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963B1 - 휴대용 방범 기구 - Google Patents

휴대용 방범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963B1
KR101790963B1 KR1020160081252A KR20160081252A KR101790963B1 KR 101790963 B1 KR101790963 B1 KR 101790963B1 KR 1020160081252 A KR1020160081252 A KR 1020160081252A KR 20160081252 A KR20160081252 A KR 20160081252A KR 101790963 B1 KR101790963 B1 KR 101790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battery
led lamp
rotary vane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1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준협
Original Assignee
신준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준협 filed Critical 신준협
Priority to KR1020160081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9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6K9/002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13Recognition of a predetermined image pattern or behaviour pattern indicating theft or intru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방범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발광하는 LED가 내장된 휴대용 방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휴대용 방범 기구는 바 타입의 바디, 상기 바디 상단에 형성되는 회전 날개, 상기 바디 상에 형성되는 배터리, 상기 회전 날개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LED 램프, 상기 회전 날개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에 의해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바디 상에 형성되는 카메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방범 기구{Portable Security Apparatus}
본 발명은 휴대용 방범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발광하는 LED가 내장된 휴대용 방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어린 학생들에게 가해지는 학교 폭력은 물론 어린이, 여성, 노약자, 성인 등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납치, 유괴, 폭력, 강도, 강간, 살인 등 각종 강력범죄가 날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강력범죄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어두운 밤 한적한 곳 등에서 어려움에 처했을 때 타인에게 도움을 요청하기는 매우 어렵다. 특히 학교 폭력의 경우에는 범죄가 발생된 경우 즉각적으로 신고하지 못하거나 보복이 두려워서 범죄 피해자가 제대로 범죄자를 즉각적으로 신고하지 못하여 속수무책으로 피해를 당하는 경우가 많다.
학교 폭력 등의 강력범죄는 순식간에 일어나기에 최대한 빨리 상황을 인지하여 신속한 출동이 이루어져 빠른 상황 대처가 이루어져야만 사건 당사자의 안전을 보장받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이하, "휴대단말기"라 칭함)의 소지자에 대한 긴급 상황 대처 방법은 보호하고자 하는 대상자의 현재 위치만을 수집하여 문자 메시지 등의 통신 수단을 통해 관할 관청에 신고할 수 있는 정도이다.
자세하게는 종래의 휴대단말기에 구비되는 긴급구조기능은 경고음(호루라기, 싸이렌 등)을 크게 울려 치한을 퇴치하거나, 긴급구조문자, 구조음성, GPS를 이용한 사용자의 위치 등을 경찰서(보안업체 포함)나 관련 보호자들에게 전송하여 도움을 요청하는 방법으로 운영되고 있다.
한편 보급형 휴대단말기의 경우에도 카메라 기능이 탑재되고 있는데, 이러한 카메라를 어두운 곳에서 촬영하는 경우 어느 정도의 밝기가 보장되어야 피사체에 초점을 맞춘 후 촬영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휴대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주위에는 LED램프가 구비되어 사용자에 의해 LED램프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며, 상기 카메라로 획득한 피사체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촬영 모드에서 셔터 버튼이 눌리면 상기 카메라로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메모리에 기록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즉, 사용자는 물체 식별이 어려울 정도로 어두운 환경에서도 LED램프에 의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피사체 영상을 보면서 촬영 구도를 잡을 수 있으므로, 범죄현장을 촬영하면 자신의 모습이 촬영되었다는 사실을 인지한 범인이 다른 사람에게 촬영정보가 전달되었다는 것을 우려하여 범행을 포기하거나, 더 이상 범행은 진행되지 않을 것이라 판단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문자, 음성, 위치 전송만으로 범인을 쉽게 구별할 수 없고, 또한 긴급구조 요청 시 긴급구조문자를 보내기 위해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서 추가로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므로 위급상황 시 당황하여 빠르게 대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범인을 검거하는데 결정적인 증거를 댈 수 없어 신속한 검거를 지원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에 대한 긴급 상황에 대한 대처 방법은 실질적으로 그 효과가 미미하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카메라로 범인 몰래 촬영하여 범인이 이러한 촬영사실을 인지하지 못하는 상황일지라도 위급 상황을 통보받은 사람은 즉시 피해자의 구조에 나설 수 있어 범죄 예방에 큰 효과가 있고, 더 큰 범죄로 진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24606호(발명의 