 410. The first and second side surfaces 420 and 430 may have different sizes.

상기 제2 링크부재(212a)의 타단부와 상기 제1 링크부재(211a)의 타단부는 제3 링크부재(213a)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제1 및 제3 링크부재(211a, 213a)에 상기 제4 링크부재(214a)가 연결된다. 상기 제4 링크부재(214a)는 상기 제어바퀴부(300)과 연결된다.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member 212a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member 211a are connected by a third link member 213a. The fourth link member 214a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third link members 211a and 213a. The fourth link member 214a is connected to the control wheel 300. [

상기 제어바퀴부(300)는 약 165도의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힘식 계단은 한쪽 측면에만 배치되는 하나의 제어바퀴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바퀴부(300)의 중심부(310)는 상기 제2 측면(430)의 일 영역에 고정된다. 상기 제어바퀴부(300)의 일 영역에는 상기 제4 및 제5 링크부재(214a, 215a)가 연결되고, 상기 제5 링크부재(215a)의 타단부는 상기 제2 링크부재(212a)와 연결된다. 상기 제어바퀴부(300)의 타영역에는 손잡이부(322)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322)에 외력이 인가되면 상기 중심부(310)를 기준으로 회전하게 된다. The control wheel 300 may have a fan shape of about 165 degrees. The fold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e control wheel 300 disposed on only one side. The center portion 310 of the control wheel 300 is fixed to one side of the second side surface 430. The fourth and fifth link members 214a and 215a are connected to one region of the control wheel 300 and the other end of the fifth link member 215a is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member 212a do. A handle 322 is formed in another area of the control wheel 300.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knob 322, the knob 322 rotates about the center 310.

상기 제2 측면(430)은 복수의 홈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3개의 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홈(미도시), 제2 홈(432) 및 제3 홈(4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3개의 홈에 상기 손잡이부(322)의 단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3개의 홈은 상기 중심부(310)를 기준으로 원주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3개의 홈은 상기 중심부(310)로부터 동일한 거리에 형성된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손잡이부(322)는 각 홈에 끼워지는 핀과 상기 축주위에 장착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322)의 축에 해당되는 핀이 상하운동을 하면서 각 홈에 삽입될 수 있다. The second side surface 430 includes a plurality of grooves. For example, three grooves, and may include a first groove (not shown), a second groove 432, and a third groove 433. The ends of the handle portion 322 can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three grooves. The three grooves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rtion 310. That is, the three grooves are formed at the same distance from the center portion 31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handle 322 may further include a pin inserted into each groove and a spring mounted around the shaft. The pins corresponding to the axis of the handle 322 can be inserted into the respective grooves while moving up and down.

한편, 상기 우측 링크유닛(210b)는 제1 내지 제5 링크부재(211b, 212b, 213b, 214b, 215b)를 포함한다. 상기 우측 링크유닛(210b)에 포함되는 복수의 링크부재들의 연결구조는 상기 좌측 링크유닛(210a)에 포함되는 링크부재들의 연결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상기 제2 및 제3 링크부재(212b, 213b)는 상기 제1 측면(420)에 연결된다. 우측 구조에는 상기 제어바퀴부(300)에 대응되는 구조가 없으므로, 이를 대신하기 위한 제6 링크부재(216b)가 제어바퀴부(300)와 대칭되는 위치에 연결된다. Meanwhile, the right link unit 210b includes first to fifth link members 211b, 212b, 213b, 214b, and 215b. The link 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included in the right link unit 210b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link structure of the link members included in the left link unit 210a. The second and third link members 212b and 213b are connected to the first side 420. The sixth link member 216b is connected to a position symmetrical to the control wheel 300 because the right wheel structure does not have a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wheel 300. [

상기 손잡이부(322)에 의하여 상기 중심부(310)를 기준으로 상기 제어바퀴부(300)가 회전하면 상기 제어바퀴부(300)에 연결되어 있는 좌측 링크유닛(210a)에 힘이 전달되어, 상기 발판부(100) 및 상기 우측 링크유닛(210b)에 포함되는 링크부재들이 이동하게 된다. When the control wheel portion 300 rotates about the center portion 310 by the handle portion 322, a force is transmitted to the left link unit 210a connected to the control wheel portion 300, The link members included in the foot plate 100 and the right link unit 210b are moved.

