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822B1 - 보호자 손목에 착용되는 유아용 쿠션 - Google Patents

보호자 손목에 착용되는 유아용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822B1
KR101791822B1 KR1020170094954A KR20170094954A KR101791822B1 KR 101791822 B1 KR101791822 B1 KR 101791822B1 KR 1020170094954 A KR1020170094954 A KR 1020170094954A KR 20170094954 A KR20170094954 A KR 20170094954A KR 101791822 B1 KR101791822 B1 KR 101791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protector
cover
space
wr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자
Original Assignee
김명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자 filed Critical 김명자
Priority to KR1020170094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8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8Devices for use in guiding or supporting children, e.g. safety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 G01N21/783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for analysing ga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자 손목에 착용되는 유아용 쿠션은, 커버 내부에 쿠션재가 내장된 쿠션; 띠 형태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쿠션에 결합되어 상기 보호자의 손목부위에 감겨지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호자 손목에 착용되는 유아용 쿠션{Wrist Cushion for Embracing Baby}
본 발명은 보호자 손목에 착용되는 유아용 쿠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쿠션재가 내장된 본체를 보호자의 손목에 착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유아를 안았을 때, 유아가 쿠션을 통해 쿠션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 보호자 손목에 착용되는 유아용 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쿠션은 충격을 완화하거나 압력을 분산시킬 수 있는 푹신푹신한 쿠션재와, 쿠션재를 감싸는 커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쿠션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직육면체나 원통형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유아를 팔에 거치한 상태로 안으려면, 유아의 목이나 뒤통수 등을 한쪽 팔이나 팔목에 지지한 상태에서 다른 쪽 팔로는 유아의 둔부와 다리를 받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유아의 목이나 뒤통수가 팔에 직접 닿게 된다면, 성인의 뼈로 인한 압력이 그대로 유아에게 전달되어 오랜 시간 유아를 안고 있게 되면 유아는 불편함을 점점 불편감을 느낄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304123호에 "보조베개가 결합된 수유용 쿠숀"이 개시되어 있다.
쿠숀본체(10)가 산모의 복부둘레에 밀착될 수 있도록 쿠션의 양단을 C자 형태가 되도록 구성하되, 배면에 슬라이드화스너(41)가 설치되고 내측에 쿠숀재(50)가 수용되는 내피(40)와 배면에 슬라이드화스너(31)가 설치되고 내피(40)의 외측에 상기 내피(40)를 감싸는 외피(30) 및 상기 외피(30) 양측에 양단이 결합된 고정밴드(60)로 이루어진 보조베개(20)가 쿠숀본체(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에 따라 산모나 유아 모두에게 극히 편안하고 안정된 자세에서 수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수유에 따르는 산모의 체력소모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아는 본 고안에 의해 가장 편안한 자세에서 모유나 우유의 섭취는 물론 수면이나 휴식 등을 취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다만, 이러한 수유용 쿠숀은 복부에 착용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경우에는 활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6-0150567호 “유아용 팔걸이식 캐리어 구조체”에 따르면, 팔꿈치로부터 직각으로 굽힌 상태에서 한쪽 팔로 유아를 안을 수 있도록 팔뚝에 착용되는 팔받침 몸체와, 상기 팔받침 몸체의 팔꿈치 부분에 일측단이 박음질에 의해 연결되어 길이조절되는 제1 연결벨트와, 상기 팔받침 몸체의 손목 부분과 벨크로에 의해 탈부착 가능케 연결되어 길이조절되는 제2 연결벨와, 상기 제1 연결벨트와 제2 연결벨트의 상단에 제1 및 제2 버클을 매개로 각각 탈부착 가능케 연결되어 팔받침 몸체에 가중되는 유아의 체중이 보호자의 어깨로 분산되도록 지지하는 어깨벨트와, 상기 팔받침 몸체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케 연결되어 유아가 착석시 엉덩이를 보호 및 쿠션감을 줌과 동시에 보호자의 팔을 보호하는 의자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유아를 한쪽 팔뚝에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앉히면서 부드럽게 안을 수 있는 팔걸이 구조체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팔걸이 구조체의 경우, 유아의 목 주변을 지지하는 것 보다는 유아의 둔부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한쪽 팔로 무게를 지탱하기 위한 무게분산용도의 선이 다수 포함되어있어, 