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290B1 -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290B1
KR101788290B1 KR1020170008704A KR20170008704A KR101788290B1 KR 101788290 B1 KR101788290 B1 KR 101788290B1 KR 1020170008704 A KR1020170008704 A KR 1020170008704A KR 20170008704 A KR20170008704 A KR 20170008704A KR 101788290 B1 KR101788290 B1 KR 101788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s
waste
shafts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재
박찬희
이민재
박승준
Original Assignee
(주)동양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양환경 filed Critical (주)동양환경
Priority to KR1020170008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2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100)는 다수의 샤프트(210)를 포함하는 선별수단(200), 다수의 샤프트(210)의 양단을 지지하는 프레임(300), 및 다수의 샤프트(210)의 상측에 배치되어, 폐기물을 흩트리는 흩트림수단(4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shaft type waste seperating device}
본 발명은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 및 산업화의 진행과정에서 생겨난 많은 구조물, 즉 교량이나 도로 및 각종 건축물들은 세월이 지남에 따라 노후화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주거문화의 개선을 위해서 많은 지역에서 재건축이나 재개발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노후 구조물의 해체나 재건축 및 재개발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많은 건설 폐기물이 발생한다.
이러한 건설폐기물을 그대로 매립할 경우에는 매립지의 확보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매립비용이 많이 소모되며, 환경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각국에서는 환경의 보호와 함께 자원의 재활용이라는 2가지 측면에서 건설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갖가지 대책들이 강구되어 왔으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건설폐기물에 대한 다양한 처리 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건설현장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의 종류에는 토사나 폐콘크리트, 폐목재류와 같은 건설폐기물, 폐유나 폐페인트와 같은 지정폐기물, 폐가전제품과 같은 사업장 일반폐기물 등이 있다. 여기서, 건설폐기물은 다시 토사를 비롯하여, 폐콘크리트, 폐아스팔트, 폐벽돌, 폐타일, 폐석재, 폐기와 , 폐블록 등의 건설폐재류, 폐목재를 비롯하여, 폐합성수지류, 철근과 같은 금속류, 폐종이류, 폐유리류, 폐섬유류, 소각 잔재물 등이 포람되는 혼합폐재류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폐재류가 혼재되어 있는 건설폐기물은 처리과정을 통해서 매립용, 소각용, 및 재활용으로 분리 처리하게 되며, 특히 근래에는 폐기물량의 상단 부분을 차지하는 건설폐재류를 각종 구조물이나 건축재의 골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재생함으로써, 폐기물의 재활용도를 높이는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해서, 하기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을 선별할 수 있는 원형스크린의 일종인 트롬멜(Trommel)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트롬멜은 전체 크기에 비해서 실제 선별구간이 작은 문제점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국내외에서 사용되고 있는 트롬멜은 지름(D)이 약 1,600mm 내지 1,800mm인데, 회전하면서 폐기물(W)이 한쪽으로 몰리므로 실제 선별구간(S)은 지름(D)의 절반 이하인 약 800mm에 불과하다. 이와 같이, 작은 실제 선별구간(S)에서 최대의 선별효율을 확보하기 위해서 트롬멜 내부에 앵글과 철판 등의 장치를 장착하여 폐기물을 흩트리는 방안도 있지만, 오히려 앵글과 철판에 토사가 부착되어 트롬멜의 망막힘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함수비가 높은 점착토사로 구성된 폐기물을 선별할 때, 트롬멜은 작은 실제 선별구간으로 인하여, 폐기물 중 토사를 100% 선별하지 못하고, 트롬멜의 말단으로 가연불, 불연물과 함께 많은 양의 토사가 배출되어, 선별된 가연물을 소각처리하는데 토사에 의해서 소각효율이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0575326 B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측면은 다수의 샤프트를 이용하여 폐기물로부터 토사를 선별하여, 실제 선별구간을 최대화할 수 있는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는 나란하게 배치되어 회전하는 다수의 샤프트를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샤프트의 상측에서 폐기물이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폐기물 중 토사가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샤프트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되는 선별수단, 다수의 상기 샤프트의 양단을 지지하는 프레임, 및 다수의 상기 샤프트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폐기물을 흩트리는 흩트림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흩트림수단은, 다수의 상기 샤프트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폐기물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평판형으로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및 다수의 상기 샤프트까지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된 높낮이조절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높낮이조절부재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하단에 결합되고, 평면도를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일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두 개의 측면이 상기 일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된 접촉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촉플레이트의 두 개의 측면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추가 