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640B1 -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실시간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리얼타임 pcr 방법 - Google Patents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실시간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리얼타임 pcr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640B1
KR101794640B1 KR1020150170006A KR20150170006A KR101794640B1 KR 101794640 B1 KR101794640 B1 KR 101794640B1 KR 1020150170006 A KR1020150170006 A KR 1020150170006A KR 20150170006 A KR20150170006 A KR 20150170006A KR 101794640 B1 KR101794640 B1 KR 101794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q
probe
detection
detecting
r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4613A (ko
Inventor
이종호
전병희
김혜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크로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크로이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크로이즈
Priority to KR1020150170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640B1/ko
Publication of KR201700646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6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76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 C12Q1/6888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 C12Q1/6895Nucleic acid products used in the analysis of nucleic acids, e.g. primers or probes for detection or identification of organisms for plants, fungi or alga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61/00Nucleic acid detection characterised by assay method
    • C12Q2561/113Real time assa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6Primer sets for multiplex ass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원은,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다중 실시간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이를 포함한 리얼타임 PCR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리얼타임 PCR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실시간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리얼타임 PCR 방법{PRIMER AND PROBE FOR REAL TIME DETECTING MICROORGANISM ASSOCIATED WITH ORAL DISEASE AND REAL TIME PCR METHOD USING THE SAME}
본원은,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실시간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이를 포함한 리얼타임 PCR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리얼타임 PCR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주염은 다양한 복합구강세균이 구강 내에 감염되어 치자뿌리를 둘러쌓고 있는 치조골이 흡수되는 만성질환으로서, 전 세계의 성인 2/3 이상이 이환되어 있고 성인의 치아 발치의 가장 주요한 원인이 되는 심각한 글로벌 질환이다. 또한, 복합세균이나 여기서 유발된 독성 물질들이 혈류를 통해 심각한 전신질환을 야기하거나 심화되는 과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게 됨에 따라, 치주 질환자들 중 노인환자들의 수가 상승하고 있으며, 만성 소모성질환을 가진 치주 환자들도 급격히 증가하여 다양한 전신성 질환(심혈관질환, 당뇨병, 저체중조산, 류마티스관절염, 만성 신장질환, 상기도 폐질환, 암, 기억력 감퇴 등)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다.
치주 질환의 주요한 원인균종으로 아그레가티박터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포필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Fusobacterium nucleatum), 프레보텔라 인터미디아(Prevotella intermedia), 트레포네마 덴티콜라(Treponema denticola), 타네렐라 포시티아(Tannerella forsythia) 등이 알려져 있고, 또 다른 원인균종을 밝히기 위한 연구들이 계속 진행 중이다. 또한, 거주 지역에 따라 치주 질환에 연관된 세균 종이 다르다는 연구도 있다. 그러므로, 치주 질환의 원인균을 밝히기 위해서는 전 인류를 대상으로 하는 대단위 역학연구가 필요하고, 이때 모든 연구자들이 공동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 민감도와 특이도가 우수한 검출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치주 질환을 진단하는 기존 방법은 환자에게 상당한 고통을 수반하는 치주 탐침자를 이용하고 있는 바, 단순한 검체 채취로 이러한 고통을 줄여주면서도, 치주 질환의 원인이 되는 치주 질환 유발 미생물의 양을 정밀한 유전자 정량 분석 방법을 통해 진단함으로써, 질병의 원인을 규명하고, 근본적인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고, 치료 중이나 후의 치주 질환의 개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현재 치과 내에서 많이 행하여지는 기존의 미생물 검사 방법은 미생물의 종류와 수를 제대로 구분하지 못하며, 시각적 근거자료에 의하여 의사가 병원성 위험요인에 대한 정확한 판단과 치료에 어려움을 겪는다.
현재까지 치주 질환 관련 원인균종을 찾기 위한 분자역학연구는 주로 16s rDNA의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프라이머를 제작한 PCR법을 이용하여 정성분석을 한 것이 대부분이었다(G. Conrads et al. "The use of a 16S rDNA directed PCR for the detection of endodontopathogenic bacteria." Journal of Endodontics 23.7 (1997): 433-438). 16s rDNA 염기서열은 수많은 연구가 진행된 위치이며 변이가 적어 양성률이 높은 장점이 있으나, 여러 미생물종들과 유사한 염기서열 구조를 가지고 있어 PCR 조건 및 반응용액 조건의 최적화가 필요하며, 실험상의 작은 변화가 일어나면 유사한 미생물에 대한 비특이적 증폭반응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본원은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실시간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이를 포함한 리얼타임 PCR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리얼타임 PCR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원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서열번호 1 및 2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아그레가티박터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3 및 4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포필로모나스 진지발리스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5 및 6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타네렐라 포시티아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7 및 8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9 및 10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프레보텔라 인터미디아 검출용 프라이머쌍; 및 서열번호 11 및 12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 검출용 프라이머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실시간 검출용 프라이머 쌍을 제공한다.
본원의 제 2 측면은, 서열번호 1 및 2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아그레가티박터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3 및 4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포필로모나스 진지발리스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5 및 6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타네렐라 포시티아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7 및 8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9 및 10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프레보텔라 인터미디아 검출용 프라이머쌍; 및 서열번호 11 및 12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 검출용 프라이머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 쌍 이상의 프라이머쌍을 포함하는,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다중 실시간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한다.
본원의 제 3 측면은, 서열번호 13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아그레가티박터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4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포필로모나스 진지발리스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5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타네렐라 포시티아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6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7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레보텔라 인터미디아 검출용 프로브; 및 서열번호 18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 검출용 프로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실시간 검출용 프로브를 제공한다.
본원의 제 4 측면은, 서열번호 13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아그레가티박터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4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포필로모나스 진지발리스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5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타네렐라 포시티아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6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7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레보텔라 인터미디아 검출용 프로브; 및 서열번호 18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 검출용 프로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 개 이상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다중 실시간 검출용 프로브 세트를 제공한다.
