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338B1 - 오미자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오미자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338B1
KR101790338B1 KR1020150187972A KR20150187972A KR101790338B1 KR 101790338 B1 KR101790338 B1 KR 101790338B1 KR 1020150187972 A KR1020150187972 A KR 1020150187972A KR 20150187972 A KR20150187972 A KR 20150187972A KR 101790338 B1 KR101790338 B1 KR 101790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tite
mulberry
powder
infrared ray
prep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7743A (ko
Inventor
최근종
Original Assignee
최근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근종 filed Critical 최근종
Priority to KR1020150187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338B1/ko
Publication of KR20170077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2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from offal, e.g. rinds, skins, marrow, tripes, feet, ears or sno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9Types of pasta, e.g. macaroni or noo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9/00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 G05D9/12Level control, e.g. controlling quantity of material stored in vessel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4Mouthfeel improving ag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미자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에 있어서, 특히 항균 및 해독작용을 하는 자초와 오미자를 혼합하여 순대를 제조하여 잡냄새를 없애도록하고, 아울러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흑운모를 이용하여 끓여 순대에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고품질의 기능성 식품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미자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세척된 돼지 소 창자를 뽕나무의 침출액에 숙성시키는 단계; 건조 당면을 뽕나무의 침출액에 불리는 단계; 소고기 분말 조미료, 후추, 소금, 마늘, 설탕, 고춧가루 및 생강분말을 혼합 비율 50 : 1 : 12 : 400 : 10 : 15: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조미 양념을 준비하는 단계; 양배추와, 부추와, 뽕잎 분말과, 오미자 분말 및, 자초를 혼합 비율 40 : 15 : 30 : 10 : 5 중량비로 혼합한 야채 속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돼지 소 창자 일측 단부를 묶고, 상기 준비된 당면, 조미 양념, 야채 속, 별도로 준비된 선지가 혼합된 순대 속을 충만시켜 묶는 단계와; 뽕나무의 침출액에 순대를 삶되 흑운모를 상기 찜기에 투입한 상태에서 순대를 삶는 단계; 및 상기 삶은 순대를 진공포장 후, 냉동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오미자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SUNDAE Sausag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오미자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항균 및 해독작용을 하는 자초와 오미자를 혼합하여 순대를 제조하여 잡냄새를 없애도록하고, 아울러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흑운모를 이용하여 끓여 순대에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고품질의 기능성 식품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미자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돼지의 내장은 전통적으로 소의 내장과 함께 단백질 섭취원으로 애용해온 부위이다. 종래 고기로 식용되는 짐승의 내장을 내포라 하였고, 내장 중에서도 고기로 쓰는 창자란 주로 소창과 대창을 아울러 이를때 사용되었다.
또한, 배장이라는 풍습은 예전에 마을 사람들이 함께 돼지를 잡고 난 후, 살코기를 나누어 갖되 돼지의 내장은 마을의 노인들께 드리는 미풍양속으로, 이러한 미풍양속으로부터 돼지의 내장은 좋은 음식으로 대접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북 지방의 전통 음식 중에는 소나 돼지의 내장을 재료로 써서 만드는 요리가 꽤 많이 있다. 일 예로, 평안도 지방의 전통음식인 ‘돼지내포국’은 돼지의 허파, 간 및 대창을 깨끗이 씻어서 무르게 삶은 다음 김치, 숙주나물 및 파를 넣고 다시 끓인 후, 고명으로 계란, 은행, 대추, 밤 또는 당면 따위를 얹어서 국물이 자작해지도록 끓여서 완성하는 것으로, 영양가도 많고, 푸짐하고 구수하며 볼품이 있는 찌개이다.
또한, 돼지 내장을 이용한 독특한 음식으로 '위쌈'이 있는데, 이는 돼지의 귀때기살, 갈비살, 족발살 등을 잘게 썰어서 갖은 양념을 하여 무친 것을 돼지의 밥통 속에 넣고 실로 꿰맨 다음 세 시간 가량 삶아서 돌로 눌렀다가 식으면 편육으로 썰어내는 음식이다. 상기 돼지의 밥통 대신 창자를 사용하는 경우 ‘창자찜’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돼지 내장을 이용한 음식 중에서 가장 서민적인 음식인 순대는 북쪽의 함경도부터 남쪽의 제주도까지 전국에 걸쳐 분포되어 있으며, 일반 국민들이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음식이다.
상기 순대는 전통적으로 가축을 잡아 정갈하게 씻어서 뼈를 발라 만두소와같이 앙념을 해서 질퍽하게 만들어 창자에다 가득히 넣어서 시루에 담아 은근히 쪄서 만드는 음식으로, 예전에는 소 창자 또는 돼지 창자를 이용하여, 상기 창자에 돼지고기, 쇠고기, 꿩고기 또는 닭고기 등의 육류를 집어 넣어 제조하였고, 최근 들어서는 돼지 장차가 순대의 기본 원료로 정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순대는 일반적으로 돼지 창자를 개끗이 세척하여 순대 외피를 만들고, 돼지고기, 곡류, 당면, 두부 또는 채소 등을 양념과 섞어서 만든 내용물을 상기 순대 외피에 삽입한 후, 양 끝을 동여 매고, 뜨거운 물 또는 증기에 삶아 익혀 제조한다.
