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951B1 -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 - Google Patents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951B1
KR101790951B1 KR1020160035559A KR20160035559A KR101790951B1 KR 101790951 B1 KR101790951 B1 KR 101790951B1 KR 1020160035559 A KR1020160035559 A KR 1020160035559A KR 20160035559 A KR20160035559 A KR 20160035559A KR 101790951 B1 KR101790951 B1 KR 101790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event
client
moving picture
pro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5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0992A (ko
Inventor
김남균
천솔지
Original Assignee
(주)잼투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잼투고 filed Critical (주)잼투고
Priority to KR1020160035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951B1/ko
Priority to PCT/KR2017/002554 priority patent/WO2017164547A1/ko
Publication of KR20170110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24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the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 감상 중인 사용자의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 조작행위 또는 사용자 단말기 조작행위 중 몰입성 이벤트를 감지하여 이를 컨텐츠 가중치 조정에 활용하는 몰입성 이벤트 가중치 조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System of Adjust Weight Value of Contents Based on Immersive Event}
본 발명은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 감상 중인 사용자의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 조작행위 또는 사용자 단말기 조작행위 중 몰입성 이벤트를 감지하여 이를 컨텐츠 가중치 조정에 활용하는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의 비디오 촬영 기능의 발전과 사용자들의 개인화된 컨텐츠(UGC, User Generated Contents) 제작 욕구의 증가에 따라 다양한 동영상 컨텐츠들이 생산 및 제공되고 있다. UGC 증가는 컨텐츠 다양화 측면에서 긍정적이지만, 저품질 UGC들의 범람은 고품질 UGC의 검색 및 활용을 어렵게 하는 부정적인 측면이 있다. YouTube 등과 같은 동영상 제공 서비스 사이트에서 원하는 동영상 컨텐츠를 찾기 위해 사용자들은 키워드 검색을 수행하고, 동영상 제공 서비스 제공자의 검색추천 알고리즘에 따라 사용자 요구에 부합하는 동영상 컨텐츠들을 검색 컨텐츠 목록으로서 추천하고 사용자가 추천된 동영상 컨텐츠들 중에서 감상할 동영상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동영상 컨텐츠가 선택되면, 동영상 컨텐츠의 플레이 중에 동영상 서비스 제공자는 현재 플레이 중인 동영상 컨텐츠와 유사한 속성을 갖는 연관 동영상 컨텐츠들을 연관 컨텐츠 목록으로서 추가적으로 추천하기도 하고, 사용자가 해당 동영상 제공 서비스 사이트에 로그인을 하는 경우 동영상 제공 서비스 제공자는 과거의 해당 사용자의 동영상 감상 이력 또는 동영상 검색 이력을 참조하여 해당 사용자의 기호에 부합하는 동영상 컨텐츠들을 예측하여 맞춤형 컨텐츠 목록으로서 해당 사용자에게 추천하기도 한다.
이때 검색 컨텐츠 목록, 연관 컨텐츠 목록, 맞춤형 컨텐츠 목록은 동영상 제공 서비스 제공자가 부여한 컨텐츠 가중치에 따라 동영상 컨텐츠들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가장 일반적인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이자 제 1 종래기술은 Athenium사의 미국등록특허 제5,790,426호 “automated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 및 Netflix사의 미국등록특허 제8,271,338호 "Approach for Estimating User Rating of Items"에 개시된 바와 같이 통계적인 기법에 따라 동영상 제공 서비스 사이트 가입자들에 의해 가장 많이 플레이된 또는 구매된 동영상 컨텐츠가 높은 컨텐츠 가중치를 갖도록 하는 방법과 동영상 제공 서비스 사이트 가입자들에 의해 가장 추천을 많이 받은 컨텐츠 또는 평점이 높은 컨텐츠가 높은 컨텐츠 가중치를 갖도록 하는 방법 또는 상기 두 가지 방법을 혼합하는 방법이 있었다.
제 1 종래기술에 따르면 가입자들에게 비교적 선별된 양질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지만, 첫째, 평가 초반에 높은 컨텐츠 가중치를 받은 컨텐츠는 계속적으로 노출되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더 높은 가중치를 받는 반면 추후에 추가된 양질의 컨텐츠는 사용자들에게 노출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둘째, 사용자가 컨텐츠 감상 후 평점부여 또는 추천을 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부가적인 행동인 평가행위를 요구하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셋째, 사용자가 낮은 품질의 컨텐츠에 의도적으로 높은 평가 또는 추천을 하거나 반대로 높은 품질의 컨텐츠에 의도적으로 낮은 평가 또는 비추천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 2 종래기술로, 사용자의 감상 중 신체적 변화를 인식하여 인식된 결과를 기초로 컨텐츠 몰입도를 추정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Microsoft사의 미국등록특허 제8,898,687호 "Controling a Media Program Based on a Media Reaction"은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머리방향을 감지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몰입도를 추정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Microsoft사의 다른 미국등록특허 제9,100,685호 "Determining Audience State or Interest Using Passive Sensor Data"는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표정 또는 감정을 감지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몰입도를 추정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MoviTV사의 미국등록특허 제8,832,721호는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몰입도를 추정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576892호 “무선 통신을 이용한 뇌파/심박도 기반의 콘텐츠 추천 시스템 및 콘텐츠 추천 방법”은 뇌파/심박도 감지 헤드셋을 통해 사용자의 뇌파 및 심박도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몰입도를 추정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신체적 변화에 기반한 제 2 종래기술에 따르면, 제 1 종래기술과는 달리 사용자에게 부가적인 추천행위 또는 평가행위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이 높고, 사용자의 신체적 변화에 기반하기 때문에 제 1 종래기술에 비해 왜곡된 평가에 의한 영향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첫째, 동영상 감상중인 사용자의 신체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 예컨대 카메라 장비, 뇌파 측정 장비 등의 고가의 부가적인 장비가 요구되고, 해당 장비를 구비하지 않은 일반적인 모니터, 텔레비전에는 그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둘째, 컨텐츠 평가는 양질의 컨텐츠를 가입자에게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궁극적으로 동영상 서비스 제공자의 이익을 위한 것인데, 이를 위해 사용자는 동영상 감상 중에 지속적으로 민감한 개인정보에 해당하는 신체정보를 제공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를 야기할 뿐 아니라 개인정보 수집을 민감하게 제한하는 국가에서는 관련 법률을 위반하는 문제가 있다.
이밖에 제 3 종래기술로서 사용자의 컨텐츠 재생행태를 기초로 컨텐츠 몰입도를 추정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MobiTV사의 미국등록특허 제8,875,167호 "Implicit Mechanism for Determining User Response to Media"는 사용자의 컨텐츠 감상 시간을 통해 몰입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Apple사의 미국등록특허 제8,832,753호 "Filtering and Tailoring Multimedia Content Based on Observed User Behavior" 및 EchoStar사의 미국공개특허 제2014-0033240호 "Systems and Methods for Assessing Viewer Interest in Content and Advertisements"는 사용자의 컨텐츠 감상 중 광고의 스킵 여부를 통해 광고 몰입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사용자의 컨텐츠 재생행태에 기반한 제 3 종래기술에 따르면, 제 1 종래기술과는 달리 사용자에게 부가적인 추천행위 또는 평가행위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 편의성이 높고, 제 2 종래기술과는 달리 부가적인 장비가 요구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컨텐츠 재생행태는 신체정보와는 달리 민감도 및 중요도가 높지 않은 개인정보에 해당하여 프라이버시 침해의 가능성 및 개인정보 관련 법령 위반의 가능성이 낮은 장점이 있다.
