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050B1 -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 유닛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 유닛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050B1
KR101791050B1 KR1020160068587A KR20160068587A KR101791050B1 KR 101791050 B1 KR101791050 B1 KR 101791050B1 KR 1020160068587 A KR1020160068587 A KR 1020160068587A KR 20160068587 A KR20160068587 A KR 20160068587A KR 101791050 B1 KR101791050 B1 KR 101791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
pcb
bracke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8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환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환단자공업
Priority to KR1020160068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0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3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축전지에 결합된 배터리 터미널에 연결되어 배터리의 상태를 감지하는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 유닛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는,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에 결합되는 배터리 터미널(11)과, 케이블이 결합되는 브래킷(12)과, 상기 배터리 터미널(11)에 결합되어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에 배터리 터미널(11)을 결합시키는 조임부재(13)를 포함하는 터미널 어셈블리(10)와; 축전지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홀 센서(24)가 구비된 PCB(23)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결합되며 상기 터미널 어셈블리(10)에 커넥터 핀(27)으로 연결되는 하우징 어셈블리(20)와; 상기 터미널 어셈블리(10)의 브래킷(12)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차량에 접지 연결되는 케이블(31)과 튜브(32)로 이루어진 케이블 어셈블리(30);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어셈블리(10)와 하우징 어셈블리(20) 및 케이블 어셈블리(30)가 모듈화되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 유닛 및 그 제조방법{Analog Battery Sensor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축전지에 결합된 배터리 터미널에 연결되어 배터리의 상태를 감지하는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 유닛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터리 터미널과 센서부 및 접지용 케이블을 각각 모듈화하여 서로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킬 수 있게 구성하여 일부 모듈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해당 모듈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 유닛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지만 엔진의 시동을 위한 구동 모터의 기동 및 각종 전장품의 작동을 위해서는 전류를 공급할 필요가 있으며, 이 전류를 공급하기 위하여 축전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축전지로부터 전원을 인출할 수 있도록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와 전원 터미널을 연결하는 접속단자가 상기 축전지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한 접속단자는 축전지의 배치에 따른 레이아웃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축전지의 음단자에는 차량의 전기적 시스템과 연결시켜 주는 배터리 센서 유닛이 장착되고, 이러한 배터리 센서 유닛은 축전지의 음단자에 직접적으로 장착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터미널과 축전지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모듈 및 및 차체와의 접지 연결을 위한 케이블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 모듈은 일단부가 배터리 터미널에 접합되는 션트 저항(shunt resistor)과, 배터리의 상태의 검출을 위한 PCB, 션트 저항과 케이블을 연결하는 브래킷 및 상기 PCB와 션트 저항의 접합부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배터리 센서 유닛은 축전지에 결합되는 배터리 터미널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센서 모듈과 배터리 터미널을 분리할 수 없으므로, 센서 모듈에 이상이 있는 경우 배터리 터미널까지 함께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배터리 센서가 배터리 터미널과 일체형 구조를 형성함에 따라 배터리 터미널이 결합된 상태에서 성능 검사를 수행해야 하고, 그로 인해 성능 검사에서 불량 판정을 받는 경우 배터리 터미널까지 함께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배터리 센서 유닛에서는 케이스의 상부에 커버가 접합되어 케이스 내부의 션트 저항과 PCB를 보호하고 있으나, 접합 상태가 불량할 경우 습기 등이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어 션트 저항과 PCB의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조사한 결과 다수의 특허문헌이 검색되었으며, 그 중 일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과 2는, 차량용 배터리의 음단자에 직접적으로 결속되는 터미널 클램핑부와 배터리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센싱모듈(sensing module)과 그라운드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센싱모듈에는 일단부가 상기 터미널 클램핑부에 접합되며 제1구리단자와 제2구리단지를 포함하는 션트레지스터, 배터리의 상태를 검출하는 피씨비(PCB) 어세이, 상기 션트레지스터와 상기 그라운드케이블을 연결하는 어태치터미널, 및 상기 피씨비어세이와 상기 션트레지스터의 접합부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케이스가 제공되며, 상기 보호케이스의 내부에 속하는 상기 션트레지스터에는 굴곡면이 제공됨으로써, 굴곡면에 의해 상기 션트레지스터와 상기 보호케이스의 접합력이 향상되어 기밀성이 향상되도록 한, 배터리의 음단자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배터리 센서 어셈블리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전류센서의 케이스 내에 설치되는 PCB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커넥터로부터 전류를 통전시키는 터미널 단자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단자는 판재 형상의 고정 몸체부; 상기 고정 몸체부의 일단에 대하여 폭이 좁은 단차진 구조로 연장되어 PCB기판의 연결공에 결합되는 연결 단자부; 상기 고정 몸체부의 타단에 대하여 폭이 좁은 단차진 구조로 연장되어 전원커넥터와 접속 연결되는 전원 단자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센서용 터미널 단자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4는 도전성 금속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배터리의 배터리 포스트에 접속되는 포스트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단자부와; 수지성형에 의해 배터리 단자부와 일체로 결합되고, 부하에 접속되는 스터드부를 포함하는 전류 센서와; 배터리 단자부와 전류 센서의 일체결합부에 대응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센서부는 배터리 단자부의 수지성형 대상부에 형성되는 구멍 또는 슬릿을 가진 관통부와, 전류 센서의 수지성형부에 형성되고 관통부를 충전하는 충전부를 포함함으로써, 수지성형에 의한 일체결합부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전류 센서 결합형 배터리 단자에 대하여 기재하고 있다.
