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643B1 - 친환경 식생매트리스 게비온 녹화모듈 - Google Patents

친환경 식생매트리스 게비온 녹화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643B1
KR101689643B1 KR1020160084732A KR20160084732A KR101689643B1 KR 101689643 B1 KR101689643 B1 KR 101689643B1 KR 1020160084732 A KR1020160084732 A KR 1020160084732A KR 20160084732 A KR20160084732 A KR 20160084732A KR 101689643 B1 KR101689643 B1 KR 101689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net
mat
seed
vege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중훈
Original Assignee
(주)효진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효진산업 filed Critical (주)효진산업
Priority to KR1020160084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6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A01G1/005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움골재 상부에 부설되는 토사층이 채움매트에 의해 보호되어 녹화 식물의 뿌리활착이 활성화되는 동안에 토사층 유실 및 국부적인 침하현상이 방지되고, 특히 식생매트 구조를 개선하여 산업폐기물로 분류되는 패각 재활용 처리량이 획기적으로 증대됨과 아울러 식물 생육발달 촉진을 도모하기 위해 게비온 본체망(100), 격벽망(110), 채움매트(12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친환경 식생매트리스 게비온 녹화모듈{Eco-friendly vegetation mattresses gaebion afforestation module}
본 발명은 친환경 식생매트리스 게비온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채움골재 상부에 부설되는 토사층이 채움매트에 의해 보호되어 녹화 식물의 뿌리활착이 활성화되는 동안에 토사층 유실 및 국부적인 침하현상이 방지되고, 특히 식생매트 구조를 개선하여 산업폐기물로 분류되는 패각 재활용 처리량이 획기적으로 증대됨과 아울러 식물 생육발달 촉진을 도모하는 게비온 녹화모듈에 관한 것이다.
통상 게비온은 다면체 철망 구조물로서, 내부에 채움골재를 채워 제방이나 절개지의 사면에 설치되어 사면을 보호하는바, 주로 매트리스(mattress)형 게비온을 사면 상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설치되고, 채움골재를 넣고 덮개망을 이용하여 상부를 마감하는 방식으로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게비온은 우천시 우수에 의한 사면 붕괴 및 빠른 유속으로 인한 제방 사면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나, 채움골재사이의 공극을 통하여 우수나 강물이 투입되어 지반 침하현상이 심각함은 물론 철망과 골재로 이루어진 인위적인 구조물로 인해 주변 환경이 황폐해지면서 친환경적이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등록특허 제10-1244710호에서, 직사각형의 메인메쉬와, 메인메쉬의 장변에 세워 올릴 수 있도록 결합된 장변메쉬와, 메인메쉬의 단변에 세워 올릴 수 있도록 결합된 단변메쉬와, 다수개가 등간격으로 이격하여, 메인메쉬를 단변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결합된 필터격벽와, 필터격벽은 그 하단이 상기 메인메쉬에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젖히거나 세워 올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경제성과 시공성이 향상되고 석재(골재) 뿐만 아니라 토사 충전(充塡)도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 선등록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부직포등이 적용되는 필터격벽을 구비하여 토사 충전이 가능한 기술이나, 필터격벽은 저면메쉬(210)를 단변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결합되어 토사의 사면방향 흘러내림을 방지 구조이므로, 우천시 우수 및 급류에 노출시 석재사이 공극을 통하여 토사가 하부로 쉽게 유실되면서 토사층이 붕괴 및 국부적인 침하현상이 발생되고, 이러한 현상이 지속될 경우 게비온이 설치된 지반 침하로 이어져 게비온 구조물의 전체적인 붕괴사고 이어지는 폐단이 따랐다.
