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060B1 - 인출형 차단기용 단자 접속구조 - Google Patents

인출형 차단기용 단자 접속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060B1
KR101792060B1 KR1020150142280A KR20150142280A KR101792060B1 KR 101792060 B1 KR101792060 B1 KR 101792060B1 KR 1020150142280 A KR1020150142280 A KR 1020150142280A KR 20150142280 A KR20150142280 A KR 20150142280A KR 101792060 B1 KR101792060 B1 KR 101792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hase
circuit breaker
enclosur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2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2995A (ko
Inventor
이창훈
Original Assignee
(주)서전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서전기전 filed Critical (주)서전기전
Priority to KR1020150142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060B1/ko
Publication of KR20170042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2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1/00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 H02B11/12Switchgear having carriage withdrawable for isolation with isolation by horizontal withdrawal
    • H02B11/127Withdrawal mechanis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2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between casing, cover, or protective shutter and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출형 차단기용 단자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배전반 외함; 상기 배전반 외함 내부에 설치되며 전류를 통전시키는 투입측 고정단자와 부하측 고정단자를 구비한 3상 외함 단자; 상기 3상 외함 단자에 대응하는 투입측 가동단자와 부하측 가동단자를 구비한 3상 차단기 단자와, 상기 3상 차단기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차단기 본체; 상기 차단기 본체를 고정지지하며 전류를 선택적으로 투입 또는 차단시키도록 상기 배전반 외함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 방향으로 구동하는 인출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3상 차단기 단자는 일면과 타면이 평활한 평판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3상 외함 단자는 상기 3상 차단기 단자의 두께면을 내측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전방 및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결합공간부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각 단자의 외관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공정이 간단하고 단자 간의 마찰 저항을 크게 줄일 수 있어 마모 및 접촉불량을 억제시킴은 물론 작동 신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인출형 차단기용 단자 접속구조{terminal contact structure for withdrawable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인출형 차단기용 단자 접속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류를 차단 및 투입작용하는 단자 간의 접속구조를 개선하여 그 크기를 컴팩트하게 줄임과 아울러 작동의 신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인출형 차단기용 단자 접속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나 변전소 또는 전기 시설이 설치된 건물 등에는 전류, 전압 또는 전력 등을 여러 곳으로 보내거나 여러 곳으로부터 받을 때, 발전기, 변압기 및 부하 등과 같은 전기부품들을 보호하기 위한 개폐장치가 설치된다. 그리고, 개폐장치에는 전로(電路)의 개폐를 위하여 차단기, 개폐기 또는 단로기(이하, '차단기'라 함)가 설치된다.
또한, 차단기는 고정형과 인출형이 있으며, 시험과 유지보수에 편리한 인출형 차단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인출형 차단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인출형 차단기는 외함(10)과, 상기 외함(10) 내에 설치되는 차단기 본체(20)와, 상기 차단기 본체(20)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차단기 본체(20)를 외함(10)으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단속하는 인출유닛(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함(10)에는 상기 차단기 본체(2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전류을 통전시키는 투입측 고정단자(11)와 부하측 고정단자(12)로 구성되는 외함 단자(13)가 설치된다.
상기 차단기 본체(20)에는 상기 외함 단자(13)에 대응하여 접촉하는 투입측 가동단자(21)와 부하측 가동단자(22)로 구성되는 차단기 단자(23)가 설치된다.
