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462B1 -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 - Google Patents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462B1
KR101792462B1 KR1020170039975A KR20170039975A KR101792462B1 KR 101792462 B1 KR101792462 B1 KR 101792462B1 KR 1020170039975 A KR1020170039975 A KR 1020170039975A KR 20170039975 A KR20170039975 A KR 20170039975A KR 101792462 B1 KR101792462 B1 KR 101792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support
hinge
tooth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양
Original Assignee
정지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양 filed Critical 정지양
Priority to KR1020170039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4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6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comprising vertical members connected by horizontal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는 천장과 바닥 사이에 높이가 조절되면서 고정된 기둥 형태로 구비된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바깥 둘레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둥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되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는 각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고정되는 상하회전이송부; 상기 상하회전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회전이송부의 일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복수의 단계별 회전 각도를 걸림에 의해 조절하는 관절부; 및 상기 관절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관절부의 한쪽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관절부의 일측 방향으로 프레임 형태로 연장되되, 일측면에 복수 위치로 상기 기둥부 방향으로 세탁물이 건조되도록 안치되는 건조바가 복수로 구비하되, 절첩 가능한 하나 이상의 분리된 부분으로 이루어진 회전건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 {Hanger Type Laundry Drier for Adjusting Foldable Rotary Angle}
본 발명은 세탁물 등을 널어 건조시키기 위한 빨리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물이 건조되는 공간에 바닥에서 천정으로 고정되는 지주에 세탁물을 거치하는 건조부를 절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행거 형태의 빨래 건조대에 있어서, 건조부의 절첩 구조를 개선하여 절첩 시 설치되는 공간을 최소화하는 복수의 위치에 절첩되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고, 세탁물의 형태에 따라 건조부의 절첩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세탁물을 거치가 가능함에 따라 건조 효율이 향상되는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빨래건조대(clothes horse)는 세탁을 마친 의류를 걸어 말리기 위한 골조 구조물이다. 빨래건조대의 재질은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 등 가공 금속이며, 좁은 면적에 많은 세탁물을 걸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런, 통상적인 빨래 건조대는 가정 내에서는 통상적으로 스탠드형 빨래 건조대, 선반형 빨래 건조대 또는 천정형 빨래 건조대를 이용하여 세탁된 다양한 세탁물을 실내에서 간편하게 건조시키고 있다.
이러한, 빨래 건조대는 일반 가정에서뿐만 아니라 미용실이나 대중 목욕탕과 같이 많은 세탁물이 발생되는 소규모 영업장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술된 빨래 건조대 중에서 스탠드형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설치하고 이동이 가능하여 휴대성이 높이고,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나, 강도가 약하고, 고정된 부분이 없어 외력이나 바람 등에 넘어져 세탁물이 오염되거나, 빨래 건조대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반형 빨래 건조대의 경우에는 벽면에 선반형태로 고정되어 세탁물을 거치하는 것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외력에 영향을 적게 받고, 강도가 높으나, 벽에 고정 설치됨에 따라 이동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천정형 빨래 건조대는 천정에 고정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적정 높이로 조절하여 세탁물을 거치하는 것으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상부로 이동하고, 사용할 때만 하부로 이동시켜 사용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나, 천장에 설치하여야 함에 따라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각종 의류를 보관하기 위해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복수의 파이프 형태의 지주를 상호 연결체로 연결하여 옷을 걸치할 수 있는 행거의 원리를 이용하여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천장과 바닥에 지주 형태로 고정되어 있어 외력의 영향을 적게 받고, 세탁물이 안치되는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런, 행거 형태의 빨래 건조대는 바닥과 천장에 고정되어 있는 지주에 세탁물이 거치되는 복수의 바가 설치된 프레임을 높이 방향으로 복수 수량으로 설치하여 각각의 프레임 별로 세탁물을 거치하여 건조를 실시하도록 구비된다.
통상적인 행거식 빨래 건조대는 프레임이 지주에 고정되어 있어 세탁물이 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프레임이 일측에 돌출되어 있어 사용자가 근처에 이동 시에 방해가 되며, 충돌에 의한 부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최근에는 세탁물이 거치되는 프레임에 관절장치를 설치하여 회전에 의해 절첩 가능한 종래 기술의 행거식 빨래 건조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런, 종래 기술의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관절장치는 회전 각도 조절을 위해 마찰패드가 지속적으로 마찰을 실시하고, 마찰패드를 원상태로 복원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스프링이 작동되면 마찰패드의 마모 및 스프링의 늘어짐으로 인하여 일정시간이 지나면 각도조절 불능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물이 건조되는 공간에 바닥에서 천정으로 고정되는 지주에 세탁물을 거치하도록 설치되는 건조부가 상하로 이동되면서 설치되는 공간을 최소화하도록 상하 좌우방향으로 회전에 의해 절첩되고, 세탁물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절첩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세탁물을 거치가 가능함에 따라 건조 효율이 향상되는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는 천장과 바닥 사이에 높이가 조절되면서 고정된 기둥 형태로 구비된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바깥 둘레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둥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되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는 각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고정되는 상하회전이송부; 상기 상하회전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회전이송부의 일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복수의 단계별 회전 각도를 걸림에 의해 조절하는 관절부; 및 상기 관절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관절부의 한쪽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관절부의 일측 방향으로 프레임 형태로 연장되되, 일측면에 복수 위치로 상기 기둥부 방향으로 세탁물이 건조되도록 안치되는 건조바가 복수로 구비하되, 절첩 가능한 하나 이상의 분리된 부분으로 이루어진 회전건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둥부는, 상기 빨래 건조대가 설치되는 위치에 상기 천장과 상기 바닥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회전이송부가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축 형태로 구비하되, 상기 상하회전이송부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복수 위치마다 회전되는 각도가 조절되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통공 형태의 기둥고정공이 형성되는 기둥몸체; 상기 기둥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둥몸체와 상기 천장이 접촉되는 상부에 설치되어 높이가 조절되면서 상기 기둥몸체를 상기 천정에 고정시키는 상부높이조절체; 및 상기 기둥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둥몸체와 상기 바닥이 접촉되는 하부에 설치되어 높이가 조절되면서 상기 기둥몸체를 상기 바닥에 고정시키는 하부높이조절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회전이송부는, 상기 기둥부의 바깥 둘레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상기 기둥부가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하부가 개방된 이송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에는 상기 기둥부에 상하로 이동되는 위치에서 회전되는 각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고정되는 위치에 이송고정공이 형성된 이송몸체; 및 상기 이송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몸체가 상기 기둥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되어 회전 각도가 조절된 상기 기둥부와 상기 이송고정공이 일치된 위치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이송몸체의 상하 높이와 회전되는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기둥부에 고정시키는 몸체고정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관절부는, 상기 상하회전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회전이송부와 함께 상하로 이동되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고정되고, 한쪽 측면과 다른쪽 측면에 각각 한쌍으로 구비되어 한쪽의 일부 구간에 일방향이 접촉되면서 통과되며, 타방향이 걸림되는 형상의 제1 치형이 구비되고, 다른쪽의 상기 제1 치형과 동일한 구간에 일방향이 걸림되고, 타방향이 접촉되면서 통과되는 상기 제1 치형과 반대되는 형상으로 제2 치형을 구비한 관절몸체부; 상기 관절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관절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건조부에 고정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지지부; 상기 관절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지지부의 한쪽 측면에 상기 제1 치형에 걸림되는 위치에 돌출된 상태로 힌지 결합되고, 상기 회전지지부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제1 치형이 형성된 일부 구간에서 일방향으로 회전 시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치형을 넘어서 통과하고, 타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2 치형에 걸림된 위치에서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탄성에 의해 회전되면서 걸림된 위치를 벗어나 타방향으로 한단계 이동되도록 구비된 제1 걸림작동부; 및 상기 관절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지지부의 다른쪽 측면에 상기 제2 치형에 걸림되는 위치에 돌출된 상태로 힌지 결합되고, 상기 회전지지부에 상기 제1 걸림작동부와 대향되는 위치로 탄성 지지되어 상기 제1 걸림작동부가 상기 제1 치형이 형성된 일부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을 통과 시 상기 제2 치형이 형성된 일부 구간에서 타방향으로 회전 시 탄성에 의해 상기 제2 치형을 넘어서 통과하고, 일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2 치형에 걸림된 위치에서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탄성에 의해 회전되면서 걸림된 위치를 벗어나 타방향으로 한단계 이동되도록 구비된 제2 걸림작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관절몸체부는, 상기 상하회전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건조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내부에는 상기 회전건조부와 결합되어 회전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공간인 몸체공간을 가지는 관절몸체; 상기 관절몸체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상기 회전건조부에 고정되는 상기 회전지지부가 삽입되는 지지공을 형성하는 지지커버; 상기 관절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공간의 한쪽 측면에 일부 구간으로 중심을 바라보는 방사상의 위치에 사용자가 설정된 각도가 조절되는 위치마다 치형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걸림작동부가 일방향으로 통과되도록 타방향에 둥근 라운드 형태의 제1 라운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걸림작동부가 타방향으로 걸림되도록 일방향에 걸림되는 홈 형태의 제1 걸림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아암의 회전 시에 상기 제1 걸림작동부가 일방향으로 통과되며, 타방향으로 걸림되도록 구비된 제1 치형을 가지는 제1 걸림기어체; 및 상기 관절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공간의 다른쪽 측면에 상기 제1 치형의 형성된 구간과 동일한 일부 구간으로 중심을 바라보는 방사상의 위치에 사용자가 설정된 각도가 조절되는 위치마다 치형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제2 걸림작동부가 타방향으로 통과되도록 일방향에 둥근 라운드 형태의 제2 라운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걸림작동부가 일방향으로 걸림되도록 타방향에 걸림되는 홈 형태의 제2 걸림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아암의 회전 시에 상기 제2 걸림작동부가 타방향으로 통과되며, 일방향으로 걸림되도록 구비된 제2 치형을 가지는 제2 걸림기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지지부는, 상기 관절몸체부의 내부에서 한쪽 측면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건조부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면서 각도를 조절하도록 실시된 회전축; 상기 관절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에 함께 회전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의 중심에서 상기 관절몸체부의 상기 제1 치형에 걸림되는 위치에 상기 제1 걸림작동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위치까지 연장된 바 형태로 구비된 제1 회전지지체; 상기 제1 회전지지체의 상기 관절몸체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회전지지체의 한쪽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걸림작동부가 힌지 결합되고, 일방향으로 상기 제1 걸림작동부의 걸림 시 이동되는 위치를 원위치로 복귀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탄성 지지된 제1 작동힌지; 상기 관절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의 다른쪽 측면에 함께 회전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제1 회전지지체와 교차되는 일방향으로 상기 제1 작동힌지와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져 상기 제1 작동힌지에 힌지 결합된 상기 제1 걸림작동부가 회전에 의해 원위치되는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탄성 지지되도록 삽입되는 제1 탄성지지공을 가지는 제1 탄성지지체; 상기 관절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에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제1 회전지지체의 다른쪽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의 중심에서 상기 관절몸체부의 상기 제2 치형에 걸림되는 위치에 상기 제2 걸림작동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위치까지인 연장된 바 형태로 구비된 제2 회전지지체; 상기 제2 회전지지체의 상기 관절몸체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회전지지체의 한쪽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걸림작동부가 힌지 결합되고, 타방향으로 상기 제2 걸림작동부의 걸림 시 이동되는 위치를 원위치로 복귀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탄성 지지된 제2 작동힌지; 상기 관절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에 함께 회전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제2 회전지지체와 