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196B1 -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고리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고리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196B1
KR101791196B1 KR1020170056163A KR20170056163A KR101791196B1 KR 101791196 B1 KR101791196 B1 KR 101791196B1 KR 1020170056163 A KR1020170056163 A KR 1020170056163A KR 20170056163 A KR20170056163 A KR 20170056163A KR 101791196 B1 KR101791196 B1 KR 101791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mpet
branch sleeve
fixed
power line
mai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신이앤드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신이앤드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신이앤드씨
Priority to KR1020170056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1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92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with support means for ends of the sleev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13Boxes split longitudinally in main cable dir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선고리를 갖고 주전력선에 설치되는 분기슬리브의 우측에 설치되는 나팔모양의 통체로, 펼쳐지면 우협좌광인 사다리꼴인 판체를 둥글게 말아 통체로 만든 것이고, 우측단은 내측면에 쿠션재가 부착고정되어 분기슬리브에 근접된 우측의 주전력선을 외측에서 밀착되게 감싸며, 경사진 상하단 내측면에는 일정간격의 통공을 갖는 상하부밀착통공판이 각각 결합고정되고, 상기 상하부밀착통공판은 통공의 연장선상에 화스너가 각각 돌출설치된 체결판에 의해 밀착고정되는 나팔모양의 통체를 형성하여 상기 분기슬리브와 활선고리를 우측에서 감싸며, 외측면 우측단부 4방향에는 우측단돌턱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외측면 좌측단부 4방향에는 상기 우측단돌턱의 연장선상에 좌측단돌턱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우측나팔형커버; 상하로 양분되어 양단의 볼트공이 볼트와 너트로 체결고정되면서 원형을 이루는 링체로 상기 우측나팔형커버 우측의 주전력선에 밀착고정되는 텐션고정링체가 형성되고, 상기 텐션고정링체 좌측단에서 상기 우측단돌턱 방향으로 각각 길게 돌출연장되어 내측선단부에 상기 우측단돌턱이나 좌측단돌턱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걸림돌부가 각각 돌출형성되어 내측으로 조여주는 판스프링인 4개의 텐션걸림고정판이 각각 형성되는 우측탄성고정부재; 상기 분기슬리브를 좌측에서 감싸는 나팔모양의 통체로, 펼쳐지면 좌협우광인 사다리꼴인 판체를 둥글게 말아 통체로 만든 것이고, 좌우측단 내측면에는 쿠션재가 각각 부착고정되며, 좌측단이 분기슬리브에 근접된 좌측의 주전력선을 외측에서 밀착되게 감싸고, 우측단 중심측에는 내측으로 요부형성되어 상기 활선고리에 접속된 인하선이 인출되는 인하선장공이 형성되며, 경사진 상하단 내측면에는 일정간격의 통공을 갖는 상하부밀착통공판이 각각 결합고정되고, 상기 상하부밀착통공판은 통공의 연장선상에 화스너가 각각 돌출설치된 체결판에 의해 밀착고정되는 나팔모양의 통체를 형성하여 상기 우측나팔형커버의 내측에서 상기 분기슬리브와 활선고리를 좌측에서 감싸며, 외측면 좌측단부 4방향에는 좌측단돌턱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외측면 우측단부 4방향에는 상기 좌측단돌턱의 연장선상에 우측단돌턱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좌측나팔형커버; 및 상하로 양분되어 양단의 볼트공이 볼트와 너트로 체결고정되면서 원형을 이루는 링체로 상기 좌측나팔형커버 좌측의 주전력선에 밀착고정되는 텐션고정링체가 형성되고, 상기 텐션고정링체 우측단에서 상기 좌측나팔형커버의 좌측단돌턱 방향으로 각각 길게 돌출연장되어 내측선단부에 상기 좌측단돌턱이나 우측단돌턱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걸림돌부가 각각 돌출형성되어 내측으로 조여주는 판스프링인 4개의 텐션걸림고정판이 각각 형성되는 좌측탄성고정부재를 구비하는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고리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활선분기고리를 포함하는 분기슬리브 전체를 전후방측에서 감싸 보호함에 따라 외부충격으로부터 분기슬리브를 보호하고, 인하선 작업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필요에 따라 손쉽게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어 점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고리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active branch off link of transformer for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고리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활선분기고리를 포함하는 분기슬리브 전체를 전후방측에서 감싸 보호함에 따라 외부충격으로부터 분기슬리브를 보호하고, 인하선 작업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필요에 따라 손쉽게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어 점검이 용이한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고리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산업체 등에 단상 또는 3상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배전선로의 주전력선에서 주상변압기의 분기선을 분기한다. 이 경우 대부분 분기슬리브를 이용하게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분기슬리브는 활선분기고리를 이용하여 분기선을 주전력선에서 분기시키도록 되어 있다.
