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992B1 - 축산분뇨 자원재생시스템 - Google Patents

축산분뇨 자원재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992B1
KR101788992B1 KR1020160174014A KR20160174014A KR101788992B1 KR 101788992 B1 KR101788992 B1 KR 101788992B1 KR 1020160174014 A KR1020160174014 A KR 1020160174014A KR 20160174014 A KR20160174014 A KR 20160174014A KR 101788992 B1 KR101788992 B1 KR 101788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liquid
sludge
solid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4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택동
Original Assignee
김택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택동 filed Critical 김택동
Priority to KR1020160174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9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3/00Fertilisers from human or animal excrements, e.g. manure
    • C05F3/06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05F17/0018
    • C05F17/025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 Y02W30/4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산분뇨로부터 고액분리를 통해 1차적으로 슬러지를 분리하고 고액분리된 액체로부터 부상조의 부상을 통해 2차적으로 슬러지를 분리하여 함께 발효시켜 슬러지가 퇴비로 재활용되도록 함과 동시에 부상조에서 슬러지가 분리된 액체는 폭기 및 침전처리를 거쳐 농장수로 재활용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슬러지의 분리효과가 배가됨과 동시에 축산분뇨의 자원화 처리속도와 처리용량이 대폭 증대될 수 있도록 한 축산분뇨 자원재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축산분뇨 자원재생시스템은, 축산분뇨가 저장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로부터 유입된 축산분뇨를 슬러지와 액체로 분리하는 고액분리기와, 상기 고액분리에서 분리된 액체가 저장되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로부터 유입된 액체 내에 포함된 슬러지를 부상시켜 분리시키는 부상조와, 상기 집수조 내의 액체를 상기 부상조로 강제이송하는 이송관과, 상기 부상조에 연결되고 상기 부상조로부터 흡입되는 액체에 에어를 부가하여 다시 상기 부상조로 순환공급하면서 슬러지의 부상을 가능하게 하는 펌프와, 상기 부상조로부터 유입된 액체를 폭기시키는 폭기조와, 상기 폭기조)로부터 유입된 액체를 침전시키는 침전조와, 상기 고액분리기와 상기 부상조로부터 공급된 슬러지를 퇴비로 발효시키는 발효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축산분뇨 자원재생시스템{RECYCLING SYSTEM USING LIVESTOCK ERETION}
본 발명은 축산분뇨 자원재생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축산분뇨를 액체와 슬러지로 분리하여 농장수(액비 포함)와 퇴비로 자원화하는 축산분뇨 자원재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축산업은 전통적인 재래식 소규모 가축 사육 형태를 유지해 오다가 근래의 산업발전과 생활여건의 개선에 따른 육류소비의 증가로 인해 대규모 사육 형태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축산업의 발전의 부효과로, 대량의 축산분뇨로 인해 하천 및 상수원이 오염되고 악취가 발생되는 등의 환경오염문제가 초래되었다.
축산분뇨로 인한 환경오염은 해당 지역주민들의 민원 초래로 인한 무형의 손실을 발생시키고, 『오수ㆍ분뇨 및 축산폐수의 처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분뇨처리시설의 의무적 보유로 인해 축산농가의 축산분뇨 처리에 따른 비용부담을 증가시키고 있다. 특히 축산농가에서 배출되는 축산분뇨의 경우 생물학적 산소 요구량(BOD)이 대개 수만ppm을 나타내므로 환경기준에 적합한 상태로 처리하기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처리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며, 특히 환경에 지대한 오염을 유발하는 질소, 인의 농도가 높아 이를 하천 등의 생활환경에 배출시에 환경오염으로 인한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다.