도 2a는 도 1의 접힘식 계단의 구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2b는 도 1의 접힘식 계단을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2c는 도 1의 접힘식 계단을 C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2d는 도 1의 접힘식 계단을 B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FIG. 2A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driving state of the folding step of FIG. FIG. 2B is a view of the folding step of FIG. 1 viewed in the direction A, FIG. 2C is a view of the folding step of FIG. 1 viewed in the direction C, and FIG. 2D is a view of the folding step of FIG. .

도 2a 및 도 2b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접힘식 계단의 구동상태를 설명한다. The driving state of the folding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2B.

도 2a의 (a) 및 도 2b의 (a)는 상기 발판부(100)가 수납되어 사용되지 아니하는 제1 상태에 해당된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322)는 상기 제3 홈(433)에 고정된다. 상기 제4 및 제5 링크부재(214a, 215a)가 연결된 상기 제어바퀴부(300)의 일 영역이 상기 중심부(310)를 기준으로 상기 제3 홈(433)과 반대되는 영역으로 이동한다. 2a and 2b (a) correspond to a first state in which the footrest 100 is accommodated and not used. In the first state, the handle 322 is fixed to the third groove 433. One region of the control wheel 300 connected to the fourth and fifth link members 214a and 215a moves to a region opposite to the third groove 433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rtion 310.

상기 제4 및 제5 링크부재(214a, 215a) 사이의 각도가 줄어들도록 이동하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4 및 제5 링크부재(214a, 215a)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발판부(100)는 상기 지지면(410)과 인접하도록 이동하며, 상기 지지면(410)의 하방에 배치된다. 상기 제1 상태로 이동할수록 상기 제3 및 제4 링크부재(213a, 214a)의 각도가 점차적으로 커져 수평상태에 다다르게 된다. The angle between the fourth and fifth link members 214a and 215a is reduced, and in the first state, the fourth and fifth link members 214a and 215a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irst state, the footrest 100 moves adjacent to the support surface 410 and is disposed below the support surface 410. The angle of the third and fourth link members 213a and 214a gradually increases as the first state moves to the horizontal state.

도 2a의 (b) 및 도 2b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중심부(310)를 기준으로 상기 제어바퀴부(300)가 회전하여 상기 손잡이부(322)가 상기 제2 홈(432)에 고정된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2 상태로 전환되는 동안 상기 발판부(100)는 상기 지지면(410)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Referring to FIGS. 2A and 2B, when the control wheel 30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310, the handle 322 is rotated in the second groove 432 . During the transition from the first state to the second state, the footrest 100 is moved away from the support surface 410.

상기 제어바퀴부(300)의 타단이 상기 제2 측면(430)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상기 제3 및 제4 링크부재(213a, 214a) 사이의 각도가 점차적으로 적어진다. As the other end of the control wheel 300 moves away from the second side surface 430, the angle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link members 213a and 214a gradually decreases.

도 2a의 (c) 및 도 2b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중심부(310)를 기준으로 상기 제어바퀴부(300)가 회전하여 상기 손잡이부(322)가 상기 제1 홈(미도시)에 고정되면, 상기 제3 상태가 된다. 상기 제3 상태는 사용자가 발판부(100)를 밟을 수 있는 상태이다.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제3 및 제4 링크부재(213a, 214a) 사이의 각도가 최소로 유지되며, 상기 손잡이부(322)가 상기 제2 측면(430)에 고정된 힘에 의하여 상기 발판부(100)의 위치가 유지된다. Referring to FIGS. 2A and 2B, the control wheel 30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310 so that the handle 322 is rotated in the first groove (not shown) The third state is established. The third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user can step on the footrest portion 100. [ The angle between the third and fourth link members 213a and 214a is kept to a minimum in the third state and the handle portion 322 is held by the force fixed to the second side surface 430, (100) is maintained.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어바퀴부(300)의 중심부(310)는 비틀림 스프링(Torsion Spring)이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제1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보다 용이하게 상기 제어바퀴부(3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center portion 310 of the control wheel 300 may be equipped with a torsion spring. Accordingly, the control wheel 300 can be rotated more easily than when the third state is switched to the first state.