본원의 제 5 측면은,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프라이머쌍 및 제 3 측면에 따른 프로브를 포함하는, 구강 질환 관련 세균 검출용 리얼타임 PCR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의 제 6 측면은, 본원의 제 2 측면에 따른 프라이머 세트 및 제 4 측면에 따른 프로브 세트를 포함하는,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다중 검출용 리얼타임 PCR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의 제 7 측면은, 본원의 제 5 측면에 따른 리얼타임 PCR 조성물을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수득한 시료에서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을 검출하기 위한 리얼타임 PCR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의 제 8 측면은, 본원의 제 6 측면에 따른 리얼타임 PCR 조성물을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수득한 시료에서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을 다중 검출하기 위한 리얼타임 PCR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프라이머 및 프로브는 구강 세균 감염성 질환을 일으키는 병원성 세균을 동정 및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계통분류학적으로 잘 보존이 되어 있으며, 세균 종간의 구분이 비교적 용이하고, 일반적으로 연구하는 16s rDNA보다는 큰 기능적 유전자인 waaA (3-deoxy-D-manno-octulosonic-acid transferase) 유전자를 바탕으로 구성됨에 따라, 여러 미생물종들과 유사한 염기서열 구조를 가지고 있어 PCR 조건 및 반응용액 조건의 최적화가 필요한 종래의 16s rDNA 기저 프라이머 또는 프로브에 비해 효과적으로 구강 질환(치주질환 원인균 6종)을 다중 실시간 검출할 수 있는 종특이적 PCR 검출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구강 질환 관련 세균 검출용 프라미머 및 프로브는 민감도 및 특이도가 높으며, 교차 오염을 줄일 수 있어, 구강 내 다양한 세균 중 치주 질환 고위험 원인균에 대해 신속하고 간단하게 검출 및 분석할 수 있다.
구강 질환의 원인균인 미생물의 존재 여부와 농도의 확인을 위해 유전자 분석 기술을 이용하는 것은 방법의 정확성과 기법이 확립되어 있으며, 기존의 배양을 통해 확인하는 방법에 비해 빠르고 정확하며, 배양이 되지 않는 균들에 대한 확인도 가능하여 비용 절감과 임상적인 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정확한 균종 및 양의 확인이 가능하며 치과 병원 내에서 구강 질환 원인 미생물에 적합한 치료 가이드(항생제 및 SRP(Scailing and Root Planing))를 제시할 수 있으며, 치료 전 후 반복 검사를 통해 치료성과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효율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환자는 원인 미생물의 조기 분석으로 인하여 구강질환 원인 미생물에 대한 경각심 고조 및 구강 관리에 집중을 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A.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의 싱글플렉스(singleplex) 리얼타임 PCR 민감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P. 진지발리스의 싱글플렉스 리얼타임 PCR 민감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T. 포시티아의 싱글플렉스 리얼타임 PCR 민감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P. 인터미디아의 싱글플렉스 리얼타임 PCR 민감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T. 덴티콜라의 싱글플렉스 리얼타임 PCR 민감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F. 뉴클레아툼의 싱글플렉스 리얼타임 PCR 민감도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 및 7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A-세트의 멀티플렉스(Multiplex) 리얼타임 PCR의 A.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의 (a) 민감도와 (b) 표준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 8a 및 8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A-세트의 멀티플렉스 리얼타임 PCR 의 P. 진지발리스의 (a) 민감도와 (b) 표준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 9a 및 9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A-세트의 멀티플렉스 리얼타임 PCR 의 T. 포시티아의 (a) 민감도와 (b) 표준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a 및 10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B-세트의 멀티플렉스 리얼타임 PCR 의 P. 인터미디아의 (a) 민감도와 (b) 표준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 11a 및 11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B-세트의 멀티플렉스 리얼타임 PCR 의 T. 덴티콜라의 (a) 민감도와 (b) 표준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a 및 12b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B-세트의 멀티플렉스 리얼타임 PCR 의 F. 뉴클레아툼의 (a) 민감도와 (b) 표준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A.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의 Aa02F/Aa02R 프라이머의 음성 대조군 균주에 대한 특이도를 나타낸 것이다(레인 1: A.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레인 2: A. 오돈토리티쿠스; 레인 3: C. 콘시수스; 레인 4: C. 오차라세아; 레인 5: E. coli; 레인 6: E. 코로덴스; 레인 7: S. 파우씨모빌리스; 레인 8: S. 고도니; 레인 9: S. 미티스; 및 레인 10: V. 파불라).
도 1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P. 진지발리스의 Pg01F/Pg01R프라이머의 음성 대조군 균주에 대한 특이도를 나타낸 것이다(레인 1: P. 진지발리스; 레인 2: A. 오돈토리티쿠스; 레인 3: C. 콘시수스; 레인 4: C. 오차라세아; 레인 5: E. coli; 레인 6: E. 코로덴스; 레인 7: S. 파우씨모빌리스; 레인 8: S. 고도니; 레인 9: S. 미티스; 및 레인 10: V. 파불라).
도 1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T. 포시티아의 Tf02F/Tf02R 프라이머의 음성 대조군 균주에 대한 특이도를 나타낸 것이다. (레인 1: T. 포시티아; 레인 2: A. 오돈토리티쿠스; 레인 3: C. 콘시수스; 레인 4: C. 오차라세아; 레인 5: E. coli; 레인 6: E. 코로덴스; 레인 7: S. 파우씨모빌리스; 레인 8: S. 고도니; 레인 9: S. 미티스; 및 레인 10: V. 파불라)
도 1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P. 인터미디아의 Pi01F/Pi01R 프라이머의 음성 대조군 균주에 대한 특이도를 나타낸 것이다(레인 1: P. 인터미디아; 레인 2: A. 오돈토리티쿠스; 레인 3: C. 콘시수스; 레인 4: C. 오차라세아; 레인 5: E. coli; 레인 6: E. 코로덴스; 레인 7: S. 파우씨모빌리스; 레인 8: S. 고도니; 레인 9: S. 미티스; 및 레인 10: V. 파불라).
도 1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T. 덴티콜라의 Td02F/Td02R 프라이머의 음성 대조군 균주에 대한 특이도를 나타낸 것이다(레인 1: T. 덴티콜라; 레인 2: A. 오돈토리티쿠스; 레인 3: C. 콘시수스; 레인 4: C. 오차라세아; 레인 5: E. coli; 레인 6: E. 코로덴스; 레인 7: S. 파우씨모빌리스; 레인 8: S. 고도니; 레인 9: S. 미티스; 및 레인 10: V. 파불라).