최근 들어 축산농가에서 발생되는 축산분뇨를 퇴비나 액비로 자원화해 경종농가에 환원함과 동시에 경종농가는 이러한 퇴비나 액비를 활용해 농산물을 생산해 다시 축산업에 필요한 사료자원 등을 제공하는 방안이 제시됨에 따라, 축산분뇨를 퇴비나 액비로 자원화하기 위한 축산분뇨 자원재생시스템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축산분뇨 자원재생시스템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23338호(2007.05.30. 공고)에는 축산농가에서 발생한 가축분뇨를 고액분리처리해 퇴비화 처리시설부 및 액비화 처리시설부를 이용하여 퇴비 및 액비(액체비료)로 생산하고, 경종농가에 상기 퇴비 및 액비를 제공하는 가축분뇨 자원화 처리시설에 있어서, 상기 가축분뇨를 집수하여 저장하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에 모인 가축분뇨를 분뇨액과 슬러지로 고액분리하는 고액분리기와, 상기 고액분리기에서 분리된 분뇨액을 침전시켜 침전물·스컴 및 처리액으로 분리하는 침전조와, 상기 침전조의 침전물 및 스컴을 저장하는 슬러지저장조와, 상기 슬러지저장조에서 이송된 침전물 및 스컴을 탈수시켜 슬러지를 형성하는 원심탈수기로 구성되는 고액분리 전처리시설부와; 상기 침전조의 처리액이 유입되고 질소의 함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탈질조와 질화조로 구성되어 액비를 생산하는 액비화조와, 상기 액비화조에서 생산된 액비를 경종농가로 이송할 수 있도록 저장하는 액비저장조로 구성되는 액비화 처리시설부와; 상기 고액분리기에서 분리된 슬러지와 상기 원심탈수기에서 형성된 슬러지가 유입되고 교반기와 하부에 침출수 배출설비가 설치되어 퇴비를 생산하며 침출수는 상기 집수조로 반송시키는 퇴비발효조와, 상기 퇴비발효조에서 생산된 퇴비를 경종농가에 이송시킬수 있도록 저장하면서 부숙시키는 퇴비사로 구성되는 퇴비화 처리시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분뇨 자원화 처리시설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78543호(2007.11.28. 공고)에는 축산폐수가 유입되는 저류조와; 상기 축산폐수에 포함된 협잡물을 걸러내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에 의해 협잡물이 걸러진 유기성 축산분뇨를 저장하는 밀폐용기와; 상기 밀폐용기의 축산분뇨의 고형분 유기물을 분쇄하여 다시 밀폐용기로 보내주는 분쇄기와; 상기 밀폐용기의 고형분 유기물을 미립화하여 다시 밀폐용기로 보내주는 미립화기와; 통기성 산 발효 미생물을 배양하는 미생물 배양조와; 상기 통기성 산 발효 미생물의 활성화를 위한 PH 조절장치 및 열원공급장치와 상기 분쇄 및 미립화된 고형분 유기물 및 통기성 산 발효 미생물의 침강방지를 위한 교반기를 구비하며, 상기 활성화된 통기성 산 발효 미생물에 의해 축산분뇨를 산 발효시키는 미생물 활성조와; 상기 미생물 활성조에서 산 발효된 축산분뇨의 산 발효를 지속화시키는 미생물 발효 숙성조와; 상기 미생물 발효 숙성조에 의해 산 발효된 산 발효 액비를 저장하는 산 발효 액비 저장조와; 상기 미생물 발효 숙성조에 의해 산 발효된 축산분뇨를 폭기에 의해 호기성 발효를 유도하는 산화조와; 상기 산화조에 의해 호기성 발효된 중성액비를 저장하는 중성액비 저장조; 및 상기 중성액비 저장조의 중성액비가 살균되어 저장되는 무기질액비 저장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축산분뇨의 자원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축산분뇨 자원재생시스템의 경우에는 축산분뇨를 고액분리한 액체가 응집 직후 바로 탈수처리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탈수부하가 과다하여 처리속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23338호(2007.05.30. 공고)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78543호(2007.11.28.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축산분뇨로부터 고액분리를 통해 1차적으로 슬러지를 분리하고 고액분리된 액체로부터 부상조의 부상을 통해 2차적으로 슬러지를 분리하여 함께 발효시켜 슬러지가 퇴비로 재활용되도록 함과 동시에 부상조에서 슬러지가 분리된 액체는 폭기 및 침전처리를 거쳐 농장수로 재활용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슬러지의 분리효과가 배가됨과 동시에 축산분뇨의 자원화 처리속도와 처리용량이 대폭 증대될 수 있도록 한 축산분뇨 자원재생시스템을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축산분뇨가 저장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로부터 유입된 축산분뇨를 슬러지와 액체로 분리하는 