KR 10-1222744 B1 KR 10-2013-0105268 A KR 20-2013-0005901 U KR 10-2013-0069858 A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배터리 터미널과 센서 및 케이블을 각각 모듈화하여 서로 분리시키거나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일측 모듈에 이상이 발생하면 해당 모듈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 유닛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 유닛은,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에 결합되는 배터리 터미널과, 케이블이 결합되는 브래킷과, 상기 배터리 터미널에 결합되어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에 배터리 터미널을 결합시키는 조임부재를 포함하는 터미널 어셈블리와; 축전지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홀 센서가 구비된 PCB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결합되며 상기 터미널 어셈블리에 커넥터 핀으로 연결되는 하우징 어셈블리와; 상기 터미널 어셈블리의 브래킷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차량에 접지 연결되는 케이블과 튜브로 이루어진 케이블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 유닛에 따르면, 상기 브래킷과 배터리 터미널이 접합되도록 상기 브래킷의 일측 상면에 필러 메탈을 레이저 용접으로 접합하고, 상기 브래킷과 배터리 터미널을 브레이징 용접으로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 유닛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는 일정한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사출 성형되는 하우징과, 상기 일부가 절개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코어와, 축전지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상기 홀 센서가 설치되는 상기 PCB에 실장되는 캐패시터 및 온도센서와; 상기 PCB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터미널 어셈블리의 배터리 터미널에 결합되는 커넥터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 유닛의 제조방법은,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에 결합되는 배터리 터미널과 케이블이 결합되는 브래킷을 제작한 후 표면 처리하는 단계와; 배터리 터미널에 조임 볼트와 조임 너트 및 조임 와셔로 이루어진 조임부재를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브래킷에 필러 메탈을 레이저 용접으로 접합하는 단계와; 전류 감지 회로가 형성된 PCB가 구비된 하우징 어셈블리에 상기 브래킷을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 터미널과 브래킷을 브레이징 용접으로 접합하는 단계와;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에 배터리 터미널을 결합시키는 단계와; 출력 전압과 소비전력, 전원 응답성 및 전류 응답성을 포함하는 성능을 평가하는 단계와; 상기 브래킷에 케이블을 압착하여 배터리 터미널과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브래킷의 케이블 압착부에 튜브를 삽입한 후 히팅 처리하여 튜브를 수축시키는 단계와; 제품의 외관 품질을 검사한 후 포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 유닛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단계는, 하우징을 사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하우징에 코어를 결합시키는 단계와; PCB에 온도센서와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전자부품을 납땜방식으로 SMT 솔더링하는 단계와; 상기 PCB에 대한 통전검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PCB에 배터리 터미널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핀을 조립하는 단계와; 상기 PCB에 홀 센서를 가접하는 단계와; 상기 하우징에 PCB를 조립하는 단계와; 자동 납땜을 통해 상기 홀 센서를 PCB에 접합하는 단계와; 상기 PCB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우레탄을 주입하는 단계와; 주입된 우레탄을 열경화시킨 후 상온 경화시키는 단계와; 홀 센서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출력 전압과 소비전력, 전원 응답성 및 전류 응답성을 포함하는 성능을 평가하는 단계와; 외관 품질을 검사한 후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 유닛 및 그 제조방법은, 축전지에 결합되는 배터리 터미널과 축전지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 부재 및 케이블 부재를 각각 모듈화한 후 결합시켜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를 형성하게 되므로, 일측 모듈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해당 모듈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폐기물의 양이 감소하고 제조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홀 센서와 PCB를 구비하는 하우징 모듈이 별도의 제품으로 형성되어 기존의 터미널 모듈에 적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 유닛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하우징의 내부에 홀 센서와 PCB 및 코어가 내장된 후 우레탄이 주입되어 내부의 센서 부재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되고 습기 등에 의한 피해를 받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 유닛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 유닛의 제조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 유닛의 