전주 상부의 주전력선에 결합된 분기슬리브에는 활선분기고리가 결합 설치되고, 상기 활선분기고리와 컷아웃스위치에는 각각 1차리드선이 연결되며, 상기 컷아웃스위치와 주상변압기에는 각각 2차리드선이 연결되어, 상기 주상변압기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전주의 주전력선에는 전력의 분기를 위한 분기슬리브가 반드시 설치되는바, 상기 분기슬리브는 전력의 공급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신, 증축 또는 철거 등으로 인하여 주상변압기를 제거하여 전력의 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도 고압의 전원이 흐르는 상태로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분기슬리브에 설치된 활선분기고리는 상기 분기슬리브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질 적층으로 인한 오작동 및 각종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좌우측으로 양분되어 주전력선(40)을 감싸는 절연재질의 직육면체로, 중심부에는 주전력선(40)이 관통하는 전력선장공(11)이 전후방측으로 형성되고, 전력선장공(11) 전후방측에는 좌우측으로 양분되어 원형을 이루면서 주전력선(40)과 밀착되고 내주연에는 쐐기형상으로 내측으로 돌출되어 주전력선(40)의 피복(42)을 뚫고 심재(41)로 삽입되는 통전핀(12a,13a)을 갖는 도체인 전후방통전링(12,13)이 각각 삽입형성되며, 전력선장공(11) 전후방선단 내주연에는 절단선(15b)을 각각 갖는 전후방마감패킹(15,15a)이 각각 삽입되어 밀폐되는 전후방밀폐홈(14,14a)이 각각 형성되고, 양분된 대향면 상하부 중심면에는 상하부체결볼트(16,16a)와 상하부체결공(17,17a)이 각각 대응되어 너트(17b)에 의해 각각 체결고정되며, 양분된 대향면 상하부에는 바형상의 고무패킹(19b,19c)이 각각 삽입되어 밀폐가 이루어지는 방수요홈(19,19a)이 각각 형성되고, 좌우측면과 저면의 전후방측에는 수직연장선상으로 기립된 ㄷ형상인 전후방측수직요부(18,18a)가 각각 요부형성되며, 전후방측수직요부(18,18a) 하단부에는 상기 전후방통전링(12,13)과 전선(18d)에 의해 각각 통전연결되는 도체인 전후방통전부(18b,18c)가 각각 형성되는 좌우측슬리브몸체(10,10a)와; 상기 좌우측슬리브몸체(10,10a)의 전후방측수직요부(18,18a)에 각각 삽입되는 상부가 개방된 ㄷ형상의 수직기립된 절연체로, 상단부에는 도체인 고정통전볼트(22)가 삽입되어 보관시에는 전후방측수직요부(18,18a) 상단부에 체결고정되고 통전사용시에는 전후방측수직요부(18,18a) 하단부에 체결고정되는 좌우측고정공(21,21a)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고정공(21,21a)이 형성된 좌우측 상단부 내측면에는 도체인 좌우측통전판(23,23a)이 동일한 외면을 갖고 각각 형성되며, 하부중심에는 내측에 통전링(25)을 갖는 볼트공(24)이 형성되어 상기 좌우측통전판(23,23a)과 내부에서 통전선(26)으로 통전연결되는 전후방측절연통전대(20,20a)와; 상기 전후방절연통전대(20,20a) 사이에 위치된 바형상의 도체로, 전후방 선단면에는 상기 전후방측절연통전대(20,20a)의 볼트공(24) 연장선상에 위치된 전후방체결통전공(31,31a)이 각각 형성되어 통전체결볼트(32)에 의해 볼트공(24)에 각각 통전체결되는 활선분기고리(3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가 특허등록 제10-1081800호로 제시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활선분기 고리용 안전장치는, 활선분기고리의 분기시에만 통전이 이루어지도록 제한함으로써 가정 및 산업체에 주전력선으로부터 안정된 전기공급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하부측과 좌우측방향으로 활선분기고리가 노출되어 작업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8180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활선분기고리를 