교차되는 타방향으로 상기 제2 작동힌지와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져 상기 제2 작동힌지에 힌지 결합된 상기 제2 걸림작동부가 회전에 의해 원위치되는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탄성 지지되도록 삽입되는 제2 탄성지지공을 가지는 제2 탄성지지체; 및 상기 관절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관절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걸림작동부는, 상기 관절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지지부와 힌지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통공 형태의 제1 힌지공이 안쪽에 상기 제1 치형에서 상기 회전지지부의 회전되는 중심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힌지공에서 상기 제1 치형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상기 회전지지부의 힌지 결합된 부분이 제2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1 연결공으로 연결되어 이동 시 회전 반경이 줄어드는 제1 회전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힌지공의 제1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상기 제1 힌지공에 힌지 결합된 상기 회전지지부의 회전되는 탄성 지지되도록 삽입되는 통공 형태의 제1 지지공이 형성된 제1 작동몸체; 상기 제1 작동몸체의 제2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작동몸체에서 상기 관절몸체부의 걸림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태의 제1 작동바; 상기 제1 작동바의 제2 방향 끝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관절몸체부의 상기 제1 치형에 접촉되는 위치에 원통 형상으로 일방향 이동 시에 통과되고, 타방향으로 걸림되도록 구비된 제1 작동체; 상기 제1 작동몸체의 제1 방향에 상기 회전지지부와 탄성 지지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지지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지지부와 탄성 지지되어 상기 제1 작동체가 일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1 치형을 넘어가 통과하도록 탄성 지지하고, 상기 제1 작동체가 타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1 치형에 걸림 후 타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회전반경이 축소된 상태로 걸림된 상기 제1 치형과의 걸림을 해제하여 타방향으로 통과하는 위치로 상기 제1 작동몸체를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회전탄성체; 및 상기 제1 작동몸체의 일방향인 제1 방향에서 중앙 방향으로 상기 회전지지부와 탄성 지지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일단이 상기 회전지지부의 힌지부분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작동몸체의 제1 방향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작동체가 일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1 치형을 넘어가 통과하도록 탄성 지지하고, 상기 제1 작동체가 타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1 치형에 걸림 후 상기 제1 작동몸체에 삽입된 상기 회전지지부의 힌지 부분이 상기 제1 힌지공에서 상기 제1 연결공을 통해서 상기 제1 회전공으로 이동하면 인장되고, 상기 제1 작동체가 타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회전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제1 치형과의 걸림이 해제되어 타방향으로 통과된 후에 상기 제1 작동체의 회전반경이 증대되도록 상기 회전지지부의 힌지 부분이 상기 제1 힌지공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작동몸체를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이동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걸림작동부는, 상기 관절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지지부와 힌지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통공 형태의 제2 힌지공이 안쪽에 상기 제2 치형에서 상기 회전지지부의 회전되는 중심 방향인 제3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힌지공에서 상기 제2 치형 방향인 제4 방향으로 상기 회전지지부의 힌지 결합된 부분이 제3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2 연결공으로 연결되어 이동 시 회전 반경이 줄어드는 제2 회전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힌지공의 제3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상기 제2 힌지공에 힌지 결합된 상기 회전지지부의 회전되는 탄성 지지되도록 삽입되는 통공 형태의 제2 지지공이 형성된 제2 작동몸체; 상기 제2 작동몸체의 제3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작동몸체에서 상기 관절몸체부의 걸림되는 제4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태의 제2 작동바; 상기 제2 작동바의 제4 방향 끝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관절몸체부의 상기 제2 치형에 접촉되는 위치에 원통 형상으로 일방향 이동 시에 통과되고, 타방향으로 걸림되도록 구비된 제2 작동체; 상기 제2 작동몸체의 제3 방향에 상기 회전지지부와 탄성 지지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지지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지지부와 탄성 지지되어 상기 제2 작동체가 타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2 치형을 넘어가 통과하도록 탄성 지지하고, 상기 제2 작동체가 일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2 치형에 걸림 후 일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타방향으로 이동하면 회전반경이 축소된 상태로 걸림된 상기 제2 치형과의 걸림을 해제하여 타방향으로 통과하는 위치로 상기 제2 작동몸체를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회전탄성체; 및 상기 제2 작동몸체의 타방향인 제2 방향에서 중앙 방향으로 상기 회전지지부와 탄성 지지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일단이 상기 회전지지부의 힌지부분에 고정되고, 일단이 상기 제2 작동몸체의 제3 방향에 고정되어 상기 제2 작동체가 타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2 치형을 넘어가 통과하도록 탄성 지지하고, 상기 제2 작동체가 일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2 치형에 걸림 후 상기 제2 작동몸체에 삽입된 상기 회전지지부의 힌지 부분이 상기 제2 힌지공에서 상기 제2 연결공을 통해서 상기 제2 회전공으로 이동하면 인장되고, 상기 제2 작동체가 일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타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 회전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제2 치형과의 걸림이 해제되어 일방향으로 통과된 후에 상기 제2 작동체의 회전반경이 증대되도록 상기 회전지지부의 힌지 부분이 상기 제2 힌지공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작동몸체를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이동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회전건조부는, 상기 관절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관절부에 상하로 회전되는 한쪽 측면에 연결되어 복수의 단계로 상하로 각도가 조절되면서 걸림 회전되는 건조아암; 상기 건조아암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면의 중심에서 상하로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판 형태로 구비하되, 내부에는 중심과 떨어져 기설정된 회전 반경과 각도를 가지도록 제한하는 원형의 일부의 형상인 통공된 긴 구멍 태로 아암회전지지공이 형성된 아암회전지지체; 상기 아암회전지지체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아암회전지지체와 간격유지체로 기설정된 간격이 떨어진 상태로 바깥 둘레를 감싸도록 지지하면서 회전되되, 내부에는 상기 회전지지공의 회전범위 내에 회전되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체결되는 통공 형태의 회전체결공이 형성된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되는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지지공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회전체결공에 체결 고정되어 회전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고정하고, 체결을 해제하면 상기 회전체를 상기 회전지지공의 회전 범위 내에서 회전시키도록 구비된 회전고정체; 상기 회전체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체의 일측으로 함께 회전되도록 고정되고, 세탁물이 건조되도록 거치되는 일측에 프레임형태로 연장 구비하되, 상부로 하나씩 복수로 적층되어 상호 맞닿는 상부에 돌기 형태로 슬라이드레일이 구비되고, 하부에 상기 슬라이드레일이 삽입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어 일측으로 슬라이딩 이송되면서 펼쳐지고 접히는 건조프레임; 상기 건조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건조프레임의 펼쳐진 상태에서 상호 중첩된 상하 위치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에 의해 고정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고정이 해제되면 상호 적층된 상기 건조프레임이 슬라이딩에 의해 접혀지도록 설치된 슬라이딩고정체; 및 상기 건조프레임의 일측에 복수 수량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위치마다 상기 건조프레임에서 상기 기둥부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태로 세탁물이 건조를 위해서 거치되는 건조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는 세탁물이 건조되는 공간에 바닥에서 천정으로 고정되는 지주에 세탁물을 거치하도록 설치되는 건조부가 상하로 이동되면서 설치되는 공간을 최소화하도록 상하 좌우방향으로 회전에 의해 절첩되고, 세탁물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절첩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세탁물을 거치가 가능함에 따라 건조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는 세탁물이 거치되는 복수의 바 형태의 건조바가 설치된 건조프레임을 지주에 상하로 높이를 조절하면서 좌우로 회전되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안치되고, 건조프레임의 결합 위치에 건조프레임을 상하로 각도를 조절하면서 회전시키는 관절부를 설치하여, 건조프레임의 높이와 좌우 회전각도 및 상하 회전 각도를 조절하면서 회전 절첩됨에 따라 세탁물의 거치 시에 세탁물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설치 높이와 절첩되는 각도를 조절하고, 세탁물이 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치되는 장소를 최소화하도록 절첩되어 사용 편의성과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는 지주의 지지된 상태로 건조프레임의 상하로 회전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관절부의 회전되는 각도를 제어하도록 회전되는 위치에 한쌍의 서로 반대되는 방향이 걸림되는 치형이 일부 형성된 치형을 가지는 기어체를 한쌍으로 구비하고, 각각의 걸림되는 방향이 서로 대향되는 양단으로 각각 걸림되는 걸림체를 한쌍으로 구비하여 각각의 걸림체가 아암의 양방향으로 회전 시마다 걸림에 의해 통과되는 구간과 한 단계 씩 걸림되면서 이동되는 구간을 거치면서 회전되는 각도를 양방향에서 각각 조절할 수 있어 조절의 정확성이 향상되고, 단순한 작동으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조절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는 세탁물이 거치되는 복수의 건조바가 설치된 프레임이 건조바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각도가 조절되면서 회전이 가능하고, 복수 수량으로 상호 연결되는 위치마다 경첩 결합되어 절첩됨으로써, 세탁물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설치 높이와 절첩되는 각도를 조절하고, 세탁물이 거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치되는 장소를 최소화하도록 절첩되어 사용 편의성과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절첩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기둥부와 상하회전이송부의 정면과 평면을 나타내는 일부 생략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상하회전이송부가 회전되는 각도를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구성인 회전건조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1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회전건조부의 아암회전지지체로 지지된 상태로 회전체가 건조프레임과 함께 90도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일부 구성을 생략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은 도 7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7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회전건조부의 이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회전건조부를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작동체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 치형을 넘어가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제1 작동체가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일방향의 하나의 단계를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제1 작동체가 제1 치형이 형성된 a구간을 통과하여 b구간에 위치하고, 제2 작동체가 d구간을 통과하여 제2 치형이 형성된 c구간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제2 작동체가 제2 치형에 걸림 후 아암을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작동힌지의 위치가 변위되도록 제2 작동몸체가 이동되어 걸림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제2 작동체의 일방향으로 걸림이 해제하기 위해서 회전건조부를 반대방향인 타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타방향 이동으로 제2 걸림체의 걸림 해제 후 제2 회전탄성체와 제2 이동탄성체의 작용으로 회전되면서 제2 걸림체가 제2 치형을 벗어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제2 걸림체가 제2 치형을 벗어나 일방향의 다른 제2 치형에 걸림되도록 이동되어 한 단계씩 회전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18은 도 10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회전건조부를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작동체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2 치형을 넘어가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제2 작동체가 타방향으로 이동되어 타방향의 하나의 단계를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제2 작동체가 제2 치형이 형성된 c구간을 통과하여 d구간에 위치하고, 제1 작동체가 b구간을 통과하여 제1 치형이 형성된 a구간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제1 작동체가 제1 치형에 걸림 후 회전건조부를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작동힌지의 위치가 변위되도록 제1 작동몸체가 이동되어 걸림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제1 작동체의 타방향으로 걸림이 해제하기 위해서 아암을 반대방향인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일방향 이동으로 제1 걸림체의 걸림 해제 후 제1 회전탄성체와 제1 이동탄성체의 작용으로 회전되면서 제1 걸림체가 제1 치형을 벗어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제1 걸림체가 제1 치형을 벗어나 타방향의 다른 제1 치형에 걸림되도록 이동되어 한 단계씩 회전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절첩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기둥부와 상하회전이송부의 정면과 평면을 나타내는 일부 생략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상하회전이송부가 회전되는 각도를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1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구성인 회전건조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1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회전건조부의 아암회전지지체로 지지된 상태로 회전체가 건조프레임과 함께 90도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며, 도 7은 도 1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일부 구성을 생략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9은 도 7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10)는 천장과 바닥 사이에 지주 형태로 설치된 기둥부(100), 상하회전이송부(200), 관절부(300), 및 회전건조부(400)를 포함한다.