도 1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F. 뉴클레아툼의 En1601F/Fn1601R 프라이머의 음성 대조군 균주에 대한 특이도를 나타낸 것이다(레인 1: F. 뉴클레아툼; 레인 2: A. 오돈토리티쿠스; 레인 3: C. 콘시수스; 레인 4: C. 오차라세아; 레인 5: E. coli; 레인 6: E. 코로덴스; 레인 7: S. 파우씨모빌리스; 레인 8: S. 고도니; 레인 9: S. 미티스; 및 레인 10: V. 파불라).
도 1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머 세트 A 및 프로브 세트 A 를 사용한 멀티플렉스 리얼타임 PCR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머 세트 B 및 프로브 세트 B를 사용한 멀티플렉스 리얼타임 PCR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디바이스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포함된 "이들의 조합(들)"의 용어는 마쿠시 형식의 표현에 기재된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혼합 또는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의 기재는, "A 또는 B, 또는 A 및 B"를 의미한다.
본원의 명세서 전체에서, "환자"는 구강 질환을 진단하고자 하는 대상을 의미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마우스(mouse), 랫(rat),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 및 이하에 기술하는 실험 방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이하, 본원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원이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제 1 측면은, 서열번호 1 및 2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아그레가티박터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3 및 4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포필로모나스 진지발리스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5 및 6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타네렐라 포시티아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7 및 8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9 및 10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프레보텔라 인터미디아 검출용 프라이머쌍; 및 서열번호 11 및 12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 검출용 프라이머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실시간 검출용 프라이머쌍을 제공한다.
본원의 제 2 측면은, 서열번호 1 및 2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아그레가티박터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3 및 4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포필로모나스 진지발리스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5 및 6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타네렐라 포시티아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7 및 8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9 및 10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프레보텔라 인터미디아 검출용 프라이머쌍; 및 서열번호 11 및 12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 검출용 프라이머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 쌍 이상의 프라이머쌍을 포함하는,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다중 실시간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를 제공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종래의 리얼타임 PCR 방법에서는, 주로 16s rDNA의 염기서열을 바탕으로 프라이머를 제작하여 정성분석을 하였다. 그러나 16s rDNA 염기서열은 수많은 연구가 진행된 위치이며 변이가 적어 양성률이 높은 장점이 있으나, 여러 미생물종들과 유사한 염기서열 구조를 가지고 있어 PCR 조건 및 반응용액 조건의 최적화가 필요하며, 실험상의 작은 변화가 일어나면 유사한 미생물에 대한 비특이적 증폭반응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반하여, 본원의 프라이머는 16s rDNA보다는 큰 기능성 유전자인 waaA (3-deoxy-D-manno-octulosonic-acid transferase) 유전자를 바탕으로 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민감도 및 특이도가 높으며, 교차 오염을 줄일 수 있어, 구강 내 다양한 세균 중 치주 질환 고위험 원인균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는 검출하고자 하는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유전자에 상보적인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는 하나의 프라이머쌍 단독으로 상기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을 실시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적어도 2 쌍 이상, 예를 들어, 3 쌍 이상의 프라이머쌍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세트로서 사용되어 상기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을 동시에 다중 실시간 검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서열번호 1 및 2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아그레가티박터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3 및 4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포필로모나스 진지발리스 검출용 프라이머쌍; 및 서열번호 5 및 6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타네렐라 포시티아 검출용 프라이머쌍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세트는, 서열번호 7 및 8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9 및 10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프레보텔라 인터미디아 검출용 프라이머쌍; 및 서열번호 11 및 12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 검출용 프라이머쌍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은 치주 질환 등의 원인이 되는 균으로서, 아그레가티박터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포필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Fusobacterium nucleatum), 프레보텔라 인터미디아(Prevotella intermedia), 트레포네마 덴티콜라(Treponema denticola), 타네렐라 포시티아(Tannerella forsythi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제 3 측면은, 서열번호 13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아그레가티박터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4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포필로모나스 진지발리스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5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타네렐라 포시티아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6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7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레보텔라 인터미디아 검출용 프로브; 및 서열번호 18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 검출용 프로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실시간 검출용 프로브를 제공한다.
본원의 제 4 측면은, 서열번호 13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아그레가티박터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4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포필로모나스 진지발리스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5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타네렐라 포시티아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6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7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레보텔라 인터미디아 검출용 프로브; 및 서열번호 18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 검출용 프로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2 개 이상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다중 실시간 검출용 프로브 세트를 제공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16s rDNA보다는 큰 기능성 유전자인 waaA (3-deoxy-D-manno-octulosonic-acid transferase) 유전자를 바탕으로 하여 제조된 것으로서, 민감도 및 특이도가 높으며, 교차 오염을 줄일 수 있어, 구강 내 다양한 세균 중 치주 질환 고위험 원인균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프로브는 검출하고자 하는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하나의 프로브 단독으로 상기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을 실시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또는 적어도 2 개 이상, 예를 들어, 3 개 이상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프로브 세트로서 사용되어 상기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을 동시에 다중 실시간 검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세트는 서열번호 13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아그레가티박터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4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포필로모나스 진지발리스 검출용 프로브; 및 서열번호 15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타네렐라 포시티아 검출용 프로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세트는 서로 다른 파장에서 검출할 수 있는 표지 물질로 표지된 2개 이상의 프로브를 동시에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서로 다른 파장에서 검출할 수 있는 표지 물질로 표지된 2개 이상의 프로브를 동시에 포함하는 경우 1개의 검사 튜브에서 2개 이상의 구강 질환 원인 세균을 한번에 검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표지 물질로 표지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표지 물질은 당업계에 알려진 다양한 형광 물질, 방사성 