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672B1 - 겹침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덮개 - Google Patents

겹침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672B1
KR101793672B1 KR1020160128880A KR20160128880A KR101793672B1 KR 101793672 B1 KR101793672 B1 KR 101793672B1 KR 1020160128880 A KR1020160128880 A KR 1020160128880A KR 20160128880 A KR20160128880 A KR 20160128880A KR 101793672 B1 KR101793672 B1 KR 101793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container
container body
stacked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진
Original Assignee
조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진 filed Critical 조상진
Priority to KR1020160128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6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겹침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덮개는 수직방향을 따라 적층된 상태로 배치되고, 용기본체에 결합 시, 이송장치를 통하여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 측으로 이송되어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용기덮개로서, 상기 용기덮개의 둘레를 형성하고,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고리부, 그리고 상기 고리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리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덮개의 적층 시 상기 지지돌기에 지지되는 패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덮개의 내주면에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고, 고리부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용기덮개의 적층 시 각 부품 간의 접촉면적을 최소화 하여 부품이 서로 포개어져 밀착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겹침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덮개{CONTAINER LID FOR PREVENTING OVERLAP}
본 발명은 겹침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제, 방수제, 페인트 등과 같은 대상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용기제품은 대상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와 개구된 용기본체의 입구에 결합되는 용기덮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용기제품은 용기본체에 대상물이 수용될 경우, 일 측에 흡착 가능한 흡착수단을 구비한 이송장치를 통하여 수직으로 적층되어 있는 용기덮개를 용기본체의 입구 측으로 이송시킨 후, 가압수단을 통해 용기덮개를 가압하여 용기덮개를 용기본체에 결합시킨다.
그러나, 용기덮개는 상, 하면이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적층되는 과정에서 상측에 배치된 부품의 하면이 하측에 배치된 부품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포개어 지고, 이로 인해 부품들 간에 밀착력이 증대되어, 적층된 용기덮개가 하나씩 개별 분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송장치가 흡착수단을 이용해 용기덮개를 들어 올릴 경우, 용기덮개는 적어도 하나 이상 포개어진 상태로 용기본체의 입구 측으로 이송되어 매 공정마다 작업자가 이를 일일이 확인하여, 분리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전체 작업이 지연됨은 물론, 용기덮개가 포개어진 상태로 작업이 진행될 경우, 용기덮개에 정확한 압력이 전달되지 못하여, 제품의 파손 및 조립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522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적층 시 각 부품 간의 접촉면적을 최소화 하여 부품이 서로 포개어져 밀착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겹침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겹침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덮개는 수직방향을 따라 적층된 상태로 배치되고, 용기본체에 결합 시, 이송장치를 통하여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 측으로 이송되어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되는 용기덮개로서, 상기 용기덮개의 둘레를 형성하고,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지지돌기가 형성되는 고리부, 그리고 상기 고리부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리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덮개의 적층 시 상기 지지돌기에 지지되는 패널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지지돌기는 상기 고리부의 내주면을 따라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지지돌기는 상기 고리부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지지돌기는 상기 고리부의 내주면을 따라 적어도 3개소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리부의 내측에는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 시 상기 용기본체의 입구 측 단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에는 상기 용기본체에 결합 시 외력에 의하여 상기 용기본체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용기덮개를 상기 용기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널부에는 상기 용기덮개가 적층될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지지돌기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측으로 상기 용기본체가 적층될 경우 상기 용기본체의 하측 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형성하는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리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로 배치되어 상기 고리부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용기덮개의 적층 시 하측에 배치되는 용기덮개의 외면에 접촉되어 상측에 배치된 용기덮개의 내측으로 상기 하측에 배치된 용기덮개가 포개어지는 것을 차단시키는 보조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돌기는 상기 용기덮개의 적층 시 상기 하측에 배치되는 용기덮개의 상측 단부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보조돌기는 상기 용기덮개의 적층 시 상기 하측에 배치되는 용기덮개의 외주면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보조돌기는 상기 고리부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거나,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돌기는 상기 복수 개의 지지돌기에 겹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덮개의 내주면에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고, 고리부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용기덮개의 적층 시 각 부품 간의 접촉면적을 최소화 하여 부품이 서로 포개어져 밀착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용기덮개가 적층되어 있을 경우에도 용기덮개를 보다 용이하게 하나씩 개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추가공정을 배제하고, 작업의 연속성을 유지함은 물론, 정확한 공정을 통하여 제품의 파손 및 조립불량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겹침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덮개를 용기본체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겹침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덮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겹침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덮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겹침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덮개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겹침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덮개의 적층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겹침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덮개의 지지돌기의 상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겹침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덮개의 상부에 용기본체가 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겹침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덮개가 