결합되고, 상기 접촉플레이트는 두 개의 측면 사이의 하단을 연결하는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추에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에 상기 체결홀이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접촉플레이트의 두 개의 측면 사이에서 상기 체결돌기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추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높낮이조절부재가 삽입되는 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높낮이조절부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1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에 측면에는 제2 고정홀이 형성되며, 다수의 상기 제1 고정홀 중 하나의 상기 제1 고정홀과 상기 제2 고정홀에는 고정수단이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일방향을 따라 다수가 나란히 배치되고, 인접한 2개의 상기 지지플레이트 중 하나의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제1 위치에 상기 접촉플레이트가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위치와 상이한 제2 위치에 상기 접촉플레이트가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2개 이상이 구비되고, 2개 이상의 상기 프레임 중 하나의 상기 프레임의 말단 하측에 2개 이상의 상기 프레임 중 다른 하나의 상기 프레임이 배치되어, 2개 이상의 상기 프레임 중 하나의 상기 프레임에 지지된 다수의 상기 샤프트에서 이동한 상기 폐기물은 낙하한 후, 2개 이상의 상기 프레임 중 다른 하나의 상기 프레임에 지지된 다수의 상기 샤프트에 전달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2개 이상이 구비되고, 2개 이상의 상기 프레임 중 하나의 상기 프레임에 지지된 다수의 상기 샤프트 사이의 간격은 2개 이상의 상기 프레임 중 다른 하나의 상기 프레임에 지지된 다수의 상기 샤프트 사이의 간격과 상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2개 이상이 구비되고, 2개 이상의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구비되어, 2개 이상의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체, 및 2개 이상의 상기 프레임과 상기 지지체를 연결하여, 2개 이상의 상기 프레임의 지면에 대한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조절수단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상기 프레임 중 하나의 상기 프레임의 지면에 대한 경사는 다른 하나의 상기 프레임의 지면에 대한 경사와 상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과 상기 지지체의 일측을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 상기 프레임의 타측과 상기 지지체의 타측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유압작키, 및 상기 프레임의 타측과 상기 지지체의 타측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체에 대해서 상기 프레임을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2개 이상이 구비되고, 2개 이상의 상기 프레임 중 하나의 상기 프레임에 지지된 다수의 상기 샤프트의 회전속도는 2개 이상의 상기 프레임 중 다른 하나의 상기 프레임에 지지된 다수의 상기 샤프트의 회전속도와 상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샤프트의 상측을 커버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흩트림수단은 상기 커버부재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의 하측에 접촉하고, 양단이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스크레이퍼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는, 상기 샤프트의 하측에 접촉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말단과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샤프트를 이용하여 폐기물로부터 토사를 선별함으로써, 실제 선별구간을 최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흩트림수단을 이용하여 폐기물의 흐름을 강제적으로 흩트려주거나 뒤집어줌으로써, 토사의 선별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트롬멜의 정면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의 정면도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의 샤프트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에 스크레이퍼가 추가된 정면도와 스크레이퍼의 개념도
도 6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의 측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의 경사조절수단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에 인버터와 전력원이 추가된 사시도,
도 8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의 흩트림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의 흩트림수단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도 8c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의 흩트림수단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의 흩트림수단의 평면도,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에 커버부재가 추가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의 정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100)는 제1 컨베이어 벨트(130)로부터 폐기물이 투입되면, 다수의 샤프트(210)가 회전하면서, 폐기물이 일방향으로 이동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폐기물(W) 중 토사(E)는 인접한 두 개의 샤프트(210) 사이의 공간(X)으로 배출된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두 개의 샤프트(210)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여 배출된 토사는 제2 컨베이어 벨트(150)를 통해서 이송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폐기물로부터 토사를 선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100)는 다수의 샤프트(210)를 포함하는 선별수단(200), 다수의 샤프트(210)의 양단을 지지하는 프레임(300), 및 다수의 샤프트(210)의 상측에 배치되어, 폐기물을 흩트리는 흩트림수단(400)을 포함한다.