상기 외함 단자(13)와 차단기 단자(23)는 상호 상보적 끼움 결합구조를 가지는 원형의 형태로 제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인출유닛(30)은 상기 외함(10)에 설치되며, 상기 차단기 본체(20)를 안착시키는 상태에서 상기 외함(10)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대차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인출형 차단기는 상기 외함 단자(13)와 차단기 단자(23)가 원형의 결합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그 외관 형상에 따른 단자의 크기가 크고, 상호 상보적 결합을 위한 정밀 가공을 요구하므로 그에 따른 제작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상보적 끼움 결합에 의한 기계적인 마찰저항이 크게 발생되어 마모에 의한 변형 및 접촉불량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외함 단자(13)와 차단기 단자(23)를 평면에서 바라 볼 때, 일측 단부에 병렬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구조로서, 상기 인출장치(30)의 무게중심이 일측으로 편심된다. 따라서 편심되는 무게 중심을 맞추기 위해 상기 인출장치(30)의 중심부 또는 타측 단부를 향하도록 상기 차단기 단자(23)를 인위적으로 크게 형성하거나 별도의 중심부재를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하므로 그에 따른 구성부품의 실장 크기 또는 부품수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4-0106322호(2014.09.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발명의 목적은 전류를 차단 및 투입작용하는 단자 간의 접속구조를 개선하여 그 크기를 컴팩트하게 줄임과 아울러 작동의 신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인출형 차단기용 단자 접속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인출형 차단기용 단자 접속구조는, 배전반 외함; 상기 배전반 외함 내부에 설치되며 전류를 통전시키는 투입측 고정단자와 부하측 고정단자를 구비한 3상 외함 단자; 상기 3상 외함 단자에 대응하는 투입측 가동단자와 부하측 가동단자를 구비한 3상 차단기 단자와, 상기 3상 차단기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차단기 본체; 상기 차단기 본체를 고정지지하며 전류를 선택적으로 투입 또는 차단시키도록 상기 배전반 외함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 방향으로 구동하는 인출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3상 차단기 단자는 일면과 타면이 평활한 평판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3상 외함 단자는 상기 3상 차단기 단자의 두께면을 내측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전방 및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결합공간부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상 외함 단자는 상기 인출유닛이 이동하는 전후방향에 대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직렬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며, 상기 차단기 본체는 상기 3상 외함 단자의 각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인출유닛의 이동방향을 따라 직렬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상 외함 단자는 전류를 통전시키는 통전단자와, 상기 통전단자를 사이에 두고 단부 일측과 타측에 면접하는 상태로 접촉하는 제1 접촉단자 및 제2 접촉단자와, 상기 통전단자, 제1 접촉단자 및 제2 접촉단자를 탄력적으로 고정시키는 탄성고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고정수단은 상기 제1 접촉단자 및 제2 접촉단자를 관통하며 상기 통전단자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와 제1 접촉단자 및 제2 접촉단자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고정수단을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3상 차단기 단자가 착탈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접촉단자 및 제2 접촉단자는 상하방향으로 탄성 이동 및 탄성 복원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접촉단자 및 제2 접촉단자의 마주보는 일측에는 상기 3상 차단기 단자의 착탈결합을 용이하게 안내하는 제1 경사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하방향으로 탄성 이동 및 탄성 복원운동을 용이하게 하는 제2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직렬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3상 외함 단자는 상기 배전반 외함 내측으로부터 인출유닛의 출입구 쪽으로 갈수록 높은 위치에 차등 설치하여 상하방향에 대한 절연거리를 확보하며, 직렬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차단기 본체의 3상 차단기 단자는 상기 3상 외함 단자의 차등 높이에 대응하도록 배전반 외함 내측으로부터 인출유닛의 출입구 쪽으로 갈수록 단자의 길이가 길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상 외함 단자와 3상 차단기 단자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호 간의 측방향 절연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3상 차단기 단자는 일면과 타면이 평활한 평판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3상 외함 단자는 상기 3상 차단기 단자의 두께면을 내측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전방 및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결합공간부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각 단자의 외관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공정이 간단하고 단자 간의 마찰 저항을 크게 줄일 수 있어 마모 및 접촉불량을 억제시킴은 물론 작동 신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3상 외함 단자와 차단기 본체는 인출유닛이 이동하는 전후방향에 대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직렬방향으로 각각 배치됨으로써, 상기 3상 외함 단자와 3상 차단기 단자 간의 전류를 선택적으로 투입 또는 차단시키는 결합 또는 탈착을 위한 힘의 안배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인출유닛이 원활하게 구동할 수 있도록 무게 중심을 맞추기 위한 별도의 구성품 설치를 생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출형 차단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출형 차단기용 단자 접속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3상 외함 단자의 구성 및 작용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3상 외함 단자로부터 3상 차단기 단자가 이탈하는 과정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3상 차단기 단자가 배전반 외함 외측으로 완전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출형 차단기용 단자 접속구조는 배전반 외함(100)과, 상기 배전반 외함(100) 내부에 설치되며 전류를 통전시키는 투입측 고정단자(200a)와 부하측 고정단자(200b)를 구비한 3상 외함 단자(200)와, 상기 3상 외함 단자(200)에 대응하는 투입측 가동단자(310a)와 부하측 가동단자(310b)를 구비한 3상 차단기 단자(310)와 상기 3상 차단기 단자(3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차단기 본체(300)와, 상기 차단기 본체(300)를 고정지지하며 전류를 선택적으로 투입 또는 차단시키도록 상기 배전반 외함(100)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 방향으로 구동하는 인출유닛(40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배전반 외함(100)은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한 구조물로서, 상기 공간부 내에 설치되는 다양한 구성품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배전반 외함(100)은 다수의 플레이트를 서로 조합하여 육면체의 박스 구조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의 구조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3상 외함 단자(200)는 상기 배전반 외함(100)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3 개의 구성으로, 인입되는 전류를 통전시키는 투입측 고정단자(200a)와, 인입된 전류를 전달받아 인출하는 부하측 고정단자(200b)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3상 외함 단자(200)는 평면에서 바라볼 때, 후술할 3상 차단기 단자(310)의 두께면을 내측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전방 및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직선형 결합공간부(201)를 형성한 대략 'ㄷ' 구조로 이루어진다(도 4참조).