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겹침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덮개를 용기본체에 결합시키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겹침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덮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겹침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덮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겹침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덮개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겹침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덮개의 적층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겹침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덮개의 지지돌기의 상면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겹침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덮개의 상부에 용기본체가 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겹침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덮개가 적층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도 8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겹침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덮개(10)(이하 '용기덮개(10)'라 함)는 수직방향을 따라 적층된 상태로 배치되고, 용기본체(20)에 결합 시, 이송장치(30)를 통하여 용기본체(20)의 입구 측으로 이송되어 용기본체(20)에 결합되는 용기덮개(10)로서, 고리부(11)를 포함한다.
고리부(11)는 본 용기덮개(10)의 둘레를 형성하고,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지지돌기(111)가 형성된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고리부(11)의 내주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지지돌기(111)는 고리부(11)의 내주면을 따라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돌기(111)는 고리부(11)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되되, 등간격으로 이격되지 않고, 각각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지지돌기(111)가 7개로 형성될 경우, 각 지지돌기(111) 사이의 각도 a, b, c, d, e, f, g는 모두 각각 다른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지지돌기(111)는 미리 설정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지지돌기(111)는 고리부(11)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용기덮개(10)가 적층될 경우, 각 용기덮개(10)는 고리부(11)의 단부로부터 연장된 후술할 패널부(13)를 통하여 하측에 배치된 용기덮개(10)의 지지돌기(111)에만 지지됨으로써, 부품간의 접촉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지지돌기(111)는 패널부(13)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각 지지돌기(111)는 패널부(13)에 접촉 시, 패널부(13)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접촉부위에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지지돌기(111)는 패널부(13)에 점(point) 접촉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지지돌기(111)는 고리부(11)의 내주면을 따라 적어도 3개소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지지돌기(111)는 용기덮개(10)가 적층될 경우, 상, 하 배치된 용기덮개(10)의 지지돌기(111)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여, 각 용기덮개(10)가 서로 겹쳐질 수 있는 확률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적어도 3개소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리부(11)는 결합홈(113) 및 고정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고리부(11)의 내측에는 용기본체(20)에 결합 시 용기본체(20)의 입구 측 단부가 삽입되는 결합홈(1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리부(11)에는 용기본체(20)에 결합 시 외력에 의하여 용기본체(2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용기덮개(10)를 용기본체(2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15)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용기덮개(10)는 패널부(13)를 포함한다.
도 4 및 도 5의 (a)를 참조하면, 패널부(13)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어, 고리부(11)의 단부로부터 중심부 측으로 연장되어 고리부(11)의 내측에 배치되고, 용기덮개(10)의 적층 시 하측에 배치된 용기덮개(10)의 지지돌기(111)에 지지된다.
또한, 패널부(13)에는 절곡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a) 및 도 7을 참조하면, 패널부(13)의 외측, 즉 고리부(11)부로부터 연장되는 부위에는 용기덮개(10)가 적층될 경우 지지돌기(111)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측으로 용기본체(20)가 적층될 경우 용기본체(20)의 하측 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131a)을 형성하는 절곡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고리부(11)에는 지지돌기(111)와 함께, 용기덮개(10)의 적층 시 용기덮개(10)가 포개어지는 것을 차단시키는 복수 개의 보조돌기(11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고리부(11)에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로 배치되어 고리부(11)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며, 용기덮개(10)의 적층 시 하측에 배치되는 용기덮개(10)의 외면에 접촉되어 상측에 배치된 용기덮개(10)의 내측으로 하측에 배치된 용기덮개(10)가 포개어지는 것을 차단시키는 보조돌기(117)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보조돌기(117)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부(11)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거나,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고리부(11)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 보조 돌기는 외주면을 따라 고리부(11)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복수 개의 보조돌기(117)는 복수 개의 지지돌기(111)에 겹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보조돌기(117)는 고리부(11)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거나,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지지돌기(111)와 겹치지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 개의 보조돌기(117)는 안정적으로 용기덮개(10)의 외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고리부(11)의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3개소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보조돌기(117)는 용기덮개(10)의 적층 시 용기덮개(10)의 상면 또는 외주면에 접촉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세는, 복수 개의 보조돌기(117)는 용기덮개(10)의 적층 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배치되는 용기덮개(10)의 상측 단부, 즉 고리부(11)의 상면에 걸려 지지되도록 형성되거나,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배치되는 용기덮개(10)의 외주면, 즉 고정부(115)의 외면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돌기(117)가 걸려 지지되는 용기덮개(10)의 외주면은 정확히는 고리부(11)의 상측 단부로터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절곡되는 부위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덮개(10)의 내주면에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고, 고리부(11)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돌기(111)를 형성함으로써, 용기덮개(10)의 적층 시 각 부품 간의 접촉면적을 최소화 하여 부품이 서로 포개어져 밀착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용기덮개(10)가 적층되어 있을 경우에도 용기덮개(10)를 보다 용이하게 하나씩 개별 분리할 수 있으므로, 추가공정을 배제하고, 작업의 연속성을 유지함은 물론, 정확한 공정을 통하여 제품의 파손 및 조립불량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 용기덮개
11. 고리부
111. 지지돌기 113. 결합홈
115. 고정부 117. 보조돌기
13. 패널부
131. 절곡부 131a. 안착홈
20. 용기본체
30. 이송장치