포함하는 분기슬리브 전체를 전후방측에서 감싸 보호함에 따라 외부충격으로부터 분기슬리브를 보호하고, 인하선 작업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필요에 따라 손쉽게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어 점검이 용이한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고리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활선고리를 갖고 주전력선에 설치되는 분기슬리브의 우측에 설치되는 나팔모양의 통체로, 펼쳐지면 우협좌광인 사다리꼴인 판체를 둥글게 말아 통체로 만든 것이고, 우측단은 내측면에 쿠션재가 부착고정되어 분기슬리브에 근접된 우측의 주전력선을 외측에서 밀착되게 감싸며, 경사진 상하단 내측면에는 일정간격의 통공을 갖는 상하부밀착통공판이 각각 결합고정되고, 상기 상하부밀착통공판은 통공의 연장선상에 화스너가 각각 돌출설치된 체결판에 의해 밀착고정되는 나팔모양의 통체를 형성하여 상기 분기슬리브와 활선고리를 우측에서 감싸며, 외측면 우측단부 4방향인 전후방상하부에는 우측단돌턱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외측면 좌측단부 4방향인 전후방상하측에는 상기 우측단돌턱의 연장선상에 좌측단돌턱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우측나팔형커버;
상하로 양분되어 양단의 볼트공이 볼트와 너트로 체결고정되면서 원형을 이루는 링체로 상기 우측나팔형커버 우측의 주전력선에 밀착고정되는 텐션고정링체가 형성되고, 상기 텐션고정링체 좌측단에서 상기 우측나팔형커버의 우측단돌턱 방향으로 각각 길게 돌출연장되어 내측선단부에 상기 우측단돌턱이나 좌측단돌턱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걸림돌부가 각각 돌출형성되어 내측으로 조여주는 판스프링인 4개의 텐션걸림고정판이 각각 형성되는 우측탄성고정부재;
상기 분기슬리브를 좌측에서 감싸는 나팔모양의 통체로, 펼쳐지면 좌협우광인 사다리꼴인 판체를 둥글게 말아 통체로 만든 것이고, 좌우측단 내측면에는 쿠션재가 각각 부착고정되며, 좌측단이 분기슬리브에 근접된 좌측의 주전력선을 외측에서 밀착되게 감싸고, 우측단 중심측에는 내측으로 요부형성되어 상기 활선고리에 접속된 인하선이 인출되는 인하선장공이 형성되며, 경사진 상하단 내측면에는 일정간격의 통공을 갖는 상하부밀착통공판이 각각 결합고정되고, 상기 상하부밀착통공판은 통공의 연장선상에 화스너가 각각 돌출설치된 체결판에 의해 밀착고정되는 나팔모양의 통체를 형성하여 상기 우측나팔형커버의 내측에서 상기 분기슬리브와 활선고리를 좌측에서 감싸며, 외측면 좌측단부 4방향인 전후방상하측에는 좌측단돌턱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외측면 우측단부 4방향인 전후방상하측에는 상기 좌측단돌턱의 연장선상에 우측단돌턱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좌측나팔형커버; 및
상하로 양분되어 양단의 볼트공이 볼트와 너트로 체결고정되면서 원형을 이루는 링체로 상기 좌측나팔형커버 좌측의 주전력선에 밀착고정되는 텐션고정링체가 형성되고, 상기 텐션고정링체 우측단에서 상기 좌측나팔형커버의 좌측단돌턱 방향으로 각각 길게 돌출연장되어 내측선단부에 상기 좌측단돌턱이나 우측단돌턱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걸림돌부가 각각 돌출형성되어 내측으로 조여주는 판스프링인 4개의 텐션걸림고정판이 각각 형성되는 좌측탄성고정부재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활선분기고리를 포함하는 분기슬리브 전체를 전후방측에서 감싸 보호함에 따라 외부충격으로부터 분기슬리브를 보호하고, 인하선 작업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필요에 따라 손쉽게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어 점검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고리 