도 2b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접힘식 계단이 특정 운송수단의 구조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운송수단의 구조는 도어부(510) 및 바닥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바퀴부(300)의 중심부(310)와 상기 제2 및 제5 링크부재(212a, 215a)는 상기 바닥부(520)의 일 영역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again to FIG. 2b, the folding step may be mounted to the structure of a particular transport means. The structure of the transportation means may include a door portion 510 and a bottom portion 520. The central portion 310 of the control wheel 300 and the second and fifth link members 212a and 215a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one region of the bottom portion 520.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하여 인가되는 회전력에 의하여 서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링크부재들이 움직여 발편부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유압장치나 스프링 등 복잡한 기계 요소들이 불필요하므로 단순화된 접힘식 계단을 구현할 수 있으며, 정비소요 및 고장 발생요인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nk members connected to be rotatable with each other by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by the user move to move the foot piece. Therefore, since complicated mechanical elements such as a hydraulic device and a spring are unnecessary, a simplified folding step can be realized, and maintenance and trouble factors can be minimized.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접힘식 계단은 운송수단 뿐만 아니라 복층구조의 주거 공간 등 단이 형성되는 영역에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specifically in the drawings, the fold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to a user in an area where a step is formed, such as a housing space of a multi-layer structure as well as a transportation means.

도 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힘식 계단의 우측 링크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3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right link unit of a folding ste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우측 링크유닛(210b)는 제6 링크부재(216b)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6 링크부재(216b)의 일단부는 상기 바닥부(520)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4 및 제5 링크부재(214b, 215b)와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right link unit 21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sixth link member 216b. One end of the sixth link member 216b is rotatably fixed to the bottom portion 52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ourth and fifth link members 214b and 215b.

이에 따라 우측 링크유닛(210b)이 보다 안정적으로 외부구조에 고정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right link unit 210b can be more stably fixed to the external structure.

도 4a는 A형 링크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4b는 B형 링크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A형 링크부재는 제1 길이(L1)로 이루어지며, 제1 두께(W1)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B형 링크부재는 제2 길이(L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두께(W1)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길이(L2)는 상기 제1 길이(L1)보다 적게 형성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발판부(100)의 길이는 상기 제1 길이(L1)를 갖도록 형성된다. Fig. 4A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n A-type link member, and Fig. 4B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B-type link member. The A-type link member has a first length (L1) and is formed to have a first thickness (W1). The B-type link member has a second length (L2) and is formed to have the first thickness (W1). The second length L2 is less than the first length L1. Referring to FIG. 4C, the length of the footrest 100 is formed to have the first length L1.

도 1 및 도 3에서 상기 제2 및 제4 링크부재(212a, 212b, 214a, 214b)는 A형 링크부재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링크부재는 B형 링크부재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and 3, the second and fourth link members 212a, 212b, 214a and 214b may be formed of an A-type link member and the remaining link members may be formed of a B-type link member material. However, no.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바퀴부(300)는 부채꼴 모형으로 이루어지며, 양단에 상기 링크부재들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바퀴부(300)의 반지름의 길이는 상기 B형 링크부재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2 길이(L2)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D, the control wheel 300 may have a fan-shaped pattern, and holes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trol wheel 300 so that the link members are rotatably connected. The length of the radius of the control wheel 300 may be a second length L2 substantially equal to the length of the B-type link member.