하지만, 제 3 종래기술은 최근 사용자들의 동영상 컨텐츠 감상행태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예컨대 영화 또는 TV 시리즈와 같은 유료 동영상 컨텐츠는 사용자의 정속 감상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스킵 이벤트가 일어날 가능성이 적으며, 스킵 이벤트 발생은 사용자의 매우 낮은 몰입도를 반영한다고 추정할 수 있다. 반대로 광고 동영상 컨텐츠는 사용자의 스킵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정속 감상 이벤트가 일어날 가능성이 적으며, 정속 감상 이벤트 발생은 사용자의 매우 높은 몰입도를 반영한다고 추정할 수 있다. 하지만, 유료 동영상 컨텐츠 및 광고 동영상 컨텐츠가 아닌 YouTube와 같은 대규모 동영상 제공 서비스 사이트에서 사용자가 동영상 컨텐츠를 찾는 경우, 최근 UGC 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사용자들은 수많은 컨텐츠들 중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취사선택해야 하기 때문에 몰입도와 무관하게 관심 있는 부분만 찾아서 보고 나머지 부분은 스킵하거나 다른 동영상으로 건너뛰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제 3 종래기술에 따르면 대부분의 컨텐츠 감상형태에 대해 몰입도가 낮은 것으로 평가하는 문제가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5,790,426호 미국등록특허 제8,271,338호 미국등록특허 제8,898,687호 미국등록특허 제9,100,685호 미국등록특허 제8,832,721호 한국등록특허 제1576892호 미국등록특허 제8,875,167호 미국등록특허 제8,832,753호 미국공개특허 제2014-0033240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은, 사용자의 동영상 컨텐츠 감상 중의 시각적 집중 행위에 해당하는 동영상 플레이어(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 조작행위인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확대 이벤트, 클라이언트 해상도 변경 이벤트, 또는 사용자의 동영상 컨텐츠 감상 중의 청각적 집중 행위에 해당하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 조작행위인 클라이언트 음량 증가 이벤트 중 어느 하나를 제 1 몰입성 이벤트로 감지하는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 및 제 1 몰입성 이벤트가 발생한 동영상 컨텐츠의 컨텐츠 가중치를 변경하는 컨텐츠 평가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시각적 집중 행위 또는 청각적 집중 행위를 컨텐츠 몰입도로서 검출하여 이를 컨텐츠 가중치 조정에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컨텐츠 몰입도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컨텐츠 추천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은, 동영상 컨텐츠에 제공되는 추가정보에 접속할 수 있는 링크객체 또는 동영상 컨텐츠 내부에 오버레이되는 동영상을 입력하는 입력객체와 같은 인터랙티브 객체를 사용자가 선택함에 따라 발생하는 인터랙티브 객체 선택 이벤트를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제 2 몰입성 이벤트로 감지하는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 및 제 2 몰입성 이벤트가 발생한 동영상 컨텐츠의 컨텐츠 가중치를 변경하는 컨텐츠 평가 서버를 통해 인터랙티브 객체를 활용한 동영상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용자의 컨텐츠 몰입도를 추가적으로 검출하여 이를 컨텐츠 가중치 조정에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컨텐츠 몰입도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컨텐츠 추천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은, 사용자의 동영상 컨텐츠 감상 중의 시각적 집중 행위에 해당하는 비디오 장치 변경 이벤트, 비디오 장치 추가 이벤트, 시스템 해상도 변경 이벤트 등과 같은 시스템 비디오 출력 변화 이벤트를 사용자 단말기의 시스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제 3 몰입성 이벤트로 감지하는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 및 제 3 몰입성 이벤트가 발생한 동영상 컨텐츠의 컨텐츠 가중치를 변경하는 컨텐츠 평가 서버를 통해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가 아닌 사용자 단말기의 시스템 상의 시각적 집중 행위에 해당하는 비디오 장치 변화를 추가적으로 검출하여 이를 컨텐츠 가중치 조정에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컨텐츠 몰입도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컨텐츠 추천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은, 사용자의 동영상 컨텐츠 감상 중의 청각적 집중 행위에 해당하는 오디오 장치 변경 이벤트, 오디오 장치 추가 이벤트, 시스템 음량 증가 이벤트 등과 같은 시스템 오디오 출력 변화 이벤트를 사용자 단말기의 시스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제 3 몰입성 이벤트로 감지하는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 및 제 3 몰입성 이벤트가 발생한 동영상 컨텐츠의 컨텐츠 가중치를 변경하는 컨텐츠 평가 서버를 통해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가 아닌 사용자 단말기의 시스템 상의 청각적 집중 행위에 해당하는 오디오 장치 변화를 추가적으로 검출하여 이를 컨텐츠 가중치 조정에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컨텐츠 몰입도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컨텐츠 추천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은,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추천 이벤트, 컨텐츠 공유 이벤트, 컨텐츠 업로드 사용자의 채널 구독 이벤트, 컨텐츠 업로드 사용자의 다른 컨텐츠에 대한 추가 검색 이벤트, 또는 추천 동영상에 대한 연속 시청 이벤트를 제 4 몰입성 이벤트로 감지하는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 및 제 4 몰입성 이벤트가 발생한 동영상 컨텐츠의 컨텐츠 가중치를 변경하는 컨텐츠 평가 서버를 통해 컨텐츠 감상 이후의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긍정적 행위를 추가적으로 검출하여 이를 컨텐츠 가중치 조정에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컨텐츠 몰입도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컨텐츠 추천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은,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동작변화를 모니터링하여 동작변화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모니터링 클라이언트와 동작변화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동영상 컨텐츠 감상 중의 시각적 집중 행위에 해당하는 동영상 플레이어(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 조작행위인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확대 이벤트, 클라이언트 해상도 변경 이벤트, 또는 사용자의 동영상 컨텐츠 감상 중의 청각적 집중 행위에 해당하는 동영상 플레이어 조작행위인 클라이언트 음량 증가 이벤트 중 어느 하나를 제 1 몰입성 이벤트로 감지하여 컨텐츠 가중치를 변경하는 컨텐츠 평가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시각적 집중 행위 또는 청각적 집중 행위를 컨텐츠 몰입도로서 검출하여 이를 컨텐츠 가중치 조정에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컨텐츠 몰입도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컨텐츠 추천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은,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몰입성 이벤트의 감지에 따라 컨텐츠 몰입도를 평가하는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동영상 컨텐츠를 공급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와 통신하여 컨텐츠의 가중치를 변경하는 컨텐츠 평가 서버로 구성되는 시스템을 이용한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연산처리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시각화 및/또는 청각화된 동영상 컨텐츠로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연산처리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이 증가하도록 하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확대 이벤트,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변경하도록 하는 클라이언트 해상도 변경 이벤트, 또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청각적으로 재생하는 클라이언트 음량이 증가하도록 하는 클라이언트 음량 증가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 1 몰입성 이벤트로서 감지하는 단계; 및 c) 상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가, 상기 제 1 몰입성 이벤트의 감지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컨텐츠 평가 서버에게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에 의해 소비된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가중치의 상향조정을 요청하는 가중치 상향조정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인터랙티브 데이터를 더 수신하여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오버레이되는 인터랙티브 객체로 상기 사용자에게 더 제공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가,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인터랙티브 객체가 선택되는 인터랙티브 객체 선택 이벤트를 상기 제 2 몰입성 이벤트로서 더 감지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가, 상기 제 2 몰입성 이벤트의 감지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컨텐츠 평가 서버에게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에 의해 소비된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상기 가중치 상향조정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가, 상기 인터랙티브 객체로서 영상에 오버레이되는 커멘트를 입력할 수 있는 커멘트 입력 인터랙티브 객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가,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비디오 출력 변화에 따른 시스템 비디오 출력 변화 이벤트 또는 오디오 출력 변화에 따른 시스템 오디오 출력 변화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시스템 입출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제 3 몰입성 이벤트로 감지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가, 상기 제 3 몰입성 이벤트의 감지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컨텐츠 평가 서버에게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에 의해 소비된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상기 가중치 상향조정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가,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비디오 출력 장치를 변경하도록 하는 비디오 장치 변경 이벤트,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새로운 비디오 출력장치를 추가하도록 하는 비디오 장치 추가 이벤트, 또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비디오 출력장치의 시스템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변경하도록 하는 시스템 해상도 변경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시스템 비디오 출력 변화 이벤트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시스템 입출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상기 제 3 몰입성 이벤트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b) 단계는, 상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가,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오디오 출력장치를 변경하도록 하는 오디오 장치 변경 이벤트,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새로운 오디오 출력장치를 추가하도록 하는 오디오 장치 추가 이벤트, 또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의 시스템 음량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시스템 음량 증가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시스템 오디오 출력 변화 이벤트로 상기 시스템 입출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상기 제 3 몰입성 이벤트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가,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 또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후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를 통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추천요청에 의한 컨텐츠 추천 이벤트,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 또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후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를 통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다른 인터넷 서비스로의 공유요청에 의한 컨텐츠 공유 이벤트,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 또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후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를 통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업로드한 사용자인 업로드 사용자의 동영상 채널에 대한 구독요청에 의한 채널 구독 이벤트,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 또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후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를 통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의 상기 업로드 사용자가 업로드한 다른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검색요청에 의한 추가 검색 이벤트, 또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 또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후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를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추천한 추천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플레이 요청에 의한 연속 감상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 4 몰입성 이벤트로 감지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가, 상기 제 4 몰입성 이벤트의 감지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컨텐츠 평가 서버에게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에 의해 소비된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상기 가중치 상향조정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은, d) 상기 c) 단계 이후에,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가,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 컨텐츠 목록을 요청하는 단계; 및 e)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컨텐츠 가중치의 순위에 따라 복수의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상기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은, 제 1 저장장치를 통해 복수의 동영상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고, 통신망을 통해 동영상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통신망을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받아 소비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고, 제 2 저장장치를 통해 복수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컨텐츠 가중치를 저장하고, 상기 컨텐츠 가중치를 관리하고, 상기 컨텐츠 가중치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평가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연산처리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소비하고,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을 변경하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 변경기능,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변경하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해상도 변경기능, 또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청각적으로 재생하는 클라이언트 음량을 변경하는 클라이언트 음량 변경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연산처리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이 증가하도록 하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확대 이벤트,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변경하도록 하는 클라이언트 해상도 변경 이벤트, 또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클라이언트 음량이 증가하도록 하는 클라이언트 음량 증가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 1 몰입성 이벤트로서 감지하고, 상기 제 1 몰입성 이벤트의 감지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컨텐츠 평가 서버에게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에 의해 소비된 상기 동영상 컨테츠의 상기 컨텐츠 가중치의 상향조정을 요청하는 가중치 상향조정 요청을 전송하는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텐츠 평가 서버는, 상기 가중치 상향조정 요청의 수신에 따라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상기 컨텐츠 가중치를 상향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인터랙티브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더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는, 상기 인터랙티브 데이터를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오버레이되는 인터랙티브 객체로 상기 사용자에게 더 제공하고, 상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인터랙티브 객체가 선택되는 인터랙티브 객체 선택 이벤트를 상기 제 2 몰입성 이벤트로서 더 감지하고, 상기 제 2 몰입성 이벤트의 감지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컨텐츠 평가 서버에게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에 의해 소비된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상기 컨텐츠 가중치의 상향조정을 더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는, 상기 인터랙티브 객체로서 영상에 오버레이되는 커멘트를 입력할 수 있는 커멘트 입력 인터랙티브 객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의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비디오 