또한, 게비온 상면에 식생매트를 설치하여 녹지화를 도모하고 있으나, 토사층이 분괴시 식생매트 저면과의 공간이 이격되면서 수분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식생매트에서 자생하는 식물이 쉽게 괴사하는 문제점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채움골재 상부에 부설되는 토사층이 채움매트에 의해 보호되어 녹화 식물의 뿌리활착이 활성화되는 동안에 토사층 유실 및 국부적인 침하현상이 방지되고, 특히 식생매트 구조를 개선하여 산업폐기물로 분류되는 패각 재활용 처리량이 획기적으로 증대됨과 아울러 식물 생육발달 촉진을 도모하는 게비온 녹화모듈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사면에 설치되어, 골재(S)가 수용되도록 내부에 채움공간(102)이 형성되고, 덮개망(104)에 의해 상부가 개폐되는 게비온 본체망(100); 상기 게비온 본체망(100)의 바닥망(106)과 측벽망(108)에 연결되어 채움공간(102)을 분할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격벽망(110); 상기 격벽망(110)에 걸쳐진 형태로 양측이 지지되고, 저면은 채움공간(102)의 골재(S) 상면에 안착 지지되어, 토사층(121)이 수용되도록 버켓부(122)가 구비되는 채움매트(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격벽망(110)은 채움매트(120)가 걸쳐지는 상측 단부에 횡형 보강대(11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로 인접하는 본체망(100)의 바닥망(106)은 중첩망(130)에 의해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채움매트(120)는 격벽망(110)이 이격 배치되는 사면 경사방향으로 보강띠(12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망(100)은 사면 길이방향으로 시공시 서로 중첩되는 측벽망(108) 중 어느 일측 측벽망(108)을 횡방향으로 펼쳐 인접하는 본체망(100)의 바닥망(106)과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토사층(121)과 덮개망(104)사이에 식생매트(200)가 구비되고, 식생매트(200)는 보습층(1), 종자층(2), 종자보호층(3), 보온층(4) 및 보호망(5)을 적층하여 구성되고, 상기 종자보호층(3)과 보온층(4) 사이에는 배치되어 복수의 격실(22)이 형성되는 포켓망층(20)이 구비되며, 상기 포켓망층(20)은 망조직의 위,경사 라인에 의해 격실(22) 측벽구획이 형성되고, 위, 경사 굵기에 의해 높이방향 격실(22) 구획이 형성되며, 보온층(4)과 종자보호층(3)에 의해 격실(22) 상하부가 마감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격실(22) 내부에 건조된 패각분말(10)이 수용저장되어, 식생매트를 롤형태로 말아서 보관시 수분을 흡수보유하여 종자 조기 발아현상을 방지하도록 천연분말층(21)이 구비되며, 상기 적층된 각 층은 봉재라인(30)에 의해 합포처리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켓망층(20)은 황마망, 볏짚매트로 형성되거나, 폴리락트산(PLA) 수지 및 PBS계 수지, 무기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생분해성원사 망조직으로 형성되어 시공후 10~14개월 후 자연분해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습층(1)은 폴리락트산(PLA) 수지 및 PBS계 수지, 무기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생분해성 원사를 타면(打綿)하여 형성되고, 종자층(2)은 보습층(1) 상부에 종자를 도포하여 형성되며, 보온층(4)은 종자층(2) 상부를 마감하고, 코이어섬유, 코코피트, 바크, 황마, 짚, 낙엽을 포함하는 천연소재 중 적어도 어느 1종을 타면하여 형성되며, 보호망(5)은 보온층(4) 상부에 설치되어 보습층(1) 및 종자층(2), 보온층(4)을 일체로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자보호층(3)은 통기공이 형성되는 펄프 또는 생분해성 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채움매트 양측이 격벽망에 걸쳐진 상태로 지지됨과 동시에 저면이 채움공간에 충진된 골재에 안착 지지됨에 따라 버켓부에 토사층을 형성시, 토사층이 채움매트에 감싸지는 형태로 양측부분과 저면부분이 이중으로 지지되어 토사유실 및 채움매트 처짐으로 인한 토사층 붕괴 및 국부적인 