명칭: 스마트 폰 연계 전자 태그 비상 경보 신호를 이용한 배움터 안전 지킴이 방범 시스템) 한국등록특허 제10-1404254호(발명의 명칭: 방범용 비상호출 시스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휴대가 간편한 방범 기능을 갖는 방범 기구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별도의 전원 공급없이 내장된 스피커 또는 LED를 구동시키는 방범 기구를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는 입력받은 정보가 설정된 조건에 해당하면 자동으로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방범 기구를 제안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휴대용 방범 기구는 바 타입의 바디, 상기 바디 상단에 형성되는 회전 날개, 상기 바디 상에 형성되는 배터리, 상기 회전 날개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LED 램프, 상기 회전 날개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에 의해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바디 상에 형성되는 카메라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방범 기구는 전방에 범법자가 있다고 판단되면, 회전 날개에 형성된 LED 램프를 구동하거나, 스피커로 음성을 출력한다. 이와 같이 전 날개에 형성된 LED 램프를 구동하거나, 스피커로 음성을 출력함으로써 제3자인 범법자는 주의를 환기하여 장소를 이탈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 날개 앞에 상대적으로 작은 회전 날개를 형성하며, 형성된 작은 회전 날개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LED 램프나 스피커를 구동함으로써 외부의 전원 공급없이 LED 램프나 스피커를 구동할 수 있다.
이외에도 스피커로 음성을 출력하거나 LED 램프를 구동하는 조건을 설정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된 정보가 설정된 조건에 부합하명 음성을 출력하거나 LED 램프를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로 버턴을 조작하지 않더라도 스피커로 음성을 출력하거나 LED 램프를 구동하여 주의를 환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방범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방범 기구를 도시한 다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방범 기구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방범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방범 기구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휴대용 방범 기구는 회전 날개, 카메라, 배터리, 스피커, LED 램프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용 방범 기구에 포함될 수 있다.
회전 날개(102)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배터리(미도시)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에 의해 회전한다. 사용자는 평상시 방범 기구를 선풍기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카메라(106)는 휴대용 방범 기구를 구성하는 바 타입의 바디(108)에 형성된다. 카메라(106)는 바디(108) 상에 형성된 상태에서 외부의 영상을 촬영한다. 카메라(106)는 평상시에는 구동되지 않지만, 버턴(104) 조작에 의해 카메라(106)가 구동된다.
배터리(미도시)는 바디(108) 내부에 내장되며, 카메라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휴대용 방범 기구는 내장된 배터리(미도시)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단자를 포함한다.
스피커(110)는 휴대용 방범 기구의 바디 상에 형성되거나, 회전 날개의 회전축에 형성된다. 이외에도 스피커는 회전 날개의 종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스피커(110)가 회전 날개 상에 형성되는 경우, 회전 날개의 무게 중심을 맞추기 위해 적어도 2개의 스피커가 회전 날개에 형성된다. 즉, 회전 날개의 개수가 짝수 개인 경우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는 회전 날개에 각각 스피커를 형성하며, 회전 날개의 개수가 홀수 개인 경우에는 모든 회전 날개에 스피커를 형성한다.
LED 램프(112)는 회전 날개의 종단부에 형성되며, 배터리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의 크기에 따라 밝기가 달라진다. LED 램프는 스피커가 형성되지 않은 회전 날개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 날개는 스피커와 LED 램프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용 방범 기구는 다수의 버턴을 포함하며, 버턴을 이용하여 휴대용 방범 기구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휴대용 방범 기구에 포함된 버턴을 이용하여 스피커 또는 LED 램프를 구동하거나, 회전 날개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방범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2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방범 기구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휴대용 방범 기구는 제1 회전 날개, 제2 회전 날개, 카메라, 배터리, 스피커 및 LED 램프를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구성 이외에 다른 구성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용 방범 기구에 포함될 수 있다.
휴대용 방범 기구는 제1 회전 날개(102a) 및 제2 회전 날개(102b)를 포함한다. 제1 회전 날개(102a)는 배터리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에 의해 회전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제1 회전 날개(102a)의 전방에 제2 회전 날개(102b)가 위치한다. 또한, 제2 회전 날개(102b)는 제1 회전 날개(102a)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한다.