안전장치의 체결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고리 안전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 예인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고리 안전장치의 설치후 인하선 접속시 좌우측나팔형커버를 좌우측으로 각각 벌린 상태의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고리 안전장치의 설치후 모스브을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고리 안전장치의 설치후 인하선 접속시 좌우측나팔형커버를 좌우측으로 각각 벌린 상태의 모습을 보인 사용상태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고리 안전장치(1)는, 주전력선(60) 분기슬리브(50)의 활선고리(51)를 우측에서 감싸 보호하는 우측나팔형커버(10)와, 우측나팔형커버(10)의 우측 주전력선(60)에 고정되어 우측나팔형커버(10)를 우측에서 탄성에 의해 고정지지하는 우측탄성고정부재(20)와, 우측나팔형커버(10)의 좌측에서 내측으로 밀착되어 활선고리(51)를 좌측에서 감싸 보호하는 좌측나팔형커버(30)와, 좌측나팔형커버(30)의 좌측 주전력선(60)에 고정되어 좌측나팔형커버(30)를 좌측에서 탄성에 의해 고정지지하는 좌측탄성고정부재(40)로 구성된다.
상기 우측나팔형커버(10)는, 활선고리(51)를 갖고 주전력선(60)에 설치되는 분기슬리브(50)의 우측에 설치되는 나팔모양의 통체로, 펼쳐지면 우협좌광인 사다리꼴인 판체를 둥글게 말아 통체로 만든 것이고, 우측단은 내측면에 쿠션재(11)가 부착고정되어 분기슬리브(50)에 근접된 우측의 주전력선(60)을 외측에서 밀착되게 감싸며, 경사진 상하단 내측면에는 일정간격의 통공(12a,13a)을 갖는 상하부밀착통공판(12,13)이 각각 결합고정되고, 상기 상하부밀착통공판(12,13)은 통공(12a,13a)의 연장선상에 화스너(14a)가 각각 돌출설치된 체결판(14)에 의해 밀착고정되는 나팔모양의 통체를 형성하여 상기 분기슬리브(50)와 활선고리(51)를 우측에서 감싸며, 외측면 우측단부 4방향인 전후방상하측에는 우측단돌턱(15b,15,15c,15a)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외측면 좌측단부 4방향인 전후방상하측에는 상기 우측단돌턱(15b,15,15c,15a)의 연장선상에 좌측단돌턱(16b,16,16c,16a)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우측단 내측의 쿠션재(11)는 주전력선(60)에 밀착시킬 수도 있고, 또한 분기슬리브(50)의 우측단에 밀착고정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우측탄성고정부재(20)는, 상하로 양분되어 양단의 볼트공(21a,21b)이 볼트(21c)와 너트(21d)로 각각 체결고정되면서 원형을 이루는 링체로, 상기 우측나팔형커버(10) 우측의 주전력선(60)에 밀착고정되는 텐션고정링체(21)가 형성되고, 상기 텐션고정링체(21) 좌측단에서 상기 우측나팔형커버(10)의 우측단돌턱(15b,15,15c,15a) 방향으로 각각 길게 돌출연장되어 내측선단부에 상기 우측단돌턱(15b,15,15c,15a)이나 좌측단돌턱(16b,16,16c,16a)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걸림돌부(24a,22a,25a,23a)가 각각 돌출형성되어 내측으로 조여주는 판스프링인 4개의 텐션걸림고정판(24,22,25,23)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좌측나팔형커버(30)는, 상기 분기슬리브(50)를 좌측에서 감싸는 나팔모양의 통체로, 펼쳐지면 좌협우광인 사다리꼴인 판체를 둥글게 말아 통체로 만든 것이고, 좌우측단 내측면에는 쿠션재(31,31a)가 각각 부착고정되며, 좌측단이 분기슬리브(50)에 근접된 좌측의 주전력선(60)을 외측에서 밀착되게 감싸고, 우측단 중심측에는 내측으로 요부형성되어 상기 활선고리(51)에 접속된 인하선(52)이 인출되는 인하선장공(31b)이 형성되며, 