즉, 상기 3상 외함 단자(200)는 'ㄷ'자로 절곡되는 직선형 구조로 제작이 이루어짐에 따라 종래기술의 원형구조를 가지는 단자와 비교하였을 때 그 외관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공정이 간단하고 단자 간의 마찰저항을 크게 줄일 수 있어 그에 따른 마모 및 접촉불량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상 외함 단자(200)는 상부와 하부가 모두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방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3상 외함 단자(200)는 전류를 통전시키는 통전단자(210)와, 상기 통전단자(210)를 사이에 두고 단부 일측과 타측에 면접하는 상태로 접촉하는 제1 접촉단자(220) 및 제2 접촉단자(230)와, 상기 통전단자(210), 제1 접촉단자(220) 및 제2 접촉단자(230)를 탄력적으로 고정시키는 탄성고정수단(24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3상 외함 단자(200)는 상기 탄성고정수단(240)에 의해 상기 제1 접촉단자(220) 및 제2 접촉단자(230)가 상기 3상 차단기 단자(310)의 양측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3상 차단기 단자(310)의 두께가 설계 공차 수치보다 두껍게 제작되거나 얇게 제작되더라도 안정적이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탄성고정수단(240)은 상기 제1 접촉단자(220) 및 제2 접촉단자(230)를 관통하며 상기 통전단자(210)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241)와, 상기 체결볼트(241)와 제1 접촉단자(220) 및 제2 접촉단자(230)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탄성스프링(242)으로 구성된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고정수단(240)을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3상 차단기 단자(310)가 착탈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접촉단자(220) 및 제2 접촉단자(230)는 상하방향으로 탄성 이동 및 탄성 복원운동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접촉단자(220) 및 제2 접촉단자(230)의 마주보는 일측에는 상기 3상 차단기 단자(310)의 착탈결합을 용이하게 안내하는 제1 경사부(221,231)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하방향으로 탄성 이동 및 탄성 복원운동을 용이하게 하는 제2 경사부(222,232)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 접촉단자(220) 및 제2 접촉단자(230)에는 상기 탄성스프링(24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수용홈(220a,230a)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차단기 본체(300)는 상기 3상 외함 단자(200)에 대응하는 투입측 가동단자(310a)와 부하측 가동단자(310b)를 구비한 3상 차단기 단자(3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3상 차단기 단자(310)는 일면과 타면이 평활한 평판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단기 본체(300)는 상기 3상 외함 단자(200)로부터 인입되는 전류를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통전이 가능하도록 착탈결합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3상 외함 단자(200)는 상기 인출유닛(400)이 이동하는 전후방향에 대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직렬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며, 상기 차단기 본체(300)는 상기 3상 외함 단자(200)의 각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인출유닛(400)의 이동방향을 따라 직렬방향으로 각각 배치된다.