유아의 목을 지지하는데 활용되기에는 다소 거추장스럽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보호자의 손목에 착용한 상태에서 유아의 두부 및 두부 중 어느 하나를 받칠 수 있는 쿠션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 쿠션재에 쿠션의 쿠션감을 높일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쿠션재에 습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청결을 유지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아가 쿠션을 올바르지 않은 방향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감지하여 이를 보호자에게 알려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추가로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자 손목에 착용되는 유아용 쿠션은, 커버 내부에 쿠션재가 내장된 쿠션; 띠 형태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쿠션에 결합되어 상기 보호자의 손목부위에 감겨지는 스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쿠션재는, 상기 쿠션재의 중앙부위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관통홈의 입구와 마주보는 상기 커버의 상면과 하면의 중앙부위를 상기 관통홈을 따라 함입시킨 상태에서 상호 밀착되도록 고정시킨 함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스트랩은,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되, 벨크로를 매개로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덧붙여, 상기 쿠션재의 표면에는, 활성탄, 카본, 실리카, 테르펜(Terpene), 나린진(Naringin), 리모넨(limonene), 리모노이드(limonoid), 고령토, 황토, 편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연탈취물질이 포함된 코팅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자 손목에 착용되는 유아용 쿠션에 의하면,
1) 쿠션 일 측에 손목에 장착할 수 있는 스트랩을 장착한 손목 장착구성을 제공하고,
2) 쿠션재의 형태를 특정할 수 있는 내부 보조장치를 제공하며,
3) 내부에 흡습구조를 적용한 쿠션재를 제공하고,
4) 나아가, 유아가 쿠션을 올바르지 않은 방향으로 사용하는 상태를 감지하여 이를 보호자에게 알려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알림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아용 쿠션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유아용 쿠션에서 쿠션재를 꺼낸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쿠션재에 흡기바를 장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흡기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쿠션재 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유아용 쿠션에 포켓을 장착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유아용 쿠션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유아용 쿠션에서 쿠션재를 꺼낸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유아용 쿠션(100)은, 커버(110) 내부에 쿠션재(120)가 내장된 쿠션(100)와, 띠 모양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쿠션(100)에 결합되어 보호자의 손목부위에 감겨지는 스트랩(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쿠션(100)은 유아의 머리나 목, 둔부, 등판 등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형태는 특정되지 않으나, 종단면이 도면에서 나타나는 형태인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이 손목에 장착된 상태에서 유아를 지지하기에 가장 적합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그 폭은 성인의 손목부터 팔꿈치정도의 길이로 연장된다면, 손목에 장착하였을 때, 적절한 폭을 가진 상태에서 충분히 유아의 해당 부위를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길이는 성인의 손바닥을 펼쳤을 때의 길이 정도로 형성하게 된다면 유아의 머리, 목, 둔부, 등판 등을 지지하기에도 적절한 면적을 가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쿠션(100)은 커버(110)와 커버(110)에 내장된 쿠션재(120)로 구성되는데, 여기서 커버(110)는 유아의 몸에 직접 닿는 부분이기 때문에 면이나 실크, 면 혼용물 등의 저 자극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쿠션재(120)는 목화솜이나 라텍스와 같이 쿠션감이 있으면서도 안전성이 보장된 재질을 선택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다음으로 스트랩(200)은 쿠션(100)을 보호자의 손목에 장착하기 위한 매개체이며, 손목을 둘러 장착한 상태에서 쿠션(100)이 손목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트랩(200)은 커버(110)에 사용된 소재와 동일한 소재를 사용하거나 혹은 용도에 따라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스트랩(200)의 폭은 상기한 사항들을 버틸 수 있을 정도로 형성하게 된다면, 용이하게 손목에 장착된 상태에서 유아를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스트랩(200)은 바람직하게는 커버(110)의 측면 일 측에 일 단이, 반대 측면의 일 측에 타 단이 장착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라 하겠다.