경사진 상하단 내측면에는 일정간격의 통공(32a,33a)을 갖는 상하부밀착통공판(32,33)이 각각 결합고정되고, 상기 상하부밀착통공판(32,33)은 통공(32a,33a)의 연장선상에 화스너(34a)가 각각 돌출설치된 체결판(34)에 의해 밀착고정되는 나팔모양의 통체를 형성하여 상기 우측나팔형커버(10)의 내측에서 상기 분기슬리브(50)와 활선고리(51)를 좌측에서 감싸며, 외측면 좌측단부 4방향인 전후방상하부에는 좌측단돌턱(35b,35,35c,35a)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외측면 우측단부 4방향인 전후방상하부에는 상기 좌측단돌턱(35b,35,35c,35a)의 연장선상에 우측단돌턱(36b,36,36c,36a)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상기 좌측단 내측의 쿠션재(31)는 주전력선(60)에 밀착시킬 수도 있고, 또한 분기슬리브(50)의 좌측단에 밀착고정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좌측탄성고정부재(40)는, 상하로 양분되어 양단의 볼트공(41a,41b)이 볼트(41c)와 너트(41d)로 각각 체결고정되면서 원형을 이루는 링체로, 상기 좌측나팔형커버(30) 좌측의 주전력선(60)에 밀착고정되는 텐션고정링체(41)가 형성되고, 상기 텐션고정링체(41) 우측단에서 상기 좌측나팔형커버(30)의 좌측단돌턱(35b,35,35c,35a) 방향으로 각각 길게 돌출연장되어 내측선단부에 상기 좌측단돌턱(35b,35,35c,35a)이나 우측단돌턱(36b,36,36c,36a)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걸림돌부(44a,42a,45a,43a)가 각각 돌출형성되어 내측으로 조여주는 판스프링인 4개의 텐션걸림고정판(44,42,45,43)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주전력선(60)의 분기슬리브(50)와 활선고리(51)가 우측나팔형커버(10)와 쿠션재(11) 및 좌측나팔형커버(30)와 쿠션재(31,31a)에 의해 밀폐되게 감싸여 활선고리(51)로 우수나 이물질이 유입될 염려가 전혀 없고, 인하선(52) 작업시 좌우측탄성고정부재(40,20)를 각각 주전력선(60) 상에서 좌측이나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손쉽게 인하선(52)의 접속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인하선(52) 접속작업 후에 작업자는 좌우측탄성고정부재(40,20) 텐션걸림고정판(44,42,45,43)(24,22,25,23)의 각 걸림돌부(44a,42a,45a,43a) (24a,22a,25a,23a)를 좌우측나팔형커버(30,10)의 좌측단돌턱(35b,35,35c,35a)이나 우측단돌턱(15b,15,15c,15a)에 각각 걸림고정시키고 좌우측탄성고정부재(40,20)의 볼트(41c,21c)와 너트(41d,21d)를 각각 조여 텐션고정링체(41,21)를 주전력선(60)의 좌우측에 각각 고정시킴으로써 좌우측나팔형커버(30,10)는 분기슬리브(50)의 활선고리(51)를 우수가 유입되지 않는 밀폐된 상태로 지속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
1 : 활선고리 안전장치
10 : 우측나팔형커버 11 : 쿠션재
12 : 상부밀착통공판 12a : 통공
13 : 하부밀착통공판 13a : 통공
14 : 체결판 14a : 화스너
15,15a,15b,15c : 우측단돌턱 16,16a,16b,16c : 좌측단돌턱
20 : 우측탄성고정부재 21 : 텐션고정링체
21a,21b : 볼트공 21c : 볼트
21d : 너트 22,23,24,25 : 텐션걸림고정판
22a,23a,24a,25a : 걸림돌부
30 : 좌측나팔형커버 31,31a : 쿠션재
32 : 상부밀착통공판 32a : 통공
33 : 하부밀착통공판 33a : 통공
34 : 체결판 34a : 화스너
35,35a,35b,35c : 좌측단돌턱 36,36a,36b,36c : 우측단돌턱
40 : 좌측탄성고정부재 41 : 텐션고정링체
41a,41b : 볼트공 41c : 볼트
41d : 너트 42,43,44,45 : 텐션걸림고정판
42a,43a,44a,45a : 걸림돌부
