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014Y1 - 수수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수수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014Y1
KR200483014Y1 KR2020160000333U KR20160000333U KR200483014Y1 KR 200483014 Y1 KR200483014 Y1 KR 200483014Y1 KR 2020160000333 U KR2020160000333 U KR 2020160000333U KR 20160000333 U KR20160000333 U KR 20160000333U KR 200483014 Y1 KR200483014 Y1 KR 2004830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generator
unit
error signal
switch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03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근종
Original Assignee
최근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근종 filed Critical 최근종
Priority to KR20201600003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0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0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01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2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from offal, e.g. rinds, skins, marrow, tripes, feet, ears or snou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23P20/25Filling or stuffing cored food pieces, e.g. combined with coring or making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수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장치에 있어서, 특히 항균 및 해독작용을 하는 자초와 수수를 혼합하여 순대를 제조하여 잡냄새를 없애도록하고, 아울러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흑운모를 이용하여 끓여 순대에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고품질의 기능성 식품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수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팀 발생부(10)와, 스팀 발생부 상부에 설치되는 스팀 제공부(20)와, 스팀 제공부 상부에 설치되는 덮게(30)로 이루어지되, 스팀 제공부(20)는 내측에 수수 순대를 담을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며 바닥면에 다수개의 홀(21)을 형성하여 스팀 발생부(10)에서 제공된 스팀이 용이하게 스팀 제공부(20)를 통해 순대(1)로 제공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스팀 발생부(10)는, 용기 몸체의 측면을 관통하여 설치하되 열선으로 이루어지며 외부로부터 전기를 제공받아 열에너지를 발산하도록 구성하는 가열수단(11)과; 상기 용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하여 용기 몸체 내부에 존재하는 물의 수위를 체크하며, 기준이하로 수위가 낮아지면 경보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성하는 수위측정수단(12)과; 상기 용기 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흑운모로 이루어지며 원적외선을 상부로 발산하여 수수 순대에 원적외선을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원적외선 제공수단(13)을 포함하여 구성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수수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SUNDAE Sausage}
본 고안은 수수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항균 및 해독작용을 하는 자초와 수수를 혼합하여 순대를 제조하여 잡냄새를 없애도록하고, 아울러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흑운모를 이용하여 끓여 순대에 원적외선을 방사하여 고품질의 기능성 식품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수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돼지의 내장은 전통적으로 소의 내장과 함께 단백질 섭취원으로 애용해온 부위이다. 종래 고기로 식용되는 짐승의 내장을 내포라 하였고, 내장 중에서도 고기로 쓰는 창자란 주로 소창과 대창을 아울러 이를때 사용되었다.
또한, 배장이라는 풍습은 예전에 마을 사람들이 함께 돼지를 잡고 난 후, 살코기를 나누어 갖되돼지의 내장은 마을의 노인들께 드리는 미풍양속으로, 이러한 미풍양속으로부터 돼지의 내장은 좋은 음식으로 대접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북 지방의 전통 음식 중에는 소나 돼지의 내장을 재료로 써서 만드는 요리가 꽤 많이 있다. 일 예로, 평안도 지방의 전통음식인 ‘돼지내포국’은 돼지의 허파, 간 및 대창을 깨끗이 씻어서 무르게 삶은 다음 김치, 숙주나물 및 파를 넣고 다시 끓인 후, 고명으로 계란, 은행, 대추, 밤 또는 당면 따위를 얹어서 국물이 자작해지도록 끓여서 완성하는 것으로, 영양가도 많고, 푸짐하고 구수하며 볼품이 있는 찌개이다.
또한, 돼지 내장을 이용한 독특한 음식으로 '위쌈'이 있는데, 이는 돼지의 귀때기살, 갈비살, 족발살 등을 잘게 썰어서 갖은 양념을 하여 무친 것을 돼지의 밥통 속에 넣고 실로 꿰맨 다음 세 시간 가량 삶아서 돌로 눌렀다가 식으면 편육으로 썰어내는 음식이다. 상기 돼지의 밥통 대신 창자를 사용하는 경우 ‘창자찜’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돼지 내장을 이용한 음식 중에서 가장 서민적인 음식인 순대는 북쪽의 함경도부터 남쪽의 제주도까지 전국에 걸쳐 분포되어 있으며, 일반 국민들이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음식이다.