덧붙여, 쿠션재(120)의 중앙부위는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홈(131)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관통홈(131)의 형성에 따라 커버(110) 또한 관통홈(131)의 양 입구와 마주보는 상면과 하면의 중앙부위를 함입시켜 상호 밀착되도록 접착제나 박음질 등의 방법으로 고정함으로써 함입부(130)를 형성할 수 있다. 이 함입부(130)에 유아의 머리나 둔부 등이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단순히 평면으로 쿠션(100)을 형성하는 경우보다 쿠션(100)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이 함입부(130)의 너비는 되도록 유아의 머리 크기를 고려한 폭으로 적합한 골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겠다.
나아가, 스트랩(200)도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동시에 벨크로(201)를 통해 스트랩(200)을 커버(110)에 탈착시키거나 혹은 스트랩(200)을 두 개 이상으로 분리하여 각각의 스트랩(200)이 벨크로(201)를 통해 결착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보호자의 손목 굵기와 상관없이 착용이 쉬워진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외부구성 이외에도 커버(110)의 내부에 장착된 쿠션재(120)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다. 쿠션(100)이나 베개를 사용하다보면, 오염은 커버(110)와 쿠션재(120)에서 동시에 발생한다. 커버(110)의 경우 외관이 직관적으로 노출되어있기 때문에 오염정도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오염이 발견되면 즉시 닦아내거나 세탁시키는 등의 조치가 용이하다. 그러나 커버(110)에 내장된 쿠션재(120)는 일단 커버(110)에 의해 가려져있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본원의 유아용 쿠션(100)이라는 특성 상 보호자는 손목에 착용하기만 하고 실질적으로 이 쿠션(100)에 머리를 가져다 대는 것은 말을 하지 못하는 어린 유아에 한정된다. 유아는 감각이 제대로 발달되지 않아 쿠션재(120)가 오염되었더라도 이를 인지하지 못할 수 있으며, 인지하더라도 오염여부를 보호자에게 알려 처리토록 하는 것도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쿠션재(120)가 최대한 오염되지 않도록 하면서, 오염된 경우에는 오염여부를 보호자에게 안내하고 빠르게 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필수적이라 하겠다.
따라서, 이러한 청결활용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로서, 다음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쿠션재(120)의 표면에는 활성탄, 카본, 실리카, 테르펜(Terpene), 나린진(Naringin), 리모넨(limonene), 리모노이드(limonoid), 고령토, 황토, 편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연탈취물질이 포함된 코팅층(12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들은 천연에서 유래된 물질로서, 유아의 피부와 닿더라도 부작용이 없는 물질이다. 활성탄이나 카본 실리카, 고령토, 황토는 대표적인 천연 탈취물질으로서, 탈취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우수한 탈취 지속력을 가지고 있다. 나아가 테르펜이나 나린진, 리모넨, 리모노이드, 편백은 탈취기능 뿐만 아니라 독특한 천연향도 지니고 있는데, 이 향이 역한냄새가 아닌 향긋한 냄새나 시원한 냄새가 나기 때문에 탈취 후에 이러한 천연 향을 통해 쿠션(100)을 산뜻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이러한 향은 아로마 치유효과도 가지고 있어 쿠션(100)을 사용하는 유아 및 보호자의 정신적인 케어(안정감 등)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렇게 쿠션재(120)에 탈취 물질이 포함된다고 하더라도, 냄새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없애기 위한 구성이 더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보통 냄새가 난다는 것은 습기가 차 습기에 의한 부식이나 미생물 발생 등에 의한 오염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따라서,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다음의 구성이 더 고려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쿠션재에 흡기바를 장착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흡기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즉, 쿠션재(120)에 일 측으로부터 타 측을 향해 관통 연장된 쿠션홈(320)을 더 구비하되, 이 쿠션홈(320)에 휨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되 내부에 흡습제(333)가 내장되는 흡기공간(331)을 구비한 상태에서 흡기공간(331)으로부터 표면에 이르기 까지 관통된 복수개의 가스유통공(332)이 형성된 흡기바(330)를 삽입시키는 구성을 더 고려할 수 있다.
