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921B1 - 기자재 지지철골 및 이를 이용한 기자재 설치 방법 - Google Patents

기자재 지지철골 및 이를 이용한 기자재 설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921B1
KR101788921B1 KR1020150100996A KR20150100996A KR101788921B1 KR 101788921 B1 KR101788921 B1 KR 101788921B1 KR 1020150100996 A KR1020150100996 A KR 1020150100996A KR 20150100996 A KR20150100996 A KR 20150100996A KR 101788921 B1 KR101788921 B1 KR 101788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frame
steel
frame
supporting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9252A (ko
Inventor
최봉렬
권창원
최선길
유규선
Original Assignee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0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921B1/ko
Publication of KR20170009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42Means in or on the elements for connecting same to handl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플랜트의 기자재 설치 시 지지철골을 이동시킴으로써, 기자재가 지지철골에 간섭되지 않는 기자재 지지철골 및 이를 이용한 기자재 설치 방법이 개시된다.
일 예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철골로 이루어진 제1철골 및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철골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철골을 이루는 다수의 철골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제1철골에 체결되며, 상기 제1철골과의 체결이 분해된 경우 상기 제1철골을 따라 이동하고, 기자재를 지지하는 제2철골을 포함하는 기자재 지지철골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기자재 지지철골 및 이를 이용한 기자재 설치 방법 {Frame supporting equipment and Method for installing equipment by the same}
본 발명은 플랜트의 기자재 설치 시 지지철골을 이동시킴으로써, 기자재가 지지철골에 간섭되지 않는 기자재 지지철골 및 이를 이용한 기자재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스화 복합 발전은 석탄을 고온/고압의 조건에서 산소 또는 증기와 반응시켜 수소 및 일산화탄소가 대부분인 합성 가스로 전환시키는 일련의 공정과 합성 석유 및 발전을 위해 유해 가스를 정제하는 정제 공정, 가스 터빈 및 증기 터빈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공정이 융합된 차세대 에너지 전환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석탄 가스화 복합 발전기술은 석탄, 가스 공급과 관련된 공급부, 가스화 반응이 일어나는 가스화부, 합성가스 이용을 위한 정제부, 전력 생산을 위한 발전부 및 기타 보조 설비들로 구성된다. 가스화 기술은 고급 청정에너지 사용에 대한 국민적 요구에 부응하고, 저급 탄소 연료들의 초청정 고급 에너지 전환을 가능하게 만들며, 석유 고갈 및 고유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 된다. 따라서, 공정 기간을 줄이고, 구조적으로 안전하게 발전소를 건설할 수 있는 기술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플랜트의 기자재 설치 시 지지철골을 이동시킴으로써, 기자재가 지지철골에 간섭되지 않는 기자재 지지철골 및 이를 이용한 기자재 설치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자재 지지철골 및 이를 이용한 기자재 설치 방법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철골로 이루어진 제1철골 및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철골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철골을 이루는 다수의 철골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제1철골에 체결되며, 상기 제1철골과의 체결이 분해된 경우 상기 제1철골을 따라 이동하고, 기자재를 지지하는 제2철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철골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철골을 이루는 다수의 철골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제2철골에 체결되며, 상기 제2철골과 함께 상기 기자재를 보강 지지하는 제3철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철골을 이루는 다수의 철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철골 상에 안착되어, 상기 제2철골이 상기 제1철골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측이 상기 제2철골을 이루는 다수의 철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롤러의 일면에 결합되어, 작업자가 상기 제2철골을 상기 제1철골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지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부에 스프링을 구비한 콘스탄트 스프링 행거(Constant Spring Hanger)로서, 일측이 상기 제2철골 또는 제3철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기자재에 결합되어, 상기 기자재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완충하는 행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철골로 이루어진 제1철골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철골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철골을 이루는 다수의 철골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제1철골에 체결된 제2철골 간의 체결을 분해하는 단계, 상기 제2철골을 이루는 다수의 철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제1철골을 따라 상기 제2철골을 이루는 다수의 철골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2철골을 이루는 다수의 철골 사이로 기자재를 하강시키는 