이상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상기 손잡이부(322)를 이용하여 제공한 회전력에 의하여 상기 제어바퀴부(300)를 회전시키고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들을 이동시켰다. 다만, 사용자가 상기 접힘식 계단과 먼곳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바퀴부를 원격으로 조정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하에서, 상기 접힙식 계단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구조를 설명한다.In the above, the user directly rotates the control wheel 300 by the rotational force provided by using the handle 322, and moves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However, when the user is located far from the folding step, it is necessary to remotely adjust the control wheel. Hereinafter, a control structure capable of remotely controlling the folding-type stairs will be described.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힘식 계단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원격제어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remote control structure for remotely controlling a fold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접힘식 계단은 원격제어용 패널(640)을 포함한다. 상기 원격제어용 패널(640)는 상기 접힘식 계단과 실질적으로 이격된 영역으로 사용자가 제어가능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folding step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remote control panel 640. The remote control panel 640 may be disposed in a region that is controllable by the user in an area substantially spaced from the folding step.

제어용 케이블(610)은 상기 제어바퀴부(300)의 손잡이부(322)와 상기 원격제어용 패널(640)의 일 영역에 장착되는 제어돌기부(630)를 연결한다. 상기 제어돌기부(63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손잡이부(322) 및 상기 제어바퀴부(3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용 케이블(610)은 적어도 하나의 도르래(Pulley)가 장착될 수 있다.The control cable 610 connects the grip portion 322 of the control wheel 300 and the control protrusion 630 mounted on one region of the remote control panel 640. At least one pulley may be mounted on the control cable 610 so that the handle 322 and the control wheel 300 can be rotated by the movement of the control protrusion 630.

상기 원격제어용 패널(640)은 상기 제어돌기부(630)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일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돌기부(630)가 안착될 수 있는 제1 및 제2 안착홈(641, 64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안착홈(641, 642)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슬릿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안착홈(641)에 상기 제어돌기부(630)가 안착되는 경우 상기 접힘식 계단이 상기 제3 상태가 되며, 상기 제2 안착홈(642)에 상기 제어돌기부(630)가 안착되는 경우 상기 접힘식 계단이 상기 제1 상태가 된다. The remote control panel 640 includes slits formed along one direction so that the control protrusions 630 can move and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grooves 641 and 642 ).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grooves 641 and 642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extend from the slit. When the control protrusion 630 is seat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641, the folding step becomes the third state and when the control protrusion 630 is seated in the second seating groove 642 The folding step becomes the first state.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어돌기부(630)을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시켜 상기 접힘식 계단을 상기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3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원격제어용 패널(640)은 2개의 안착홈을 포함하고 있으나, 안착홈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Accordingly, the user can move the control protrusion 630 along the slit to switch the folding step to the first state or the third state. In the figure, the remote control panel 640 includes two seating grooves, but the number of the seating grooves is not limited thereto.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접힘식 계단과 인접한 상태가 아니더라도 접힘식 계단의 구동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운송수단의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미리 상기 접힘식 계단의 상태를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iving state of the folding step can be changed even if the user is not adjacent to the folding step. Especially when the user is located inside the transportation means, the state of the folding step can be changed and used beforehand.

도 6a 및 도 6b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접힘식 계단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6A and 6B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folding step including a case.

상기 케이스는 바디부(710) 및 뚜껑부(72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710)는 상기 접힘식 계단이 제3 상태일때도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내부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는 외부 운송수단의 일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The case includes a body portion 710 and a lid portion 720. The body portion 710 includes an inner space that can be accommodated even when the folding step is in the third state. The case may be fixed to one area of the external transportation means.