상기 순대는 재료의 종류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야채와 고기를 다져 두부와 함께 민어 속에 넣고 찐 어교순대, 당면이 많이 들어가 걸지고 담백한 평안도 순대, 주로 대창에 소를 채우므로 큼지막한 함경도 순대, 찹쌀 대신 돼지고기를 갈아 넣은 개성순대, 많은 재료가 들어가 푸짐하고 기름진 것이 특징인 병천 순대, 순대소를 갈아 맛이 부드러운 소시지를 먹는 듯한 백암 순대, 많은 육류와 야채가 사용된 경기도 순대, 보리, 메밀 및 부추를 넣어 만든 제주순대, 생태를 내장을 빼고 말려서 그 안에 소를 넣어 만든 명태순대, 찹쌀과 당면을 위주로 한 찹쌀순대, 오징어 몸통에 순대소를 집어넣은 오징어순대 등이 있다.
상기 순대는 고단백 칼로리의 영양식품이고, 상기 순대의 주 원료인 돼지 내장은 납이나 수은 등 우리 몸에 유해한 독의 해독에 도움이 되고, 비타민 F라 불리는 리놀산과 많은 종류의 비타민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다양한 채소나 곡류 등을 함께 섭취할 수 있으며, 제조원가 저렴하여 초등학생부터 노인분들까지 다양한 서민층이 즐기는 음식이었다.
그러나, 최근 경제 성장에 따라 단백질 공급원이 다양해지고, 다양한 국제 교류와 변화된 식습관으로 인해 서구화된 입맛을 갖는 어린이, 청소년 층 및 젊은 층으로부터는 예전과 같은 호응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순대에 사용되는 돼지 선지와 돼지 내장 등은 순대 고유의 색, 풍미, 식감을 제공하나 특유의 냄새를 간직하고 있어서 유아, 청소년, 외국인 등 돼지 냄새에 거부감이 있는 취식자가 섭취를 꺼리게 되어, 순대가 고단백 및 기능성 영양 식품임에도 불구하고 소비층이 더 이상 확대되지 못하고 일부에 국한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전통 순대와는 달리 당면을 주성분으로 하는 찰순대와 야채를 주성분으로 하는 야채순대, 고기와 함께 당면, 야채를 주성분으로 하는 모듬순대 등이 개발되어 순대의 돼지냄새를 줄이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으나, 상기의 순대들은 취식하기 위하여 절단할 경우 순대소가 응집되지 못하고 순대 외피로부터 이탈되어 순대형태가 무너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순대소가 서로 응집되도록 하기 위하여 통상 순대소에 돼지 선지를 혼합하고 있으나, 순대소에 함유되는 돼지 선지에 의한 냄새가 취식의 거부감을 유발할 수 있으며, 냉동한 다음 해동할 경우 식감이 퍽퍽해지고 맛과 풍미도 저감되어 냉동보관이 어려우므로 장기보관에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453272호에는 순대 특유의 맛을 제거하고 순대 속에 충전된 내용물들이 서로 잘 응집될 수 있도록 하며, 장기보관이 가능한 야채순대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주 내용물인 양배추와 돼지고기; 부 내용물인 당면, 마늘, 생강, 양파, 대파; 양념물인 후추, 미원, 들깨, 찹쌀, 간장, 소금, 새우젓;을 선지와 함께 분쇄하여 혼합한 후 순대 외피인 소창에 충전하고, 이를 가열 및 뜸들여서 찬물에 식히고 건조한 다음 냉동 및 냉장하여 식당으로 공급하며, 식당에서 익혀서 고객에게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보에 따르면 양배추를 50 % 이상 사용하여 돼지고기의 특유의 맛을 제거하고 선지를 부가함으로써 다른 내용물의 응집력을 증가시켜 순대 절단시 내용물이 순대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며, 급랭하여 냉장보관함으로써 유통기간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양배추를 다량 사용하여 돼지 선지의 냄새를 어느 정도 감출 수는 있으나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하고 냉동 및 해동하는 과정에서 선지의 식감이 저하되고 순대소의 영양성분이 파괴되어 순대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2-0008304호에는 돼지의 냄새를 제거하고 식감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야채순대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돼지 소창을 뒤집어서 소금과 밀가루로 비비고 주물러서 순대 외피를 구성하는 돼지 소창의 냄새를 제거하고, 순대소에 깻잎, 참나물, 도라지 등의 야채를 다량 첨가하여 순대소에 함유되는 돼지고기와 선지 냄새를 상쇄하도록 함으로써 순대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 발명의 순대 또한 돼지 선지가 함유되어 있어서 돼지 특유의 냄새를 감소시키는 정도의 효과를 얻을 뿐 제거하지는 못한다.