침하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토사층이 채움매트에 의해 초기 시공상태로 장기간 유지되면서 토사층 상부를 덮는 형태로 시공되는 식생매트를 설치시, 장기적으로 토사층 상면과 식생매트 저면이 긴밀하게 밀착되어 식생매트에서 자생하는 식물뿌리가 토사층으로 단시간에 활착되어 녹지화기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식생매트리스 게비온 녹화모듈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식생매트리스 게비온 녹화모듈을 사면에 시공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식생매트리스 게비온 녹화모듈의 횡형 보강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식생매트리스 게비온 녹화모듈의 채움매트 보강띠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식생매트리스 게비온 녹화모듈의 본체망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식생매트리스 게비온 녹화모듈의 식생매트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식생매트리스 게비온 녹화모듈의 포켓망층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식생매트리스 게비온 녹화모듈의 식생매트를 롤형태로 말아서 보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채움골재 상부에 부설되는 토사층이 채움매트에 의해 보호되어 녹화 식물의 뿌리활착이 활성화되는 동안에 토사층 유실 및 국부적인 침하현상이 방지되고, 특히 식생매트 구조를 개선하여 산업폐기물로 분류되는 패각 재활용 처리량이 획기적으로 증대됨과 아울러 식물 생육발달 촉진을 도모하기 위해 게비온 본체망(100), 격벽망(110), 채움매트(120)를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게비온 본체망(100)은 사면에 설치되어, 골재(S)가 수용되도록 내부에 채움공간(102)이 형성되고, 덮개망(104)에 의해 상부가 개폐되도록 구비된다. 게비온 본체망(100)은 철망, 도금처리된 망, 합성수지 망을 파트별로 분할 제작하여 연결하거나, 망을 절곡하여 내부에 채움공간(102)이 형성되도록 사각형상으로 형성하고, 도 1처럼 상측 개방부를 통하여 채움공간(102)으로 골재 및 후술하는 토사가 투입된 상태로 덮개망(104)에 의해 폐쇄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격벽망(110)은 게비온 본체망(100)의 바닥망(106)과 측벽망(108)에 연결되어 채움공간(102)을 분할하도록 복수개소에 구비된다. 격벽망(110)은 상기 게이온 본체망(100)과 동일한 망으로 형성되는 사각망으로서, 도 1과 같이 본체망(100) 내부에 삽입한 상태로 하단부는 바닥망(106)에 고정되고, 양측단부는 측벽망(108)에 결속되어, 채움공간(102)이 격벽망(110)에 의해 분할된다. 이때 격벽망(110)은 사면 경사방향으로 이격배치되어, 골재(S) 및 토사층(121)이 각각의 독립된 채움공간(102)에 의해 수용 지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채움매트(120)는 격벽망(110)에 걸쳐진 형태로 양측이 지지되고, 저면은 채움공간(102)의 골재(S) 상면에 안착 지지되어, 토사층(121)이 수용되도록 버켓부(122)가 구비된다. 채움매트(120)는 황마매트, 코이어 매트를 포함하는 천연소재 매트 또는 생분해사가 포함된 매트 또는 후술하는 식생매트(200)를 포함하는 토사가 통과되지 못할 정도의 밀도를 가진 매트로 구성되어, 골재(S) 상부에 위치되는 토사층(121)이 골재(S) 공극을 통하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채움매트(120)는 채움공간(102)에 이격배치되는 격벽망(110) 사이 간격보다 길게 형성되는바, 채움매트(120)는 사면 경사방향으로 시공되는 게비온 본체망(100) 전체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각각의 격벽망(110)에 걸쳐진 상태로 시공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게이온 본체망(100)을 사면에 시공한 후, 격벽망(110)에 의해 분할된 각각의 채움공간(102) 깊이 기준으로 40~80% 깊이만큼 골재(S)를 충진하고, 이후 본체망(100) 길이방향으로 채움매트(120)를 설치하는바, 이때 채움매트(120)는 각각의 격벽망(110)에 양측이 지지되면서 채움공간(102)과 대응하는 영역이 오목하게 처지면서 버켓부(122)를 형성하고, 이때 저면이 골재(S) 층의 상면에 안착 지지된다.
