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675B1 - 식생매트 및 블록을 이용한 녹화모듈 - Google Patents

식생매트 및 블록을 이용한 녹화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675B1
KR101789675B1 KR1020150171607A KR20150171607A KR101789675B1 KR 101789675 B1 KR101789675 B1 KR 101789675B1 KR 1020150171607 A KR1020150171607 A KR 1020150171607A KR 20150171607 A KR20150171607 A KR 20150171607A KR 101789675 B1 KR101789675 B1 KR 101789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layer
upper plate
seed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1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5324A (ko
Inventor
여중훈
Original Assignee
(주)호정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호정산업 filed Critical (주)호정산업
Priority to KR1020150171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675B1/ko
Priority to PCT/KR2016/006947 priority patent/WO2017094992A1/ko
Publication of KR20170065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1/00
    • A01G9/1086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5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vegetable material, e.g. wood, ree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식생매트 및 블록을 이용한 녹화모듈은 도 1 내지 3처럼 인도, 도로변, 하천이나 수로의 제방 및 절ㆍ성토 경사면 등 사면에 식생매트(100)를 선시공한 후, 이어서 식생매트(100) 상부에서 식생매트(100)를 관통하듯이 식생블록(200)을 설치하여 지중에 박아 고정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식생매트 및 블록을 이용한 녹화모듈{planting module using vegetation mats and blocks}
본 발명은 식생매트 및 블록을 이용한 식생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도, 도로변, 하천이나 수로의 제방 및 절ㆍ성토 경사면 등 사면에 설치되어 넓은 식생공간을 확보하면서 급류에 의한 토사 및 식물 유실을 방지하고, 시공후 매트에 포함된 종자에 적합한 생육환경을 조성하여 발아율을 높이기 위한 식생매트 및 블록을 이용한 녹화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생블록은 인도, 도로변, 하천이나 수로의 제방 및 절ㆍ성토 경사면 등 사면에 설치되어 우천시 토사 유실을 방지하는 것으로, 근자에는 식생기반을 조성하여 생태계의 보존 및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도록 친화적으로 녹지를 조성하는 추세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식생을 살펴보면, 특허공개번호 제10-2004-92523호에서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되고, 외벽이 수직벽으로 구성되고 내벽은 경사진 사각 외곽 틀과 외곽 틀 내부의 공간부를 4등분하는 절두 원추형 단면의 칸막이 틀로 구성되고 내부 칸막이 틀은 외곽 틀보다 높이가 낮게 형성되었으며, 외곽 틀의 모서리 부분에 절각부가 형성되어, 하천의 제방이나 유수지, 해안 등의 경사면 보호에 사용되며 사면침식을 방지하는 동시에 사각틀 공간부에 토사채움과 식재시 식생녹화호안, 석재채움시 친환경 등의 여러가지 호안형태로 사용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식생공간을 확대하기 위해 형성된 내부 공간부를 통하여 우천시 토사가 쉽게 유실되는 구조로서, 특히 집중호우 발생시 공간부를 통하여 사각틀 환경 블록 저면에 위치된 토사까지 역류하여 사면 전체가 붕괴되거나 부분적으로 침하되는 문제점이 따랐다.
뿐만 아니라, 식물이 자생하여 식생기반이 조성된 후에도 뿌리의 활착범위가 사각 틀 공간부에 제한됨에 따라 우천시 포트에서 모종이 분리되듯 식물이 쉽게 빠져 나와 유실되는 폐단이 따랐다.
한편, 상기한 식생블록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식생매트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바, 실용신안 제20-0424409호에서 등록된 자연분해되는 친환경재를 이용한 식생매트에서는 압착된 천연섬유재로서 흙이나 수분을 함유하는 천연섬유판과 자연분해가 가능한 천연재질로 형성되어 격자형의 구조를 이루어 상기 천연섬유판의 상측 내지 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기 천연섬유판에 고정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분해되는 친환경재를 이용한 식생매트를 제공한바 있으나 상기와 같은 식생매트는 원지반과의 고정구조가 견고하지 못하고, 천연섬유판이 종자가 발아하기 이전에 쉽게 자연분해되어 유실되는 문제점이 따랐다.
