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3446B1 - Pumping device of seat for vehicle - Google Patents

Pumping device of seat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3446B1
KR101793446B1 KR1020110088201A KR20110088201A KR101793446B1 KR 101793446 B1 KR101793446 B1 KR 101793446B1 KR 1020110088201 A KR1020110088201 A KR 1020110088201A KR 20110088201 A KR20110088201 A KR 20110088201A KR 101793446 B1 KR101793446 B1 KR 101793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in
brake
clutch
brake drum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2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24640A (en
Inventor
박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to KR1020110088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3446B1/en
Publication of KR20130024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46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3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344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7Ratchet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핸들레버로부터 입력되는 회전력을 링크수단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부; 상기 링크수단으로부터 상기 클러치부에 역입력되는 회전력을 차단하는 브레이크부; 상기 시트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클러치부와 브레이크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전면하우징; 상기 전면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레버와 상기 클러치부를 연결하는 레버브래킷; 및 상기 전면하우징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하우징과 함께 상기 시트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리어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링크수단에 연결된 브레이크샤프트, 상기 클러치부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브레이크샤프트로 전달하는 브레이크드럼, 상기 브레이크드럼에 안착되는 로킹핀 및 상기 로킹핀이 관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클러치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로킹핀의 위치를 조절하는 가이드홀을 구비한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핸들레버로부터 입력되는 회전력으로 상기 브레이크드럼 및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클러치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로킹핀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회전에 의해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는, 링크수단으로부터 브레이크부에 토크가 역입력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작동효율 감소를 방지하며 신뢰성있는 작동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A clutch unit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input from the handle lever to the link means; A brake unit for interrupting a rotational force reversely inputted from the link means to the clutch unit; A front housing fixed to one side of the seat and having a space therein for accommodating the clutch portion and the brake portion; A lever bracket disposed outside the front housing, the lever bracket connecting the handle lever and the clutch portion; And a rear cover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front housing and fixed to a side surface of the seat together with the front housing. The brake unit includes a brake shaft connected to the link unit, And a guide plate having a brake drum to be transmitted to the brake shaft, a locking pin to be seated on the brake drum, and a guide hole extending through the locking pin and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from the clutch to adjust a position of the locking pin And the clutch unit includes a clutch drum that rotates the brake drum and the guide plate by a rotational force inputted from the handle lever, and the locking pin is movable 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by rotation of the guide plate .
The pumping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a decrease in operating efficiency and providing reliable operating performance by originally blocking the phenomenon of reverse input of torque from the link means to the brake portion.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펌핑디바이스{PUMPING DEVICE OF SEAT FOR VEHICL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pumping device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펌핑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제공한 조작력으로 시트 내에 설치된 별도의 링크기구를 작동시켜서 시트의 높이를 조절하고, 조절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펌핑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eat pump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mping device for operating a separate link mechanism installed in a seat with an operation force provided by a user to adjust a height of a seat and maintain a regulated height .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의 실내 앞쪽과 뒤쪽으로 설치된 운전석, 보조석 그리고 동승석 좌석의자인 시트(Seat)는 탑승객의 편안함을 위해, 여러 가지 편의장치를 구비한다.Generally, a driver's seat, an assistant seat and a seat for a passenger seat, which are installed in front and rear of a vehicle interior, are equipped with various convenience devices for the comfort of the passengers.

상기 편의장치로서, 탑승객의 체형에 따라 앞·뒤로 밀고 당겨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딩(Sliding) 기능과 더불어 시트의 등받이에 대한 기울기를 조절하는 리클라이닝(Reclining) 기능 등이 구비된다.As the above-mentioned convenience device, there is provided a sliding function that can be adjusted by pushing and pulling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passenger, and a reclining function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seat with respect to the backrest.

이에 더해, 근래에 출시되거나 설정 기준 이상의 차량에 대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의 높낮이를 조절해 탑승객에게 맞추도록 시트 승강 기능을 하는 펌핑디바이스도 구비되고 있다.In addition, there is also provided a pumping device which is capable of raising and lowering the seat so a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eat to the passenger, as shown in Fig.

이러한 펌핑디바이스는 크게 레버유닛(lever unit), 클러치유닛(Clutch Unit) 및 브레이크유닛(Brake Unit)으로 구성되며, 상기 레버유닛은 사용자의 조작력을 입력받아 상기 클러치유닛에 전달하고, 상기 클러치유닛은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력을 시트의 링크수단으로 전달하는 작용을 하고, 상기 브레이크유닛은 역 입력되는 토크를 차단하여 동작 완료된 링크수단을 고정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The pumping device includes a lever unit, a clutch unit, and a brake unit. The lever unit receives a user's operating force and transmits the input to the clutch unit. And transmits the input operation force of the user to the link means of the seat. The brake unit acts to block the reverse input torque to fix the operated link means.

상기 브레이크유닛은 일반적으로 링크수단으로부터 역입력되는 토크에 대해서 브레이크유닛과, 브레이크 유닛 및 클러치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등의 고정부재와의 웨지결합 혹은 마찰결합을 통해서 역입력되는 토크를 방지한다. The brake unit generally prevents the reverse input torque from being transmitted through the wedge or frictional engagement between the brake unit and a fixing member such as a housing that houses the brake unit and the clutch unit with respect to the torque input from the link means.

그러나 상기와 같은 웨지결합 혹은 마찰결합에도 불구하고, 반복적으로 시트에 가해지는 하중 및 진동 등에 의해 웨지결합력 또는 마찰결합력이 저하되고, 그로 인해 역입력되는 토크에 의해 브레이크유닛으로부터 클러치유닛에 동력이 역으로 전달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However, in spite of the wedge engagement or the frictional engagement as described above, the wedge engagement force or the frictional engagement force is repeatedly lowered by the load and vibration applied to the seat, and thereby the power from the brake unit to the clutch unit is reversed As shown in FIG.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링크수단으로부터 브레이크부에 토크가 역입력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작동효율 감소를 방지할 수 있고 신뢰성있는 작동성능을 갖는 시트용 펌핑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umping device for a seat which can prevent a reduction in operating efficiency and can reliably operate by blocking the phenomenon that the torque is reversely input to the brake portion from the link means The purpose is to provide.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는, 핸들레버로부터 입력되는 회전력을 링크수단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부; 상기 링크수단으로부터 상기 클러치부에 역입력되는 회전력을 차단하는 브레이크부; 상기 시트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클러치부와 브레이크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전면하우징; 상기 전면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레버와 상기 클러치부를 연결하는 레버브래킷; 및 상기 전면하우징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하우징과 함께 상기 시트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리어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링크수단에 연결된 브레이크샤프트, 상기 클러치부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브레이크샤프트로 전달하는 브레이크드럼, 상기 브레이크드럼에 안착되는 로킹핀 및 상기 로킹핀이 관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클러치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로킹핀의 위치를 조절하는 가이드홀을 구비한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핸들레버로부터 입력되는 회전력으로 상기 브레이크드럼 및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클러치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로킹핀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회전에 의해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로 이동가능하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pumping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lutch part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input from a handle lever to a link means; A brake unit for interrupting a rotational force reversely inputted from the link means to the clutch unit; A front housing fixed to one side of the seat and having a space therein for accommodating the clutch portion and the brake portion; A lever bracket disposed outside the front housing, the lever bracket connecting the handle lever and the clutch portion; And a rear cover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front housing and fixed to a side surface of the seat together with the front housing. The brake unit includes a brake shaft connected to the link unit, And a guide plate having a brake drum to be transmitted to the brake shaft, a locking pin to be seated on the brake drum, and a guide hole extending through the locking pin and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from the clutch to adjust a position of the locking pin And the clutch unit includes a clutch drum that rotates the brake drum and the guide plate by a rotational force inputted from the handle lever, and the locking pin is movable 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by rotation of the guide plate Do.