단계, 상기 제2철골을 이루는 다수의 철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제1철골을 따라 상기 제2철골을 이루는 다수의 철골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철골과 상기 기자재를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철골을 상기 제1철골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전에 상기 제2철골과 상기 제2철골을 이루는 다수의 철골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체결된 제3철골 간의 체결을 분해하여 상기 제3철골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제2철골을 상기 제1철골을 따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후에 상기 제3철골을 상기 제2철골에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제3철골과 상기 기자재를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철골을 이루는 다수의 철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철골 상에 안착된 롤러를 통해 상기 제2철골이 상기 제1철골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측이 상기 제2철골을 이루는 다수의 철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롤러의 일면에 결합되어, 작업자가 상기 제2철골을 상기 제1철골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지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철골 또는 제3철골과 상기 기자재를 연결할 때, 내부에 스프링을 구비한 콘스탄트 스프링 행거(Constant Spring Hanger)로서 상기 기자재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완충하는 행거의 일측을 상기 제2철골 또는 제3철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결합하고, 타측을 상기 기자재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기자재 지지철골 및 이를 이용한 기자재 설치 방법은 플랜트에 기자재를 설치할 때, 기자재의 일부가 지지철골에 간섭되어 기자재를 필요한 위치까지 이동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지철골의 일부를 롤러를 통해 용이하게 이동시킴으로써, 기자재가 지지철골을 통과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신속하게 확보하여, 기자재를 플랜트에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기자재 지지철골 및 이를 이용한 기자재 설치 방법은 플랜트에 기자재를 설치하기 위해 이미 설치된 지지철골 전체를 해체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체 공정 기간을 단축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기자재 지지철골 및 이를 이용한 기자재 설치 방법은 지지철골을 먼저 설치한 후 지지철골의 일부만 분리하여 기자재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플랜트에 기자재를 설치할 때, 분리되지 않는 나머지 지지철골에 의해 플랜트의 구조적 안정성이 보강되어, 안정적으로 기자재를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자재 지지철골을 이용하여 기자재가 설치된 플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자재 지지철골을 이용하여 기자재가 설치된 플랜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자재 지지철골에서, 제1철골, 제2철골 및 제3철골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자재 지지철골에서, 행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자재 지지철골을 이용한 기자재 설치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자재 지지철골을 이용하여 기자재가 설치된 플랜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자재 지지철골을 이용하여 기자재가 설치된 플랜트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자재 지지철골을 이용하여 기자재가 설치된 플랜트는 기자재(100), 플랜트철골(200) 및 기자재 지지철골(300)을 포함한다.
상기 기자재(100) 및 플랜트철골(20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자재 지지철골(300)에 포함되는 구성은 아니지만, 상기 기자재 지지철골(300)에 결합될 수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기자재(100) 및 플랜트철골(200)의 형상 및 기능과 상기 기자재 지지철골(300)을 이용하여 기자재가 설치된 플랜트에서 각 구성의 결합관계에 대해 먼저 간단히 설명한 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자재 지지철골(3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기자재(100)는 플랜트에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기계, 기구 또는 자재를 포함하는 개념이지만, 편의상 플랜트의 냉각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기자재(100)는 대략 원통 형상이고, 방사상으로 돌출된 스커트(110)를 구비한다. 상기 스커트(110)에는 둘레를 따라 홀(110a)이 형성된다. 상기 홀(110a)에 행거(350)가 결합되어, 상기 기자재(100)가 상기 기자재 지지철골(3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랜트철골(200)은 플랜트의 전체 뼈대로서, 플랜트의 구조적 안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플랜트철골(200)에 상기 기자재 지지철골(300)이 결합되고, 상기 기자재(100)는 상기 스커트(110)가 상기 기자재 지지철골(300)보다 아래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행거(350)를 통해 상기 기자재 지지철골(300)에 결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자재 지지철골(3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자재 지지철골에서, 제1철골, 제2철골 및 제3철골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자재 지지철골(300)은 제1철골(310), 제2철골(320), 제3철골(330), 롤러(340) 및 행거(3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철골(310)은 다수의 