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0202B1 - 벽체 시공용 거푸집 구조 - Google Patents

벽체 시공용 거푸집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0202B1
KR101790202B1 KR1020150174655A KR20150174655A KR101790202B1 KR 101790202 B1 KR101790202 B1 KR 101790202B1 KR 1020150174655 A KR1020150174655 A KR 1020150174655A KR 20150174655 A KR20150174655 A KR 20150174655A KR 101790202 B1 KR101790202 B1 KR 101790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hole
outer panel
wall structure
s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4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7997A (ko
Inventor
이범호
Original Assignee
금강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강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강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4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202B1/ko
Publication of KR20170067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7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01Corner fastening or connecting means for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04G17/0657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fully recover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시공용 거푸집 구조는, 마감홀이 관통 형성되는 벽체 구조물과, 상기 벽체 구조물의 일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일측 벽면을 형성하며, 제1설치홀이 관통 형성되는 스티로폼과, 상기 스티로폼과 간격부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타측 벽면을 형성하며, 제2설치홀이 관통 형성되는 외부패널 및, 상기 마감홀과 상기 제1설치홀과 상기 제2설치홀을 통해 관통 결합되어 상기 스티로폼과 외부패널을 고정시키며, 상기 간격부에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과정을 거친 후 시공 벽체 형성 후 분리되어, 상기 외부패널의 고정을 해지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벽체 시공용 거푸집 구조{CONCRETE MOLD STRUCTURE FOR A WALL}
본 발명은 벽체 시공용 거푸집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에 설치된 벽체 구조물을 이용하여 인접하는 위치에 벽체를 형성시킴으로써, 인접 구조물과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도 벽체의 설치가 용이하므로 설치공간의 제약이 크지 않으며, 기존에 설치된 벽체 구조물을 이용하므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벽체 시공용 거푸집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체 시공용 거푸집은 건축물 공사시 콘크리트 벽체를 구축하기 위한 것으로, 벽체 패널과 이를 일정 강도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 등으로 이루어진다.
종래의 벽체 시공용 거푸집은, 목재로 이루어진 패널과, 철제로 이루어진 패널(갱폼)과, 목재와 철제가 복합적으로 구성된 패널 등이 사용된다.
그리고, 종래의 벽체 시공용 거푸집은 패널의 내부면을 일정 강도로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과 패널을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부재 등이 복합적으로 사용된다.
이후, 일정 틀 형태로 설치된 패널들의 외부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양생하는 과정을 거쳐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을 완료한다.
그런데, 종래의 거푸집은 기존에 설치된 벽체 구조물에 인접한 위치에 벽체를 시공하는 경우, 벽체 구조물과의 사이에 공간이 협소하여 패널 등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과 작업자의 작업 공간이 협소하므로 시공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0043527호(2000년 07월 15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벽체/슬라브 구축용 거푸집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에 설치된 벽체 구조물을 설치용 패널로 활용하여, 벽체 구조물과 인접하는 위치에 벽체를 형성시킴으로써, 인접 벽체 구조물과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도 벽체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인접 벽체 구조물을 이용하므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벽체 시공용 거푸집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시공용 거푸집 구조는, 마감홀이 관통 형성되는 벽체 구조물과, 상기 벽체 구조물의 일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일측 벽면을 형성하며, 제1설치홀이 관통 형성되는 스티로폼과, 상기 스티로폼과 간격부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타측 벽면을 형성하며, 제2설치홀이 관통 형성되는 외부패널 