고액분리기와, 상기 고액분리에서 분리된 액체가 저장되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로부터 유입된 액체 내에 포함된 슬러지를 부상시켜 분리시키는 부상조와, 상기 집수조 내의 액체를 상기 부상조로 강제이송하는 이송관과, 상기 부상조에 연결되고 상기 부상조로부터 흡입되는 액체에 에어를 부가하여 다시 상기 부상조로 순환공급하면서 슬러지의 부상을 가능하게 하는 펌프와, 상기 부상조로부터 유입된 액체를 폭기시키는 폭기조와, 상기 폭기조로부터 유입된 액체를 침전시키는 침전조와, 상기 고액분리기와 상기 부상조로부터 공급된 슬러지를 퇴비로 발효시키는 발효실을 포함하는 축산분뇨 자원재생시스템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부상조는 유입공간과 유출공간으로 구획하는 격벽이 구비되는 수조본체와, 상기 이송관에 연결되고 상기 수조본체의 유입공간의 일측 상부에서 하부까지 절곡연장되는 유입관과, 상기 격벽에 관통설치되고 상기 유입공간의 내부 상측으로 부상된 슬러지와 액체를 유출공간으로 공급하는 내부이송관과, 상기 수조본체 중 상기 유출공간 측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출공간의 내부 상측으로 부상된 슬러지를 분리배출시키는 체인구동식 스크레이퍼와, 상기 수조본체 중 상기 체인구동식 스크레이퍼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체인구동식 스크레이퍼에 의해 분리된 슬러지를 상기 발효실로 이송시키는 슬러지분리배출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이송관의 내부에는 지그재그식 유로 형성을 위한 배플플레이트가 교호적으로 설치되고 일측에는 응집액주입관이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이송관은 지그재그식 굴곡관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펌프는 상기 부상조의 유출공간의 하부로부터 흡입된 액체에 에어를 부가하여 상기 부상조의 유입공간과 내부이송관 내로 강제급송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축산분뇨 자원재생시스템에 의하면, 축산분뇨로부터 고액분리를 통해 1차적으로 슬러지를 분리하고 고액분리된 액체로부터 부상조의 부상을 통해 2차적으로 슬러지를 분리하여 함께 발효시켜 슬러지가 퇴비로 재활용되도록 함과 동시에 부상조에서 슬러지가 분리된 액체는 폭기 및 침전처리를 거쳐 농장수로 재활용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슬러지의 분리효과가 배가됨과 동시에 큰 부가하 요구되는 탈수공정을 배제시켜 축산분뇨의 자원화 처리속도와 처리용량이 대폭 증대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축산분뇨 자원재생시스템에 의하면, 집수조와 부상조 사이의 이송관이 지그재그식 굴곡관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이송관의 내부에 지그재그식 유로를 형성하는 배플플레이트가 일정간격마다 방향을 달리하여 교호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이송관 내로 응집액이 주입됨에 따라 슬러지의 응집효과가 배가되고 이로 인해 부상조에서 액체 내에 포함된 슬러지가 대부분 분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분뇨 자원재생시스템의 전체 블럭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분뇨 자원재생시스템에 있어서,부상조의 상세구조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분뇨 자원재생시스템(1)은 축산분뇨를 액체와 슬러지로 분리하여 액비와 퇴비로 자원화하는 것으로,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축산분뇨가 저장되는 저장조(10)와, 저장조(10)로부터 유입된 축산분뇨를 슬러지와 액체로 분리하는 고액분리기(20)와, 고액분리기(10)에서 분리된 액체가 저장되는 집수조(30)와, 집수조(30)로부터 유입된 액체 내에 포함된 슬러지를 부상시켜 분리시키는 부상조(40)와, 집수조(30) 내의 액체를 부상조(40)로 강제이송하는 이송관(50)과, 부상조(40)에 연결되고 부상조(40)로부터 흡입되는 액체에 에어를 부가하여 다시 부상조(40)로 순환공급하면서 슬러지의 부상을 가능하게 하는 펌프(60)와, 부상조(40)로부터 유입된 액체를 폭기시키는 폭기조(70)와, 폭기조(70)로부터 유입된 액체를 침전시키는 침전조(80)와, 고액분리기(20)와 부상조(40)로부터 공급된 슬러지를 퇴비로 발효시키는 발효실(9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저장조(10)는 축산농가에서 수집된 축산분뇨가 처리를 위해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수조에 해당한다.