이에 상기 채움매트(120) 양측이 격벽망(110)에 걸쳐진 상태로 지지됨과 동시에 저면이 채움공간(102)에 충진된 골재(S)에 안착 지지됨에 따라 버켓부(122)에 토사층(121)을 형성시, 토사층(121)이 채움매트(120)에 감싸지는 형태로 양측부분과 저면부분이 이중으로 지지되어 토사유실 및 채움매트(120) 처짐으로 인한 토사층 붕괴 및 국부적인 침하현상이 방지되고, 특히 토사층(121)이 채움매트(120)에 의해 초기 시공상태로 장기간 유지되면서 토사층(121) 상부를 덮는 형태로 시공되는 후술하는 식생매트(200)를 설치시, 장기적으로 토사층(121) 상면과 식생매트(200) 저면이 긴밀하게 밀착되어 식생매트(200)에서 자생하는 식물뿌리가 토사층(121)으로 단시간에 활착되어 녹지화기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격벽망(110)은 채움매트(120)가 걸쳐지는 상측 단부에 횡형 보강대(114)가 구비된다. 도 3처럼 횡형 보강대(114)는 격벽망(110)을 형성하는 선재보다 굵은 선재로 형성되어, 양단이 게비온 본체망(100) 측벽망(108)에 결속된 상태로 지지된다. 이에 채움매트(120)를 격벽망(110)에 걸친상태로 시공시 채움매트(120)가 걸쳐지는 격벽망(110) 상단부가 횡형 보강대(114)에 의해 지지되어 처짐현상 및 격벽망(110)의 변형이 방지되고, 나아가 횡형 격벽망(110)이 본체망(100)의 채움공간(102)을 복수개소에서 폭방향으로 지지되면서 본체망(100)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4와 같이, 상기 채움매트(120)는 격벽망(110)이 이격 배치되는 사면 경사방향으로 보강띠(124)가 구비된다. 보강띠(124)는 천연소재 로프, 생분해사 로프, 금속사, 합성수지사 중 택일하여 형성되고, 채움매트(120)를 제작시 일체로 삽입 설치하거나, 채움매트(120) 저면에 별도로 결속하여 구비된다. 이에 채움매트(120) 상부 버켓부(122)에 충진된 토사층(121)이 보강띠(124)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처짐현상이 방지되면서, 특히 우천시 토사층(121)이 수분을 흡수하여 중량이 증가되더라도 채움매트(120) 손상으로 인한 토사층(121) 침하현상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5 (a)와 같이 상기 서로 인접하는 본체망(100)의 바닥망(106)은 중첩망(130)에 의해 결속되도록 구비거나, 도 5 (b)처럼 본체망(100)은 사면 길이방향으로 시공시 서로 중첩되는 측벽망(108) 중 어느 일측 측벽망(108)을 횡방향으로 펼쳐 인접하는 본체망(100)의 바닥망(106)과 결속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인접하는 본체망(100)의 바닥망(106)이 별도의 중첩망(130)에 의해 결속되거나, 본체망(100)의 측벽망(108)을 이용하여 인접하는 본체망(100)의 바닥망(106)과 결속되므로, 연설되는 게비온 본체망(100)간의 결속력이 견고하게 유지되어 사면에 시공되는 게비온 구조물의 전체적인 내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각을 이용한 식생매트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생매트(200)는 토사층(121)과 덮개망(104)사이에 구비되고, 식생매트(200)는 보습층(1), 종자층(2), 종자보호층(3), 보온층(4) 및 보호망(5)을 적층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습층(1)은 폴리락트산(PLA) 수지 및 PBS계 수지, 무기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생분해성 원사를 타면(打綿)하여 형성된다. 보습층(1)은 토사층(121)과 접촉되어 수분을 흡수하고, 흡수된 수분을 종자로 공급하여 초기 발아를 촉진시킴은 물론 가뭄에 의한 괴사를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폴리락트산(PLA) 수지라 함은 락트산(Lactic acid)을 단량체로 구성한 폴리머 전체를 지칭하며, PLA 수지는 이성질체 D-Lactide, L-Lactide 함량 및 배열(랜덤공중합, 블럭공중합)에 따라 열특성 및 물리적특성 등이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폴리락트산(PLA)수지의 용융지수(MI) 10 내지 50g/10min(230℃, 2.16kg의 하중)인 것이 바람직하고, DSC로 측정한 융융점(Tm)이 145 내지 2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PBS계 수지의 용융지수는 1 내지 20g/10min (190℃,2.16kg의 하중)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융지수가 낮을수록 섬유의 강성, 낮은 신율을 부여할 수 있지만 점도가 저하되므로 가공성이 나빠지게 되며, 용융지수가 너무 높으면 섬유의 강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방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 PBS계 수지는 PBS (Polybutylene Succinate), PBSA (Polybutylene Succinate-co-adipate) 또는 PBSF (Polybutylene succinate fumaric)을 단독 또는 1이상 혼합 용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폴리락트산(PLA)수지와 PBS계 수지 혼합물을 용융시에 무기물을 투입하여 용융시키는 데, 백운모, 금운모, 황산바륨, 이산화티타늄, 탈크 (Talc), 탄산칼슘(CaCO3)등의 무기 입자를 1이상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무기물이 혼합되어 섬유를 제조할 경우 필러(Filler) 또는 결정화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혼합물 용융시에 혼합되는 비율은 폴리락트산(PLA) 수지, PBS계 수지 및 무기물이 각각 50 내지 92 중량%, 7 내지 45 중량% 및 1 내지 5 중량%로 혼합된다. 상기 범위내에서 제조된 섬유가 물성이 우수하며 부직포 제조시 카딩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다.