제2 회전 날개(102b)는 제1 회전 날개(102a)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공기의 이동)에 의해 제2 회전 날개(102b)가 회전한다. 제2 회전 날개(102b)의 회전에 의해 발생된 전력은 배터리에 충전된다. 즉, 제2 회전 날개(102b)는 배터리의 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제1 회전 날개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며, 회전에 의해 생성된 전력은 배터리에 충전된다. 이를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회전 날개의 크기는 제1 회전 날개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며, 상대적으로 바람의 세기가 가장 큰 제1 회전 날개의 종단부 전방에 위치한다.
카메라(106)는 휴대용 방범 기구를 구성하는 바디에 형성된다. 카메라는 바디 상에 형성된 상태에서 외부의 영상을 촬영한다. 카메라는 평상시에는 구동되지 않지만, 버턴(104) 조작에 의해 카메라가 구동된다.
배터리(미도시)는 바 타입의 바디 내부에 내장되며, 카메라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휴대용 방범 기구는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단자를 포함한다.
스피커(110)는 휴대용 방범 기구의 바디 상에 형성되거나, 회전 날개의 회전축에 형성된다. 이외에도 스피커는 회전 날개의 종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스피커가 회전 날개 상에 형성되는 경우, 회전 날개의 무게 중심을 맞추기 위해 적어도 2개의 스피커가 회전 날개에 형성된다. 즉, 회전 날개의 개수가 짝수 개인 경우에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맞은편에 위치하는 회전 날개에 각각 스피커를 형성하며, 회전 날개의 개수가 홀수 개인 경우에는 모든 회전 날개에 스피커를 형성한다.
LED 램프(112)는 회전 날개의 종단부에 형성되며, 배터리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의 크기에 따라 밝기가 달라진다. LED 램프는 스피커가 형성되지 않은 회전 날개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회전 날개는 스피커와 LED 램프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된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용 방범 기구는 다수의 버턴을 포함하며, 버턴을 이용하여 휴대용 방범 기구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휴대용 방범 기구에 포함된 버턴을 이용하여 스피커 또는 LED 램프를 구동하거나, 회전 날개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용 방범 기구에 추가되는 기능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용 방범 기구는 마이크를 포함한다. 마이크는 주변의 음성을 입력받는다. 휴대용 방범 기구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저장부는 방범 기구를 구성하는 스피커나 LED 램프의 구동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는 음성 정보를 저장한다. 음성 정보는 욕이나 돈과 관련된 음성이 포함된다. 이외에도 음성 정보는 일반적으로 강도나 도둑이 범법 행위를 할 때 사용하는 음성이 포함된다.
휴대용 방범 기구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이 저장된 음성 정보에 포함되면, 스피커를 구동하거나 LED 램프를 구동한다.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의 크기나 LED 램프에 발광하는 빛의 세기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이 저장된 음성 정보에 포함되는 음성이 많을수록 증가한다. 따라서 초기에는 음성의 크기나 LED램프의 빛의 세기가 낮아지나, 반복해서 저장된 음성 정보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의 크기나 LED 램프의 빛의 세기가 높아진다. 또한, 의도하지 않게 외부로부터 입력받은 음성이 저장된 음성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반복해서 스피커로 음성이 출력되거나 LED 램프가 발광하는 것을 차단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피커나 LED 램프는 버턴을 이용하여 스피커로 음성을 출력하거나 LED 램프가 발광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출력되는 음성의 크기나 LED 램프의 빛의 세기 역시 버턴을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이외에도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용 방범 기구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이 설정된 기간 이상이거나 LED 램프의 빛의 세기가 설정된 세기 이상이면 설정된 모바일 단말로 응급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포함한다. 설정된 모바일 단말은 적어도 2개 이상일 수 있다.
이외에도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스피커로 음성을 출력하거나 LED 램프를 발광한다. 이를 위해 카메라는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얼굴을 추출하며, 추출한 얼굴의 크기가 설정된 크기 이상이면 스피커로 음성을 출력하거나 LED 램프를 발광한다. 즉, 추출한 얼굴의 크기가 설정된 크기 이하이면 카메라로 촬영된 얼굴의 당사자는 휴대용 방범 기구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를 위협하는 사람이 아니라 지나가는(스쳐가는) 사람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추출한 얼굴의 크기가 설정된 크기 이하이면 스피커와 LED 램프를 구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용 방범 기구는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얼굴의 크기가 설정된 크기 이상이면 스피커로 음성을 출력하거나 LED 램프를 발광한다.