및, 상기 마감홀과 상기 제1설치홀과 상기 제2설치홀을 통해 관통 결합되어 상기 스티로폼과 외부패널을 고정시키며, 상기 간격부에 콘크리트 타설과 양생 과정을 통한 시공 벽체 형성 후 분리되어, 상기 외부패널의 고정을 해지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는 양단이 상기 제1설치홀과 상기 제2설치홀을 통해 관통 결합되며, 상기 외부패널측 일단에 결합홀이 형성되는 연결바와, 상기 벽체 구조물측 일단에 더 큰 폭으로 결합되어, 상기 벽체 구조물의 내면에 걸림 위치되는 스톱 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패널의 외면에 걸림 위치되는 결합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바의 외부에는 상기 스톱 플레이트와 상기 외부패널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슬리브가 더 결합되며, 상기 슬리브는 종 방향 양단이 상기 스톱 플레이트와 상기 외부패널의 내면에 밀착되어 상기 간격부를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바는 상기 결합핀을 상기 결합홀로부터 분리시킨 후, 상기 스톱 플레이트 방향으로 분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톱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바의 종 방향 일단이 일면에 일체로 용접 결합 또는 상기 연결바의 종 방향이 일단이 관통 후 용접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공 벽체에는 상기 벽체 구조물의 상기 마감홀 및 상기 제1설치홀과 동일선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와 대응되는 형상의 마감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벽체 구조물의 마감홀과 상기 시공 벽체의 마감홀에는 상기 연결부재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시멘트 모르타르(Cement mortar)가 채워진 후 양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된 벽체 구조물을 설치용 패널로 활용하여, 벽체 구조물과 인접하는 위치에 벽체를 형성시킴으로써, 인접 벽체 구조물과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도 벽체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인접 벽체 구조물을 이용하므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시공용 거푸집 구조에서 벽체 구조물의 외면에 스티로폼을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시공용 거푸집 구조에서 외부패널과 연결부재를 결합시킨 후, 간격부에 콘트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시공용 거푸집 구조에서 연결부재와 외부패널을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시공용 거푸집 구조에서 마감홀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주입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시공용 거푸집 구조에서 스톱 플레이트와 연결바의 결합 형태(a)(b)(c)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시공용 거푸집 구조에서 벽체 구조물의 외면에 스티로폼을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시공용 거푸집 구조에서 외부패널과 연결부재를 결합시킨 후, 간격부에 콘트리트를 타설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시공용 거푸집 구조에서 연결부재와 외부패널을 분리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시공용 거푸집 구조에서 마감홀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주입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시공용 거푸집 구조에서 스톱 플레이트와 연결바의 결합 형태(a)(b)(c)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시공용 거푸집 구조는 기존에 설치가 완료된 구조물을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벽체 구조물(20)과, 스티로폼(Styrofoam, 100)과, 외부패널(200) 및, 연결부재(3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벽체 구조물(20)은 기존에 설치를 완료한 구조물로서, 상기 벽체 구조물(20)을 이용해 인접한 위치에 새로운 시공 벽체(10)를 형성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벽체 구조물(20)은 도 2에서처럼 수직한 구조물인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기 벽체 구조물(20)에 마감홀(21)을 수평하게 관통 형성시킨다.
스티로폼(100)은, 시공 벽체(10) 형성을 위해 벽체 구조물(20)의 일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스티로폼(100)에는 도 1에서처럼 제1설치홀(110)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된다.
외부패널(200)은, 스티로폼(100)과 간격부(G)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타측 벽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시공 벽체(10)의 타측 벽면을 형성시킨다.
여기서, 상기 외부패널(200)에는 제2설치홀(210)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되며, 상기 제2설치홀(210)과 전술한 제1설치홀(110)은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패널(200)은 금속 등의 소재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으며, 상기 외부패널(600)은 일정 넓이와 두께로 제작할 수 있다.