또, 실용신안 제 20-0414124호에서 야자나무의 코코넛으로 원형 또는 사각형상으로 식생매트를 구성하고, 식생매트내에 식물의 종자가 발아할 수 있도록 미세입자의 토양을 충진하였으며 식생매트의 하단에는 식생되어 활착 된 식생식물의 뿌리가 외부로 나오지 않도록 한 방근망을 하단에 설치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야자나무의 코코넛을 이용한 식생매트를 제공한바 있으나, 이러한 식생매트는 씨앗을 보온하기 위한 구성이 이루어지지 않아 씨앗의 발아율이 현저히 저하되고, 특히 인공비료와 방금망이 토양오염을 유발하여 친환경적이지 못한 폐단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인도, 도로변, 하천이나 수로의 제방 및 절ㆍ성토 경사면 등 사면에 설치되어 넓은 식생공간을 확보하면서 급류에 의한 토사 및 식물 유실을 방지하고, 시공후 매트에 포함된 종자에 적합한 생육환경을 조성하여 발아율을 높이기 위한 식생매트 및 블록을 이용한 녹화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폴리락트산(PLA) 수지 및 PBS계 수지, 무기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생분해성 원사를 타면(打綿)하여 형성되는 보습층(10); 상기 보습층(10) 상부에 종자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종자층(20); 상기 종자층(20) 상부를 마감하고, 코이어섬유, 코코피트, 바크, 황마, 짚, 낙엽을 포함하는 천연소재 중 적어도 어느 1종을 타면하여 형성되는 보온층(30); 및 상기 보온층(30) 상부에 설치되어 보습층(10) 및 종자층(20), 보온층(30)을 일체로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보호망(40); 상기 종자층(20)과 보온층(30)사이에 설치되어 종자를 보습층(10)상에 밀착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종자보호층(16)으로 이루어지는 식생매트(100);
상기 식생매트(100)가 시공된 상면에 설치되도록, 식생공(212)이 관통 형성되는 상판(210); 상기 상판(210) 가장자리부에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체결구(222)가 구비되고, 식생매트(100)를 관통하여 지중에 박히듯이 매립되는 측관(220); 상기 식생공(212)의 가장자리부에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식생매트(100)를 관통하여 지중에 박히듯이 매립되는 식생관(230); 상기 상판(210) 저면에 대응하는 측관(220)과 식생관(230) 사이에 형성되고, 토사가 수용되면서 식물 뿌리가 확장 활착되도록 구비되는 공간부(232); 및 상기 공간부(232)를 분할하도록 상판(210) 저면에 형성되어, 토사를 분할된 공간에 각각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격벽(233);으로 이루어지는 식생블록(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습층(1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보호망(4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망(40)은 폴리락트산(PLA) 수지 및 PBS계 수지, 무기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생분해성원사를 직조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층형성된 각 층은 봉재부(50)에 의해 합포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210)은 저면에 복수의 경사판(242)으로 이루어진 방사형 쇄기(2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판(210)은 가장자리부에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214)이 구비되어, 조립시 식생공간(216)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식생매트를 시공후 상부에 식생블록으로 마감하므로, 식생매트를 구성하는 각 층이 자연분해되는 친환경 소재, 특히 보습층과 보호망이 생분해성 원사로 형성되어 시공후 환경오염이 방지되고, 또 보습층이 종자의 뿌리 활착이 활성화되는 2~4년간 자연분해가 지연되어 조기분개를 방지함과 더불어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종자의 초기 발아율 및 생육이 촉진되면서, 식생블록의 측관과 식생관에 의해 상판 저면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식생매트에 의해 식생공에서 자생하는 식물의 뿌리가 공간부로 확장 활착되어 급류에 의한 유실이 방지되면서 식생공 확장을 통한 넓은 식생공간 확보에 용이하고, 측관과 식생관이 식생매트(100)를 관통하여 지중에 박힌 상태로 지지되어 식생블록의 고정력이 전체적으로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 및 블록을 이용한 녹화모듈 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 및 블록을 이용한 녹화모듈의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생매트 및 블록을 이용한 녹화모듈의 시공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발아촉진 식생매트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발아촉진 식생매트의 봉재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발아촉진 식생매트를 시공하여 종자의 발아 및 식생매트의 자연분해과정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7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9 내지 1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생블록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을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2 내지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을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매트 및 블록을 이용한 녹화모듈은 도 1 내지 3처럼 인도, 도로변, 하천이나 수로의 제방 및 절ㆍ성토 경사면 등 사면에 식생매트(100)를 선시공한 후, 이어서 식생매트(100) 상부에서 식생매트(100)를 관통하듯이 식생블록(200)을 설치하여 지중에 박아 고정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친환경 발아촉진 식생매트(100)는 친환경적이면서 종자 발아에 적합하도록 생육환경을 조성하여 발아율 및 생육을 촉진시키기 위해 보습층(10), 종자층(20), 보온층(30), 보호망(4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보습층(10)은 폴리락트산(PLA) 수지 및 PBS계 수지, 무기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생분해성 원사를 타면(打綿)하여 형성된다. 보습층(10)은 지면과 접촉되어 수분을 흡수하고, 흡수된 수분을 종자로 공급하여 초기 발아를 촉진시킴은 물론 가뭄에 의한 괴사를 방지하게 된다.