물질, 발광성 물질 등과 같은 다양한 표지 물질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y5, Cy3, 비오틴-결합물질, EDANS(5-(2'-아미노에틸)아미노-1-나프탈렌황산), 테트라메틸로다민(TMR), 테트라메틸로다민 이소시아네이트(TMRITC), x-로다민, 텍사스 레드, SYBR 그린 I(SYBR green I), VIC, FAM(fluorescein), TAMRA(carboxytetramethylrhodamine), HEX(carboxy-2',4,4',5',7,7'-hexachloroflurescein), BHQ3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프로브는, 5' 말단, 3' 말단, 또는 5' 말단과 3' 말단 둘 다에 표지 물질로 표지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세트는 서열번호 16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7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레보텔라 인터미디아 검출용 프로브; 및 서열번호 18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 검출용 프로브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 세트에서, 상기 프로브는 한쪽 말단, 예를 들어, 5' 말단을 470 nm에서 검출할 수 있는 표지 물질로 표지하고, 또 다른 프로브의 한쪽 말단, 예를 들어, 5' 말단을 530 nm에서 검출할 수 있는 표지 물질로 표지함으로써, 다양한 검출 파장에서 검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470 nm에서 검출할 수 있는 상기 표지 물질은 FAM일 수 있고, 530 nm에서 검출할 수 있는 상기 표지 물질은 VIC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제 5 측면은, 본원의 제 1 측면에 따른 프라이머쌍 및 제 3 측면에 따른 프로브를 포함하는, 구강 질환 관련 세균 검출용 리얼타임 PCR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의 제 6 측면은, 본원의 제 2 측면에 따른 프라이머 세트 및 제 4 측면에 따른 프로브 세트를 포함하는,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다중 검출용 리얼타임 PCR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원의 제 7 측면은, 본원의 제 5 측면에 따른 리얼타임 PCR 조성물을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수득한 시료에서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을 검출하기 위한 리얼타임 PCR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의 제 8 측면은, 본원의 제 6 측면에 따른 리얼타임 PCR 조성물을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수득한 시료에서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을 다중 검출하기 위한 리얼타임 PCR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리얼타임 PCR 방법은,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수득한 시료, 하나 이상의 프라이머쌍 및 표지 물질로 표지된 이상의 상기 프로브를 이용하여 리얼타임 PCR로 증폭하는 단계; 및 상기 표지 물질로부터의 실시간 방출(emission)의 실시간 증가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표지 물질로부터의 실시간 방출 정도를 측정하여 상기 구강 질환 관련 세균에 특이적인 유전자 증폭량을 산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수득한 시료는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가글액을 통해서 수득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시료는 검출하고자 하는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유전자 서열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은 치주 질환 등의 원인이 되는 균으로서, 아그레가티박터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포필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Fusobacterium nucleatum), 프레보텔라 인터미디아(Prevotella intermedia), 트레포네마 덴티콜라(Treponema denticola), 타네렐라 포시티아(Tannerella forsythi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세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가글액은 플루오르화나트륨, 스페아민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리얼타임 PCR 방법은, 상기 증폭하는 단계 전에, 상기 구강 질환 관련 세균에 특이적인 유전자의 카피수를 알고 있는 양성 표준자를 하나 이상의 상기 프라이머쌍 및 표지 물질로 표지된 하나 이상의 상기 프로브를 이용하여 리얼타임 PCR로 증폭하는 단계를 추가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표지 물질로부터의 실시간 방출(emission)의 실시간 증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양성 표준자의 전체 PCR 증폭 기간에 대한 상기 표지 물질의 형광세기의 변화를 측정하고, 일정한 형광세기에 도달하는 PCR 반응회수(Cp값 또는 Ct값)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표지 물질의 형광세기의 변화를 측정하여 얻어진 표준곡선으로부터 상기 유전자 서열의 카피수와, Cp값 또는 Ct값을 대응시키는 단계; 상기 환자의 구강으로부터의 수득한 시료 내에 존재하는 상기 구강 질환 관련 세균에 특이적인 유전자 서열의 전체 PCR 증폭 기간에 대한 상기 표지 물질의 형광세기의 변화를 측정하고, 일정한 형광세기에 도달하는 PCR 반응회수(Cp값 또는 Ct값)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환자의 구강으로부터의 수득한 시료 내에 존재하는 상기 구강 질환 관련 세균에 특이적인 유전자를 PCR 증폭하여 얻은 Cp값 또는 Ct값을 상기 양성 표준자의 카피수에 대응시켜, 상기 검체 내에 존재하는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감염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하나의 프라이머쌍 및 하나의 프로브를 사용하여 단일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을 검출하거나, 둘 이상의 프라이머쌍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세트 및 둘 이상의 프로브를 포함하는 프로브 세트를 사용하여 둘 이상의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을 동시에 실시간 다중 검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와 상기 프로브는 검출하고자 하는 세균에 대하여 종 특이적이면서도 서로 상호저해를 하지 않는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쌍은 검출하고자 하는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유전자에 상보적인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한 쌍의 프라이머쌍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둘 이상의 프라이머쌍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세트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쌍은 서열번호 1 및 2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아그레가티박터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3 및 4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포필로모나스 진지발리스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5 및 6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타네렐라 포시티아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7 및 8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9 및 10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프레보텔라 인터미디아 검출용 프라이머쌍; 및 서열번호 11 및 12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 검출용 프라이머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상기 검출하고자 하는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프로브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둘 이상의 프로브 세트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프로브는 서열번호 13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아그레가티박터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4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포필로모나스 진지발리스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5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타네렐라 포시티아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6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7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레보텔라 인터미디아 검출용 프로브; 및 서열번호 18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 검출용 프로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브는 표지 물질로 표지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표지 물질은 당업계에 알려진 다양한 형광 물질, 방사성 물질, 발광성 물질 등과 같은 다양한 표지 물질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y5, Cy3, 비오틴-결합물질, EDANS(5-(2'-아미노에틸)아미노-1-나프탈렌황산), 테트라메틸로다민(TMR), 테트라메틸로다민 이소시아네이트(TMRITC), x-로다민, 텍사스 레드, SYBR 그린 I(SYBR green I), VIC, FAM(fluorescein), TAMRA(carboxytetramethylrhodamine), HEX(carboxy-2',4,4',5',7,7'-hexachloroflurescein), BHQ3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지 물질은 형광 물질일 수 있으며, 형광의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구강 질환 관련 세균에 특이적인 유전자의 증폭량을 산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상기 제 5 측면 내지 제 8 측면에 대하여, 상기 본원의 제 1 측면 내지 제 4 측면에 대하여 기술된 내용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이하, 본원에 대하여 실시예를 이용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하기 실시예는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하는 것일 뿐, 본원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표준 균주의 선택 및 DNA 추출
표준 균주의 선택 및 배양
본원 실시예에서 사용된 치주 질환의 주요한 원인균종은 아그레가티박터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포필로모나스 진지발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Fusobacterium nucleatum), 프레보텔라 인터미디아(Prevotella intermedia), 트레포네마 덴티콜라(Treponema denticola), 타네렐라 포시티아 (Tannerella forsythia)를 선택하여 사용하였다(표 1).
표준 균주 6종
분양 균주 국내 자원 No.
