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2043B1 -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2043B1
KR101792043B1 KR1020160026083A KR20160026083A KR101792043B1 KR 101792043 B1 KR101792043 B1 KR 101792043B1 KR 1020160026083 A KR1020160026083 A KR 1020160026083A KR 20160026083 A KR20160026083 A KR 20160026083A KR 101792043 B1 KR101792043 B1 KR 101792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mer
polymer composite
microporous
polymer
microporous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3352A (ko
Inventor
장지영
최태진
임윤빈
차민철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26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2043B1/ko
Publication of KR20170103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2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2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0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0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 C08G61/10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only aromatic carbon atoms, e.g. polyphen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85/00General processes for preparing compound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C08G85/002Post-polymerisation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24Surfac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40Polymerisation processes
    • C08G2261/41Organometallic coupling reactions
    • C08G2261/415Sonogashira / Hagihara rea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고분자와 미세기공을 포함하고, 단일체로 형성된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는, 고분자와 미세기공을 포함하는 고분자 구조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분자 구조체는, 제1 단량체 및 제2 단량체가 서로 커플링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단량체 및 제2 단량체 각각은 하기의 화힉식 1 내지 3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화학식 1]
X-R-X
여기서, R은 하기 나열된 물질중 어느 하나이고, X는 에티닐기, Br 및 I중 어느 하나이다.
Figure 112016021003805-pat00036

[화학식 2]
Figure 112016021003805-pat00037

여기서, R은 하기 나열된 물질중 어느 하나이고, X는 에티닐기, Br 및 I중 어느 하나이다.
Figure 112016021003805-pat00038

[화학식 3]
Figure 112016021003805-pat00039

여기서, R은 하기 나열된 물질중 어느 하나이고, X는 에티닐기, Br 및 I중 어느 하나이다.
Figure 112016021003805-pat00040