상기와 같이 순대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여러 방안이 제안되고는 있으나 아직까지 만족할 만한 성과를 얻지 못하였으며, 순대에서 돼지 냄새를 제거하여 섭취의 거부감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은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돼지 선지로 인한 순대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여 섭취시 돼지냄새로 인한 거부감을 없앤 순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세척된 돼지 소 창자를 뽕나무의 침출액에 숙성시키는 단계; 건조 당면을 뽕나무의 침출액에 불리는 단계; 소고기 분말 조미료, 후추, 소금, 마늘, 설탕, 고춧가루 및 생강분말을 혼합 비율 50 : 1 : 12 : 400 : 10 : 15: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조미 양념을 준비하는 단계; 양배추와, 부추와, 뽕잎 분말과, 오미자 분말 및, 자초를 혼합 비율 40 : 15 : 30 : 10 : 5 중량비로 혼합한 야채 속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돼지 소 창자 일측 단부를 묶고, 상기 준비된 당면, 조미 양념, 야채 속, 별도로 준비된 선지가 혼합된 순대 속을 충만시켜 묶는 단계와; 뽕나무의 침출액에 순대를 삶되 흑운모를 찜기에 투입한 상태에서 순대를 삶는 단계; 및 상기 삶은 순대를 진공포장 후, 냉동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찜기는, 스팀 발생부(10)와, 스팀 발생부 상부에 설치되는 스팀 제공부(20)와, 스팀 제공부 상부에 설치되는 덮게(30)와, 스팀 발생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흑운모를 공급하는 흑운모 공급장치(60)와, 흑운모 공급장치 일단에 설치되어 흑운모의 투입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흑운모 투입 자동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찜기를 구성하되, 스팀 제공부(20)는 내측에 오미자 순대를 담을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며 바닥면에 다수개의 홀(21)을 형성하여 스팀 발생부(10)에서 제공된 스팀이 용이하게 스팀 제공부(20)를 통해 순대(1)로 제공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스팀 발생부(10)는, 용기 몸체의 측면을 관통하여 설치하되 열선으로 이루어지며 외부로부터 전기를 제공받아 열에너지를 발산하도록 구성하는 가열수단(11)과; 상기 용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하여 용기 몸체 내부에 존재하는 물의 수위를 체크하며, 기준이하로 수위가 낮아지면 경보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성하는 수위측정수단(12)과; 상기 용기 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흑운모로 이루어지며 원적외선을 상부로 발산하여 오미자 순대에 원적외선을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원적외선 제공수단(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흑운모 공급장치(60)는, 상기 스팀 발생부의 측면에 설치하되, 수직하게 설치되며 그 내부 공간부를 통해 흑운모를 공급하기 위한 제 1 흑운모 저장통(61)과, 상기 제 1 흑운모 저장통의 하부에 설치하되 경사지게 설치하며 제 1 흑운모 저장통을 통해 공급되는 흑운모를 스팀 발생부 바닥으로 공급토록 스팀 발생부 몸체를 관통 설치하는 제 2 흑운모 저장통(6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흑운모 투입 자동 조절수단은, 상기 제 2 흑운모 저장통 일단에 형성되는 개폐공(60a)과, 상기 개폐공(60a)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60b)가 일측단부에 형성된 스크류(60c)와, 상기 스크류(60c)를 회전시키기 위해 스크류(60c)의 타측에 설치되어 정,역회전되는 구동모터(64)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스크류를 전후진되도록 전환하여 개폐공(60a)을 개폐할 수 있도록 스크류에 끼워지는 보스(60d)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팀발생부 일단에 설치되어 원적외선을 센싱하는 원적외선 센서(40)와; 상기 원적외선 센서(40)으로부터 원적외선 데이터를 입력받아 분석하는 제어부(50)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원적외선 수치 데이터를 외부에 출력하여 작업자가 원적외선 방사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하는 원적외선 디스플레이장치(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뽕잎 분말은 30 내지 60도(℃)의 온도에서 5 내지 20분 동안 스팀 처리 후, 찬물에 침지시켜 건조된 뽕잎으로 제조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뽕나무의 침출액은 뽕나무의 껍질, 뿌리, 줄기의 혼합물로부터 나온 침출액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순대 속은 준비된 당면, 조미 양념, 야채 속, 별도로 준비된 선지를 혼합비율 3 : 1 : 1 : 1.5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돼지 선지로 인한 순대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여 섭취시 돼지냄새로 인한 거부감을 없앤 순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순대찜기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순대찜기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순대찜기 단면으로서 흑운모를 투입하는 상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순대찜기 단면으로서 흑운모를 폐쇄하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순대찜기 회로구성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순대찜기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순대찜기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순대찜기 단면으로서 흑운모를 투입하는 상태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순대찜기 단면으로서 흑운모를 폐쇄하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순대찜기 회로구성 블록도로서,
본 발명은 야채속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자초와 오미자를 적용하고, 아울러 순대를 삶는 과정에서 흑운모를 적용토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것으로 알려진 흑운모를 물에 반죽하고, 이를 1∼2㎝ 직경을 갖는 구(球)형상으로 성형한 다음 소성처리하여 제조된 원적외선 방사체를 적용하였다.