제조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인 하우징 어셈블리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하우징 어셈블리의 제조 공정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 유닛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 유닛은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에 결합되는 배터리 터미널(11)과, 케이블이 결합되는 브래킷(12)과, 상기 배터리 터미널(11)에 결합되어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에 배터리 터미널(11)을 결합시키는 조임부재(13)를 포함하는 터미널 어셈블리(10)와; 축전지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홀 센서(24)가 구비된 PCB(23)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터미널 어셈블리(10)에 커넥터 핀(27)으로 연결되는 하우징 어셈블리(20)와; 상기 터미널 어셈블리(10)의 브래킷(12)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차량에 접지 연결되는 케이블(31)과 튜브(32)로 이루어진 케이블 어셈블리(30);를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 어셈블리(10)와 하우징 어셈블리(20) 및 케이블 어셈블리(30)가 모듈화되어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 터미널(11)은 탄성부가 경사지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브래킷(12)과 배터리 터미널(11)이 접합되도록 상기 브래킷(12)의 일측 상면에 필러 메탈(12')을 레이저 용접으로 접합하고, 상기 브래킷(12)과 배터리 터미널(11)을 브레이징 용접으로 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임부재(13)는 상기 배터리 터미널(11)의 탄성부 하부에서 결합되는 조임 볼트(13a)와, 상기 탄성부의 상측에서 상기 조임 볼트(13a)에 체결되는 조임 너트(13b) 및 상기 탄성부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조임 너트(13b)의 수직 이동을 상기 탄성부의 폭 방향 움직임으로 변환시키는 조임 와셔(13c)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20)는 일정한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사출 성형되는 하우징(21)과, 상기 일부가 절개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1)에 결합되는 코어(22)와, 축전지의 상태를 감지하는 상기 홀 센서(24)가 설치된 상기 PCB(23)에 실장되는 캐패시터(25) 및 온도센서(26)와, 상기 PCB(23)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터미널 어셈블리(10)의 배터리 터미널(11)에 결합되는 커넥터 핀(2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우징(21)의 내부에 상기 코어(22)와 PCB(23) 및 홀 센서(24)가 설치된 후 그 상측에 우레탄이 주입된 후 경화되어 상기 코어(22)와 PCB(23) 및 홀 센서(24)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모듈화된 하우징 어셈블리(20)가 형성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커넥터 핀(27)은 상기 하우징(21)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며, 그로 인해 상기 커넥터 핀(27)이 상기 배터리 터미널(11)에 연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 유닛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 유닛의 제조방법은 도 3과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에 결합되는 배터리 터미널(11)과 케이블(31)이 결합되는 브래킷(12)을 제작한 후 표면 처리하는 단계와; 배터리 터미널(11)에 조임 볼트(13a)와 조임 너트(13b) 및 조임 와셔(13c)로 이루어진 조임부재(13)를 결합시켜 터미널 어셈블리(10)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브래킷(12)에 필러 메탈(12')을 레이저 용접으로 접합하는 단계와; 전류 감지 회로가 형성된 PCB(23)가 구비된 하우징 어셈블리(20)에 상기 브래킷(12)을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 터미널(11)과 브래킷(12)을 브레이징 용접으로 접합하는 단계와; 출력 전압과 소비전력, 전원 응답성 및 전류 응답성을 포함하는 성능을 평가하는 단계와; 상기 브래킷(12)에 케이블(31)을 압착하여 배터리 터미널(11)과 케이블(3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브래킷(112)의 케이블 압착부에 튜브(32)를 삽입한 후 히팅 처리하여 튜브(32)를 수축시키는 단계와; 제품의 외관 품질을 검사한 후 포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전류 감지를 위한 홀 센서(24)와 PCB(23) 등을 하우징(21)에 설치하여 하우징 어셈블리(20)를 형성하고, 터미널 어셈블리(10)와 케이블 어셈블리(30)를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20)에 결합시켜 일체화함으로써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 유닛을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20)를 제조하는 단계는 도 5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을 사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하우징(21)에 코어(22)를 결합시키는 단계와; PCB(23)에 온도센서(26)와 캐패시터(25)를 포함하는 전자부품을 납땜방식으로 SMT 솔더링하는 단계와; 상기 PCB(23)에 대한 통전검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PCB(23)에 배터리 터미널(11)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핀(27)을 조립하는 단계와; 상기 PCB(23)에 홀 센서(24)를 가접하는 단계와; 상기 하우징(21)에 PCB(23)를 조립하는 단계와; 