상기 순대는 전통적으로 가축을 잡아 정갈하게 씻어서 뼈를 발라 만두소와같이 앙념을 해서 질퍽하게 만들어 창자에다 가득히 넣어서 시루에 담아 은근히 쪄서 만드는 음식으로, 예전에는 소 창자 또는 돼지 창자를 이용하여, 상기 창자에 돼지고기, 쇠고기, 꿩고기 또는 닭고기 등의 육류를 집어 넣어 제조하였고, 최근 들어서는 돼지 장차가 순대의 기본 원료로 정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순대는 일반적으로 돼지 창자를 개끗이 세척하여 순대 외피를 만들고, 돼지고기, 곡류, 당면, 두부 또는 채소 등을 양념과 섞어서 만든 내용물을 상기 순대 외피에 삽입한 후, 양 끝을 동여 매고, 뜨거운 물 또는 증기에 삶아 익혀 제조한다.
상기 순대는 재료의 종류에 따라 여러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야채와 고기를 다져 두부와 함께 민어 속에 넣고 찐 어교순대, 당면이 많이 들어가 걸지고 담백한 평안도 순대, 주로 대창에 소를 채우므로 큼지막한 함경도 순대, 찹쌀 대신 돼지고기를 갈아 넣은 개성순대, 많은 재료가 들어가 푸짐하고 기름진 것이 특징인 병천 순대, 순대소를 갈아 맛이 부드러운 소시지를 먹는 듯한 백암 순대, 많은 육류와 야채가 사용된 경기도 순대, 보리, 메밀 및 부추를 넣어 만든 제주순대, 생태를 내장을 빼고 말려서 그 안에 소를 넣어 만든 명태순대, 찹쌀과 당면을 위주로 한 찹쌀순대, 오징어 몸통에 순대소를 집어넣은 오징어순대 등이 있다.
상기 순대는 고단백 칼로리의 영양식품이고, 상기 순대의 주 원료인 돼지 내장은 납이나 수은 등 우리 몸에 유해한 독의 해독에 도움이 되고, 비타민 F라 불리는 리놀산과 많은 종류의 비타민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다양한 채소나 곡류 등을 함께 섭취할 수 있으며, 제조원가 저렴하여 초등학생부터 노인분들까지 다양한 서민층이 즐기는 음식이었다.
그러나, 최근 경제 성장에 따라 단백질 공급원이 다양해지고, 다양한 국제 교류와 변화된 식습관으로 인해 서구화된 입맛을 갖는 어린이, 청소년 층 및 젊은 층으로부터는 예전과 같은 호응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순대에 사용되는 돼지 선지와 돼지 내장 등은 순대 고유의 색, 풍미, 식감을 제공하나 특유의 냄새를 간직하고 있어서 유아, 청소년, 외국인 등 돼지 냄새에 거부감이 있는 취식자가 섭취를 꺼리게 되어, 순대가 고단백 및 기능성 영양 식품임에도 불구하고 소비층이 더 이상 확대되지 못하고 일부에 국한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전통 순대와는 달리 당면을 주성분으로 하는 찰순대와 야채를 주성분으로 하는 야채순대, 고기와 함께 당면, 야채를 주성분으로 하는 모듬순대 등이 개발되어 순대의 돼지냄새를 줄이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으나, 상기의 순대들은 취식하기 위하여 절단할 경우 순대소가 응집되지 못하고 순대 외피로부터 이탈되어 순대형태가 무너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순대소가 서로 응집되도록 하기 위하여 통상 순대소에 돼지 선지를 혼합하고 있으나, 순대소에 함유되는 돼지 선지에 의한 냄새가 취식의 거부감을 유발할 수 있으며, 냉동한 다음 해동할 경우 식감이 퍽퍽해지고 맛과 풍미도 저감되어 냉동보관이 어려우므로 장기보관에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공보 제0453272호에는 순대 특유의 맛을 제거하고 순대 속에 충전된 내용물들이 서로 잘 응집될 수 있도록 하며, 장기보관이 가능한 야채순대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고안은 주 내용물인 양배추와 돼지고기; 부 내용물인 당면, 마늘, 생강, 양파, 대파; 양념물인 후추, 미원, 들깨, 찹쌀, 간장, 소금, 새우젓;을 선지와 함께 분쇄하여 혼합한 후 순대 외피인 소창에 충전하고, 이를 가열 및 뜸들여서 찬물에 식히고 건조한 다음 냉동 및 냉장하여 식당으로 공급하며, 식당에서 익혀서 고객에게 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보에 따르면 양배추를 50 % 이상 사용하여 돼지고기의 특유의 맛을 제거하고 선지를 부가함으로써 다른 내용물의 응집력을 증가시켜 순대 절단시 내용물이 순대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며, 급랭하여 냉장보관함으로써 유통기간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양배추를 다량 사용하여 돼지 선지의 냄새를 어느 정도 감출 수는 있으나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하고 냉동 및 해동하는 과정에서 선지의 식감이 저하되고 순대소의 영양성분이 파괴되어 순대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2-0008304호에는 돼지의 냄새를 제거하고 식감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야채순대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돼지 소창을 뒤집어서 소금과 밀가루로 비비고 주물러서 순대 외피를 구성하는 돼지 소창의 냄새를 제거하고, 순대소에 깻잎, 참나물, 도라지 등의 야채를 다량 첨가하여 순대소에 함유되는 돼지고기와 선지 냄새를 상쇄하도록 함으로써 순대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 고안의 순대 또한 돼지 선지가 함유되어 있어서 돼지 특유의 냄새를 감소시키는 정도의 효과를 얻을 뿐 제거하지는 못한다.