흡기바(330)는 일종의 관과 같은 형태를 갖는 것이되, 도 3(b)에 나타난 단면도에 나타나듯이 표면에 복수개의 가스유통공(332)을 형성한 상태에서 내부에 흡습제(333)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흡습제(333)는 가루나 입자, 덩어리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가스유통공(332)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을 정도의 크기를 갖추어야 한다. 이렇게 흡기바(330)가 쿠션재(12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 보다 효율적으로 쿠션재(120)의 내부로부터 습기를 흡수할 수 있게 되므로 기존의 구성보다 흡습능력을 상승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도 3(a)에 나타난 것처럼, 쿠션홈(320)의 좌우 측면으로부터 쿠션재(120)의 좌우방향을 향해 일정 간격마다 분기되어 관통 연장되는 복수개의 연장 유통홈(321)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연장 유통홈(321)은 쿠션홈(320)과 마찬가지로 습기가 이동되는 통로가 될 수 있으며, 쿠션홈(320) 단일의 구성보다는 다양한 위치를 어우를 수 있는 연장 유통홈(321)이 더 포함된 구성이 습기작용이 더 용이함은 물론이다.
나아가, 도 4(a)를 참조하여, 커버(110)에는 쿠션홈(320)의 입구와 마주보는 영역을 관통하는 커버 관통부(113)가 더 형성되는데, 이 커버 관통부(113)에는 고정패킹(340)이 더 부착될 수 있다. 이 고정패킹(340)은 다시, 커버 관통부(113)의 면적과 대응되는 형태 및 크기로 형성되어 커버 관통부(113)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부(341)와, 이 고정부(341)의 둘레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장착부(342)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흡기바(330)의 단부 주변 영역의 둘레 일 측을 감싸는 장착부(342)가 포함되는 것이다. 즉, 도장의 뚜껑과 같이 이 고정패킹(340)을 통해 흡기바(330)의 단부측 영역을 감싸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다만, 이 쿠션홈(320)과 연장 유통홈(321)은 습기를 포함한 공기가 이동되는 통로로서 형성된 것이지만 그 외에도 추가적인 기능을 더 부가할 수 있다. 특히 본원의 유아용 쿠션(100)은 유아의 머리를 받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는데, 유아의 뒤통수가 받쳐지는 형태라면 정상적인 용도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나, 유아가 얼굴 쪽을 쿠션(100)에 대고 있는 경우라면 정상적이지 못한 용도이며, 이러한 경우 보호자가 제대로 신경쓰지 못한다면 유아가 질식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에 유아가 쿠션(100)에 얼굴을 묻고 있다는 것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는 것으로서, 유아의 호흡으로 인해 이산화탄소가 쿠션(100)에 배출됨으로써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급격하게 증가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될 수 있다. 이산화탄소도 기체이기 때문에 앞선 쿠션홈(320)과 연장 유통홈(321)을 통해 이동될 수 있으며, 동시에 흡기바(330)에 형성된 가스유통공(332)을 통해 흡기공간(331)으로 유입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고정패킹(340)은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투명한 재질의 특성을 살려, 흡기바(330)에 유입된 이산화탄소가 급증하는 것을 표시할 수 있도록 인디케이터(350)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흡기바(330)에도 일 단면의 중앙부위로부터 흡기바(330)의 내부에 형성된 흡기공간(331)까지 관통 연장된 보조 관통홈(334)이 더 형성될 수 있되, 이 보조 관통홈(334)을 통해 흡기공간(331) 내부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반응봉(351)이 삽입된다. 