또한, 상기 리어커버는 상기 로킹핀이 통과할 수 있는 로킹홀을 구비하며, The rear cover may have a locking hole through which the locking pin can pass,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로킹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로킹핀의 일단부는 상기 브레이크드럼과 중첩되고, 타단부는 상기 로킹홀과 중첩되어 상기 브레이크드럼의 회전이 상기 리어커버에 의해서 제한된다.One end of the locking pin overlaps with the brake drum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cking pin at the first position and the other end overlaps with the locking hole so that rotation of the brake drum is restricted by the rear cover do.

또한, 상기 리어커버는 상기 로킹핀이 통과할 수 있는 로킹홀을 구비하며,The rear cover may have a locking hole through which the locking pin can pass,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로킹핀의 상기 로킹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로킹핀의 일단부는 상기 브레이크드럼과 중첩되고, 타단부는 상기 로킹홀과 중첩되지 않게 되어 상기 브레이크드럼은 상기 리어커버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One end of the locking pin overlaps with the brake drum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cking pin of the locking pin at the second posi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pin is not overlapped with the locking hole, And is relatively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cover.

상기 브레이크드럼은 상기 로킹핀이 안착되는 안착홈을 구비하고,Wherein the brake drum has a seating groove on which the locking pin is seated,

상기 로킹핀은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제 1 바디부, 상기 제 1 바디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홀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제 2 바디부, 상기 제 2 바디부로부터 상기 로킹홀을 향해 돌출되는 로킹부, 및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안착홈 사이에 배치되는 가압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스프링은 예압이 걸린상태로 상기 안착홈에 배치된다.The locking pin includes a first body portion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a second body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body portion and moving inside the guide hole, a locking portion projecting from the second body portion toward the locking hole, And a pressing spring disposed between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ating groove, wherein the pressing spring is disposed in the seating groove with a preload applied thereto.

또한, 상기 가압스프링은 상기 제 1 위치보다 상기 제 2 위치에서 더 많이 압축된다.In addition, the biasing spring is further compressed in the second position than the first position.

또한, 상기 가이드홀은 원호형상을 갖고, 상기 가이드홀이 상기 원호의 양단부에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방향은 상기 로킹핀이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과 다르다.Further, the guide hole has an arc shape,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guide hole passes through the guide plate at both ends of the arc is different from a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pin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또한, 상기 로킹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로킹핀의 제 2 바디부의 단면에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curv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is formed in the end surfa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of the locking p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cking pin.

또한, 상기 클러치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가이드플레이트가 회전될 때, 상기 제 2 바디부의 곡면은 상기 가이드홀의 양단부면과 접촉하게 되어 상기 로킹핀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회전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된다.In addition, when the guide plate is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clutch unit, the curved surface of the second body part is in contact with both end faces of the guide hole, so that the locking pin is rotat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guide plate. And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는, 링크수단으로부터 브레이크부에 토크가 역입력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작동효율 감소를 방지하며 신뢰성있는 작동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umping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a decrease in operating efficiency and providing reliable operating performance by originally blocking the phenomenon of reverse input of torque from the link means to the brake portion.

도 1은 높이조절기능을 구비하는 차량 시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웨지형 브레이크부를 포함하는 펌핑디바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부를 포함하는 펌핑디바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드럼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드럼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가이드플레이트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로킹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펌핑디바이스의 결합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펌핑디바이스를 B-B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로서, 브레이크부가 로킹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펌핑디바이스를 B-B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로서, 브레이크부가 언로킹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vehicle seat having a height adjustment func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umping device including a wedge-shaped brake por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umping device including a brak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clutch dr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brake dru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guide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ront view of the guide plate of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ocking p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ront view of a rear c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a pump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umping device of Fig. 10 cut in the BB direction, and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brake is locked. Fig.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umping device of FIG. 10 cut in the BB direction, and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brake portion is unlock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pumping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change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may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 " and / or " may include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Can be understood.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can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exis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may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interchangeably to designate one or more of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more fully to the average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 shapes and sizes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the like can be exaggerated for clarity.

도 2에는 웨지형 브레이크부를 포함하는 펌핑디바이스가 도시되어 있다.Figure 2 shows a pumping device including a wedge-shaped brake portion.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핸들레버 (100)로부터 입력되는 회전력을 링크수단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부 (230), 상기 링크수단으로부터 상기 클러치부에 역입력되는 동력을 차단하는 브레이크부 (240), 상기 시트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클러치부 (230)와 브레이크부 (24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전면하우징 (220), 상기 전면하우징 (220)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레버 (100)와 상기 클러치부 (230)를 연결하는 레버브래킷 (210) 및 상기 전면하우징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하우징과 함께 상기 시트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리어커버 (2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a clutch unit 230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input from the handle lever 100 shown in FIG. 1 to the link means, a brake unit for interrupting the power input from the link means to the clutch unit A front housing 220 fixed to one side of the seat and having a space for receiving the clutch unit 230 and the brake unit 240 therein, A lever bracket 210 connecting the handle lever 100 and the clutch unit 230 and a rear cover 250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front housing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seat together with the front housing, .

상기 전면하우징 (220)은 리어커버 (250)와 결합하여 내부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원통 형상의 바디부 (221)및 측면플랜지 (223)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부 (221)에는 축홀 (222) 및 가이드슬롯 (225)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플랜지 (223)에는 체결홀 (224)이 형성된다.The front housing 220 includes a cylindrical body 221 and a side flange 223 which are coupled to the rear cover 250 to form an internal space. The body portion 221 is provided with a shaft hole 222, And a guide slot 225. The side flange 223 has a fastening hole 224 formed therein.

즉, 상기 전면하우징 (220)은 전면 중심위치에 축홀 (222)을 구비하고, 양측면에 측면플랜지 (223)가 형성되며, 상기 측면플랜지 (223) 상에 체결홀 (224)이 다수 형성되고, 전면에 상기 축홀 (222)과 대체로 동심을 이루는 가이드슬롯 (225)이 형성된다.That is, the front housing 220 has a shaft hole 222 at a front center position, a side flange 223 is formed on both side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24 are formed on the side flange 223, And a guide slot 225, which is generally concentric with the shaft hole 222,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여기서, 상기 가이드슬롯 (225)은 시트의 승강을 위해 상기 핸들레버(100)의 업/다운 동작을 회전운동으로 변환하여 클러치샤프트 (231)에 조작력을 전달하는 레버브래킷(210)의 스톱레그(미도시)가 통과하는 공간으로, 상기 가이드슬롯 (225)에 의해 핸들레버(100)에 연결된 상기 스톱레그의 회전 각도가 제한된다.Here, the guide slot 225 is a stop slot of the lever bracket 210 that converts the up / down operation of the handle lever 100 into a rotary motion to transfer the operation force to the clutch shaft 231, The rotation angle of the stop leg connected to the handle lever 100 by the guide slot 225 is limited.