상기와 같이 순대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여러 방안이 제안되고는 있으나 아직까지 만족할 만한 성과를 얻지 못하였으며, 순대에서 돼지 냄새를 제거하여 섭취의 거부감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은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돼지 선지로 인한 순대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여 섭취시 돼지냄새로 인한 거부감을 없앤 순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스팀 발생부(10)와, 스팀 발생부 상부에 설치되는 스팀 제공부(20)와, 스팀 제공부 상부에 설치되는 덮게(30)로 이루어지되, 스팀 제공부(20)는 내측에 수수 순대를 담을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며 바닥면에 다수개의 홀(21)을 형성하여 스팀 발생부(10)에서 제공된 스팀이 용이하게 스팀 제공부(20)를 통해 순대(1)로 제공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스팀 발생부(10)는, 용기 몸체의 측면을 관통하여 설치하되 열선으로 이루어지며 외부로부터 전기를 제공받아 열에너지를 발산하도록 구성하는 가열수단(11)과; 상기 용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하여 용기 몸체 내부에 존재하는 물의 수위를 체크하며, 기준이하로 수위가 낮아지면 경보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성하는 수위측정수단(12)과; 상기 용기 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흑운모로 이루어지며 원적외선을 상부로 발산하여 수수 순대에 원적외선을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원적외선 제공수단(13)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가열수단(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가열수단의 온도상태를 체크하는 온도감지부(51)와; 상기 온도감지부로부터 온도 데이터를 입력받아 분석하는 제어부(50)와; 상기 가열수단이 고장나 온도가 올라가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에러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는, 순대 장치를 작동시키면 전원 제어부에 의해서 전원신호가 인가되는 전원부(101)와;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며 온도가 올라가지 않으면 제어부(50)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키는 가열수단 에러신호 출력부(102)와; 상기 전원 스위치 및 가열수단 에러신호 출력부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발진 트랜스(103)와; 상기 발진 트랜스(1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되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08)와;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08)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107)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103)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08)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08)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이후 릴레이 스위치(107)가 작동한 것을 중단시키고, 이때 강제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아울러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08)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온 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하는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8)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상기 순대의 속은 당면, 조미 양념, 야채 속, 별도로 준비된 선지를 혼합비율 3 : 1 : 1 : 1.5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되, 야채 속은 양배추와, 부추와, 뽕잎 분말과, 수수 분말 및, 자초를 혼합 비율이 40 : 15 : 30 : 10 : 5중량비로 혼합하고; 상기 조미양념은 소고기 분말 조미료, 후추, 소금, 마늘, 설탕, 고춧가루 및 생강분말을 혼합 비율 50 : 1 : 12 : 400 : 10 : 15: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돼지 선지로 인한 순대 특유의 냄새를 제거하여 섭취시 돼지냄새로 인한 거부감을 없앤 순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순대 찜기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순대 찜기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순대 찜기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는 회로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고안의 에러 출력부 회로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고안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고안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고안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고안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고안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고안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고안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순대 찜기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순대 찜기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순대 찜기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는 회로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고안의 에러 출력부 회로도로서,
본 고안은 야채속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자초와 수수를 적용하고, 아울러 순대를 삶는 과정에서 흑운모를 적용토록 한다.