상기에서 생분해성 원사는 원사 또는 솜형태로 준비되고, 이를 절개하여 조합기에 투입하여 부풀리면서 덩어리형태를 풀어 후황을 이용하여 호퍼로 공급된다. 호퍼로 공급된 생분해성 원사는 타면기로 정량공급되어 펼쳐진 상태로 타면(打綿)되어 보습층(1)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보습층(1)은 종자의 뿌리 활착이 활성화되는 2~4년간 자연분해가 지연되어 시공면의 토사유실 및 조기분개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토사층(121)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공급하므로 종자의 초기 발아율 및 생육이 촉진되고, 뿌리가 성장함과 더불어 보습층을 구성하는 생분해성 원사가 풀어지면서 식물의 뿌리가 보습층을 쉽게 통과하여 손상없이 지중에 활착되고, 뿌리 활착이 활성화된 후에는 자연분해되어 식물에 영양분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종자층(2)은 보습층(1) 상부에 종자를 도포하여 형성되는바, 이러하는 공정은 자동화 공정에 의해 컨베이어라인을 타고 보습층(1)이 형성되면 이어서 종자가 도포되어 종자층(2)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종자층(2)은 종자보호층(3)에 의해 상부가 마감되되, 여기서 종자보호층(3)은 종자의 유동(운반 또는 시공중 종자의 이탈 및 일측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기능과, 후술하는 포켓망층에 저장된 패각분말 유실이 방지되는 기능과, 종자층 내부 제습이 가능하도록 통기공이 형성되는 펄프 또는 생분해성 필름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온층(4)은 종자층(2) 상부를 마감하고, 코이어섬유, 코코피트, 바크, 황마, 짚, 낙엽을 포함하는 천연소재 중 적어도 어느 1종을 타면하여 형성된다. 보온층(4)은 식물성 천연소재를 절개하여 조합기에 투입하여 부풀리면서 덩어리형태를 풀어 후황을 이용하여 호퍼로 공급하고, 호퍼로 공급된 천연소재는 타면기로 정량공급되어 펼쳐진 상태로 타면(打綿)되어 형성된다.
이때, 코이어섬유, 코코피트, 바크, 황마는 수입에 의존하는 품목으로서 가격변동이 심하고 재고 확보가 곤란하므로, 주변에서 쉽게 확보할 수 있는 짚, 낙옆을 주원료로 대체가능하다.