이 반응봉(351)은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화합물 등의 재질로 형성된 것으로서, 흡기공간(331)으로 유입된 이산화탄소와 표면이 반응하게 되는데, 이 때 반응봉(351)의 표면에 전기를 흘리게 되면, 전기저항도가 변화되는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흡기공간(331)에 위치하는 이산화탄소가 보통의 공기수준일 때와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급격하게 증가되어 보통의 공기수준을 넘어서는 경우 반응봉(351)에 전기를 흘려주게 되면, 전기 저항값이 변화하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저항값의 변화는 이산화탄소와 반응봉(351)이 반응하면서 발생되는 산화과정과 연관이 있으며, 따라서 BTB용액과 같은 물질이 이 산화된 반응봉(351)과 맞닿은 상태에서 반응하게 되면 원래의 푸른색으로부터 황색으로 점차 변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반응봉(351)의 단부와 접촉된 상태로 흡기바(330)의 단면을 가릴 수 있는 면적을 갖는 것으로서, 앞선 BTB용액과 같은 물질을 종이나 천 등에 흡수시킨 변색부(352) 구성을 포함시킴으로써(이 변색부(352)를 고정부(341)와 흡기바(330) 사이에 위치시킴으로써) 보호자가 이 색상변화를 통해 유아가 고개를 잘못된 방향으로 숙이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흡기바(330)와 변색부(352)로 구성되는 인디케이터(350) 구성은 보호자의 손목에 쿠션(100)을 착용한 상태에서 유아를 직접 확인하기 어려운 경우(예를 들면 유아를 안은 상태가 아닌 유아가 다른 곳에 누워있는 상태에서 머리만 쿠션(100)으로 받치는 경우 등)에 이 인디케이터(350)를 통해 용이하게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물론, 시각적인 안내는 여전히 보호자가 이 인디케이터(350)가 위치하는 영역이라도 꾸준하게 확인을 하고 있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더욱 확실한 안내방법으로서 인디케이터(350)에는 다음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4(c)에 나타난 것과 같이, 인디케이터(350)는 반응봉(351)의 표면 일 측에 접촉된 상태로 장착되는 것으로서, 반응봉(351)에 흡수된 이산화탄소의 양을 측정하는 가스센서(361)와, 가스센서(361) 주변에 장착되는 스피커(362)와, 가스센서(361)를 통해 측정된 이산화탄소의 양이 기 지정된 비교수치를 초과하면 스피커(362)에서 경고 사운드가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센서 구동부(363)를 더 포함시키는 것이다. 즉, 가스센서(36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응봉(351)의 표면 전기저항의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위험영역으로 간주될 수 있는 이산화탄소의 한계범위인 비교수치를 센서 구동부(363)에 저장시켜두었다가 이 비교수치를 넘어서는 전기저항값이 나타나게 되면 스피커(362)를 통해 경고 사운드가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보호자가 쿠션(100)에 집중하지 않더라도 유아가 얼굴을 쿠션(100)을 향해 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알려 보호자가 유아의 머리를 돌릴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안전구성을 갖추게 된다면, 쿠션(100)에는 쿠션감을 더 높이기 위한 구성으로서, 유아의 머리가 중심에 위치하고 있을 때, 그 주변 영역(좌우)이 머리의 형태에 따라 추가로 받쳐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쿠션재 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a)에 나타난 것과 같이, 쿠션재(120)를 제 1 쿠션(122)과, 제 1 쿠션(122)보다 낮은 탄성도의 제 2 쿠션(124)의 2개의 층으로 구성하되, 각각의 쿠션(100)이 순차적으로 상 하로 적층되도록 한다. 즉, 제 2 쿠션(124)은 낮은 탄성을 가져 상대적으로 단단하므로, 이를 하부에 배치하여 제 1 쿠션(122)을 지지할 수 있도록하고, 상대적으로 유연한 제 1 쿠션(122)은 유아의 머리에 직접 닿는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보다 나은 쿠션감을 가지면서도 형태의 유지 등 기존의 특징은 무도 유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이 때, 커버(110)에는 제 1 쿠션(122)과 제 2 쿠션(124)이 내장된 공간을 분리하면서, 제 1 쿠션(122)이 그 물질적 특성에 의해 유아의 머리가 누르는 압력을 통해 형태가 변하더라도 제 2 쿠션(124)에는 크게 영향을 주지 않아 쿠션(100) 전체의 형태가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 1 쿠션(122)과 제 2 쿠션(124)을 가로지르는 분리막(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이 분리막(123)을 통해 제 1 쿠션(122)과 제 2 쿠션(124)이 서로 지지하되, 형태가 일그러지는 등의 약한 압력은 분리막(123)을 통해 제 2 쿠션(124)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제 1 쿠션(122)이 형태변화에 대응되어 쿠션(100)감을 제공하면서도 제 2 쿠션(124)은 원래의 형태를 최대한 유지토록 함으로써 과도한 압력이나 움직임이 발생하더라도 사용 후에 쉽게 쿠션(100)의 형태를 다시 되찾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제공되는 것이다.