연결부재(300)는, 마감홀(21)과 제1설치홀(110)과 제2설치홀(210)을 통해 수평하게 관통 결합되어, 스티로폼(100)과 외부패널(200)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간격부(G)가 일정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300)는 스티로폼(100)의 제1설치홀(110)과 외부패널(200)의 제2설치홀(210)을 통해 수평하게 관통 결합되어, 스티로폼(100)과 외부패널(200)을 설치 위치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상기 연결부재(300)는, 간격부(G)에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과정을 거친 후 분리되어, 벽체 구조물(20)과 스티로폼(100)과 외부패널(200)의 고정 상태를 해지시킨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300)는 연결바(310)와, 스톱 플레이트(320) 및, 결합핀(330)으로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연결바(310)는 금속 소재 등을 이용해 일정 길이로 제작하는 것으로, 일단이 제1설치홀(110)을 통해 수평하게 관통 결합되고, 타단이 제2설치홀(210)을 통해 수평하게 관통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바(310)의 끝단에는 후술 될 결합핀(330)이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홀(3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310)는 횡 방향 양측의 폭이 좁고, 상하측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형태로 제작할 수 있는데, 상기 연결바(310)의 형상은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연결바(310)는, 종 방향 양단을 제1설치홀(110)과 제2설치홀(210)과 벽체 구조물(20)의 마감홀(21)을 통해 수평하게 관통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벽체 구조물(20)의 마감홀(21)과 외부패널(200)의 외면으로 돌출된 단부에 결합홀(311)이 위치될 수 있다.
이후, 상기 결합홀(311)에 결합핀(330)을 결합시키는 경우, 상기 결합핀(330)이 외부패널(200)의 외면에 걸림 위치된다.
또한, 연결바(310)의 외부에는 스티로폼(100)과 외부패널(20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슬리브(400)가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400)는, 연결바(3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종 방향 양단으로 개방된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리브(400)는 종 방향 양단이 스티로폼(100)과 외부패널(200)의 내면에 밀착되며, 스트로폼(100)과 외부패널(200)의 위치 변경을 방지할 수 있어 간격부(G)의 폭을 고정적으로 유지시킨다.
스톱 플레이트(320)는, 벽체 구조물(20)측 일단에 더 큰 폭으로 결합되어, 상기 스톱 플레이트(320)의 일면이 벽체 구조물(20)의 내면에 걸림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스톱 플레이트(320)는 연결바(310)의 종 방향 일단이 일면에 일체로 용접 결합 또는, 상기 연결바(310)의 종 방향이 일단이 관통 후 용접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스톱 플레이트(320)는 도 5의 (a)와 (c)의 우측 도면에서처럼 일부분에 삽입 간격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 간격을 통해 연결바(310)의 종 방향 일단을 관통 결합시키는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바(310)의 종 방향 일단과 상기 삽입 간격은 도 5의 (c)에서처럼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스톱 플레이트(320)는 도 5의 (a)와 (c)의 좌측 도면에서처럼 연결바(310)의 종 방향 일단이 일면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바(310)의 종 방향 일단과 상기 스톱 플레이트(320)의 일면은 도 5의 (c)에서처럼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연결바(310)는, 결합핀(330)을 결합홀(311)로부터 분리시킨 후, 스톱 플레이트(320) 방향으로 수평하게 분리시킨다.
결합핀(330)은, 도 2에서처럼 결합홀(311)에 결합되어, 외부패널(200)의 외면에 걸림 위치되며, 상기 결합핀(330)은 결합홀(311)에 결합시 상기 결합홀(311)의 내면에 긴밀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테이퍼 형태(또는 쐐기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나, 상기 결합핀(330)의 형상은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부재(300)는, 도 4에서처럼 간격부(G)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을 완료한 후 분리되며, 상기 연결부재(300)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외부패널(200)을 시공 벽체(10)로부터 분리시킨다.
이때, 시공 벽체(10)에는 도 3에서처럼 연결바(310)의 외형과 대응되는 형상의 마감홀(11)이 형성되며, 상기 마감홀(11)(21)에는 도 74에서처럼 충전재(M)가 채워진 후 양생된다.
