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167B1 -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 - Google Patents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167B1
KR101789167B1 KR1020150168987A KR20150168987A KR101789167B1 KR 101789167 B1 KR101789167 B1 KR 101789167B1 KR 1020150168987 A KR1020150168987 A KR 1020150168987A KR 20150168987 A KR20150168987 A KR 20150168987A KR 101789167 B1 KR101789167 B1 KR 101789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lage
stand
center
tak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3048A (ko
Inventor
김성남
남현우
Original Assignee
김성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남 filed Critical 김성남
Priority to KR1020150168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167B1/ko
Publication of KR20170063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3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04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launching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04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launching aircraft
    • B64F1/06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launching aircraft using catapults
    • B64C2201/08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수단에 견인되어 비행체를 자동으로 이륙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동 수단에 연결되는 이륙장치 본체부, 상기 이륙장치 본체부의 전방에 결합되고 비행체 동체의 전방부를 안착시키기 위한 동체 전방 받침부 및 상기 이륙장치 본체부의 후방에 결합되고 비행체 동체의 중앙부를 고정하며 양력이 발생하여 비행체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함에 따라 자동으로 비행체 동체의 중앙부와의 고정이 해제되기 위한 동체 중앙 고정부를 포함하며, 별도의 조작 기구 없이 각 구성요소가 자동으로 전개됨으로써 비행체의 이륙절차를 단순화하며 이륙이 개시되는 시점까지 동체 및 날개를 확실하게 고정함으로써 비행체의 이륙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Description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AUTOMATIC TAKE-0FF EQUIPMENT FOR AIRPLANE}
본 발명은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행체의 특성상 자체적인 활주 이륙이 불가한 비행체를 자동으로 이륙시키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비행체는 날개와 그에 의해 발생하는 양력을 이용하여 인공적으로 하늘을 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하며, 최근에는 비행 승무원 없이 원격조정 장치나 사전에 설정된 경로를 따라 비행하는 무인기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무인기는 구조 역학, 자동비행 및 차세대 에너지원와 같은 모든 신기술들이 집약된 비행체라 볼 수 있으며, 군사 작전용, 정밀 지상 관측, 통신 중계 등을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인 비행체는 이륙을 위한 별도의 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나, 무인기와 같이 일부 특수한 목적으로 이용되는 비행체는 이륙을 위한 자체 장치가 없어서 이륙을 위해 지상공간에 설치되는 별도의 이륙장치가 구비될 필요가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비행체 이륙장치는 중앙에 비행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활주레일과 비행체를 발사시키기 위한 발사 장치 등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이륙장치는 비행체의 이륙에 필요한 추진력을 얻기 위해 소정 길이 이상의 너비를 가진 발사대와 활주 레일을 확보할 필요가 있거나, 비행체를 이륙시키기 위한 별도의 조작 기구가 필요한바, 비행체의 원활한 이륙이 어렵고 오류로 인한 이륙 실패율이 높은 문제가 있었다.
일부 이륙장치의 경우에는 지상차량에 설치하여 비행체의 이륙을 시도하기도 하나, 비행체가 이륙장치에 제대로 고정되기 어려워 이륙 성공률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99309호("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이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륙방법", 2007. 10. 09 공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별도의 조작 기구 없이 각 구성요소가 자동으로 전개됨으로써 비행체의 이륙절차를 단순화하며 이륙이 개시되는 시점까지 동체 및 날개를 확실하게 고정함으로써 비행체의 이륙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수단에 견인되어 비행체를 자동으로 이륙시키기 위한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는 이동 수단에 연결되는 이륙장치 본체부, 상기 이륙장치 본체부의 전방에 결합되고 비행체 동체의 전방부를 안착시키기 위한 동체 전방 받침부 및 상기 이륙장치 본체부의 후방에 결합되고 비행체 동체의 중앙부를 고정하며 양력이 발생하여 비행체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함에 따라 자동으로 비행체 동체의 중앙부와의 고정이 해제되기 위한 동체 중앙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륙장치 본체부의 양측에 결합되고 비행체의 양 날개를 안착시키기 위한 날개 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동체 중앙 고정부는, 상기 비행체 동체의 중앙부를 안착시키기 위한 동체 중앙 안착부, 상기 동체 중앙 안착부를 상기 이륙장치 본체부에 결합시키며, 비행체가 양력에 의해 상승하면 상기 동체 중앙 안착부를 힌지 축을 따라 회전 및 상승시키도록 하는 동체 중앙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동체 중앙 고정부는, 상기 동체 중앙 안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비행체 동체를 걸림 고정하기 위한 동체 고정후크부 및 상기 동체 고정후크부와 연결되며 비행체가 양력에 의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동체 고정후크부를 작동시켜 상기 비행체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동체 고정후크 당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동체 중앙 프레임부의 일단에는 상기 동체 중앙 안착부가 결합되며, 상기 동체 중앙 프레임부의 타단에는 자중에 의한 양력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웨이트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동체 중앙 고정부는, 상기 동체 중앙 안착부를 지탱하며, 상기 이륙장치 본체부와 결합되어 비행체가 양력에 