이 때, 쿠션(100)은 탄성재질로 형성되어 제 2 쿠션(124)과 상기 분리막(123) 사이에 삽입 장착되는 것으로서, 평탄면(141)과, 평탄면(141)보다 작은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평탄면(141)으로부터 상하로 눌려 회동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평탄면(141)의 좌우 측 둘레로부터 분리막(123)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측부 경사면(142)을 포함하는 받침판(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5(b)를 보면 확인할 수 있듯이, 제 2 쿠션(124)은 그 형태가 제 1 쿠션(122)보다 쉽게 변화되지 않으므로, 받침판(140)을 제 2 쿠션(124)이 위치한 영역으로 위치시켜 제 2 쿠션(124)을 통해 받쳐지도록 구성하되, 받침판(140)은 평탄면(141)을 기준으로 좌우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된 측부 경사면(142)을 가지므로, 제 1 쿠션(122)이 받침판(140)의 형태에 대응되어 변형됨으로써 중앙에 위치한 평탄면(141)에 유아의 두부 중앙부위가 위치하게 되어 그 주변을 지지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어 보다 인체공학적인 쿠션감을 느낄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유아용 쿠션에 포켓을 장착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커버(110)의 하면에는 내부에 내장공간(172)이 구비된 포켓(170)이 더 장착될 수 있다. 이 포켓(170)은 유아가 사용하는 쿠션(100)이라는 구성에서 각종 유아용품(손수건(10)이나 가재수건(10) 등의 수건(10), 휴지, 기타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내장공간(172)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 내장공간(172)에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절개한 개방구(171)를 일 측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개방구(171)가 과도하게 열려 내장공간(172)에 삽입된 유아용품이 무게에 의해 흘러나오지 않도록 개방구(171)에서 추가 연장된 개방구(171) 커버(110)(미도시)를 더 장착하거나 지퍼나 벨크로(201) 등의 잠금구성(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포켓(170)의 일 실시예로서, 도 6(a)를 참조하면, 포켓(170)에는 수건(10)과, 신축성 재질로 형성된 것으로서, 일 단이 포켓(170)의 내부 일 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타 단이 수건(10)의 일 측에 결합되어 수건(10)을 탄성 지지하는 연장밴드(173)의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것은 수건(10)이 내장공간(172)에 보관된 상태에서 수건(10)을 꺼내 사용할 수 있되, 연장밴드(173)를 통해 보호자가 수건(10)을 놓치더라도 수건(10)이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고 연장밴드(173)를 통해 탄성 지지(매달려있게) 되므로 유아를 쿠션(100)에 받친 상태에서 수건(10)을 꺼내 유아를 닦을 때, 유아의 거친 동작으로 인해 수건(10)을 놓쳤을 때에도 수건(10)이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아 유아를 안은 채 허리를 굽힐 필요 없이 다시 수건(10)을 쉽게 잡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활용 예로서, 연장밴드(173)에 별도의 클램프(미도시)구성을 더 붙여 이 클램프를 통해 다른 유아용품(예를 들면 젖병이나 공갈젖꼭지, 빗 등 다양한 구성)을 매달아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포켓(170)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6(b)를 참조하면, 포켓(170)을 보호자의 손에 쿠션(100)을 고정하기 위한 매개체로서 활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포켓(170)에 형성되는 개방구(171)는 포켓(170)의 표면에서 보호자의 손가락이 내장공간(17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손이 투입되는 방향을 향해 치우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내장공간(172)에 보호자의 손가락이 삽입된 상태에서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내장공간(172)을 복수의 안착공간으로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막이 더 포함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즉, 이 분할막에 의해 분할된 안착공간에 손가락을 하나 이상 집어넣음으로써 보호자의 손가락이 내장공간(172)에 삽입되면, 포켓(170)에 의해 보호자의 손이 지지되어 보호자의 손목에 쿠션(100)이 장착된 상태에서 회전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유아를 보다 효과적으로 받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호자 손목에 착용되는 유아용 쿠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수건 100: 쿠션
110: 커버 113: 커버 관통부
120: 쿠션재 121: 코팅층
122: 제 1 쿠션 123: 분리막
124: 제 2 쿠션 130: 함입부
131: 관통홈 140: 받침판
141: 평탄면 142: 측부 경사면
170: 포켓 171: 개방구
172: 내장공간 173: 연장밴드
200: 스트랩 201: 벨크로
320: 쿠션홈 321: 연장 유통홈