전술한 저장조(10)에는 고액분리기(20)가 연결된다. 고액분리기(20)는 저장조(10)로부터 유입된 축산분뇨를 퇴비 발효를 위한 슬러지와 액비 등과 같은 농장수로 재활용할 액체로 1차적으로 분리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원심분리식 고액분리기 또는 데칸타식 고액분리기와 같이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분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고액분리기(20)에서 분리배출된 슬러지는 최종 발효실(90)로 이송되어 퇴비로 발효된다.
전술한 고액분리기(20)에는 집수조(30)가 연결된다. 집수조(30)는 고액분리기(20)에서 분리된 액체를 저장하는 수조에 해당하는 것으로, 고액분리기(20)에서 슬러지가 1차적으로 분리된 액체가 2차적인 슬러지 분리를 위해 부상조(40)에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집수조(20) 내에는 교반기가 별도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집수조(30)에는 부상조(40)가 연결된다. 부상조(40)는 집수조(30)로부터 유입된 액체 내에 포함된 슬러지를 상부로 부상시켜 액체와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2에 상세히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유입공간(41a)과 유출공간(41b)으로 구획하는 격벽(42)이 구비되는 수조본체(41)와, 이송관(50)에 연결되고 수조본체(41)의 유입공간(41a)의 일측 상부에서 하부까지 절곡연장되는 유입관(43)과, 격벽(41a)에 관통설치되고 유입공간(41a)의 내부 상측으로 부상된 슬러지와 액체를 유출공간(41b)으로 공급하는 내부이송관(44)과, 수조본체(41) 중 유출공간(41b) 측의 상부에 설치되고 유출공간(41b)의 내부 상측으로 부상된 슬러지를 분리배출시키는 체인구동식 스크레이퍼(45)와, 수조본체(41) 중 체인구동식 스크레이퍼(45)의 일측에 설치되고 체인구동식 스크레이퍼(45)에 의해 분리된 슬러지를 발효실(90)로 이송시키는 슬러지분리배출관(46)을 포함한다.
집수조(30) 내의 액체는 수조본체(41)의 유입공간(41a)으로 유입되어 그 수위가 상승되면서 슬러지를 다량 포함한 액체가 내부이송관(44)을 통해 유출공간(41b)으로 이송되고, 유출공간(41b) 내에서 상부로 부상된 슬러지는 체인구동식 스크레이퍼(45)에 의해 슬러지분리배출관(46)으로 이동되어 최종 발효실(90)로 이송되어 퇴비로 발효된다. 회전구동되는 양 체인 사이에 스크레이퍼가 설치되어 순환회전되는 체인구동식 스크레이퍼(45)의 구성은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집수조(30)와 부상조(40) 사이에는 이송관(50)이 개재된다. 이송관(50)은 집수조(30) 내의 액체를 부상조(40), 특히 유입공간(41a) 내로 강제이송하는 관로에 해당한다.
이송관(50)을 통한 액체 이송 동안에는 이송관(50) 내로는 액체와 고르게 교반되어 슬러지로 잘 응집될 수 있도록 하는 응집액이 주입된다. 응집액의 혼합에 따른 슬러지의 응집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이송관(50)의 내부에는 액체의 이송유로가 지그재그식 유로로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액체의 이송 동안에 마찰이나 충돌에 의해 응집액의 혼합효과가 배가될 수 있도록 배플플레이트(51)가 일정 간격마다 방향을 달리하여 교호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송관(50)의 일측에는 응집액주입관(53)이 연결된다.
또한 이송관(50)은 집수조(30)와 부상조(40) 사이에서 응집액의 혼합이 가급적 오랜시간에 걸쳐 행해질 수 있도록 선형관이 아니라 지그재그식 굴곡관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부상조(40)에는 펌프(60)가 연결된다. 펌프(60)는 부상조(40)로부터 흡입되는 액체에 에어를 부가하여 다시 부상조(40)로 순환공급하면서 슬러지의 부상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특히 부상조(40)의 유출공간(41b)의 하부로부터 흡입된 액체에 에어를 부가하여 부상조(40)의 유입공간(41a)과 내부이송관(44) 내로 강제급송한다.
이를 위해 펌프(60)는 부상조(40)의 유출공간(41b)의 하부와 연결되어 액체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관로(61)와, 부상조(40)의 유입공간(41a)과 내부이송관(44)과 각각 분기연결되어 에어를 포함하는 액체를 강제 급송하는 토출관로(63)를 포함한다.