상기 리어커버 (250)는 전면하우징 (220)의 개방된 후면에 결합되고, 전면 중심위치에 축홀 (251)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측면플랜지 (252)가 형성되며, 측면플랜지 (252) 상에 전면하우징 (220)의 체결홀 (224)에 삽입되는 체결핀 (253)이 다수 형성된다.The rear cover 250 is coupled to an open rear surface of the front housing 220. A shaft hole 251 is formed at a front center position and side flanges 25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ar cover 250, A plurality of fastening pins 253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s 224 of the front housing 220 are formed.

상기 전면하우징 (220)과 리어커버 (250)는 각각의 측면플랜지(223, 252) 상에 관통공이 형성되므로 이 체결홀을 통해 체결수단으로 상호 체결된다.The front housing 220 and the rear cover 250 are formed with through holes on the side flanges 223 and 252, respectively, so that the front housing 220 and the rear cover 250 are fastened together by fastening means through the fastening holes.

또한, 상기 전면하우징 (220)과 리어커버 (250)는 펌핑디바이스(200)의 중심축 (A-A)에 대해서 대체로 일치되도록 각각 축홀(222, 251)을 뚫어 클러치부 (230)와 브레이크부 (240)를 중심축 (A-A)에 정렬되도록 한다.The front housing 220 and the rear cover 250 may be formed by drilling the shaft holes 222 and 251 to substantially coincide with the center axis AA of the pumping device 200 so that the clutch portion 230 and the brake portion 240 Is aligned with the central axis AA.

한편, 상기 클러치부 (230)는 다음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다.Meanwhile, the clutch unit 230 has the following structure.

클러치부 (230)는 전면하우징 (220)의 내부에 삽입되고 레버브래킷 (210)에 일단이 고정 결합되는 클러치샤프트 (231)와, 클러치샤프트 (231)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 배치되는 계합자 (233)와, 상기 계합자 (233)와의 마찰 접촉을 통해 클러치샤프트 (23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클러치드럼 (2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lutch unit 230 includes a clutch shaft 231 that is inserted into the front housing 220 and has one end fixedly connected to the lever bracket 210 and a plurality of clutches 231 that ar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utch shaft 231 And a clutch drum 232 that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clutch shaft 231 through frictional contact with the connector 233.

상기 레버브래킷 (210)은 전면이 시트(300) 높이를 조정하도록 연결된 핸들레버 (100)와 연결되고, 중심부에는 클러치샤프트 (231)에 결합되기 위한 축홀이 형성되며, 후면에는 중심축 (A-A) 방향으로 전면하우징 (220)의 가이드슬롯 (225)을 통과하는 스톱레그(미도시)가 형성된다.The lever bracket 210 is connected to a handle lever 100 whose front surface is connect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eat 300. A shaft hole for coupling to the clutch shaft 23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ever bracket 210, A stop leg (not shown) passing through the guide slot 225 of the front housing 220 is formed.

상기 클러치샤프트 (231)는 그 선단이 전면하우징 (220)의 축홀 (222)을 관통하여 레버브래킷(210)의 축홀(212)에 삽입 고정되고, 후단은 전면하우징 (22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며, 중심부에는 후술하는 브레이크샤프트 (242)의 선단이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클러치샤프트 (231) 후단의 외주면에는 오목한 곡면 또는 평면 형상의 캠면이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캠면은 클러치샤프트 (231)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The front end of the clutch shaft 231 penetrates the shaft hole 222 of the front housing 220 an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shaft hole 212 of the lever bracket 210. The rear end of the clutch shaft 231 is position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ront housing 220 And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a tip end of a later-described brake shaft 242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At this time, a large number of concave curved or planar cam surfaces are radially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clutch shaft 231. Preferably, the cam surfaces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utch shaft 231 at regular intervals.

그리고 상기 각각의 캠면에는 계합자 (233)가 배치되며, 이때 각 캠면과 계합자 (233)는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계합자 (233)는 캠면과 클러치드럼 (232)의 가압면 (232a) 사이에 구속됨으로써, 클러치샤프트 (231)의 회전시 캠면과 함께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계합자 (233)는 볼 또는 롤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그 외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cam followers 233 are disposed on the respective cam surfaces, and each cam surface and the constituent elements 233 are preferably arrang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on a one-to-one basis. The coupling member 233 is restrained between the cam surface and the pressing surface 232a of the clutch drum 232 so that it can move along with the cam surface during rotation of the clutch shaft 231. [ Such a connector 233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ball or a roller, or any other shape.

한편, 상기 계합자 (233)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클러치스프링 (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핸들레버(100)를 이용하여 레버브래킷 (210)을 회전시키면, 상기 계합자 (233)는 그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클러치 스프링이 회전 방향으로 압축된다. 이후, 레버브래킷 (210)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해제되면, 압축되었던 클러치 스프링 (2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계합자 (233)와 상기 클러치샤프트 (231)는 초기위치로 복귀된다.Meanwhile, a clutch spring (not shown) may be provided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for returning the connector 233 to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user rotates the lever bracket 210 using the handle lever 100, the connector 233 is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clutch spring is compressed in the rotating direction. Thereafter, when the rotational force applied to the lever bracket 210 is released, the connector 233 and the clutch shaft 231 are returned to their initial positions by the resilient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ed clutch spring 220.

한편, 상기 캠면이 형성되는 클러치샤프트 (231)의 후단은 클러치드럼 (232)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클러치드럼 (232)의 중심부 내주면에는 계합자 (233)에 마찰 접촉되는 가압면 (232a)이 형성된다. 즉, 상기 클러치샤프트 (23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각각의 캠면과 클러치드럼 (232)의 가압면 (232a) 사이마다 계합자 (233)가 삽입되고, 이러한 계합자 (233)는 클러치샤프트 (231)의 캠면과 클러치드럼 (232)의 가압면 (232a)에 대해 각각 접촉된다.A rear end of the clutch shaft 231 on which the cam surface is formed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lutch drum 232 and a pressing surface 232a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enter of the clutch drum 232, do. A coupling member 233 is inserted between each of the cam surface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utch shaft 231 and the pressing surface 232a of the clutch drum 232. The coupling member 233 is engaged with the clutch shaft 231 And the pressing surface 232a of the clutch drum 232, respectively.