기둥부(100)는 천장과 바닥 사이에 위치한 지주 형태의 기둥몸체(101), 상부높이조절체(103), 및 하부높이조절체(104)를 포함한다.
기둥몸체(101)는 빨래 건조대(10)가 설치되는 위치에 천장과 바닥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하회전이송부(200)가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축 형태로 구비하되, 상하회전이송부(200)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복수 위치마다 회전되는 각도가 조절되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통공 형태의 기둥고정공(102)이 형성된다.
기둥몸체(101)는 세탁물이 거치되어 건조를 실시하는 천장과 바닥 사이에 배치되어 세탁물이 거치된 상태로 건조를 실시하는 회전건조부(400)와 회전건조부(400)를 상하로 각도를 조절하도록 회전 제어하는 관절부(300)가 설치되어 있는 상하회전이송부(200)가 삽입 지지되는 것으로, 상하회전이송부(200)는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되면서 좌우로 회전되는 각도가 조절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축 형태로 구비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위치마다 방사상으로 좌우로 회전되는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상하회전이송부(200)가 고정되도록 삽입되는 기둥고정공(102)이 형성된다.
이런 기둥고정공(10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높이 별로 90도 각도 위치별로 4방향으로 각각 구비되어 4방향으로 좌우로 회전되는 각도를 조절하면서 상하회전이송부(200)가 높이를 조절하면서 4개의 각도로 회전 각도를 조절하면서 설치할 수 있다.
상부높이조절체(103)는 기둥몸체(10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기둥몸체(101)와 천장이 접촉되는 상부에 설치되어 높이가 조절되면서 기둥몸체(101)를 천정에 고정시키도록 구비된다. 상부높이조절체(103)는 통상적인 행거에 사용되는 탄성력을 가지면서 천장에 기둥몸체(101)를 고정시킬 수 있는 모든 수단이 포함됨에 따라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하부높이조절체(104)는 기둥몸체(10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기둥몸체(101)와 바닥이 접촉되는 하부에 설치되어 높이가 조절되면서 기둥몸체(101)를 하부에 고정시키도록 구비된다. 하부높이조절체(104)는 통상적인 행거에 사용되는 탄성력을 가지면서 바닥에 기둥몸체(101)를 고정시킬 수 있는 모든 수단이 포함됨에 따라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하회전이송부(200)는 기둥몸체(101)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면서 좌우로 회전된 각도가 조절된 상태로 설치되는 이송몸체(201), 및 몸체고정체(204)를 포함한다.
이송몸체(201)는 기둥몸체(101)의 바깥 둘레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기둥몸체(101)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하부가 개방된 이송공간(202)을 형성하고, 일측에는 기둥몸체(101)의 상하로 이동되는 위치에서 회전되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된 기둥고정공(102) 중에서 높이와 각도에 맞는 기둥고정공(102)에 고정을 위해서 연통되는 통공 형태의 이송고정공(203)이 형성된다.
몸체고정체(204)는 이송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송몸체(201)가 기둥몸체(1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되어 회전 각도가 조절된 위치에 형성된 기둥고정공(102)에 이송고정공(203)을 일치한 상태에서 삽입 고정되어 이송몸체(201)의 상하 높이와 회전되는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기둥몸체(101)에 고정시키도록 구비된다.
이송몸체(201)는 내부에 형성된 이송공간(202)에 기둥몸체가 삽입되면 일측에 형성된 이송고정공(203)을 기둥몸체(101)에 이송몸체(201)가 설치될 높이와 각도를 고려하여 복수의 기둥고정공(102) 중에서 선택된 기둥고정공(102)에 연통된 상태에서 몸체고정체(204)를 삽입 고정하여 설치된다.
관절부(300)는 이송몸체(201)의 일측에 배치되어 회전건조부(400)의 상하로 회전되는 각도롤 조절하도록 연결된 관절몸체부(310), 회전지지부(320), 제1 걸림작동부(330), 및 걸림작동부(340)를 포함한다.
이런, 관절부(300)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건조부(400)의 회전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면을 참고하면 회전건조부(400)이 회전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측면으로 회전에 의해 복수의 단계로 치형으로 구획된 다단으로 각도가 조절되도록 회전건조부(400)을 연결하고, 회전건조부(400)이 회전되는 두개의 방향 중에 하나의 방향으로 사용자가 치형을 통과하면서 회전되는 방향을 일방향으로 정의하고, 일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치형을 단계별로 하나씩 걸림되면서 이동하는 방향을 타방향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관절부(300)는 회전건조부(400)가 한쪽 방향에서 회전되는 중심에서 바깥 방향을 제1 방향으로 정의하고, 제1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바깥에서 중심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정의하며, 다른쪽 방향에서 회전되는 중심에서 바깥 방향을 제3 방향으로 정의하고, 제3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바깥에서 중심 방향을 제4 방향으로 정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향의 정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설치 위치나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관절몸체부(310)는 회전건조부(400)의 회전부분에 배치된 관절몸체(311), 지지커버(313), 및 제1 걸림기어체(315), 및 제2 걸림기어체(317)를 포함한다.
관절몸체(311)는 회전건조부(400)이 회전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건조부(40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내부에 회전건조부(400)과 결합되어 회전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공간인 몸체공간(312)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지지커버(313)는 관절몸체(311)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에 아암에 고정되는 회전지지부(320)가 삽입되는 지지공(314)을 가진다. 지지커버(313)는 몸체공간(312)의 개방된 한쪽 측면을 커버하면서 회전건조부(400)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도록 구비되고, 중앙에는 통공 형태로 회전건조부(400)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는 회전지지부(320)가 삽입되는 지지공(314)이 형성된다.
제1 걸림기어체(315)는 관절몸체(311)의 내부에 형성된 몸체공간(312)의 한쪽 측면으로 중공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분할된 공간 중에 하나의 일부 구간인 a구간으로 중심에서 바라보는 방사상의 위치에 사용자가 설정된 각도가 조절되는 위치마다 치형 형태로 돌출되어 일부 구간에 복수의 단계 별로 설치된 제1 치형(316)이 내주연에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제1 걸림기어체(315)의 제1 치형(316)이 형성된 일부 구간인 a구간을 제외하는 나머지 구간을 b구간으로 정의하고, b구간에는 걸림되는 구성이 없어 제1 걸림작동부(330)가 걸림없이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제1 치형(316)은 제1 걸림작동부(330)가 일방향으로 통과되도록 타방향에 둥근 라운드 형태의 제1 라운드부(316a)를 형성하고, 제1 걸림작동부(330)가 타방향으로 걸림되도록 일방향에 걸림되는 홈 형태의 제1 걸림홈부(316b)가 형성되어 회전건조부(400)의 회전 시에 제1 걸림작동부(330)가 일방향으로 통과되며, 타방향으로 걸림되도록 구비된다.
이런, 제1 치형(316)은 제1 걸림기어체(315)의 내주연으로 a구간에 타"?향으?? 제1 라운드부(316a)를 형성하고, 일방향으로 제1 걸림홈부(316b)를 형성하여 회전건조부(400)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제1 걸림작동부(330)가 일방향으로 회전 시에 제1 라운드부(316a)에 접촉되면서 걸림 통과되고, 타방향으로 회전 시 제1 걸림홈부(316b)에 걸림되는 치형 형상으로 구비된다.
제2 걸림기어체(317)는 관절몸체(311)의 내부에 형성된 몸체공간(312)의 제1 걸림기어체(315)와 한쌍이 되도록 다른쪽 측면으로 중공 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분할된 공간 중에 제1 치형(316)과 동일한 하나의 일부 구간인 c구간으로 중심에서 바라보는 방사상의 위치에 사용자가 설정된 각도가 조절되는 위치마다 제1 치형(316)과 반대되는 방향의 치형 형태로 돌출되어 일부 구간에 복수의 단계 별로 설치된 제2 치형(318)이 내주연에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제2 걸림기어체(317)의 제2 치형(318)이 형성된 일부 구간인 c구간을 제외하는 나머지 구간을 d구간으로 정의하고, d구간에는 걸림되는 구성이 없어 제2 걸림작동부(340)가 걸림없이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제2 치형(318)은 제2 걸림작동부(340)가 타방향으로 통과되도록 일방향에 둥근 라운드 형태의 제2 라운드부(318a)를 형성하고, 제2 걸림작동부(340)가 일방향으로 걸림되도록 타방향에 걸림되는 홈 형태의 제2 걸림홈부(318b)가 형성되어 회전건조부(400)의 회전 시에 제2 걸림작동부(340)가 타방향으로 통과되며, 일방향으로 걸림되도록 구비된다.
이런, 제2 치형(318)은 제1 걸림기어체(315)와 한쌍이 되도록 서로 떨어진 다른쪽 측면에 제2 걸림기어체(317)에 c구간에 일"?향으?? 제2 라운드부(318a)를 형성하고, 타방향으로 제2 걸림홈부(318b)를 형성하여 아암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제2 걸림작동부(340)가 타방향으로 회전 시에 제2 라운드부(318a)에 접촉되면서 걸림 통과되고, 일방향으로 회전 시 제2 걸림홈부(318b)에 걸림되는 치형 형상으로 구비된다.
회전지지부(320)는 회전건조부(400)에 연결된 상태에서 관절몸체(311)의 개방된 한쪽 측면에서 삽입되어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321), 제1 회전지지체(322), 제1 작동힌지(323), 제1 탄성지지체(324), 제2 회전지지체(325), 제2 작동힌지(326), 제2 탄성지지체(327), 및 회전베어링(328)을 포함한다.