철골이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철골(310)은 양단이 상기 플랜트철골(20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철골(310)을 이루는 다수의 철골 중 어느 하나의 길이 방향을 제1방향이라 하면, 상기 제1철골(310)은 제1방향으로 나란한 두개의 철골이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철골(320)은 다수의 철골이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철골(320)은 상기 제1철골(31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철골(310)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제1철골(310)에 체결되며, 필요에 따라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철골(310)이 이루는 평면 상에서, 제1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제2방향이라 하면, 상기 제2철골(320)은 제2방향으로 나란한 두 개의 철골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철골(320)의 길이는 상기 제1철골(310) 간의 거리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1철골(310)과 제2철골(320)의 체결이 분해된 경우, 상기 제2철골(320)은 상기 제1철골(310)을 따라 제1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철골(320)을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2철골(320)의 양단에는 상기 롤러(34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철골(330)은 다수의 철골이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3철골(330)은 상기 제2철골(320)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2철골(320)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제2철골(320)에 체결되며, 필요에 따라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철골(330)은 제1방향으로 나란한 두 개의 철골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철골(330)의 길이는 상기 제2철골(320) 간의 거리와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2철골(320) 및 제3철골(330)에는 홀(320a, 330a)이 형성된다. 상기 홀(320a, 330a)에 상기 행거(350)가 결합되고, 상기 행거(350)가 상기 기자재(100)의 홀(110a)에 결합되어, 상기 기자재(100)가 상기 기자재 지지철골(30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홀(320a, 330a)이 배치된 형상 및 개수는 상기 기자재(100)의 스커트(110)에 형성된 홀(110a)이 배치된 형상 및 개수와 대응된다. 이는, 상기 행거(350)가 상기 제2철골(320) 및 제3철골(330)과 기자재(100)에 각각 결합될 때, 서로 비틀림 없이 나란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기자재 지지철골(300)과 기자재(100) 간의 결합의 안정성을 도모하고, 후술하는 상기 행거(350)의 응력 완충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롤러(340)는 힐만社의 롤러(Hillman Roller)일 수 있다. 상기 롤러(340)는 상기 제2철골(320)의 양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1철골(310) 상에 안착된다. 상기 롤러(340)는 상기 제1철골(310)과 제2철골(320)의 체결이 분해되어 상기 제2철골(320)이 상기 제1철골(310)을 따라 제1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제1철골(310)과 제2철골(320) 간의 마찰을 줄여 제2철골(320)이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롤러(340)는 지그(Jig)(341)를 통해 상기 제2철골(32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철골(320)의 양단에 상기 지그(341)가 결합되고, 상기 지그(341)에 상기 롤러(34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그(341)는 일종의 손잡이로서, 작업자가 상기 제2철골(320)을 이동시키고, 상기 제2철골(320)의 정확한 위치를 조절할 때,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지그(341)의 구체적인 형상은 상기 제2철골(320), 제3철골(330), 행거(350) 및 기자재(100)의 하중과 상기 제1철골(310), 제2철골(320) 및 롤러(34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자재 지지철골에서, 행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2 및 4를 참조하면, 상기 행거(350)는 내부에 스프링(351)을 구비하는 콘스탄트 스프링 행거(Constant Spring Hanger)로서, 외부에 볼트(352) 및 로드(353)를 구비한다. 상기 행거(350)의 개수는 상기 제2철골(320) 및 제3철골(330)의 홀(320a, 330a)의 개수 또는 상기 기자재(100)의 홀(110a)의 개수와 대응되며, 구체적인 개수는 상기 기자재(100), 플랜트철골(200) 및 기자재 지지철골(300)의 형상, 재질 및 하중 등을 고려한 힘과 모멘트의 평형 등을 계산한 값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볼트(352)는 상기 제2철골(320) 및 제3철골(330)의 홀(320a, 330a)에 결합된다. 상기 로드(353)는 상기 기자재(100)의 홀(110a)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상기 기자재(100)가 상기 행거(350)를 통해 상기 기자재 지지철골(30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자재(100)의 온도가 변하는 경우, 상기 기자재(100)에 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행거(350)는 피봇(354)을 중심으로 상기 기자재(100)의 하중에 의한 모멘트와 상기 스프링(351)의 탄성력에 의한 모멘트가 평형을 이루게 함으로써, 상기 기자재(100)의 응력을 완충 및 흡수시키고, 상기 기자재 지지철골(300)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기자재(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기자재(100)의 스커트(110)가 상기 기자재 지지철골(300)보다 아래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행거(350)를 통해 상기 기자재 지지철골(300)에 결합되게 한다.