Description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Micro porous polymer material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분말형태가 아닌 단일체 형태로 기계적 휨성을 갖는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미세물질을 선택적으로 여과하는 기술은 산업적으로 높은 중요도를 가지며 이를 위한 기술개발이 꾸준히 진행되어왔다. 미세기공성 재료는 높은 비표면적과 2 nm 이하의 기공크기를 가져 미세분자들을 효율적으로 여과하는 능력이 있으며, 특히 유기고분자로 이루어진 미세기공성 고분자는 물리화학적 안정성과, 단량체 선택에 의한 기공 크기 및 화학적 성질 제어의 용이함을 갖기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보고된 미세기공성 고분자는 중합과정에서 불용성 가루형태로 얻어지기에 가공성이 떨어지고 기계적 성질이 취약하여 실용화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분말상태가 아닌 하나의 단일체로 얻어지는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를 제조하여, 얇고 가벼우면서도 휨성을 갖고, 가공이 용이하여 여과지 형태로 제조할 수 있는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를 발명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분말형태가 아닌 단일체 형태로 기계적 휨성을 갖는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상기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상기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를 이용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려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결하려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는, 고분자와 미세기공을 포함하는 고분자 구조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분자 구조체는, 제1 단량체 및 제2 단량체가 서로 커플링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단량체 및 제2 단량체 각각은 하기의 화힉식 1 내지 3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화학식 1]
X-R-X
여기서, R은 하기 나열된 물질중 어느 하나이고, X는 에티닐기, Br 및 I중 어느 하나이다.
Figure 112016021003805-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6021003805-pat00002
여기서, R은 하기 나열된 물질중 어느 하나이고, X는 에티닐기, Br 및 I중 어느 하나이다.
Figure 112016021003805-pat00003
[화학식 3]
Figure 112016021003805-pat00004
여기서, R은 하기 나열된 물질중 어느 하나이고, X는 에티닐기, Br 및 I중 어느 하나이다.
Figure 112016021003805-pat00005
상기 제1 단량체 및 상기 제2 단량체는 소노가시라 반응(sonogashira reaction)에 의해 서로 커플링될 수 있다.
상기 미세기공은 2nm이하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해결하려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은, a) 제1 단량체를 용매에 용해시켜 제1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와, b) 상기 제1 용액에 제2 단량체를 첨가하여, 상기 제1 단량체와 상기 제2 단량체가 용해된 제2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와, c) 상기 제1 단량체와 상기 제2 단량체를 서로 커플링시켜, 고분자 및 미세기공을 포함하는 고분자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단량체 및 제2 단량체 각각은 하기의 화학식 1내지 3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
[화학식 1]
X-R-X
여기서, R은 하기 나열된 물질중 어느 하나이고, X는 에티닐기, Br 및 I중 어느 하나이다.
Figure 112016021003805-pat00006
[화학식 2]
Figure 112016021003805-pat00007
여기서, R은 하기 나열된 물질중 어느 하나이고, X는 에티닐기, Br 및 I중 어느 하나이다.
Figure 112016021003805-pat00008
[화학식 3]
Figure 112016021003805-pat00009
여기서, R은 하기 나열된 물질중 어느 하나이고, X는 에티닐기, Br 및 I중 어느 하나이다.
Figure 112016021003805-pat00010
상기 제1 단량체 및 상기 제2 단량체는 소노가시라 반응(sonogashira reaction)에 의해 서로 커플링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톨루엔, 트라이에틸아민(TEA)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상기 제2 용액 형성시 촉매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팔라듐, 구리, 또는 이들의 혼합이다.
상기 고분자 구조체를 형성한 후, 상기 고분자 구조체를 세정액으로 세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구조체를 세정한 후, 상기 미세기공내의 잔류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세정액은 메틸 알코올, 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아세톤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구조체를 세정한 후, 상기 고분자 구조체를 건조시켜 세정액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90℃ 내지 130℃의 온도 분위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분말형태가 아닌 단일체 형태로 기계적 휨성을 갖는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를 이루는 고분자 구조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의 질소 흡착(a)-탈착(b)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의 미세기공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의 두께를 측정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의 휨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10)는 고분자(110)와 미세기공(120)을 포함하는 고분자 구조체(1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10)는 예를들어, 시트(sheet)와 같은 얇은 판 형상이거나, 다각형 기둥의 블록(block)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10)는 사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계속해서,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10)의 본체를 이루는 고분자 구조체(100)를 설명한다.