50 : 분기슬리브 51 : 활선고리
52 : 인하선
60 : 주전력선

Claims (1)

  1. 활선고리(51)를 갖고 주전력선(60)에 설치되는 분기슬리브(50)의 우측에 설치되는 나팔모양의 통체로, 펼쳐지면 우협좌광인 사다리꼴인 판체를 둥글게 말아 통체로 만든 것이고, 우측단은 내측면에 쿠션재(11)가 부착고정되어 분기슬리브(50)에 근접된 우측의 주전력선(60)을 외측에서 밀착되게 감싸며, 경사진 상하단 내측면에는 일정간격의 통공(12a,13a)을 갖는 상하부밀착통공판(12,13)이 각각 결합고정되고, 상기 상하부밀착통공판(12,13)은 통공(12a,13a)의 연장선상에 화스너(14a)가 각각 돌출설치된 체결판(14)에 의해 밀착고정되는 나팔모양의 통체를 형성하여 상기 분기슬리브(50)와 활선고리(51)를 우측에서 감싸며, 외측면 우측단부 4방향인 전후방상하측에는 우측단돌턱(15b,15,15c,15a)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외측면 좌측단부 4방향인 전후방상하측에는 상기 우측단돌턱(15b,15,15c,15a)의 연장선상에 좌측단돌턱(16b,16,16c,16a)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우측나팔형커버(10);
    상하로 양분되어 양단의 볼트공(21a,21b)이 볼트(21c)와 너트(21d)로 각각 체결고정되면서 원형을 이루는 링체로, 상기 우측나팔형커버(10) 우측의 주전력선(60)에 밀착고정되는 텐션고정링체(21)가 형성되고, 상기 텐션고정링체(21) 좌측단에서 상기 우측나팔형커버(10)의 우측단돌턱(15b,15,15c,15a) 방향으로 각각 길게 돌출연장되어 내측선단부에 상기 우측단돌턱(15b,15,15c,15a)이나 좌측단돌턱(16b,16,16c,16a)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걸림돌부(24a,22a,25a,23a)가 각각 돌출형성되어 내측으로 조여주는 판스프링인 4개의 텐션걸림고정판(24,22,25,23)이 각각 형성되는 우측탄성고정부재(20);
    상기 분기슬리브(50)를 좌측에서 감싸는 나팔모양의 통체로, 펼쳐지면 좌협우광인 사다리꼴인 판체를 둥글게 말아 통체로 만든 것이고, 좌우측단 내측면에는 쿠션재(31,31a)가 각각 부착고정되며, 좌측단이 분기슬리브(50)에 근접된 좌측의 주전력선(60)을 외측에서 밀착되게 감싸고, 우측단 중심측에는 내측으로 요부형성되어 상기 활선고리(51)에 접속된 인하선(52)이 인출되는 인하선장공(31b)이 형성되며, 경사진 상하단 내측면에는 일정간격의 통공(32a,33a)을 갖는 상하부밀착통공판(32,33)이 각각 결합고정되고, 상기 상하부밀착통공판(32,33)은 통공(32a,33a)의 연장선상에 화스너(34a)가 각각 돌출설치된 체결판(34)에 의해 밀착고정되는 나팔모양의 통체를 형성하여 상기 우측나팔형커버(10)의 내측에서 상기 분기슬리브(50)와 활선고리(51)를 좌측에서 감싸며, 외측면 좌측단부 4방향인 전후방상하측에는 좌측단돌턱(35b,35,35c,35a)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외측면 우측단부 4방향인 전후방상하측에는 상기 좌측단돌턱(35b,35,35c,35a)의 연장선상에 우측단돌턱(36b,36,36c,36a)이 각각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좌측나팔형커버(30); 및
    상하로 양분되어 양단의 볼트공(41a,41b)이 볼트(41c)와 너트(41d)로 각각 체결고정되면서 원형을 이루는 링체로, 상기 좌측나팔형커버(30) 좌측의 주전력선(60)에 밀착고정되는 텐션고정링체(41)가 형성되고, 상기 텐션고정링체(41) 우측단에서 상기 좌측나팔형커버(30)의 좌측단돌턱(35b,35,35c,35a) 방향으로 각각 길게 돌출연장되어 내측선단부에 상기 좌측단돌턱(35b,35,35c,35a)이나 우측단돌턱(36b,36,36c,36a)에 각각 걸림고정되는 걸림돌부(44a,42a,45a,43a)가 각각 돌출형성되어 내측으로 조여주는 판스프링인 4개의 텐션걸림고정판(44,42,45,43)이 각각 형성되는 좌측탄성고정부재(40)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고리 안전장치.