즉, 본 고안에서는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것으로 알려진 흑운모를 물에 반죽하고, 이를 1∼2㎝ 직경을 갖는 구(球)형상으로 성형한 다음 소성처리하여 제조된 원적외선 방사체를 적용하였다.
용량이 작은 솥의 경우 최저 10개의 흑운모가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용량이 상대적으로 큰 솥의 경우에는 최대 50개의 흑운모가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용된 솥의 용량에 따라 10개 내지 50개의 범위에서 투입되는 흑운모의 갯수를 조정할 수 있다.
참고로 흑운모는 단사정계에 속하는 광물로서 판상 또는 인상을 이루며 흔히 육각형 또는 능면체를 나타낸다. 밑면에 쪼개짐이 완전하고 박편은 탄성을 가지는데 금운모에 비하여 작다. 흑색, 갈흑색, 녹흑색 등을 띠며, 쪼개짐 면은 진주광택이 있고, 때로는 금속광택을 가진다. 흑운모 분포는 매우 넓고 많은 화성암, 변성암에서 산출되며, 퇴적암에서도 드물지 않다.
흑운모의 화학성분은 K(Mg,Fe)3AlSi3O10(OH)2이며 원적외선 방사율이 높은 특징을 가진다. 흑운모는 원적외선 발생, 온열효과, 자연치료효과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흑운모를 음료 또는 기능성 제품에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은 아직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본 고안에 사용된 자초는 "지치" 또는 "자근" 등의 이름으로 불리는 여러해살이 풀로 옛날부터 물감을 얻는 염료로 귀히 여기기도 했으나 염료로서보다 약으로서의 쓰임새가 훨씬 더 뛰어나다. 굵은 보랏빛 뿌리가 땅속을 나사처럼 파고들면서 자라는데 오래 묵은 것일수록 보랏빛이 더 짙다.
이시진의 [본초강목]에 따르면 "자초는 성질이 차서 열을 내리고 독을 풀며 염증을 없애고 새살을 돋아나게 하는 작용이 뛰어나다. 피를 맑게 하며 장의 활동을 도와 변비를 해소한다"고 기재되어 있으며, 각종 염증, 피부병, 변비, 간장 질환, 동맥경화, 생리불순 등 각종 부인과 질환에 효과가 있고, 중국과 북한에서는 각종 암, 특히 설암, 위암, 갑상선암, 자궁암 등의 치료에도 이용하고 있다.
자초는 상한 조직을 없애고 새로운 조직을 생겨나게 하며, 소염, 살균작용이 있고, 해독 효과도 뛰어나서 갖가지 중독(약물, 항생제, 중금속, 농약, 알코올 등)에 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
본 고안에 사용된 자초의 제조 방법은 자초를 70% 에탄올로 추출한 다음, 농축 건조시켜 사용하였다.