회전축(321)은 지지커버(313)의 지지공(314)의 삽입되어 몸체의 내부인 몸체공간(312)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건조부(400)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면서 각도를 조절하도록 설치된다.
제1 회전지지체(322)는 관절몸체(3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축(321)의 함께 회전되도록 고정되고, 회전축(321)의 중심에서 제1 치형(316)에 걸림되는 위치에 제1 걸림작동부(330)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위치까지 연장된 바 형태로 구비된다.
제1 작동힌지(323)는 제1 회전지지체(322)의 제1 치형(316)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제1 회전지지체(322)의 한쪽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 걸림작동부(330)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축 형태로 구비된다.
제1 작동힌지(323)는 제1 회전지지체(322)에 제1 치형(316) 방향에 돌출되어 제1 걸림작동부(330)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제1 걸림작동부(330)의 회전되는 중심이 되는 축 형태로 구비된다.
제1 작동힌지(323)는 일방향으로 제1 걸림작동부(330)의 걸림 시 이동되는 위치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탄성 지지된다. 제1 작동힌지(323)는 제1 걸림작동부(330)의 걸림에 의해 제1 걸림작동부(330)의 내부에서 힌지 결합된 위치에서 이동 시에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일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회전건조부(400)의 일방향으로 회전 시에 제1 치형(316)을 넘어가면서 이동되는 제1 걸림작동부(330)가 제1 치형(316) 통과 후에 원위치로 이동시키고, 회전건조부(400)의 타방향 이동 시에 제1 걸림작동부(330)의 걸림이 해제되면 걸림 전 위치로 제1 작동힌지(323)가 제1 걸림작동부(330) 내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제1 탄성지지체(324)는 관절몸체(3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축(321)과 함께 회전되도록 고정되고, 제1 회전지지체(322)와 교차되는 일방향으로 제1 작동힌지(323)와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져 제1 작동힌지(323)에 힌지 결합된 제1 걸림작동부(330)가 회전에 의해 원위치되는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탄성 지지되도록 삽입되는 제1 탄성지지공(324a)이 형성된다.
제1 회전지지체(322)와 제1 탄성지지체(324)는 회전축(321)과 함께 회전되면서 교차된 형태로 형성되어 제1 걸림작동부(330)에 회전되는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일방향으로 각각 탄성 지지되어 아암의 일방향 이동 시에 제1 치형(316)을 넘어가면서 이동되는 제1 걸림작동부(330)가 제1 치형(316) 통과 후에 원위치로 이동시키고, 아암의 타방향 이동 시에 제1 걸림작동부(330)가 제1 치형(316)에 걸림되면 제1 작동힌지(323)가 제1 걸림작동부(330)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제1 걸림작동부(330)의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탄성력이 부가된 상태로 걸림이 해제되면 제1 걸림작동부(330)가 지지된 제1 치형(316)에서 벗어나도록 타방향이 회전되는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력이 작용되는 위치로 제1 탄성지지공(324a)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제2 회전지지체(325)는 관절몸체(3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축(321)에 함께 회전되도록 제1 회전지지체(322)의 다른쪽 측면에 고정되고, 회전축(321)의 중심에서 제2 치형(318)에 걸림되는 위치에 제2 걸림작동부(340)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위치까지인 연장된 바 형태로 구비된다.
제2 작동힌지(326)는 제2 회전지지체(325)의 제2 치형(318)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제2 회전지지체(325)의 한쪽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 걸림작동부(340)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축 형태로 구비된다.
제2 작동힌지(326)는 제2 회전지지체(325)에 제2 치형(318) 방향에 돌출되어 제2 걸림작동부(340)가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어 제2 걸림작동부(340)의 회전되는 중심이 되는 축 형태로 구비된다.
제2 작동힌지(326)는 타방향으로 제2 걸림작동부(340)의 걸림 시 이동되는 위치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탄성 지지된다. 제2 작동힌지(326)는 제2 걸림작동부(340)의 걸림에 의해 제2 걸림작동부(340)의 내부에서 힌지 결합된 위치에서 이동 시에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타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회전건조부(400)의 일방향으로 회전 시에 제2 치형(318)을 넘어가면서 이동되는 제2 걸림작동부(340)가 제2 치형(318) 통과 후에 원위치로 이동시키고, 회전건조부(400)의 일방향으로 회전 시에 제2 걸림작동부(340)의 걸림이 해제되면 걸림 전 위치로 제2 작동힌지(326)가 제2 걸림작동부(340) 내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제2 탄성지지체(327)는 관절몸체(3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축(321)과 함께 회전되도록 고정되고, 제2 회전지지체(325)와 교차되는 타방향으로 제2 작동힌지(326)와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져 제2 작동힌지(326)에 힌지 결합된 제2 걸림작동부(340)가 회전에 의해 원위치되는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탄성 지지되도록 삽입되는 제2 탄성지지공(327a)이 형성된다.
제2 회전지지체(325)와 제2 탄성지지체(327)는 회전축(321)과 함께 회전되면서 교차된 형태로 형성되어 제2 걸림작동부(340)에 회전되는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타방향으로 각각 탄성 지지되어 회전건조부(400)의 타방향으로 회전 시에 제2 치형(318)을 넘어가면서 이동되는 제2 걸림작동부(340)가 제2 치형(318) 통과 후에 원위치로 이동시키고, 회전건조부(400)의 타방향으로 회전 시에 제2 걸림작동부(340)가 제2 치형(318)에 걸림되면 제2 작동힌지(326)가 제2 걸림작동부(340) 내부에서 이동하면서 제2 걸림작동부(340)의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탄성력이 부가된 상태로 걸림이 해제되면 제2 걸림작동부(340)가 지지된 제2 치형(318)에서 벗어나도록 일방향이 회전되는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력이 작용되는 위치로 제2 탄성지지공(327a)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회전베어링(326)은 관절몸체(3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축(321)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구비된다. 회전베어링(326)은 회전축(321)의 회전을 지지하는 통상의 베어링이 사용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걸림작동부(330)는 관절몸체(311)의 내부에서 회전에 의해 제1 치형(316)에 걸림되도록 작동되는 제1 작동몸체(331), 제1 작동바(336), 제1 작동체(337), 제1 회전탄성체(338), 및 제1 이동탄성체(339)를 포함한다.
제1 작동몸체(331)는 관절몸체(3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작동힌지(323)와 힌지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통공 형태의 제1 힌지공(332)이 안쪽에 제1 치형(316)에서 제1 회전지지체(322)가 회전되는 중심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힌지공(332)에서 제1 치형(316)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제1 작동힌지(323)가 제2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1 연결공(333)으로 연결되어 이동 시 회전 반경이 줄어드는 제1 회전공(334)이 형성되며, 제1 힌지공(332)의 제1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제1 힌지공(332)에 힌지 결합된 제1 작동힌지(323)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탄성력이 제공하기 위해서 탄성 지지되도록 삽입되는 위치에 통공형태의 제1 지지공(335)을 형성한다.
제1 작동몸체(331)는 제1 작동힌지(323)가 제1 힌지공(332)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건조부(400)을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작동힌지(323)가 제1 힌지공(332)에서 제1 연결공(333)으로 이동하면서 제1 치형(316)의 제1 라운드부(316a)를 넘어가고, 제1 치형(316)을 통과하면 다시 제1 힌지공(332)으로 복귀되어 이동된다.
또한, 제1 작동몸체(331)는 아암이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치형(316)의 제1 걸림홈부(316b)에 걸림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 작동힌지(323)가 제1 연결공(333)을 통해서 제2 방향에 위치한 제1 회전공(334)으로 제1 작동힌지(323)가 이동되어 회전반경이 축소된다. 회전반경이 축소된 상태에서 타방향의 이동을 위해서 일방향으로 제1 작동몸체(331)를 이동하면 탄성에 의해 제1 회전공(334)에 위치한 제1 작동힌지(323)를 중심으로 회전 반경이 축소된 상태로 회전되어 제1 치형(316)을 벗어나 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탄성에 의해 제1 작동힌지(323)가 제1 힌지공(332)의 위치로 원위치되면 제1 치형(316)의 걸림되는 위치로 복귀되어 타방향에 위치한 다음 단계의 제1 치형(316)으로 이동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제1 작동바(336)는 제1 작동몸체(331)의 제2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작동몸체(331)에서 제1 치형(316)에 걸림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태로 구비된다.
제1 작동체(337)는 제1 작동바(336)의 제2 방향 끝에 배치되어 있으며, 관절몸체(311)의 제1 치형(316)에 접촉되는 위치에 원통 형상으로 일방향 이동 시에 통과되고, 타방향으로 걸림되도록 구비된다. 제1 작동체(337)는 일방향으로 통과 시에 제1 치형(316)의 제1 라운드부(316a)를 넘어서 통과되고, 타방향을 회전 시 제1 걸림홈부(316b)에 삽입된 상태로 이탈이 방지되는 원통형상으로 구비한다.
제1 회전탄성체(338)는 제1 작동몸체(331)의 제1 방향에 제1 탄성지지체(324)와 탄성 지지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일단이 제1 작동몸체(331)의 제1 지지공(335)에 삽입되고, 타단이 제1 탄성지지체(324)의 제1 탄성지지공(324a)에 삽입되어 제1 작동체(337)가 일방향으로 이동 시 제1 치형(316)의 제1 라운드부(316a)를 넘어가 통과하도록 탄성 지지하고, 제1 작동체(337)가 타방향으로 이동 시 제1 치형(316)의 제1 걸림홈부(316b)에 걸림 후 타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회전반경이 축소된 상태로 걸림된 제1 치형(316)과의 걸림을 해제하여 타방향으로 통과하는 위치로 제1 작동몸체(331)를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즉, 제1 회전탄성체(338)는 제1 작동힌지(323)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제1 작동몸체(331)가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제1 작동몸체(331)의 일방향에 탄성 지지되어 회전건조부(400)를 일방향으로 회전 시에 제1 치형(316)의 제1 라운드부(316a)를 넘어가는 제1 작동체(337)의 이동에 따른 위치변화를 회전되는 탄성으로 지지하고, 제1 치형(316) 통과 후에는 원위치로 복귀하는 탄성을 제공한다.