출력의 변화에 따른 비디오 출력 변화 이벤트 또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오디오 출력의 변화에 따른 오디오 출력 변화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시스템 입출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제 3 몰입성 이벤트로 감지하고, 상기 제 3 몰입성 이벤트의 감지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컨텐츠 평가 서버에게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에 의해 소비된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상기 가중치 상향조정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비디오 출력 장치를 변경하도록 하는 비디오 장치 변경 이벤트,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새로운 비디오 출력장치를 추가하도록 하는 비디오 장치 추가 이벤트, 또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비디오 출력장치의 시스템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변경하도록 하는 시스템 해상도 변경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시스템 비디오 출력 변화 이벤트로서 상기 시스템 입출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상기 제 3 몰입성 이벤트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오디오 출력장치를 변경하도록 하는 오디오 장치 변경 이벤트,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새로운 오디오 출력장치를 추가하도록 하는 오디오 장치 추가 이벤트, 또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의 시스템 음량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시스템 음량 증가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시스템 오디오 출력 변화 이벤트로서 상기 시스템 입출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상기 제 3 몰입성 이벤트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추천을 요청하는 컨텐츠 추천 요청 기능,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 다른 인터넷 서비스로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공유를 요청하는 컨텐츠 공유 요청 기능,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업로드한 사용자인 업로드 사용자의 동영상 채널에 대한 구독을 요청하는 채널 구독 요청 기능,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 상기 업로드 사용자가 업로드한 다른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는 추가 검색 요청 기능,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추천한 추천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플레이를 요청하는 연속 감상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더 수행하고, 상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 또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후 상기 컨텐츠 추천 요청 기능의 실행에 따른 컨텐츠 추천 이벤트,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 또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후 상기 컨텐츠 공유 요청 기능의 실행에 따른 컨텐츠 공유 이벤트,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 또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후 상기 채널 구독 요청 기능의 실행에 따른 채널 구독 이벤트,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 또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후 상기 추가 검색 요청 기능의 실행에 따른 추가 검색 이벤트, 또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 또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후 상기 연속 감상 기능의 실행에 따른 연속 감상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 4 몰입성 이벤트로 감지하고, 상기 제 4 몰입성 이벤트의 감지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컨텐츠 평가 서버에게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에 의해 소비된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상기 가중치 상향조정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는, 컨텐츠 목록을 통신망을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 요청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컨텐츠 가중치의 순위에 따라 복수의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상기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은,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동작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클라이언트,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동영상 컨텐츠를 공급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모니터링 클라이언트와 통신하여 상기 동작변화 정보를 수신하여 몰입성 이벤트의 감지에 따라 컨텐츠의 가중치를 변경하는 컨텐츠 평가 서버로 구성되는 시스템을 이용한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연산처리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시각화 및/또는 청각화된 동영상 컨텐츠로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모니터링 클라이언트가,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동작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동작변화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컨텐츠 평가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컨텐츠 평가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연산처리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이 증가하도록 하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확대 이벤트,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변경하도록 하는 클라이언트 해상도 변경 이벤트, 또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청각적으로 재생하는 클라이언트 음량이 증가하도록 하는 클라이언트 음량 증가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 1 몰입성 이벤트로서 감지하는 단계; 및 d) 상기 컨텐츠 평가 서버가, 상기 제 1 몰입성 이벤트의 감지에 따라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에 의해 소비된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가중치의 상향조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은, 제 1 저장장치를 통해 복수의 동영상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고, 통신망을 통해 동영상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통신망을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받아 소비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고, 제 2 저장장치를 통해 복수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컨텐츠 가중치를 저장하고, 상기 컨텐츠 가중치를 관리하고, 상기 컨텐츠 가중치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평가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연산처리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소비하고,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을 변경하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 변경기능,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변경하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해상도 변경기능, 또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청각적으로 재생하는 클라이언트 음량을 변경하는 클라이언트 음량 변경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연산처리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동작변화를 모니터링하여 동작변화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컨텐츠 평가 서버에 전송하는 모니터링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텐츠 평가 서버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이 증가하도록 하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확대 이벤트,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변경하도록 하는 클라이언트 해상도 변경 이벤트, 또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클라이언트 음량이 증가하도록 하는 클라이언트 음량 증가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 1 몰입성 이벤트로서 감지하고, 상기 제 1 몰입성 이벤트의 감지에 따라 상기 동영상 컨테츠의 상기 컨텐츠 가중치를 상향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은, 사용자의 동영상 컨텐츠 감상 중의 시각적 집중 행위에 해당하는 동영상 플레이어(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 조작행위인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확대 이벤트, 클라이언트 해상도 변경 이벤트, 또는 사용자의 동영상 컨텐츠 감상 중의 청각적 집중 행위에 해당하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 조작행위인 클라이언트 음량 증가 이벤트 중 어느 하나를 제 1 몰입성 이벤트로 감지하는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 및 제 1 몰입성 이벤트가 발생한 동영상 컨텐츠의 컨텐츠 가중치를 변경하는 컨텐츠 평가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시각적 집중 행위 또는 청각적 집중 행위를 컨텐츠 몰입도로서 검출하여 이를 컨텐츠 가중치 조정에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컨텐츠 몰입도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컨텐츠 추천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은, 동영상 컨텐츠에 제공되는 추가정보에 접속할 수 있는 링크객체 또는 동영상 컨텐츠 내부에 오버레이되는 동영상을 입력하는 입력객체와 같은 인터랙티브 객체를 사용자가 선택함에 따라 발생하는 인터랙티브 객체 선택 이벤트를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제 2 몰입성 이벤트로 감지하는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 및 제 2 몰입성 이벤트가 발생한 동영상 컨텐츠의 컨텐츠 가중치를 변경하는 컨텐츠 평가 서버를 통해 인터랙티브 객체를 활용한 동영상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용자의 컨텐츠 몰입도를 추가적으로 검출하여 이를 컨텐츠 가중치 조정에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컨텐츠 몰입도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컨텐츠 추천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은, 사용자의 동영상 컨텐츠 감상 중의 시각적 집중 행위에 해당하는 비디오 장치 변경 이벤트, 비디오 장치 추가 이벤트, 시스템 해상도 변경 이벤트 등과 같은 시스템 비디오 출력 변화 이벤트를 사용자 단말기의 시스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제 3 몰입성 이벤트로 감지하는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 및 제 3 몰입성 이벤트가 발생한 동영상 컨텐츠의 컨텐츠 가중치를 변경하는 컨텐츠 평가 서버를 통해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가 아닌 사용자 단말기의 시스템 상의 시각적 집중 행위에 해당하는 비디오 장치 변화를 추가적으로 검출하여 이를 컨텐츠 가중치 조정에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컨텐츠 몰입도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컨텐츠 추천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은, 사용자의 동영상 컨텐츠 감상 중의 청각적 집중 행위에 해당하는 오디오 장치 변경 이벤트, 오디오 장치 추가 이벤트, 시스템 음량 증가 이벤트 등과 같은 시스템 오디오 출력 변화 이벤트를 사용자 단말기의 시스템 입출력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제 3 몰입성 이벤트로 감지하는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 및 제 3 몰입성 이벤트가 발생한 동영상 컨텐츠의 컨텐츠 가중치를 변경하는 컨텐츠 평가 서버를 통해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가 아닌 사용자 단말기의 시스템 상의 청각적 집중 행위에 해당하는 오디오 장치 변화를 추가적으로 검출하여 이를 컨텐츠 가중치 조정에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컨텐츠 몰입도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컨텐츠 추천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은,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추천 이벤트, 컨텐츠 공유 이벤트, 컨텐츠 업로드 사용자의 채널 구독 이벤트, 컨텐츠 업로드 사용자의 다른 컨텐츠에 대한 추가 검색 이벤트, 또는 추천 동영상에 대한 연속 시청 이벤트를 제 4 몰입성 이벤트로 감지하는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 및 제 4 몰입성 이벤트가 발생한 동영상 컨텐츠의 컨텐츠 가중치를 변경하는 컨텐츠 평가 서버를 통해 컨텐츠 감상 이후의 사용자의 컨텐츠에 대한 긍정적 행위를 추가적으로 검출하여 이를 컨텐츠 가중치 조정에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컨텐츠 몰입도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컨텐츠 추천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은,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동작변화를 모니터링하여 동작변화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모니터링 클라이언트와 동작변화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동영상 컨텐츠 감상 중의 시각적 집중 행위에 해당하는 동영상 플레이어(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 조작행위인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확대 이벤트, 클라이언트 해상도 변경 이벤트, 또는 사용자의 동영상 컨텐츠 감상 중의 청각적 집중 행위에 해당하는 동영상 플레이어 조작행위인 클라이언트 음량 증가 이벤트 중 어느 하나를 제 1 몰입성 이벤트로 감지하여 컨텐츠 가중치를 변경하는 컨텐츠 평가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시각적 집중 행위 또는 청각적 집중 행위를 컨텐츠 몰입도로서 검출하여 이를 컨텐츠 가중치 조정에 활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컨텐츠 몰입도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컨텐츠 추천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를 도시하는 화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확대 이벤트를 도시하는 화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클라이언트 해상도 변경 이벤트를 도시하는 화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의 몰입성 이벤트 감지를 도시하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중치 상향조정 요청을 도시하는 데이터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티브 객체 선택 이벤트를 도시하는 화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4 몰입성 이벤트를 도시하는 화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을 도시하는 처리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을 도시하는 처리 흐름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클라이언트", “..서버”, “..시스템”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의 장치 또는 각각 다른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가중치 조정 시스템을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사용자 단말기(300) 측에서 몰입성 이벤트를 감지하는 방식의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및 가중치 조정방법을 설명하고,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컨텐츠 평가 서버(200) 측에서 몰입성 이벤트를 감지하는 방식의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및 가중치 조정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 단말기(300)가 몰입성 이벤트를 감지하는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의 전체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가중치 조정 시스템은 컨텐츠 제공 서버(100), 사용자 단말기(300) 및 컨텐츠 평가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제 1 저장장치를 통해 복수의 동영상 컨텐츠 데이터(data_content)를 저장하고, 통신망을 통해 동영상 컨텐츠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웹상에서 사용자 단말기(300)에게 동영상 컨텐츠를 배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단일의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복수의 서버로 구성되는 서버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서버 시스템을 구성하는 서버들은 서로 다른 위치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 1 저장장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데이터를 수용하는 자기 테이프, 광학 디스크, 하드드라이버, SSD, 플래시메모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저장장치는 단일의 저장수단으로 구성되거나 복수의 저장수단들로 구성되거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NAS(Network Attached Storage)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방대한 동영상 컨텐츠를 저장하는 대규모 동영상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경우 서로 이격된 위치에 분산되는 복수의 저장수단들로 구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P2P(Peer-to-Peer) 서비스와 같이 제 1 저장장치는 컨텐츠 제공 서버(100) 측이 아닌 사용자 단말기(300)의 저장수단이 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100)로부터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받아 소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신망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기능 및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해 사용자에게 동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300)로는 퍼스널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시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 및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는 사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되고 사용자 단말기(300)의 연산처리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동영상 컨텐츠를 소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는 연산처리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프로그램 코드의 집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동영상을 플레이하기 위한 동영상 재생 프로그램,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 또는 동영상 플레이 기능이 임베디드된 웹브라우저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 변경기능,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해상도 변경기능 또는 클라이언트 음량 변경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 변경기능은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동영상 컨텐츠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311-1, 311-2, 311-3)을 변경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예컨대 도 2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화면(311)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화면(311)에는 동영상 컨텐츠가 보여지는 영역과 각종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들(312, 313, 314, 315, 316)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311-1, 311-2, 311-3)이 변경되는 예를 도시한다. 