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540B1 -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및 그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및 그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540B1
KR101787540B1 KR1020160116307A KR20160116307A KR101787540B1 KR 101787540 B1 KR101787540 B1 KR 101787540B1 KR 1020160116307 A KR1020160116307 A KR 1020160116307A KR 20160116307 A KR20160116307 A KR 20160116307A KR 101787540 B1 KR101787540 B1 KR 101787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control
wick
candle
au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국현
Original Assignee
삼영기계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영기계 (주) filed Critical 삼영기계 (주)
Priority to KR1020160116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540B1/ko
Priority to PCT/KR2016/013603 priority patent/WO2018048024A1/ko
Priority to US15/699,924 priority patent/US1162404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6Candles wicks, related accesso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CFATTY ACIDS FROM FATS, OILS OR WAXES; CANDLES; FATS, OILS OR FATTY ACIDS BY CHEMICAL MODIFICATION OF FATS, OILS, OR FATTY ACIDS OBTAINED THEREFROM
    • C11C5/00Candles
    • C11C5/008Cand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osite candles, e.g. candles containing zones of different composition, inclusion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1/00Devices for effecting ignition from a remote lo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25/00Extinguishing-devices, e.g. for blowing-out or snuffing candle fl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3/00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sparks
    • F23Q3/006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및 그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점화 후 연소가 이루어지며, 전도성 소재를 함유하는 심지를 포함하는 심지부, 사용자의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심지부의 점화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심지부가 점화되도록 상기 심지에 방전을 일으키는 점화수단을 포함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및 그 제어 시스템 {Remote controllable auto-ignition candle and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및 그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기적 조명과 같은 인공 광원과 달리 양초(candle)는 천연 광원으로서 따뜻함과 특별한 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고, 탈취 및 방향 등의 부가적 장점 때문에 그 사용량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이다. 양초는 파라핀, 밀랍 등과 가연성 고체를 성형하고, 중심에 심지(wick)가 삽입된 등화용 연료이다. 심지에 불을 붙이면 양초가 녹고, 모세관 현상에 의해 심지를 따라 상부로 올라가 심지의 끝부분에서 기화 및 연소가 이루어져 불꽃이 불타오른다. 양초의 겉불꽃의 연소 온도는 1400℃ 이상이고, 가장 밝은 속불꽃의 온도는 1200℃ 이상이며, 불꽃심의 온도는 400℃ 내지 900℃이다.
양초는 심지에 불을 붙이기 위해, 성냥, 라이터 등의 별도의 점화기구가 반드시 요구된다. 이는 양초 사용 시의 불편함을 발생시킬 뿐 만 아니라, 별도의 점화기구가 없는 경우, 양초 사용 자체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점화기구를 이용한 양초의 점화 시, 화상 등의 외상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양초를 원격제어를 통해서 자동점화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용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부주의로 인해 양초를 점화시킨 상태로 외출을 하더라도, 원격제어를 통해서 자동소화 또한 가능하여, 양초 사용의 단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148966호에는 양초심지가 수직으로 배향되어 플러스 형상 구조를 갖는 양초심지를 제공하고 있으나, 플러스 형상 구조를 통해 양초심지를 직립 방식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 종래와 마찬가지로 별도의 점화기구의 도움으로 점화가 가능한 양초를 제공할 뿐이다.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148966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및 그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는, 점화 후 연소가 이루어지며, 전도성 소재를 함유하는 심지를 포함하는 심지부, 사용자의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심지부의 점화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심지부가 점화되도록 상기 심지에 방전을 일으키는 점화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심지부는 서로 이격된 둘 이상의 상기 심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심지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심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점화수단은 상기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점화수단은, 아크 방전, 불꽃 방전, 코로나 방전 또는 글로우 방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전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두 개 이상의 심지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심지의 개수가 짝수인 경우,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에 연결된 심지끼리 서로 인접하게 대향하도록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심지의 개수가 홀수인 경우,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에 연결된 심지끼리 서로 인접하게 대향하도록 위치시키며, 쌍이 없는 하나의 심지는 전극에 연결되지 않고 전극이 연결된 한 쌍의 심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심지의 개수가 홀수인 경우, 하나의 심지에는 공통 전극이 연결되고, 상기 하나의 심지가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심지에는 상기 공통 전극과 다른 극성의 전극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자동점화 양초는, 상기 심지부의 온도 또는 빛을 감지하거나, 양초 주변의 가스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온도 또는 빛의 정보에 따라 상기 심지부의 점화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가스 농도에 따라 감지된 가스 농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경고 메세지를 상기 단말기로 통지하거나 알람으로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어부, 점화수단 및 제1 통신부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전원부는 외부에서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배터리가 충전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2차 전지인 경우, 상기 배터리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제어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자동점화 양초 및 상기 자동점화 양초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하는 상기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동점화 양초의 점화 제어를 위한 제어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제어정보를 상기 자동점화 양초로 송신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자동점화 양초의 점화 온 또는 오프 제어, 밝기 제어, 점화시간 제어, 심지부의 점화 패턴 제어, 또는 자동점화 양초의 선택 제어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자동점화 양초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점화 온 제어에 관한 제어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자동점화 양초의 제어부는, 상기 점화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심지의 점화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심지부는 서로 이격된 셋 이상의 상기 심지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점화 양초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밝기 제어에 관한 제어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자동점화 양초의 제어부는, 상기 점화수단을 제어하여 점화가 이루어지는 상기 심지의 