이에 보온층(4)은 시공후 종자를 덮은 상태로 발아되기 까지 보온 및 수분 과다증발을 방지함은 물론 종자의 새싹이 올라오면 조직이 쉽게 확장되어 새싹 손상이 방지되고, 또 종자가 발아 후 1~2년사이에 자연분해되어 천연영양분으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보호망(5)은 상기 보온층(4) 상부에 설치되어 보습층(1) 및 종자층(2), 보온층(4)을 일체로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보호망(5)은 상기 보습층(1)을 형성하는 생분해성 원사와 동일한 원사를 그물형태로 직조하여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켓망층(20)은 종자보호층(3)과 보온층(4) 사이에서 패각분말(10)이 저장되도록 복수의 격실(22)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포켓망층(20)은 황마망, 볏짚매트로 형성되거나, 폴리락트산(PLA) 수지 및 PBS계 수지, 무기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생분해성원사 망조직으로 형성되어 시공후 10~14개월 후 자연분해되도록 구비된다. 즉 포켓망층(20)은 망의 메쉬눈이 형성되는 공간이 격실(22)을 구성하는바, 일실시예로서 포켓망층(20)은 망조직의 위,경사 라인에 의해 격실(22) 측벽구획이 형성되고, 위, 경사 굵기에 의해 높이방향 격실(22) 구획이 형성되며, 보온층(4)과 종자보호층(3)에 의해 격실(22) 상하부가 마감되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포켓망층(20)을 볏짚매트로 형성시에는, 볏짚을 위사로 하여 경사방향으로 봉재처리하여 볏짚과 볏짚사이에 틈새에 격실(22)을 형성하게 된다.
제조공정에 있어서, 보습층(1)이 이송컨베이어를 타고 이송되는 중에 종자층(2)과 종자보호층(3)이 연속 형성되고, 이어서 종자보호층(3) 상부에 포켓망층(20)이 형성되는바, 이때 포켓망층(20)의 격실(22) 하부는 종자보호층(3)에 의해 마감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후 포켓망층(20) 상부로 공급되는 패각분말(10)이 격실(22)에 사이사이에 저장되고, 이때 패각분말(10)은 포켓망층(20) 두께 만큼 투입된다. 이어서 포켓망층(20) 상부에 보온층(4) 및 보호망(5)이 적층된 상태로 봉재라인(30)에 의해 합포처리되어 일체형 식생매트를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봉재라인(30)을 형성하는 봉재원사는 상기 생분해성원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봉재라인(30)이 보호망(5)과 함께 식생매트 각 층을 전체적으로 결속지지하고, 특히 포켓망층(20)의 경사와 함께 봉재라인(30)이 경사방향으로 격실(22)을 세분화하여 패각분말 유실 및 격실(22) 내구성아 향상된다.
도 7처럼, 상기 포켓망층(20)에 형성되는 복수의 격실(22) 내부로 패각분말(10)이 수용저장되어, 식생매트 내부공간에 천연분말층(21)을 형성함에 따라 현장시공 후 상기 보온층(4)과 함께 동절기 보온효과를 향상시키고, 또 보습층(1)과 함께 토사층(121) 수분증발을 지연시키면서 우천시 수분을 흡수보유하여 가뭄해갈에 도움을 주고, 이후 자연분해되어 식물 영양공급 거름으로 활용된다.
그리고, 상기 격실(22)은 포켓망층(20)의 위,경사 굵기 및 조직밀도에 따라 사이즈가 탄력적으로 확장되므로 산업폐기물로 분류되는 패각의 재활용 처리량이 획기적으로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격실(22)에 저장된 패각분말(10)은 건조된 상태로 입자 사이에 수많은 기공을 형성하면서 패각 자체적으로 가지는 기공들로 인해 식생매트를 제조 후 도 8과 같이 롤형태로 말아서 보관시 수분을 흡수하는 제습기능을 수행하여 매트내부가 항상 건조한 상태로 유지되는 내습성을 가짐에 따라 장마철 종자의 조기 발아현상이 방지됨과 더불어 보관성이 우수하여 성수기를 대비한 대량의 재고확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10: 패각분말 20: 포켓망층
100: 게비온 본체망 110: 격벽망
120: 채움매트 200: 식생매트

Claims (9)

  1. 사면에 설치되어, 골재(S)가 수용되도록 내부에 채움공간(102)이 형성되고, 덮개망(104)에 의해 상부가 개폐되는 게비온 본체망(100);
    상기 게비온 본체망(100)의 바닥망(106)과 측벽망(108)에 연결되어 채움공간(102)을 분할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격벽망(110);
    상기 격벽망(110)에 걸쳐진 형태로 양측이 지지되고, 저면은 채움공간(102)의 골재(S) 상면에 안착 지지되어, 토사층(121)이 수용되도록 버켓부(122)가 구비되는 채움매트(120);