상기 뚜껑부(720)는 상기 바디부(710)와 피아노 힌지를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피아노 힌지에 스프링 기능이 추가되어 제1 상태에서 상기 뚜껑부(720)가 닫힘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커버하는 고정덥개(730)가 상기 바디부(710)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바디부(710) 및 상기 뚜껑부(720)가 접하는 영역에 고무부재가 형성되어, 오염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The lid part 720 can be fastened to the body part 710 using the piano hinge and a spring function is added to the piano hinge to maintain the lid part 720 in a closed state in the first state . In the first to third states, a fixing cover 730 that continuously covers the inner space of the case is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710. In addition, a rubber member is formed in an area where the body part 710 and the lid part 72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contaminants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상기 뚜껑부(720)는 상기 발판부(100)가 점차적으로 돌출됨에 따라서 점차적으로 열리도록 구성된다. The lid portion 720 is configured to be gradually opened as the footstep portion 100 is gradually projected.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에 의하여 흙먼지 등의 이물질이 링크부재들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바, 링크부재들의 오염에 의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oreign matter such as dust can be prevented from penetrating into the link members by the cas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failure due to contamination of the link members.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2단 접힘식 계단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7c는 제3 상태에서 상기 2단 접힙식 계단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FIGS. 7A and 7B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 two-step folding ste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C is a one-directional view of the two-step folding-type step in the third state.

본 실시예에 따른 링크유닛은 제1 및 제2 링크유닛(220, 230) 및 연결 링크유닛(240)을 포함한다. The link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first and second link units 220 and 230 and a link unit 240.

상기 제1 링크유닛(220)은 제1 내지 제5 링크부재(221, 222, 223, 224, 225)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링크유닛(230)은 제1 내지 제5 링크부재(231, 232, 233, 234, 235)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 링크유닛(240)은 제1 및 제2 연결링크부재(241, 242)로 이루어진다. The first link unit 220 includes first to fifth link members 221, 222, 223, 224 and 225 and the second link unit 230 includes first to fifth link members 231, 232, 233, 234, 235). The connection link unit 240 includes first and second connection link members 241 and 242.

제1 발판부(110)는 상기 제1 링크유닛(220)의 제1, 제2 및 제5 링크부재(221, 222, 225)와 연결된다. 상기 제2 발판부(120)는 상기 제1 링크유닛(220)의 제1 링크부재(221), 상기 제2 링크유닛(230)의 제1, 제3 및 제5 링크유닛(231, 233, 235)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The first footrest portion 110 is connected to the first, second and fifth link members 221, 222 and 225 of the first link unit 220. The second footrest part 120 includes a first link member 221 of the first link unit 220, a first link unit 231, a second link unit 233 of the second link unit 230, 235, respectively.

상기 제어바퀴부(300)는 상기 제2 링크유닛(230)과 연결되며, 상기 제어바퀴부(3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발판부(110, 120)가 이동하게 된다. The control wheel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unit 230 and the first and second footrests 110 and 120 are moved by the rotation of the control wheel unit 300.

도 7a의 (a) 및 도 7b의 (a)는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발판부(110, 120)가 사용되지 아니하는 수납상태인 제1 상태를 도시하고, 도 도 7a의 (b) 및 도 7b의 (b)는 상기 제어바퀴부(3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발판부(110, 120)가 점차적으로 돌출되는 제2 상태를 도시하며, 도 7a의 (c) 및 도 7b의 (c)는 상기 제1 및 제2 발판부(110, 120)가 모두 돌출되어 사용가능한 제3 상태를 도시한다.7A and 7B show a first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and the first and second footrests 110 and 120 are not used and FIG. 7A and 7B show a second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footrests 110 and 120 are gradually protruded by the rotation of the control wheel 300, 7A and 7B show a third state in which both the first and second footrests 110 and 120 are protruded and usable.

도 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근거한 3단 접힘식 계단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8b는 제3 상태에서의 3단 접힘식 계단을 일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FIG. 8A is a conceptual view for explaining a three-fold folding step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B is a conceptual view of a three-fold folding step in the third state in one direction.

본 실시에에 따른 접힘식 계단은 제1 내지 제3 링크유닛(220, 230, 25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링크유닛(220, 230)을 연결하고, 제2 및 제3 링크유닛(230, 250)을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링크유닛(240)을 포함한다. The fold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first to third link units 220, 230 and 250 and connects the first and second link units 220 and 230, And a pair of connection link units 240 connecting the units 230 and 250.