Claims (4)

  1. 수직방향을 따라 적층된 상태로 배치되고, 용기본체(20)에 결합 시, 이송장치(30)를 통하여 상기 용기본체(20)의 입구 측으로 이송되어 상기 용기본체(20)에 결합되는 용기덮개(10)로서,
    상기 용기덮개(10)의 둘레를 형성하고,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의 지지돌기(111)가 형성되는 고리부(11), 그리고
    상기 고리부(11)의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리부(11)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용기덮개(10)의 적층 시 상기 지지돌기(111)에 지지되는 패널부(13)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지지돌기(111)는, 상기 고리부(11)의 내주면을 따라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어 적어도 3개소 이상으로 상기 고리부(11)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되,
    상기 패널부(13)와의 접촉부위에 상기 패널부(13)에 점(point) 접촉 가능한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11)의 내측에는 상기 용기본체(20)에 결합 시 상기 용기본체(20)의 입구 측 단부가 삽입되는 결합홈(113)이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11)에는 상기 용기본체(20)에 결합 시 외력에 의하여 상기 용기본체(2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용기덮개(10)를 상기 용기본체(2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15)가 구비되며,
    상기 패널부(13)에는, 상기 용기덮개(10)가 적층될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지지돌기(111)의 상면에 안착되고, 상측으로 상기 용기본체(20)가 적층될 경우 상기 용기본체(20)의 하측 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131a)을 형성하는 절곡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고리부(11)에는, 외주면을 따라 복수 개로 배치되어 상기 고리부(11)의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용기덮개(10)의 적층 시 하측에 배치되는 용기덮개(10)의 외면에 접촉되어 상측에 배치된 용기덮개(10)의 내측으로 상기 하측에 배치된 용기덮개(10)가 포개어지는 것을 차단시키는 보조돌기(117)가 더 형성되고,
    상기 보조돌기(117)는 상기 용기덮개(10)의 적층 시 상기 하측에 배치되는 용기덮개(10)의 상측 단부에 걸려 지지되고,
    상기 고리부(11)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거나,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기 복수 개의 지지돌기(111)에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보조돌기(117)는 상기 용기덮개(10)의 적층 시, 상기 고정부(115)의 외면 중, 상기 고리부(11)의 상측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절곡되는 부위에 걸려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침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덮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128880A 2016-10-06 2016-10-06 겹침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덮개 KR101793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880A KR101793672B1 (ko) 2016-10-06 2016-10-06 겹침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880A KR101793672B1 (ko) 2016-10-06 2016-10-06 겹침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3672B1 true KR101793672B1 (ko) 2017-11-03

Family

ID=60383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880A KR101793672B1 (ko) 2016-10-06 2016-10-06 겹침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67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3459A (ja) * 1999-04-28 2000-11-14 Gifu Plast Ind Co Ltd 運搬用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3459A (ja) * 1999-04-28 2000-11-14 Gifu Plast Ind Co Ltd 運搬用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35317S1 (en) Single-serve beverage pod with extending flange
US20180162455A1 (en) Hole plug
US20160278565A1 (en) Bayonet pressure cooker and a corresponding method of fabrication
US20170172335A1 (en) Pressure cooker having bayonet mount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
US4021128A (en) Joint structure for modular shelf assembly
US4024686A (en) Assembly building having floor elements supported between superimposed columns
USD899672S1 (en) Optical modules installed in base plate
EP3819232B1 (en) Tamper-resistant air-permeable container
CN107663879A (zh) 水槽和安装水槽的方法
KR101793672B1 (ko) 겹침 방지구조를 갖는 용기덮개
USD898090S1 (en) Toothed connection flange for a robot joint
JP6446328B2 (ja) 濾過装置
CN106196202A (zh) 灶具
US11030511B2 (en) Housing for identification device
CN101850877A (zh) 一种物料包装及其开启结构
CN209835621U (zh) 一种改进型油盆结构
JP6736082B2 (ja) トレー
CN108209545B (zh) 电压力锅密封结构和电压力锅
CN211632795U (zh) 烹饪器具及其锅盖
KR101956857B1 (ko) 분말용기의 밀봉캡 및 그 제조방법
CN220327283U (zh) 盖体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JP2021143586A (ja) 建築物の開口部用枠体
CN211609217U (zh) 烹饪器具及其锅盖
JP5571604B2 (ja) 照明器具の包装装置
CN212108512U (zh) 脉冲盒和烹饪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