고분자 구조체(100)는 고분자(110)와 미세기공(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분자 구조체(100) 제1 단량체 및 제2 단량체를 서로 커플링시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량체 및 제2 단량체 각각은 하기의 화학식 1 내지 3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화학식 1]
X-R-X
여기서, R은 하기 나열된 물질중 어느 하나이고, X는 에티닐기, Br 및 I중 어느 하나이다.
Figure 112016021003805-pat00011
[화학식 2]
Figure 112016021003805-pat00012
여기서, R은 하기 나열된 물질중 어느 하나이고, X는 에티닐기, Br 및 I중 어느 하나이다.
Figure 112016021003805-pat00013
[화학식 3]
Figure 112016021003805-pat00014
여기서, R은 하기 나열된 물질중 어느 하나이고, X는 에티닐기, Br 및 I중 어느 하나이다.
Figure 112016021003805-pat00015
제1 단량체와 제2 단량체는 소노가시라 반응(sonogashira reaction)에 의해 서로 커플링될 수 있다. 즉, 제1 단량체와 제2 단량체은 소노가시라 반응에 의해 서로 가교(cross link)되고, 이에 의해 고분자와 미세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분자 구조체(100)는 분말형태가 아닌 시트(sheet)와 같은 얇은 판 형상이거나, 다각형 기둥의 블록(block)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고분자 구조쳬(100)에 포함된 미세기공(120)의 직경은 바람직하게 2nm이하일 수 있다. 미세기공(120)의 직경이 2nm이하가 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고분자 구조체(100)는 비교적 큰 비표면적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은 a)제1 단량체를 용매에 용해시켜 제1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S10)와, b)상기 제1 용액에 제2 단량체를 첨가하여, 상기 제1 단량체와 상기 제2 단량체가 용해된 제2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S20)와, c)상기 제1 단량체와 상기 제2 단량체를 서로 커플링시켜 미세기공을 포함하는 고분자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S30)를 포함할 수 있다.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제1 단량체를 용매에 용해시켜 제1 용액을 형성한다(S10).
제1 단량체는 하기의 화학식 1 내지 3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화학식 1]
X-R-X
여기서, R은 하기 나열된 물질중 어느 하나이고, X는 에티닐기, Br 및 I중 어느 하나이다.
Figure 112016021003805-pat00016
[화학식 2]
Figure 112016021003805-pat00017
여기서, R은 하기 나열된 물질중 어느 하나이고, X는 에티닐기, Br 및 I중 어느 하나이다.
Figure 112016021003805-pat00018
[화학식 3]
Figure 112016021003805-pat00019
여기서, R은 하기 나열된 물질중 어느 하나이고, X는 에티닐기, Br 및 I중 어느 하나이다.
Figure 112016021003805-pat00020
상기 제1 단량체를 용매에 용해시킨다. 용매는 톨루엔, 트라이에틸아민(TEA)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계속해서, 제1 단량체가 용해된 제1 용액에 제2 단량체를 용해시켜 제2 용액을 형성한다(S20).
제2 단량체는 하기의 화학식 1 내지 3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다.
[화학식 1]
X-R-X
여기서, R은 하기 나열된 물질중 어느 하나이고, X는 에티닐기, Br 및 I중 어느 하나이다.
Figure 112016021003805-pat00021
[화학식 2]
Figure 112016021003805-pat00022
여기서, R은 하기 나열된 물질중 어느 하나이고, X는 에티닐기, Br 및 I중 어느 하나이다.
Figure 112016021003805-pat00023
[화학식 3]
Figure 112016021003805-pat00024
여기서, R은 하기 나열된 물질중 어느 하나이고, X는 에티닐기, Br 및 I중 어느 하나이다.
Figure 112016021003805-pat00025
한편, 제2 용액 형성시, 촉매가 추가로 첨가될 수 있다. 즉, 제2 단량체가 제1 용액에 첨가될 때, 이와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촉매가 첨가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용액은 제1 단량체, 제2 단량체 및 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촉매는 팔라듐(Pd), 구리(Cu) 또는 이들의 혼합일 수 있다.
계속해서, 제2 용액에 혼합된 제1 단량체와 제2 단량체는 서로 커플링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분자 및 미세기공을 포함하는 고분자 구조체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용액에 첨가된 촉매에 의해 커플링 반응이 보다 활발히 일어날 수 있다. 커플링 반응은 제1 단량체와 제2 단량체의 소노가시라 반응(sonogashira reaction)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고분자 구조체(도 1의 100)가 형성된 후, 고분자 구조체를 세정액으로 세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분자 구조체를 세정함으로써, 고분자 구조체에 잔류하는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세정액은 메틸 알코올, 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아세톤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고분자 구조체를 세정한 후, 고분자 구조체에 포함된 미세기공 내에 잔류하는 잔류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미세기공 내에 잔류하는 잔류물질은, 예를들어 메탄올을 이용한 속슬렛(soxhlet) 추출법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미세기공 내의 잔류물질을 제거함으로써, 고분자 구조체의 비표면적이 더 커질 수 있다.