의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면 후방으로 젖혀지기 위한 동체 중앙 스탠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동체 중앙 고정부는, 상기 이륙장치 본체부에 장착되며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를 걸림 고정하기 위한 스탠드 고정후크부 및 상기 스탠드 고정후크부와 연결되며 비행체가 양력에 의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스탠드 고정후크부를 작동시켜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스탠드 고정후크 당김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탠드 고정후크 당김부의 일단은 상기 스탠드 고정후크부와 연결되며, 상기 스탠드 고정후크 당김부의 타단은 상기 동체 중앙 프레임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스탠드 고정후크부에 걸림 고정되기 위한 스탠드 고정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에 연결되며 상기 스탠드 고정후크 당김부에 의해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의 고정이 해지되면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를 후방으로 당기기 위한 스탠드 당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스탠드 당김부의 일단은 상기 이륙장치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스탠드 당김부의 타단은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날개 받침부는, 상기 비행체 날개를 안착시키기 위한 날개 안착부, 상기 날개 안착부를 지지하기 위한 날개 받침 프레임부 및 상기 날개 받침 프레임부와 연결되며 비행체가 양력에 의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면 외측 방향으로 전개되기 위한 날개 받침 전개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날개 받침부는,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의 하부와 접촉하며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가 후방으로 젖혀짐에 따라 상승하는 전개링크 고정후크부, 일단이 상기 날개 받침 전개링크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전개링크 고정후크부에 결합되며, 상기 전개링크 고정후크부가 상승함에 따라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기 위한 전개링크 고정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개링크 고정후크부는 내부에 고정후크 스프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는 상기 전개링크 고정후크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후크 스프링부를 가압하며, 상기 전개링크 고정후크부는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가 후방으로 젖혀짐에 따라 상기 고정후크 스프링부에 의해 상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동체 전방 받침부는 상부 프레임부 및 하부 프레임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비행체가 양력에 의해 상승하면 바람에 의해 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는 모든 구성요소들을 비행체가 양력에 의해 이륙되는 시점에서 자동으로 전개하도록 설계함으로써 별도의 조작 기구 없이 비행체의 이륙절차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이륙이 개시되는 시점까지 비행체를 확실하게 고정함으로써 이륙 성공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받침부(50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륙 준비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륙 실시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륙 완료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륙 실시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륙 실시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륙 완료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륙 완료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는 이륙장치 본체부(200), 동체 전방 받침부(300), 동체 중앙 고정부(400) 및 날개 받침부(500)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행체는 날개와 그에 의해 발생하는 양력을 이용하여 인공적으로 하늘을 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하며, 비행체의 특성상 자체적인 활주 이륙이 불가능한 모든 비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행체는 몸통을 이루는 동체와 날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비행체 동체의 전방부는 상기 동체 전방 받침부(300)에 안착되고, 비행체 동체의 중앙부는 상기 동체 중앙 고정부(400)에 고정되며, 비행체의 날개는 상기 날개 받침부(500)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비행체 동체의 중앙부는 비행체 동체의 물리적인 위치뿐만 아니라 상기 전방부를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한 모든 부분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는 견인차량과 같은 이동 수단(100)에 견인되어 비행체를 자동으로 이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견인차량의 도움으로 가속됨에 따라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에 탑재된 비행체가 이륙속도에 도달하게 되면 자동으로 각 구성 부품들이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이륙장치 본체부(200)는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의 기본적인 몸체를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견인차량과 같은 이동 수단(1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동을 위해 양 측면에 바퀴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동체 전방 받침부(300)는 비행체 동체의 전방부를 안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륙장치 본체부(200)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동체 전방 받침부(300)의 상단은 비행체 동체의 전방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비행체 동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체 전방 받침부(300)는 상기 이륙장치 본체부(200)와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부(302)와, 상기 하부 프레임부(302)와 힌지 결합되며 비행체 동체가 안착되기 위한 상부 프레임부(301)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체 전방 받침부(300)의 상부 프레임부(301)는 비행체가 양력에 의해 상승하면 바람에 의해 후방으로 젖혀질 수 있다.