또한, 회전건조부(400)를 타방향으로 회전 시에 제1 작동체(337)가 제1 치형(316)의 제1 걸림홈부(316b)에 걸림되면 제1 작동힌지(323)가 제1 연결공(333)을 통해서 제1 회전공(334)으로 이동 하게 되면서 제1 작동몸체(331)의 위치 변화에 의해 탄성력이 발생된다. 제1 작동체(337)의 걸림을 해제하기 위해서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작동몸체(331)의 회전반경이 축소되는 제1 회전공(334) 위치에 제1 작동힌지(323)기 위치한 상태에서 제1 회전탄성체(338)의 발생된 탄성력에 의해 제1 작동몸체(331)가 회전되면서 지지된 제1 치형(316)에서 걸림된 상태를 벗어나 타방향의 다음 제1 치형(316)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이동탄성체(339)는 제1 작동몸체(331)의 일방향인 제1 방향에서 중앙 방향으로 제1 작동힌지(323)와 탄성 지지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일단이 제1 작동힌지(323)에 고정되고, 타단이 제1 작동몸체(331)의 제1 방향에 고정되어 제1 작동체(337)가 일방향으로 이동 시 제1 치형(316)을 넘어가 통과하도록 탄성 지지하고, 제1 작동체(337)가 타방향으로 이동 시 제1 치형(316)에 걸림 후 작동몸체에 삽입된 제1 작동힌지(323)가 제1 힌지공(332)에서 제1 연결공(333)을 통해서 제1 회전공(334)으로 이동하면 인장되고, 제1 작동체(337)가 타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제1 회전탄성체(338)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여 제1 치형(316)과의 걸림이 해제되어 타방향으로 통과된 후에 제1 작동체(337)의 회전반경이 증대되도록 제1 작동힌지(323)가 제1 힌지공(332)에 위치하도록 제1 작동몸체(331)를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제2 걸림작동부(340)는 관절몸체(311)의 내부에서 회전에 의해 제2 치형(318)에 걸림되도록 작동되는 제2 작동몸체(341), 제2 작동바(346), 제2 작동체(347), 제2 회전탄성체(348), 및 제2 이동탄성체(349)를 포함한다.
제2 작동몸체(341)는 관절몸체(3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작동힌지(326)와 힌지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통공 형태의 제2 힌지공(342)이 안쪽에 제2 치형(318)에서 제2 회전지지체(325)가 회전되는 중심 방향인 제3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힌지공(342)에서 제2 치형(318) 방향인 제4 방향으로 제2 작동힌지(326)가 제4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2 연결공(343)으로 연결되어 이동 시 회전 반경이 줄어드는 제2 회전공(344)이 형성되며, 제2 힌지공(342)의 제3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제2 힌지공(342)에 힌지 결합된 제2 작동힌지(326)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탄성력이 제공하기 위해서 탄성 지지되도록 삽입되는 위치에 통공형태의 제2 지지공(345)을 형성한다.
제2 작동몸체(341)는 제2 작동힌지(326)가 제2 힌지공(342)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건조부(400)를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작동힌지(326)가 제2 힌지공(342)에서 제2 연결공(343)으로 이동하면서 제2 치형(318)의 제2 라운드부(318a)를 넘어가고, 제2 치형(318)을 통과하면 다시 제2 힌지공(342)으로 복귀되어 이동된다.
또한, 제2 작동몸체(341)는 회전건조부(40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치형(318)의 제2 걸림홈부(318b)에 걸림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 작동힌지(326)가 제2 연결공(343)을 통해서 제4 방향에 위치한 제2 회전공(344)으로 제2 작동힌지(326)가 이동되어 회전반경이 축소된다. 회전반경이 축소된 상태에서 일방향의 이동을 위해서 타방향으로 제2 작동몸체(311)를 이동하면 탄성에 의해 제2 회전공(344)에 위치한 제2 작동힌지(326)를 중심으로 회전 반경이 축소된 상태로 회전되어 제2 치형(318)을 벗어나 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탄성에 의해 제2 작동힌지(326)가 제2 힌지공(342)의 위치로 원위치되면 제2 치형(318)의 걸림되는 위치로 복귀되어 타방향에 위치한 다음 단계의 제2 치형(318)으로 이동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제2 작동바(346)는 제2 작동몸체(341)의 제4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제2 작동몸체(311)에서 제2 치형(318)에 걸림되는 제4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태로 구비된다.
제2 작동체(347)는 제2 작동바(346)의 제4 방향 끝에 배치되어 있으며, 관절몸체(311)의 제2 치형(318)에 접촉되는 위치에 원통 형상으로 타방향 이동 시에 통과되고, 일방향으로 걸림되도록 구비된다. 제2 작동체(347)는 타방향으로 통과 시에 제2 치형(318)의 제2 라운드부(318a)를 넘어서 통과되고, 일방향으로 회전 시 제2 걸림홈부(318b)에 삽입된 상태로 이탈이 방지되는 원통형상으로 구비한다.
제2 회전탄성체(348)는 제2 작동몸체(341)의 제3 방향에 제2 탄성지지체(327)와 탄성 지지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일단이 제2 작동몸체(341)의 제2 지지공(345)에 삽입되고, 타단이 제2 탄성지지체(327)의 제2 탄성지지공(327a)에 삽입되어 제2 작동체(347)가 일방향으로 이동 시 제2 치형(318)의 제2 라운드부(318a)를 넘어가 통과하도록 탄성 지지하고, 제2 작동체(347)가 일방향으로 이동 시 제2 치형(318)의 제2 걸림홈부(318b)에 걸림 후 일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타방향으로 이동하면 회전반경이 축소된 상태로 걸림된 제2 치형(318)과의 걸림을 해제하여 일방향으로 통과하는 위치로 제2 작동몸체(341)를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즉, 제2 회전탄성체(348)는 제2 작동힌지(326)에 힌지 결합되어 있는 제2 작동몸체(341)가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제2 작동몸체(341)의 일방향에 탄성 지지되어 회전건조부(400)를 일방향으로 회전 시에 제2 치형(318)의 제2 라운드부(318a)를 넘어가는 제2 작동체(347)의 이동에 따른 위치변화를 회전되는 탄성으로 지지하고, 제2 치형(318) 통과 후에는 원위치로 복귀하는 탄성을 제공한다.
또한, 회전건조부(400)를 타방향으로 회전 시에 제2 작동체(347)가 제2 치형(318)의 제2 걸림홈부(318b)에 걸림되면 제2 작동힌지(326)가 제2 연결공(343)을 통해서 제2 회전공(344)으로 이동 하게 되면서 제2 작동몸체(341)의 위치 변화에 의해 탄성력이 발생된다. 제2 작동체(347)의 걸림을 해제하기 위해서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작동몸체(341)의 회전반경이 축소되는 제2 회전공(344) 위치에 제2 작동힌지(326)기 위치한 상태에서 제2 회전탄성체(348)의 발생된 탄성력에 의해 제2 작동몸체(341)가 회전되면서 지지된 제2 치형(318)에서 걸림된 상태를 벗어나 일방향의 다음 제2 치형(318)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이동탄성체(349)는 제2 작동몸체(341)의 타방향인 제3 방향에서 중앙 방향으로 제2 작동힌지(326)와 탄성 지지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일단이 제2 작동힌지(326)에 고정되고, 일단이 제2 작동몸체(341)의 제3 방향에 고정되어 제2 작동체(347)가 타방향으로 이동 시 제2 치형(318)을 넘어가 통과하도록 탄성 지지하고, 제2 작동체(347)가 일방향으로 이동 시 제2 치형(318)에 걸림 후 제2 작동몸체(311)에 삽입된 제2 작동힌지(326)가 제2 힌지공(342)에서 제2 연결공(343)을 통해서 제2 회전공(344)으로 이동하면 인장되고, 제2 작동체(347)가 일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타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회전탄성체(348)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여 제2 치형(318)과의 걸림이 해제되어 일방향으로 통과된 후에 제2 작동체(347)의 회전반경이 증대되도록 제2 작동힌지(326)가 제2 힌지공(342)에 위치하도록 제2 작동몸체(341)를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회전건조부(400)는 회전축(321)에 결합되어 상하로 회전되는 각도가 걸림 조절되는 건조아암(401), 아암회전지지체(402), 회전체(403), 회전고정체(405), 건조프레임(406), 슬라이딩고정체(407), 및 건조바(408)를 포함한다.
건조아암(401)은 회전축(321)에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축의 상하로 회전되는 한쪽 측면에 연결되어 복수의 단계로 상하로 각도가 조절되면서 걸림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아암회전지지체(402)는 건조아암(401)의 세탁물이 거치되는 방향인 일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면의 중심에서 상하로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판 형태로 구비하되, 내부에는 중심과 떨어져 기설정된 회전 반경과 각도를 가지도록 제한하는 원형의 일부의 형상인 통공된 긴 구멍 형태로 아암회전지지공(402a)이 형성된다.
상술된 아암회전지지공(402a)은 중심에서 90도 회전 반경으로 회전되는 1/4의 원호 형태로 회전고정체(405)가 삽입된 상태로 회전되는 장공 형태로 형성된다.
회전체(403)는 아암회전지지체(402)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아암회전지지체(402)와 간격유지체(404)로 기설정된 간격이 떨어진 상태로 바깥 둘레를 감싸도록 지지하면서 회전되되, 내부에는 회전지지공(402a)의 회전범위 내에 회전되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체결되는 회전체결공(403a)이 형성된다.
이런, 회전체결공(403a)은 회전고정체(405)와 체결되도록 내부에 나사가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고, 다양한 형태의 체결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회전고정체(405)는 회전체(403)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체(403)의 회전되는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회전지지공(402a)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체결공(403a)에 체결 고정되어 회전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고정하고, 체결을 해제하면 회전체(403)를 회전지지공(402a)의 회전 범위 내에서 회전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런, 회전고정체(405)는 회전체결공(403a)의 나사부분에 체결되는 볼트 형태로 구비되어 90도 각도의 회전범위를 가지는 회전지지공(402a)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체(403)를 회전하여 회전체결공(403a)의 위치를 확인하면 회전되는 각도가 결정되면 회전체결공(403a)에 체결되어 회전체(403)를 고정시킬 수 있다.
건조프레임(406)은 회전체(403)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어 있으며, 회전체(403)의 일측으로 함께 회전되도록 고정되고, 세탁물이 건조되도록 거치되는 일측에 프레임형태로 연장 구비하되, 상부로 하나씩 복수로 적층되어 상호 맞닿는 상부에 돌기 형태로 슬라이드레일(406a)이 구비되고, 하부에 슬라이드레일(406a)이 삽입되는 슬라이드홈(406b)이 형성되어 일측으로 슬라이딩 이송되면서 펼쳐지고 접히도록 구비된다. 건조프레임(406)은 복수 수량으로 회전체에 고정된 위치에서부터 상부 방향으로 상호 적층되게 구비하되, 적층된 위치에 슬라이드레일(406a)에 상부에 위치한 다른 건조프레임(406)의 하부에 형성된 슬라이드홈(406b)이 삽입되어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드에 의해 펼쳐지고, 접히도록 구비된다.
슬라이딩고정체(407)는 건조프레임(406)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건조프레임(406)의 펼쳐진 상태에서 상호 중첩된 상하 위치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에 의해 고정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고정이 해제되면 상호 적층된 건조프레임(406)이 슬라이딩에 의해 접혀지도록 설치된다.