한편, 고분자 구조체를 세정한 후, 고분자 구조체를 건조시켜, 고분자 구조체에 잔존하는 세정액을 제거할 수 있다. 고분자 구조체의 건조는 90℃ 내지 130℃의 온도 분위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고분자 구조체에 잔존하는 세정액을 제거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고분자 구조체로 이루어진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가 완성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단일체로 입체적 형상을 갖는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할 경우, 기존과 같이 분말형태가 아닌 입체형태, 예를들어 고분자 시트 같은 판형상의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는 기존의 고분자들이 갖지 못한 휨성을 가진 시트형태의 단일체일 수 있다.
이러한, 특징들에 의해, 본 발명의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는 미세기공을 통해 수소 저장매체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는 이산화탄소, 질소, 수소 또는 산소와 같은 기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로 사용될 수 있다. 수소 저장매체로 사용될 경우, 예를들어, 수소 자동차와 같은 친환경기술의 기본소재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미세기공에 의해 미세물질을 여과할 수 있으므로, 미세물질 여과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고, 우수한 기계적 물성도 가지므로,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의 실제 활용과 상업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
테트라플루오르다이아이오도벤젠을 탈기(degassing)된 톨루엔(toluene)/트라이에틸아민(TEA)이 2:1의 비율로 혼합된 용매에 용해시켰다. 계속해서, 1,3,5-트라이에티닐벤진(1,3,5-triethynylbenzene) 을 추가로 용매에 용해시킨 후, 촉매로 팔라듐(Pd(II))과 구리(Cu)를 첨가하였다. 계속해서, 12시간 동안 60℃의 분위기에서 소노가시라 반응(sonogashira reaction)에 의해, 단일체인 시트형상의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를 형성하였다. 형성된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를 메틸 알코올(methyl alcohol), 물,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아세톤(acetone)으로 세정한 후 메탄올로 속슬렛(Soxhlet) 추출하여 미세기공 내의 잔류 물질을 제거한 후, 진공상태의 120℃의 분위기에서 건조시켜, 미세기공 내의 용매를 제거하였다. 이렇게 형성된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분말형태가 아닌, 단일체인 시트형상의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가 제조될 수 있다.
실험예 1: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의 비표면적 측정
상기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의 비표면적을 측정하기 위하여 질소 흡탈착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의 비표면적은 750 m2/g을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는 초기 구간 (p/p0)에서, 급격한 질소의 흡착(a) 및 탈착(b)율을 가짐을 나타낸다. 이에 의해, 미세기공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도 4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는 주로 2nm이하의 직경을 갖는 미세기공을 포함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결과인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에 포함된 미세기공의 분포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의 두께 측정
상기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의 두께를 측정한 결과 88μm 의 두께를 보였으며,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의 형상 가공 시험을 위하여 가위를 이용하여 특정한 모양으로 자른 결과, 특정한 형상을 갖는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가 제조되었다.
실험예 3: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의 휨성질 측정
상기의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의 휨성질 시험을 위하여 응력을 가하자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가 휘었으며, 이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는 미세기공과 가공성 및 휨성을 갖는 단일체를 이루는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징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안정하며 원하는 형태를 갖는 커다란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를 제작 할 수 있다. 이러한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는 기체 및 미세물질의 여과에 사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분말형태가 아닌 시트(sheet)와 같은 얇은 판 형상, 다각형 기둥의 블록(block)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제1 단량체를 용매에 용해시켜 제1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용액에 제2 단량체를 첨가하여, 상기 제1 단량체와 상기 제2 단량체가 용해된 제2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제1 단량체와 상기 제2 단량체를 서로 커플링시켜, 고분자 및 미세기공을 포함하는 고분자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단량체 및 제2 단량체 각각은 하기의 화학식 1내지 3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상기 구조체는 시트(sheet)와 같은 얇은 판 형상, 다각형 기둥의 블록(block)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인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
    [화학식 1]
    X-R-X
    여기서, R은 하기 나열된 물질중 어느 하나이고, X는 에티닐기, Br 및 I중 어느 하나이다.
    Figure 112017051728375-pat00048