아그레가티박터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KCTC 3698
포필로모나스 진지발리스 KCTC 5352
타네렐라 포시티아 KCTC 5666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KCTC 15104
프레보텔라 인터미디아 KCTC 3692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 KCTC 2640
본원 실시예에서 제작한 프라이머가 구강 내에 다른 균주와 반응을 일으키는 교차오염을 확인하기 위한 음성대조군으로 악티노마이세스 오돈토리티쿠스 (Actinomyces odontolyticus), 캄필로박터 콘시수스 (Campylobacter concisus), 캡노시토파가 오차라세아 (Capnocytophaga ochracea), 에셔리키아 콜라이 (Escherichia coli), 익케넬라 코로덴스 (Eikenella corrodens), 사핑고모나스 파우씨모빌리스 (Sphingomonas paucimobilis), 스트렙토코쿠스 고도니, (Streptococcus gordonii), 스트렙토코쿠스 미티스 (Streptococcus mitis) , 베일로넬라 파불라 (Veillonella parvula) 등의 균주를 사용하였다(표 2).
음성대조군 9종
음성 대조군 균주 KCTC No.
악티노마이세스 오돈토리티쿠스 5804
캄필로박터 콘시수스 5326
캡노시토파가 오차라세아 5787
에셔리키아 콜라이 1041
익케넬라 코로덴스 15198
사핑고모나스 파우씨모빌리스 2346
스트렙토코쿠스 고도니 3286
스트렙토코쿠스 미티스 3284
베일로넬라 파불라 5019
상기 균주들은 ATCC(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USA), KCTC(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Biological Resource Center, Korea)와 한국구강미생물자원은행(KCOM)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A.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는 0.6% 효모 추출물, 5% 말 혈청(horse serum), 75 ㎍/ml 바시트라신(bacitracin) 및 5 ㎍/ml 반코마이신(vancomycin) (Sigma, USA) 이 첨가된 TSB(tryptic soy broth, Difco Laboratories, USA)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그 외 균주들은 TSB(trypticase soy broth)에 0.5% 효모 추출물, 0.05% 시스테인 HCl-H2O(cysteine HCl-H2O), 0.5 ㎎/㎖ 헤민(hemin) 및 2 ㎍/㎖ 비타민 K1이 첨가된 배지에 배양하였다.
DNA 추출
균주 검출을 위한 PCR 반응의 주형으로 사용할 모든 균주의 게놈 DNA들은 ExgeneTMClinic SV product: ExgeneTM Clinic SV Mini (GeneAll CO., Seoul, Korea)를 이용하여 제조회사의 지시에 따라 추출하였다. 각각의 배양액에서 배양된 균주들은 1.5 ㎖를 10,000 x g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세균을 수확한 다음, 1X PBS에 용해시킨 후 프로테이나아제(proteinase) K 용액(20 mg/ml) 20 ㎕을 첨가하고, BL 버퍼(세포 용해 버퍼) 200 ㎕를 넣고 볼텍싱(vortex)하였다. 그런 다음, 56℃에서 10분간 반응시키고 스핀다운하였다. 이후, 상기 용액을 SV 컬럼에 조심스럽게 옮긴 후, 8,000 rpm에서 1분간 원심분리하였다. 그런 다음, BW 버퍼(세척 버퍼) 600 ㎕를 첨가한 후 8,000 rpm에서 1분간 원심분리하고, TW 버퍼(Washing buffer 2) 700 ㎕를 넣고, 또다시 8000 rpm에서 1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최종 용출 버퍼를 사용하여 회수한 DNA를 이후 각각의 PCR에 사용하였다. 컬럼을 새로운 1.5 ㎖ 마이크로 튜브에 결합시킨 후 AE 버퍼(용출 버퍼) 150 ㎕을 첨가하고 5분간 상온에서 반응 시킨 다음 12,000 rpm에서 1분간 원심분리하여 DNA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균종별 DNA는 목적에 맞게 NanoDrop2000 (Thermo SCIENTIFIC., USA) 으로 정량한 이후 PCR 주형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표준 균주 DNA를 이용한 리얼타임 PCR(Real-time PCR)
표준화된 PCR 조건을 위해 상기 실시예 1의 표 1에서와 같은 6종의 분양 받은 표준 균주를 NanoDrop2000 (Thermo SCIENTIFIC., USA) 정량한 이후 DNA prep Kit에 포함된 용출 버퍼를 사용하여 1 ng부터 1 fg 까지 10배씩 연속적으로 희석하여 리얼타임 PCR 정량에 필요한 표준곡선을 작성하였다. 현재 진단용으로 분류되어있는 리얼-타임 PCR 장비들은 각 프로브의 형광물질들이 파장대별로 겹치는 한계가 있으므로 표준 염료(reference dye)를 제외한 3종의 프라이머쌍 및 프로브의 A 및 B 두 개의 세트로 구분하여 다중분석하였다(표 3 및 4).
단일 카피 유전자 waaA(3-deoxy-D-manno-oct-2-ulosonic acid)(Kdo)로부터 보존된 영역(conserved region)을 바탕으로 하여 소프트웨어 PRIMER3 (http://bioweb.pasteur.fr/seqanal/interfaces/eprimer3.html)를 이용하여 프라이머 및 프로브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보존된 영역은 다중 서열 정렬 소프트웨어(multiple sequence alignment software)(T-Coffee v.1.41)를 사용하여 확인하였으며, 선택된 프라이머 및 프로브는 Basis Local Alignment Search Tool (BLAST) (http://www.ncbi.nlm.nih.gov/BLAST/)을 사용하여 비관련 서열과의 상동성을 실험하였다. 프라이머 및 프로브는 기능성 유전자 (waaA)에 근거한 것으로, RealTimeDesign Software를 사용하여 특이성에 대해 설계하였다. 이차 구조의 존재는 mFOLD (http://mfold.rna.albany.edu/?q=mfold)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프라이머와 프로브는 종 특이적이면서 상호저해를 하지 않는다 (표 3 및 4).