상기 선별수단(200)은 실질적으로 폐기물에서 토사를 선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다수의 샤프트(210)를 포함한다. 여기서, 다수의 샤프트(210)는 회전하므로, 선별수단(200)에 투입된 폐기물은 다수의 샤프트(210)의 상측에서 일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폐기물 중 토사는 인접한 두 개의 샤프트(210)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기물(W) 중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가연물(W1)이나 불연물(W2) 등은 회전하는 다수의 샤프트(210)에 의해서 일방향으로 이동하고, 폐기물(W) 중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토사(E)는 샤프트(210) 사이의 공간(X)을 통해서 하측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다수의 샤프트(210)를 이용하여 폐기물에서 토사(E)를 선별하므로, 실제 선별구간(S)은 샤프트(210)의 길이(D)와 동일하게 확보할 수 있다. 즉, 종래기술에 따른 트롬멜은 실제 선별구간이 트롬멜의 지름의 절반 이하에 불과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100)는 실제 선별구간(S)이 샤프트(210)의 길이(D)와 동일하여, 실제 선별구간(S)을 최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2a 내지 도 2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210)는 양단이 프레임(300)에 고정된 베어링(220)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210)는 말단에 스프라켓(230)이 결합되고, 이러한 스프라켓(230)은 체인을 통해서 모터 등의 구동원(24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샤프트(210)는 모터 등의 구동원(240)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소정의 회전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210)에 부착된 토사를 제거하기 위해서, 스크레이퍼(90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스크레이퍼(900)는 샤프트(210)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샤프트(210)의 하측에 접촉하고, 양단이 프레임(300)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스크레이퍼(900)는 와이어(910)와 스프링(9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910)는 샤프트(210)의 하측에 직접 접촉하여 샤프트(210)에 부착된 토사(E)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920)은 와이어(910)의 말단(양단)과 프레임(300)을 연결하여 와이어(910)에 인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920)으로 인하여, 샤프트(210)에 부착되어 굳은 토사나 샤프트(210)에 감긴 이물질 등에 의해서 와이어(910)에 과도한 부하가 인가되거나 와이어(9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00, 도 2a 내지 도 2b 참조)은 다수의 샤프트(21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프레임(300)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전체적으로 중앙에 개구부(310, 도 3 참조)가 형성된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다수의 샤프트(210)의 양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중앙에 개구부(310)를 통해서 인접한 두 개의 샤프트(210) 사이의 공간(X)을 통과한 토사(E)가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샤프트(210)를 지지하는 프레임(300)은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프레임(300) 중 하나의 프레임(300)의 말단 하측에는 2개 이상의 프레임(300) 중 다른 하나의 프레임(30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2개 이상의 프레임(300)은 다단 구조로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2개 이상의 프레임(300) 중 하나의 프레임(300)에 지지된 다수의 샤프트(210)에서 이동한 폐기물은 낙하한 후, 2개 이상의 프레임(300) 중 다른 하나의 프레임(300)에 지지된 다수의 샤프트(210)에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기물은 일방향(폐기물이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첫번째 프레임(300a)에 지지된 다수의 샤프트(210)에서 이동하고, 첫번째 프레임(300a)의 마지막 샤프트(210)를 지난 후, 낙하하여 일방향을 기준으로 두번째 프레임(300b)에 지지된 다수의 샤프트(210)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폐기물은 첫번째 프레임(300a)에 지지된 다수의 샤프트(210)에서 두번째 프레임(300b)에 지지된 다수의 샤프트(210)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낙하하므로, 흩트려지거나 뒤집어 질 수 있다. 따라서, 폐기물 중 가연물이나 불연물 상측에 쌓여있는 토사도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샤프트(210)를 지지하는 프레임(300)이 2개 이상이 구비될 때, 2개 이상의 프레임(300) 중 하나의 프레임(300)에 지지된 다수의 샤프트(210) 사이의 간격은 다른 하나의 프레임(300)에 지지된 다수의 샤프트(210) 사이의 간격과 상이할 수 있다. 즉, 2개 이상의 프레임(300)이 다단 구조로 배치될 때, 프레임(300)마다 다수의 샤프트(210) 사이의 간격이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프레임(300) 중 일방향(폐기물이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첫번째 프레임(300a)에 지지된 다수의 샤프트(210)의 간격(G1)은 일방향을 기준으로 두번째 프레임(300b)에 지지된 다수의 샤프트(210)의 간격(G2)보다 클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일방향을 기준으로 두번째 프레임(300b)에 지지된 다수의 샤프트(210)의 간격(G2)은 일방향을 기준으로 세번째 프레임(300c)에 지지된 다수의 샤프트(210)의 간격(G3)보다 클 수 있다. 즉, 폐기물이 이동하는 일방향을 기준으로, 각 프레임(300)에 지지된 다수의 샤프트(210)의 간격은 단계적으로 좁아질 수 있다(G1>G2>G3). 이와 같이, 폐기물이 이동한 일방향으로 갈수록 다수의 샤프트(210)의 간격이 좁아지므로(G1>G2>G3), 일방향으로 갈수록 폐기물로부터 토사를 정밀하게 선별할 수 있다.