상기 자초의 성분은 acetylshikonin(아세틸시코닌), shikonin(시코닌), alkannan(알카난), isobutyryl-shikonin(이소부티릴-시코닌), β-dimethyl acryloylshikonin(베타-디메틸 아크리로일시코닌), β-hycroxy isovaloryl shikonin(베타-하이크록시 이소바로릴 시코닌), teracryl shikonin(테라크릴 시코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자초는 항균, 해독 및 항종양 등의 작용을 하며, 홍역, 변비, 화상, 동상 및 여드름을 포함한 피부질환 등의 질환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수수는 고량(高粱)이라고도 하며, 신석기시대부터 아시아와 유럽 일대에서 재배되었고 중국에서는 오곡의 하나로서 고대로부터 중요한 작물로 취급하였다. 수수에는 인,철 등의 무기질이 풍부하여 단백질 생성을 촉진시켜 피부를 한층 부드럽고 매끈하게 가꾸어주고 순환기 계통의 질병에 효과가 있으며 식욕증진에도 좋고 골격을 튼튼히 하여 인체의 성장에 도움이 된다.
수수를 동의보감에서도 맛이 좋고 깔깔한 느낌이 나며 성질이 따뜻하여 장기능에 도움을 주어 설사를 멈추게 하는데 도움이 되고 콜레라, 세균성 식중독 급성, 위장염 등을 다스리고 구토, 설사, 급성 위장염에 수수를 볶아 가루로 만들어 벌꿀이나 설탕을 넣어 마시면 좋다. 수수는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되며 종자를 약으로 쓸 때는 주로 생식하거나 생즙을 내서 사용하며 수수밥, 수수떡을 해먹기도 한다.
수수에는 전분(7.6%), 단백질(약 9.5~10%), 지방(약 2.1%), 비타민 B1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탄수화물 공급에 좋은 곡물이다.
수수에 대한 항돌연변이 및 항암 효과에 대한 연구를 실시한 결과 수수의 항돌연변이 효과는 무려 86%로 현미(60%) 보다더 뛰어날 뿐만 아니라 발암을 억제하는 효과까지도 밝혀냈다. 이는 수수에 함유된 타닌과 페놀성분이 항돌연변이 및 항산화 및 항암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수수의 뿌리를 삶아서 그 진액을 마시면 이뇨 작용이 강하고 신진대사를 도와주고 해독작용이 있으므로 주독이나 약물 중독증을 해독시켜 주며, 기침 해소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고안의 제조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제조장치는 스팀 발생부(10)와, 스팀 제공부(20)와, 덮개(30)로 이루어지고, 여기서 스팀 발생부(10)에는 가열수단(11)과, 수위측정수단(12)과, 원적외선 제공수단(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스팀 제공부(20)는 내측에 순대를 담을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며 바닥면에 다수개의 홀(21)을 형성하여 스팀 발생부(10)에서 제공된 스팀이 용이하게 스팀 제공부(20)를 통해 순대(1)로 제공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가열수단(11)은 용기 몸체의 측면을 관통하여 설치하되 열선으로 이루어지며 외부로부터 전기를 제공받아 열에너지를 발산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수위측정수단(12)은 용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하여 용기 몸체 내부에 존재하는 물의 수위를 체크하며, 기준이하로 수위가 낮아지면 경보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원적외선 제공수단(13)은 용기 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흑운모로 이루어지며 원적외선을 상부로 발산하여 뽕잎 순대에 원적외선을 제공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고안은 스팀 발생부(10)에서 스팀이 발생되도록 유도하여 뽕잎순대가 담긴 스팀 제공부(20)로 스팀을 제공하여 순대를 익힌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팀 발생부(10)에 물을 넣고 가열수단(11)을 이용하여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며, 이때 수위측정수단(12)으로 물의 수위를 채크하여 일정이하로 물이 줄어들면 외부에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비정상적인 수위에서는 가열수단이 작동되지 않토록한다. 그리고, 원적외선 제공수단(13)을 스팀 발생부(10)에 설치하여 원적외선이 순대로 제공되도록하여 순대자체에서 나는 냄새를 탈취시키도록한다.
한편, 본 고안은 가열수단(11)의 온도상태를 체크하는 온도감지부(51)와, 상기 온도감지부로부터 온도 데이터를 입력받아 분석하는 제어부(50)와, 가열수단이 고장나 온도가 올라가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에러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즉, 본 고안은 가열수단(11)의 온도상태를 체크하여 제어부에 전송하며, 제어부(50)는 가열수단이 고장나 온도가 올라가지 않으면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를 통해 계속적인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가열수단(11)을 반드시 체크하도록 유도한다.