상기 기자재(100)를 플랜트에 설치할 때, 상기 기자재(100)의 스커트(110)가 상기 기자재 지지철골(300)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자재(100)를 하강시켜야 한다. 하지만, 상기 제2철골(320) 및 제3철골(330)에 형성된 홀(320a, 330a)의 배치와 상기 기자재(100)에 형성된 홀(110a)의 배치가 서로 대응되게 한 결과, 상기 기자재(100)를 하강할 때 상기 기자재(100)의 스커트(110)가 상기 기자재 지지철골(300)에 간섭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기자재를 먼저 설치한 후 지지철골을 설치하는 방법으로 상기 간섭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이 있다. 다만, 이에 의하면 공정기간이 길어져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지철골을 먼저 설치한 후 기자재를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기자재를 먼저 설치한 후 지지철골을 설치하게 되므로, 기자재 설치 과정에서 지지철골이 구조적 안정성을 보강하는 본연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자재 지지철골을 이용한 기자재 설치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자재 지지철골을 이용한 기자재 설치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제2철골(320)에 체결된 상기 제3철골(330)을 분리한다. 이때, 상기 제3철골(330)은 크레인(미도시)을 이용하여 상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1철골(310)에 체결된 상기 제2철골(320)을 분리하고, 상기 제2철골(320)을 상기 제1철골(310)을 따라 제2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이동시킨다. 즉, 상기 제1철골(310)과 제2철골(320)이 이루는 형상이 'ㅍ'자에서 'ㅁ'자가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철골(320)은 상기 롤러(340)에 의해 상기 제1철골(310) 상에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그 후, 이 상태에서 상기 기자재(100)를 상기 제1철골(310)과 제2철골(320)의 사이 공간으로 하강시킨다. 상기 제3철골(330) 및 제2철골(320)을 각각 분리했기 때문에, 상기 기자재(100)의 스커트(110)가 상기 기자재 지지철골(300)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기자재(100)를 하강시킬 때, 상기 기자재(100)의 스커트(110)가 상기 제2철골(320) 및 제3철골(330)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기자재(100)가 적정한 위치까지 하강되면, 상기 제2철골(320)을 상기 제1철골(310)을 따라 제1방향으로 서로 접근하도록 이동하여 원위치시킨 뒤, 상기 제2철골(320)을 상기 제1철골(310)에 체결시킨다. 그 후, 상기 제2철골(320)의 홀(320a)에 상기 행거(350)의 볼트(352)를 결합시키고, 상기 기자재(100)의 홀(110a)에 상기 행거(350)의 로드(353)를 결합시킨다.
마지막으로, 도 5d를 참조하면, 상기 제3철골(330)을 원위치시킨 뒤, 상기 제3철골(330)을 상기 제2철골(320)에 체결시킨다. 그 후, 상기 제3철골(330)의 홀(330a)에 상기 행거(350)의 볼트(352)를 결합시키고, 상기 기자재(100)의 홀(110a)에 상기 행거(350)의 로드(353)를 결합시킨다.
상기 도 5c 및 도 5d에 도시된 과정은 필요에 따라 순서가 바뀔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철골(320) 및 제3철골(330)을 원위치시킨 뒤, 상기 제2철골(320)을 상기 제1철골(310)에 체결시키고, 상기 제3철골(330)을 상기 제2철골(320)에 체결시킨 후, 상기 행거(350)를 상기 제2철골(320) 및 제3철골(330)과 기자재(100)에 각각 결합시키는 순서로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기 롤러(340)에 의해 상기 제2철골(320)을 용이하게 이동시켜 상기 기자재(100)의 스커트(110)가 통과할 공간을 비교적 신속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공정기간을 단축하여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기자재 지지철골(300)을 먼저 설치한 후 상기 기자재(100)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기자재(100) 설치 과정에서 상기 기자재 지지철골(300)이 구조적 안정성을 보강하는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기자재 지지철골 및 그 지지철골을 이용한 기자재 설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기자재
200; 플랜트철골
300; 기자재 지지철골
310; 제1철골
320; 제2철골
330; 제3철골
340; 롤러
350; 행거

Claims (10)

  1.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철골로 이루어진 제1철골;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철골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철골을 이루는 다수의 철골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제1철골에 체결되며, 상기 제1철골과의 체결이 분해된 경우 상기 제1철골을 따라 이동하고, 기자재를 지지하는 제2철골; 및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철골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철골을 이루는 다수의 철골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제2철골에 체결되며, 상기 제2철골과 함께 상기 기자재를 보강 지지하는 제3철골을 포함하는 기자재 지지철골.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철골을 이루는 다수의 철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철골 상에 안착되어, 상기 제2철골이 상기 제1철골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롤러를 더 포함하는 기자재 지지철골.
  4. 제3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제2철골을 이루는 다수의 철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롤러의 일면에 결합되어, 작업자가 상기 제2철골을 상기 제1철골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지그를 더 포함하는 기자재 지지철골.
  5.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스프링을 구비한 콘스탄트 스프링 행거(Constant Spring Hanger)로서, 일측이 상기 제2철골 또는 제3철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기자재에 결합되어, 상기 기자재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완충하는 행거를 더 포함하는 기자재 지지철골.