한편,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00)이 2개 이상 구비될 때, 2개 이상의 프레임(300)의 하측에 구비되어, 2개 이상의 프레임(300)을 지지하는 지지체(60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2개 이상의 프레임(300)과 지지체(600)를 연결하여, 2개 이상의 프레임(300)의 지면에 대한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조절수단(700)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폐기물의 성상(함수비, 점질토) 등을 고려해 선별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경사조절수단(700)을 이용하여 프레임(300)의 지면에 대한 경사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300)의 지면에 대한 경사는 18° 내지 22°일 수 있고, 가연물과 불연물의 선별정도에 따라 각 프레임(300)의 지면에 대한 경사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2개 이상의 프레임(300) 중 하나의 프레임(300)의 지면에 대한 경사는 다른 하나의 프레임(300)의 지면에 대한 경사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프레임(300) 중 일방향(폐기물이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첫번째 프레임(300a)의 지면에 대한 경사는 두번째 프레임(300b)의 지면에 대한 경사나 세번째 프레임(300c)의 지면에 대한 경사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도 6a의 확대도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조절수단(700)은 예를 들어, 힌지부(710), 유압작키(720), 및 고정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힌지부(710)는 지지체(600)에 대해서 프레임(30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프레임(300)의 일측과 지지체(600)의 일측을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또한, 유압작키(720)는 유압으로 지지체(600)에 대한 프레임(300)의 회동 정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프레임(300)의 타측과 지지체(600)의 타측 사이의 거리를 조절한다. 그리고, 고정부(730)는 프레임(300)의 타측과 지지체(600)의 타측 사이에 결합되어, 지지체(600)에 대해서 프레임(300)을 고정하는 것으로, 볼트와 너트 형태의 나사결합을 이용하여, 프레임(300)을 특정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유압작키(720)로 프레임(300)을 원하는 경사각도로 들어올리거나 내린 후, 고정부(730)로 프레임(300)을 고정하면, 프레임(300)의 지면에 대한 경사를 자유롭게 조절한 후, 고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00)이 2개 이상 구비될 때, 2개 이상의 프레임(300) 중 하나의 프레임(300)에 지지된 다수의 샤프트(210)의 회전속도는 다른 하나의 프레임(300)에 지지된 다수의 샤프트(210)의 회전속도와 상이할 수 있다. 즉, 2개 이상의 프레임(300)이 다단 구조로 배치될 때, 프레임(300)마다 다수의 샤프트(210)의 회전속도가 상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300)마다 다수의 샤프트(210)의 회전속도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폐기물의 성상(함수비, 점질토) 등을 고려해 선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프레임(300) 중 일방향(폐기물이 이동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첫번째 프레임(300a)과 두번째 프레임(300b)에 지지된 다수의 샤프트(210)의 회전속도는 일방향을 기준으로 세번째 프레임(300c)에 지지된 다수의 샤프트(210)의 회전속도보다 클 수 있다. 즉, 첫번째 프레임(300a)과 두번째 프레임(300b)에 지지된 다수의 샤프트(210)의 회전속도는 상대적으로 빠르게 하고, 세번째 프레임(300c)에 지지된 다수의 샤프트(210)의 회전속도는 느리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첫번째 프레임(300a)과 두번째 프레임(300b)에 지지된 다수의 샤프트(210)에서는 전체적인 폐기물에서 토사를 선별하고, 세번째 프레임(300c)에 지지된 다수의 샤프트(210)에서는 가연물에 부착된 토사를 집중적으로 선별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300)마다 다수의 샤프트(210)의 회전속도가 상이하게 조절하는 수단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각 프레임(300)마다 다수의 샤프트(210)를 회전시키는 모터 등의 구동원(240)에 인버터(320, inverter)를 설치하고, 이러한 인버터(320)를 통해서 전력원(33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음으로써, 샤프트(210)의 회전속도를 상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흩트림수단(400, 도 2b 참조)은 폐기물을 흩트리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다수의 샤프트(210)의 상측에 배치된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흩트림수단(400)은 지지부(410)와 접촉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410)는 다수의 샤프트(210)의 상측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접촉부(420)는 지지부(410)에 상단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이 폐기물과 접촉하며 폐기물을 흩트릴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지지부(410)는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샤프트(210)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플레이트(411), 및 하단으로부터 