본원에서 사용된 구강질환 원인균주 검출용 프라이머
균주 유전자 프라이머 명칭 서열(5' to 3') 크기(bp)
A A.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waaA Aa02F 서열번호 1: cgcgttttacggcgaattg 210
Aa02R 서열번호 2: ggcaaataaacgtgggtgac
P. 진지발리스 waaA Pg02F 서열번호 3: ccatcttccgaccgtcacag 147
Pg02R 서열번호 4: ccgctacggatacatggtct
T. 포시티아 waaA Tf02F 서열번호 5: gcgcttacctgtttcgagc 195
Tf02R 서열번호 6: tgcgaccagaatcagcgaag
B T. 덴티콜라 waaA Td02F 서열번호 7: tagactatatccttgaacaaaaaccgg 117
Td02R 서열번호 8: gaaaagcaggaagcataaatgatgg
P. 인터미디아 waaA Pi01F 서열번호 9: caggtagacccgaacgcaa 296
Pi01R 서열번호 10: cgcaatatgtgcaaatagttgtac
F.뉴클레아툼 waaA Fn02F 서열번호 11: gaattgtaagtttaggagcaatcaaag 251
Fn02R 서열번호 12: tttaggtaatctatccaaatgtcttgg
본원에서 사용된 구강 질환 원인 균주 검출용 프로브
균주 유전자 프로브 명칭 서열(5' to 3')
A A.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waaA Aa02P 서열번호 13: FAM -tggcgatcaccgtgacgacca -TAMRA
P. 진지발리스 waaA Pg02P 서열번호 14: Cy5 - acgtttgctacactgctttacacacatt - BHQ2
T. 포시티아 waaA Tf02P 서열번호 15: HEX - gcgaagcctgctggctgagttcg TAMRA
B P. 인터미디아 waaA Pi01P 서열번호 16: FAM- tcgacacagtggcgaacgcacg - TAMRA
T. 덴티콜라 waaA Td01P 서열번호 17: HEX-agctctgaataattttgatgcatacgatgtta -TAMRA
F.뉴클레아툼 waaA Fn02R 서열번호 18: Cy5 - tttaggtaatctatccaaatgtcttgg - BHQ3
10 pmol의, 각 3종씩 2세트의 6종의 균주의 센스 프라이머와 안티센스 프라이머(Bionics, korea)(표 3의 A 세트 및 B 세트); 각각 1 ㎕의 DNA 주형; 2 ㎕의 균주별 이중 표지된 프로브(Genotech, korea)(표 4의 A 세트 및 B 세트) 10 pmol; 각각 0.1 ㎕의 PCR Master Mix ((HotStarTaq polymerase(GeneAll CO., Seoul, Korea); 10X PCR 버퍼(2 mM MgCl2 포함), 1 ㎕의 dUTP, UDG(uracil-DNA glycosylase(Solgent, korea) 및 ROX 표준 염료를 포함하는 dNTPmix; 및 10.3 ㎕의 3차 멸균수를 포함하여, 최종 용량 20 ㎕가 되게 하였다. 그런 다음, 이를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Rea-time PCR Thermal Cycler(Applied biosystems 7500 Fast system, singapore)을 이용하여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실시하였다.
이때 사용한 리얼타임 PCR 조건은 최초 UDG의 활성을 위해 45℃에서 10분간 반응시켰으며, 사전 변성을 위해 95℃에서 10분간, 이후 45번의 중합효소연쇄반응 사이클은 95℃ 20초, 55℃에서 30초, 72℃에서 20초간 시행하였다. 형광값은 72℃에서 측정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life technologies 7500 software V 2.0.6을 이용하였다. Cycle threshold(CT)는 알려진 숫자의 DNA 농도의 대수증폭기로 시작하여 균주에 대한 표준곡선에 의해서 시료당 세균수를 측정하였다.
제작한 프라이머와 프로브를 기반으로 하여 최적화된 PCR 조건으로 치주 질환 원인균 6종의 민감도와 특이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멀티플렉스(Multiplex)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확인하기 이전에, 각 균주 종별 싱글플렉스(Singleplex)의 민감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6 종의 표준 균주를 각각 단독으로 리얼타임 PCR을 시행하여 확인하였다(도 1 내지 6). 그런 다음, 세트별 멀티플렉스 상황에서 목표하는 1종의 원인균 이외에 나머지 2종의 원인균에 대한 상호저해를 3회 반복하여 확인하였으며, 동시에 균주별 게놈 DNA를 1 ng부터 10 fg까지 10배씩 희석하여 표준곡선과 최소검출한도를 측정하였다(도 7 내지 도 12 및 표 5). 또한, 최종적으로 구강 내 일반 세균 15종(표 1의 표준균주 6종 및 표 2의 음성대조군 9종)에 대한 특이도를 확인하였다(도 13 내지 18).
도 1 내지 6은 상기 6종의 표준 균주의 종별 싱글플렉스의 민감도를 확인하기 위해 각각 단독으로 리얼타임 PCR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6종의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유전자가 상보적으로 결합을 하는지를 확인함과 동시에, 세균의 최소 검출량, 즉, 민감도를 확인할 수 있다.