용량이 작은 솥의 경우 최저 10개의 흑운모가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용량이 상대적으로 큰 솥의 경우에는 최대 50개의 흑운모가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용된 솥의 용량에 따라 10개 내지 50개의 범위에서 투입되는 흑운모의 갯수를 조정할 수 있다.
참고로 흑운모는 단사정계에 속하는 광물로서 판상 또는 인상을 이루며 흔히 육각형 또는 능면체를 나타낸다. 밑면에 쪼개짐이 완전하고 박편은 탄성을 가지는데 금운모에 비하여 작다. 흑색, 갈흑색, 녹흑색 등을 띠며, 쪼개짐 면은 진주광택이 있고, 때로는 금속광택을 가진다. 흑운모 분포는 매우 넓고 많은 화성암, 변성암에서 산출되며, 퇴적암에서도 드물지 않다.
흑운모의 화학성분은 K(Mg,Fe)3AlSi3O10(OH)2이며 원적외선 방사율이 높은 특징을 가진다. 흑운모는 원적외선 발생, 온열효과, 자연치료효과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흑운모를 음료 또는 기능성 제품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은 아직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자초는 "지치" 또는 "자근" 등의 이름으로 불리는 여러해살이 풀로 옛날부터 물감을 얻는 염료로 귀히 여기기도 했으나 염료로서보다 약으로서의 쓰임새가 훨씬 더 뛰어나다. 굵은 보랏빛 뿌리가 땅속을 나사처럼 파고들면서 자라는데 오래 묵은 것일수록 보랏빛이 더 짙다.
이시진의 [본초강목]에 따르면 "자초는 성질이 차서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염증을 없애고 새살을 돋아나게 하는 작용이 뛰어나다. 피를 맑게 하며 장의 활동을 도와 변비를 해소한다"고 기재되어 있으며, 각종 염증, 피부병, 변비, 간장 질환, 동맥경화, 생리불순 등 각종 부인과 질환에 효과가 있고, 중국과 북한에서는 각종 암, 특히 설암, 위암, 갑상선암, 자궁암 등의 치료에도 이용하고 있다.
자초는 상한 조직을 없애고 새로운 조직을 생겨나게 하며, 소염, 살균작용이 있고, 해독 효과도 뛰어나서 갖가지 중독(약물, 항생제, 중금속, 농약, 알코올 등)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자초의 제조 방법은 자초를 70% 에탄올로 추출한 다음, 농축 건조시켜 사용하였다.
상기 자초의 성분은 acetylshikonin(아세틸시코닌), shikonin(시코닌), alkannan(알카난), isobutyryl-shikonin(이소부티릴-시코닌), β-dimethyl acryloylshikonin(베타-디메틸 아크리로일시코닌), β-hycroxy isovaloryl shikonin(베타-하이크록시 이소바로릴 시코닌), teracryl shikonin(테라크릴 시코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자초는 항균, 해독 및 항종양 등의 작용을 하며, 홍역, 변비, 화상, 동상 및 여드름을 포함한 피부질환 등의 질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오미자는 오미자 나무과(Schizandraceae)에 속하는 오미자나무(Schizandra Chinensis Baillon)의 열매이다. 오미자 나무는 낙엽성 목본인 덩굴식물이며 붉은 색의 과실을 생약재 및 식품원료로 이용하는 주요 약용식물로서 옛날부터 여러 종류의 식품으로 가공 이용되어 왔으며, 식품분야 이외에도 한방이나 의학 분야에서도 널리 통용되고 있다.
한방에서 오미자는 진정, 진해, 해열 등의 중추억제 작용과 간 보호 및 혈압강하, 알코올에 대한 해독작용 및 항산화 효과 등이 있다고 알려져 생약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음식에서는 오미자의 홍색색소를 이용한 녹말다식이나 녹말편, 오미자차등의 음료 및 오미자술 등이 가공되어 이용되고 있다.
오미자 과실에 함유된 성분은 주로 리그난(Lignans) 화합물이며, 기름, 정유, 색소 등 다양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오미자의 리그난 성분은 1961년 코체코브(Kochetkove) 등이 최초로 리그난의 일종인 시잔드린(schizandrin)을 분리하였으며 그 이후로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30여종의 리그난이 분리 동정되었다. 또한 오미자에 대한 성분연구를 살펴보면 대부분이 다이벤조시클로옥타디엔(dibenzocyclooctadiene) 골격의 리그난 화합물들이 주로 분리되었다. 이들 화학구조들은 R-biphenyl configuration의 (+)-deoxyschizandri group를 비롯하여, S-biphenyl configuration의 gomisin N group((-)-gomisin K1), dimethylgomisin J 및 gomisin J, 그리고 R-biphenyl configuration과 C-7위에 hydroxy group 갖는 schizandrin group(gomisin A and gomisin H), R-biphenyl configuration과 C-6위에 수산기를 갖는 gomisin O group(epigomisin O), S-biphenyl configuration과 C-7, C-6위에 두 개의 수산기를 갖는 gomisin B group(deangeloylgomisin B, F and gomisin P) 등으로 분류되어 구분되고 있다.