다수의 샤프트(210)까지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지지플레이트(411)에 결합되는 높낮이조절부재(41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고정된 지지프레이트(411)에 높낮이조절부재(415)가 수직으로 결합되고, 높낮이조절부재(415)가 지지플레이트(411)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지지플레이트(411)에는 높낮이부재가 삽입되는 연결구(413)가 형성되고, 높낮이조절부재(415)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1 고정홀(417)이 형성되며, 연결구(413)의 측면에는 제2 고정홀(41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높낮이조절부재(415)를 지지플레이트(411)의 연결구(413)에 삽입한 후, 다수의 제1 고정홀(417) 중 하나의 제1 고정홀(417)과 제2 고정홀(414)에 볼트 형태의 고정수단(419)이 결합되면, 높낮이조절부재(415)를 지지플레이트(4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높낮이조절부재(415)가 연결구(413)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높낮이조절부재(415)의 상단에는 부싱(416)이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높낮이조절부재(415)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1 고정홀(417)이 형성되고, 다수의 제1 고정홀(417) 중 하나의 제1 고정홀(417)과 제2 고정홀(414)을 고정수단(419)으로 결합시키므로, 높낮이조절부재(415)의 하단으로부터 다수의 샤프트(210)까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높낮이조절부재(415)를 이용하여, 후술할 접촉부(420)의 접촉플레이트(423)와 다수의 샤프트(21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폐기물의 흐름이나 흩트림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접촉부(420)는 상단이 높낮이조절부재(415)의 하단에 힌지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부재(421), 및 연결부재(421)의 하단에 결합되어, 폐기물에 접촉하는 접촉플레이트(42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플레이트(423)는 실제로 폐기물(W)에 접촉하여 폐기물(W)을 정체시키면서, 폐기물(W)을 흩트리거나 뒤집어줄 수 있다. 또한, 접촉플레이트(423)는 평면도를 기준으로 볼 때, 폐기물이 이동하는 일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두 개의 측면(425)이 폐기물이 이동하는 일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폐기물은 접촉플레이트(423)의 두 개의 측면(425)에 접촉하면서, 자연스럽게 좌우로 퍼지며 흩트러지거나 뒤집어질 수 있다. 한편, 도 8c 내지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421)는 높낮이조절부재(41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폐기물(W)의 양에 따라 접촉플레이트(423)의 회동을 유도하므로, 접촉플레이트(423)는 부드럽게 폐기물을 흩트리거나 뒤집어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8a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421)에 의해서 접촉플레이트(423)가 회동함에 따라 폐기물의 흐름이나 흩트림 정도를 제어하기 위해서, 접촉플레이트(423)에는 하나 이상의 추(50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촉플레이트(423)의 두 개의 측면(425)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추(5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추(500)를 지지하기 위해서, 접촉플레이트(423)는 두 개의 측면(425)의 하단을 연결하는 지지면(427)을 포함할 수 있고, 접촉플레이트(423)의 지지면(427)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체결돌기(429)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추(500)에는 체결돌기(429)에 대응하는 체결홀(510)이 형성되어, 체결돌기(429)에 체결홀(510)이 결합됨으로써, 추(500)는 접촉플레이트(423)의 지지면(427)의 상측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421)는 접촉플레이트(423)의 두 개의 측면(425) 사이에서 체결돌기(429) 방향(두 개의 측면(425) 사이의 공간 방향)으로 돌출되는데, 추(500)에는 일측에 연결부재(421)에 대응하는 가이드홈(520)이 형성되어, 연결부재(421)가 추(500)의 가이드홈(52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추(500)의 체결홀(510)에는 체결돌기(429)가 결합되고, 추(500)의 가이드홈(520)에는 연결부재(421)가 결합되므로, 추(500)는 접촉플레이트(423)의 지지면(427) 상측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411)는 폐기물이 이동하는 일방향을 따라 다수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인접한 2개의 지지플레이트(411) 중 하나의 지지플레이트(411)에는 제1 위치(A)에 접촉플레이트(423)가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지지플레이트(411)에는 제1 위치(A)와 상이한 제2 위치(B)에 접촉플레이트(423)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한 2개의 지지플레이트(411) 중 하나의 지지플레이트(411)에는 중앙(제1 위치(A))에 접촉플레이트(423)가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지지플레이트(411)에는 중앙을 제외한 양측(제2 위치(B))에 접촉플레이트(423)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인접한 2개의 지지플레이트(411)에는 각각 다른 위치에 접촉플레이트(423)가 배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접촉플레이트(423)는 중첩되지 않으면서,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폐기물을 흩트리거나 뒤집어줄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00)에 고정되어 다수의 샤프트(210)의 상측을 커버하는 커버부재(8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재(800)로 샤프트(210)에서 선별되는 폐기물을 가림으로써, 폐기물 선별장치의 혐오적인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800)에는 흩트림수단(400, 지지플레이트(411))이 고정될 수 있다. 