본 고안의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의 구성을 상펴보면 다음과 같다.
회로 전원부(101)와, 가열수단 에러 출력부(102)와, 발진 트랜스(103)와,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08)와, 릴레이 스위치(107)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통신 단말기 전원 스위치(sw2)와,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부(101)는 순대장치를 작동시키면 전원 제어부에 의해서 전원신호가 인가된다.
상기 가열수단 에러 출력부(102)는 순대 제조장치에서 가열수단의 온도가 감지되지 않으면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킨다.
상기 발진 트랜스(103)는 전원 스위치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한다.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08)는 발진 트랜스(1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된다.
상기 릴레이 스위치(107)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08)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는 릴레이 스위치(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는 릴레이 스위치(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8)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103)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08)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08)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이후 릴레이 스위치(107)가 작동한 것을 중단시킨다. 그리고, 이때 강제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아울러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08)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온 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한다.
이하에서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열수단 에러 출력부(102)가 온 되면 직류 전원이 연결되어 발진 트랜스에 전원이 인가되고, 발진 트랜스의 2차측에 높은 전압이 인가된다.
2차측에 유기된 전원은 정류다이오드를 통해 반파의 직류 전원이 되고, 이 반파 직류전원은 콘덴서의 충방전 작용으로 인하여 보다 안정된 직류 전원이 된다.
이 직류 전원은 릴레이 스위치(107)의 코일을 거쳐 사이리스터의 애노드단에 인가되고, 한편 이 직류 전원은 저항을 통해 콘덴서에 충전작용을 하게 된다. 상승된 전압은 다이악을 통과하면서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08)를 트리거하여 에노드단과 케소드단이 스위칭되어 릴레이 스위치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하고, 이에 따라 릴레이 스위치(107)의 작동으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가 온 되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작동하면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8)의 베이스단을 활성화시키면서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8)의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에 폐회로를 유도하여 트랜스로 향하는 전원을 오프시키게 된다.
즉, 저항(109)과 콘덴서(110) 사이의 전압이 다이오드(120)를 통해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8)의 에미터 단자 및 콜렉터 단자 사이로 흘러 바이패스되며 이 바이패스에 의한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고, 이렇게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전압이 낮아지게 되면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08)로 향하는 트리거 신호를 멈추게 되어 에노드단과 케스단이 오프되면서 릴레이 스위치(107)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서 스위칭을 위해 계속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멈추게 된다.
한편, 만약 작업자가 에러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의 전류 흐름이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의 에미터단과 베이스단 사이에 흐르는 바이어스 전압이 사라져서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8)가 오프된다.
상기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8)가 오프되면서 다이오드(120)를 통한 저항과 콘덴서 사이의 바이패스 전압이 없어지고 이 전압은 콘덴서(110)에 충전된다.
이 충전된 전압이 다이악(111)의 브레이크 오버 현상을 이르키게 되고 다이악에서 트리거 신호를 보조 스위치 작동용 스위칭부(108)로 출력하여 철편을 이동시키면서 폐회로를 유지시키고 동시에 에러신호 제어부(140)로 출력되는 전원을 복귀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 디스플레이부(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에러요인을 치유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경고음을 출력시키도록하여 반드시 에러요인을 치유한 다음에 순대장치를 운용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수수 순대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순대(1)는 양배추와, 부추와, 뽕잎 분말과, 수수 분말 및, 자초를 혼합 비율 40 : 15 : 30 : 10 : 5중량비로 혼합한 야채 속과; 소고기 분말 조미료, 후추, 소금, 마늘, 설탕, 고춧가루 및 생강분말을 혼합 비율 50 : 1 : 12 : 400 : 10 : 15: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조미 양념을 혼합하여 제작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뽕나무 침출액은 뽕나무의 껍질, 뿌리, 줄기의 혼합물로부터 나온 침출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뽕나무의 침출액은 뽕나무의 껍질, 뿌리, 줄기의 혼합물과 물의 비율을 1 : 3 내지 10 정도의 부피비로 하여 상온 상태의 몰속에서 상기 뽕나무의 껍질, 뿌리, 줄기의 혼합물이 충분히 잠긴 상태에서 2 내지 6시간 침지시키며, 이때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한다. 상기 시간 동안의 침지를 통해 각종 성분들을 추출된다.