330: 흡기바 331: 흡기공간
332: 가스유통공 333: 흡습제
334: 보조 관통홈 340: 고정패킹
341: 고정부 342: 장착부
350: 인디케이터 351: 반응봉
352: 변색부 361: 가스센서
362: 스피커 363: 센서 구동부

Claims (13)

  1. 보호자 손목에 착용되는 유아용 쿠션으로서,
    커버 내부에 쿠션재가 내장된 쿠션;
    띠 형태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쿠션에 결합되어 상기 보호자의 손목부위에 감겨지는 스트랩;을 포함하되,
    상기 쿠션재는,
    제 1 쿠션과, 상기 제 1 쿠션보다 낮은 탄성도를 갖는 제 2 쿠션이 상하로 순차 적층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제 1 쿠션과 상기 제 2 쿠션의 사이를 가로지르는 분리막이 더 포함되어 상기 분리막을 매개로 상기 제 1 쿠션과 상기 제 2 쿠션이 내장되는 공간을 상하로 나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손목에 착용되는 유아용 쿠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는,
    상기 쿠션재의 중앙부위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관통홈의 입구와 마주보는 상기 커버의 상면과 하면의 중앙부위를 상기 관통홈을 따라 함입시킨 상태에서 상호 밀착되도록 고정시킨 함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손목에 착용되는 유아용 쿠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은,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되,
    벨크로를 매개로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손목에 착용되는 유아용 쿠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의 표면에는,
    활성탄, 카본, 실리카, 테르펜(Terpene), 나린진(Naringin), 리모넨(limonene), 리모노이드(limonoid), 고령토, 황토, 편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천연탈취물질이 포함된 코팅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손목에 착용되는 유아용 쿠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는,
    상기 쿠션재의 일 측으로부터 타 측을 향해 관통 연장된 쿠션홈 및,
    휨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되 내부에 흡습제가 내장되는 흡기공간을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흡기공간으로부터 표면에 이르기 까지 관통된 복수개의 가스유통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쿠션홈에 삽입되는 흡기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손목에 착용되는 유아용 쿠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쿠션홈의 좌우 측면에서 일정 간격마다 분기되어 관통 연장된 복수개의 연장 유통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손목에 착용되는 유아용 쿠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쿠션홈의 입구와 마주보는 영역을 관통한 커버 관통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커버 관통부에는,
    상기 커버 관통부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커버 관통부에 끼워지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둘레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상기 장착부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흡기바의 둘레 일 측을 감싸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고정패킹이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손목에 착용되는 유아용 쿠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패킹은,
    투명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흡기바는,
    일 단면의 중앙부위로부터 상기 흡기공간까지 관통 연장된 보조 관통홈이 더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와 상기 흡기바 사이에는,
    상기 보조 관통홈에 삽입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흡기공간 내부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반응봉과,
    상기 반응봉의 단부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흡기바의 단면을 가릴 수 있는 면적을 갖는 것으로서, 상기 반응봉에 흡수된 이산화탄소에 의해 색상이 변화하는 변색부가 포함된 인디케이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손목에 착용되는 유아용 쿠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반응봉의 표면 일 측에 접촉된 상태로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반응봉에 흡수된 이산화탄소의 양을 측정하는 가스센서와,
    상기 가스센서 주변에 장착되는 스피커와,
    상기 가스센서를 통해 측정된 이산화탄소의 양이 기 지정된 비교수치를 초과하면 상기 스피커에서 경고 사운드가 발생하도록 제어하는 센서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손목에 착용되는 유아용 쿠션.