이는 상기 인출유닛(400)으로부터 상기 3상 외함 단자(200)와 3상 차단기 단자(310) 간의 전류를 선택적으로 투입 또는 차단시키는 과정에서 상호 간의 결합 또는 탈착이 이루어지는 힘의 안배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인출유닛(400)의 구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무게 중심을 맞추기 위한 별도의 구성품을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종래에는 상기 3상 외함 단자(200)에 대응하여 결합이 이루어지는 상기 차단기 본체(300)가 상기 인출유닛(400)의 선단부에 병렬방향(도 1참조)으로 나란하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3상 외함 단자(200)에 대하여 상기 3상 차단기 단자(310)를 결합 또는 탈착시 순간적으로 힘껏 밀어 넣거나 빼내야하는 힘을 발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이때 순간적인 힘의 압력에 의해 3상 외함 단자(200)와 3상 차단기 단자(310)의 결합부위가 변형되어 접촉불량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3상 외함 단자(200)와 3상 차단기 단자(310)는 직렬방향 즉, 상기 인출유닛(400)의 이동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됨으로써, 3개의 단자를 한꺼번에 결합시키기 위한 힘의 압력을 요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인출유닛(400)의 무게 중심을 맞추기 위한 별도의 구성품을 설치를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직렬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3상 외함 단자(200)는 상기 배전반 외함 내측으로부터 인출유닛(400)의 출입구 쪽으로 갈수록 높은 위치에 차등 설치하여 상하방향에 대한 절연거리(L1)를 확보하며, 직렬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차단기 본체(300)의 3상 차단기 단자(310)는 상기 3상 외함 단자(200)의 차등 높이에 대응하도록 배전반 외함(100) 내측으로부터 인출유닛(400)의 출입구 쪽으로 갈수록 단자의 길이가 길게 연장된다.
또한, 직렬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3상 외함 단자(200)와 3상 차단기 단자(310)는 높낮이 차이를 이용하여 다른 단자와 접촉되는 간섭을 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자 간의 절연거리(L2)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3상 외함 단자(200)와 3상 차단기 단자(310)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호 간의 측방향 절연거리(L3)를 확보함과 아울러 해당 접촉 단자 외에 다른 단자가 접촉하는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이격 설치가 이루어진다(도 3 참조).
한편, 상기 인출유닛(400)은 상기 차단기 본체(300)를 고정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3상 외함 단자(200)로부터 상기 3상 차단기 단자(310)로 통전되는 전류를 선택적으로 투입 또는 차단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전반 외함(100)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 방향으로 구동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인출유닛(400)은 절연소재로 외관을 형성하며 바닥면에는 구름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바퀴(410)가 설치된다.
이러한 인출유닛(400)은 공지된 구성요소로서 그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3상 차단기 단자(310)는 일면과 타면이 평활한 평판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3상 외함 단자(200)는 상기 3상 차단기 단자(310)의 두께면을 내측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전방 및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결합공간부(201)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각 단자의 외관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공정이 간단하고 단자 간의 마찰 저항을 크게 줄일 수 있어 마모 및 접촉불량을 억제시킴은 물론 작동 신뢰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3상 외함 단자(200)와 차단기 본체(300)는 인출유닛(400)이 이동하는 전후방향에 대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직렬방향으로 각각 배치됨으로써, 상기 3상 외함 단자(200)와 3상 차단기 단자(310) 간의 전류를 선택적으로 투입 또는 차단시키는 결합 또는 탈착을 위한 힘의 안배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인출유닛(400)이 원활하게 구동할 수 있도록 무게 중심을 맞추기 위한 별도의 구성품 설치를 생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배전반 외함
200 : 3상 외함 단자
200a : 투입측 고정단자
200b : 부하측 고정단자
210 : 통전단자
220 : 제1 접촉단자
230 : 제2 접촉단자
240 : 탄성고정수단
300 : 차단기 본체
310 : 3상 차단기 단자
310a : 투입측 가동단자
310b : 부하측 가동단자
400 : 인출유닛

Claims (8)

  1. 배전반 외함;
    상기 배전반 외함 내부에 설치되며 전류를 통전시키는 투입측 고정단자와 부하측 고정단자를 구비한 3상 외함 단자;
    상기 3상 외함 단자에 대응하는 투입측 가동단자와 부하측 가동단자를 구비한 3상 차단기 단자와, 상기 3상 차단기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차단기 본체;
    상기 차단기 본체를 고정지지하며 전류를 선택적으로 투입 또는 차단시키도록 상기 배전반 외함에 대하여 인입 또는 인출 방향으로 구동하는 인출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3상 차단기 단자는 일면과 타면이 평활한 평판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3상 외함 단자는 상기 3상 차단기 단자의 두께면을 내측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전방 및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결합공간부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3상 외함 단자는 상기 인출유닛이 이동하는 전후방향에 대하여 일정 간격을 두고 직렬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며, 상기 차단기 본체의 3상 차단기 단자는 상기 3상 외함 단자의 각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인출유닛의 이동방향을 따라 직렬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되,