따라서, 클러치샤프트 (231)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계합자 (233)는 클러치샤프트 (231)의 캠면과 클러치드럼 (232)의 가압면 (232a)에 대해 각각 마찰 접촉됨으로써, 클러치샤프트 (231)의 회전 토크가 상기 계합자 (233)를 통해 클러치드럼 (232)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The engaging member 233 is brought into frictional contact with the cam surface of the clutch shaft 231 and the pressing surface 232a of the clutch drum 232 in the rotation process of the clutch shaft 231, So that the rotational torque of the clutch drum 232 can be transmitted to the clutch drum 232 through the engagement member 233. [

또한, 상기 클러치드럼 (232)의 중심부에는 축홀이 관통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중심축 (A-A) 방향으로 연장된 돌출레그 (262b)가 다수 형성되는데, 이러한 돌출레그 (262b)는 후술하는 브레이크드럼 (241)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웨지보스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클러치드럼 (232)의 회전력이 브레이크드럼 (241)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A plurality of protruding legs 262b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axis AA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utch drum 232. The protruding legs 262b are formed on the brake drum 241, the rotational force of the clutch drum 232 can be transmitted to the brake drum 241. [0145]

다음으로, 브레이크부 (240)의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브레이크부 (240)는 외주면 테두리에 돌출된 웨지보스 (241a)를 구비한 브레이크드럼 (241)과, 상기 브레이크드럼 (241)에 결합되어 리어커버 (250)의 축홀 (251)로 빠져나와 링크쪽 섹터기어에 맞물린 출력기어 (242a)를 구비한 브레이크샤프트 (242)와, 상기 브레이크드럼 (241) 쪽에 위치되어 전면하우징 (220)에 대한 마찰력으로 브레이크력을 발생하는 롤러부재 (243)로 구성된다. 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brake unit 240 will be described. The brake unit 240 includes a brake drum 241 having a wedge boss 241a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rake drum 241 and a shaft hole 251 of the rear cover 250 coupled to the brake drum 241, A brake shaft 242 having an output gear 242a that is engaged with a link side sector gear and a brake roller 242 which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brake drum 241 and generates a braking force by a frictional force with respect to the front housing 220. [ (243).

상기 브레이크드럼 (241)은 브레이크샤프트 (242)와 스플라인 결합하도록 중심부에 스플라인 보스가 형성되고, 상기 브레이크샤프트 (242)는 상기 보스와 결합하는 키홈 (242b)이 형성되지만, 상기 브레이크드럼 (241)과 브레이크샤프트 (242)는 강제 압입으로 일체형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브레이크샤프트 (242)는 브레이크드럼 (241)의 중앙 관통홀 (241d)을 통과하여 상기 클러치샤프트 (231)의 삽입홀에 삽입되는 연장축 (242c)이 형성된다. The brake drum 241 is formed with a spline boss at a central portion for spline engagement with the brake shaft 242. The brake shaft 242 is formed with a key groove 242b engaging with the boss, And the brake shaft 242 may have an integral structure by forced indentation. The brake shaft 242 is formed with an extension shaft 242c which passes through the central through hole 241d of the brake drum 241 and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of the clutch shaft 231. [

상기 브레이크드럼 (241)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웨지보스 (241a)가 일정 간격으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각 웨지보스 (241a)의 사이에 클러치드럼 (232)의 돌출레그 (232b)가 삽입된다.A plurality of wedge bosses 241a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ake drum 241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protruding legs 232b of the clutch drum 232 are inserted between the wedge bosses 241a do.

또한, 상기 브레이크드럼 (241) 외주면에는 롤러부재 (243)의 제 1 및 제 2 롤러축 (243a, 243b)이 삽입되는 롤러위치면 (241b)이 각 웨지보스 (241a)를 사이에 두고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위치면 (241b) 사이는 브레이크드럼 (241)의 외주면으로부터 튀어나온 구속구간면 (241c)으로 이어진다. 상기 구속구간면 (241c)은 전면하우징 (220)과 브레이크드럼 (241) 사이의 간격을 줄여 롤러부재 (243)에 대한 웨지작용을 구현함으로써, 강한 브레이크력으로 브레이크드럼 (241)를 구속해 브레이크샤프트 (242)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A roller position surface 241b through which the first and second roller shafts 243a and 243b of the roller member 243 are inserte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rake drum 241 with each wedge boss 241a interposed therebetween . And between the roller position surface 241b and the restricting section surface 241c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rake drum 241. [ The restricting section surface 241c reduces the interval between the front housing 220 and the brake drum 241 and realizes a wedge action with respect to the roller member 243 so that the brake drum 241 is restrained with a strong braking force, The rotation of the shaft 242 can be prevented.

상기 브레이크샤프트 (242)는 링크쪽 섹터기어에 맞물려 브레이크력 해제시 링크쪽을 올리거나 내리며, 브레이크력 형성시 링크쪽 움직임을 구속하는 작용을 한다.The brake shaft 242 meshes with the link side sector gear to raise or lower the link side when the brake force is released, and acts to restrain the link side motion when the brake force is generated.