건조바(408)는 건조프레임(406)의 일측에 복수 수량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위치마다 건조프레임(406)에서 기둥몸체(101)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태로 세탁물이 건조를 위해서 거치되도록 구비된다.
도 10은 도 7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회전건조부의 이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회전건조부(400)의 각도를 조절하는 위치에 회전축(321)에 축 결합되어 있는 제1 걸림기어체(315)의 이분할된 구간에서 제1 치형(316)이 형성되는 구간인 a구간에 걸림되고, 제1 치형이 형성되지 않은 b구간은 걸림없이 통과되는 제1 걸림작동부(330)가 구비되고, 제1 걸림작동부(330)와 대향되는 위치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함께 회전되는 제2 걸림작동부(340)는 제2 걸림기어체(317)의 이분할된 구간에서 제2 치형(318)이 형성된 a구간과 동일한 방향의 구간인 c구간에 걸림되고, 제2 치형(318)이 형성되지 않은 d구간은 걸림없이 통과되도록 구비된다.
도 11은 도 10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회전건조부를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작동체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1 치형을 넘어가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제1 작동체가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일방향의 하나의 단계를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며, 도 13은 도 12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제1 작동체가 제1 치형이 형성된 a구간을 통과하여 b구간에 위치하고, 제2 작동체가 d구간을 통과하여 제2 치형이 형성된 c구간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제2 작동체가 제2 치형에 걸림 후 아암을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작동힌지의 위치가 변위되도록 제2 작동몸체가 이동되어 걸림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제2 작동체의 일방향으로 걸림이 해제하기 위해서 회전건조부를 반대방향인 타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타방향 이동으로 제2 걸림체의 걸림 해제 후 제2 회전탄성체와 제2 이동탄성체의 작용으로 회전되면서 제2 걸림체가 제2 치형을 벗어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제2 걸림체가 제2 치형을 벗어나 일방향의 다른 제2 치형에 걸림되도록 이동되어 한 단계씩 회전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11 내지 도 1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으로 회전각도가 조절되는 회전 관절장치(100)의 주요 구성이 건조아암(401)이 일방향으로 회전 시에 걸림에 의해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제1 작동체(337)가 a구간의 일방향 시작 지점에 위치하도록 제1 걸림작동부(330)가 위치하면 제2 작동체(347)는 d구간의 일방향 시작 지점에 위치한 상태로 제2 걸림작동부(340)가 위치한다. 이렇게, 제1 걸림작동부(330)와 제2 걸림작동부(340)가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축(321)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지지부(320)에 지지된 제1 걸림작동부(330)와 제2 걸림작동부(340)가 함께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11을 참고하면, 회전축(321)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 걸림작동부(330)의 제1 작동체(337)가 제1 치형(316)의 제1 라운드부(316a)에 접촉하면서 제1 회전탄성체(338)와 제1 이동탄성체(339)로 탄성지지된 제1 작동몸체(331)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작동힌지(323)가 제1 작동몸체(331)의 제1 연결공(333)으로 이동하면서 제1 치형(316)의 제1 라운드부(316a)를 넘어서 일방향으로 제1 작동체(337)가 통과한다. 이때, 제2 걸림작동부(340)의 제2 작동체(347)는 치형이 형성되지 않아 통과되는 d구간을 회전하면서 통과한다.
도 12를 참고하면 제1 작동체(337)가 제1 치형(316)의 제1 라운드부(316a)를 통과하면서 제1 작동힌지(323)가 제1 힌지공(133) 위치로 복귀하여 제1 작동체(337)가 일방향의 제1 치형(316)을 하나의 단계를 일방향 제1 치형(316)을 통과하도록 작동된다.
도 13을 참고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작동체(337)가 제1 치형(316)이 형성된 a구간을 통과하여 치형이 없는 b구간의 일방향 시작 위치에 도달하면 치형이 없는 제2 작동체(347)가 d구간을 통과하여 제2 치형(318)이 형성된 구간이 c구간의 일방향 시작 위치에 도달한다.
도 14를 참고하면, 건조아암(401)을 지속적으로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걸림작동부(330)는 치형이 없는 b구간을 통과하고, 제2 걸림작동부(340)의 제2 작동체(347)가 c구간으로 진입하면서 제2 치형(318)의 제2 걸림홈부(318b)에 걸림된 후에 일방향으로 제2 작동몸체(341)가 지속적으로 이동하면 제2 힌지공(342)에 힌지 결합된 제2 작동힌지(326)가 제2 연결공(343)을 지나서 제2 회전공(344)으로 이동하면 제2 작동몸체(311)의 회전반경이 축소되고, 제2 작동체(347)와 제2 회전공(344)으로 이동된 제2 작동힌지(326)가 일방향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제2 작동몸체(341)와 제2 작동힌지(326) 사이에 탄성지지된 제2 이동탄성체(349)는 제2 작동힌지(326)의 이동에 따라 인장되어 탄성력이 작용된다. 또한, 제2 작동몸체(341)의 제2 지지공(345)과 제2 탄성지지체(327)의 제2 지지공(345)의 간격이 축소되면서 각각 탄성 지지되는 제2 회전탄성체(348)의 간격이 줄어들면서 탄성력이 발생된다.
도 15를 참고하면, 제2 작동체(347)가 제2 치형(318)에 일방향으로 걸림된 후 걸림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건조아암(401)이 회전되는 방향인 일방향과 반대방향인 타방향으로 제2 작동체(347)를 건조아암(401)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면 걸림이 해제된다.
도 16을 참고하면, 제2 작동체(347)의 이동에 의해 걸림 상태가 해제되면 제2 회전탄성체(348)의 탄성력과 제2 이동탄성체(349)의 탄성력이 동시에 작용하여 제2 작동힌지(326)가 제2 회전공(143)에서 제2 연결공(144)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 작동힌지(326)를 중심으로 제2 작동몸체(341)가 회전되어 걸림되어 있는 제2 치형(318)에서 벗어나 건조아암(401)이 회전되는 방향인 일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7을 참고하면, 제2 작동체(347)가 제2 치형(318)을 벗어나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2 회전탄성체(348)의 탄성력과 제2 이동탄성체(349)의 탄성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면서 제2 작동체(141)가 일방향으로 한단계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제2 치형(318)으로 제2 걸림홈부(318b)에 걸림되도록 걸림 위치로 복귀하여 건조아암(401)을 일방향으로 한단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한 단계씩 이동되면 제1 작동체(337)가 도 4의 최초 회전 위치까지 회전되어 360도 한바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360도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시작점에서 제1 작동체(337)가 제1 치형(316)의 제1 라운드부(316a)를 접촉하면서 넘어서 통과하다가 180도 회전하면 제2 작동체(347)가 제2 치형(318)의 제2 걸림홈부(318b)에 걸림된 후에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 탄성에 의해 한단계씩 회전 이동되면서 나머지 180도가 회전되어 한바퀴 회전된다. 즉, 건조아암(401)의 일방향 회전 시에 최초의 180도는 제1 걸림작동부(330)가 접촉된 상태로 제1 치형(316)을 넘어가면서 건조아암(401)의 위치를 조절하고, 나머지 180도는 제2 걸림작동부(340)가 제2 치형(318)에 걸림후 한단계씩 회전 이동하면서 건조아암(40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0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회전건조부를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제2 작동체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2 치형을 넘어가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제2 작동체가 타방향으로 이동되어 타방향의 하나의 단계를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며, 도 20은 도 19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제2 작동체가 제2 치형이 형성된 c구간을 통과하여 d구간에 위치하고, 제1 작동체가 b구간을 통과하여 제1 치형이 형성된 a구간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제1 작동체가 제1 치형에 걸림 후 회전건조부를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작동힌지의 위치가 변위되도록 제1 작동몸체가 이동되어 걸림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며, 도 22는 도 21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제1 작동체의 타방향으로 걸림이 해제하기 위해서 아암을 반대방향인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일방향 이동으로 제1 걸림체의 걸림 해제 후 제1 회전탄성체와 제1 이동탄성체의 작용으로 회전되면서 제1 걸림체가 제1 치형을 벗어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며, 도 24는 도 23의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의 주요 구성인 관절부에 제1 걸림체가 제1 치형을 벗어나 타방향의 다른 제1 치형에 걸림되도록 이동되어 한 단계씩 회전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도 18 내지 도 24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으로 회전각도가 조절되는 회전 관절장치(100)의 주요 구성이 아암이 타방향으로 회전 시에 걸림에 의해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다.
먼저, 제2 작동체(347)가 c구간의 타방향 시작 지점에 위치하도록 제2 걸림작동부(340)가 위치하면 제1 작동체(337)는 b구간의 타방향 시작 지점에 위치한 상태로 제1 걸림작동부(330)가 위치한다. 이렇게, 제1 걸림작동부(330)와 제2 걸림작동부(340)가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축(321)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지지부(320)에 지지된 제1 걸림작동부(330)와 제2 걸림작동부(340)가 함께 타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18을 참고하면, 회전축(321)이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제2 걸림작동부(340)의 제2 작동체(347)가 제2 치형(318)의 제2 라운드부(318a)에 접촉하면서 제2 회전탄성체(348)와 제2 이동탄성체(349)로 탄성지지된 제2 작동몸체(341)가 제4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 작동힌지(326)가 제2 작동몸체(341)의 제2 연결공(343)으로 이동하면서 제2 치형(318)의 제2 라운드부(318a)를 넘어서 타방향으로 제2 작동체(347)가 통과한다. 이때, 제1 걸림작동부(330)의 제1 작동체(337)는 치형이 형성되지 않아 통과되는 b구간을 회전하면서 통과한다.
도 19를 참고하면 제2 작동체(347)가 제2 치형(318)의 제2 라운드부(318a)를 통과하면서 제2 작동힌지(326)가 제2 힌지공(342) 위치로 복귀하여 제2 작동체(347)가 타방향의 제2 치형(318)을 하나의 단계를 타방향의 제2 치형(318)을 통과하도록 작동된다.
도 20을 참고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작동체(347)가 제2 치형(318)이 형성된 c구간을 통과하여 치형이 없는 d구간의 타방향 시작 위치에 도달하면 치형이 없는 b구간을 제1 작동체(337)가 통과하여 제1 치형(316)이 형성된 구간이 a구간의 타방향 시작 위치에 도달한다.
도 21을 참고하면, 아암을 지속적으로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 걸림작동부(340)는 치형이 없는 d구간을 통과하고, 제1 걸림작동부(330)의 제1 작동체(337)가 a구간으로 진입하면서 제1 치형(316)의 제1 걸림홈부(316b)에 걸림된 후에 타방향으로 제1 작동몸체(331)가 지속적으로 이동하면 제1 힌지공(332)에 힌지 결합된 제1 작동힌지(323)가 제1 연결공(333)을 지나서 제1 회전공(334)으로 이동하면 제1 작동몸체(311)의 회전반경이 축소되고, 제1 작동체(337)와 제1 회전공(334)으로 이동된 제1 작동힌지(323)가 타방향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제1 작동몸체(331)와 제1 작동힌지(323) 사이에 탄성 지지된 제1 이동탄성체(339)는 제1 작동힌지(323)의 이동에 따라 인장되어 탄성력이 작용된다. 또한, 제1 작동몸체(331)의 제1 지지공(335)과 제1 탄성지지체(324)의 제1 탄성지지공(324a)의 간격이 축소되면서 각각 탄성 지지되는 제1 회전탄성체(338)의 간격이 줄어들면서 탄성력이 발생된다.