상기 제1 및 제2 링크유닛(220, 230)과 상기 연결링크유닛(240)을 구성하는 복수의 링크부재는 도 7a에 도시된 제1 및 제2 링크유닛(220, 230)과 상기 연결링크유닛(240)의 구성 및 배치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3 링크유닛(250)은 제1 내지 제5 링크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3 링크유닛(250)에 포함되는 복수의 링크부재는 제1 링크유닛(220)에 포함된 복수의 링크부재들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constituting the first and second link units 220 and 230 and the link unit 240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link units 220 and 230 shown in FIG. Unit 24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tructure and the arrangement of the unit 240, so duplicate descriptions are omitted. The third link unit 250 includes first to fifth link members, and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included in the third link unit 2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nk members included in the first link unit 220,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본 실시예에 따른 3단 접힘식 계단은 제1 내지 제3 발판부(110, 120, 130)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바퀴부(30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발판부(110, 120, 130)가 이동하게 된다. The three-stage folding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to third footrests 110, 120, and 130. [ The first to third footrests 110, 120, and 130 are moved by the rotation of the control wheel 300.

도 9는 수동 케이블고리를 포함하는 접힘식 계단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Fig. 9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folding step including a manual cable loop. Fig.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3단 접힘식 계단을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케이블(720)의 일단은 상기 도어부(520)의 일 영역에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720)의 타단은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 중 적어도 일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720)은 상기 제3 상태로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들이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9, the three-step folding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One end of the cable 720 is fixed to one area of the door 520 and the other end of the cable 720 can be fixed to at least a part of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The cable 720 may support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to be held in the third state.

이에 따라 복수의 링크부재들이 상기 제어바퀴부(300)로부터 안정적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발판부에 외력을 인가하는 경우에도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a plurality of link members can be stably extended from the control wheel unit 300, and stability can be improved even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ootrest by the user.

상기와 같이 설명된 복수의 링크부재로 이루어지는 접힘식 계단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로 이루어지는 접힘식 계단은 운송장치 뿐만 아니라 복층식 주거공간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The folding step composed of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a configuration and a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 a limited manner, but the embodiments can be applied to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In addition, the folding step composed of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can be applied not only to a transportation apparatus but also to a multi-storey residential space.