오미자에 함유된 여러 가지 리그난 화합물들 중 Gomisin A와 Gomisin N에 대하여 그 분석은 많이 이루어져 있으며, 그정량분석법들도 많이 연구되어져 있다. 오미자 열매에 대한 분석의 일예로서 오미자 열매를 음건한 후 분쇄하여 그 분쇄물을 여러 가지 용매로 연속 추출하여 분획물을 얻는다. 그 분획물을 실리카겔 (silical gel)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TLC plate에 전개하고 자외선(UV) 램프를 이용하여 분획물을 나눈다. 나누어진 분획물은 HPLC를 이용하여 재차 순차적으로 분석물질을 나누어 질량 스펙트로메터(mass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물질을 확인한다.
본 발명의 제조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조장치는 스팀 발생부(10)와, 스팀 제공부(20)와, 덮개(30)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스팀 발생부(10)에는 가열수단(11)과, 수위측정수단(12)과, 원적외선 제공수단(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스팀 제공부(20)는 내측에 순대를 담을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며 바닥면에 다수개의 홀(21)을 형성하여 스팀 발생부(10)에서 제공된 스팀이 용이하게 스팀 제공부(20)를 통해 순대(1)로 제공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가열수단(11)은 용기 몸체의 측면을 관통하여 설치하되 열선으로 이루어지며 외부로부터 전기를 제공받아 열에너지를 발산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수위측정수단(12)은 용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하여 용기 몸체 내부에 존재하는 물의 수위를 체크하며, 기준이하로 수위가 낮아지면 경보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원적외선 제공수단(13)은 용기 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흑운모로 이루어지며 원적외선을 상부로 발산하여 뽕잎 순대에 원적외선을 제공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은 스팀 발생부(10)에서 스팀이 발생되도록 유도하여 뽕잎순대가 담긴 스팀 제공부(20)로 스팀을 제공하여 순대를 익힌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팀 발생부(10)에 물을 넣고 가열수단(11)을 이용하여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며, 이때 수위측정수단(12)으로 물의 수위를 채크하여 일정이하로 물이 줄어들면 외부에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비정상적인 수위에서는 가열수단이 작동되지 않토록한다. 그리고, 원적외선 제공수단(13)을 스팀 발생부(10)에 설치하여 원적외선이 순대로 제공되도록하여 순대자체에서 나는 냄새를 탈취시키도록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흑운모를 공급하는 공급장치(60)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는바, 상기 스팀 발생부의 일측면에 설치하며, 구체적으로는 수직하게 설치되는 제 1 흑운모 저장통(61)과 상기 제 1 흑운모 저장통(61)의 하부에 설치하되 경사지게 설치하며 스팀 발생부 몸체를 관통 설치하는 제 2 흑운모 저장통(6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흑운모 저장통(61)을 이용하여 흑운모를 공급하면 제 2 흑운모 저장통(62)을 통해 스팀 발생부에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흑운모 공급장치(60)를 이용하게 되면 보다 편리하게 흑운모를 스팀 발생부(10)에 투입시켜 이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실시간으로 흑운모를 스팀 발생부 바닥면에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흑운모를 오래 사용하게 되면 원적외선 발산이 미미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흑운모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보다 쉽게 흑운모를 스팀 발생부(10)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언제든지 흑운모를 스팀 발생부(10)에 주입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말해서 상기 흑운모 공급장치(60)가 없으면 순대를 가열하는 도중에 흑운모(13)를 투입시키고자할 경우 스팀 제공부를 모두 들어낸 상태에서 흑운모(13)를 투입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스팀 발생부 일측면에 설치되는 흑운모 공급장치를 통해 언제든지 흑운모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가열도중에 스팀 제공부를 들어낼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가열도중이 아니더라도 흑운모(13)를 언제든지 공급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하며, 본 발명에서는 단지 제 1 흑운모 저장통(61)에 흑운모를 투입시키기만 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흑운모 공급을 조절하는 자동 공급 조절부(63)를 더 부가 설치하여 흑운모의 투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바, 제 1 흑운모 저장통(61)과 제 2 흑운모 저장통(62) 사이에 흑운모 자동 공급 조절부(63)를 더 설치하고, 상기 흑운모 자동 공급 조절부(63)의 후단에 공급 조절용 