이때, 폴리락트산(PLA) 수지라 함은 락트산(Lactic acid)을 단량체로 구성한 폴리머 전체를 지칭하며, PLA 수지는 이성질체 D-Lactide, L-Lactide 함량 및 배열(랜덤공중합, 블럭공중합)에 따라 열특성 및 물리적특성 등이 달라질 수 있다.
폴리락트산(PLA)수지의 용융지수(MI) 10 내지 50g/10min(230℃, 2.16kg의 하중)인 것이 바람직하고, DSC로 측정한 융융점(Tm)이 145 내지 2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PBS계 수지의 용융지수는 1 내지 20g/10min (190℃,2.16kg의 하중)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융지수가 낮을수록 섬유의 강성, 낮은 신율을 부여할 수 있지만 점도가 저하되므로 가공성이 나빠지게 되며, 용융지수가 너무 높으면 섬유의 강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방사가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 PBS계 수지는 PBS (Polybutylene Succinate), PBSA (Polybutylene Succinate-co-adipate) 또는 PBSF (Polybutylene succinate fumaric)을 단독 또는 1이상 혼합 용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폴리락트산(PLA)수지와 PBS계 수지 혼합물을 용융시에 무기물을 투입하여 용융시키는 데, 백운모, 금운모, 황산바륨, 이산화티타늄, 탈크 (Talc), 탄산칼슘(CaCO3)등의 무기 입자를 1이상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무기물이 혼합되어 섬유를 제조할 경우 필러(Filler) 또는 결정화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혼합물 용융시에 혼합되는 비율은 폴리락트산(PLA) 수지, PBS계 수지 및 무기물이 각각 50 내지 92 중량%, 7 내지 45 중량% 및 1 내지 5 중량%로 혼합된다. 상기 범위내에서 제조된 섬유가 물성이 우수하며 부직포 제조시 카딩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PLA 수지가 상기 범위 미만으로 혼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신도가 높아지며 부직포를 제조할 경우 카딩시에 끊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며, PBS계 수지가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에는 방사성이 나빠져 섬유를 제조하기 어렵거나 부직포 서멀본딩시 본딩력이 저하되며, 고온 욕중염색시 수축현상이 심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MIt 값을 230℃에서 측정한 용융지수(MI-230)를 190℃에서 측정한 용융지수(MI-190)로 나눈 값으로 정의("MIt = (MI-230) ÷ (MI-190)")하였는 데, 본 발명의 PLA, PBS계 및 무기물을 혼합한 수지의 MIt 값이 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1 내지 5 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MIt 값은 섬유방사시에 폴리머의 열안정성을 대변할 수 있는 자체 지표로써 MIt 값이 낮을수록 열안정성이 뛰어난 데. 상기 혼합한 수지의 MIt 값이 상기 범위 내에서 있을 때 열안정성이 뛰어난 특징이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섬유의 제조공정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폴리락트산(PLA) 수지, PBS계 수지 및 무기물이 각각 50 내지 92 중량%, 7 내지 45 중량% 및 1 내지 5 중량%로 혼합 용융하여 혼합물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물을 180 내지 250℃ 온도에서 방사하고, 연신비1.2 내지 2.5 로 연신한다. 상기 연신의 배율을 높이기 위해서 다단연신(3~4) 및 욕중연신(60~100℃)의 용액속에서 연신할 수 있는 데, 상기와 같이 연신 할 경우에는 절사없이 안정적으로 연신할 수 있다.