예컨대 동영상 컨텐츠를 웹브라우저 형태의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를 통해 감상중인 사용자가 표준 넓이의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311-1)에서 디스플레이 확장 제어 수단(312)을 선택하는 경우 확장된 넓이의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311-2)으로 변화한다. 표준 넓이의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311-1) 또는 확장된 넓이의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311-2)에서 디스플레이 최대화 제어 수단(313)을 선택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체영역으로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311-3)이 변화한다.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해상도 변경기능은,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311)의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변경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예컨대 도 2의 실시예에서 동영상 컨텐츠를 웹브라우저 형태의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를 통해 해상도 제어수단(314)을 선택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해상도 선택수단(317)을 통해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높은 디스플레이 해상도는 화질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지만, 동영상 컨텐츠 데이터(data_content)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낮은 속도의 통신환경에서는 버퍼링이 발생하고 데이터 전송 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낮은 디스플레이 해상도는 동영상 컨텐츠 데이터(data_content) 양이 적기 때문에 낮은 속도의 통신환경에서도 원활한 동영상 컨텐츠 감상이 가능하고, 데이터 전송에 따른 비용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장점이 있지만, 화질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최근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서비스는 사용자의 통신환경을 고려하여 최적의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자동설정하고, 사용자가 높은 화질을 원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증가시키거나 반대로 사용자가 버퍼링이 없는 원활한 감상을 원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감소시키는 사용자 옵션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통신속도, 시스템의 그래픽 처리 성능 등에 따라서 해상도를 감소시키는 경우에도 몰입이 발생하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 음량 변경기능은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동영상 컨텐츠를 청각적으로 재생하는 클라이언트 음량을 변경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예컨대 도 2의 실시예에서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음량 선택 수단(315)을 통해 사용자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에서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의 오디오 음량을 조절하도록 클라이언트 음량 변경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300)의 오디오 장치를 통해 재생되는 음량은 설정된 오디오 장치의 시스템 음량에서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클라이언트 음량설정에 따라 증감하게 된다. 시스템 음량이 적게 설정되었다면 클라이언트 음량을 높게 설정하더라도 상대적으로 낮은 음량으로 동영상 컨텐츠의 오디오가 사용자에게 전달되고, 반대로 시스템 음량이 크게 설정되었다면 클라이언트 음량을 낮게 설정하더라도 상대적으로 높은 음량으로 동영상 컨텐츠의 오디오가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의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는 반드시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 변경기능,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해상도 변경기능, 및 클라이언트 음량 변경기능의 세 가지 기능을 포함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세 가지 기능 중 어느 한 가지 기능 또는 세 가지 기능 중 어느 두 가지 기능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320)는 사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되고, 사용자 단말기(300)의 연산처리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의 사용자의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에 대한 조작 이벤트 중 시각적 집중 행위 및/또는 청각적 집중 행위로 인식되는 이벤트를 선별하여 이를 제 1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1st)로 감지하고, 제 1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1st)의 감지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평가 서버(200)에게 제 1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1st) 발생시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가 소비한 동영상 컨테츠의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의 상향조정을 요청하는 가중치 상향조정 요청(request_raise_weight)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 1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1st)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확대 이벤트(event_expand_display_client), 클라이언트 해상도 변경 이벤트(event_adjust_resolution_client) 또는 클라이언트 음량 증가 이벤트(event_increase_volume_client)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확대 이벤트(event_expand_display_client)는 예컨대 도 2 및 도 3의 실시예에서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디스플레이 확장 제어 수단(312) 또는 디스플레이 최대화 제어 수단(313)이 선택되어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311-1)이 증가하는 경우(311-2, 311-3)가 발생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확대 이벤트(event_expand_display_client)가 발생하는 경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320)는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받는 사용자가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 높은 관심을 가졌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 확대의 방법으로 시각적 집중을 통해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 몰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클라이언트 해상도 변경 이벤트(event_adjust_resolution_client)는, 예컨대 도 2 및 도 4의 실시예에서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해상도 제어수단(314)의 선택에 따라 해상도 선택수단(317)을 통해 현재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에 의해 제공되는 동영상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변경시키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 해상도 변경 이벤트(event_adjust_resolution_client)가 발생하는 경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320)는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받는 사용자가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 높은 관심을 가졌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해상도 변경의 방법으로 시각적 집중을 통해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 몰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해상도 변경은 해상도의 증가 뿐 아니라 해상도의 감소도 포함한다. 원활한 통신환경에서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증가시켰다면 이는 고화질로 해당 동영상 컨텐츠를 감상하고자 하는 것으로 시각적 몰입행위로 추정할 수 있다. 반대로 열악한 통신환경에서 사용자가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감소시켰다면 이는 버퍼링 없이 동영상 컨텐츠를 감상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 역시 시각적 몰입행위로 추정할 수 있다. 왜냐하면 동영상 컨텐츠에 몰입하지 않은 사용자라면 해상도 옵션 변경 없이 동영상 컨텐츠를 스킵하거나 플레이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이다.
클라이언트 음량 증가 이벤트(event_increase_volume_client)는 예컨대 도 2의 실시예에서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음량 선택 수단(315)을 통해 현재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에 의해 제공되는 동영상 컨텐츠의 오디오 음량을 증가시키는 경우 발생할 수 있다. 즉, 클라이언트 음량 증가 이벤트(event_increase_volume_client)가 발생하는 경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320)는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받는 사용자가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 높은 관심을 가졌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음량 증가의 방법으로 청각적 집중을 통해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 몰입한 것으로 판단한다.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320)가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에서의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확대 이벤트(event_expand_display_client) 발생,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해상도 변경 이벤트(event_adjust_resolution_client) 발생, 클라이언트 음량 증가 이벤트(event_increase_volume_client) 발생 중 어느 하나를 감지하면 이를 제 1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1st)로 인식하여 가중치 상향조정 요청(request_raise_weight)을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평가 서버(200)에게 전송한다.
도 6은 가중치 상향조정 요청(request_raise_weight)의 데이터그램의 구조를 도시한다. 가중치 상향조정 요청(request_raise_weight)은, 예컨대 제 1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1st)가 발생한 동영상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동영상 컨텐츠 식별 정보(info_id_content) 및 가중치 상향조정의 정도를 나타내는 상향조정 정도 정보(info_amount_weight)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별 맞춤형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가중치 상향조정 요청(request_raise_weight)은 사용자 식별정보(info_id_user)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동영상 컨텐츠에서 시간구간별로 사용자 몰입도를 집계하기 위해, 가중치 상향조정 요청(request_raise_weight)은 몰입성 이벤트 발생시점 정보(info_time_event)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중치 상향조정의 정도는 제 1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1st)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클라이언트 해상도 변경 이벤트(event_adjust_resolution_client)가 발생한 동영상 컨텐츠는 20%의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 상향조정을 하고, 클라이언트 음량 증가 이벤트(event_increase_volume_client)가 발생한 동영상 컨텐츠는 10%의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 상향조정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는 동영상 컨텐츠의 전체 재생시간 중 이벤트가 생성된 시점에 따라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 상향조정의 정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전체 재생시간의 10% 이내 시점에서 제 1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1st)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동영상 컨텐츠는 20%의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 상향조정을 하고, 전체 재생시간의 60% 이후 시점에서 제 1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1st)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동영상 컨텐츠는 10%의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 상향조정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전체재생구간이 아닌 사용자가 실제 동영상을 플레이한 전체 감상시간 중 이벤트가 생성된 시점에 따라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 상향조정의 정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동영상 컨텐츠의 전체 재생시간이 6분이고, 사용자가 실제 시청한 전체 감상시간은 200초인 경우, 감상시작 후 10%인 20초 이내의 시점에서 제 1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1st)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동영상 컨텐츠는 20%의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 상향조정을 하고, 감상시작 후 90%인 180초 이후의 시점에서 제 1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1st)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동영상 컨텐츠는 10%의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 상향조정을 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제 1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1st)의 종류 또는 이벤트의 발생시간에 따른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의 상향조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에 비율적으로 증가하게 구성될 수도 있고, 설정된 가산점을 현재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에 더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가 줄어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몰입성 이벤트와 반대되는 이벤트 예컨대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축소 이벤트 또는 클라이언트 음량 감소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320)는 이를 비몰입성 이벤트로 감지하여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평가 서버(200)에게 해당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의 하향조정을 요청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구체적인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의 조정의 방법 및 조정의 정도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컨텐츠 평가 서버(200)는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 및 컨텐츠 제공 서버(1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제 2 저장장치를 통해 복수의 동영상 컨텐츠의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를 저장하고,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를 관리하고,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를 컨텐츠 제공 서버(100)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컨텐츠 평가 서버(200)는 컨텐츠 제공 서버(100)와 반드시 분리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컨텐츠 제공 서버(100)와 일체의 서버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컨텐츠 평가 서버(200)와 이격되는 서버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 2 저장장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데이터를 수용하는 자기 테이프, 광학 디스크, 하드드라이버, SSD, 플래시메모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저장장치는 단일의 저장수단으로 구성되거나 복수의 저장수단들로 구성되거나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NAS(Network Attached Storage)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방대한 동영상 컨텐츠를 관리하는 대규모 동영상 컨텐츠 제공 서비스의 경우 서로 이격된 위치에 분산되는 복수의 저장수단들로 구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P2P(Peer-to-Peer) 서비스와 같이 제 2 저장장치는 컨텐츠 제공 서버(100) 측이 아닌 사용자 단말기(300)의 저장수단이 될 수도 있다.