도 7 내지 12 및 하기 표 5는, 표 3 및 표 4의 A 세트 및 B 세트의 프라이머쌍 세트 및 프로브 세트를 이용한 멀티플렉스 리얼타임 PCR에서의 목표하는 1종의 원인균 이외에 나머지 2종의 원인균에 대한 상호저해(민감도)를 확인하고(도 7a, 8a, 9a, 10a, 11a 및 12a), 표준곡선(도 7b, 8b, 9b, 10b, 11b 및 12b)과 최소검출한도(표 5)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 8a, 9a, 10a, 11a 및 12a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3종의 세균에 대해 동시에 리얼타임 PCR을 진행하였을 때, 각각의 세균과 상보적인 프라이머 및 프로브가 세트 내의 다른 세균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와 결합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7b, 8b, 9b, 10b, 11b 및 12b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프라이머 및 프로브는 다른 세균의 것들과 간섭현상이 없이 검출하고자 하는 세균의 유전자가 증폭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미 농도를 알고 있는 샘플들의 리얼타임 PCR의 증폭곡선은 일정한 간격을 주고 S자 형태를 나타내며, 이러한 결과의 곡선을 log로 변환하여 직선 그래프를 생성하는데, 이를 표준 곡선(standard curve)이라고 한다(실시예 2에서와 같이 각각의 표준 균주의 gDNA를 10배씩 희석해서 표준 곡선 작성). 이 표준 곡선을 동일한 시료의 리얼타임 PCR을 진행하여 나온 Ct값으로부터 검출하고자 하는 DNA의 양이 얼마인지 알 수 있도록 하는 식으로서 사용하여 리얼타임 PCR 정량분석을 실시한다. 상기 식에서 R2 값은 상기 직선 그래프로부터 나온 식의 값이 얼마나 잘 만들어졌는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1에 가까울수록 신뢰도가 높은 것이다. 도 7b, 8b, 9b, 10b, 11b 및 12b에서 R2 값은 모두 약 0.99 정도로서, 1에 매우 근접한 값으로서 그 신뢰도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도 13 내지 18은 구강 내 일반 세균 15종(표 1의 표준균주 6종 및 표 2의 음성대조군 9종)에 대한 특이도를 확인한 것으로, 상기 6종의 구강질환 원인균에 대한 프라이머 및 프로브가 상기 음성대조균 9종과 리얼타임 PCR 반응을 일으키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각 균주별 최소 검출한도
균주 Ct(10fg/ul) DNA copy
아그레가티박터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34.61 4.42
포필로모나스 진지발리스 36.33 3.95
타네렐라 포시티아 35.64 2.72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39.00 3.27
프레보텔라 인터미디아 38.13 3.62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 37.00 4.28
실시예 3: 환자로부터 수득한 시료를 이용한 리얼타임 PCR (Real-time PCR )
Cytogen periodontal analysis facility (Microis Co., Ltd., Seoul, Korea)에서 리얼타임 PCR을 사용하여 환자로부터 수득한 시료로부터 6종의 구강 질환 관련 원인균을 정량하였다. 환자는 치주낭 깊이(pocket depth) 5 mm 이상을 갖는 중증도 치주염(moderate periodontitis) 환자로서, 60대의 남성이다. 2-튜브 멀티플렉스 리얼타임 PCR 검정으로 환자의 침 시료 내의 6 종의 구강 질환 관련 세균 및 전체 박테리아를 검출하였다. 멀티플렉스 리얼타임 PCR 증폭은 20 ㎕의 총 반응 부피의 혼합물 내에서 실시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은 200 내지 350 nM의 표 3의 프라이머 세트 A 및 B, 50 내지 100 nM 의 표 4의 프로브 세트 A 및 B, 및 2㎕의 환자의 침 시료로부터의 정제된 DNA를 포함한다. 모든 반응은 ABI 7500 Fast Real-Time PCR System (Applied Biosystems, USA)에서 실시하였다. 사이클 조건은 5℃에서 10 분간 1 사이클, 95℃에서 15초, 55℃에서 15초, 72℃에서 30초간 45 사이클이다. 음성대조군과 양성대조군은 표 1 및 2의 균주가 사용되었다.
도 19 및 20은 상기 환자의 침 시료로부터 각각 프라이머 세트 A 및 프로브 세트 A(도 19) 및 프라이머 세트 B 및 프로브 세트 B(도 20)를 사용하여 멀티플렉스 리얼타임 PCR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9 및 2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침 시료 내의 6 개의 구강 질환 원인균이 명확하게 검출됨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MICROIS CO., LTD. <120> PRIMER AND PROBE FOR REAL TIME DETECTING MICROORGANISM ASSOCIATED WITH ORAL DISEASE AND REAL TIME PCR METHOD USING THE SAME <130> DP20150676KR <160> 18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400> 1 cgcgttttac ggcgaattg 19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400> 2 ggcaaataaa cgtgggtgac 20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orphyromonas gingivalis <400> 3 ccatcttccg accgtcacag 20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orphyromonas gingivalis <400> 4 ccgctacgga tacatggtct 20 <210> 5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annerella forsythia <400> 5 gcgcttacct gtttcgagc 19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annerella forsythia <400> 6 tgcgaccaga atcagcgaag 20 <210> 7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eponema denticola <400> 7 tagactatat ccttgaacaa aaaccgg 27 <210> 8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eponema denticola <400> 8 gaaaagcagg aagcataaat gatgg 25 <210> 9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evotella intermedia <400> 9 caggtagacc cgaacgcaa 19 <210> 10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evotella intermedia <400> 10 cgcaatatgt gcaaatagtt gtac 24 <210> 11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usobacterium nucleatum <400> 11 gaattgtaag tttaggagca atcaaag 27 <210> 12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usobacterium nucleatum <400> 12 tttaggtaat ctatccaaat gtcttgg 27 <210> 1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400> 13 tggcgatcac cgtgacgacc a 21 <210> 14 <211> 2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orphyromonas gingivalis <400> 14 acgtttgcta cactgcttta cacacatt 28 <210> 15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annerella forsythia <400> 15 gcgaagcctg ctggctgagt tcg 23 <210> 16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evotella intermedia <400> 16 tcgacacagt ggcgaacgca cg 22 <210> 17 <211> 3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reponema denticola <400> 17 agctctgaat aattttgatg catacgatgt ta 32 <210> 18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usobacterium nucleatum <400> 18 tttaggtaat ctatccaaat gtcttgg 27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서열번호 1 및 2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아그레가티박터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3 및 4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포필로모나스 진지발리스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5 및 6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타네렐라 포시티아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7 및 8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9 및 10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프레보텔라 인터미디아 검출용 프라이머쌍; 및 서열번호 11 및 12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 검출용 프라이머쌍을 포함하는,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다중 실시간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13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아그레가티박터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4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포필로모나스 진지발리스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5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타네렐라 포시티아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6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7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레보텔라 인터미디아 검출용 프로브; 및 서열번호 18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 검출용 프로브를 포함하는,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다중 실시간 검출용 프로브 세트
    를 포함하는,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다중 검출용 리얼타임 PCR 조성물로서,
    상기 아그레가티박터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포필로모나스 진지발리스; 타네렐라 포시티아;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프레보텔라 인터미디아; 및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을 포함하는 구강 질환 세균 검출 시 상기 6 개 세균의 교차 오염을 방지하는 것인,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다중 검출용 리얼타임 PCR 조성물.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10 항의 리얼타임 PCR 조성물을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수득한 시료에서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을 다중 검출하기 위한, 리얼타임 PCR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얼타임 PCR 방법은, 환자의 구강으로부터 수득한 시료 및 리얼타임 PCR 조성물을 이용하여 리얼타임 PCR로 증폭하는 단계; 및