이때, 생분해성 섬유의 제조방법에서 방사 및 연신단계와 관련하여 1스텝설비, 2스텝설비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생분해성 섬유는 2가지 설비로 제조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설비적, 물성적 특징을 가진다.
1스텝설비는 방사와 연신이 일련의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설비이며, 방사구금을 통해 토출된 폴리머를 급냉(10~50m/sec의 냉각공기)시키는 단계를 거치며 방사속도가 2스텝설비 대비 비교적 느린 40 내지 300m/min인 것이 특징이다. 방사속도가 낮고 방사구금을 통해 토출된 용융폴리머를 급냉시킴으로 인해 제조되는 섬유의 방사결정화 및 방사배향이 2스텝설비로 제조된 섬유와 대비하여 낮으며, 방사 직후의 미연신사의 물성이 2스텝설비로 제조된 미연신사와 대비하여 인장강도가 낮고 신도가 높은 경향을 보인다.
2스텝설비는 방사와 연신이 2단계로 나누어진 설비이며, 방사구금을 통해 토출된 폴리머를 서냉(1~4m/sec의 냉각공기)시키는 단계, 방사속도가 1스텝설비 대비 빠른 1000 내지 2500m/min인 것이 특징이다. 방사속도가 높고 방사구금을 통해 토출된 용융폴리머를 서냉시킴으로 인해 제조되는 섬유의 방사결정화 및 방사배향이 1스텝설비로 제조된 섬유보다 높으며, 방사 직후 미연신사의 물성이 1스텝설비로 제조된 미연신사 보다 인장강도가 높고,신도가 낮은 경향을 보인다.
상기 폴리머를 연신한 뒤 크림퍼에서 권축을 부여한 후, 방사유제를 섬유 표면에 부착하는 데, 방사유제 에멀젼이 함유된 액상수지를 디핑(Deeping) 처리 또는 스프레이(Spray)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방사유제는 특별히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폴리프로필렌 섬유 생산에 사용되는 친수성 또는 소수성 유제를 사용한다. 사용되는 상기 방사유제의 양은 전체 섬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0.3 내지 0.5 중량부가 포함되도록 방사유제를 섬유표면에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사유제가 부착된 섬유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되는 열풍온도 60 내지 100℃ 온도에서 약 8 내지 12 분간 열고정한 후, 섬유의 길이가 3 내지 100 mm가 되게 절단하는 단계를 거쳐 폴리프로필렌 섬유를 제조할 수있다.
상기에서 제조된 생분해성 원사는 원사 또는 솜형태로 준비되고, 이를 절개하여 조합기에 투입하여 부풀리면서 덩어리형태를 풀어 후황을 이용하여 호퍼로 공급된다. 호퍼로 공급된 생분해성 원사는 타면기로 정량공급되어 펼쳐진 상태로 타면(打綿)되어 보습층(10)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보습층(10)은 종자의 뿌리 활착이 활성화되는 2~4년간 자연분해가 지연되어 시공면의 조기분개를 방지함과 더불어 지면으로부터 흡수한 수분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종자의 초기 발아율 및 생육이 촉진되고, 뿌리 활착이 활성화된 후에는 도 6처럼 자연분해되어 토양오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종자층(20)은 보습층(10) 상부에 종자를 도포하여 형성된다. 보습층이 형성되어 이송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중에 도포된다.
이때 상기 종자는 종자보호층(16)에 의해 밀착고정되되, 여기서 종자보호층(16)은 종이로 형성되고, 도 4 (c) 내지 도 4 (d)와 같이 종자층(20)과 후술하는 보온층(30)사이에 설치되어 종자를 덮은 상태로 구비된다. 이에 종자보호층(16)이 종자를 보습층(10)상에 밀착고정함에 따라 운반 또는 시공중 종자의 이탈 및 일측으로 솔리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온층(30)은 종자층(20) 상부를 마감하고, 코이어섬유, 코코피트, 바크, 황마, 짚, 낙엽을 포함하는 천연소재 중 적어도 어느 1종을 타면하여 형성된다. 보온층(30)은 식물성 천연소재를 절개하여 조합기에 투입하여 부풀리면서 덩어리형태를 풀어 후황을 이용하여 호퍼로 공급하고, 호퍼로 공급된 천연소재는 타면기로 정량공급되어 펼쳐진 상태로 타면(打綿)되어 보온층(3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코이어섬유, 코코피트, 바크, 황마는 수입에 의존하는 품목으로서 가격변동이 심하고 재고 확보가 곤란하므로, 주변에서 쉽게 확보할 수 있는 짚, 낙옆을 주원료로 사용하는 바람직하다.