    상기 토사층(121)과 덮개망(104)사이에 식생매트(200)가 구비되고, 식생매트(200)는 보습층(1), 종자층(2), 종자보호층(3), 보온층(4) 및 보호망(5)을 적층하여 구성되고, 상기 종자보호층(3)과 보온층(4) 사이에는 배치되어 복수의 격실(22)이 형성되는 포켓망층(20)이 구비되며, 상기 포켓망층(20)은 망조직의 위,경사 라인에 의해 격실(22) 측벽구획이 형성되고, 위, 경사 굵기에 의해 높이방향 격실(22) 구획이 형성되며, 보온층(4)과 종자보호층(3)에 의해 격실(22) 상하부가 마감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격실(22) 내부에 건조된 패각분말(10)이 수용저장되어, 식생매트를 롤형태로 말아서 보관시 수분을 흡수보유하여 종자 조기 발아현상을 방지하도록 천연분말층(21)이 구비되며, 상기 적층된 각 층은 봉재라인(30)에 의해 합포처리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생매트리스 게비온 녹화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망(110)은 채움매트(120)가 걸쳐지는 상측 단부에 횡형 보강대(11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생매트리스 게비온 녹화모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인접하는 본체망(100)의 바닥망(106)은 중첩망(130)에 의해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생매트리스 게비온 녹화모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채움매트(120)는 격벽망(110)이 이격 배치되는 사면 경사방향으로 보강띠(12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생매트리스 게비온 녹화모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망(100)은 사면 길이방향으로 시공시 서로 중첩되는 측벽망(108) 중 어느 일측 측벽망(108)을 횡방향으로 펼쳐 인접하는 본체망(100)의 바닥망(106)과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생매트리스 게비온 녹화모듈.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망층(20)은 황마망, 볏짚매트로 형성되거나, 폴리락트산(PLA) 수지 및 PBS계 수지, 무기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생분해성원사 망조직으로 형성되어 시공후 10~14개월 후 자연분해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생매트리스 게비온 녹화모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층(1)은 폴리락트산(PLA) 수지 및 PBS계 수지, 무기물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생분해성 원사를 타면(打綿)하여 형성되고, 종자층(2)은 보습층(1) 상부에 종자를 도포하여 형성되며, 보온층(4)은 종자층(2) 상부를 마감하고, 코이어섬유, 코코피트, 바크, 황마, 짚, 낙엽을 포함하는 천연소재 중 적어도 어느 1종을 타면하여 형성되며, 보호망(5)은 보온층(4) 상부에 설치되어 보습층(1) 및 종자층(2), 보온층(4)을 일체로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생매트리스 게비온 녹화모듈.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보호층(3)은 통기공이 형성되는 펄프 또는 생분해성 필름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식생매트리스 게비온 녹화모듈.
KR1020160084732A 2016-07-05 2016-07-05 친환경 식생매트리스 게비온 녹화모듈 KR101689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732A KR101689643B1 (ko) 2016-07-05 2016-07-05 친환경 식생매트리스 게비온 녹화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732A KR101689643B1 (ko) 2016-07-05 2016-07-05 친환경 식생매트리스 게비온 녹화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643B1 true KR101689643B1 (ko) 2016-12-26

Family

ID=57733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732A KR101689643B1 (ko) 2016-07-05 2016-07-05 친환경 식생매트리스 게비온 녹화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6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117B1 (ko) * 2017-05-12 2018-01-15 한주이엔씨 주식회사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WO2019146972A1 (ko) * 2018-01-23 2019-08-01 (주)푸른공간 부직포가 포함된 식생용 칸막이 철망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공법