컨텐츠 평가 서버(200)는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320)로부터 가중치 상향조정 요청(request_raise_weight)의 수신에 따라 해당 동영상 컨텐츠의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를 상향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술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의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조작행위 중 몰입성 이벤트로 판단되는 조작행위가 발생하면, 해당 동영상 컨텐츠의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가 상향조정되고, 예컨대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는 컨텐츠 목록(list_contents)을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100)에게 요청하고,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의 순위에 따라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목록(list_contents)을 생성하여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호하는 동영상 컨텐츠가 우선적으로 추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몰입성 이벤트에 따른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 변경을 통해 정해진 숫자의 동영상 컨텐츠들 중에서 사용자들의 몰입성 이벤트를 많이 유도한 동영상 컨텐츠들을 선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 따르면, 먼저 사용자의 동영상 컨텐츠 시청시간 또는 스킵여부와 무관하게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조작을 통해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를 조절하기 때문에, 컨텐츠 중에서 필요한 부분만 선택적으로 시청하는 최근의 컨텐츠 소비형태에 부합하는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 조정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된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320)는 사용자의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 조작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지 않고, 가중치 상향조정 요청(request_raise_weight)만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기 때문에, 민감한 개인정보에 해당하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 조작정보의 유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최근에는 동영상 컨텐츠에 부가적인 인터랙티브 객체(object_interactive)를 포함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인터랙티브 객체(object_interactive)는 동영상 화면에 임베디드되거나 오버레이되는 방식으로 구현되며 해당 인터랙티브 객체(object_interactive)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부가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동영상 컨텐츠가 자동차에 관한 것이라면, 해당 자동차 모델을 구입할 수 있는 웹페이지로 이동하는 링크를 인터랙티브 객체(object_interactive)로 구현할 수 있고, 동영상 컨텐츠를 감상 중인 시청자가 동영상 화면에 오버레이될 커멘트를 문자로 입력하는 문자입력창으로 인터랙티브 객체(object_interactive)를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동영상 컨텐츠 감상 중 인터랙티브 객체(object_interactive)를 선택하는 행위는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 대해 사용자의 높은 몰입도를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인터랙티브 객체(object_interactive)의 선택 행위를 몰입성 이벤트로 더 감지하여 이를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에 반영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인터랙티브 데이터(data_interactive)를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에게 더 전송하고,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랙티브 데이터(data_interactive)를 동영상 컨텐츠에 오버레이되는 인터랙티브 객체(object_interactive)(316)로 사용자에게 더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인터랙티브 데이터(data_interactive)를 동영상 컨텐츠 데이터(data_content)의 일부로서 전송할 수도 있고, 동영상 컨텐츠 데이터(data_content)와 별개로 전송할 수도 있다.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는 인터랙티브 객체(object_interactive)를 동영상 컨텐츠에 분리불가능하게 임베디드하거나 동영상 컨텐츠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활성화/비활성화가 되도록 분리가능하게 오버레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설정 객체를 클릭하여 인터랙티브 객체(object_interactive)의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320)는 사용자에 의해 인터랙티브 객체(object_interactive)(316)가 선택되는 인터랙티브 객체 선택 이벤트(event_select_interactive)를 제 2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2nd)로서 더 감지하고, 제 2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2nd)의 감지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평가 서버(200)에게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에 의해 소비된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의 상향조정을 더 요청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멘트 입력 인터랙티브 객체(316-2)를 통해 동영상 컨텐츠에 임베디드 또는 오버레이되는 커멘트를 입력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는 인터랙티브 객체(object_interactive)로서 영상에 오버레이되는 커멘트를 입력할 수 있는 커멘트 입력 인터랙티브 객체(316-2)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동영상 컨텐츠를 보다가 인터랙티브 객체(316-1)를 통해 관련 홈페이지로 이동하여 동영상 시청을 중단한 경우, 사용자가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매우 높은 몰입도를 가지는 것이지만 종래의 기술에서는 이러한 높은 몰입도를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에 반영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인터랙티브 객체 선택 이벤트(event_select_interactive)를 제 2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2nd)로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높은 몰입도를 실제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에 반영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작은 화면의 스마트폰으로 동영상 컨텐츠를 시청중인 사용자가 유선 또는 무선연결을 통해 모니터, TV, 프로젝터와 같은 큰 화면으로 시청을 한다면 이는 사용자의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매우 높은 몰입도를 반영한다고 추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동영상 컨텐츠 시청 중 사용자 단말기(300)의 비디오 출력의 변화 또는 오디오 출력의 변화를 제 3 몰입성 이벤트로 감지하여 이를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에 반영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300)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입출력 인터페이스(330)(system I/O interface)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시스템 입출력 인터페이스(330)는 사용자 단말기(300)에 연결되는 외부장치의 연결유무를 감지하고, 그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윈도우즈, 리눅스, iOS, OS X, 안드로이드 등과 같은 운영체제에 부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320)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사용자 단말기(300)의 오디오 출력의 변화에 따른 오디오 출력 변화 이벤트(event_change_audio_output) 또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사용자 단말기(300)의 비디오 출력의 변화에 따른 비디오 출력 변화 이벤트(event_change_video_outpu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시스템 입출력 인터페이스(330)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제 3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3rd)로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320)는 제 3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3rd)의 감지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평가 서버(200)에게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에 의해 소비된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가중치 상향조정 요청(request_raise_weight)을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비디오 출력 변화 이벤트(event_change_video_output)의 예로는 비디오 장치 변경 이벤트(event_alter_video_device), 비디오 장치 추가 이벤트(event_add_video_device), 또는 시스템 해상도 변경 이벤트(event_adjust_resolution_devic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비디오 장치 변경 이벤트(event_alter_video_device)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사용자 단말기(300)의 비디오 출력 장치(332)를 변경하도록 하는 이벤트이다. 예컨대 노트북 PC(300)에 외부 모니터(332)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노트북 PC에서 해당 동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를 하다가 외부 모니터(332)에서 해당 동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그런데 이때 변경되는 비디오 장치(332)가 변경되기 전의 비디오 장치 보다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이 반드시 넓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변경 후 비디오 장치(332)가 사용자에 가까이 있다면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이 변경 전 비디오 장치의 디스플레이 보다 적더라도 시각적 집중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비디오 장치 추가 이벤트(event_add_video_device)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사용자 단말기(300)에 새로운 비디오 출력장치(332)를 추가하도록 하는 이벤트이다. 예컨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에 디스플레이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HDMI, DVI, RGB, 디스플레이 포트 등의 유선 연결 또는 미라캐스트, WiDi, DNLA, 에어플레이 등의 무선 연결을 통해 TV로 동영상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런데 이때 추가되는 비디오 장치(332)가 반드시 변경되기 전의 비디오 장치 보다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이 반드시 넓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추가된 비디오 장치(332)가 사용자에 가까이 있다면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이 기존의 비디오 장치의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 보다 적더라도 시각적 집중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시스템 해상도 변경 이벤트(event_adjust_resolution_device)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사용자 단말기(300)의 비디오 출력장치의 시스템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변경하도록 하는 이벤트이다. 예컨대 PC 사용자가 동영상 감상 중 운영체제가 지원하는 해상도 옵션을 통해 모니터의 해상도를 보다 고해상도로 변경하였다면 이는 사용자의 몰입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시각적 집중행위가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가 아닌 사용자 단말기(300)의 비디오 장치를 통해 이루어지더라도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320)는 시스템 입출력 인터페이스(330)를 통해 이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오디오 출력 변화 이벤트(event_change_audio_output)의 예로는 오디오 장치 변경 이벤트(event_alter_audio_device), 오디오 장치 추가 이벤트(event_add_audio_device), 시스템 음량 증가 이벤트(event_increase_volume_devic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오디오 장치 변경 이벤트(event_alter_audio_device)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사용자 단말기(300)의 오디오 출력장치를 변경하도록 하는 이벤트이다. 예컨대 노트북 PC(300)에 외장 스피커(334)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가 노트북 PC의 스피커를 통해 해당 동영상 컨텐츠의 오디오를 출력하다가 외장 스피커(334)에서 해당 동영상 컨텐츠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오디오 장치 추가 이벤트(event_add_audio_device)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사용자 단말기(300)에 새로운 오디오 출력장치를 추가하도록 하는 이벤트이다. 예컨대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의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가 출력되는 동영상 컨텐츠를 유선 연결 또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 연결을 통해 이어폰(335) 또는 외장 스피커(334)로 동영상 컨텐츠의 오디오를 출력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시스템 음량 증가 이벤트(event_increase_volume_device)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사용자 단말기(300)의 오디오 출력장치의 시스템 음량을 증가시키는 이벤트이다. 예컨대 PC 사용자가 동영상 감상 중 운영체제가 지원하는 음량조절 옵션을 통해 PC 스피커 또는 외장 스피커(334)의 음량을 증가시키거나, 쌍방향 연결되어 음량변경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300)가 인식할 수 있는 외장 스피커(334) 또는 이어폰(335)에 있어서 외장 스피커(334) 또는 이어폰(335)에 내장된 음량조절 수단을 통해 음량을 증가시키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청각적 집중행위가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가 아닌 사용자 단말기(300)의 오디오 장치를 통해 이루어지더라도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320)는 시스템 입출력 인터페이스(330)를 통해 이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최근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서비스는 서비스 가입자간의 동영상 추천, 페이스북 또는 트위터와 같은 다른 사회 관계망 서비스로의 공유, 동영상을 업로드한 업로드 사용자가 향후 업로드할 동영상 컨텐츠를 통지받을 수 있도록 업로드 사용자의 동영상 채널에 대한 구독, 업로드 사용자의 다른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는 추가 검색 요청, 현재 감상중인 동영상 컨텐츠와 연관된 동영상 컨텐츠를 추천받는 동영상 컨텐츠 추천 등의 웹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사용자의 컨텐츠 추천, 컨텐츠 공유, 채널 구독, 추가 검색 또는 추천 컨텐츠의 연속 감상의 행위는 현재 감상중인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높은 몰입도를 반영한다고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웹서비스 내에서의 추가 행동을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에 반영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는 컨텐츠 추천 요청 기능, 컨텐츠 공유 요청 기능, 채널 구독 요청 기능, 추가 검색 요청 기능, 연속 감상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추천 요청 기능은, 컨텐츠 제공 서버(100)에게 동영상 컨텐츠의 추천을 요청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도 8의 실시예에 있어서 예컨대 “엄지손가락이 올라간 손 아이콘”(411)을 클릭하면 해당 동영상 컨텐츠의 추천 수가 증가하는 방법으로 컨텐츠 추천 요청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컨텐츠 공유 요청 기능은 컨텐츠 제공 서버(100)에게 다른 인터넷 서비스로의 동영상 컨텐츠의 공유를 요청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도 8의 실시예에 있어서 예컨대 “공유 아이콘”(412)을 클릭하면 해당 동영상 컨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사회 관계망 서비스의 목록이 제공되고 사용자가 선택한 사회 관계망 서비스에 해당 동영상 컨텐츠에 접속할 수 있는 URL 정보가 게시되는 방법으로 컨텐츠 공유 요청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채널 구독 요청 기능은, 컨텐츠 제공 서버(100)에게 업로드 사용자의 동영상 채널에 대한 구독을 요청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도 8의 실시예에 있어서 예컨대 “구독 아이콘”(413)을 클릭하면 해당 동영상 컨텐츠의 업로드 사용자의 동영상 채널이 구독되는 방법으로 채널 구독 요청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추가 검색 요청 기능은, 컨텐츠 제공 서버(100)에게 업로드 사용자가 업로드한 다른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도 8의 실시예에 있어서, 예컨대 “업로드 사용자 아이콘”(414)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가 해당 동영상 컨텐츠를 업로드한 사용자의 다른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검색 리스트를 컨텐츠 제공 서버(100)에게 제공받는 방법으로 추가 검색 요청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연속 감상 기능은, 컨텐츠 제공 서버(100)가 추천한 추천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플레이를 요청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도 8의 실시예에 있어서, 예컨대 “추천 동영상 영역”(415)의 동영상 리스트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가 해당 추천 동영상 컨텐츠 데이터(data_content)를 컨텐츠 제공 서버(100)에게 제공받는 방법으로 연속 감상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기능들은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에 본질적인 부분은 아니기 때문에 동영상 컨텐츠 데이터(data_content)를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본적인 동영상 플레이어로는 상기의 기능들을 구현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경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는 예컨대 웹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웹브라우저이거나, 웹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부가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등으로 구현하여야 한다.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320)는, 컨텐츠 추천 이벤트(event_recommend_content), 컨텐츠 공유 이벤트(event_share_content), 채널 구독 이벤트(event_subscribe_channel), 추가 검색 이벤트(event_search_content) 또는 연속 감상 이벤트(event_play_successiv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 4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4th)로 감지한다. 전술한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 조작에 관한 제 1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1st) 및 제 2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2nd), 사용자 단말기(300)의 시스템 입출력 인터페이스(330)의 변화에 관한 제 3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3rd)는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순간적 집중행위와 관련된 것으로 이벤트 발생 시점에 있어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발생하는 이벤트로 한정되었다. 하지만 제 4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4th)는 동영상 컨텐츠와 관련된 웹페이지 제공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벤트 발생 시점에 있어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발생하는 경우 뿐 아니라 동영상 컨텐츠 제공 후에 발생하는 경우도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320)가 제 4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4th)로 감지하도록 구성한다.