상기 순대 속으로 사용되는 당면, 조미 양념, 야채 속, 별도로 준비된 선지를 교반기 또는 손으로 천천히 골고루 혼합하여 순대 속을 준비한다.
상기 순대 속은 당면, 조미 양념, 야채 속, 선지를 혼합비율 3 : 1 : 1 : 1.5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혼합 비율은 순대의 색상, 향, 맛, 조직감을 고려한 것이다.
상기 순대 속 혼합공정에서 힘있게 문지르듯이 혼합하면 순대 속이 으깨지면서 맛이 변할 수 있으므로 순대 속혼합은 천천히 골고루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순대 속이 준비되면 순대 속을 넣을 돼지 창자를 준비해야 함으로 돼지 소 창자를 준비하여 세척한다. 상기 돼지 소 창자로 순대를 준비하는 것은 통상적인 순대재료를 돼지 소 창자로 실시하고 있으며, 특히 돼지 소 창자는 가늘고 길기 때문에 순대재료로 적당하다.
따라서, 돼지 소창자를 뒤집어 흐르는 물에 세척 후 물을 뺀 다음 굵은 소금을 넣고 5 내지 6회 골고루 주물러 기름을 제거한 다음 깨끗하게 세척한 후 복귀되도록 뒤집어 다시 한번 외면을 세척한다.
상기 세척된 돼지 소 창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뽕나무 추출액에 2 내지 5시간 동안 담그면 잔류된 기름이 완전히 빠지면서 냄새가 없어지며, 또한 육질이 단단해져 쫄깃한 맛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뽕나무 침출액은 뽕나무의 껍질, 뿌리, 줄기의 혼합물로부터 나온 침출액인 것으로 상기 뽕나무의 침출액은 유기산을 뽕나무의 껍질, 뿌리, 줄기의 혼합물의 무게 대비 0.1 내지 4 중량%가 첨가함으로써 순대 특유의 냄새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1: 순대
10: 스팀 발생부
11: 가열수단
12: 수위측정수단
13: 원적외선 제공수단
20: 스팀 제공부
21: 홀
30: 덮게

Claims (4)

  1. 스팀 발생부(10)와, 스팀 발생부 상부에 설치되는 스팀 제공부(20)와, 스팀 제공부 상부에 설치되는 덮게(30)로 이루어지되, 스팀 제공부(20)는 내측에 수수 순대를 담을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며 바닥면에 다수개의 홀(21)을 형성하여 스팀 발생부(10)에서 제공된 스팀이 용이하게 스팀 제공부(20)를 통해 순대(1)로 제공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스팀 발생부(10)는, 용기 몸체의 측면을 관통하여 설치하되 열선으로 이루어지며 외부로부터 전기를 제공받아 열에너지를 발산하도록 구성하는 가열수단(11)과; 상기 용기 몸체의 일측에 설치하여 용기 몸체 내부에 존재하는 물의 수위를 체크하며, 기준이하로 수위가 낮아지면 경보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도록 구성하는 수위측정수단(12)과; 상기 용기 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흑운모로 이루어지며 원적외선을 상부로 발산하여 수수 순대에 원적외선을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원적외선 제공수단(13)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가열수단(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가열수단의 온도상태를 체크하는 온도감지부(51)와; 상기 온도감지부로부터 온도 데이터를 입력받아 분석하는 제어부(50)와; 상기 가열수단이 고장나 온도가 올라가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에러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에러신호 자동 출력부(100)는,
    순대 장치를 작동시키면 전원 제어부에 의해서 전원신호가 인가되는 전원부(101)와;
    상기 전원부에 연결되며 온도가 올라가지 않으면 제어부(50)로부터 신호를 인가받아 전원 회로를 스위칭시키는 가열수단 에러신호 출력부(102)와;
    상기 전원부 및 가열수단 에러신호 출력부가 온 되면 전기가 공급되어 승압된 교류 전류를 출력하는 발진 트랜스(103)와;
    상기 발진 트랜스(103)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전기적 공급에 의해서 온 되는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08)와;
    상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08)의 출력단에 설치되며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릴레이 스위치(107)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릴레이 스위치(107)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에러신호 출력 제어부(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에러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베이스단이 연결되고 에미터단 및 콜렉터단이 발진 트랜스(103) 및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08)에 연결되며,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08)의 작동으로 철편이 당겨지면서 폐회로를 형성하면서 스위칭이 온 되어 이후 릴레이 스위치(107)가 작동한 것을 중단시키고, 이때 강제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오프시키게 되면 폐회로가 깨지면서 스위칭이 오프되고 아울러 릴레이 작동용 스위칭부(108)가 온 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온 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에러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를 온시켜 계속적으로 에러신호가 출력되도록 유도하는 전원 유지용 스위칭부(118)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순대의 