개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심지부는 서로 이격된 셋 이상의 상기 심지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점화 양초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심지부의 점화 패턴 제어에 관한 제어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자동점화 양초의 제어부는, 상기 점화수단을 제어하여 점화되는, 상기 심지부의 심지의 패턴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되는 상기 자동점화 양초는 복수 개이고, 상기 복수 개의 자동점화 양초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자동점화 양초의 선택 제어에 관한 제어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자동점화 양초의 선택 제어에 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동점화 양초는, 점화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점화 온 또는 오프 제어, 밝기 제어, 점화시간 제어 및 심지부의 점화 패턴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입력부는, 상기 단말기에 기저장된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문자를 기초로 상기 자동점화 양초의 점화 제어를 위한 상기 제어정보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단말기에 기설치된 상기 자동점화 양초의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하나 이상의 자동점화 양초 각각의 심지부의 심지가 배치된 형태에 대응하는 패턴을 디스플레이하여 제공하고, 상기 심지부의 점화 패턴 제어는, 상기 패턴에서 점화하고자 하는 심지의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동점화 양초의 점화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상태 요청정보를 더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상태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자동점화 양초는 심지의 점화상태에 관한 상태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자동점화 양초는, 점화된 심지를 소화시키기 위한 소화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자동점화 양초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점화 오프 제어에 관한 제어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자동점화 양초의 제어부는, 상기 소화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심지의 소화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자동점화 양초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점화시간 제어에 관한 제어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자동점화 양초의 제어부는, 상기 점화수단 및 소화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심지의 점화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단말기는, 상기 자동점화 양초와 와이파이,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지그비(ZigBee), 지웨이브(Z-wave), 비접촉 근거리 통신, 모바일 네트워크, 저전력 장거리 통신(Low Power Wide Area, LPWA) 또는 랜(LA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비접촉 근거리 통신은,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또는 NFC(Near-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는, 3G, LTE, LTE-M 또는 NB-IoT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LPWA는, LoRa, SigFox, Weightless, Ingenu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단말기는, 리모컨,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노트북, 또는 개인용 컴퓨터(PC)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자동점화 양초의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가 상기 단말기와 통신하여 접속이 개시되는 순간 상기 점화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심지를 점화하고, 상기 단말기와 접속이 해제되는 순간 상기 소화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심지를 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및 그 제어 시스템은 방전에 의한 자동점화가 가능한 양초를 원격제어함으로써,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별도의 점화기구 또는 소화기구 없이도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점화 또는 소화하는 과정에서, 화상 등의 위험으로부터 자유로운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에 포함되는 심지부의 실시예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의 예시 사진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의 제어 시스템에 포함되는 단말기를 이용한 제어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및 그 제어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더불어, 시스템은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조직화되고 규칙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장치, 기구 및 수단 등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의 제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100) 및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하는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와 단말기(200)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지그비(ZigBee), 지웨이브(Z-wave), 비접촉 근거리 통신, 모바일 네트워크, 저전력 장거리 통신(LPWA, Low Power Wide Area) 또는 LAN(Local Area Network) 죽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하면서, 제어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접촉 근거리 통신은 RFID(Radio-Frequency IDdentification) 또는 NFC(Near-Field Communication)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로는 3G, LTE, LTE-M 또는 NB-IoT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더불어, 저전력 장거리 통신은 LoRA, SigFox, Weightless, Ingenu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100)에 대해서 먼저 상세히 알아보자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100)의 예시 사진이다.
상기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100)는 심지부(10), 제1 통신부(20), 제어부(30) 및 점화수단(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심지부(10)는 점화 후 연소가 이루어지며, 전도성 소재를 함유하는 심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심지는 방전에 의해 발화가 일어나 직접 점화되고 연소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심지부(10)는 서로 이격된 둘 이상의 상기 심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심지부(10)는 전도성 소재를 함유함으로써 전도성을 가지는 심지를 포함한다. 이 때, 심지가 연소되는 방향을 심지의 길이방향이라 할 때, 심지는 전도성 소재에 의해 적어도 길이 방향으로의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하면, 심지는 전도성 소재를 함유함으로써, 적어도 심지의 길이 방향으로의 양 단간 전류이동경로가 형성된 전도성 심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심지부(10)의 전도성 소재를 함유하는 심지는 심지에 인가되는 전압이 심지의 길이 방향으로 전달되어, 심지의 길이 방향의 일 단에서 방전이 발생할 수 있을 정도의 전기전도도를 가지면 무방하다. 이에 따라, 이러한 방전이 발생할 수 있는 전기전도성을 갖는 심지를 전도성 심지로 규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심지부(100)는 전도성 소재에 의해 전도성을 갖는 심지를 포함하며, 심지에 인가되는 전기적 자극(전압 등)에 의해 심지의 길이방향 일단에서 발생하는 방전에 의해 점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점화기구가 불필요하여, 사용자가 심지에 직접 점화시킬 필요가 없어 매우 안전하고, 단지 사용자가 전기적 자극의 인가 여부만을 제어함으로써, 양초의 점화가 가능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상기 전도성 소재는 전도성 탄소소재, 전도성 고분자 및 금속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한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전도성 탄소소재는 탄소섬유, 활성탄소, 탄소나노튜브, 흑연, 카본블랙, 그래핀, 환원그래핀옥사이드 및 탄소복합재료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한에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탄소섬유(carbon fiber)는 레이온계 탄소섬유, 팬(PAN)계 탄소섬유 및 피치(Pitch)계 탄소섬유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불어, 탄소복합재료는 기존 탄소섬유의 기계적 강도를 높인 소재를 의미할 수 있다.(일 예로, 탄소복합재료는 탄소섬류를 패놀릭 수지에 함침하고 탄화하여 1000 내지 2500 ℃의 고온에서 흑연화시켜 강도를 높인 탄소(C)-탄소(C) 복합재료 등 일 수 있다.