컨텐츠 추천 이벤트(event_recommend_content)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 또는 동영상 컨텐츠 제공 후 컨텐츠 추천 요청 기능의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이벤트를 의미한다. 컨텐츠 공유 이벤트(event_share_content)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 또는 동영상 컨텐츠 제공 후 컨텐츠 공유 요청 기능의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이벤트를 의미한다. 채널 구독 이벤트(event_subscribe_channel)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 또는 동영상 컨텐츠 제공 후 채널 구독 요청 기능의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이벤트를 의미한다. 추가 검색 이벤트(event_search_content)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 또는 동영상 컨텐츠 제공 후 추가 검색 요청 기능의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이벤트를 의미한다. 연속 감상 이벤트(event_play_successive)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 또는 동영상 컨텐츠 제공 후 연속 감상 기능의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이벤트를 의미한다.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320)는 제 4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4th)의 감지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평가 서버(200)에게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에 의해 소비된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가중치 상향조정 요청(request_raise_weight)을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가중치 조정방법은, 사용자 단말기(300),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320), 컨텐츠 제공 서버(100), 컨텐츠 평가 서버(200)로 구성되는 시스템을 통해 구현된다.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 및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320)는 사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되어 구동된다.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320)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몰입성 이벤트 감지에 따라 컨텐츠 몰입도를 평가한다.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에 동영상 컨텐츠를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컨텐츠 평가 서버(200)는 통신망을 통해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320)와 통신하여 컨텐츠의 가중치를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한다. 먼저,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가 사용자 단말기(300)의 연산처리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컨텐츠 제공 서버(100)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시각화 및/또는 청각화된 동영상 컨텐츠로 제공하는 a 단계(S10)를 수행한다. 예컨대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는 스트리밍되는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를 시각화하기 위해 모니터, TV 등의 영상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하고, 스트리밍되는 오디오 컨텐츠 데이터를 청각화하기 위해 스피커, 이어폰을 통해 출력한다.
다음으로,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320)가 사용자 단말기(300)의 연산처리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확대 이벤트(event_expand_display_client),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해상도 변경 이벤트(event_adjust_resolution_client), 클라이언트 음량 증가 이벤트(event_increase_volume_client) 중 어느 하나를 제 1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1st)로 감지하는 b 단계(S21)를 수행한다.
예컨대,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확대 이벤트(event_expand_display_client)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확장 제어 수단(312) 또는 디스플레이 최대화 제어 수단(313)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해상도 변경 이벤트(event_adjust_resolution_client)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해상도 제어수단(314)을 선택하여 해상도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클라이언트 음량 증가 이벤트(event_increase_volume_client)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음량 선택 수단(315)을 선택하여 음량을 증가하는 방법으로 발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320)가, 제 1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1st)의 감지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평가 서버(200)에게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에 의해 소비된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의 상향조정을 요청하는 가중치 상향조정 요청(request_raise_weight)을 전송하는 c 단계(s30)를 수행한다.
가중치 상향조정 요청(request_raise_weight)은, 예컨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영상 컨텐츠 식별 정보(info_id_content) 및 상향조정 정도 정보(info_amount_weight)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식별정보(info_id_user) 또는 이벤트 발생시점 정보(info_time_event)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의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조작행위를 무의식적인 몰입성 이벤트로 감지하여 사용자의 추가적인 컨텐츠 평가 작업 없이도 컨텐츠에 대한 가중치 조정이 가능할 뿐 아니라, 동영상 컨텐츠의 플레이 시간과 무관하게 순간적인 청각적 및/또는 시각적 집중 행위를 포착하여 이를 몰입성 행위로 감지함으로써 최근 관심 있는 동영상 컨텐츠인 경우에도 전체 감상 보다는 부분 감상을 하는 사용자의 최근 동영상 컨텐츠의 이용행태의 변화를 반영한 동영상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 조정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동영상 컨텐츠에 포함된 사용자의 인터랙티브 객체(object_interactive)를 이용하는 행위를 제 2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2nd)로 감지하여 이를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에 반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a 단계(s10)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가 통신망을 통해 인터랙티브 데이터(data_interactive)를 더 수신하여 동영상 컨텐츠에 오버레이되는 인터랙티브 객체(object_interactive)로 사용자에게 더 제공한다. 다음으로, b 단계(s21)는,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320)가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사용자에 의해 인터랙티브 객체(object_interactive)(316)가 선택되는 인터랙티브 객체 선택 이벤트(event_select_interactive)를 제 2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2nd)로서 더 감지한다(s22).
예컨대 인터랙티브 객체 선택 이벤트(event_select_interactive)는,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인터랙티브 객체(object_interactive)(316-1, 316-2)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발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c 단계(s30)는,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320)가 제 2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2nd)의 감지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평가 서버(200)에게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에 의해 소비된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가중치 상향조정 요청(request_raise_weight)을 전송한다.
이러한 인터랙티브 객체(object_interactive)의 예로는 영상에 오버레이되는 커멘트를 입력할 수 있는 커멘트 입력 인터랙티브 객체(object_interactive)를 예시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동영상 컨텐츠 디스플레이 중에 특정영역을 선택하면 텍스트 입력 인터페이스(316-2)가 활성화되고 사용자가 입력한 커멘트가 자막처럼 동영상 컨텐츠에 오버레이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다양한 인터랙티브적 응용이 시도되는 최근의 동영상 컨텐츠에 있어서 인터랙티브 객체(object_interactive)가 사용되는 경우 이를 제 2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2nd)로 감지함으로써 동영상 컨텐츠의 발전에 따른 새로운 사용자 이용형태를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에 반영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조작이 아닌 사용자 단말기(300)의 비디오 출력의 변화를 통한 사용자의 시각적 집중행위 및/또는 오디오 출력의 변화를 통한 청각적 집중행위를 제 3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3rd)로 감지하여 이를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에 반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b 단계(s21)는,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320)가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사용자 단말기(300)의 오디오 출력 변화에 따른 시스템 오디오 출력 변화 이벤트(event_change_audio_output) 또는 비디오 출력 변화에 따른 비디오 출력 변화 이벤트(event_change_video_outpu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자 단말기(300)의 시스템 입출력 인터페이스(330)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제 3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3rd)로 감지한다(s23). 다음으로, c 단계(S30)는,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320)가, 제 3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3rd)의 감지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평가 서버(200)에게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에 의해 소비된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가중치 상향조정 요청(request_raise_weight)을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시스템 비디오 출력 변화 이벤트(event_change_video_output)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사용자 단말기(300)의 비디오 출력 장치(332)를 변경하도록 하는 비디오 장치 변경 이벤트(event_alter_video_device),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사용자 단말기(300)에 새로운 비디오 출력장치(332)를 추가하도록 하는 비디오 장치 추가 이벤트(event_add_video_device), 또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사용자 단말기(300)의 비디오 출력장치의 시스템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변경하도록 하는 시스템 해상도 변경 이벤트(event_adjust_resolution_devic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시스템 오디오 출력 변화 이벤트(event_change_audio_output)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사용자 단말기(300)의 오디오 출력장치(334, 335)를 변경하도록 하는 오디오 장치 변경 이벤트(event_alter_audio_device),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사용자 단말기(300)에 새로운 오디오 출력장치(334, 335)를 추가하도록 하는 오디오 장치 추가 이벤트(event_add_audio_device), 또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사용자 단말기(300)의 오디오 출력장치의 시스템 음량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시스템 음량 증가 이벤트(event_increase_volume_devic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의 비디오 출력의 변화 및/또는 오디오 출력의 변화와 같이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를 통해서 알 수 없는 사용자의 시각적 집중행위 및/또는 청각적 집중행위를 시스템 입출력 인터페이스(330)를 통해 수신함으로써 사용자의 컨텐츠 평가 없이도 무의식적 집중행위를 감지하여 이를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에 반영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의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를 통한 동영상 제공 웹서비스 내에서의 긍정적인 추가 행동을 제 4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4th)로 감지하여 이를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에 반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b 단계(s21)는,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320)가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로부터 컨텐츠 추천 이벤트(event_recommend_content), 컨텐츠 공유 이벤트(event_share_content), 채널 구독 이벤트(event_subscribe_channel), 추가 검색 이벤트(event_search_content), 또는 연속 감상 이벤트(event_play_successive) 중 어느 하나를 제 4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4th)로 감지하도록 구성한다(s24). c 단계(s30)는,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320)가 제 4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4th)의 감지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평가 서버(200)에게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에 의해 소비된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가중치 상향조정 요청(request_raise_weight)을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컨텐츠 추천 이벤트(event_recommend_content)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 또는 동영상 컨텐츠 제공 후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를 통한 컨텐츠 제공 서버(100)로의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추천요청에 의해 발생하는 이벤트를 의미한다. 도 8의 실시예에 있어서 예컨대 “엄지손가락이 올라간 손 아이콘”(411)을 클릭하는 경우 컨텐츠 추천 이벤트(event_recommend_content)가 발생할 수 있다.
컨텐츠 공유 이벤트(event_share_content)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 또는 동영상 컨텐츠 제공 후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를 통한 컨텐츠 제공 서버(100)로의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다른 인터넷 서비스로의 공유요청에 의해 발생하는 이벤트를 의미한다. 도 8의 실시예에 있어서 예컨대 “공유 아이콘”(412)을 클릭하는 경우 컨텐츠 공유 이벤트(event_share_content)가 발생할 수 있다.