이에 보온층(30)은 시공후 종자를 덮은 상태로 발아되기 까지 보온 및 수분 과다증발을 방지함은 물론 종자의 새싹이 올라오면 조직이 쉽게 변형되어 발아중 색눈의 손상이 방지되고, 또 종자가 발아 후 1~2년사이에 자연분해되어 천연거름역할을 수행하여 생육을 촉진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망(40)은 상기 보온층(30) 상부에 설치되어 보습층(10) 및 종자층(20), 보온층(30)을 일체로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보호망(40)은 상기 보습층을 형성하는 생분해성 원사와 동일한 원사를 그물형태로 직조하여 형성되고, 식생매트를 시공시 상부에서 보호망(40)을 이격된 위치에서 고정하는 방식으로 식생매트 전체를 구속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습층(1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보호망(40)이 더 구비된다. 도 4 (b) 또는 도 4 (d)처럼 보습층(10) 하부는 지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보호망(40)에 의해 보호되어 지반유실시 보습층이 찢어지거나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그리고, 보습층(10)이 자연분해되는 시점에서 함께 분해되어 식물생육에 장애가 되지 않고 거름역할을 수행하므로 친환경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상기 적층형성된 각 층은 봉재부(50)에 의해 합포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즉 보습층(10), 종자층(20), 보온층(30), 보호망(40)을 순차적으로 적층(예컨대, 종자보호층(16)은 선택적으로 추가 적층)하고, 이를 봉재부로 합포하여 단일의 식생매트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봉재부(50)를 형성하는 봉재원사는 상기 생분해성원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봉재부(50)가 보호망(40)과 함께 식생매트를 전체적으로 결속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 4 (a)는 보습층(10), 종자층(20), 보온층(30), 보호망(40)으로 구성된 식생매트를 도시하고, 도 4 (b)는 보호망(40), 보습층(10), 종자층(20), 보온층(30), 보호망(40)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 4 (c)은 보습층(10), 종자층(20), 종자보호층(16), 보온층(30), 보호망(40)으로 구성된 식생매트를 도시하며, 도 4는 보호망(40), 보습층(10), 종자층(20), 종자보호층(16), 보온층(30), 보호망(4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식생매트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식생매트는 폴리락트산(PLA) 수지 및 PBS계 수지, 무기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생분해성 원사를 절단하여 준비되고, 이를 조합기에 투입하여 부풀리면서 덩어리형태를 풀어 후황을 이용하여 호퍼로 공급되며, 호퍼로 공급된 생분해성 원사는 타면기로 정량공급되어 펼쳐진 상태로 타면(打綿)되어 보습층(10)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절단된 생분해성 원사를 타면하여 형성된 보습층의 특성상 공극비중이 확대되어 수분흡수율이 단품으로 제작된 직물이나 부직포에 비해 뛰어나고, 또 공극을 통하여 뿌리가 지중으로 쉽게 활착되어 식물의 생육발달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 본원고안의 보습층은 생분해성 원사를 3~100 mm로 절단하고, 이를 타면하여 형성되므로, 시공후 쉽게 풀어짐에 따라 식물의 뿌리가 성장함과 더불어 보습층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원사가 쉽게 풀어지면서 식물의 뿌리가 보습층을 쉽게 통과하여 손상없이 지중에 활착되고, 또 단시간에 자연분해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종자보호층은 종자층과 보온층사이에 설치되어, 종자를 덮은 상태로 구비됨에 따라 종자보호층에 의해 종자가 보습층상에 밀착고정됨에 따라 식생매트를 운반 또는 시공하는 중에 종자의 이탈 및 일측으로 솔리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생블록(200)은 인도, 도로변, 하천이나 수로의 제방 및 절ㆍ성토 경사면 등 사면에 설치되어 넓은 식생공간을 확보하면서 급류에 의한 토사 및 식물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상판(210), 측관(220), 식생관(23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판(210)은 식생공(212)이 관통 형성된다. 상판(210)은 판형태로 형성되어, 하부로 관통되는 식생공(212)이 형성되는바, 여기서 식생공(212)은 지면이 노출되는 부분으로 식물이 자생하는 식생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식생공(212)은 도 7 내지 8에서 상판(210) 중앙부 1개소에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9 내지 10에서는 5개소에 구비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식생공간의 사이즈 및 위치 변경에 따라 수량과 형상 변경이 가능하다.
