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691B1 - 퍼머용 롯드 - Google Patents

퍼머용 롯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691B1
KR101794691B1 KR1020150130673A KR20150130673A KR101794691B1 KR 101794691 B1 KR101794691 B1 KR 101794691B1 KR 1020150130673 A KR1020150130673 A KR 1020150130673A KR 20150130673 A KR20150130673 A KR 20150130673A KR 101794691 B1 KR101794691 B1 KR 101794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eating element
heating
stopper
hollow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2965A (ko
Inventor
오상혁
Original Assignee
오상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혁 filed Critical 오상혁
Priority to KR1020150130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691B1/ko
Publication of KR20170032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2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calp, i.e. steep-curlers
    • A45D2/10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calp, i.e. steep-curlers in the form of spools or bobbi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0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calp, i.e. steep-curlers
    • A45D2/08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scalp, i.e. steep-curlers of hollow ty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5Temperature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 측이 개방된 중공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를 상기 중공부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홀딩 유닛을 포함하는 퍼머용 롯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퍼머용 롯드{PERM ROD}
본 발명은 퍼머 시 머리를 말기 위해 사용되는 롯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퍼머는 머리를 전열기나 화학 약품을 이용하여 구불구불하게 하여 오랫동안 지속되도록 만드는 일 또는 그렇게 한 머리를 말한다.
퍼머 방법은 머리에 열을 가하는 것으로서, 머리를 감기 위해 가열된 롯드를 사용하거나, 롯드로 머리를 감은 후에 롯드를 전기 가열하는 방식 등이 있다.
전자는 시술자가 뜨거운 롯드를 이용하여 머리를 말아야 하기에 시술자가 열에 대해 부담을 가질 수밖에 없다. 후자는 퍼머를 받는 사람이 롯드에 연결된 전선에 의해 이동의 제약을 받는 불편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술자가 머리를 롯드 하우징에 감는 과정에서 열적으로 불편을 겪지 않게 하면서도 퍼머를 받는 사람도 이동에 제약을 받지 않도록 하는, 퍼머용 롯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퍼머용 롯드는, 일 측이 개방된 중공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를 상기 중공부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홀딩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딩 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중공부 내로 돌출되는 걸림단을 구비하는 걸림 핀; 및 상기 발열체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단을 수용하는 걸림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딩 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중공부의 개방된 일 측을 폐쇄하는 마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열체는, 열 전도성 재질의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에 연결되며 열 단열성 재질의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는, 상기 손잡이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개는, 상기 발열체와 일체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개는, 체결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체결 돌기가 삽입 체결되는 체결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중공부의 개방된 일 측을 형성하며, 외부로 돌출된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원통부의 단부에서 연장하다 절곡되어 연장되는 결합 그루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개는, 상기 원통부를 수용하는 중공체이고, 상기 결합 그루브에 대응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하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열체에 연결되고, 상기 발열체가 상기 중공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 측에 배치되는 클립 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립 유닛은, 상기 발열체에 결합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발열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클립 바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립 바의 상기 기둥부에서 먼 단부를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하는 고정 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클립 바의 상기 기둥부에서 먼 단부 측에 형성되는 고정 홈; 및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 홈에 대응하는 고정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딩 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중공부 내로 돌출되는 걸림단을 구비하는 걸림 핀; 및 상기 발열체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단을 수용하는 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편은, 상기 걸림 핀의 걸림단에 반대되는 단부인 고정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퍼머용 롯드에 의하면, 시술자는 머리를 롯드 하우징에 감는 과정에서 뜨거움에 따른 불편을 겪지 않게 되고,퍼머를 받는 사람도 이동에 제약을 받지 않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머용 롯드(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퍼머용 롯드(100)의 결합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머용 롯드(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머용 롯드(3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퍼머용 롯드(300)의 일 부분과 그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D)에 대해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퍼머용 롯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퍼머용 롯드(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퍼머용 롯드(100)의 결합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퍼머용 롯드(100)는, 하우징(110), 발열체(130), 및 홀딩 유닛(15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퍼머를 받는 사람의 머리가 말리는 대상물이 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10)은, 몸체(111), 중공부(113), 체결홀(115), 체결홈(117), 걸이부(119)를 가질 수 있다.
몸체(111)는 대체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원통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중공부(113)는 몸체(111)의 중앙이 개구된 것으로서, 일 측이 몸체(111)의 측방으로 개방된 것일 수 있다.