또한, 전도성 고분자는 전자 또는 정공의 이동가능한 고분자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첵적인 예를 들자면,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아세틸렌(polyacethylene)계, 폴리아닐린(Polyaniline)계, 폴리피롤(Polypyrrole)계 및 폴리티오펜(Polythiophene)계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전도성 고분자는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PA), 폴리아닐린(polyaniline, PANI), 폴리피롤(polypyrrolek PPy), 폴리티오펜(polythiophen, PT),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 폴리이소티아나프텐(polyisothianaphthene, PITN), 폴리페닐렌 비닐렌(polyphenylene vinylene, PPV), 폴리페닐렌(polyphenylene, PP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및 폴리설퍼니트리드(polysulfur nitride, PSN)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더불어, 금속은 그 자체로 매우 좋은 도체임에 따라, 특별히 한정하지 않고 모든 금속이 사용 가능하나, 좋게는 융용온도(Tm)가 150 내지 500 ℃인 금속일 수 있다. 금속은 연소 시 휘발된 금속 증기가 인체에 무해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금속은 불꽃 온도 내에서 기화될 수 있으며, 연소 시 안전할 수 있는 아연 또는 주석인 것이 좋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도성 소재는 전도성 탄소소재, 전도성 고분자, 금속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거나, 서로 상이한 전도성 소재가 복합화된 복합체일 수 있다.
이러한 복합체는 제1전도성 소재 및 제2전도성 소재가 단순 혼합된 구조; 제1전도성 소재의 코어를 감싸는 제2전도성 소재의 쉘을 포함하는 코어쉘 구조; 제1전도성 소재의 매트릭스에 제2전도성 소재가 담지(load or embedded)된 구조; 0차원(입자등), 1차원(와이어등) 내지 2차원(필름등) 구조의 제1전도성 소재에 제2전도성 소재가 코팅되거나 담지된 구조; 또는 제1전도성 소재와 제2전도성 소재 각각이 층을 이루며 적층된 적층 구조(입자상의 적층체 포함함);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도성 소재는 탄소 소재 및/또는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탄소소재와 금속의 경우 우수한 도전체이면서도, 연소시 기화되어 재를 남기지 않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나아가, 전도성 소재가 전도성 탄소소재인 경우 심지의 연소시 탄소소재가 모두 이산화탄소로 직접 기화됨에 따라, 그을음 및 재의 발생을 현저하게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유리하다.
이러한 상기 심지부(10)의 심지는 전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심지는 전도성 소재를 함유하는 전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심지는 전도성 부재에 의해 심지의 길이 방향으로의 전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도성 부재의 물리적 크기 및 형상은 설계된 양초의 형상이나 크기를 고려하고, 심미적으로 우수한 형태의 불꽃이 형성되며, 방전에 유리하도록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거시적으로, 전도성 부재는 판형, 스트립(strip)형, 납작한 평판 스트립형, 와이어(wire)형, 바(bar) 형 또는 속 빈 기둥 형태 등 일 수 있고, 바형의 단면(길이방향에 수직인 단면)은 원, 타원 또는 삼각 내지 팔각의 다각형일 수 있으며, 속 빈 기둥 형태의 단면은 원형 루프, 타원형 루프, 삼각 내지 팔각의 다각 루프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납작한 평판 스트립형과 같이 편평한 일면을 가질 때, 방전이 일어날 수 있는 대항 면적이 넓어 보다 유리하다.
또한, 상기 심지부(10)의 심지는 전도성 부재에 결합된 비전도성 부재(절연성 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비전도성 부재는 가연성 비전도성 부재일 수 있으며, 전도성 부재와 결합되어 전도성 부재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체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전도성 부재에서 연료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열전달 장벽의 역할 또한 수행할 수 있다.
비전도성 부재는 전도성 부재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도성 부재와 독립적으로 판형, 스트립형, 납작한 평판 스트립형, 와이어형, 바 형 또는 속 빈 기둥형태 등일 수 있고, 바형의 단면(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은 원, 타원 또는 삼각 내지 팔각의 다각형일 수 있으며, 속 빈 기둥 형태의 단면은 원형 루프, 타원형 루프, 삼각 내지 팔각의 다각 루프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비전도성 부재는 결합된 전도성 부재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 내지 전도성 부재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전도성 부재는 가연성이며, 연소시 인체에 유독한 물질이 생성되지 않은 물질이면 사용 가능하다.
상기 제1 통신부(20)는 사용자의 단말기(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함으로써, 상기 단말기(200)를 통해서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의 점화 또는 소화 관련 제어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제1 통신부(20)를 통해 전달받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심지부(10)의 점화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신호란, 외부에 위치하고 있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20)의 입력(조작)을 통해서 제어하고자 하는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의 점화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제어신호에 대해서는 추후에 상세히 서술하도록 한다.
상기 점화수단(40)은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심지부(10)가 점화되도록 심지에 방전전압을 인가하여 방전을 일으키는 수단을 의미하며, 아크 방전, 불꽃 방전, 코로나 방전 또는 글로우 방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전을 일으켜 상기 심지부(10)를 점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점화수단(40)을 통해서 일어난 방전을 통해서 상기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심지부(10)에 자동 점화가 일어나게 된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가 양초의 심지에 직접 점화시킬 필요가 없어 매우 안전하고, 사용자는 단지 상기 단말기(200)의 조작을 통해서 전기적 자극의 인가 여부를 제어하는 것만으로 양초의 점화(ignition)가 가능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의 제어 시스템은 아크 방전을 통한 자동점화 양초의 제어가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하 '아크 방전'을 통한 자동점화를 기준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아크 방전(arc discharge)이란, 양전극과 음전극을 연결하여 순간적으로 고주파 고전압을 인가할 경우, 두 전극 사이에 방전이 일어나게 되어 플라즈마 불꽃이 생성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점화 양초(100)는 상기 점화수단(40)에서 아크 방전을 통해서 생성된 플라즈마 불꽃을 이용하여, 상기 심지부(10)의 심지에 불꽃을 일으키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는 상기 심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심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의 심지부(10)를 구성하는 두 개 이상의 심지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면대면으로 서로 대향하는 경우, 방전이 일어날 수 있는 면적을 넓혀서 아크방전의 확률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아크방전에 의해 점화된 불꽃이 두 개 이상의 심지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불꽃의 크기가 알맞게 커질 수 있다.