Claims (9)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어, 일단에 손잡이부가 장착되고,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가능한 제어바퀴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어바퀴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어바퀴부의 회전에 의하여 서로 상대 회전하는 복수의 링크부재를 구비하는 좌측 링크유닛;
상기 좌측 링크유닛과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링크부재로 이루어지는 우측 링크유닛; 및
상기 좌측 및 우측 링크유닛에 연결되는 발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들은,
제1 길이(L1)를 구비하는 제1 링크부재와 제2 길이(L2)를 구비하는 제2 링크부재를 구비하며,
제1 길이(L1)는 제2 길이(L2) 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제어바퀴부의 반경은 상기 제2 길이(L2)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접힘식 계단.
A support;
A control wheel unit fixed to the support unit and having a handle attached to one end thereof and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A left link unit connected to the support unit and having a plurality of link member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ontrol wheel unit and relatively rotating with each other by rotation of the control wheel unit;
A right link unit comprising a plurality of link members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left link unit; And
And a foot portion connected to the left and right link units,
Wherein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A first link member having a first length (L1) and a second link member having a second length (L2)
Wherein the first length (L1) is longer than the second length (L2), and the radius of the control wheel is the same as the second length (L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손잡이부가 고정되도록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홈과 상기 중심부 사이의 거리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식 계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grooves for fixing the handle portion,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plurality of grooves and the center portion is the sa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바퀴부의 회전 및 상기 복수의 링크유닛의 이동에 근거하여상기 발판부가 상기 중심부로부터 멀어지거나 가까워지게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식 계단.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ootrest moves away from or closer to the center portion based on rotation of the control wheel and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link uni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링크유닛은 제1 링크유닛을 이루고,
제2 링크유닛과 상기 제1 및 제2 링크유닛을 연결하는 연결링크유닛; 및
상기 제2 링크유닛에 연결되는 제1 추가발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식 계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ft and right link units constitute a first link unit,
A connecting link unit connecting the second link unit and the first and second link units; And
Further comprising a first additional foot portion coupled to the second link unit.
제4항에 있어서,
제3 링크유닛 및 상기 제2 및 제3 링크유닛을 연결하는 추가 연결링크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링크유닛에 연결되는 제2 추가발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식 계단.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third link unit and an additional connection link unit connecting the second and third link units,
And a second additional foot portion coupled to the third link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가 상기 중심부로부터 가장 멀어진 상태에서, 일단이 상기 접힘식 계단이 고정되는 외부장치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 중 일부에 고정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식 계단.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cable fixed at one end to an external device to which the folding step is fixed, the cable being fixed to a part of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with the foot part being farthest from the center part.
제1항에 있어서,
슬릿, 서로 이격된 제1 및 제2 홈을 포함하는 원격제어 패널;
상기 제1 및 제2 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가능한 제어돌기부; 및
상기 제어돌기부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어바퀴부가 회전되도록, 상기 제어돌기부와 상기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식 계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remote control panel including a slit, first and second groov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control protrusion that can be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grooves; And
Further comprising a cable connecting the control protrusion to the handle so that the control wheel is rotated by movement of the control protrus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의 이동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르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식 계단.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pulley configured to support movement of the c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 및 상기 발판부를 수납하는 바디부를 구비하는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의 이동에 근거하여 열리는 뚜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식 계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ase having a body portion for housing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and the foot plate portion,
Wherein the case further comprises a lid portion which is opened based on the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KR1020160039582A 2016-03-31 2016-03-31 Retractable step KR1017947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582A KR101794763B1 (en) 2016-03-31 2016-03-31 Retractable ste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582A KR101794763B1 (en) 2016-03-31 2016-03-31 Retractable ste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488A KR20170112488A (en) 2017-10-12
KR101794763B1 true KR101794763B1 (en) 2017-11-07

Family

ID=60141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582A KR101794763B1 (en) 2016-03-31 2016-03-31 Retractable ste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76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57641B (en) * 2017-10-30 2020-02-11 中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Pedaling system applied to railway vehicle and railway vehicle
JP7147381B2 (en) * 2018-08-31 2022-10-05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Vehicle steps and vehi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488A (en)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4763B1 (en) Retractable step
CN102834053B (en) For the counterweight of mobile X-ray apparatus
EP3165497B1 (en) Mobile base for a camera crane
JP5394470B2 (en) Projection apparatus having adjustment function
US10406049B2 (en) Mobile carrier and steering adjustment mechanism
JP2004210265A (en) Tilt adjusting device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KR101618231B1 (en) System for gait training
CN109313468A (en) Equipment wiring
KR102405249B1 (en) Obstacle overcoming type electric wheelchair with variable seat
JP4592455B2 (en) Operation panel attitude change mechanism of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886843B1 (en) A safety diagnosis apparatus by using transformaable wheel
KR102161710B1 (en) Assistant power apparatus for wheelchair
CN112105327A (en) Mobile assistor
KR101337657B1 (en) Stairway for ship
KR20170075465A (en) Handle-type heavy goods carrier capable of flat operation
JP7025333B2 (en) Mobility aid
KR102639602B1 (en) Service robot
KR100854307B1 (en) positioning system of controls for power chairs
JP5514681B2 (en) Walking and running exercise device
JP6633969B2 (en) Wheelchair storage device
US20100133045A1 (en) Motorized stair lift
TWI702948B (en) Auto-balance motion-assistance vehicle frame and motion-assistance green vehicle
JP2001354167A (en) Variable attitude crawler
JP4180077B2 (en) Folding running machine
KR101146183B1 (en) a bed which height is 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