상기 롤러부재 (243)는 쌍을 이루는 제1 및 2 롤러축 (243a, 243b)과, 상기 제 1 및 2 롤러축 (243a, 243b) 사이에 위치되어 제 1 롤러축 (243a)과 제 2 롤러축 (243b)을 각각 밀어내는 인서트스프링 (243c)으로 구성된다. 상기 인서트스프링 (243c)은 브레이크드럼 (241)의 웨지보스 (241a)를 감싸면서 양쪽으로 위치된 제 1 및 2 롤러축 (243a, 243b)을 각각 밀어내는 구조를 갖추며, 이를 위해 "M"형상으로 만들어준다.The roller member 243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oller shafts 243a and 243b and the first roller shaft 243a and the second roller shaft 243b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oller shafts 243a and 243b, And an insert spring 243c for pushing the shaft 243b, respectively. The insert spring 243c has a structure that wraps the wedge boss 241a of the brake drum 241 and pushes the first and second roller shafts 243a and 243b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wedge boss 241a. .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드럼 (241)의 웨지보스쪽의 롤러위치면 (241b)에 조립되어 인서트스프링 (243c)으로부터 밀어내는 힘을 받는 제 1 및 2 롤러축 (243a, 243b)은, 롤러위치면 (241b)을 이어주면서 튀어나온 구속구간면 (241c)을 통해 이동을 구속당함으로써 브레이크드럼 (241)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and second roller shafts 243a and 243b, which are assembled to the roller position surface 241b of the wedge boss side of the brake drum 241 and receive a pushing force from the insert spring 243c, The rotation of the brake drum 241 can be restrained by restricting the movement through the restricting section surface 241c protruding while continuing the surface 241b.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웨지형 브레이부(240)를 포함하는 방식은 반복적으로 그리고 주기적으로 시트에 가해지는 하중 및 진동 등에 의해 웨지결합력 또는 마찰결합력이 저하되고, 그로 인해 역입력되는 토크에 의해 브레이크부로부터 클러치부에 동력이 역으로 전달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system including such a wedge-type brake unit 240 repeatedly and periodically lowers the wedge engaging force or frictional engagement force due to the load and vibration applied to the seat and the like, A phenomenon occurs in which the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brake portion to the clutch portion in the reverse direction.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부를 포함하는 펌핑디바이스의 분해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umping device including a brak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300)는, 핸들레버로부터 입력되는 회전력을 링크수단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부, 상기 링크수단으로부터 상기 클러치부에 역입력되는 회전력을 차단하는 브레이크부, 상기 시트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클러치부와 브레이크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전면하우징 (320), 상기 전면하우징 (320)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레버와 상기 클러치부를 연결하는 레버브래킷 (310) 및 상기 전면하우징 (320)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하우징과 함께 상기 시트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리어커버 (350)를 포함한다. 3, a pumping device 300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lutch unit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input from a handle lever to a link means, A front housing (320) fixed to one side of the seat and having a space for receiving the clutch and the brake unit therein, and a front housing (320) disposed outside the front housing (320) And a rear cover 350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front housing 320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seat together with the front housing.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링크수단에 연결된 브레이크샤프트 (342), 상기 클러치부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브레이크샤프트 (342)로 전달하는 브레이크드럼 (341), 상기 브레이크드럼 (341)에 안착되는 로킹핀 (344) 및 상기 로킹핀 (344)이 관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클러치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로킹핀 (344)의 위치를 조절하는 가이드홀 (도 6 및 도 7의 345b)을 구비한 가이드플레이트(345)를 포함한다.The brake unit includes a brake shaft 342 connected to the link unit, a brake drum 341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clutch unit to the brake shaft 342, And a guide hole (345b in Figs. 6 and 7) extending through the pin 344 and the locking pin 344 and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from the clutch portion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locking pin 344 Plate 345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핸들레버로부터 입력되는 회전력으로 상기 브레이크드럼 (341) 및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345)를 회전시키는 클러치드럼 (331)을 포함하고, 상기 로킹핀 (344)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345)의 회전에 의해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제 1 위치는 상기 로킹핀 (344)에 의해서 상기 브레이크드럼 (341)이 상기 리어커버 (350)에 로킹되는 위치에 해당하며, 상기 제 2 위치는 상기 로킹핀 (344)에 의한 상기 브레이크드럼 (341)의 로킹상태가 해제된 상태에 해당한다.The clutch unit includes a clutch drum 331 that rotates the brake drum 341 and the guide plate 345 with a rotational force inputted from the handle lever and the locking pin 344 is engaged with the guide plate 345 To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The first position corresponds to the position where the brake drum 341 is locked to the rear cover 350 by the locking pin 344 and the second position corresponds to the position where the brake drum 341 is locked to the rear cover 350 by the locking pin 344. [ Corresponds to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 lever 341 is released.

상기와 같은 구성, 특히 로킹핀 (344) 및 가이드플레이트 (345)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통해서 본 발명은 전술한 링크장치로부터 브레이크부에 토크가 역입력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torque from being reversely input to the brake unit from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roug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particularly the structure including the locking pin 344 and the guide plate 345. [

즉, 상기 로킹핀 (344)은 상기 브레이크드럼 (341) 및 상기 리어커버 (350)를 강제로 로킹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345)는 클러치드럼 (331)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로킹핀 (344)을 로킹상태의 제 1 위치로부터 언로킹상태의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That is, the locking pin 344 forcibly locks the brake drum 341 and the rear cover 350, and the guide plate 345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clutch drum 331, And moves the pin 344 from the first position in the locked state to the second position in the unlocking state.

도 3에는 웨지형 브레이킹 기능을 추가로 구현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의 브레이크드럼 (341) 및 롤러부재 (343)가 포함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웨지형 브레이킹 기능을 제외한 구성도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음 당연하다.3, the brake drum 341 and the roller member 343 are illustrated as being capable of further implementing the wedge-type breaking function, but a configuration other than the wedge type breaking function can be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

한편, 도 3에는 도 2의 펌핑디바이스 (200)와 중복되는 구성으로서 클러치샤프트 (231) 및 계합자 (233)가 생략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Fig. 3, the clutch shaft 231 and the joining member 233 are omitted in the configuration overlapping with the pumping device 200 of Fig.

본 발명에 따른 펌핑디바이스 (300)의 개별 구성요소들에 관해서는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The individual components of the pump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드럼 (331)이 도시되어 있다.4 shows a clutch drum 33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드럼 (331)은 도 2의 클러치드럼 (232)과 동일하게 중심부 그 내주면에 계합자 (미도시)에 마찰 접촉되는 가압면 (331a)이 형성되고, 도 5에 도시된 브레이크드럼 (341)의 웨지보스들 (341a) 사이로 연장되고, 후술하는 가이드플레이트 (345)의 커넥팅레그 (345c)에 연결되어 가이드플레이트 (345)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돌출레그 (331b)를 포함한다. 도 4에는 돌출레그 (331b)가 각각 한쌍으로 구성된 총 4 쌍의 돌출레그쌍들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레버브래킷 (310)으로부터 입력된 회전력을 상기 브레이크드럼 (341) 및 가이드플레이트 (345)로 전달할 수 있는 구성도 적용될 수 있다.4, the clutch drum 33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pressing surface 331a which is frictionally contacted to a contractor (not show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utch drum 232 in the same manner as the clutch drum 232 of FIG. 2, A protruding leg (not shown) extending between the wedge bosses 341a of the brake drum 341 shown in FIG. 5 and connected to the connecting leg 345c of the guide plate 345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to the guide plate 345 331b. 4, a total of four pairs of protruding legs, each having a pair of protruding legs 331b, are show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rotational force input from the lever bracket 310 may be transmitted to the brake drum 341 and the guide plate 341, (345).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드럼 (341)이 도시되어 있다5, a brake drum 34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도 5를 참조하면, 도 2의 웨지형 브레이킹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웨지보스 (341a), 롤러위치면 (341b) 및 구속구간면 (341c)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강제 로킹을 위한 구성으로서 전술한 로킹핀 (344)이 안착되는 안착홈 (341e)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안착홈 (341e)은 상기 로킹핀 (344)이 안착되는 동시에 로킹핀 (344)의 이동방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안착홈 (341e)은 도 2에 도시된 중심축 (A-A)에 대체로 나란한 방향으로 로킹핀 (344)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도 5에는 총 4 개의 안착홈 (341e)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로킹핀(344)의 개수에 따라 안착홈 (341e)의 개수도 조정될 수 있다.5, the wedge boss 341a, the roller position surface 341b, and the restraint surface 341c may be constructed as a structure capable of implementing the wedge type breaking function of Fig. 2, There is provided a seating groove 341e on which the above-described locking pin 344 is seated. The seating groove 341e serves to seat the locking pin 344 and to keep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ocking pin 344 constant. That is, the seating groove 341e serves to guide the locking pin 344 to be moved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A-A shown in FIG. 5, a total of four seating grooves 341e are form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of seating grooves 341e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locking pins 344. FIG.