도 2,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심지부(10)를 구성하는 심지(1)의 개수가 짝수인 경우,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에 연결된 전극끼리 서로 인접하게 대향하도록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서로 대향하는 심지의 상단에서 아크방전이 발생하여 점화될 수 있으며, 도 2는 두 개의 심지(1a, 1b)가 구성되어,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이 연결되어, 두 개의 심지(1a, 1b)가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 및 도 5와 같이, 네 개의 심지(1a, 1b, 1d, 1e)가 구성될 경우, 점화수단 회로를 2개로 구성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심지끼리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이 연결되도록 하여, 각 쌍의 심지마다 각각 아크방전이 발생하여 점화될 수 있도록 하거나,
1개의 점화수단 회로에 스위치를 결합하여 각 쌍의 심지에 시간차를 두어 방전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타이밍 제어를 통해 각 쌍의 심지마다 각각 독립적으로 아크방전이 발생하여 점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점화수단으로 각 쌍의 심지에 방전전압을 인가하는 회로는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 4 및 도 5에서는 심지부가 네 개의 심지(1a, 1b, 1d, 1e)로 구성될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심지의 개수가 짝수 개라면 위와 같은 방식으로 점화수단 회로를 제어하여 심지를 점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3,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심지부(10)를 구성하는 심지(1)의 개수가 홀수인 경우,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에 연결된 심지끼리 서로 인접하게 대향하도록 위치시키며, 쌍이 없는 하나의 심지(1)는 전극에 연결되지 않고 전극이 연결된 한 쌍의 심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에 연결된 심지끼리 쌍을 이루어 서로 인접하게 대양하도록 위치시켜, 서로 대향하는 심지의 상단에서 아크방전이 발생하여 점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쌍이 없는 하나의 심지는 전극에 연결하지 않으며 전극이 연결된 한 쌍의 심지 사이에 위치시켜 직접적인 아크 방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전극에 연결하지 않은 쌍이 없는 하나의 심지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에 연결된 한 쌍의 심지 사이에 위치시켜, 간접적인 아크 방전을 통해 점화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양초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전극에 연결하지 않은 쌍이 없는 하나의 심지가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에 연결된 한 쌍의 심지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에 연결된 한 쌍의 심지 간의 방전이 발생하는 것의 중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에 연결된 한 쌍의 심지 간격을 넓힐 수 있어, 불꽃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세하게는, 도 3과 같이, 세 개의 심지(1a, 1b, 1c)가 구성될 경우,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심지끼리(1a, 1b)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이 연결되어 서로 대향하는 심지의 상단에서 아크방전이 발생하여 점화되도록 하며, 쌍이 없는 하나의 심지(1c)는 전극에 연결하지 않아 직접적인 아크방전이 아닌, 간접적인 아크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쌍이 없는 하나의 심지(1c)를 통해서 아크방전의 중개가 이루어져 서로 대향하는 심지(1a, 1b)의 간격을 넓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 및 도 7과 같이, 다섯 개의 심지(1a, 1b, 1c, 1d, 1e)가 구성될 경우,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심지끼리(1a, 1b), (1d, 1e)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이 연결되어 서로 대향하는 심지의 상단에서 아크 방전이 발생하여 점화되도록 하며, 쌍이 없는 하나의 심지(1c)는 전극에 연결하지 않아 직접적인 아크방전이 아닌 간접적인 아크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전극에 연결하지 않은 쌍이 없는 하나의 심지(1c)가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에 연결된 쌍의 심지 사이(1a, 1b), (1d, 1e)에 위치함으로써,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에 연결된 쌍의 심지 간(1a, 1b), (1d, 1e)의 방전이 발생하는 것의 중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에 연결된 쌍의 심지 간격을 넓힐 수 있어, 불꽃의 크기를 크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쌍을 이루고 있는 네 개의 심지(1a, 1b, 1d, 1e)는 점화수단 회로를 2개로 구성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심지끼리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이 연결되도록 하여, 각 쌍의 심지마다 각각 독립적으로 아크방전이 발생하여 점화될 수 있도록 하거나,
1개의 점화수단 회로에 스위치를 결합하여 각 쌍의 심지에 시간차를 두어 방전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타이밍 제어를 통해 각 쌍의 심지마다 각각 아크방전이 발생하여 점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점화수단으로 각 쌍의 심지에 방전전압을 인가하는 회로는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 6 및 도 7에서는 심지부가 네 개의 심지(1a, 1b, 1d, 1e)와 전극에 연결하지 않은 하나의 심지(1c)로 구성될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심지의 개수가 홀수 개라면 위와 같은 방식으로 점화수단 회로를 제어하여 심지를 점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다른 예를 들자면, 도 8과 같이, 상기 심지부(10)를 구성하는 심지(1)의 개수가 홀수인 경우, 하나의 심지(1)에는 공통 전극이 연결되고, 상기 하나의 심지(1)가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심지에는 상기 공통 전극과 다른 극성의 전극이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좀 더 상세하게 알아보자면, 도 9와 같이, 상기 심지부(10)를 구성하는 심지(1)의 개수가 홀수인 경우, 도 9의 a와 같이, 쌍이 없는 하나의 심지(1c)에는 전극이 연결되지 않거나, 도 9의 b, c, d와 같이 쌍이 없는 하나의 심지(1c)에는 공통 전극이 연결될 수 있다.