즉, 흩트림수단(400, 지지플레이트(411))은 커버부재(800)에 고정되어, 다수의 샤프트(210)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커버부재(800)에는 레일식 도어(810)가 구비되어, 필요시 커버부재(80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 130: 제1 컨베이어 벨트
150: 제2 컨베이어 벨트 200: 선별수단
210: 샤프트 220: 베어링
230: 스프라켓 240: 구동원
300: 프레임 310: 개구부
320: 인버터 330: 전력원
400: 흩트림수단 410: 지지부
411: 지지플레이트 413: 연결구
414: 제2 고정홀 415: 높낮이조절부재
416: 부싱 417: 제1 고정홀
419: 고정수단 420: 접촉부
421: 연결부재 423: 접촉플레이트
425: 측면 427: 지지면
429: 체결돌기 500: 추
510: 체결홀 520: 가이드홈
600: 지지체 700: 경사조절수단
710: 힌지부 720: 유압작키
730: 고정부 800: 커버부재
810: 레일식 도어 900: 스크레이퍼
910: 와이어 920: 스프링
W: 폐기물 W1: 가연물
W2: 불연물 E: 토사
X: 두 개의 샤프트 사이의 공간 S: 실제 선별구간
D: 샤프트의 길이 A: 제1 위치
B: 제2 위치

Claims (16)

  1. 나란하게 배치되어 회전하는 다수의 샤프트를 포함하고, 다수의 상기 샤프트의 상측에서 폐기물이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폐기물 중 토사가 인접한 두 개의 상기 샤프트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되는 선별수단;
    다수의 상기 샤프트의 양단을 지지하는 프레임; 및
    다수의 상기 샤프트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폐기물을 흩트리는 흩트림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흩트림수단은,
    다수의 상기 샤프트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폐기물과 접촉하는 접촉부;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평판형으로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및
    다수의 상기 샤프트까지의 거리가 조절되도록,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결합된 높낮이조절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높낮이조절부재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의 하단에 결합되고, 평면도를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일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두 개의 측면이 상기 일방향에 대해서 경사지게 형성된 접촉플레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일방향을 따라 다수가 나란히 배치되고,
    인접한 2개의 상기 지지플레이트 중 하나의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제1 위치에 상기 접촉플레이트가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 위치와 상이한 제2 위치에 상기 접촉플레이트가 배치되는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플레이트의 두 개의 측면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추가 결합되고,
    상기 접촉플레이트는 두 개의 측면 사이의 하단을 연결하는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체결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추에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돌기에 상기 체결홀이 결합되는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접촉플레이트의 두 개의 측면 사이에서 상기 체결돌기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추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가이드홈에 결합되는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에는 상기 높낮이조절부재가 삽입되는 연결구가 형성되고,
    상기 높낮이조절부재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1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에 측면에는 제2 고정홀이 형성되며,
    다수의 상기 제1 고정홀 중 하나의 상기 제1 고정홀과 상기 제2 고정홀에는 고정수단이 결합되는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2개 이상이 구비되고,
    2개 이상의 상기 프레임 중 하나의 상기 프레임의 말단 하측에 2개 이상의 상기 프레임 중 다른 하나의 상기 프레임이 배치되어,
    2개 이상의 상기 프레임 중 하나의 상기 프레임에 지지된 다수의 상기 샤프트에서 이동한 상기 폐기물은 낙하한 후, 2개 이상의 상기 프레임 중 다른 하나의 상기 프레임에 지지된 다수의 상기 샤프트에 전달되는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2개 이상이 구비되고,
    2개 이상의 상기 프레임 중 하나의 상기 프레임에 지지된 다수의 상기 샤프트 사이의 간격은 2개 이상의 상기 프레임 중 다른 하나의 상기 프레임에 지지된 다수의 상기 샤프트 사이의 간격과 상이한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2개 이상이 구비되고,