    직렬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3상 외함 단자는 상기 배전반 외함 내측으로부터 인출유닛의 출입구 쪽으로 갈수록 높은 위치에 차등 설치하여 상하방향에 대한 절연거리를 확보하며,
    직렬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차단기 본체의 3상 차단기 단자는 상기 3상 외함 단자의 차등 높이에 대응하도록 배전반 외함 내측으로부터 인출유닛의 출입구 쪽으로 갈수록 단자의 길이가 길게 연장되고,
    상기 3상 외함 단자와 3상 차단기 단자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호 간의 측방향 절연거리를 확보함과 아울러 해당 접촉 단자 외에 다른 단자가 접촉하는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폭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용 단자 접속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상 외함 단자는,
    전류를 통전시키는 통전단자와,
    상기 통전단자를 사이에 두고 단부 일측과 타측에 면접하는 상태로 접촉하는 제1 접촉단자 및 제2 접촉단자와,
    상기 통전단자, 제1 접촉단자 및 제2 접촉단자를 탄력적으로 고정시키는 탄성고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용 단자 접속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정수단은,
    상기 제1 접촉단자 및 제2 접촉단자를 관통하며 상기 통전단자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와 제1 접촉단자 및 제2 접촉단자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용 단자 접속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고정수단을 평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3상 차단기 단자가 착탈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접촉단자 및 제2 접촉단자는 상하방향으로 탄성 이동 및 탄성 복원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용 단자 접속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단자 및 제2 접촉단자의 마주보는 일측에는 상기 3상 차단기 단자의 착탈결합을 용이하게 안내하는 제1 경사부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하방향으로 탄성 이동 및 탄성 복원운동을 용이하게 하는 제2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형 차단기용 단자 접속구조.
  7. 삭제
  8. 삭제
KR1020150142280A 2015-10-12 2015-10-12 인출형 차단기용 단자 접속구조 KR101792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280A KR101792060B1 (ko) 2015-10-12 2015-10-12 인출형 차단기용 단자 접속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280A KR101792060B1 (ko) 2015-10-12 2015-10-12 인출형 차단기용 단자 접속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995A KR20170042995A (ko) 2017-04-20
KR101792060B1 true KR101792060B1 (ko) 2017-11-02

Family

ID=58705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2280A KR101792060B1 (ko) 2015-10-12 2015-10-12 인출형 차단기용 단자 접속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20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7744B (zh) * 2019-06-21 2021-02-05 许继电气股份有限公司 手车断路器的触头装置及手车断路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288B1 (ko) * 2010-12-03 2011-06-28 (주)서전기전 부스바용 커넥터를 활용한 수배전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288B1 (ko) * 2010-12-03 2011-06-28 (주)서전기전 부스바용 커넥터를 활용한 수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2995A (ko) 2017-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5884B (zh) 開關設備的接地裝置
JP5237343B2 (ja) 回路遮断器
CN104160608A (zh) 车辆用驱动控制装置
US8465305B2 (en) Electrical system having withdrawable electrical apparatus and shutter assembly with ramped engagement surfaces
KR200462421Y1 (ko) 진공 차단기의 거더와 트럭 어셈블리
KR101357285B1 (ko) 수배전반에 다적재가 가능한 분기 차단기용 서랍 유니트
KR101468144B1 (ko) 인버터 모듈
US8921701B2 (en) Modular insulator for busbar support and method of assembling
KR101792060B1 (ko) 인출형 차단기용 단자 접속구조
KR100961776B1 (ko) 모터 컨트롤 센터
US8982538B2 (en) Pole unit guide
US20180241183A1 (en) A switching device of the withdrawable type
KR20150059674A (ko) 전동기 제어반
US9954345B2 (en) Panelboard, and switchgear assembly and stab assembly therefor
JP6356863B1 (ja) 電力用盤
CN107533930A (zh) 具有灭弧装置的开关设备
KR101082328B1 (ko) 스탭 커넥터 일체형 차단기를 이용한 축소형 고강도 mcc
KR101044288B1 (ko) 부스바용 커넥터를 활용한 수배전반
US8907237B2 (en) Floating contact assembly for switchgear
KR101048992B1 (ko) 회로 차단기의 접촉 장치
JP2016123178A (ja) ケーブル接続装置
KR101324731B1 (ko) 인출형 부하개폐기 및 이를 포함하는 패키지 패널 배전반
US9263860B2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and switchgear assembly, and mounting member therefor
KR101700576B1 (ko) 회로차단기
KR101039309B1 (ko) 공간절약 및 작업자 안전을 위한 도어 개량형 수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