체결홀(115)은 몸체(111)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어, 중공부(113)를 외부와 연통시킨다.
체결홈(117)은 몸체(111)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걸이부(119)는 몸체(111)의 일 단부 측에 형성되며, 고무 밴드를 걸 수 있도록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발열체(130)는 외부 전력 등에 의해 가열되어 열을 발산하는 구성이다. 발열체(130)는 발열부(131)와, 손잡이부(133)를 가질 수 있다.
발열부(131)는 열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다. 발열부(131)는 또한 중공부(113)에 삽입되는 사이즈를 갖는다. 중공부(113)가 원통 실린더형이라면, 발열부(131)는 원형 단면적의 봉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손잡이부(133)는 발열부(131)의 일 단에 연결되는 구성이다. 손잡이부(133)는, 발열부(131)와 달리, 단열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33)는 또한 발열부(131) 보다 큰 단면적을 가져서, 발열부(131)와 구조적으로 구별될 수 있다.
홀딩 유닛(150)은 발열부(131)가 중공부(113)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홀딩 유닛(150)은, 먼저 걸림 핀(151)과, 걸림홈(153)을 가질 수 있다.
걸림 핀(151)은 체결홀(115)에 결합되어, 그의 일 단인 걸림단(151a)이 중공부(113) 내에 위치하게 한다.
걸림홈(153)은 발열체(130), 그 중에서도 발열부(131)에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153)은 발열부(131)의 둘레를 따라 그루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달리, 홀딩 유닛(150)은 마개(155)를 가질 수도 있다. 마개(155)는 하우징(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중공부(113)의 개방된 일 측을 폐쇄하는 구성이다.
마개(155)가 하우징(110)에 결합되기 위해, 마개(155)에는 체결홈(117)에 대응하는 체결 돌기(155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개(155)에는 손잡이부(133)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55a)가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마개(155)의 자유단에도 걸이부(155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시술자는 하우징(110), 구체적으로 몸체(111)를 손에 쥐고서 퍼머를 하는 자의 머리를 몸체(111)에 말 수 있다. 머리가 몸체(111)에 말리면, 시술자는 가열된 발열체(130)를 중공부(113)에 삽입한다.
발열체(130)가 중공부(113)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걸림 핀(151)은 걸림홈(153)에 끼워진다. 그에 의해, 발열체(130)는 중공부(113)에 삽입된 상태로 하우징(110)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달리, 발열체(130)를 중공부(113)에 삽입하고서, 마개(155)를 하우징(110)에 결합시켜 발열체(130)가 중공부(113) 내에서 유지되게 할 수도 있다. 이때, 마개(155)의 체결 돌기(155b)는 체결홈(117)에 삽입되어 마개(155)가 하우징(110)에 결합되게 한다.
이상에서, 홀딩 유닛(150)으로서, 걸림 핀(151) 및 걸림홈(153), 그리고 마개(155)는 각각 독립적으로 채용되거나, 둘이 함께 채용될 수 있다. 걸림 핀(151) 및 걸림홈(153)만 채용되는 경우라면, 마개(155)에 형성된 걸이부(155c)가 손잡이부(133)에 형성되거나 몸체(111)의 체결홈(117) 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발열체(130)가 하우징(110)에 체결된 상태에서, 발열체(130)에서 방출되는 열은 하우징(110)을 거쳐서 퍼머를 하는 자의 머리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다음으로, 다른 형태의 퍼머용 롯드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머용 롯드(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퍼머용 롯드(200)는, 하우징(210), 발열체(230), 및 홀딩 유닛(250)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210)은, 중공부(213)의 개방된 일 측을 형성하며 몸체(211)에서 돌출된 원통부(220)를 가질 수 있다. 원통부(220)의 외면에는 원통부(220)의 자유단에서 연장하다 절곡 연장되는 결합 그루브(257)가 형성될 수 있다.
발열체(230)는 홀딩 유닛(250)의 마개(255)와 일체화될 수 있다.
마개(255)는 수용부(255a)와, 결합 돌기(255b)와, 걸이부(255c)를 가질 수 있다.
수용부(255a)는 하우징(210)의 원통부(220)를 수용하는 공간이다.
결합 돌기(255b)는 결합 그루브(257)에 끼워진다.