  10. 삭제
  11. 삭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하면에는,
    내부에 내장공간이 구비된 포켓이 더 장착되되,
    상기 포켓은,
    상기 내장공간이 외부와 유통될 수 있도록 표면 일 측을 절개한 개방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손목에 착용되는 유아용 쿠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구는,
    상기 포켓의 표면에서 상기 보호자의 손가락이 상기 내장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방향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포켓은,
    상기 내장공간에 상기 보호자의 손가락이 삽입된 상태에서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내장공간을 복수의 안착공간으로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할막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자 손목에 착용되는 유아용 쿠션.
KR1020170094954A 2017-07-26 2017-07-26 보호자 손목에 착용되는 유아용 쿠션 KR101791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954A KR101791822B1 (ko) 2017-07-26 2017-07-26 보호자 손목에 착용되는 유아용 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4954A KR101791822B1 (ko) 2017-07-26 2017-07-26 보호자 손목에 착용되는 유아용 쿠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822B1 true KR101791822B1 (ko) 2017-10-30

Family

ID=60301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954A KR101791822B1 (ko) 2017-07-26 2017-07-26 보호자 손목에 착용되는 유아용 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82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5499B2 (ja) * 1997-11-26 2001-04-0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ション 光ディスクのビット変換の方法、復調方法および装置
KR200369620Y1 (ko) * 2004-08-23 2004-12-09 김도헌 일회용 베개커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5499B2 (ja) * 1997-11-26 2001-04-09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ション 光ディスクのビット変換の方法、復調方法および装置
KR200369620Y1 (ko) * 2004-08-23 2004-12-09 김도헌 일회용 베개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0211B1 (ko) Sids 방지 매트리스
US11490663B2 (en) Infant sleep garment
US7178877B2 (en) Diaper changing restraint system
US6955272B2 (en) Baby bottle bib
JP2008000279A (ja) おくるみマットおよび座席付き育児器具
US20130205463A1 (en) Pillow bib
KR101791822B1 (ko) 보호자 손목에 착용되는 유아용 쿠션
KR101820512B1 (ko) 교체 가능한 쿠션을 구비한 기능성 쿠션소파
US20140007889A1 (en) Restraining glove
KR101777191B1 (ko) 유아용 슬리핑 하우징
RU2670055C1 (ru) 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коврик для содействия глубокому сну ребенка
KR20180002727U (ko) 탈착식 유아용 침구세트
KR200438772Y1 (ko) 방오기능이 겸비된 베개
KR200394831Y1 (ko) 요 겸용 가방
JP2005118097A (ja) 体圧分散マットレス
US10918138B2 (en) Wearable baby blanket with insulated interchangeable upper and lower pockets for a customized fit and utility that easily converts into a traditional blanket
US20180132628A1 (en) Baby and Toddler Care and Transfer Pad
KR102273626B1 (ko) 다기능 마스크
KR101606378B1 (ko) 영유아용 베개
US6817991B1 (en) Protective garment and method for preventing spinal injuries in babies learning to walk
KR200458506Y1 (ko) 유아용 캐리어 통풍 패드
KR200369588Y1 (ko) 다용도 쿠션
KR101704781B1 (ko) 여행용 목베개
US20120272429A1 (en) Apnea apparatus
KR101581109B1 (ko) 유아용 캐리어의 힙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