상기 동체 중앙 고정부(400)는 비행체 동체의 중앙부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륙장치 본체부(200)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동체 중앙 고정부(400)는 상기 비행체 동체를 걸림 고정할 수 있으며, 견인차량이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를 견인 활주하여 양력에 의해 비행체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 자동으로 비행체 동체의 중앙부와의 고정을 해제함으로써 비행체를 이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체 중앙 고정부(400)는 동체 중앙 안착부(404)와 동체 중앙 프레임부(405, 4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체 중앙 안착부(404)는 비행체 동체의 중앙부를 안착시키기 위해 하방으로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동체 중앙 프레임부(405, 406)는 상기 동체 중앙 안착부(404)를 상기 이륙장치 본체부(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체 중앙 프레임부(405, 406)는 일단이 상기 이륙장치 본체부(200)와 힌지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동체 중앙 안착부(404)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륙장치 본체부(200)에는 상기 동체 중앙 프레임부(405, 406)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힌지 축(413)이 형성될 수 있다.
비행체가 양력에 의해 상승하면 일정 높이까지는 상기 동체 중앙 안착부(404)에 고정되어 함께 이동하며 이때, 상기 동체 중앙 프레임부(405, 406)는 상기 동체 중앙 안착부(404)를 힌지 축(413)을 따라 전방으로 회전 및 상승시킬 수 있다.
비행체가 일정 높이 이상이 되면 고정이 해제되어 이륙하게 되며, 이때, 상기 동체 중앙 프레임부(405, 406)는 상기 동체 중앙 안착부(404)를 힌지 축(413)을 따라 후방으로 회전 및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동체 중앙 프레임부(405, 406)는 동체 중앙 상부 프레임부(405) 및 동체 중앙 하부 프레임부(406)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동체 중앙 상부 프레임부(405)는 상기 동체 중앙 안착부(404)의 전방에 장착되고 상기 동체 중앙 하부 프레임부(406)는 상기 동체 중앙 안착부(404)의 후방에 장착되어, 상기 동체 중앙 안착부(404)를 더욱 안정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동체 중앙 프레임부(405, 406)의 일단에는 상기 동체 중앙 안착부(404)가 결합되며 타단에는 자중에 의한 양력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웨이트부(407)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동체 중앙 프레임부(405, 406)는 힌지 축(413)을 따라 상기 동체 중앙 안착부(404)를 회전시킬 수 있는데, 힌지 축(413) 반대편에 밸런스를 위한 웨이트부(407)가 장착됨에 따라 작은 힘으로도 상기 동체 중앙 안착부(404)를 전방으로 회전 및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동체 중앙 고정부(400)는 상기 동체 중앙 안착부(404)를 지탱하며 상기 이륙장치 본체부(200)와 결합되어 비행체가 양력에 의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면 후방으로 젖혀지기 위한 동체 중앙 스탠드부(40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체 중앙 프레임부(405, 406)에 결합된 상기 동체 중앙 안착부(404)는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408)의 상부에 거치될 수 있으며, 양력에 의해 비행체가 상기 동체 중앙 안착부(404)와 함께 상승하게 되면 자동으로 후방으로 젖혀지게 된다.
이 때, 상기 동체 중앙 프레임부(405, 406)는 상기 이륙장치 본체부(200)와 힌지 결합되어 뒤로 젖혀질 수 있다.