걸이부(255c)는 하우징(210)의 걸이부(219)에 대응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210)에는 퍼머를 받는 자의 머리가 감겨질 수 있다. 또한, 가열된 발열체(230)가 중공부(213)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시술자는 마개(255)를 잡을 수 있다.
마개(255)가 하우징(210)에 결합되는 과정은, 마개(255)의 결합 돌기(255b)가 결합 그루브(257)의 단부에 끼워져서 회전됨에 의해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결합 돌기(255b)는 결합 그루브(257)를 따라 전전하다가 결합 그루브(257)의 절곡된 부분에서 회전됨에 따라 결합 그루브(257)의 절곡된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그에 의해, 결합 돌기(255b)가 결합 그루브(257)에서 이탈하지 않게 되므로, 마개(255)는 하우징(2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발열체(230)가 마개(255)에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인하여, 발열체(230)와 마개(255)를 하우징(210)에 각각 결합시키지 않고 한 번에 이들을 하우징(310)에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또 다른 형태의 퍼머용 롯드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퍼머용 롯드(3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퍼머용 롯드(300)는, 하우징(310), 발열체(330), 홀딩 유닛(350)에 더하여, 클립 유닛(370), 및 고정 유닛(390)을 더 가질 수 있다.
클립 유닛(370)은 퍼머를 받는 자의 머리를 하우징(310)에 감겨진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클립 유닛(370)은, 기둥부(371)와, 클립 바(373)를 가질 수 있다.
기둥부(371)는 발열체(330), 구체적으로 손잡이부(333)에 결합되는 핀이다. 클립 바(373)는 기둥부(37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막대이다. 클립 바(373)는 발열체(330)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정 유닛(390)은 클립 바(373)의 기둥부(371)에서 먼 단부를 하우징(310)의 몸체(311)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고정 유닛(390)은, 고정 홈(391)과 고정편(393)을 가질 수 있다.
고정 홈(391)은 클립 바(373)의 자유 단 측에 형성되는 홈이다.
그에 대응하여, 고정편(393)은 몸체(311)에 돌출되는 구성이다. 고정편(393)은 고정 홈(391)에 삽입되게 형성된다.
이때, 고정편(393)은 걸림 핀(351)의 상부인 고정단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발열체(330)의 발열부(331)가 하우징(310)의 중공부(313)에 삽입될 때, 손잡이부(333) 뿐 아니라 클립 바(373) 역시 시술자가 손에 잡는 대상물이 될 수 있다.
발열체(330)가 중공부(213)에 삽입될 때, 홀딩 유닛(350)에 의해 발열체(330)가 하우징(31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걸림 핀(351)이 걸림홈(353)에 걸려서, 발열체(330)와 하우징(31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발열체(330)가 하우징(310)에 결합된 후에, 시술자는 클립 바(373)를 회전시켜 몸체(311)에 평행하게 배치한다. 그에 의해, 클립 바(373)는 퍼머 시술을 받는 자의 머리가 하우징(310)에서 풀리지 않게 한다.
또한, 시술자는 별도로 고무 밴드를 이용하여 머리를 고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시술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퍼머용 롯드(300)의 발열체(330)를 가열하는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퍼머용 롯드(300)의 일 부분과 그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D)에 대해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발열체(330)를 가열하기 위한 장치(D)는 가열 홀(H)이 복수 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가열 홀(H)에는 발열체(330), 구체적으로 발열부(331)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클립 바(373)는 발열부(331)에서 멀어지도록 회전된 상태로 위로 향하게 된다.