또, 상기 상판(210)은 가장자리부에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214)이 구비되어, 조립시 식생공간(216)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도 7 내지 10에서는 상판(210) 일면에 한 쌍의 경사면(214)이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5각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도 12 내지 13과 같이 식생블록(200)을 좌우방향으로 시공시 경사면(214)이 구비된 식생블록(200)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지면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식생공간(216)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측관(220)은 상판(210) 가장자리부에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체결구(222)가 구비된다. 측관(220)은 상판의 외주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관재형태로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식생매트(100)를 관통하여 지중에 박히듯이 매립되어 토사를 수용한 상태로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측관(220)은 체결구(222)에 의해 인접하는 측관(220)과 양방향 또는 사방으로 서로 결속되는바, 체결구(222)는 후크와 후크홈, 나사체결, 핀체결, 음양각끼움부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형성된다. 이에 상판(210)이 시공된 상태로 측관(220)에 의해 1차적으로 위치고정되고, 체결구(222)에 의해 인접하는 측관(220)끼리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견고한 고정력을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생관(230)은 식생공(212)의 가장자리부에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측관(220)과 함께 상판(210) 저면에 공간부(232)를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식생관(230)은 식생공(212)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관재형태로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식생매트(100)를 관통하여 지중에 박히듯이 매립되어 상판(210)이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식생관(230)과 상판(210), 측관(220)에 의해 식생블록 저면이 개방된 상태로 내부에 공간부(232)가 형성되는바, 이때 공간부(232)는 토사가 수용된 상태로 식생공(212)에서 자생하는 식물의 뿌리가 식생블록 하부를 경유하여 공간부(232)까지 확장 활착됨에 따라 급류에 의한 식물의 뿌리 뽑힘현상이 방지됨은 물론 식물 뿌리에 의해 식생블록의 고정력이 더욱 견고하게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식생관(230)은 식물의 뿌리와 보다 긴밀하게 일체화될 수 있도록 타공판으로 형성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공간부(232)는 상판(210) 저면에 구비되는 격벽(240)에 의해 분할되도록 구비된다. 격판(214)은 측관(220) 및 식생관(230)과 동일하게 식생매트(100)를 관통하여 지중에 박히듯이 매립되어 상판(210)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공간부(232)에 수용되는 토사가 분할된 공간에 각각 수용되어 어느 일측 공간부(232) 내에 토사가 유실되더라도 나머지 공간부(232)에 수용된 토사의 유실이 방지되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측관(220) 및 식생관(230)은 식생매트(100)을 관통하여 지중으로 박히도록 톱니형 또는 분할된 보수의 핀, 판타입으로 형성되고, 식생매트(100)는 측관(220) 및 식생관(230)에 의해 결속 지지되어 시공후 유동 및 붕괴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상판(210)은 저면에 복수의 경사판(242)으로 이루어진 방사형 쇄기(240)가 구비된다. 도 4 (b), 도 4 (d)에서는 방사형 쇄기(240)는 복수의 경사판(242)으로 이루어져 끝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되고, 지중 깊숙히 박히듯이 매립되어 식생블록을 전체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때 방사형 쇄기(240)는 경사판(242)에 의해 360°방향으로 지지되어 고정력이 더욱 견고하게 유지된다.
한편, 도 4 (b), 도 4 (d)에서 상기 경사판(242)은 90도 등각으로 4개소에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방사형 쇄기(240)의 삽입깊이 및 토질을 포함하는 설치환경에 따라 배치각도 및 개수변경이 가능하다.