도 9의 a와 같이, 쌍이 없는 하나의 심지(1c)에 전극이 연결되지 않을 경우, 전극에 연결된 다른 한 쌍의 심지(1a, 1b) 간의 아크방전을 통해서 점화가 발생하면서 쌍이 없는 하나의 심지(1c)를 매개로 간접적인 아크방전을 일으킬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전극에 연결된 다른 한 쌍의 심지(1a, 1b) 간의 간격을 매개를 기준으로 아크방전이 일어날 수 있을 만큼 넓힐 수 있어, 그 만큼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의 불꽃 크기가 크게 되어 밝기가 상대적으로 높게 된다.
또다른 경우, 도 9의 b, c, d와 같이, 쌍이 없는 하나의 심지(1c)에 공통 전극이 연결되고, 다른 두 개의 심지(1a, 1b)에는 공통 전극과 다른 극성의 전극이 연결될 경우, 상기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점화수단(40)의 동작이 제어되어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의 불꽃 위치, 개수, 형태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점화수단(40)의 동작의 제어에 따라, 방전이 공통 전극과 연결된 심지(1c)와 다른 극성의 전극에 연결된 심지(1a 또는 1b)에 발생되어 방전이 발생하여 점화가 일어나거나, 공통 전극과 연결된 심지(1c)와 다른 두 개의 심지(1a, 1b) 각각에 아크가 발생하여 점화가 일어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 9의 b, c,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의 불꽃의 위치, 개수, 형태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심지가 3개이고 그 중 하나가 공통 전극에 연결되는 경우에 있어서 적용할 수 있는 회로 구성을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통 전극과 연결된 심지(1c)에 대하여 다른 두 개의 심지(1a, 1b) 각각에 방전전압을 제공하는 2개의 점화수단 회로를 구성할 수 있고, 이 경우, 2개의 점화수단 회로의 전극 중 동일한 극성의 전극 하나씩을 선택하여 공통 전극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공통 전극을 쌍이 없는 하나의 심지에 연결하고, 2개의 점화수단 회로의 전극 중 공통 전극으로 설정하지 않은 전극을 각각 다른 두 개의 심지에 연결하여, 2개의 점화수단 회로를 통해 방전전압 인가를 각각 제어할 수 있어, 방전이 일어나는 심지의 위치, 개수,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1개의 점화수단 회로에 스위치를 결합하여, 1개의 점화수단 회로 중 선택된 전극 하나를 공통 전극으로 설정하여 쌍이 없는 하나의 심지에 연결하고, 공통 전극으로 설정하지 않은 전극은 스위치를 제어하여 각각 다른 두 개의 심지에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두 개의 심지에 연결되는 전극은 스위치를 통해서 방전전압이 인가되는 심지를 선택함으로써, 방전이 일어나는 심지의 위치, 개수, 형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서는 심지부가 두 개의 심지(1a, 1b)와 공통 전극에 연결되는 하나의 심지(1c)로 구성될 경우에 대하여 심지에 방전전압을 인가하는 회로 구성을 예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심지의 개수가 홀수 개이고 그 중 하나의 심지가 공통 전극에 연결되는 경우라면 위와 같은 방식으로 점화수단 회로를 구성하여 심지를 점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대향"이란 두 개의 이상의 심지가 반드시 서로 마주보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심지의 절단면이 방향성을 가지더라도, 절단면의 방향이 동일 방향으로 마주보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심지가 서로 방전이 일어날 수 있다면, 심지의 절단면 방향이 서로 상이하더라도 인접하여 위치하는 경우에는 대향을 의미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점화 양초(100)는 센서부(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센서부(50)는 상기 심지부(10)의 온도 또는 빛을 감지하거나, 양초 주변의 가스 농도를 감지할 수 있어, 이를 통해서,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의 점화 상태, 즉, 상기 심지부(10)의 점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센서부(50)에서 감지한 온도 또는 빛의 정도에 따라 상기 심지부(10)의 점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부(50)에서 감지한 양초 주변의 가스 농도에 따라, 감지된 가스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인 경우, 경고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200)로 통지하거나, 알람으로 경고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50)는 온도를 감지하는 열전대, 금속 측온체, 서미스터, IC온도센서, 자기 온도 센서, 서모 파일 및 초전형 온도 센서 등에서 선택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한에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빛을 감지하는 자외선 센서, 적외선 센서 및 가시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한에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센서부(50)는 양초를 감싸는 케이스 상단에 위치하거나, 심지 하단의 전극 또는 케이스에 부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점화 양초(100)는 상기 제어부(30), 점화수단(40) 및 제1 통신부(20)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60)는 외부에서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어부(30), 점화수단(40) 및 제1 통신부(40)로 동작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또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동작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이 때, 배터리가 충전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2차 전지인 경우, 상기 배터리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충전되어 상기 제어부(30), 점화수단(40) 및 제1 통신부(40)로 동작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하는 상기 단말기(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210) 및 제2 통신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는 리모컨,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노트북 또는 개인용 컴퓨터(PC)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의 점화 제어를 위한 제어정보(제어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200)에 미리 저장된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문자를 기초로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의 점화 제어를 위한 제어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대화형 인터페이스란, 상용되고 있는 대화형 인터페이스 'chatbot' 등을 의미하며, 외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문자를 바탕으로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의 점화 제어를 위한 제어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의 입력부(210)를 통해서, 미리 저장된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실행시켜,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의 점화 제어를 위한 제어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자면,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첫 번째와 세 번째 양초를 켜라'라고 입력할 경우, 상기 단말기(200)의 입력부(210)는 외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문자를 토대로 '첫 번째 양초의 점화 온 제어 정보'와 '세 번째 양초의 점화 온 제어 정보'를 도출하여,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로 전달하여, 실제 점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부(220)는 상기 입력부(210)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제어정보를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로 송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 통신부(220)는 상기 입력부(210)에서 입력받은 제어정보를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의 제1 통신부(20)로 전달하고, 상기 제1통신부(20)는 상기 제어부(30)로 제어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심지부(10)의 점화상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정보로는,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의 점화 온 또는 오프 제어, 밝기 제어, 점화시간 제어, 심지부(10)의 점화 패턴 제어, 또는 자동점화 양초(100)의 선택 제어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자면,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가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점화 온 제어에 관한 제어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즉,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부(210)를 통해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의 점화 온 제어에 관한 제어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의 제어부(30)는 상기 점화수단(40)을 제어하여 상기 심지부(10)의 심지의 점화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점화수단(40)의 방전을 제어하여, 상기 심지부(10)의 심지의 점화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자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가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밝기 제어에 관한 제어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즉,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부(210)를 통해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의 밝기 제어에 관한 제어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의 