  6.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철골로 이루어진 제1철골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철골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철골을 이루는 다수의 철골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제1철골에 체결된 제2철골 간의 체결을 분해하는 단계;
    상기 제2철골을 이루는 다수의 철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제1철골을 따라 상기 제2철골을 이루는 다수의 철골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2철골을 이루는 다수의 철골 사이로 기자재를 하강시키는 단계;
    상기 제2철골을 이루는 다수의 철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제1철골을 따라 상기 제2철골을 이루는 다수의 철골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철골과 상기 기자재를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철골을 상기 제1철골을 따라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전에, 상기 제2철골과 상기 제2철골을 이루는 다수의 철골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체결된 제3철골 간의 체결을 분해하여, 상기 제3철골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제2철골을 상기 제1철골을 따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후에, 상기 제3철골을 상기 제2철골에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제3철골과 상기 기자재를 연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자재 지지철골을 이용한 기자재 설치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철골을 이루는 다수의 철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양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1철골 상에 안착된 롤러를 통해 상기 제2철골이 상기 제1철골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롤러를 더 포함하는 기자재 지지철골을 이용한 기자재 설치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제2철골을 이루는 다수의 철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롤러의 일면에 결합되어, 작업자가 상기 제2철골을 상기 제1철골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지그를 더 포함하는 기자재 지지철골을 이용한 기자재 설치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철골 또는 제3철골과 상기 기자재를 연결할 때, 내부에 스프링을 구비한 콘스탄트 스프링 행거(Constant Spring Hanger)로서 상기 기자재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완충하는 행거의 일측을 상기 제2철골 또는 제3철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면에 결합하고, 타측을 상기 기자재에 결합하는 기자재 지지철골을 이용한 기자재 설치 방법.
KR1020150100996A 2015-07-16 2015-07-16 기자재 지지철골 및 이를 이용한 기자재 설치 방법 KR101788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996A KR101788921B1 (ko) 2015-07-16 2015-07-16 기자재 지지철골 및 이를 이용한 기자재 설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996A KR101788921B1 (ko) 2015-07-16 2015-07-16 기자재 지지철골 및 이를 이용한 기자재 설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252A KR20170009252A (ko) 2017-01-25
KR101788921B1 true KR101788921B1 (ko) 2017-10-20

Family

ID=57991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996A KR101788921B1 (ko) 2015-07-16 2015-07-16 기자재 지지철골 및 이를 이용한 기자재 설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89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075B1 (ko) * 2021-03-23 2023-06-19 삼성물산 주식회사 수직 파이프 모듈 유닛 운송용 커플링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수직 파이프의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435B1 (ko) * 2007-01-27 2007-08-08 대양이앤이기술주식회사 설비기기 진동방지 장치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435B1 (ko) * 2007-01-27 2007-08-08 대양이앤이기술주식회사 설비기기 진동방지 장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252A (ko)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8921B1 (ko) 기자재 지지철골 및 이를 이용한 기자재 설치 방법
CN102706748A (zh) 增大拉伸试验机有效工作空间的方法及装置
KR20140139914A (ko) 리프팅 장치를 이용한 복합 발전설비의 발전기 로터축 인출방법
CN205447251U (zh) 一种模块式压力容器保温层
CN102268927B (zh) 折叠式架线装置
CN105715067A (zh) 焊接h型钢支撑加固装置及其安装方法
CN211499182U (zh) 一种钢结构衔接处的加强钢结构
CN202631360U (zh) 增大拉伸试验机有效工作空间的装置
CN103281886A (zh) 机柜内重型部件辅助装拆结构及使用方法
CN206195181U (zh) 一种组合式ggd型低压配电柜
KR102350846B1 (ko) 벽면 태양광 구조시스템
CN211114703U (zh) 一种房屋建筑机电工程用便携式维修架
CN213105304U (zh) 一种风机壳体的底板与侧板焊接用定位装置
CN209742348U (zh) 一种悬挑架搭设用的连墙件
CN212305212U (zh) 一种方便安装的太阳能光伏组件
CN204160454U (zh) 一种建筑用打孔架座
CN211248152U (zh) 一种可拆卸式法兰锻造设备
CN203578202U (zh) 一种振动筛
KR102111583B1 (ko) 대용량 발전기의 로터축 승강장치
KR20120079228A (ko) 가스터빈 연소 라이너 캡 조립체 분해 조립용 지그 장치
CN219756336U (zh) 一种锅炉安装加固装置
CN206036539U (zh) 一种单立柱拼接屏安装支架
JP2011208413A (ja) ユニット型枠及びこれを用いた型枠設置方法
CN105570623A (zh) 振动给料装置用减震支撑架
CN216965372U (zh) 一种更换筛分机支撑弹簧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