여기서, 상기 마감홀(11)(21)은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충전재(M)로는 시멘트 모르타르(Cement mortar) 등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벽체 시공용 거푸집 구조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 구조물(20)의 외면에 스티로폼(100)을 설치한 후, 상기 스티로폼(100)과 간격부(G)를 형성하도록 외부패널(200)을 위치시키는 과정을 진행한다.
이를 위해, 벽체 구조물(20)의 마감홀(21)과 제1설치홀(110)과 제2설치홀(210)을 통해 연결바(310)를 수평하게 관통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연결바(310)의 결합홀(311)에 결합핀(330)을 결합시켜, 상기 결합핀(330)에 의해 스티로폼(100)과 외부패널(200)이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바(310)의 외부에 결합된 슬리브(400)의 종 방향 양단이 스티로폼(100)과 외부패널(200)의 내면을 각각 지지하게 되므로, 스티로폼(100)과 외부패널(200)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상기 스티로폼(100)과 외부패널(200) 사이의 간격부(G)를 통해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일정 시간 동안 양생하는 과정을 거치면, 시공 벽체(10)가 간격부(G)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후, 결합핀(330)을 분리시킨 상태에서 연결바(310)를 외부로 분리시키면, 도 3에서처럼 연결바(310)가 분리된 외부패널(200)에 마감홀(11)이 형성된다.
최종적으로, 시공 벽체(10)에 형성된 마감홀(11)과 벽체 구조물(20)의 마감홀(21)에 충전재(M)를 주입한 후 양생하는 과정을 거치면, 시공 벽체(10) 형성 과정이 모두 완료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된 벽체 구조물(20)을 설치용 패널로 활용하여, 벽체 구조물(20)과 인접하는 위치에 시공 벽체(10)를 형성시킴으로써, 인접 벽체 구조물(20)과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도 시공 벽체(1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인접 벽체 구조물(20)을 이용하므로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벽체 시공용 거푸집 구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등록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등록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시공 벽체 11: 마감홀
20: 벽체 구조물 21: 마감홀
100: 스티로폼 110: 제1설치홀
200: 외부패널 210: 제2설치홀
300: 연결부재 310: 연결바
311: 결합홀 320: 스톱 플레이트
330: 결합핀 400: 슬리브
G: 간격부 M: 충전재
W: 용접부

Claims (6)

  1. 마감홀이 관통 형성되는 벽체 구조물과, 상기 벽체 구조물의 일면에 밀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일측 벽면을 형성하며, 제1설치홀이 관통 형성되는 스티로폼과, 상기 스티로폼과 간격부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타측 벽면을 형성하며, 제2설치홀이 관통 형성되는 외부패널 및, 상기 마감홀과 상기 제1설치홀과 상기 제2설치홀을 통해 관통 결합되어 상기 스티로폼과 외부패널을 고정시키며, 상기 간격부에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과정을 거친 후 시공 벽체 형성 후 분리되어, 상기 외부패널의 고정을 해지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양단이 상기 제1설치홀과 상기 제2설치홀을 통해 관통 결합되며, 상기 외부패널측 일단에 결합홀이 형성되는 연결바와, 상기 벽체 구조물측 일단에 더 큰 폭으로 결합되어, 상기 벽체 구조물의 내면에 걸림 위치되는 스톱 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홀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패널의 외면에 걸림 위치되고, 상기 결합홀에 결합시 상기 결합홀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테이퍼 형태의 결합핀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바의 외부에는, 상기 스톱 플레이트와 상기 외부패널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슬리브가 더 결합되고, 상기 연결바는 상기 결합핀을 상기 결합홀로부터 분리시킨 후, 상기 스톱 플레이트 방향으로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거푸집 구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종 방향 양단이 상기 스톱 플레이트와 상기 외부패널의 내면에 밀착되어 상기 간격부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거푸집 구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톱 플레이트는,
    상기 연결바의 종 방향 일단이 일면에 일체로 용접 결합 또는 상기 연결바의 종 방향이 일단이 관통 후 용접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거푸집 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공 벽체에는,
    상기 벽체 구조물의 상기 마감홀 및 상기 제1설치홀과 동일선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와 대응되는 형상의 마감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벽체 구조물의 마감홀과 상기 시공 벽체의 마감홀에는,
    상기 연결부재가 분리된 상태에서 시멘트 모르타르(Cement mortar)가 각각 채워진 후 양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 시공용 거푸집 구조.