제어부(30)는 상기 점화수단(40)을 제어하여 점화가 이루어지는 상기 심지의 개수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단위 불꽃 하나당 두 개의 심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의 밝기 제어를 위해선, 상기 심지부(10)는 서로 이격된 세 개 이상의 심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세 개 이상의 심지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점화되는 심지의 개수를 제어하여 밝기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의 제어부(30)는 전송받은 밝기 제어에 관한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점화수단(40)의 방전을 제어하여 상기 심지부(10)의 심지 점화 개수를 제어하여 양초의 밝기 정보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 때, 점화되는 심지 개수는 전체 심지 개수에 따라 미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자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가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심지부(10)의 점화 패턴 제어에 관한 제어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즉,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부(210)를 통해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의 점화 패턴 제어에 관한 제어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의 제어부(30)는 상기 점화수단(40)을 제어하여 점화되는 상기 심지부(10)의 심지의 패턴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단위 불꽃 하나당 두 개의 심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의 밝기 제어를 위해선, 상기 심지부(10)는 서로 이격된 세 개 이상의 심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두 개 이상의 심지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전극의 연결을 통해서 심지의 점화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의 제어부(30)는 전송받은 점화 패턴 제어에 관한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점화수단(40)의 방전을 제어하여 상기 심지부(10)의 점화 상태를 제어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점화되는 심지(1)의 위치까지 에어할 수 있다. 이 때, 점화되는 심지 위치는 전체 심지 개수와 심지가 놓여있는 형태에 따라 미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들자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가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자동점화 양초(100)의 선택 제어에 관한 제어정보를 수신받은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단말기(200)에 의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되는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를 복수 개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복수 개의 자동점화 양초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자동점화 양초의 선택 제어에 관한 제어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즉,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부(210)를 통해 점화하고자 하는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를 선택하여 선택제어에 관한 제어정보가 입력될 경우를 의미한다.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동점화 양초의 선택 제어에 관한 제어정보를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동점화 양초(100)의 제어부(30)는 상기 점화수단(40)을 제어하여 점화되는 상기 심지부(10)의 심지의 점화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로부터 수신받을 수 있는 상기 자동점화 양초의 선택 제어에 관한 제어정보로는, '점화 온 또는 오프 제어, 밝기 제어, 점화시간 제어, 심지부의 점화 패턴 제어 등'이 가능하며, 복수 개의 자동점화 양초 중 사용자의 원하는 적어도 하나의 자동점화 양초의 점화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복수 개의 자동점화 양초의 개수는 전체 제어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는 양초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와 같이, 상기 단말기(200)는 미리 설치된 상기 자동점화 양초의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입력받은 제어정보를 토대로,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의 점화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의 각각의 심지부(10)의 심지(1)가 배치된 형태에 대응하는 패턴을 디스플레이하여 제공하고, 이를 토대로 사용자는 점화하고자 하는 심지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즉, 상기 심지부(10)의 점화 패턴 제어는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서 디스플레이하여 제공하고 있는 패턴에서 사용자가 점화하고자 하는 심지의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단말기(200)의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의 점화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상태 요청정보를 더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는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상기 상태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심지부(100)의 심지의 점화 상태에 관한 상태정보를 상기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심지부(100)의 심지의 점화 상태에 관한 상기 상태정보는 상기 센서부(50)를 통해서 판단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는 소화수단(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화수단(70)은 점화된 심지를 소화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점화 오프 제어에 관한 제어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심지의 소화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소화수단(70)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심지의 소화가 이루어지도록 직접적으로 공기를 차단하는 형태인 캡(cap) 형태로 구성되거나, 펌프와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외부의 공기를 불어넣어 상기 심지의 소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소화수단(70)을 펌프와 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외부의 공기를 불어넣어 상기 심지의 소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형태로 구성할 경우, 외부의 공기는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의 외부 공기 또는,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가 점화되어 있는 동안 발생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여 이를 제어정보에 맞추어 상기 심지로 공급하여 상기 심지의 소화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가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점화 오프 제어에 관한 제어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즉,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부(210)를 통해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의 점화 오프 제어에 관한 제어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의 제어부(30)는 상기 소화수단(70)을 제어하여 상기 심지부(10)의 심지의 소화를 제어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가 상기 단말기(200)로부터 점화시간 제어에 관한 제어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즉,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입력부(210)를 통해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의 점화시간 제어에 관한 제어정보가 입력될 경우,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의 제어부(30)는 상기 점화수단(40) 및 소화수단(70)을 번갈아 제어하여 상기 심지부(10)의 심지의 점화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점화 양초(100)의 제어부(30)는 상기 제1 통신부(20)가 상기 단말기(200)와 통신하여 접속이 개시되는 순간, 상기 제어부(30)를 통해서 상기 점화수단(40)을 제어하여 상기 심지부(10)의 심지를 점화하고,
상기 단말기(200)와의 접속이 해제되는 순단, 상기 제어부(30)를 통해서 상기 소화수단(70)을 제어하여 상기 심지부(10)의 심지를 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만약의 사고를 대비할 수 있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및 그 제어 시스템은,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진 심지를 포함하여 자동점화가 가능한 양초의 점화 상태를 외부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점화 상태 또는 소화 상태를 용이하게 제어를 할 수 있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및 그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자동점화 양초
10 : 심지부
20 : 제1 통신부
30 : 제어부
40 : 점화수단
50 : 센서부
60 : 전원부
70 : 소화수단
200 : 단말기
210 : 입력부
220 : 제2 통신부

Claims (36)

  1. 방전에 의해 점화 후 연소가 이루어지며, 전도성 소재를 함유하는 심지를 포함하는 심지부;