상기 동체 중앙 고정부(400)는 동체 고정후크부(401) 및 동체 고정후크 당김부(4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체 고정후크부(401)는 상기 동체 중앙 안착부(404)에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비행체 동체를 걸림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비행체의 하부에는 걸림 고정을 위한 비행체 고정핀부(40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체 고정후크 당김부(403)는 상기 동체 고정후크부(401)와 연결되며 비행체가 양력에 의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동체 고정후크부(401)를 작동시켜 상기 비행체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동체 고정후크 당김부(403)는 스틸 와이어와 같은 당김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강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체 중앙 고정부(400)는 스탠드 고정후크부(409) 및 스탠드 고정후크 당김부(4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 고정후크부(409)는 상기 이륙장치 본체부(200)에 장착되며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408)를 걸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 고정후크 당김부(411)는 상기 스탠드 고정후크부(409)와 연결되며 비행체가 양력에 의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스탠드 고정후크부(409)를 작동시켜 상기 동체 중앙 스탠부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 고정후크 당김부(411)는 스틸 와이어와 같은 당김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강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탠드 고정후크 당김부(411)의 일단은 상기 스탠드 고정후크부(409)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동체 중앙 프레임부(405, 406)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동체 중앙 프레임부(405, 406)가 힌지 축(413)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회전할 때 상기 스탠드 고정후크부(409)를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408)의 하부에는 상기 스탠드 고정후크부(409)에 걸림 고정되기 위한 스탠드 고정핀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408)에는, 상기 스탠드 고정후크 당김부(411)에 의해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408)의 고정이 해지되면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408)를 후방으로 당기기 위한 스탠드 당김부(412)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탠드 당김부(412)의 일단은 상기 이륙장치 본체부(200)와 연결되며 상기 스탠드 당김부(412)의 타단은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408)와 연결되어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408)를 후방으로 당길 수 있다.
상기 스탠드 당김부(412)는 고무줄과 같은 당김줄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탄성력이 우수한 재질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개 받침부(50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날개 받침부(500)는 상기 이륙장치 본체부(200)의 양측에 결합되어 비행체의 양 날개를 안착시킬 수 있으며, 비행체의 날개를 안정적으로 안착시키기 위해 외측을 향해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날개 받침부(500)는 이륙장치 본체부(200)의 양측에서 외측을 향해 비스듬하게 결합됨으로써 날개가 큰 비행체도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날개 받침부(500)는 날개 안착부(501), 날개 받침 프레임부(502) 및 날개 받침 전개링크부(50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날개 안착부(501)는 상기 비행체 날개를 안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안정적으로 비행체 날개를 안착시키기 위해 전후방으로 소정 길이 이상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날개 받침 프레임부(502)는 끝단에 상기 날개 안착부(501)가 결합되며 이륙장치 본체부(2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벌어질 수 있다.
상기 날개 받침 전개링크부(503)는 상기 날개 받침 프레임부(502)와 연결되며 비행체가 양력에 의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면 외측 방향으로 전개되어 상기 날개 받침 프레임부(502)를 양측으로 벌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날개 받침부(500)는 전개링크 고정후크부(504) 및 전개링크 고정핀부(50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개링크 고정후크부(504)는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408)의 하부와 접촉하며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408)가 후방으로 젖혀짐에 따라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전개링크 고정핀부(506)는 일단이 상기 날개 받침 전개링크부(503)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전개링크 고정후크부(504)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전개링크 고정후크부(504)가 상승함에 따라 전개링크 가이드부(507)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개링크 고정후크부(504)는 내부에 고정후크 스프링부(50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408)가 상기 전개링크 고정후크부(504)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후크 스프링부(505)를 가압하게 되는데,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408)가 후방으로 젖혀지게 되면 가압 수단이 사라져서 상기 전개링크 고정후크부(504)는 상기 고정후크 스프링부(505)에 의해 상승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의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륙 준비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륙 실시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륙 완료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륙 준비단계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를 견인차량과 같은 이동수단에 연결시키며, 비행체 동체의 전방부를 상기 동체 전방 받침부(300)에 안착시키고 비행체 동체의 중앙부를 상기 동체 중앙 고정부(400)에 고정시키고, 비행체 날개를 상기 날개 받침부(500)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비행체 동체의 중앙부를 동체 중앙 고정부(400)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비행체에 형성된 비행체 고정핀부(402)를 동체 고정후크부(401)에 걸어 비행체가 동체 중앙 안착부(404)에 확실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동체 고정후크 당김부(403)와 스탠드 고정후크 당김부(411)는 인장력이 작용하지 않아 느슨한 상태이며, 스탠드 당김부(412)는 고무줄 등과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인장력이 작용하는 상태이기에 동체 중앙 스탠드부(408)를 후방으로 당기고 있으나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408)는 스탠드 고정후크부(409)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 시점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륙 실시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륙 실시단계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륙 완료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륙 완료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의 측면도이다.
이륙 준비단계를 마친 후 이동수단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를 견인 활주하게 되면, 비행체는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자체 양력이 발생하게 된다.