KR1020150174655A 2015-12-09 2015-12-09 벽체 시공용 거푸집 구조 KR101790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655A KR101790202B1 (ko) 2015-12-09 2015-12-09 벽체 시공용 거푸집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4655A KR101790202B1 (ko) 2015-12-09 2015-12-09 벽체 시공용 거푸집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997A KR20170067997A (ko) 2017-06-19
KR101790202B1 true KR101790202B1 (ko) 2017-10-26

Family

ID=59279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4655A KR101790202B1 (ko) 2015-12-09 2015-12-09 벽체 시공용 거푸집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2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123Y1 (ko) * 2004-11-17 2005-02-07 구자삼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조절구조
JP2011117127A (ja) * 2009-11-30 2011-06-16 Jsp Corp 二重壁の構築方法
JP2011214346A (ja) * 2010-04-01 2011-10-27 Art Space Kk 型枠用間隔保持具、型枠用間隔保持具セット、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5123Y1 (ko) * 2004-11-17 2005-02-07 구자삼 콘크리트 거푸집용 간격조절구조
JP2011117127A (ja) * 2009-11-30 2011-06-16 Jsp Corp 二重壁の構築方法
JP2011214346A (ja) * 2010-04-01 2011-10-27 Art Space Kk 型枠用間隔保持具、型枠用間隔保持具セット、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7997A (ko) 2017-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65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슬리브 리브 조인트,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432260B1 (ko)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KR101348379B1 (ko) 건축용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983719B1 (ko) 교각 구조물용 영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
KR200481707Y1 (ko) 거푸집 겸용 외장벽판
JP4833591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柱・梁部材の連結工法
KR20180047905A (ko) 건축용 거푸집 고정구 및 그 고정구의 제작방법
KR20170120259A (ko) 강접합 구현을 위한 철골-콘크리트 하이브리드 pc기둥 및 pc보의 조인트 후타설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강접합 결합구조의 시공방법
KR101616867B1 (ko) 벽체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KR101606439B1 (ko) 트러스거더와 데크플레이트 간의 결합용 스페이서
JP2010150871A (ja) 型枠兼用外断熱材の化粧板取付工法と外壁取付用掛止め部材
KR101395129B1 (ko) 교량 슬래브용 프리캐스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슬래브 시공방법
KR101790202B1 (ko) 벽체 시공용 거푸집 구조
KR101142183B1 (ko) 더블티 슬래브 시스템에서 보-슬래브 접합부의 일체성을 강화하는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124820B1 (ko) 슬래브 구축용 결합구조
KR20140058076A (ko) 신구콘크리트 연결 시공방법
KR101360360B1 (ko) 간격유지부재의 설치가 용이한 거푸집조립체
KR102180280B1 (ko) 보강철물을 이용한 주차장용 중공슬래브 이음부 구조
KR101618805B1 (ko) 기존 건축물에의 부착력 향상을 통하여 단열성능 및 구조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리모델링 방법
KR20170117728A (ko) 기둥부재와 pc빔 연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pc구조물
JP5697204B2 (ja)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構造物における柱・梁のブラケット接合工法
KR20160003959U (ko) T형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벽체용 거푸집의 제작방법
KR20170089447A (ko)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강접합 결합구조의 시공방법
KR20160116274A (ko) 조립형강과 데크 플레이트를 활용한 일체화 구조를 갖는 수벽
KR100799176B1 (ko) 단열재가 취부되는 옹벽 교차부 폼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