    사용자의 단말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하는 제1 통신부;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따라 심지부의 점화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심지부가 점화되도록 상기 심지에 방전을 일으키는 점화수단을 포함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부는 서로 이격된 둘 이상의 상기 심지를 포함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의 하단에 위치하며, 상기 심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점화수단은 상기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수단은, 아크 방전, 불꽃 방전, 코로나 방전 또는 글로우 방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전을 일으키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 이상의 심지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의 개수가 짝수인 경우,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에 연결된 심지끼리 서로 인접하게 대향하도록 위치시키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의 개수가 홀수인 경우,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에 연결된 심지끼리 서로 인접하게 대향하도록 위치시키며, 쌍이 없는 하나의 심지는 전극에 연결되지 않고 전극이 연결된 한 쌍의 심지 사이에 위치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의 개수가 홀수인 경우, 하나의 심지에는 공통 전극이 연결되고,
    상기 하나의 심지가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심지에는 상기 공통 전극과 다른 극성의 전극이 연결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점화 양초는, 상기 심지부의 온도 또는 빛을 감지하거나, 양초 주변의 가스 농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온도 또는 빛의 정보에 따라 상기 심지부의 점화 상태를 판단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서 감지한 가스 농도에 따라 감지된 가스 농도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 경고 메세지를 상기 단말기로 통지하거나 알람으로 경고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 점화수단 및 제1 통신부로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외부에서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가 충전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2차 전지인 경우, 상기 배터리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충전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자동점화 양초; 및
    상기 자동점화 양초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하는 상기 단말기를 포함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제어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동점화 양초의 점화 제어를 위한 제어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상기 제어정보를 상기 자동점화 양초로 송신하는 제2 통신부를 포함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제어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자동점화 양초의 점화 온 또는 오프 제어, 밝기 제어, 점화시간 제어, 심지부의 점화 패턴 제어, 또는 자동점화 양초의 선택 제어 중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인,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제어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점화 양초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점화 온 제어에 관한 제어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자동점화 양초의 제어부는, 상기 점화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심지의 점화를 제어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제어시스템.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부는 서로 이격된 셋 이상의 상기 심지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점화 양초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밝기 제어에 관한 제어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자동점화 양초의 제어부는, 상기 점화수단을 제어하여 점화가 이루어지는 상기 심지의 개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제어시스템.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심지부는 서로 이격된 셋 이상의 상기 심지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점화 양초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심지부의 점화 패턴 제어에 관한 제어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자동점화 양초의 제어부는, 상기 점화수단을 제어하여 점화되는, 상기 심지부의 심지의 패턴을 제어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제어시스템.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의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어되는 상기 자동점화 양초는 복수 개이고,
    상기 복수 개의 자동점화 양초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자동점화 양초의 선택 제어에 관한 제어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자동점화 양초의 선택 제어에 관한 제어 정보를 수신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동점화 양초는,
    점화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점화 온 또는 오프 제어, 밝기 제어, 점화시간 제어 및 심지부의 점화 패턴 제어를 수행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제어시스템.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단말기에 기저장된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문자를 기초로 상기 자동점화 양초의 점화 제어를 위한 상기 제어정보를 도출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제어시스템.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단말기에 기설치된 상기 자동점화 양초의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입력받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제어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하나 이상의 자동점화 양초 각각의 심지부의 심지가 배치된 형태에 대응하는 패턴을 디스플레이하여 제공하고,
    상기 심지부의 점화 패턴 제어는, 상기 패턴에서 점화하고자 하는 심지의 위치를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제어시스템.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동점화 양초의 점화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상태 요청정보를 더 입력받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제어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요청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자동점화 양초는 심지의 점화상태에 관한 상태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제어시스템.
  28.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점화 양초는, 점화된 심지를 소화시키기 위한 소화수단을 더 포함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제어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점화 양초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점화 오프 제어에 관한 제어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자동점화 양초의 제어부는, 상기 소화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심지의 소화를 제어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제어시스템.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점화 양초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점화시간 제어에 관한 제어정보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자동점화 양초의 제어부는, 상기 점화수단 및 소화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심지의 점화시간을 제어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제어시스템.
  3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자동점화 양초와 와이파이,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 지그비(ZigBee), 지웨이브(Z-wave), 비접촉 근거리 통신, 모바일 네트워크, 저전력 장거리 통신(Low Power Wide Area, LPWA) 또는 랜(LA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제어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 근거리 통신은,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또는 NFC(Near-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하는 것인,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제어시스템.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는, 3G, LTE, LTE-M 또는 NB-IoT 중 어느 하나인,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제어시스템.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LPWA는, LoRa, SigFox, Weightless, Ingenu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인,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제어시스템.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리모컨,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워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노트북, 또는 개인용 컴퓨터(PC) 중 어느 하나인,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제어시스템.