채널 구독 이벤트(event_subscribe_channel)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 또는 동영상 컨텐츠 제공 후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를 통한 컨텐츠 제공 서버(100)로의 동영상 컨텐츠를 업로드한 사용자인 업로드 사용자의 동영상 채널에 대한 구독요청에 의해 발생하는 이벤트를 의미한다. 도 8의 실시예에 있어서 예컨대 “구독 아이콘”(413)을 클릭하는 경우 채널 구독 이벤트(event_subscribe_channel)가 발생할 수 있다.
추가 검색 이벤트(event_search_content)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 또는 동영상 컨텐츠 제공 후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를 통한 컨텐츠 제공 서버(100)로의 업로드 사용자가 업로드한 다른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검색요청에 의해 발생하는 이벤트를 의미한다. 도 8의 실시예에 있어서, 예컨대 “업로드 사용자 아이콘”(414)을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추가 검색 이벤트(event_search_content)가 발생할 수 있다.
연속 감상 이벤트(event_play_successive)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 또는 동영상 컨텐츠 제공 후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를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100)가 추천한 추천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플레이 요청에 의해 발생하는 이벤트를 의미한다. 도 8의 실시예에 있어서, 예컨대 “추천 동영상 영역”(415)의 동영상 리스트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연속 감상 이벤트(event_play_successive)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제 4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4th)들은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에 본질적인 부분은 아니기 때문에 동영상 컨텐츠 데이터(data_content)를 전송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본적인 동영상 플레이어로는 이러한 제 4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4th)를 발생시키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는 예컨대 웹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웹브라우저이거나, 웹서비스에 접속하는 부가기능을 포함하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등으로 구현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c 단계(s30) 이후에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의 조정이 발생하면 이는 컨텐츠 제공 서버(100)가 제공하는 컨텐츠 목록(list_contents)에 반영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 목록(list_contents) 중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가 높은 동영상 컨텐츠가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가 낮은 동영상 컨텐츠에 우선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컨텐츠 평가 서버(200)는 컨텐츠 제공 서버(100)에게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를 전송하는 단계(s40)를 수행한다.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는 컨텐츠 제공 서버(100)에게 컨텐츠 목록(list_contents)을 요청하는 d 단계(s51)를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다음으로,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수신한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의 순위에 따라 복수의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목록(list_contents)을 생성하여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에게 제공하는 단계(s52)를 수행하도록 구성한다.
[컨텐츠 평가 서버(200)가 몰입성 이벤트를 감지하는 실시예]
이상에서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320)가 몰입성 이벤트를 감지하는 제 1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컨텐츠 평가 서버(200)가 몰입성 이벤트를 감지하는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앞의 설명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제공 서버(100), 사용자 단말기(300), 컨텐츠 평가 서버(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 및 모니터링 클라이언트(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 변경기능,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해상도 변경기능 또는 클라이언트 음량 변경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모니터링 클라이언트(340)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연산처리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작변화를 모니터링하여 동작변화 정보(event_all_client)를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평가 서버(2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동작변화 정보(event_all_client)는 사용자 조작에 의한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작변화와 관련된 이벤트들로 구성된다.
컨텐츠 평가 서버(200)는 제 1 실시예의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320)의 기능과 유사하게 수신한 동작변화 정보 중에서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확대 이벤트(event_expand_display_client), 클라이언트 해상도 변경 이벤트(event_adjust_resolution_client), 클라이언트 음량 증가 이벤트(event_increase_volume_clien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 1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1st)로 감지하고, 제 1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1st)의 감지에 따라 해당 동영상 컨텐츠의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를 상향조정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컨텐츠 평가 서버(200)는 인터랙티브 객체 선택 이벤트(event_select_interactive)를 제 2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2nd)로 더 감지하거나, 비디오 출력 변화 이벤트(event_change_video_output) 및/또는 오디오 출력 변화 이벤트(event_change_audio_output)를 제 3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3rd)로 더 감지하거나, 컨텐츠 추천 이벤트(event_recommend_content), 컨텐츠 공유 이벤트(event_share_content), 채널 구독 이벤트(event_subscribe_channel), 추가 검색 이벤트(event_search_content) 또는 연속 감상 이벤트(event_play_successiv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 4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4th)로 더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 3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3rd)를 더 감지하는 실시예의 경우 모니터링 클라이언트(340)는 시스템 입출력 인터페이스(330)의 동작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시스템 입출력 인터페이스(330)의 동작변화 정보(event_all_output)를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평가 서버(200)에게 더 전송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가 컨텐츠 제공 서버(100)에게 컨텐츠 목록(list_contents)을 요청하는 경우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에 따라 컨텐츠 목록(list_contents)을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가 전송하는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으나, 사용자 단말기(300)가 몰입성 이벤트를 검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기(300)의 연산장치 및 저장장치 등의 리소스 점유가 낮아지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을 참조하여 제 2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몰입성 이벤트 기반 가중치 조정방법은 사용자 단말기(300),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 모니터링 클라이언트(340), 컨텐츠 제공 서버(100), 컨텐츠 평가 서버(200)로 구성되는 시스템을 통해 구현된다.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 및 모니터링 클라이언트(340)는 사용자 단말기(300)에 설치되어 구동된다. 모니터링 클라이언트(340)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작변화를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에 동영상 컨텐츠를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컨텐츠 평가 서버(200)는 통신망을 통해 모니터링 클라이언트(340)와 통신하여 동작변화 정보를 수신하여 몰입성 이벤트의 감지에 따라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를 변경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먼저,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가 사용자 단말기(300)의 연산처리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컨텐츠 제공 서버(100)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동영상 컨텐츠 데이터(data_content)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시각화 및/또는 청각화된 동영상 컨텐츠로 제공하는 a 단계(s110)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모니터링 클라이언트(340)가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작변화를 모니터링하여 동작변화 정보(event_all_client)를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평가 서버(200)에게 전송하는 b 단계(s120)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컨텐츠 평가 서버(200)가 사용자 단말기(300)의 연산처리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동영상 컨텐츠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이 증가하도록 하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확대 이벤트(event_expand_display_client),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동영상 컨텐츠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변경하도록 하는 클라이언트 해상도 변경 이벤트(event_adjust_resolution_client), 또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의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동영상 컨텐츠를 청각적으로 재생하는 클라이언트 음량이 증가하도록 하는 클라이언트 음량 증가 이벤트(event_increase_volume_client)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 1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1st)로서 감지하는 c 단계(s131)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컨텐츠 평가 서버(200)가 제 1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1st)의 감지에 따라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에 의해 소비된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의 상향조정을 수행하는 d 단계(s140)를 수행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c 단계(s131)는, 인터랙티브 객체 선택 이벤트(event_select_interactive)를 제 2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2nd)로 더 감지할 수 있다(s132).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출력 변화 이벤트(event_change_video_output) 및/또는 오디오 출력 변화 이벤트(event_change_audio_output)를 제 3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3rd)로 더 감지할 수 있다(s133).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추천 이벤트(event_recommend_content), 컨텐츠 공유 이벤트(event_share_content), 채널 구독 이벤트(event_subscribe_channel), 또는 연속 감상 이벤트(event_play_successiv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 4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4th)로 더 감지할 수 있다(s134).
한편 제 3 몰입성 이벤트(event_immersive_3rd)를 더 감지하는 실시예의 경우 제 b 단계(s120)는 모니터링 클라이언트(340)가 시스템 입출력 인터페이스(330)의 동작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시스템 입출력 인터페이스(330)의 동작변화 정보(event_all_output)를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평가 서버(200)에게 더 전송하도록 구성한다.컨텐츠 평가 서버(200)는 컨텐츠 제공 서버(200)에게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를 전송(s150)한다.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가 컨텐츠 제공 서버(100)에게 컨텐츠 목록(list_contents)을 요청하는 경우(s161),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수신된 컨텐츠 가중치(weight_content)의 순위에 따라 복수의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목록(list_contents)을 생성하여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310)에게 제공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s162).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컨텐츠 제공 서버 200 : 컨텐츠 평가 서버
300 : 사용자 단말기 310 :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
320 :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
330 : 시스템 입출력 인터페이스 340 : 모니터링 클라이언트

Claims (21)

  1.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몰입성 이벤트의 감지에 따라 컨텐츠 몰입도를 평가하는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동영상 컨텐츠를 공급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와 통신하여 컨텐츠의 가중치를 변경하는 컨텐츠 평가 서버로 구성되는 시스템을 이용한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연산처리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동영상 컨텐츠로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연산처리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이 증가하도록 하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확대 이벤트 또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변경하도록 하는 클라이언트 해상도 변경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 1 몰입성 이벤트로서 감지하는 단계; 및
    c) 상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가, 상기 제 1 몰입성 이벤트의 감지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컨텐츠 평가 서버에게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에 의해 소비된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가중치의 상향조정을 요청하는 가중치 상향조정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가, 상기 통신망을 통해 인터랙티브 데이터를 더 수신하여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오버레이되는 인터랙티브 객체로 상기 사용자에게 더 제공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가,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인터랙티브 객체가 선택되는 인터랙티브 객체 선택 이벤트를 제 2 몰입성 이벤트로서 더 감지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가, 상기 제 2 몰입성 이벤트의 감지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컨텐츠 평가 서버에게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에 의해 소비된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상기 가중치 상향조정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가, 상기 인터랙티브 객체로서 영상에 오버레이되는 커멘트를 입력할 수 있는 커멘트 입력 인터랙티브 객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가,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비디오 출력 변화에 따른 시스템 비디오 출력 변화 이벤트 또는 오디오 출력 변화에 따른 시스템 오디오 출력 변화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시스템 입출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제 3 몰입성 이벤트로 감지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가, 상기 제 3 몰입성 이벤트의 감지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컨텐츠 평가 서버에게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에 의해 소비된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상기 가중치 상향조정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가,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비디오 출력 장치를 변경하도록 하는 비디오 장치 변경 이벤트,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새로운 비디오 출력장치를 추가하도록 하는 비디오 장치 추가 이벤트, 또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비디오 출력장치의 시스템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변경하도록 하는 시스템 해상도 변경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시스템 비디오 출력 변화 이벤트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시스템 입출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상기 제 3 몰입성 이벤트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b) 단계는,
    상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가,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오디오 출력장치를 변경하도록 하는 오디오 장치 변경 이벤트,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새로운 오디오 출력장치를 추가하도록 하는 오디오 장치 추가 이벤트, 또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의 시스템 음량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시스템 음량 증가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시스템 오디오 출력 변화 이벤트로 상기 시스템 입출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상기 제 3 몰입성 이벤트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가,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 또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후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를 통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추천요청에 의한 컨텐츠 추천 이벤트,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 또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후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를 통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다른 인터넷 서비스로의 공유요청에 의한 컨텐츠 공유 이벤트,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 또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후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를 통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업로드한 사용자인 업로드 사용자의 동영상 채널에 대한 구독요청에 의한 채널 구독 이벤트,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 또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후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를 통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의 상기 업로드 사용자가 업로드한 다른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검색요청에 의한 추가 검색 이벤트, 또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 또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후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를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추천한 추천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플레이 요청에 의한 연속 감상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 4 몰입성 이벤트로 감지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가, 상기 제 4 몰입성 이벤트의 감지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컨텐츠 평가 서버에게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에 의해 소비된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상기 가중치 상향조정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은,