스크류 모터(64)를 더 설치하여 상기 흑운모 공급 조절용 스크류 모터(64)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흑운모의 투입량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제 1 흑운모 저장통에 담기는 흑운모는 흑운모 공급 조절부(63)를 통해 제 2 흑운모 저장통(62)으로 인입되고, 이후 상기 제 2 흑운모 저장통(62)으로 인입된 흑운모는 스팀 발생부(10)의 바닥면으로 공급되는바, 이때 상기 흑운모 자동 공급 조절부(63)에 설치되는 흑운모 공급 조절용 스크류 모터(64)를 회전시켜 흑운모의 공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흑운모 저장통에 형성되는 개폐공(60a)과, 상기 개폐공(60a)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60b)가 일측단부에 형성된 스크류(60c)와, 스크류(60c)를 회전시키기 위해 스크류(60c)의 타측에 설치되어 정/역회전되는 구동모터(64)와, 구동모터(64)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스크류(60c)를 전후진되도록 하여 제 2 흑운모 저장통(62)의 개폐공(60a)을 개폐할 수 있도록 스크류(60c)에 끼워지는 보스(19)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구동모터(64)를 구동하게 되면, 그 모터(64)의 구동에 의해 모터(64)에 연결 설치되는 스크류(60c)가 역회전하게 된다. 상기 모터(64)의 구동에 따라 역회전되는 스크류(60c)는 스크류(60c)에 끼워지는 보스(60d)에서 회전하면서 후진하게 되고, 상기 스크류(60c)가 후진함에 따라 일측단부에 형성되는 개폐부(60b)가 개폐공(60a)에서 후진하게 되어 흑운모(13)가 유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또한, 원하는 만큼의 흑운모 이동이 완료되어 개폐공을 폐쇄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구동모터(64)를 구동하게되면, 그 모터(64)의 구동에 의해 모터(64)에 연결 설치되는 스크류(60c)가 정회전하게 된다. 상기 모터(64)의 구동에 따라 정회전되는 스크류(60c)는 스크류(60c)에 끼워지는 보스(60d)에서 회전하면서 전진하게되고, 상기 스크류(60c)가 전진함에 따라 일측단부에 형성되는 개폐부(60b)가 개폐공(60a)에서 전진하게 되어 개폐공(60a)은 폐쇄되게 되며, 이에 따라 흑운모의 이동이 정지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제 1 흑운모 저장통(61)에 흑운모(13)를 대량 비축해 놓은 상태에서 흑운모 자동 공급용 구동모터(64)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흑운모의 공급량을 쉽게 조절할 수 있어 순대에 제공되는 원적외선 투입량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스팀발생부 일단에 설치되어 원적외선을 센싱하는 원적외선 센서(40)와, 상기 원적외선 센서(40)으로부터 원적외선 데이터를 입력받아 분석하는 제어부(50)와, 원적외선 수치 데이터를 외부에 출력하여 작업자가 원적외선 방사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하는 원적외선 디스플레이장치(70)를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즉, 본 발명은 원적외선 센서로부터 원적외선을 체크하여 제어부에 전송하며, 제어부(50)는 원적외선 수치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원적외선 방사 정도를 반드시 체크하도록 유도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상기 원적외선 센서(40)는 광기전력 효과나 광도전 효과를 이용한 양자형과 열기전력 효과나 초전 효과를 이용한 열형으로 나누어지며 본 발명에서 원적외선 센서(40)는 센서의 냉각이 필요하지 않은 초전형 원적외선 센서가 사용된다.
상기 초전형 원적외선 센서(40)는 초전 물질의 초전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 모든 물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 에너지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여기서 초전 특성이란 PZT(지르콘산티탄산납) 등의 결정 구조의 온도 변화에 대응하여 표면 전하가 변화하는 특성이다.
상기 초전형 원적외선 센서(40)에 사용되는 필터(창재)로는 실리콘, 폴리에틸렌, 석영 유리 등이 사용되고, 초전형 원적외선 센서(40)의 종류로는 PZT계, LiTaO3 계(탄탈산리튬), PVF2 , PbTaO3 등이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오미자 순대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세척된 돼지 소 창자를 뽕나무의 침출액에 숙성시키는 단계;
건조 당면을 뽕나무의 침출액에 불리는 단계;
소고기 분말 조미료, 후추, 소금, 마늘, 설탕, 고춧가루 및 생강분말을 혼합 비율 50 : 1 : 12 : 400 : 10 : 15: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조미 양념을 준비하는 단계;
양배추와, 부추와, 뽕잎 분말과, 오미자 분말 및, 자초를 혼합 비율 40 : 15 : 30 : 10 : 5중량비로 혼합한 야채 속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돼지 소 창자 일측 단부를 묶고, 상기 준비된 당면, 조미 양념, 야채 속, 별도로 준비된 선지가 혼합된 순대 속을 충만시켜 묶는 단계와;
뽕나무의 침출액에 순대를 삶되 흑운모를 찜기에 투입한 상태에서 순대를 삶는 단계; 및
상기 삶은 순대를 진공포장 후, 냉동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순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야채 속은 하기의 단계로 제조할 수 있다.