이러한 로킹핀 (344)의 구성에 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The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pin 344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플레이트 (345)가 도시되어 있다.6 and 7 show a guide plate 34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플레이트 (345)는, 중앙에 브레이크샤프트 (342)가 통과하는 관통홀 (345d)이 형성된 원판형 바디부 (345a), 상기 관통홀 (345d)의 중심과 대체로 중심이 일치하는 원호형상을 갖는 가이드홀 (345b) 및 클러치드럼 (331)의 돌출레그 (331b)에 연결되어 클러치드럼 (331)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커넥팅레그 (345c)를 포함한다.6 and 7, the guide plate 34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k-shaped body portion 345a having a through hole 345d through which the brake shaft 342 passes, a through hole 345d And a connecting leg 345c which is connected to the protruding leg 331b of the clutch drum 331 and receives a rotational force from the clutch drum 331. The guide leg 345b has a circular arc shape whose center coincides with the center of the clutch drum 331 do.

상기 가이드홀 (345b)이 상기 원호의 양단부에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방향은, 상기 로킹핀 (344)이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과 다르도록 설정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호형 가이드홀 (345b)의 양단부는 도 2의 중심축 (A-A) 방향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를 갖는 경사면 (345b-1)으로 형성된다. The direction in which the guide hole 345b passes through the guide plate at both ends of the arc is set to be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pin 344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7, both ends of the arc-shaped guide hole 345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as inclined surfaces 345b-1 having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A-A of FIG.

이러한 경사면 (345b-1)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클러치드럼 (331)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345)가 회전될 때 로킹핀 (344)의 제 2 바디부 (344b)에 접촉하여, 상기 로킹핀 (344)을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345)의 회전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345)의 회전운동은 상기 경사면 (345b-1)에 의해서 상기 로킹핀 (344)의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The inclined surface 345b-1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body portion 344b of the locking pin 344 when the guide plate 345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clutch drum 331 as described later And moves the locking pin 344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guide plate 345. [ That is,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guide plate 345 is converted into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of the locking pin 344 by the inclined surface 345b-1.

한편, 상기 가이드홀 (345b)의 개수도 로킹핀 (344)의 개수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며, 상기 커넥팅레그 (345c)의 개수도 대응되는 클러치드럼 (331)의 돌출레그쌍 (331b)의 개수에 따라 설정된다.
The number of the guide legs 345b can be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the locking pins 344 and the number of the connecting legs 345c can be adjusted by the number of the pairs of protruding legs 331b of the corresponding clutch drum 331 .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로킹핀 (344)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ocking pin 34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로킹핀 (344)은, 전술한 브레이크드럼 (341)의 안착홈 (341e)에 삽입되는 제 1 바디부 (344a), 상기 제 1 바디부 (344a) 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345)의 가이드홀 (345b)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제 2 바디부 (344b), 상기 제 2 바디부 (344b)로부터 후술하는 리어커버 (350)의 로킹홀 (354)을 향해 돌출되는 로킹부 (344c) 및 상기 제 1 바디부 (344a)와 상기 안착홈 (341e) 사이에 배치되는 가압스프링 (344d)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스프링 (344d)은 예압이 걸린상태로 상기 안착홈에 배치된다.8, the locking pin 34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portion 344a to be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341e of the brake drum 341, a second body portion 344b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body portion 344a, A second body portion 344b extended from the second body portion 344b to move inside the guide hole 345b of the guide plate 345 and a locking hole 354 of the rear cover 350 described later And a pressing spring 344d disposed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344a and the seating groove 341e. The pressing spring 344d is pressurized by the pressing spring 344d, And is disposed in the seating groove.

상기 제 1 바디부 (344a)는 전술한 브레이크드럼 (341)의 안착홈 (341e)의 형상과 형합하는 외형을 갖는다. 즉, 상기 제 1 바디부 (344a)는 브레이크드럼 (341)의 안착홈 (341e)에 의해서 도 2에 도시된 중심축 (A-A)에 대체로 나란한 방향으로 로킹핀 (344)이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body portion 344a has an outer shape that coincides with the shape of the seating groove 341e of the brake drum 341 described above. That is, the first body portion 344a is moved by the seating groove 341e of the brake drum 341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central axis AA shown in FIG. 2, 2 position.

상기 제 2 바디부 (344b)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345)의 경사면 (345b-1)과 함께 작용하여,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345)가 회전될 때 이러한 회전운동은 로킹핀 (344)의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된다. 이러한 운동변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제 2 바디부 (344b)가 상기 경사면 (345b-1)과 접촉하게 되는 부분은 로킹핀 (344)의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된다.The second body portion 344b cooperates with the inclined surface 345b-1 of the guide plate 345 so that when the guide plate 345 is rotated, . In order to facilitate such motion conversion, a portion of the second body 344b,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345b-1, is formed so as to have a curv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in a section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cking pin 344 do.

이러한 로킹핀 (344)의 제 2 바디부 (344b)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345)의 경사면 (345b-1) 사이의 상호작용에 관해서는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The interaction between the second body portion 344b of the locking pin 344 and the inclined surface 345b-1 of the guide plate 345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11 and 12. Fig.

상기 로킹부 (344c)는, 상기 제 2 바디부 (344b)로부터 리어커버 (350)의 로킹홀 (354)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로킹핀 (344)이 제 1 위치, 즉 로킹상태에서 로킹핀 (344)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로킹홀 (354)과 중첩되어 상기 브레이크드럼 (341)의 회전이 상기 리어커버 (350)에 의해서 제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로킹핀 (344)이 제 2 위치, 즉 언로킹상태에서 로킹핀 (344)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로킹홀 (354)과 중첩되는 부분이 존재하지 않게 되어 상기 브레이크드럼 (341)은 상기 리어커버 (35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The locking portion 344c protrudes from the second body portion 344b toward the locking hole 354 of the rear cover 350 so that the locking pin 344 contacts the locking pin 344 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rotation of the brake drum 341 may be limited by the rear cover 350. The locking pin 344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There is no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locking hole 354 in the second position, that i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cking pin 344 in the unlocking state, so that the brake drum 341 is positioned on the rear cover 350 ) Relative to each other.

상기 가압스프링 (344d)은 예시적으로 코일형 압축스프링이 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바디부 (344a)와 상기 안착홈 (341e) 사이에 배치되어 로킹핀 (344)을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345) 및 리어커버 (350)를 향해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압스프링은 로킹상태인 상기 제 1 위치보다 언로킹상태인 상기 제 2 위치에서 더 많이 압축된다.The pressing spring 344d may be a coiled compression spring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344a and the seating groove 341e to guide the locking pin 344 to the guide plate 345. [ And the rear cover 350, respectively. The pressing spring is further compressed in the second position in the unlocking state than the first position in the locked state.

한편, 상기 가압스프링 (344d)은 예압이 걸린 상태로 상기 제 1 바디부 (344a)와 상기 안착홈 (341e) 사이에 배치된다. 도 8에는 상기 가압스프링 (344d)을 수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제 1 바디부 (344a)에 일정한 함몰부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가압스프링 (344d)을 수용하기 위한 다른 어떠한 구성도 적용가능하다.
Meanwhile, the pressing spring 344d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344a and the seating groove 341e with a preload applied thereto. 8, the first body portion 344a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depression (a portion indicated by a dotted line) for receiving the pressing spring 344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344d may be applicable.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커버 (350)가 도시되어 있다.9 shows a rear cover 3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어커버 (350)는 상기 로킹핀 (344)의 로킹부 (344c)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로킹홀 (351)을 추가로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9, the rear cover 3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locking holes 351 through which the locking portions 344c of the locking pins 344 can pass.