도 22를 참고하면, 제1 작동체(337)가 제1 치형(316)에 타방향으로 걸림된 후 걸림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아암이 회전되는 방향인 타방향과 반대방향인 일방향으로 제1 작동체(337)를 아암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면 걸림이 해제된다.
도 23을 참고하면, 제1 작동체(337)의 이동에 의해 걸림 상태가 해제되면 제1 회전탄성체(338)의 탄성력과 제1 이동탄성체(339)의 탄성력이 동시에 작용하여 제1 작동힌지(323)가 제1 회전공(133)에서 제1 연결공(134)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작동힌지(323)를 중심으로 제1 작동몸체(331)가 회전되어 걸림되어 있는 제1 치형(316)에서 벗어나 아암이 회전되는 방향인 타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24를 참고하면, 제1 작동체(337)가 제1 치형(316)을 벗어나 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1 회전탄성체(338)의 탄성력과 제1 이동탄성체(339)의 탄성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면서 제1 작동체(131)가 일방향으로 한단계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제1 치형(316)으로 제1 걸림홈부(316b)에 걸림되도록 걸림 위치로 복귀하여 아암을 타방향으로 한단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한 단계씩 이동되면 제1 작동체(337)의 도 4의 최초 회전 위치까지 회전되어 360도 한바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360도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시작점에서 제2 작동체(347)가 제2 치형(318)의 제2 라운드부(318a)를 접촉하면서 넘어서 통과하다가 180도 회전하면 제1 작동체(337)가 제1 치형(316)의 제1 걸림홈부(316b)에 걸림된 후에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 탄성에 의해 한단계씩 회전 이동되면서 나머지 180도가 회전되어 한바퀴 회전된다. 즉, 아암의 타방향 회전 시에 최초의 180도는 제2 걸림작동부(340)가 접촉된 상태로 제2 치형(318)을 넘어가면서 아암의 위치를 조절하고, 나머지 180도는 제1 걸림작동부(330)가 제1 치형(316)에 걸림후 한단계씩 회전 이동하면서 아암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아암이 일방향과 타방향의 양방향으로 회전 시에 180도 마다 서로 다른 걸림 방식으로 제1 걸림작동부(330)가 제1 치형(316)에 걸림되고, 제2 걸림작동부(340)가 제2 치형(318)에 회전 방향에 따라 걸림되면서 아암의 회전되는 각도를 양방향에서 각각 조절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빨래건조대 100 : 기둥부
101 : 기둥몸체 102 : 기둥고정공
103 : 상부높이조절체 104 : 하부높이조절체
200 : 상하회전이송부 201 : 이송몸체
202 : 이송공간 203 : 이송고정공
204 : 몸체고정체 300 : 관절부
310 : 관절몸체부 311 : 관절몸체
312 : 몸체공간 313 : 지지커버
314 : 지지공 315 : 제1 걸림기어체
316 : 제1 치형 316a : 제1 라운드부
316b : 제1 걸림홈부 317 : 제1 걸림기어체
318 : 제2 치형 318a : 제2 라운드부
318b : 제2 걸림홈부 320 : 회전지지부
321 : 회전축 322 : 제1 회전지지체
323 : 제1 작동힌지 324 : 제1 탄성지지체
324a : 제1 탄성지지공 325 : 제2 회전지지체
326 : 제2 작동힌지 327 : 제2 탄성지지체
327a : 제2 탄성지지공 328 : 회전베어링
330 : 제1 걸림작동부 331 : 제1 작동몸체
332 : 제1 힌지공 333 : 제1 연결공
334 : 제1 회전공 335 : 제1 지지공
336 : 제1 작동바 337 : 제1 작동체
338 : 제1 회전탄성체 339 : 제1 이동탄성체
340 : 제2 걸림작동부 341 : 제2 작동몸체
342 : 제2 힌지공 343 : 제2 연결공
344 : 제2 회전공 345 : 제2 지지공
346 : 제2 작동바 347 : 제2 작동체
348 : 제2 회전탄성체 349 : 제2 이동탄성체
400 : 회전건조부 401 : 건조아암
402 : 아암회전지지체 402a : 회전지지공
403 : 회전체 403a : 회전체결공
404 : 간격유지체 405 : 회전고정체
406 : 건조프레임 406a : 슬라이드레일
406b : 슬라이드홈 407 : 슬라이드고정체
408 : 건조바

Claims (9)

  1. 천장과 바닥 사이에 높이가 조절되면서 고정된 기둥 형태로 구비된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바깥 둘레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둥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되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되는 각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고정되는 상하회전이송부;
    상기 상하회전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회전이송부의 일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로 복수의 단계별 회전 각도를 걸림에 의해 조절하는 관절부; 및
    상기 관절부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관절부의 일측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위치에서 일측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 형태로 복수 수량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펼쳐지면 길이가 연장되고, 접히면 상하로 중첩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건조프레임과, 상기 건조프레임의 한쪽면에 상기 기둥부 방향으로 기설정된 거리로 떨어진 복수 위치에 각각 바 형태로 돌출된 건조바를 포함하는 회전건조부;를 포함하되,
    상기 관절부는,
    상기 상하회전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회전이송부와 함께 상하로 이동되면서 좌우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로 고정되고, 한쪽 측면과 다른쪽 측면에 각각 한쌍으로 구비되어 한쪽의 일부 구간에 일방향이 접촉되면서 통과되며, 타방향이 걸림되는 형상의 제1 치형이 구비되고, 다른쪽의 상기 제1 치형과 동일한 구간에 일방향이 걸림되고, 타방향이 접촉되면서 통과되는 상기 제1 치형과 반대되는 형상으로 제2 치형을 구비한 관절몸체부;
    상기 관절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관절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건조부에 고정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회전지지부;
    상기 관절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지지부의 한쪽 측면에 상기 제1 치형에 걸림되는 위치에 돌출된 상태로 힌지 결합되고, 상기 회전지지부에 탄성 지지되어 상기 제1 치형이 형성된 일부 구간에서 일방향으로 회전 시 탄성에 의해 상기 제1 치형을 넘어서 통과하고, 타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제2 치형에 걸림된 위치에서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탄성에 의해 회전되면서 걸림된 위치를 벗어나 타방향으로 한단계 이동되도록 구비된 제1 걸림작동부; 및
    상기 관절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지지부의 다른쪽 측면에 상기 제2 치형에 걸림되는 위치에 돌출된 상태로 힌지 결합되고, 상기 회전지지부에 상기 제1 걸림작동부와 대향되는 위치로 탄성 지지되어 상기 제1 걸림작동부가 상기 제1 치형이 형성된 일부 구간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을 통과 시 상기 제2 치형이 형성된 일부 구간에서 타방향으로 회전 시 탄성에 의해 상기 제2 치형을 넘어서 통과하고, 일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2 치형에 걸림된 위치에서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탄성에 의해 회전되면서 걸림된 위치를 벗어나 타방향으로 한단계 이동되도록 구비된 제2 걸림작동부;를 포함하는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는,
    상기 빨래 건조대가 설치되는 위치에 상기 천장과 상기 바닥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회전이송부가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축 형태로 구비하되, 상기 상하회전이송부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복수 위치마다 회전되는 각도가 조절되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통공 형태의 기둥고정공이 형성되는 기둥몸체;
    상기 기둥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둥몸체와 상기 천장이 접촉되는 상부에 설치되어 높이가 조절되면서 상기 기둥몸체를 상기 천장에 고정시키는 상부높이조절체; 및
    상기 기둥몸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둥몸체와 상기 바닥이 접촉되는 하부에 설치되어 높이가 조절되면서 상기 기둥몸체를 상기 바닥에 고정시키는 하부높이조절체;를 포함하는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회전이송부는,
    상기 기둥부의 바깥 둘레에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상기 기둥부가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되도록 상하부가 개방된 이송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에는 상기 기둥부에 상하로 이동되는 위치에서 회전되는 각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고정되는 위치에 이송고정공이 형성된 이송몸체; 및
    상기 이송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몸체가 상기 기둥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되어 회전 각도가 조절된 상기 기둥부와 상기 이송고정공이 일치된 위치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이송몸체의 상하 높이와 회전되는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기둥부에 고정시키는 몸체고정체;를 포함하는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몸체부는,
    상기 상하회전이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건조부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내부에는 상기 회전건조부와 결합되어 회전되는 각도를 조절하는 공간인 몸체공간을 가지는 관절몸체;
    상기 관절몸체의 한쪽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중앙에는 상기 회전건조부에 고정되는 상기 회전지지부가 삽입되는 지지공을 형성하는 지지커버;
    상기 관절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공간의 한쪽 측면에 일부 구간으로 중심을 바라보는 방사상의 위치에 사용자가 설정된 각도가 조절되는 위치마다 치형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걸림작동부가 일방향으로 통과되도록 타방향에 둥근 라운드 형태의 제1 라운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걸림작동부가 타방향으로 걸림되도록 일방향에 걸림되는 홈 형태의 제1 걸림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지지부의 회전 시에 상기 제1 걸림작동부가 일방향으로 통과되며, 타방향으로 걸림되도록 구비된 제1 치형을 가지는 제1 걸림기어체; 및
    상기 관절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공간의 다른쪽 측면에 상기 제1 치형의 형성된 구간과 동일한 일부 구간으로 중심을 바라보는 방사상의 위치에 사용자가 설정된 각도가 조절되는 위치마다 치형 형태로 돌출되어 상기 제2 걸림작동부가 타방향으로 통과되도록 일방향에 둥근 라운드 형태의 제2 라운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걸림작동부가 일방향으로 걸림되도록 타방향에 걸림되는 홈 형태의 제2 걸림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지지부의 회전 시에 상기 제2 걸림작동부가 타방향으로 통과되며, 일방향으로 걸림되도록 구비된 제2 치형을 가지는 제2 걸림기어체;를 포함하는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부는,
    상기 관절몸체부의 내부에서 한쪽 측면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건조부에 연결되어 함께 회전되면서 각도를 조절하도록 실시된 회전축;
    상기 관절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에 함께 회전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의 중심에서 상기 관절몸체부의 상기 제1 치형에 걸림되는 위치에 상기 제1 걸림작동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위치까지 연장된 바 형태로 구비된 제1 회전지지체;
    상기 제1 회전지지체의 상기 관절몸체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회전지지체의 한쪽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걸림작동부가 힌지 결합되고, 일방향으로 상기 제1 걸림작동부의 걸림 시 이동되는 위치를 원위치로 복귀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탄성 지지된 제1 작동힌지;
    상기 관절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의 다른쪽 측면에 함께 회전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제1 회전지지체와 교차되는 일방향으로 상기 제1 작동힌지와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져 상기 제1 작동힌지에 힌지 결합된 상기 제1 걸림작동부가 회전에 의해 원위치되는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탄성 지지되도록 삽입되는 제1 탄성지지공을 가지는 제1 탄성지지체;
    상기 관절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에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제1 회전지지체의 다른쪽 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의 중심에서 상기 관절몸체부의 상기 제2 치형에 걸림되는 위치에 상기 제2 걸림작동부가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위치까지인 연장된 바 형태로 구비된 제2 회전지지체;