야채는 먼저 양배추 및 부추를 준비하여 흐르는 물에 깨끗하게 세척한 한 후 건져 물기를 뺀다. 상기 물기를 뺀 야채는 각각 순대 속이 될 수 있도록 잘게 썬다.
그리고, 뽕잎분말과, 오미자 분말 및 자초를 준비한다.
본 발명의 순대(1)는 양배추와, 부추와, 뽕잎 분말과, 오미자 분말 및, 자초를 혼합 비율 40 : 15 : 30 : 10 : 5중량비로 혼합한 야채 속과; 소고기 분말 조미료, 후추, 소금, 마늘, 설탕, 고춧가루 및 생강분말을 혼합 비율 50 : 1 : 12 : 400 : 10 : 15: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조미 양념을 혼합하여 제작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뽕나무 침출액은 뽕나무의 껍질, 뿌리, 줄기의 혼합물로부터 나온 침출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뽕나무의 침출액은 뽕나무의 껍질, 뿌리, 줄기의 혼합물과 물의 비율을 1 : 3 내지 10 정도의 부피비로 하여 상온 상태의 몰속에서 상기 뽕나무의 껍질, 뿌리, 줄기의 혼합물이 충분히 잠긴 상태에서 2 내지 6시간 침지시키며, 이때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상기 시간 동안의 침지를 통해 각종 성분들을 추출된다.
상기 순대 속으로 사용되는 당면, 조미 양념, 야채 속, 별도로 준비된 선지를 교반기 또는 손으로 천천히 골고루 혼합하여 순대 속을 준비한다.
상기 순대 속은 당면, 조미 양념, 야채 속, 선지를 혼합비율 3 : 1 : 1 : 1.5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혼합 비율은 순대의 색상, 향, 맛, 조직감을 고려한 것이다.
상기 순대 속 혼합공정에서 힘있게 문지르듯이 혼합하면 순대 속이 으깨지면서 맛이 변할 수 있으므로 순대 속혼합은 천천히 골고루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순대 속이 준비되면 순대 속을 넣을 돼지 창자를 준비해야 함으로 돼지 소 창자를 준비하여 세척한다. 상기 돼지 소 창자로 순대를 준비하는 것은 통상적인 순대재료를 돼지 소 창자로 실시하고 있으며, 특히 돼지 소 창자는 가늘고 길기 때문에 순대재료로 적당하다.
따라서, 돼지 소창자를 뒤집어 흐르는 물에 세척 후 물을 뺀 다음 굵은 소금을 넣고 5 내지 6회 골고루 주물러 기름을 제거한 다음 깨끗하게 세척한 후 복귀되도록 뒤집어 다시 한번 외면을 세척한다.
상기 세척된 돼지 소 창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뽕나무 추출액에 2 내지 5시간 동안 담그면 잔류된 기름이 완전히 빠지면서 냄새가 없어지며, 또한 육질이 단단해져 쫄깃한 맛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뽕나무 침출액은 뽕나무의 껍질, 뿌리, 줄기의 혼합물로부터 나온 침출액인 것으로 상기 뽕나무의 침출액은 유기산을 뽕나무의 껍질, 뿌리, 줄기의 혼합물의 무게 대비 0.1 내지 4 중량%가 첨가함으로써 순대 특유의 냄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1: 순대
10: 스팀 발생부
11: 가열수단
12: 수위측정수단
13: 원적외선 제공수단
20: 스팀 제공부
21: 홀
30: 덮게

Claims (5)

  1. 세척된 돼지 소 창자를 뽕나무의 침출액에 숙성시키는 단계;
    건조 당면을 뽕나무의 침출액에 불리는 단계;
    소고기 분말 조미료, 후추, 소금, 마늘, 설탕, 고춧가루 및 생강분말을 혼합 비율 50 : 1 : 12 : 400 : 10 : 15: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조미 양념을 준비하는 단계;
    양배추와, 부추와, 뽕잎 분말과, 오미자 분말 및, 자초를 혼합 비율 40 : 15 : 30 : 10 : 5 중량비로 혼합한 야채 속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돼지 소 창자 일측 단부를 묶고, 상기 준비된 당면, 조미 양념, 야채 속, 별도로 준비된 선지가 혼합된 순대 속을 충만시켜 묶는 단계와;
    뽕나무의 침출액에 순대를 삶되 흑운모를 찜기에 투입한 상태에서 순대를 삶는 단계; 및
    상기 삶은 순대를 진공포장 후, 냉동보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찜기는,
    스팀 발생부(10)와, 스팀 발생부 상부에 설치되는 스팀 제공부(20)와, 스팀 제공부 상부에 설치되는 덮게(30)와, 스팀 발생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흑운모를 공급하는 흑운모 공급장치(60)와, 흑운모 공급장치 일단에 설치되어 흑운모의 투입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흑운모 투입 자동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찜기를 구성하되, 스팀 제공부(20)는 내측에 오미자 순대를 담을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며 바닥면에 다수개의 홀(21)을 형성하여 스팀 발생부(10)에서 제공된 스팀이 용이하게 스팀 제공부(20)를 통해 순대(1)로 제공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스팀 발생부(10)는, 용기 몸체의 측면을 관통하여 설치하되 열선으로 이루어지며 외부로부터 전기를 제공받아 열에너지를 발산하도록 구성하는 가열수단(11)과; 상기 용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하여 용기 몸체 내부에 존재하는 물의 수위를 체크하며, 기준이하로 수위가 낮아지면 경보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성하는 수위측정수단(12)과; 상기 용기 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흑운모로 이루어지며 원적외선을 상부로 발산하여 오미자 순대에 원적외선을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원적외선 제공수단(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흑운모 공급장치(60)는, 상기 스팀 발생부의 측면에 설치하되, 수직하게 설치되며 그 내부 공간부를 통해 흑운모를 공급하기 위한 제 1 흑운모 저장통(61)과, 상기 제 1 흑운모 저장통의 하부에 설치하되 경사지게 설치하며 제 1 흑운모 저장통을 통해 공급되는 흑운모를 스팀 발생부 바닥으로 공급토록 스팀 발생부 몸체를 관통 설치하는 제 2 흑운모 저장통(6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흑운모 투입 자동 조절수단은, 상기 제 2 흑운모 저장통 일단에 형성되는 개폐공(60a)과, 상기 개폐공(60a)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60b)가 일측단부에 형성된 스크류(60c)와, 상기 스크류(60c)를 회전시키기 위해 스크류(60c)의 타측에 설치되어 정,역회전되는 구동모터(64)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스크류를 전후진되도록 전환하여 