도시된 로킹홀 (351)은 로킹핀 (344)의 로킹부 (344c)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이들 다수의 로킹홀 (35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등간격으로 축홀 (351)을 중심으로 동일 원주상에 배치된다. The illustrated locking hole 351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locking portion 344c of the locking pin 344. The locking holes 351 are formed in the shaft hole 351 at regular intervals, As shown in Fig.

한편, 이를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리어커버 (250)의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축홀 (351), 측면플랜지 (352) 및 체결핀 (353)에 관한 내용은 도 2의 리어커버 (250)의 구성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Otherwise, other configurations may include all the configurations of the rear cover 250 shown in FIG. That is, the description of the shaft hole 351, the side flange 352, and the fastening pin 353 can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that of the rear cover 250 of FIG. Duplicate content should be omitted.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펌핑디바이스 (300)의 결합사시도 및 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펌핑디바이스 (300)를 B-B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로서, 브레이크부가 로킹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the pumping device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BB direction of the pumping device 300 of FIG. 10, .

상기 B-B방향은 로킹핀 (344)의 중심축을 통과하는 방향에 해당한다.And the direction B-B corresponds to a direction passing through the center axis of the locking pin 344. [

도 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로킹핀 (344)에 의해서 브레이크드럼 (341)이 리어커버 (350)에 로킹된 상태, 즉 로킹핀 (344)의 제 1 위치에 존재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상태에서, 로킹핀 (344)의 로킹부 (344c)는 로킹핀 (344)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그 일부가 리어커버 (350)의 로킹홀 (354)과 중첩된다. 11 shows a state in which the brake drum 341 is locked to the rear cover 350 by the locking pin 34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first position of the locking pin 344 is present. The locking portion 344c of the locking pin 344 overlaps with the locking hole 354 of the rear cover 35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cking pin 344. [

따라서, 시트의 링크수단으로부터 브레이크샤프트에 토크가 역입력되고, 이러한 역입력 토크가 브레이크드럼 (341)에 전달된다고 하더라도, 즉 브레이크드럼 (341)이 화살표방향으로 회전력을 받는 경우라고 할지라도 로킹핀 (344)의 로킹부 (344c)는 로킹홀 (354)의 내주면과 충돌하게 되고, 리어커버 (350)는 시트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브레이크드럼 (341)의 회전은 강제로 차단된다. Therefore, even if the reverse input torque is transmitted to the brake drum from the link means of the seat and the reverse input torque is transmitted to the brake drum 341, that is, even if the brake drum 341 receives a rotational forc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e locking portion 344c of the brake drum 344 collides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cking hole 354 and the rotation of the brake drum 341 is forcibly interrupted because the rear cover 350 is fixed to the seat.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서, 링크수단으로부터 브레이크부에 토크가 역입력되는 현상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With this configuration, the phenomenon that torque is reversely inputted from the link means to the brake portion can be originally blocked.

한편, 도 12는 도 10의 펌핑디바이스 (300)를 B-B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로서, 가이드플레이트 (345)에 의해서 브레이크부가 언로킹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umping device 300 of FIG. 10 taken along the line B-B,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brake unit is unlocked by the guide plate 345. FIG.

도 12를 참조하면, 핸들레버를 통해서 레버브래킷 (310)을 통해 회전력이 클러치부에 전달되면, 클러치부와 연결된 가이드플레이트 (345)가 실선으로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력을 받아 회전이 시작된다. Referring to FIG. 12, when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clutch unit through the lever bracket 310 through the handle lever, the guide plate 345 connected to the clutch unit receives a rotational force in a direction indicated by a solid line.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345)의 회전이 시작된 후, 가이드플레이트 (345)의 가이드홀 (345b)의 경사면 (345b-1)은 로킹핀 (344)의 제 2 바디부 (344b)와 최초접촉이 개시된다.After the rotation of the guide plate 345 starts, the inclined surface 345b-1 of the guide hole 345b of the guide plate 345 is first contacted with the second body portion 344b of the locking pin 344 .

상기 최초접촉이 개시된 후에 가이드플레이트 (345)의 회전량이 증가되면, 제 2 바디부 (344b)가 상기 경사면 (345b-1)과 접촉하게 되는 부분은 로킹핀 (344)의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단면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홀 (345b)의 경사면 (345b-1)에 의해서 로킹핀 (344)의 제 2 바디부 (344b)는 점선으로 표시된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When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guide plate 345 is increased after the initial contact is started, a portion where the second body portion 344b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clined face 345b-1 is a cross section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cking pin 344 The second body portion 344b of the locking pin 344 is urged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by the inclined surface 345b-1 of the guide hole 345b.

즉, 가이드홀 (345b)의 경사면 (345b-1)과 로킹핀 (344)의 제 2 바디부 (344b)의 형상에 의해서 가이드플레이트 (345)의 회전운동이 로킹핀 (344)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된다.In other words, the rotation of the guide plate 345 is caused by the linear motion of the locking pin 344 due to the shape of the inclined surface 345b-1 of the guide hole 345b and the shape of the second body portion 344b of the locking pin 344 .

이러한 방식으로 로킹핀 (344)이 최종적으로 제 2 위치로 이동되면서 로킹핀 (344)의 로킹부 (344c)가 로킹홀 (354)로부터 이탈되어, 브레이크드럼 (341)의 로킹상태가 해제된다.
In this way, the locking pin 344 is finally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the locking portion 344c of the locking pin 344 is disengaged from the locking hole 354, and the locking state of the brake drum 341 is released.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should be understood, therefore,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being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8)