속은 당면, 조미 양념, 야채 속, 별도로 준비된 선지를 혼합비율 3 : 1 : 1 : 1.5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하되, 야채 속은 양배추와, 부추와, 뽕잎 분말과, 수수 분말 및, 자초를 혼합 비율이 40 : 15 : 30 : 10 : 5중량비로 혼합하고; 상기 조미양념은 소고기 분말 조미료, 후추, 소금, 마늘, 설탕, 고춧가루 및 생강분말을 혼합 비율 50 : 1 : 12 : 400 : 10 : 15: 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수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60000333U 2016-01-20 2016-01-20 수수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장치 KR2004830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333U KR200483014Y1 (ko) 2016-01-20 2016-01-20 수수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0333U KR200483014Y1 (ko) 2016-01-20 2016-01-20 수수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014Y1 true KR200483014Y1 (ko) 2017-03-24

Family

ID=58496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0333U KR200483014Y1 (ko) 2016-01-20 2016-01-20 수수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014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322Y1 (ko) * 1990-09-10 1992-11-20 라니산업 주식회사 전원 트랜스를 이용한 전동타이머 구동회로
KR100864640B1 (ko) * 2008-03-19 2008-10-23 김동수 음식물 구이용 맥반석 패드
KR20140018709A (ko) * 2012-08-03 2014-02-13 주식회사 죠스푸드 순대찜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322Y1 (ko) * 1990-09-10 1992-11-20 라니산업 주식회사 전원 트랜스를 이용한 전동타이머 구동회로
KR100864640B1 (ko) * 2008-03-19 2008-10-23 김동수 음식물 구이용 맥반석 패드
KR20140018709A (ko) * 2012-08-03 2014-02-13 주식회사 죠스푸드 순대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2362B1 (ko) 흑미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KR101790335B1 (ko) 장뇌삼을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KR101992068B1 (ko) 검은콩을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을 통해 제작되는 검은콩 순대
KR101790341B1 (ko) 곤드레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KR20170002441U (ko) 다래나무순을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장치
KR101822361B1 (ko) 검은콩을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KR101790339B1 (ko) 다래나무순을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KR101822365B1 (ko) 소세지 형태의 기능성 순대의 제조방법
KR101790334B1 (ko) 참마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KR200483014Y1 (ko) 수수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장치
KR101822360B1 (ko) 수수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KR200483013Y1 (ko) 검은깨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장치
KR101822364B1 (ko) 검은깨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KR200483011Y1 (ko) 흑미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장치
KR200483010Y1 (ko) 검은콩을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장치
KR101790340B1 (ko) 머루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KR200483009Y1 (ko) 율무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장치
KR101822359B1 (ko) 율무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KR200483012Y1 (ko) 황태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장치
KR101790332B1 (ko) 뽕잎을 이용한 순대 제조방법
KR101790333B1 (ko) 청양고추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KR101822363B1 (ko) 황태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KR101790336B1 (ko) 강황을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방법
KR20170002442U (ko) 머루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장치
KR20170002700U (ko) 곤드레를 이용한 기능성 순대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