자동 납땜을 통해 상기 홀 센서(24)를 PCB(23)에 접합하는 단계와; 상기 PCB(23)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21)의 상측에 우레탄을 주입하는 단계와; 주입된 우레탄을 열경화시킨 후 상온 경화시키는 단계와; 홀 센서(24)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출력 전압과 소비전력, 전원 응답성 및 전류 응답성을 포함하는 성능을 평가하는 단계와; 외관 품질을 검사한 후 포장하여 모듈화된 하우징 어셈블리(20)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20)를 하나의 단품으로 구성함으로써, 기 제작된 터미널 어셈블리(10)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PCB(23)에 대한 통전 검사와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20)에 대한 성능 평가를 통해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 전체가 아닌 부품 단위로 교체하여 나머지 부품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터미널 어셈블리
11...배터리 터미널
12...브래킷
13...조임부재
13a...조임 볼트
13b...조임 너트
13c...조임 와셔
20...하우징 어셈블리
21...하우징
22...코어
23...PCB
24....홀 센서
25....캐패시터
26...온도센서
27...커넥터 핀
30...케이블 어셈블리
31...케이블
32...튜브

Claims (5)

  1.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에 결합되는 배터리 터미널(11)과, 케이블이 결합되는 브래킷(12)과, 상기 배터리 터미널(11)에 결합되어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에 배터리 터미널(11)을 결합시키는 조임부재(13)를 포함하는 터미널 어셈블리(10)와;
    축전지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홀 센서(24)가 구비된 PCB(23)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타리 터미널(11)에 커넥터 핀(27)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브래킷(12)에 접합되는 하우징 어셈블리(20)와;
    상기 터미널 어셈블리(10)의 브래킷(12)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차량에 접지 연결되는 케이블(31)과 튜브(32)로 이루어진 케이블 어셈블리(30);를 포함하고,
    상기 터미널 어셈블리(10)와 하우징 어셈블리(20) 및 케이블 어셈블리(30)가 모듈화되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2)과 배터리 터미널(11)이 접합되도록 상기 브래킷(12)의 일측 상면에 필러 메탈(12')을 레이저 용접으로 접합하고, 상기 브래킷(12)과 배터리 터미널(11)을 브레이징 용접으로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20)는 일정한 내부 공간이 형성되도록 사출 성형되는 하우징(21)과, 일부가 절개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21)에 결합되는 코어(22)와, 축전지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상기 홀 센서(24)가 설치되는 상기 PCB(23)에 실장되는 캐패시터(25) 및 온도센서(26)와, 상기 PCB(23)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터미널 어셈블리(10)의 배터리 터미널(11)에 결합되는 커넥터 핀(27)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21)의 상측으로 우레탄이 주입된 후 경화되어 모듈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
  4. 축전지의 포스트 단자에 결합되는 배터리 터미널(11)과 케이블(31)이 결합되는 브래킷(12)을 제작한 후 표면 처리하는 단계와;
    배터리 터미널(11)에 조임 볼트(13a)와 조임 너트(13b) 및 조임 와셔(13c)로 이루어진 조임부재(13)를 결합시켜 터미널 어셈블리(10)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브래킷(12)에 필러 메탈(12')을 레이저 용접으로 접합하는 단계와;
    전류 감지 회로가 형성된 PCB(23)가 구비되고 모듈화된 하우징 어셈블리(20)에 상기 브래킷(12)을 결합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 터미널(11)과 브래킷(12)을 브레이징 용접으로 접합하는 단계와;
    출력 전압과 소비전력, 전원 응답성 및 전류 응답성을 포함하는 성능을 평가하는 단계와;
    상기 브래킷(12)에 케이블(31)을 압착하여 배터리 터미널(11)과 케이블(31)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브래킷(112)의 케이블 압착부에 튜브(32)를 삽입한 후 히팅 처리하여 튜브(32)를 수축시키는 단계와;
    제품의 외관 품질을 검사한 후 포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어셈블리(20)를 제조하는 단계는,
    하우징(21)을 사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하우징(21)에 코어(22)를 결합시키는 단계와;
    PCB(23)에 온도센서(26)와 캐패시터(25)를 포함하는 전자부품을 납땜방식으로 SMT 솔더링하는 단계와;
    상기 PCB(23)에 대한 통전검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PCB(23)에 배터리 터미널(11)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 핀(27)을 조립하는 단계와;
    상기 PCB(23)에 홀 센서(24)를 가접하는 단계와;
    상기 하우징(21)에 PCB(23)를 조립하는 단계와;
    자동 납땜을 통해 상기 홀 센서(24)를 PCB(23)에 접합하는 단계와;
    상기 PCB(23)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21)의 상측에 우레탄을 주입하는 단계와;
    주입된 우레탄을 열경화시킨 후 상온 경화시키는 단계와;
    홀 센서(24)에 대한 보정을 수행하는 단계와;
    출력 전압과 소비전력, 전원 응답성 및 전류 응답성을 포함하는 성능을 평가하는 단계와;
    외관 품질을 검사한 후 포장하여 모듈화된 하우징 어셈블리(20)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의 제조방법.