    상기 리얼타임 PCR 조성물의 프로브에 표지된 표지 물질로부터의 실시간 방출(emission)의 실시간 증가를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리얼타임 PCR 조성물은, 서열번호 1 및 2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아그레가티박터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3 및 4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포필로모나스 진지발리스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5 및 6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타네렐라 포시티아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7 및 8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9 및 10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프레보텔라 인터미디아 검출용 프라이머쌍; 및 서열번호 11 및 12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 검출용 프라이머쌍을 포함하는,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다중 실시간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13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아그레가티박터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4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포필로모나스 진지발리스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5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타네렐라 포시티아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6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7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레보텔라 인터미디아 검출용 프로브; 및 서열번호 18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 검출용 프로브를 포함하는,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다중 실시간 검출용 프로브 세트
    를 포함하며,
    상기 아그레가티박터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포필로모나스 진지발리스; 타네렐라 포시티아;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프레보텔라 인터미디아; 및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을 포함하는 구강 질환 세균 검출 시 상기 6 개 세균의 교차 오염을 방지하는 것인,
    리얼타임 PCR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하는 단계 전에, 상기 구강 질환 관련 세균에 특이적인 유전자의 카피수를 알고 있는 양성 표준자를 리얼타임 PCR 조성물을 이용하여 증폭하는 단계를 추가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리얼타임 PCR 조성물은, 서열번호 1 및 2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아그레가티박터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3 및 4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포필로모나스 진지발리스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5 및 6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타네렐라 포시티아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7 및 8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검출용 프라이머쌍; 서열번호 9 및 10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프레보텔라 인터미디아 검출용 프라이머쌍; 및 서열번호 11 및 12의 염기 서열을 포함하는,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 검출용 프라이머쌍을 포함하는,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다중 실시간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 및
    서열번호 13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아그레가티박터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4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포필로모나스 진지발리스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5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타네렐라 포시티아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6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검출용 프로브; 서열번호 17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프레보텔라 인터미디아 검출용 프로브; 및 서열번호 18의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 검출용 프로브를 포함하는,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다중 실시간 검출용 프로브 세트
    를 포함하며,
    상기 아그레가티박터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 포필로모나스 진지발리스; 타네렐라 포시티아; 트레포네마 덴티콜라; 프레보텔라 인터미디아; 및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을 포함하는 구강 질환 세균 검출 시 상기 6 개 세균의 교차 오염을 방지하는 것인,
    리얼타임 PCR 방법.
KR1020150170006A 2015-12-01 2015-12-01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실시간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리얼타임 pcr 방법 KR101794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006A KR101794640B1 (ko) 2015-12-01 2015-12-01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실시간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리얼타임 pcr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006A KR101794640B1 (ko) 2015-12-01 2015-12-01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실시간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리얼타임 pcr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613A KR20170064613A (ko) 2017-06-12
KR101794640B1 true KR101794640B1 (ko) 2017-12-04

Family

ID=59219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006A KR101794640B1 (ko) 2015-12-01 2015-12-01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실시간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리얼타임 pcr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6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846B1 (ko) * 2017-09-15 2019-05-22 주식회사 마이크로이즈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실시간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리얼타임 pcr 방법
KR102337293B1 (ko) * 2020-07-23 2021-12-08 주식회사 천랩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 아종 뉴클레아툼의 검출
KR102337292B1 (ko) * 2020-07-23 2021-12-08 주식회사 천랩 푸소박테리움 뉴클레아툼 아종 애니말리스의 검출
KR102395651B1 (ko) * 2021-08-25 2022-05-09 주식회사 덴오믹스 구강질환 유발 세균 검출용 조성물 내지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MC Research Notes, vol. 5, p 664(1-9) (2012.)
Innate Immunity, Vol. 15, pp. 195-204 (2009.)*
Int. J. Clin. Prev. Dent., Vol. 11, pp. 165-170 (2015.11.30.)*
The Journal of Microbiology, Vol. 49, pp. 315-319 (20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613A (ko) 2017-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rielaard et al. Exploring the oral microbiota of children at various developmental stages of their dentition in the relation to their oral health
Feng et al. Detection of eight periodontal microorganisms and distribution of Porphyromonas gingivalis fimA genotypes in Chinese patients with aggressive periodontitis
Tomita et al. Prevalence of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Tannerella forsythia in Japanese patients with generalized chronic and aggressive periodontitis
Boutaga et al. Comparison of real-time PCR and culture for detection of Porphyromonas gingivalis in subgingival plaque samples
Dewhirst et al. The feline oral microbiome: a provisional 16S rRNA gene based taxonomy with full-length reference sequences
Yoshida et al.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method for rapid detection of the periodontopathic bacteria Porphyromonas gingivalis, Tannerella forsythia, and Treponema denticola
Lombardo Bedran et al. Porphyromonas endodontalis in chronic periodontitis: a clinical and microbiological cross-sectional study
De La Puente Redondo et al. Typing of Haemophilus parasuis strains by PCR–RFLP analysis of the tbpA gene
JP2020141686A (ja) 口腔内検査方法
KR101794640B1 (ko) 구강 질환 관련 세균의 실시간 검출용 프라이머 및 프로브, 및 이를 이용한 리얼타임 pcr 방법
Sakellari et al. Prevalence and distribution of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serotypes and the JP2 clone in a Greek population
Dame-Teixeira et al. Presence of Archaea in dental caries biofilms
Choi et al. Real-time PCR quantification of 9 periodontal pathogens in saliva samples from periodontally healthy Korean young adults
KR20120112001A (ko) 구강 세균감염성질환 원인균 검출용 프라이머 및 이의 용도
Conrads et al. Simultaneous detection of Bacteroides forsythus and Prevotella intermedia by 16S rRNA gene-directed multiplex PCR
Saito et al.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uantification of Porphyromonas gingivalis and Tannerella forsythia in primary endodontic infections
Elabdeen et al. Subgingival microbial profiles of Sudanese patients with aggressive periodontitis
Rams et al. Introduction to clinical microbiology for the general dentist
Moter et al. Molecular epidemiology of oral treponemes in patients with periodontitis and in periodontitis-resistant subjects
JP2006518189A (ja) 細菌性病原体の定量的試験
Matondkar et al. Quantitative assessment of Scardovia wiggsiae from dental plaque samples of children suffering from severe early childhood caries and caries free children
EP2752496A1 (en) Method for detecting toxin-producing clostridium difficile
Yamasaki et al. Distribution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Porphyromonas gulae carrying a new fimA genotype
JP4917815B2 (ja) 歯周病菌の検出方法
Chiranjeevi et al. Identification of microbial pathogens in periodontal disease and diabetic patients of south indian pop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