또한, 설정된 시간 이내에 추출된 얼굴의 개수를 이용하여 스피커로 음성을 출력하거나 LED 램프를 발광한다. 설정된 시간 이내에 추출된 얼굴의 개수가 많으면 사람이 많이 다니는 번화가라고 판단되므로 스피커와 LED 램프를 구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설정된 시간 이내에 추출한 얼굴의 개수가 적으면 사람이 많이 다니지 않는 장소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스피커로 음성을 출력하거나 LED 램프를 발광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방범 기구의 동작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방범 기구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S300단계에서 휴대용 방범 기구는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얼굴을 추출한다.
S302단계에서 휴대용 방범 기구는 추출한 얼굴이 설정된 크기 이상이거나, 설정된 시간 동안에 추출한 얼굴의 개수가 설정된 개수 이상인지 확인한다.
S304단계에서 휴대용 방범 기구는 추출한 얼굴이 설정된 크기 이상이거나, 설정된 시간 동안에 추출한 얼굴의 개수가 설정된 개수 이상이면 스피커로 음성을 출력하거나 LED 램프를 발광한다. 휴대용 방범 기구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며,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를 이용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음성 데이터는 '외부인이 침입하였음을 관공서에 통보'하였음을 나타내는 데이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음성 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외부인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여 주의를 환기시킬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바디에는 압력센서를 부가할 수 있다. 압력센서는 바디에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하며, 측정된 압력이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LED 램프를 점등하거나, 스피커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압력이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설정된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바디에 형성된 압력센서는 압력의 급격한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LED 램프를 점등하거나, 스피커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압력의 급격한 변화가 감지된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사용자 단말로 설정된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파지하고 있는 방범 기구를 떨어트려 현재 위급 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외부로 통지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바디에는 요철부를 형성한다. 요철부의 하단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압력센서가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은 파지 시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하는 부근에 요철부를 형성한다. 즉, 사용자는 바디를 파지할 경우, 손가락이 위치하는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압력이 가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손가락이 위치하는 부근에 요철부를 형성하며, 형성된 요철부의 하단에 압력센서를 형성한다.
회전날개의 중심에는 회전날개의 회전횟수를 측정하는 센서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회전날개의 회전 횟수에 따라 LED램프의 발광 색상을 달리한다. 즉, 회전날개의 회전횟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경우에는 초록색 LED 램프가 발광하며, 회전날개의 회전횟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에는 적색 LED 램프가 발광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회전날개의 회전횟수에 따라 발광하는 LED 램프의 색상을 달리한다.
회전날개의 색상은 모두 동일한 것으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회전날개의 색상은 다른 회전날개의 색상과 다르게 하며, 센서는 색상이 상이한 회전날개를 감지하여 회전날개의 회전횟수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회전센서와 압력센서는 항시 구동되는 것이 아니라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얼굴의 수가 설정된 수 이하이거나, 촬영된 얼굴의 크기가 설정된 크기 이상이면 구동한다. 즉, 전원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회전센서와 압력센서는 항상 구동되는 것이 평상시에는 구동하지 않는다. 하지만,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얼굴의 수가 설정된 수 이하이거나, 촬영된 얼굴의 크기가 설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즉, 위급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는 회전센서와 압력센서가 구동한다.
물론 회전센서와 압력센서 모두 구동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얼굴의 수가 설정된 수 이하이거나, 촬영된 얼굴의 크기가 설정된 크기 이상이면, 압력센서가 구동한다. 압력센서가 구동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바디를 가압하면, 회전센서가 구동하며, 회전날개의 회전속도는 증가한다. 회전날개의 회전속도는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에 따라 달라진다. 즉,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이 강한 경우에는 회전날개의 회전속도는 증가하며,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이 약한 경우에는 회전날개의 회전속도는 낮아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날개의 회전속도가 높아지면, LED 램프의 색상은 적색으로 바뀐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상황은 카메라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에 포함된 얼굴의 개수나 크기에 의해 시작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회전날개는 바디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다. 즉, 평상시 휴대가 용이하도록 회전날개는 바디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며, 필요한 경우 분리된 회전날개를 바디에 체결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2: 회전 날개 104: 버턴
106: 카메라 108: 바디
110: 스피커 12: LED 램프

Claims (8)

  1. 바 타입의 바디;
    상기 바디 상단에 형성되는 회전 날개;
    상기 바디 상에 형성되는 배터리;
    상기 회전 날개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LED 램프;
    상기 회전 날개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에 의해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바디 상에 형성되는 카메라;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1 버턴; 및
    상기 LED 램프로부터 출력되는 빛의 밝기를 조절하는 제2 버턴;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 날개는,
    상기 바디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에 의해 회전하는 제1 회전 날개;
    상기 제1 회전 날개보다 상대적으로 작으며, 상기 제1 회전 날개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회전 날개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며, 생성된 전력을 상기 배터리에 충전하는 제2 회전 날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방범 기구.