핸들레버로부터 입력되는 회전력을 링크수단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부;
상기 링크수단으로부터 상기 클러치부에 역입력되는 회전력을 차단하는 브레이크부;
시트의 일측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상기 클러치부와 브레이크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 전면하우징;
상기 전면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핸들레버와 상기 클러치부를 연결하는 레버브래킷; 및
상기 전면하우징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하우징과 함께 상기 시트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리어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링크수단에 연결된 브레이크샤프트, 상기 클러치부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을 상기 브레이크샤프트로 전달하는 브레이크드럼, 상기 브레이크드럼에 안착되는 로킹핀 및 상기 로킹핀이 관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클러치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로킹핀의 위치를 조절하는 가이드홀을 구비한 가이드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핸들레버로부터 입력되는 회전력으로 상기 브레이크드럼 및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클러치드럼을 포함하고,
상기 로킹핀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회전에 의해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리어커버는 상기 로킹핀이 관통할 수 있는 로킹홀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로킹핀은 상기 로킹홀을 관통하여 연장되어 상기 브레이크드럼의 회전이 상기 로킹핀 및 상기 리어커버에 의해서 제한되고,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로킹핀은 상기 로킹홀을 관통하여 연장되지 않게 되어 상기 브레이크드럼은 상기 리어커버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A clutch unit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input from the handle lever to the link means;
A brake unit for interrupting a rotational force reversely inputted from the link means to the clutch unit;
A front housing fixed to one side of the seat and having a space therein for accommodating the clutch portion and the brake portion;
A lever bracket disposed outside the front housing, the lever bracket connecting the handle lever and the clutch portion; And
A rear cover coupled to a rear surface of the front housing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seat together with the front housing;
Lt; / RTI >
Wherein the brake portion includes a brake shaft connected to the link means, a brake drum transmitting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clutch portion to the brake shaft, a locking pin seated on the brake drum, and a locking pin extending from the clutch portion And a guide plate having a guide hole for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to adjust a position of the locking pin,
Wherein the clutch unit includes a clutch drum for rotating the brake drum and the guide plate by a rotational force inputted from the handle lever,
Wherein the locking pin is movable to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by rotation of the guide plate,
Wherein the rear cover has a locking hole through which the locking pin can pass,
Wherein the locking pin extends in the first position through the locking hole so that rotation of the brake drum is restricted by the locking pin and the rear cover,
And the locking pin is not extended through the locking hole at the second position so that the brake drum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rear co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로킹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로킹핀의 일단부는 상기 브레이크드럼과 중첩되고, 타단부는 상기 로킹홀과 중첩되어 상기 브레이크드럼의 회전이 상기 리어커버에 의해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e end of the locking pin overlaps with the brake drum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cking pin at the first position and the other end overlaps with the locking hole so that rotation of the brake drum is restricted by the rear cover Wherein the pumping device is a pumping device for a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로킹핀의 상기 로킹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로킹핀의 일단부는 상기 브레이크드럼과 중첩되고, 타단부는 상기 로킹홀과 중첩되지 않게 되어 상기 브레이크드럼은 상기 리어커버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e end of the locking pin overlaps with the brake drum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cking pin of the locking pin at the second position and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pin is not overlapped with the locking hole, And is rotatable relatively with respect to the cover.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드럼은 상기 로킹핀이 안착되는 안착홈을 구비하고,
상기 로킹핀은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는 제 1 바디부,
상기 제 1 바디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홀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제 2 바디부,
상기 제 2 바디부로부터 상기 로킹홀을 향해 돌출되는 로킹부, 및 상기 제 1 바디부와 상기 안착홈 사이에 배치되는 가압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스프링은 예압이 걸린상태로 상기 안착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brake drum has a seating groove on which the locking pin is seated,
Wherein the locking pin has a first body part inserted into the seating groove,
A second body part extending from the first body part and moving inside the guide hole,
A lock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second body portion toward the locking hole, and a pressing spring disposed between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ating groove,
Wherein the pressure spring is disposed in the seating groove with a preload applied thereto.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스프링은 상기 제 1 위치보다 상기 제 2 위치에서 더 많이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ressure spring is further compressed in the second position than the first positio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원호형상을 갖고, 상기 가이드홀이 상기 원호의 양단부에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방향은 상기 로킹핀이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guide hole has an arcuate shape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guide hole passes through the guide plate at both ends of the arc is different from a direction in which the locking pin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Lt; / RTI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로킹핀의 제 2 바디부의 단면에는 일정한 곡률을 갖는 곡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a curv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curvature is formed in the end surfa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of the locking p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cking pi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부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가이드플레이트가 회전될 때, 상기 제 2 바디부의 곡면은 상기 가이드홀의 양단부면과 접촉하게 되어 상기 로킹핀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의 회전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urved surfa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both end surfaces of the guide hole when the guide plate is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clutch portion so that the locking pin is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To the second position. ≪ RTI ID = 0.0 > 11. < / RTI >
KR1020110088201A 2011-08-31 2011-08-31 Pumping device of seat for vehicle KR10179344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201A KR101793446B1 (en) 2011-08-31 2011-08-31 Pumping device of seat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201A KR101793446B1 (en) 2011-08-31 2011-08-31 Pumping device of seat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640A KR20130024640A (en) 2013-03-08
KR101793446B1 true KR101793446B1 (en) 2017-11-02

Family

ID=48176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201A KR101793446B1 (en) 2011-08-31 2011-08-31 Pumping device of seat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344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063B1 (en) 2018-12-03 2020-02-11 주식회사 포스코 The span adjustment apparatus of constant feed weigh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780B1 (en) * 2015-10-30 2017-02-03 주식회사다스 Drum Brake Of Vehicle Seat
KR101725410B1 (en) * 2015-12-15 2017-04-12 현대다이모스(주) Pumping device of seat for vehicle
JP6636366B2 (en) * 2016-03-22 2020-01-29 Ntn株式会社 Clutch unit
KR101835524B1 (en) 2016-06-29 2018-03-08 주식회사 다스 Height adjustment apparatus for seat of vehicle
WO2019059287A1 (en) * 2017-09-21 2019-03-28 Ntn株式会社 Clutch unit
JP7094178B2 (en) * 2017-09-21 2022-07-01 Ntn株式会社 Clutch unit
KR101987977B1 (en) * 2017-12-26 2019-06-11 현대트랜시스(주) Fluttering prevention apparatus for lever of pumping device
KR101947535B1 (en) 2017-12-26 2019-02-13 현대트랜시스(주) Seat pumping device for veh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063B1 (en) 2018-12-03 2020-02-11 주식회사 포스코 The span adjustment apparatus of constant feed weig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4640A (en) 2013-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3446B1 (en) Pumping device of seat for vehicle
JP5344769B2 (en) Vehicle seat height adjustment device
KR101294472B1 (en) A pumping device of seat for a vehicle
KR101491883B1 (en) A pumping device of seat for a vehicle
JP6692142B2 (en)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control mechanism and seat structure
KR101417523B1 (en) A pumping device of seat for a vehicle
KR101491884B1 (en) A pumping device of seat for a vehicle
US20140125096A1 (en) Dual cam recliner
KR101294382B1 (en) A pumping device of seat for a vehicle
CN114340943B (en) Seat height adjustment actuator
KR101173469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drive of pumping device for vehicle seat
KR101117794B1 (en) Height adjust apparatus of seat for vehicle
KR101582692B1 (en) Pumping ball type seat height holding device
KR101888827B1 (en) Recliner of seat for vehicle
KR101294578B1 (en) A pumping device of seat for a vehicle
KR101283124B1 (en) A pumping device of seat for a vehicle
KR101144858B1 (en) Height adjust apparatus of seat for vehicle
KR101788609B1 (en) Pumping device of seat for vehicle
KR101732373B1 (en) Pumping device of seat for vehicle
KR101621548B1 (en) Dial type seat height holding device
JP5297343B2 (en) Clutch device and seat lifter device
CN210310033U (en) Automobile seat and height adjuster thereof
KR101144861B1 (en) Height adjust apparatus of seat for vehicle
KR101117796B1 (en) Height adjust apparatus of seat for vehicle
KR101107986B1 (en) A reclinning devece for seats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