발생된 양력에 의해 비행체는 서서히 상승하게 되는데, 비행체 고정핀부(402)가 동체 고정후크부(401)와 연결됨에 따라 상기 동체 고정후크부(401)가 장착된 동체 중앙 안착부(404)가 힌지 축(413)을 중심으로 비행체와 함께 회전 및 상승하게 된다.
동체 고정후크부(401)에 연결된 동체 고정후크 당김부(403)가 점점 팽팽하게 당겨짐에 따라 동체 고정후크부(401)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비행체 고정핀부(402)를 해제하게 되며, 비행체는 이륙하게 된다.
이때, 동체 중앙 고정부(400)에는 자중에 의한 양력 손실을 줄이기 위해 힌지 축(413) 반대편에 웨이트부(407)가 설치됨에 따라 작은 힘으로도 작동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동체 중앙 프레임부(405, 406)에 연결된 스탠드 고정후크 당김부(411)가 팽팽하게 당겨짐에 따라 스탠드 고정후크부(409)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스탠드 고정핀부(410)를 해제하게 되며, 스탠드 당김부(412)에 의해 동체 중앙 스탠드부(408)는 자동으로 후방으로 젖혀지게 된다.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408)에 의해 눌려지고 있던 전개링크 고정후크부(504)는,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408)가 후방으로 젖혀짐에 따라 고정후크 스프링부(505)의 힘으로 자동으로 상승하게 되며, 전개링크 고정핀부(506)를 외측으로 전개링크 가이드부(507)를 따라 슬라이딩시킨다.
상기 전개링크 고정핀부(506)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날개 받침 전개링크부(503)가 양쪽으로 자동 전개하게 되며 이에 따라 날개 받침 프레임부(502)가 더욱 벌어지게 된다.
한편, 비행체가 양력을 받아 이륙하는 시점에서 상기 동체 전방 받침부(300)의 상부 프레임부(301)는 바람의 힘에 의해 자동으로 후방으로 젖혀져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비행체
100: 이동 수단
200: 이륙장치 본체부
300: 동체 전방 받침부
301: 상부 프레임부
302: 하부 프레임부
400: 동체 중앙 고정부
401: 동체 고정후크부
402: 비행체 고정핀부
403: 동체 고정후크 당김부
404: 동체 중앙 안착부
405: 동체 중앙 상부 프레임부
406: 동체 중앙 하부 프레임부
407: 웨이트부
408: 동체 중앙 스탠드부
409: 스탠드 고정후크부
410: 스탠드 고정핀부
411: 스탠드 고정후크 당김부
412: 스탠드 당김부
413: 힌지 축
500: 날개 받침부
501: 날개 안착부
502: 날개 받침 프레임부
503: 날개 받침 전개링크부
504: 전개링크 고정후크부
505: 고정후크 스프링부
506: 전개링크 고정핀부
507: 전개링크 가이드부

Claims (15)

  1. 이동 수단에 견인되어 비행체를 자동으로 이륙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에 연결되는 이륙장치 본체부;
    상기 이륙장치 본체부의 전방에 결합되고 비행체 동체의 전방부를 안착시키기 위한 동체 전방 받침부; 및
    상기 이륙장치 본체부의 후방에 결합되고 비행체 동체의 중앙부를 고정하며 양력이 발생하여 비행체가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함에 따라 자동으로 비행체 동체의 중앙부와의 고정이 해제되기 위한 동체 중앙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륙장치 본체부의 양측에 결합되고 비행체의 양 날개를 안착시키기 위한 날개 받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체 중앙 고정부는,
    상기 비행체 동체의 중앙부를 안착시키기 위한 동체 중앙 안착부와,
    상기 동체 중앙 안착부를 상기 이륙장치 본체부에 결합시키며, 비행체가 양력에 의해 상승하면 상기 동체 중앙 안착부를 힌지 축을 따라 회전 및 상승시키도록 하는 동체 중앙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체 중앙 고정부는,
    상기 동체 중앙 안착부에 장착되며 상기 비행체 동체를 걸림 고정하기 위한 동체 고정후크부; 및
    상기 동체 고정후크부와 연결되며 비행체가 양력에 의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동체 고정후크부를 작동시켜 상기 비행체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동체 고정후크 당김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체 중앙 고정부는,
    상기 동체 중앙 안착부를 지탱하며, 상기 이륙장치 본체부와 결합되어 비행체가 양력에 의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면 후방으로 젖혀지기 위한 동체 중앙 스탠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 중앙 프레임부의 일단에는 상기 동체 중앙 안착부가 결합되며,
    상기 동체 중앙 프레임부의 타단에는 자중에 의한 양력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웨이트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 중앙 고정부는,
    상기 이륙장치 본체부에 장착되며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를 걸림 고정하기 위한 스탠드 고정후크부; 및
    상기 스탠드 고정후크부와 연결되며 비행체가 양력에 의해 일정 높이 이상으로 상승하면 상기 스탠드 고정후크부를 작동시켜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스탠드 고정후크 당김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고정후크 당김부의 일단은 상기 스탠드 고정후크부와 연결되며,