KR1020170056163A 2017-05-02 2017-05-02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고리 안전장치 KR101791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163A KR101791196B1 (ko) 2017-05-02 2017-05-02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고리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163A KR101791196B1 (ko) 2017-05-02 2017-05-02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고리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196B1 true KR101791196B1 (ko) 2017-11-07

Family

ID=60385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163A KR101791196B1 (ko) 2017-05-02 2017-05-02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고리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1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015B1 (ko) * 2022-04-21 2023-02-07 주식회사 희승이엔지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커버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974B1 (ko) 2008-06-23 2008-10-10 태한전기 주식회사 주상 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200443013Y1 (ko) 2008-07-28 2009-01-07 (주)신화이앤에프 주택 송전용 저압전선의 분기슬리브
KR100986307B1 (ko) 2010-07-16 2010-10-08 (주)지형이엔지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1080971B1 (ko) 2011-08-12 2011-11-09 (주)청운엔지니어링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1081800B1 (ko) 2011-09-26 2011-11-09 주식회사 대한전기기술단 주상변압기 활성분기고리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0974B1 (ko) 2008-06-23 2008-10-10 태한전기 주식회사 주상 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200443013Y1 (ko) 2008-07-28 2009-01-07 (주)신화이앤에프 주택 송전용 저압전선의 분기슬리브
KR100986307B1 (ko) 2010-07-16 2010-10-08 (주)지형이엔지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1080971B1 (ko) 2011-08-12 2011-11-09 (주)청운엔지니어링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1081800B1 (ko) 2011-09-26 2011-11-09 주식회사 대한전기기술단 주상변압기 활성분기고리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015B1 (ko) * 2022-04-21 2023-02-07 주식회사 희승이엔지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커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1196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고리 안전장치
KR100677649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KR100819366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0722290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1081800B1 (ko) 주상변압기 활성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2020819B1 (ko) 개폐 체결구조를 갖는 절연커버
KR100921678B1 (ko) 변전소 및 배전선로 전력구 케이블 방화장치
KR200422905Y1 (ko) 방우형 듀얼 멀티 아웃렛
KR102028183B1 (ko) 전주 내 접지선의 접지저항 측정용 지상 노출장치
KR101396789B1 (ko) 배전 분기슬리브 보호 커버
KR100835577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CN210298321U (zh) 过线胶圈、电控箱及空调机组
KR100986307B1 (ko)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1597610B1 (ko)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KR101457154B1 (ko) 지중매설용 고압선지지대
KR100689983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US20100200292A1 (en) Secondary cap
KR100989443B1 (ko)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0860974B1 (ko) 주상 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1781116B1 (ko) 피뢰기 장착 컷 아웃 스위치
KR100733390B1 (ko) 지중 매설용 전주 지지대
KR101178177B1 (ko)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0815933B1 (ko)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보호장치
KR100865495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 고리 안전장치
JPH0629336U (ja) 配電線用絶縁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