전술한 부상조(40)에는 폭기조(70)가 또한 연결된다. 폭기조(70)는 부상조(40)의 유출공간(41b)의 하부로부터 유입된 액체에 공기 또는 산소를 공급하여 폭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산기식 또는 교반식 등과 같이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폭기조로 형성가능하다. 이러한 폭기조(70)의 구성은 수처리분야에서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폭기조(70)에는 침전조(80)가 연결된다. 침전조(80)는 폭기조(70)로부터 유입된 액체 내의 콜로이드성 물질을 비중차를 이용하여 침강시켜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침전조(80)에서 침전처리된 액체는 최종적으로 예를 들어 액비 등과 같이 농장수로 재활용된다. 이러한 침전조(80)의 구성은 수처리분야에서 이미 공지되어 있는 바,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부상조(40)에 대한 폭기조(70)와 침전조(80)의 연결순서는 실시예에 따라 전환 가능함은 자명하다.
전술한 고액분리기(20)와 부상조(40)에는 발효실(90)이 연결된다. 발효실(90)은 고액분리기(20)와 부상조(40)로부터 공급된 슬러지를 농가에서 사용가능한 퇴비로 발효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발효실(90)의 구성은 이미 공지되어 았는 바,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분뇨 자원재생시스템(1)의 경우에는, 고액분리기(20)의 고액분리를 통해 축산분뇨로부터 슬러지를 1차적으로 분리하고 부상조(40)의 부상에 의한 고액분리를 통해 고액분리된 액체로부터 슬러지를 2차적으로 분리한 후 발효실(90)에서 함께 발효시켜 슬러지가 퇴비로 재활용되도록 함과 동시에 부상조(40)에서 슬러지가 분리된 액체는 폭기조(70)에 의한 폭기처리 및 침전조(80)에 의한 침전처리를 거쳐 예를 들어 액비와 같은 농장수로 재활용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슬러지의 분리효과가 배가됨과 동시에 큰 부가하 요구되는 탈수공정을 배제시켜 축산분뇨의 자원화 처리속도와 처리용량이 대폭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분뇨 자원재생시스템(1)의 경우에는, 집수조(30)와 부상조(40) 사이의 이송관(50)이 지그재그식 굴곡관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이송관(50)의 내부에 지그재그식 유로를 형성하는 배플플레이트(51)가 일정간격마다 방향을 달리하여 교호적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이송관(50) 내로 응집액이 주입됨에 따라 슬러지의 응집효과가 배가되고 이로 인해 부상조(40)에서 액체 내에 포함된 슬러지가 대부분 분리될 수 있다.
위에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축산분뇨 자원재생시스템
10 : 저장조
20 : 고액분리기
30 : 집수조
40 : 부상조
41 : 수조본체
41a : 유입공간
41b : 유출공간
42 : 격벽
43 : 유입관
44 : 내부이송관
45 : 체인구동식 스크레이퍼
46 : 슬러지분리배출관
50 : 이송관
51 : 배플플레이트
53 : 응집액주입관
60 : 펌프
61 : 흡입관로
63 : 토출관로
70 : 폭기조
80 : 침전조
90 : 발효실

Claims (5)

  1. 축산분뇨가 저장되는 저장조(10):
    상기 저장조(10)로부터 유입된 축산분뇨를 슬러지와 액체로 분리하는 고액분리기(20);
    상기 고액분리기(10)에서 분리된 액체가 저장되는 집수조(30);
    상기 집수조(30)로부터 유입된 액체 내에 포함된 슬러지를 부상시켜 분리시키는 부상조(40);
    상기 집수조(30) 내의 액체를 상기 부상조(40)로 강제이송하는 이송관(50);
    상기 부상조(40)에 연결되고 상기 부상조(40)로부터 흡입되는 액체에 에어를 부가하여 다시 상기 부상조(40)로 순환공급하면서 슬러지의 부상을 가능하게 하는 펌프(60);
    상기 부상조(40)로부터 유입된 액체를 폭기시키는 폭기조(70);
    상기 폭기조(70)로부터 유입된 액체를 침전시키는 침전조(80); 및