이처럼 상기 측관은 상판 가장자리부에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관형부재이고, 식생관은 식생공의 가장자리부에 종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관형 부재로서, 측관과 식생관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지중에 박히듯이 매립 설치됨에 따라 측관과 식생관에 의해 식생블록을 설치시 측관 및 식생관이 지중에 박히듯이 매립되어 고정력이 견고하게 유지됨은 물론 상판 저면에 위치되는 토사를 감싸듯이 격리 수용하여 사면의 토사 유실을 방지하므로 급류에 의한 지반침하 및 붕괴현상이 방지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측관과 식생관이 이격된 위치에서 이중관 형태로 배치되고, 일측이 상판에 의해 마감된 구성으로, 즉 호안블록 저면에 하부가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된다. 이에 상판에 의해 상부가 마감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사면에 설치시 호안블록 저면에 위치된 토사를 수용 보호한 상태로 급류에 의한 유실을 방지, 식생공 및 호안블록 사이 공간에 자생하는 식물뿌리가 공간부로 확장 활착되어 유실방지, 공간부에 수분이 저장되어 가뭄시 식물괴사가 방지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 상기 격벽은 공간부를 분할하면서 측관 및 식생관과 동일하게 지중에 박히듯이 매립되어 상판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공간부에 수용되는 토사가 분할된 공간에 각각 수용되어 어느 일측 공간부 내에 토사가 유실되더라도 나머지 공간부에 수용된 토사의 유실이 방지되는 구성으로, 급류에 의한 토사유실 피해가 최소화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10: 보습층 20: 종자층
30: 보온층 40: 보호망
50: 봉재부 100: 식생매트
200: 식생블록 210: 상판
220: 축관 230: 식생관
240: 방사형 쇄기

Claims (6)

  1. 폴리락트산(PLA) 수지 및 PBS계 수지, 무기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생분해성 원사를 타면(打綿)하여 형성되는 보습층(10); 상기 보습층(10) 상부에 종자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종자층(20); 상기 종자층(20) 상부를 마감하고, 코이어섬유, 코코피트, 바크, 황마, 짚, 낙엽을 포함하는 천연소재 중 적어도 어느 1종을 타면하여 형성되는 보온층(30); 및 상기 보온층(30) 상부에 설치되어 보습층(10) 및 종자층(20), 보온층(30)을 일체로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보호망(40); 상기 종자층(20)과 보온층(30)사이에 설치되어 종자를 보습층(10)상에 밀착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종자보호층(16)으로 이루어지는 식생매트(100);
    상기 식생매트(100)가 시공된 상면에 설치되도록, 식생공(212)이 관통 형성되는 상판(210); 상기 상판(210) 가장자리부에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체결구(222)가 구비되고, 식생매트(100)를 관통하여 지중에 박히듯이 매립되는 측관(220); 상기 식생공(212)의 가장자리부에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식생매트(100)를 관통하여 지중에 박히듯이 매립되는 식생관(230); 상기 상판(210) 저면에 대응하는 측관(220)과 식생관(230) 사이에 형성되고, 토사가 수용되면서 식물 뿌리가 확장 활착되도록 구비되는 공간부(232); 및 상기 공간부(232)를 분할하도록 상판(210) 저면에 형성되어, 토사를 분할된 공간에 각각 수용하도록 구비되는 격벽(233);으로 이루어지는 식생블록(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및 블록을 이용한 녹화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층(1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보호망(4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및 블록을 이용한 녹화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망(40)은 폴리락트산(PLA) 수지 및 PBS계 수지, 무기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생분해성원사를 직조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및 블록을 이용한 녹화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형성된 각 층은 봉재부(50)에 의해 합포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및 블록을 이용한 녹화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210)은 저면에 복수의 경사판(242)으로 이루어진 방사형 쇄기(2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및 블록을 이용한 녹화모듈.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210)은 가장자리부에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214)이 구비되어, 조립시 식생공간(216)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매트 및 블록을 이용한 녹화모듈.