    d) 상기 c) 단계 이후에,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가,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 컨텐츠 목록을 요청하는 단계; 및
    e)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컨텐츠 가중치의 순위에 따라 복수의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상기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 목록을 요청한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
  9. 제 1 저장장치를 통해 복수의 동영상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고, 통신망을 통해 동영상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통신망을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받아 소비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고, 제 2 저장장치를 통해 복수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컨텐츠 가중치를 저장하고, 상기 컨텐츠 가중치를 관리하고, 상기 컨텐츠 가중치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평가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연산처리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소비하고,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을 변경하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 변경기능 또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변경하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해상도 변경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연산처리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이 증가하도록 하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확대 이벤트 또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변경하도록 하는 클라이언트 해상도 변경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 1 몰입성 이벤트로서 감지하고, 상기 제 1 몰입성 이벤트의 감지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컨텐츠 평가 서버에게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에 의해 소비된 상기 동영상 컨테츠의 상기 컨텐츠 가중치의 상향조정을 요청하는 가중치 상향조정 요청을 전송하는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텐츠 평가 서버는, 상기 가중치 상향조정 요청의 수신에 따라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상기 컨텐츠 가중치를 상향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인터랙티브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더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는, 상기 인터랙티브 데이터를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오버레이되는 인터랙티브 객체로 상기 사용자에게 더 제공하고,
    상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인터랙티브 객체가 선택되는 인터랙티브 객체 선택 이벤트를 상기 제 2 몰입성 이벤트로서 더 감지하고, 상기 제 2 몰입성 이벤트의 감지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컨텐츠 평가 서버에게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에 의해 소비된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상기 컨텐츠 가중치의 상향조정을 더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는,
    상기 인터랙티브 객체로서 영상에 오버레이되는 커멘트를 입력할 수 있는 커멘트 입력 인터랙티브 객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의 입력장치 및 출력장치를 제어하는 시스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비디오 출력의 변화에 따른 비디오 출력 변화 이벤트 또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오디오 출력의 변화에 따른 오디오 출력 변화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시스템 입출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제 3 몰입성 이벤트로 감지하고, 상기 제 3 몰입성 이벤트의 감지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컨텐츠 평가 서버에게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에 의해 소비된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상기 가중치 상향조정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비디오 출력 장치를 변경하도록 하는 비디오 장치 변경 이벤트,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새로운 비디오 출력장치를 추가하도록 하는 비디오 장치 추가 이벤트, 또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비디오 출력장치의 시스템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변경하도록 하는 시스템 해상도 변경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시스템 비디오 출력 변화 이벤트로서 상기 시스템 입출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상기 제 3 몰입성 이벤트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오디오 출력장치를 변경하도록 하는 오디오 장치 변경 이벤트,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새로운 오디오 출력장치를 추가하도록 하는 오디오 장치 추가 이벤트, 또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의 시스템 음량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시스템 음량 증가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시스템 오디오 출력 변화 이벤트로서 상기 시스템 입출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상기 제 3 몰입성 이벤트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추천을 요청하는 컨텐츠 추천 요청 기능,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 다른 인터넷 서비스로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공유를 요청하는 컨텐츠 공유 요청 기능,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업로드한 사용자인 업로드 사용자의 동영상 채널에 대한 구독을 요청하는 채널 구독 요청 기능,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 상기 업로드 사용자가 업로드한 다른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는 추가 검색 요청 기능,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가 추천한 추천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플레이를 요청하는 연속 감상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더 수행하고,
    상기 몰입성 이벤트 감지 클라이언트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 또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후 상기 컨텐츠 추천 요청 기능의 실행에 따른 컨텐츠 추천 이벤트,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 또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후 상기 컨텐츠 공유 요청 기능의 실행에 따른 컨텐츠 공유 이벤트,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 또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후 상기 채널 구독 요청 기능의 실행에 따른 채널 구독 이벤트,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 또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후 상기 추가 검색 요청 기능의 실행에 따른 추가 검색 이벤트, 또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 또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후 상기 연속 감상 기능의 실행에 따른 연속 감상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 4 몰입성 이벤트로 감지하고, 상기 제 4 몰입성 이벤트의 감지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컨텐츠 평가 서버에게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에 의해 소비된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상기 가중치 상향조정 요청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16. 제 9 항에 있어서,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는, 컨텐츠 목록을 통신망을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 요청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상기 컨텐츠 가중치의 순위에 따라 복수의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상기 컨텐츠 목록을 생성하여 상기 컨텐츠 목록을 요청한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17. 사용자 단말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동작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클라이언트,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동영상 컨텐츠를 공급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모니터링 클라이언트와 통신하여 상기 동작변화 정보를 수신하여 몰입성 이벤트의 감지에 따라 컨텐츠의 가중치를 변경하는 컨텐츠 평가 서버로 구성되는 시스템을 이용한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연산처리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동영상 컨텐츠로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모니터링 클라이언트가,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동작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동작변화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컨텐츠 평가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컨텐츠 평가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상기 연산처리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이 증가하도록 하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확대 이벤트 또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변경하도록 하는 클라이언트 해상도 변경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 1 몰입성 이벤트로서 감지하는 단계; 및
    d) 상기 컨텐츠 평가 서버가, 상기 제 1 몰입성 이벤트의 감지에 따라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에 의해 소비된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 가중치의 상향조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
  18. 제 1 저장장치를 통해 복수의 동영상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하고, 통신망을 통해 동영상 컨텐츠를 전송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통신망을 통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받아 소비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고, 제 2 저장장치를 통해 복수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컨텐츠 가중치를 저장하고, 상기 컨텐츠 가중치를 관리하고, 상기 컨텐츠 가중치를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게 제공하는 컨텐츠 평가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연산처리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소비하고,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을 변경하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 변경기능 또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해상도를 변경하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해상도 변경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연산처리장치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동작변화를 모니터링하여 동작변화 정보를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컨텐츠 평가 서버에 전송하는 모니터링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텐츠 평가 서버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화면 면적이 증가하도록 하는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확대 이벤트 또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클라이언트 디스플레이 해상도가 변경하도록 하는 클라이언트 해상도 변경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 1 몰입성 이벤트로서 감지하고, 상기 제 1 몰입성 이벤트의 감지에 따라 상기 동영상 컨테츠의 상기 컨텐츠 가중치를 상향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19. 제 1 항 또는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되는 상기 제 1 몰입성 이벤트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클라이언트 음량이 증가하도록 하는 클라이언트 음량 증가 이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
  20. 제 9 항 또는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되는 상기 제 1 몰입성 이벤트는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클라이언트 음량이 증가하도록 하는 클라이언트 음량 증가 이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21. 제 9 항 또는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소비 클라이언트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 제공 중에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청각적으로 재생하는 클라이언트 음량을 변경하는 클라이언트 음량 변경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KR1020160035559A 2016-03-24 2016-03-24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 KR101790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559A KR101790951B1 (ko) 2016-03-24 2016-03-24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
PCT/KR2017/002554 WO2017164547A1 (ko) 2016-03-24 2017-03-09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5559A KR101790951B1 (ko) 2016-03-24 2016-03-24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992A KR20170110992A (ko) 2017-10-12
KR101790951B1 true KR101790951B1 (ko) 2017-10-27

Family

ID=59899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5559A KR101790951B1 (ko) 2016-03-24 2016-03-24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0951B1 (ko)
WO (1) WO20171645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747B1 (ko) * 2018-11-30 2021-03-04 오당찬 몰입도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12200639A (zh) * 2020-10-30 2021-01-08 杭州时趣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流模型构建方法、装置及介质
CN115908070B (zh) * 2023-03-10 2023-05-09 深圳市企鹅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云平台的线上学习管理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9537A (ja) * 2011-11-21 2013-06-06 Nippon Hoso Kyokai <Nhk> 関心度推定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5125647A (ja) 2013-12-26 2015-07-06 ミライアプリ株式会社 情報通信プログラム、情報通信装置及び配信サー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453A (ja) * 1997-04-22 1999-01-12 Mitsubishi Electric Corp メディア情報推薦装置
KR100848721B1 (ko) * 2006-12-22 2008-07-25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추천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90366B1 (ko) * 2014-03-28 2016-12-2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반응을 고려한 컨텐츠 추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9537A (ja) * 2011-11-21 2013-06-06 Nippon Hoso Kyokai <Nhk> 関心度推定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5125647A (ja) 2013-12-26 2015-07-06 ミライアプリ株式会社 情報通信プログラム、情報通信装置及び配信サー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992A (ko) 2017-10-12
WO2017164547A1 (ko) 201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86855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recommended media content items
US20230035097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media content to download
US20210211476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recommending content based on network conditions
US9226024B2 (en) Automatic transition of content based on facial recognition
US1001553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ontent in a content list
US10028000B2 (en) Automatic rating optimization
US9635096B2 (en) Selecting a content item based on a view profile
US8286206B1 (en) Automatic rating optimization
US2015031940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playback operations based on the length of time a user is outside a viewing area
CN102103631A (zh) 内容提供服务器和方法及内容再现设备、方法和系统
KR20160087649A (ko) 사용자 단말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790951B1 (ko) 몰입성 이벤트 기반 컨텐츠 가중치 조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컨텐츠 가중치 조정방법
US201202192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with video sequences
US1084594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inserting additional content into a list of content
US9749700B1 (en) Automatic display of closed captioning information
US10194209B2 (en) Automatic display of closed captioning information
US10531138B2 (en) Automatically and programmatically generating scene change markers
JP606924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