개폐공(60a)을 개폐할 수 있도록 스크류에 끼워지는 보스(60d)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팀발생부 일단에 설치되어 원적외선을 센싱하는 원적외선 센서(40)와; 상기 원적외선 센서(40)으로부터 원적외선 데이터를 입력받아 분석하는 제어부(50)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원적외선 수치 데이터를 외부에 출력하여 작업자가 원적외선 방사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하는 원적외선 디스플레이장치(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미자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뽕잎 분말은 30 내지 60도(℃)의 온도에서 5 내지 20분 동안 스팀 처리 후, 찬물에 침지시켜 건조된 뽕잎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미자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뽕나무의 침출액은 뽕나무의 껍질, 뿌리, 줄기의 혼합물로부터 나온 침출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미자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대 속은 준비된 당면, 조미 양념, 야채 속, 별도로 준비된 선지를 혼합비율 3 : 1 : 1 : 1.5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미자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5. 삭제
KR1020150187972A 2015-12-28 2015-12-28 오미자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KR101790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972A KR101790338B1 (ko) 2015-12-28 2015-12-28 오미자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972A KR101790338B1 (ko) 2015-12-28 2015-12-28 오미자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743A KR20170077743A (ko) 2017-07-06
KR101790338B1 true KR101790338B1 (ko) 2017-10-25

Family

ID=59354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972A KR101790338B1 (ko) 2015-12-28 2015-12-28 오미자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3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4617B (zh) * 2018-01-05 2020-10-16 袁沛兰 一种智能肠粉机
CN108261053A (zh) * 2018-01-05 2018-07-10 袁沛兰 一种自动上料的肠粉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825B1 (ko) * 2012-08-21 2014-07-15 박남규 기능성 순대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9825B1 (ko) * 2012-08-21 2014-07-15 박남규 기능성 순대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743A (ko) 2017-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2362B1 (ko) 흑미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KR101790335B1 (ko) 장뇌삼을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KR101790338B1 (ko) 오미자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KR101790341B1 (ko) 곤드레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KR20170002441U (ko) 다래나무순을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장치
KR101790334B1 (ko) 참마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KR101822365B1 (ko) 소세지 형태의 기능성 순대의 제조방법
KR101790339B1 (ko) 다래나무순을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KR101822361B1 (ko) 검은콩을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KR101790337B1 (ko) 녹차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KR101790336B1 (ko) 강황을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KR101822359B1 (ko) 율무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KR101822363B1 (ko) 황태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KR20170002440U (ko) 오미자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장치
KR101790333B1 (ko) 청양고추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KR200483009Y1 (ko) 율무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장치
KR101790332B1 (ko) 뽕잎을 이용한 순대 제조방법
KR200483011Y1 (ko) 흑미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장치
KR101822360B1 (ko) 수수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KR200483012Y1 (ko) 황태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장치
KR101822364B1 (ko) 검은깨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KR101790340B1 (ko) 머루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KR200483013Y1 (ko) 검은깨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장치
KR200483014Y1 (ko) 수수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장치
KR20170002439U (ko) 녹차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