KR1020160068587A 2016-06-02 2016-06-02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 유닛 및 그 제조방법 KR101791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587A KR101791050B1 (ko) 2016-06-02 2016-06-02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 유닛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8587A KR101791050B1 (ko) 2016-06-02 2016-06-02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 유닛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050B1 true KR101791050B1 (ko) 2017-10-27

Family

ID=60300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8587A KR101791050B1 (ko) 2016-06-02 2016-06-02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 유닛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0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888B1 (ko) * 2017-10-26 2019-04-18 계양전기 주식회사 저항브레이징방식의 접합부를 갖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KR102199832B1 (ko) * 2020-06-24 2021-01-07 최정석 핀커넥터 제조를 위한 원판재 구조
KR102340740B1 (ko) * 2021-07-21 2021-12-17 선원하이텍(주) 터미널 감시에 이용되는 절연튜브 모듈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7009A (ja) * 2001-12-03 2003-06-13 Stanley Electric Co Ltd 電流検出装置
KR100928563B1 (ko) * 2009-04-08 2009-11-25 태성전장주식회사 자동차용 배터리 전류 검출장치
KR101222744B1 (ko) * 2012-03-16 2013-01-15 태성전장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의 음단자에 장착되는 배터리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7009A (ja) * 2001-12-03 2003-06-13 Stanley Electric Co Ltd 電流検出装置
KR100928563B1 (ko) * 2009-04-08 2009-11-25 태성전장주식회사 자동차용 배터리 전류 검출장치
KR101222744B1 (ko) * 2012-03-16 2013-01-15 태성전장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의 음단자에 장착되는 배터리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888B1 (ko) * 2017-10-26 2019-04-18 계양전기 주식회사 저항브레이징방식의 접합부를 갖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KR102199832B1 (ko) * 2020-06-24 2021-01-07 최정석 핀커넥터 제조를 위한 원판재 구조
KR102340740B1 (ko) * 2021-07-21 2021-12-17 선원하이텍(주) 터미널 감시에 이용되는 절연튜브 모듈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6576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KR101791050B1 (ko) 아날로그 배터리 센서 유닛 및 그 제조방법
KR101310505B1 (ko) 케이스 몰드형 콘덴서
US20140165727A1 (en) Sensor Unit for a Vehicle
CN107534123B (zh) 电池状态探测装置及其制造方法
US9282655B2 (en) 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
US20130068978A1 (en) Inductive rotation angle sensor and method of mounting the same
CN105009328B (zh) 用于在车辆电池上固持电流传感器的机械固持元件
US10388994B2 (en) Battery state de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102084732A (zh) 用于车辆的人员保护装置的控制装置以及用于装配该控制装置的方法
KR100910883B1 (ko) 차량용 배터리 센서의 제조 방법
US20210313737A1 (en) Plug Connecting Element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a Plug Connecting Element of This Type
KR101374381B1 (ko) 차량용 전류센서 및 그 제조방법
JP5522108B2 (ja) センサ装置
US9404978B2 (en) Arrangement of an electronic sensor device at a terminal post clamp of a battery and a method for producing such an arrangement
JP5755263B2 (ja) バッテリー状態検知装置
KR101692632B1 (ko) 자동차 배터리용 전류 센서 박스
JP5703912B2 (ja) 電子部品装置
KR101222744B1 (ko) 차량용 배터리의 음단자에 장착되는 배터리 센서 어셈블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1329286B1 (ko) 배터리 전류 측정 장치
KR100838055B1 (ko) 전류 센서
KR101718687B1 (ko) 배터리 센서 어셈블리용 센싱 모듈의 결합 구조
CN103311679B (zh) 电极接线柱复合结构
KR101850439B1 (ko) 자동차용 배터리 센서 조립체
US11536771B2 (en) Current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