    [화학식 2]
    Figure 112017051728375-pat00032

    여기서, R은 하기 나열된 물질중 어느 하나이고, X는 에티닐기, Br 및 I중 어느 하나이다.
    Figure 112017051728375-pat00049

    [화학식 3]
    Figure 112017051728375-pat00034

    여기서, R은 하기 나열된 물질중 어느 하나이고, X는 에티닐기, Br 및 I중 어느 하나이다.
    Figure 112017051728375-pat00035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량체 및 상기 제2 단량체는 소노가시라 반응(sonogashira reaction)에 의해 서로 커플링 되는,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톨루엔, 트라이에틸아민(TEA) 또는 이들의 조합인,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용액 형성시 촉매가 첨가되는,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는 팔라듐, 구리, 또는 이들의 혼합인,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
  9.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구조체를 형성한 후,
    상기 고분자 구조체를 세정액으로 세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구조체를 세정한 후,
    상기 미세기공내의 잔류물질을 제거하는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은 메틸 알코올, 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아세톤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구조체를 세정한 후,
    상기 고분자 구조체를 건조시켜 세정액을 제거하는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90℃ 내지 130℃의 온도 분위기에서 수행되는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의 제조방법.
  14. 제4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
  15. 제4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를 포함하는 수소 저장매체.
  16. 제4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를 포함하는 기체 저장매체.
  17. 제4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를 포함하는 미세물질 여과장치.
KR1020160026083A 2016-03-04 2016-03-04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92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083A KR101792043B1 (ko) 2016-03-04 2016-03-04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083A KR101792043B1 (ko) 2016-03-04 2016-03-04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352A KR20170103352A (ko) 2017-09-13
KR101792043B1 true KR101792043B1 (ko) 2017-11-01

Family

ID=59967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083A KR101792043B1 (ko) 2016-03-04 2016-03-04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20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7439B1 (ko) * 2018-06-05 2020-06-26 울산과학기술원 공액 미소공성 고분자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43850B1 (ko) * 2021-01-22 2022-09-1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모노리스구조를 갖는 다공성고분자화합물, 그 제조방법 및 상기 고분자화합물의 용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49239A1 (en) * 2007-08-15 2014-09-04 The University Of Liverpool Microporous Polymers, Method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Uses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49239A1 (en) * 2007-08-15 2014-09-04 The University Of Liverpool Microporous Polymers, Method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Use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352A (ko) 2017-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 et al. Boosting pervaporation performance by promoting organic permeability and simultaneously inhibiting water transport via blending PDMS with COF-300
TW200804180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rous carbon mouldings
Zhang et al. Tailoring nanoporous-engineered sponge fiber molecular sieves with ternary-nested architecture for precise molecular separation
KR101815540B1 (ko) 미세기공 고분자 이온성 액체 분리막, 그의 제조방법 및 그의 용도
JP2010082619A (ja) 水分離のための複合膜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92043B1 (ko) 미세기공성 고분자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1236292A (ja) ポリフッ化ビニリデン多孔質体
JP5717107B2 (ja) ポリアクリロニトリル多孔質体
KR101968386B1 (ko) 가스 흡착제 및 그 제조 방법
CN111107924B (zh) 耐化学品的均孔交联嵌段共聚物结构
CN112957928B (zh) 一种微孔聚合物复合膜及其制备方法
KR102548515B1 (ko) 카르복실화된 내재적 마이크로 기공성 고분자 기반 기체분리막용 가교중합막 및 이의 제조방법
US9731249B2 (en) Polymeric molecular sieve membranes for gas separation
Wang et al. Unprecedented processable hypercrosslinked polymers with controlled knitting
EP3863754A1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cellulose based carbon molecular sieve membranes and membranes thereof
KR101789529B1 (ko) 내재적 기공성 고분자로 제조된 다공성 탄소 구조체를 포함하는 수처리용 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72967B1 (ko) 이산화탄소 흡착용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기반 탄소나노섬유 및 그 제조방법
JP2006328340A (ja) 多孔質ポリマーフィルムと多孔質炭素フィルム、それらの製造方法及びそれらフィルムを用いた加工成形物
CN112691553B (zh) 一种制备多巴胺交联MOFs分离膜的方法
Ran et al. Preparation and performance for CO2 adsorption of large‐scale microporous fiber membrane based on electrostatic spinning technology
KR20140045136A (ko) 금속이온 착화합물을 이용한 투과증발막 제조 방법
Li et al. A soft and recyclable carbon nanotube/carbon nanofiber hybrid membrane for oil/water separation
JP2009143786A (ja) 多孔質炭素材料の製造方法
KR102338183B1 (ko)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기반 활성탄을 포함하는 흡착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메탄 또는 이산화탄소의 흡착 방법
CN117181016B (zh) 多孔复合滤材的制备方法及其多孔复合滤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