KR1020150171607A 2015-12-03 2015-12-03 식생매트 및 블록을 이용한 녹화모듈 KR101789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607A KR101789675B1 (ko) 2015-12-03 2015-12-03 식생매트 및 블록을 이용한 녹화모듈
PCT/KR2016/006947 WO2017094992A1 (ko) 2015-12-03 2016-06-29 식생매트 및 블록을 이용한 녹화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1607A KR101789675B1 (ko) 2015-12-03 2015-12-03 식생매트 및 블록을 이용한 녹화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324A KR20170065324A (ko) 2017-06-13
KR101789675B1 true KR101789675B1 (ko) 2017-10-25

Family

ID=58797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1607A KR101789675B1 (ko) 2015-12-03 2015-12-03 식생매트 및 블록을 이용한 녹화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89675B1 (ko)
WO (1) WO20170949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283B1 (ko) 2020-08-04 2021-05-12 주식회사 일림 생태복원용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18841C (en) * 2016-03-23 2020-11-10 Motz Enterprises, Inc. System and method for assembling an erosion-preventing mat
CN107223447A (zh) * 2017-07-26 2017-10-03 中国科学院、水利部成都山地灾害与环境研究所 一种髙陡边坡护坡用绿化毯及其护坡方法
CN110066159A (zh) * 2019-04-23 2019-07-30 盛世生态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应用于生态护坡的净水型绿化砖及其制备方法
CN110629768A (zh) * 2019-09-16 2019-12-31 瑞腾基础工程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绿色装配式永久边坡防护面层构造的方法
KR102449166B1 (ko) * 2020-02-25 2022-09-30 (주)호정산업 식생패각덮개를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
KR102449164B1 (ko) * 2020-02-25 2022-09-30 (주)호정산업 식생패각블록을 이용한 친환경 녹화시스템
KR102401497B1 (ko) 2020-04-23 2022-05-24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표시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336Y1 (ko) 2005-04-26 2005-07-20 유한회사 대호이엔씨 환경식생블록
KR101279958B1 (ko) 2011-06-01 2013-07-05 주식회사 트래코 식생층을 구비한 식생블록체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661U (ko) * 2007-08-17 2009-02-20 주식회사 대왕콘 식생매트가 구비된 호안블록
KR100889378B1 (ko) * 2009-01-06 2009-03-19 (주)케이이씨건설 식생주머니가 결합된 호안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하천 곡선부호안의 호안블록 시공방법
KR200467118Y1 (ko) * 2011-02-11 2013-05-28 (주)호정산업 친환경 발아촉진 식생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336Y1 (ko) 2005-04-26 2005-07-20 유한회사 대호이엔씨 환경식생블록
KR101279958B1 (ko) 2011-06-01 2013-07-05 주식회사 트래코 식생층을 구비한 식생블록체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283B1 (ko) 2020-08-04 2021-05-12 주식회사 일림 생태복원용 식생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324A (ko) 2017-06-13
WO2017094992A1 (ko) 201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9675B1 (ko) 식생매트 및 블록을 이용한 녹화모듈
KR20090014058A (ko) 토목섬유 보강 커튼 월 구조 및 녹화공법
KR100946730B1 (ko) 환경 친화적인 식생매트 및 그것을 사용한 환경친화적인 녹화방법
KR101101281B1 (ko) 경사면 녹화 식생 매트
CN110612793A (zh) 一种矸石山喷播绿化方法
EP3114282B1 (en) Mixed turf
KR101226872B1 (ko) 식생매트를 이용한 녹화 시공방법
KR100735459B1 (ko) 경사면의 녹화공법 및 이에 적용되는 녹화구조물
AU2009287388A1 (en) Vegetation and support laye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200467118Y1 (ko) 친환경 발아촉진 식생매트
KR101689643B1 (ko) 친환경 식생매트리스 게비온 녹화모듈
KR100931619B1 (ko) 호안 및 법면보호 녹화용 보강 식생매트 및 이의 시공방법
SK50582008A3 (sk) Vegetačná strecha, najmä sklonitá a spôsob jej výroby
KR102599353B1 (ko) 사면보호용 식생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사면보호용 식생매트
KR100826512B1 (ko) 격자망을 이용한 식생구조체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녹화공법
KR200413811Y1 (ko) 식생 호안용 부직포
KR101187934B1 (ko) 패각을 이용한 식생블록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CN205530294U (zh) 框格边坡
KR100621174B1 (ko) 녹지조성을 위한 씨앗 발아용 네트
KR100519984B1 (ko) 식생대 및 그 제조방법.
KR101688778B1 (ko) 에코매트가 포함된 식생용 개비온
JP2008208604A (ja) 法面保護マット
CN205382500U (zh) 混合边坡
KR102651453B1 (ko) 복합 지오셀 및 이를 포함하는 지반 보강 시스템
KR101225457B1 (ko) 식생상자의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