그에 의해, 시술자는 클립 바(373)를 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고, 발열부(331)의 뜨거운 열기를 피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퍼머용 롯드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200,300: 퍼머용 롯드 110,210,310: 하우징
130,230,330: 발열체 150,250,350: 홀딩 유닛
370: 클립 유닛 390: 고정 유닛

Claims (12)

  1. 일 측이 개방된 중공부와, 몸체의 두께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체결홀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중공부에 삽입되는 발열체;
    상기 체결홀에 결합되고 상기 중공부 내로 돌출되는 걸림단을 구비하는 걸림 핀과, 상기 발열체의 둘레를 따라 그루브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걸림단을 수용하는 걸림홈으로 구성되며, 상기 발열체를 상기 중공부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홀딩 유닛;
    상기 발열체에 결합되는 핀 형태인 기둥부와, 상기 기둥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발열체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발열체에 대해 평행하게 회전하는 클립 바를 포함하는 클립 유닛;
    상기 클립 바의 상기 기둥부에서 먼 단부 측에 형성되는 고정 홈과,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상기 클립 바가 상기 발열체에 대해 평행하게 회전되면 상기 고정 홈에 삽입되며 상기 걸림 핀의 걸림단에 반대되는 단부인 고정단을 구비하는 고정편을 포함하고, 상기 클립 바의 상기 기둥부에서 먼 단부를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하는 고정 유닛;을 포함하는, 퍼머용 롯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중공부의 개방된 일 측을 폐쇄하는 마개를 포함하는, 퍼머용 롯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열 전도성 재질의 발열부; 및
    상기 발열부에 연결되며 열 단열성 재질의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개는,
    상기 손잡이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퍼머용 롯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기 발열체와 일체화된, 퍼머용 롯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체결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체결 돌기가 삽입 체결되는 체결 홈을 더 포함하는, 퍼머용 롯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중공부의 개방된 일 측을 형성하며, 외부로 돌출된 원통부; 및
    상기 원통부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원통부의 단부에서 연장하다 절곡되어 연장되는 결합 그루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마개는,
    상기 원통부를 수용하는 중공체이고, 상기 결합 그루브에 대응하는 결합 돌기를 구비하는 포함하는, 퍼머용 롯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50130673A 2015-09-16 2015-09-16 퍼머용 롯드 KR101794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673A KR101794691B1 (ko) 2015-09-16 2015-09-16 퍼머용 롯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673A KR101794691B1 (ko) 2015-09-16 2015-09-16 퍼머용 롯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965A KR20170032965A (ko) 2017-03-24
KR101794691B1 true KR101794691B1 (ko) 2017-12-01

Family

ID=58500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673A KR101794691B1 (ko) 2015-09-16 2015-09-16 퍼머용 롯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6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751Y1 (ko) * 2002-02-09 2002-07-23 이승수 웨이브퍼머용 발열롯드
KR100769714B1 (ko) * 2007-04-20 2007-10-24 심국현 기능성 물질이 수납된 퍼머용 롯드
KR100959960B1 (ko) * 2007-06-27 2010-05-27 최충식 발열체 및 고정구를 갖는 헤어롤
US20150090286A1 (en) * 2013-09-30 2015-04-02 Judith Kay Stubbs Heatable hair roll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751Y1 (ko) * 2002-02-09 2002-07-23 이승수 웨이브퍼머용 발열롯드
KR100769714B1 (ko) * 2007-04-20 2007-10-24 심국현 기능성 물질이 수납된 퍼머용 롯드
KR100959960B1 (ko) * 2007-06-27 2010-05-27 최충식 발열체 및 고정구를 갖는 헤어롤
US20150090286A1 (en) * 2013-09-30 2015-04-02 Judith Kay Stubbs Heatable hair roll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2965A (ko) 2017-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28538A1 (zh) 一种自动卷发器
US9149101B2 (en) Hair styling device with grip-tip
US4335732A (en) Hair curling iron
EP1974627B1 (en) Eyelash curler
KR101581442B1 (ko) 사용이 편리한 헤어 미용 전열기기
JP6250813B2 (ja) ヘアカール器
KR101794691B1 (ko) 퍼머용 롯드
KR20190001546U (ko) 헤어롤이 탈착되는 발열브러시
KR101489906B1 (ko) 헤어 이미용 전열고데기
KR101176334B1 (ko) 모근 인접 모발용 헤어 로드 세트
KR20160041578A (ko) 브러시가 결합된 헤어롤
CN106572730B (zh) 具有可拆卸夹具的卷发棒装置
KR100745435B1 (ko) 모발 처리장치
KR101345656B1 (ko) 파마 로드용 홀더
KR102177761B1 (ko) 헤어세팅 롤 및 이를 포함한 헤어 세팅 장치
JP4128977B2 (ja) 整髪処理装置
KR20100097798A (ko) 모근부 파마기
KR200474948Y1 (ko) 헤어롯드 히팅 장치
KR20170079492A (ko) 가열롯드
KR20130088725A (ko) 무선 헤어 컬링기
WO2008114961A1 (en) Clamp for hair permanent
KR20170005614A (ko) 헤어롯드
KR200476219Y1 (ko) 헤어아이론
JP6093559B2 (ja) ヘアカーラ
KR200474486Y1 (ko) 헤어 고데기용 가이드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