    상기 고액분리기(20)와 상기 부상조(40)로부터 공급된 슬러지를 퇴비로 발효시키는 발효실(90)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관(50)의 내부에는 지그재그식 유로 형성을 위한 배플플레이트(51)가 교호적으로 설치되고 일측에는 응집액주입관(53)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분뇨 자원재생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상조(40)는 유입공간(41a)과 유출공간(41b)으로 구획하는 격벽(42)이 구비되는 수조본체(41)와, 상기 이송관(50)에 연결되고 상기 수조본체(41)의 유입공간(41a)의 일측 상부에서 하부까지 절곡연장되는 유입관(43)과, 상기 격벽(41a)에 관통설치되고 상기 유입공간(41a)의 내부 상측으로 부상된 슬러지와 액체를 유출공간(41b)으로 공급하는 내부이송관(44)과, 상기 수조본체(41) 중 상기 유출공간(41b) 측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유출공간(41b)의 내부 상측으로 부상된 슬러지를 분리배출시키는 체인구동식 스크레이퍼(45)와, 상기 수조본체(41) 중 상기 체인구동식 스크레이퍼(45)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체인구동식 스크레이퍼(45)에 의해 분리된 슬러지를 상기 발효실(90)로 이송시키는 슬러지분리배출관(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분뇨 자원재생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50)은 지그재그식 굴곡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분뇨 자원재생시스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펌프(60)는 상기 부상조(40)의 유출공간(41b)의 하부로부터 흡입된 액체에 에어를 부가하여 상기 부상조(40)의 유입공간(41a)과 내부이송관(44) 내로 강제급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분뇨 자원재생시스템.
KR1020160174014A 2016-12-19 2016-12-19 축산분뇨 자원재생시스템 KR101788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014A KR101788992B1 (ko) 2016-12-19 2016-12-19 축산분뇨 자원재생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4014A KR101788992B1 (ko) 2016-12-19 2016-12-19 축산분뇨 자원재생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8992B1 true KR101788992B1 (ko) 2017-10-23

Family

ID=60298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4014A KR101788992B1 (ko) 2016-12-19 2016-12-19 축산분뇨 자원재생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899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338B1 (ko) * 2006-11-17 2007-05-30 백구엔지니어링(주) 가축분뇨 자원화 처리시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338B1 (ko) * 2006-11-17 2007-05-30 백구엔지니어링(주) 가축분뇨 자원화 처리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62244B (zh) 一种畜禽养殖废水营养物污染控制与资源化回收工艺
CN102844276A (zh) 用于减少废水处理设施产生的污泥的系统及方法
CN103613245B (zh) 一种神经多肽制品生产废水的处理工艺
KR101532371B1 (ko) 축산분뇨의 자원화를 위한 고효율 액비제조시스템
KR101806489B1 (ko) 축산 폐수 자원화 처리시설
KR101044445B1 (ko) 돈사 순환형 친환경 돈분뇨 처리 장치 및 방법
CN108892334A (zh) 一种畜禽废弃物集中处理利用系统及方法
WO2004028981A1 (en) Treatment of waste activated sludge
CN107555600A (zh) 一种污水处理系统
CN206156978U (zh) 畜禽养殖废水处理系统
CN105645688A (zh) 屠宰废水处理成套装置及屠宰废水处理方法
KR20090049671A (ko) 축산분뇨의 자원화를 위한 정화처리장치
CN210620525U (zh) 养殖粪污水肥联产装置
JP2018075567A (ja) 廃水処理施設で生じる汚泥を減少させ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788992B1 (ko) 축산분뇨 자원재생시스템
CN207121472U (zh) 一种内循环厌氧好氧一体污水处理反应器装置
US11767248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organic feedstock
CN210481124U (zh) 一种畜禽养殖污水处理系统
CN107540160A (zh) 养殖废水净化处理工艺及其装置
KR101730932B1 (ko) 고속 유기물 산화조를 갖는 가축분뇨 액비화 처리시스템 및 그 액비화 처리방법
CN207811366U (zh) 一种污水处理系统
KR100227186B1 (ko) 유기성 폐액의 혐기적 처리방법 그에 사용되는 발효조
CN1074752C (zh) 需氧性家畜饲养净化槽
CN206799388U (zh) 集装箱式可变容积一体化污水处理系统
KR102299806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