    상기 제2 회전지지체의 상기 관절몸체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회전지지체의 한쪽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걸림작동부가 힌지 결합되고, 타방향으로 상기 제2 걸림작동부의 걸림 시 이동되는 위치를 원위치로 복귀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탄성 지지된 제2 작동힌지;
    상기 관절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축에 함께 회전되도록 고정되고, 상기 제2 회전지지체와 교차되는 타방향으로 상기 제2 작동힌지와 기설정된 간격으로 떨어져 상기 제2 작동힌지에 힌지 결합된 상기 제2 걸림작동부가 회전에 의해 원위치되는 탄성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탄성 지지되도록 삽입되는 제2 탄성지지공을 가지는 제2 탄성지지체; 및
    상기 관절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관절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베어링;을 포함하는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걸림작동부는,
    상기 관절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지지부와 힌지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통공 형태의 제1 힌지공이 안쪽에 상기 제1 치형에서 상기 회전지지부의 회전되는 중심 방향인 제1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힌지공에서 상기 제1 치형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상기 회전지지부의 힌지 결합된 부분이 제2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1 연결공으로 연결되어 이동 시 회전 반경이 줄어드는 제1 회전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힌지공의 제1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상기 제1 힌지공에 힌지 결합된 상기 회전지지부의 회전되는 탄성 지지되도록 삽입되는 통공 형태의 제1 지지공이 형성된 제1 작동몸체;
    상기 제1 작동몸체의 제2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작동몸체에서 상기 관절몸체부의 걸림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태의 제1 작동바;
    상기 제1 작동바의 제2 방향 끝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관절몸체부의 상기 제1 치형에 접촉되는 위치에 원통 형상으로 일방향 이동 시에 통과되고, 타방향으로 걸림되도록 구비된 제1 작동체;
    상기 제1 작동몸체의 제1 방향에 상기 회전지지부와 탄성 지지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지지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지지부와 탄성 지지되어 상기 제1 작동체가 일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1 치형을 넘어가 통과하도록 탄성 지지하고, 상기 제1 작동체가 타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1 치형에 걸림 후 타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회전반경이 축소된 상태로 걸림된 상기 제1 치형과의 걸림을 해제하여 타방향으로 통과하는 위치로 상기 제1 작동몸체를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회전탄성체; 및
    상기 제1 작동몸체의 일방향인 제1 방향에서 중앙 방향으로 상기 회전지지부와 탄성 지지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일단이 상기 회전지지부의 힌지부분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작동몸체의 제1 방향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작동체가 일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1 치형을 넘어가 통과하도록 탄성 지지하고, 상기 제1 작동체가 타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1 치형에 걸림 후 상기 제1 작동몸체에 삽입된 상기 회전지지부의 힌지 부분이 상기 제1 힌지공에서 상기 제1 연결공을 통해서 상기 제1 회전공으로 이동하면 인장되고, 상기 제1 작동체가 타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일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회전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제1 치형과의 걸림이 해제되어 타방향으로 통과된 후에 상기 제1 작동체의 회전반경이 증대되도록 상기 회전지지부의 힌지 부분이 상기 제1 힌지공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작동몸체를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이동탄성체;를 포함하는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작동부는,
    상기 관절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지지부와 힌지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통공 형태의 제2 힌지공이 안쪽에 상기 제2 치형에서 상기 회전지지부의 회전되는 중심 방향인 제3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힌지공에서 상기 제2 치형 방향인 제4 방향으로 상기 회전지지부의 힌지 결합된 부분이 제3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제2 연결공으로 연결되어 이동 시 회전 반경이 줄어드는 제2 회전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힌지공의 제3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상기 제2 힌지공에 힌지 결합된 상기 회전지지부의 회전되는 탄성 지지되도록 삽입되는 통공 형태의 제2 지지공이 형성된 제2 작동몸체;
    상기 제2 작동몸체의 제3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작동몸체에서 상기 관절몸체부의 걸림되는 제4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태의 제2 작동바;
    상기 제2 작동바의 제4 방향 끝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관절몸체부의 상기 제2 치형에 접촉되는 위치에 원통 형상으로 일방향 이동 시에 통과되고, 타방향으로 걸림되도록 구비된 제2 작동체;
    상기 제2 작동몸체의 제3 방향에 상기 회전지지부와 탄성 지지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지지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지지부와 탄성 지지되어 상기 제2 작동체가 타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2 치형을 넘어가 통과하도록 탄성 지지하고, 상기 제2 작동체가 일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2 치형에 걸림 후 일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타방향으로 이동하면 회전반경이 축소된 상태로 걸림된 상기 제2 치형과의 걸림을 해제하여 타방향으로 통과하는 위치로 상기 제2 작동몸체를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회전탄성체; 및
    상기 제2 작동몸체의 타방향인 제2 방향에서 중앙 방향으로 상기 회전지지부와 탄성 지지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일단이 상기 회전지지부의 힌지부분에 고정되고, 일단이 상기 제2 작동몸체의 제3 방향에 고정되어 상기 제2 작동체가 타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2 치형을 넘어가 통과하도록 탄성 지지하고, 상기 제2 작동체가 일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2 치형에 걸림 후 상기 제2 작동몸체에 삽입된 상기 회전지지부의 힌지 부분이 상기 제2 힌지공에서 상기 제2 연결공을 통해서 상기 제2 회전공으로 이동하면 인장되고, 상기 제2 작동체가 일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 타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 회전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제2 치형과의 걸림이 해제되어 일방향으로 통과된 후에 상기 제2 작동체의 회전반경이 증대되도록 상기 회전지지부의 힌지 부분이 상기 제2 힌지공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작동몸체를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이동탄성체;를 포함하는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건조부는,
    상기 관절부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관절부에 상하로 회전되는 한쪽 측면에 연결되어 복수의 단계로 상하로 각도가 조절되면서 걸림 회전되는 건조아암;
    상기 건조아암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면의 중심에서 상하로 회전되도록 지지하는 판 형태로 구비하되, 내부에는 중심과 떨어져 기설정된 회전 반경과 각도를 가지도록 제한하는 원형의 일부의 형상인 통공된 긴 구멍 태로 아암회전지지공이 형성된 아암회전지지체;
    상기 아암회전지지체의 일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아암회전지지체와 간격유지체로 기설정된 간격이 떨어진 상태로 바깥 둘레를 감싸도록 지지하면서 회전되되, 내부에는 상기 아암회전지지공의 회전범위 내에 회전되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체결되는 통공 형태의 회전체결공이 형성된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체의 회전되는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상기 아암회전지지공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회전체결공에 체결 고정되어 회전된 각도를 유지하도록 고정하고, 체결을 해제하면 상기 회전체를 상기 아암회전지지공의 회전 범위 내에서 회전시키도록 구비된 회전고정체;
    상기 회전체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체의 일측으로 함께 회전되도록 고정되고, 세탁물이 건조되도록 거치되는 일측에 프레임형태로 연장 구비하되, 상부로 하나씩 복수로 적층되어 상호 맞닿는 상부에 돌기 형태로 슬라이드레일이 구비되고, 하부에 상기 슬라이드레일이 삽입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어 일측으로 슬라이딩 이송되면서 펼쳐지고 접히는 건조프레임;
    상기 건조프레임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건조프레임의 펼쳐진 상태에서 상호 중첩된 상하 위치에 사용자에 의해 조작에 의해 고정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고정이 해제되면 상호 적층된 상기 건조프레임이 슬라이딩에 의해 접혀지도록 설치된 슬라이딩고정체; 및
    상기 건조프레임의 일측에 복수 수량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위치마다 상기 건조프레임에서 상기 기둥부 방향으로 연장된 바 형태로 세탁물이 건조를 위해서 거치되는 건조바;를 포함하는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
KR1020170039975A 2017-03-29 2017-03-29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 KR101792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975A KR101792462B1 (ko) 2017-03-29 2017-03-29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975A KR101792462B1 (ko) 2017-03-29 2017-03-29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2462B1 true KR101792462B1 (ko) 2017-11-20

Family

ID=60809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975A KR101792462B1 (ko) 2017-03-29 2017-03-29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24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1701A (zh) * 2021-10-18 2022-01-21 漳州优而美金属制造有限公司 一种全方位的智能内衣展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088B1 (ko) * 2010-05-24 2012-02-29 김병진 빨래 건조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088B1 (ko) * 2010-05-24 2012-02-29 김병진 빨래 건조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1701A (zh) * 2021-10-18 2022-01-21 漳州优而美金属制造有限公司 一种全方位的智能内衣展架
CN113951701B (zh) * 2021-10-18 2024-02-02 漳州优而美金属制造有限公司 一种全方位的智能内衣展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4176Y1 (ko) 접이식 빨래건조대
KR101792462B1 (ko) 절첩 회전 각도가 조절되는 행거식 빨래 건조대
CN206385361U (zh) 简易便捷式晾衣架
KR101372918B1 (ko) 다용도 회전식 행거
JP2014008220A (ja) 物干し装置
JP2020533078A (ja) クラッチ構造及び衣類処理装置
RU2011152944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локировки вторых полотен в закрытой конфигурации
CN107338616B (zh) 衣物处理装置
KR101276852B1 (ko) 2축힌지
KR101194492B1 (ko) 각도 조절 및 힌지 고정수단에 의한 절첩식 빨래 건조대
KR101440265B1 (ko)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빨래건조대
CN105942813A (zh) 多功能衣架
KR200473791Y1 (ko)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101423181B1 (ko) 세탁물 건조 장치
KR101440267B1 (ko) 빨래건조대
KR101359703B1 (ko)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101490850B1 (ko) 방사형 빨래건조대
KR101734432B1 (ko) 간편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101239285B1 (ko) 빨래건조대
KR200376202Y1 (ko) 빨래건조대용 건조장치
KR20150083579A (ko) 수직형 회전날개를 구비한 세탁물 건조장치
KR20100084756A (ko) 각도 조절 및 힌지 고정수단을 갖는 선반형 빨래 건조대
KR101252352B1 (ko) 회전식 건조대
KR101687148B1 (ko) 수평유지장치가 구비된 빨래 건조대
KR20120078942A (ko) 의류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