    2개 이상의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구비되어, 2개 이상의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체; 및
    2개 이상의 상기 프레임과 상기 지지체를 연결하여, 2개 이상의 상기 프레임의 지면에 대한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조절수단;
    를 더 포함하는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상기 프레임 중 하나의 상기 프레임의 지면에 대한 경사는 다른 하나의 상기 프레임의 지면에 대한 경사와 상이한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과 상기 지지체의 일측을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
    상기 프레임의 타측과 상기 지지체의 타측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유압작키; 및
    상기 프레임의 타측과 상기 지지체의 타측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체에 대해서 상기 프레임을 고정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2개 이상이 구비되고,
    2개 이상의 상기 프레임 중 하나의 상기 프레임에 지지된 다수의 상기 샤프트의 회전속도는 2개 이상의 상기 프레임 중 다른 하나의 상기 프레임에 지지된 다수의 상기 샤프트의 회전속도와 상이한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샤프트의 상측을 커버하는 커버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흩트림수단은 상기 커버부재에 고정되는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의 하측에 접촉하고, 양단이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는 스크레이퍼;
    를 더 포함하는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스크레이퍼는,
    상기 샤프트의 하측에 접촉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말단과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
KR1020170008704A 2017-01-18 2017-01-18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 KR101788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704A KR101788290B1 (ko) 2017-01-18 2017-01-18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8704A KR101788290B1 (ko) 2017-01-18 2017-01-18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8290B1 true KR101788290B1 (ko) 2017-10-20

Family

ID=60299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704A KR101788290B1 (ko) 2017-01-18 2017-01-18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82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614B1 (ko) * 2006-10-17 2007-06-28 인선지에스 주식회사 순환골재의 금속 이물 제거장치
KR101667664B1 (ko) * 2016-05-19 2016-10-20 (주)동양환경 토사내 이물질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614B1 (ko) * 2006-10-17 2007-06-28 인선지에스 주식회사 순환골재의 금속 이물 제거장치
KR101667664B1 (ko) * 2016-05-19 2016-10-20 (주)동양환경 토사내 이물질 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3891B1 (ko) 요동식 분산수단이 포함된 비위생 매립폐기물 선별장치
DK1027500T3 (da) Vejbelægningssten, sæt af vejbelægningssten og apparat til fremstilling af samme
KR101788288B1 (ko)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
KR20140070953A (ko) 토사선별장치의 망막힘 방지장치
KR101474357B1 (ko) 트롬멜 스크린 및 이를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 시스템
KR101788290B1 (ko) 샤프트형 폐기물 선별장치
EP3919180A2 (en) Material washing apparatus
KR101865529B1 (ko) 스크린 막힘이 방지되는 폐기물 토사 선별장치
KR100374162B1 (ko) 매립쓰레기 선별장치
KR20080114459A (ko) 골재 분류 장치
KR100517356B1 (ko) 매립폐기물 선별장치
GB1565280A (en) Railroad ballast cleaner
KR102443540B1 (ko)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
CN212663849U (zh) 一种建筑垃圾的破碎分选处理系统
KR101667696B1 (ko) 식생기반 물리성 개량장비
KR100514605B1 (ko) 건설폐기물 및 매립폐기물용 토사 선별장치
KR101304471B1 (ko) 기계식 가연물 선별장치용 높낮이 조절장치
KR200403559Y1 (ko) 재생골재용 표면박리 장치의 교반장치
KR100359956B1 (ko) 폐 콘크리트의 골재재생장치 및 재생골재를 사용하여투수성콘크리트를 포장하는 방법
KR100500799B1 (ko) 재생골재용 표면박리장치
KR102437557B1 (ko) 재생골재 이물질 선별장치
KR20030081874A (ko)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 컨베이어 장치
KR101550207B1 (ko) 토사내 이물질 분리장치
RU2335684C1 (ru) Способ засыпки трубопровод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0284249Y1 (ko)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 컨베이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