KR102490289B1 (ko) 2022-08-13 2023-01-18 이예순 매트리스형 식생 매트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2224A (ja) * 1993-03-19 1994-09-27 Off Maccaferri Spa 保護植物性防壁用マットレス型土嚢の構築方法
KR200427863Y1 (ko) * 2006-05-30 2006-10-02 박성원 환경복원녹화매트
KR100821351B1 (ko) * 2006-12-29 2008-04-11 변우일 생태하천 조성을 위한 호안의 시공방법
KR101244710B1 (ko) * 2013-01-07 2013-03-18 전영재 필터격벽을 구비한 언폴딩 개비온, 박스형 개비온 및 개비온 중첩-일체화 시공을 통한 호안 보강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2224A (ja) * 1993-03-19 1994-09-27 Off Maccaferri Spa 保護植物性防壁用マットレス型土嚢の構築方法
KR200427863Y1 (ko) * 2006-05-30 2006-10-02 박성원 환경복원녹화매트
KR100821351B1 (ko) * 2006-12-29 2008-04-11 변우일 생태하천 조성을 위한 호안의 시공방법
KR101244710B1 (ko) * 2013-01-07 2013-03-18 전영재 필터격벽을 구비한 언폴딩 개비온, 박스형 개비온 및 개비온 중첩-일체화 시공을 통한 호안 보강공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8117B1 (ko) * 2017-05-12 2018-01-15 한주이엔씨 주식회사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WO2019146972A1 (ko) * 2018-01-23 2019-08-01 (주)푸른공간 부직포가 포함된 식생용 칸막이 철망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공법
CN111630228A (zh) * 2018-01-23 2020-09-04 株式会社绿色空间 包含无纺布的植被分隔金属丝网及坡面绿化方法
JP2021510783A (ja) * 2018-01-23 2021-04-30 グリーン スペー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Green Space Co., Ltd. 不織布が含まれた植生用仕切り金網及びそれを用いた斜面緑化工法
EP3744901A4 (en) * 2018-01-23 2021-10-27 Green Space Co., Ltd. WIRE FABRIC WITH NON-WOVEN FOR VEGETATION SEPARATION AND PROCESS FOR SOPHISTICATED GREENING WITH IT
CN111630228B (zh) * 2018-01-23 2022-01-07 株式会社绿色空间 包含无纺布的植被分隔金属丝网及坡面绿化方法
KR102490289B1 (ko) 2022-08-13 2023-01-18 이예순 매트리스형 식생 매트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9675B1 (ko) 식생매트 및 블록을 이용한 녹화모듈
CN205040304U (zh) 一种骨架加筋可调控植物纤维毯
KR101689643B1 (ko) 친환경 식생매트리스 게비온 녹화모듈
KR101043567B1 (ko) 자연친화적인 식생매트
KR101219289B1 (ko)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이 부착된 식생포대
RU2321982C1 (ru) Биомат
KR101226872B1 (ko) 식생매트를 이용한 녹화 시공방법
KR101448451B1 (ko) 생태 복원용 식생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36795A (ko) 식생 매트 및 이를 이용한 식생 개비온 블록 및 식생 개비온 블록의 제조방법
KR200467118Y1 (ko) 친환경 발아촉진 식생매트
KR101226452B1 (ko) 생분해성 섬유를 포함하는 녹화공법용 식생 기재 및 이를 이용한 녹화공법
KR100949747B1 (ko) 두개의 종자층을 갖는 식생 녹화용 식생 매트
KR100900478B1 (ko) 고정바를 갖는 식생매트 및 시공방법
KR101190009B1 (ko) 펄프솜에 의한 식생기반층을 구비한 식생매트의 제조공법
KR101172649B1 (ko) 친환경 식생매트
KR20070007688A (ko) 지오텍스타일-개비온 매트리스 복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친환경 사면 구조물 구축방법
KR102599353B1 (ko) 사면보호용 식생매트의 제조방법 및 그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사면보호용 식생매트
JP5421047B2 (ja) 地表面保護材および地表面保護構造
KR101205552B1 (ko) 셀형 코어에 의한 식생기반층을 구비한 식생매트의 제조공법
JP6205547B2 (ja) 草コモ緑化シート、及び施工方法
KR101644045B1 (ko) 패각을 이용한 식생매트
KR101688778B1 (ko) 에코매트가 포함된 식생용 개비온
KR102651453B1 (ko) 복합 지오셀 및 이를 포함하는 지반 보강 시스템
JP2008208604A (ja) 法面保護マット
KR20090000374U (ko) 하천제방의 녹화 발아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