    상기 스탠드 고정후크 당김부의 타단은 상기 동체 중앙 프레임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스탠드 고정후크부에 걸림 고정되기 위한 스탠드 고정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에 연결되며 상기 스탠드 고정후크 당김부에 의해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의 고정이 해지되면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를 후방으로 당기기 위한 스탠드 당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당김부의 일단은 상기 이륙장치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스탠드 당김부의 타단은 상기 동체 중앙 스탠드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 전방 받침부는 상부 프레임부 및 하부 프레임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부는 상기 하부 프레임부와 힌지 결합되어 상기 비행체가 양력에 의해 상승하면 바람에 의해 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
KR1020150168987A 2015-11-30 2015-11-30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 KR101789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987A KR101789167B1 (ko) 2015-11-30 2015-11-30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987A KR101789167B1 (ko) 2015-11-30 2015-11-30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048A KR20170063048A (ko) 2017-06-08
KR101789167B1 true KR101789167B1 (ko) 2017-10-23

Family

ID=59221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987A KR101789167B1 (ko) 2015-11-30 2015-11-30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1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67874A (zh) * 2019-11-04 2020-01-10 中国科学院工程热物理研究所 可拆卸的无人机支撑结构、放飞装置及放飞回收系统
WO2022256089A2 (en) * 2021-04-22 2022-12-08 VU Holdings, LLC Automatically pitch and yaw responsive aircraft launching system
CN113264199A (zh) * 2021-05-19 2021-08-17 刘国祥 一种森林防火用无人机监控发射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851B1 (ko) * 2010-10-21 2011-02-14 (주)경안전선 무인항공기 발사대용 셔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851B1 (ko) * 2010-10-21 2011-02-14 (주)경안전선 무인항공기 발사대용 셔틀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자료(https://youtu.be/58BabZ7BbdE, 0초~13초)(2015.08.1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3048A (ko) 201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1831B2 (en) Parachute release device for unmanned aerial vehicle (UAV)
US11542036B2 (en) Aerial launch and/or recovery for unmanned aircraft,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0144511B2 (en) Helicopter-mediated system and method for launching and retrieving an aircraft
US7900866B2 (en) System and methods for airborne launch and recovery of aircraft
US8231083B2 (en) System and methods for airborne launch and recovery of aircraft
US11008102B2 (en) Maneuverable capture apparatus for airborne deployment and retrieval of parasite aircraft
EP1628878B1 (en) Method and device for launching aerial vehicles
US8262015B2 (en) Launching system and launching apparatus
KR101789167B1 (ko) 비행체 자동 이륙장치
US11104439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ployment and retrieval of parasite aircraft
US11053008B2 (en) Parasite aircraft for airborne deployment and retrieval
US115911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ocking an aerostat, and aerostat and receiving structures equipped for such a purpose
CN107117325B (zh) 一种无人机地面发射与回收小车
CN110395402B (zh) 一种低扰动无人机弹射架分离机构及分离方法
CN106081150A (zh) 一种弹射支撑机构及其弹射系统
CN114237290B (zh) 一种无人机群空中回收系统及方法
CN111688946B (zh) 无人机车载发射方法及装置
CN207311838U (zh) 一种无人机空投平台
JP2000065499A (ja) 高速滑空標的
CN107600427A (zh) 一种无人机空投平台
CN210235347U (zh) 一种低扰动无人机弹射架分离机构
CN107444661A (zh) 一种固定翼无人机降落伞释放系统
CN205770198U (zh) 一种小型无人机弹射挂钩
RU2466913C2 (ru) Способы взлета и посадки летательных аппаратов и взлетно-посадоч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этих способов
CN112173154A (zh) 一种弹射无人机自动解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