  2. 삭제
  3. 삭제
  4. 바 타입의 바디;
    상기 바디 상단에 형성되는 회전 날개;
    상기 바디 상에 형성되는 배터리;
    상기 회전 날개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LED 램프;
    상기 회전 날개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달받은 전원에 의해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 및
    상기 바디 상에 형성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으로 얼굴을 추출하며, 추출한 얼굴이 설정된 크기 이상이거나, 설정된 시간 동안에 추출한 얼굴의 개수가 설정된 개수 이상이면 스피커로 음성을 출력하거나 LED 램프를 발광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방범 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는 외부로부터 음성을 입력받으며,
    입력받은 음성이 저장된 음성 정보에 포함되면, 스피커로 음성을 출력하거나 LED 램프를 발광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방범 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설정된 메시지를 설정된 모바일 단말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방범 기구.
  7. 제 4항에 있어서,
    바디 상에 압력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으로 얼굴을 추출하며, 추출한 얼굴이 설정된 크기 이상이거나, 설정된 시간 동안에 추출한 얼굴의 개수가 설정된 개수 이상이면,
    상기 압력 센서가 구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방범 기구.
  8. 제 7항에 있어서, 회전 날개 상에 형성되는 회전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센서는 상기 압력 센서로부터 측정된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상이면 구동하며, 상기 회전센서는 상기 회전 날개의 회전 횟수를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방범 기구.
KR1020160081252A 2016-06-29 2016-06-29 휴대용 방범 기구 KR101790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252A KR101790963B1 (ko) 2016-06-29 2016-06-29 휴대용 방범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1252A KR101790963B1 (ko) 2016-06-29 2016-06-29 휴대용 방범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0963B1 true KR101790963B1 (ko) 2017-10-27

Family

ID=60300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252A KR101790963B1 (ko) 2016-06-29 2016-06-29 휴대용 방범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96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0524A (ja) * 2007-09-25 2009-04-16 Masato Otsuka 防犯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80524A (ja) * 2007-09-25 2009-04-16 Masato Otsuka 防犯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8752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n emergency situation
US2021005698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n emergency situation
AU2010210285B2 (en) Emergency call device
US9336663B1 (en) Alarm system and enclosure
US2014012097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multiple coordinated safety responses
US10262524B2 (en) Personal security whistle apparatus
JP2007221327A (ja) 監視システム、撮像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声音出力装置
US20190114902A1 (en) Handheld emergency communications and location in-formation systems
US9715805B1 (en) Wireless personal safety device
US10147304B1 (en) Handheld emergency communications and location information systems
US20190287383A1 (en) Multi-Functional Personal Security System
US20170069196A1 (en) Emergency notification and response system
KR20130019236A (ko) 비상기구 통합수납함
KR101790963B1 (ko) 휴대용 방범 기구
KR101057149B1 (ko) 순찰용 안전모자 및 그러한 안전모자를 이용한 순찰자 관리장치
CN202472870U (zh) 新型气体报警仪
JP2006086582A (ja) 携帯型防犯カメラ
EP3255619A1 (en) Wireless personal safety device
KR20210014954A (ko) 치한 퇴치용 안전장치
JP3051537U (ja) カメラにおける音声合成報知装置
US11837077B1 (en) Instant alert notifier and docking station
US11062592B2 (en) Danger zone protection and assistance system
CN208156295U (zh) 一种新型的视频内窥镜
ITPD20120192A1 (it) Struttura di contenimento e protezione per un defibrillatore semiautomatico esterno
KR200344627Y1 (ko) 휴대용 호신 경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