  36.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점화 양초의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부가 상기 단말기와 통신하여 접속이 개시되는 순간 상기 점화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심지를 점화하고, 상기 단말기와 접속이 해제되는 순간 상기 소화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심지를 소화하는,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제어시스템.
KR1020160116307A 2016-09-09 2016-09-09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및 그 제어 시스템 KR101787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307A KR101787540B1 (ko) 2016-09-09 2016-09-09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및 그 제어 시스템
PCT/KR2016/013603 WO2018048024A1 (ko) 2016-09-09 2016-11-24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및 그 제어 시스템
US15/699,924 US11624040B2 (en) 2016-09-09 2017-09-08 Remote controllable auto-ignition candle and control system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307A KR101787540B1 (ko) 2016-09-09 2016-09-09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및 그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540B1 true KR101787540B1 (ko) 2017-10-19

Family

ID=60298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307A KR101787540B1 (ko) 2016-09-09 2016-09-09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및 그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24040B2 (ko)
KR (1) KR101787540B1 (ko)
WO (1) WO201804802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160A (ko) * 2017-12-18 2019-06-2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덮개 여닫이 장치
KR20200093364A (ko) 2019-01-28 2020-08-05 루모스캔들(주) 심지 화염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심지 화염 감지 양초
WO2020159186A3 (ko) * 2019-01-28 2020-11-26 루모스캔들(주) 자동점화 양초 및 이를 위한 심지 화염 감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36283B (zh) * 2018-04-16 2024-10-15 卢梅蒂克有限公司 用于蜡烛和其他照明设备的灯芯
US20200333005A1 (en) * 2018-08-22 2020-10-22 Purdue Research Foundation Non-metallic ignition devices
CN109118697B (zh) * 2018-08-29 2021-05-11 合肥科大立安安全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LoRa网络分布式火灾报警与联动控制系统
DE102018127376A1 (de) * 2018-11-02 2020-05-07 Tbf - Pyrotec Gmbh Dekorationseinrichtung mit anhebbaren und absenkbaren Flammen
KR102214472B1 (ko) * 2019-04-29 2021-02-09 주식회사 현피플 모바일 통신 및 외부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는 캔들 워머
CN113154443B (zh) * 2020-01-07 2022-09-1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打火装置点火方法、装置及介质
US11493200B2 (en) 2020-07-14 2022-11-08 Joseph Pannullo Liquid fuel burning torch system with automatic fuel replenishment and flame extinguishment
US10842146B1 (en) * 2020-07-14 2020-11-24 Joseph Pannullo Insect repellent torch system with automatic fuel replenishment
US11957120B2 (en) 2020-07-14 2024-04-16 Joseph Pannullo Torch system with predictive control of automatic fuel replenishment
US11503822B2 (en) 2020-07-14 2022-11-22 Joseph Pannullo Attachable plug for adding features to a torch system
US11428343B2 (en) 2021-01-27 2022-08-30 Joseph Pannullo Mechanical overfill prevention valve insertable within a fill pipe
CA3192183A1 (en) * 2020-09-08 2022-03-17 Dean Maroun A candle, method for assembling a candle, a candle assembly apparatus, and a fuel el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503Y1 (ko) 1999-12-15 2000-05-15 강윤복 멜로디 양초의 전극 심지장치
US20150373815A1 (en) * 2013-01-30 2015-12-24 Luminara Worldwid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ctric Candl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1487A (ja) * 1994-07-29 1996-02-13 Takeshi Namiki 電気点火蝋燭
JPH1017890A (ja) * 1996-07-05 1998-01-20 Masami Hishida ローソクの安全装置とローソク
JPH10168481A (ja) * 1996-12-06 1998-06-23 Takeshi Namiki 特殊効果キャンドル
US6733279B2 (en) * 2001-04-05 2004-05-11 Harold D. Thigpen Remote microcontrolled laser oil lamp
US8186995B2 (en) * 2008-02-22 2012-05-29 Putrello Jr Andrew C Survival tool fire starter with mischmetal flint rod
AU2011343841A1 (en) 2010-12-14 2013-06-20 Smith Mountain Industries, Inc Candle wick and wick clip
KR200454260Y1 (ko) * 2010-12-17 2011-06-23 송용철 전기 양초
US20120167869A1 (en) * 2011-01-05 2012-07-05 Grand Mate Co., Ltd. Method of remotely controlling gas appliance and the remote control system
EP2744525A1 (en) * 2011-08-15 2014-06-25 Porex Corporation Conductive composite wick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20130095440A1 (en) * 2011-10-17 2013-04-18 The Yankee Candle Company, Inc. Candle Wick
US9655211B2 (en) * 2013-09-23 2017-05-16 Seasonal Specialties, Llc Lighting
CN105356548A (zh) * 2015-12-02 2016-02-24 南通亚泰蜡业工艺品有限公司 电子蜡烛感应充电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503Y1 (ko) 1999-12-15 2000-05-15 강윤복 멜로디 양초의 전극 심지장치
US20150373815A1 (en) * 2013-01-30 2015-12-24 Luminara Worldwid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Electric Candle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3160A (ko) * 2017-12-18 2019-06-2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덮개 여닫이 장치
KR102040722B1 (ko) * 2017-12-18 2019-11-05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덮개 여닫이 장치
KR20200093364A (ko) 2019-01-28 2020-08-05 루모스캔들(주) 심지 화염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심지 화염 감지 양초
WO2020159186A3 (ko) * 2019-01-28 2020-11-26 루모스캔들(주) 자동점화 양초 및 이를 위한 심지 화염 감지 장치
KR102248859B1 (ko) * 2019-01-28 2021-05-06 루모스캔들(주) 심지 화염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심지 화염 감지 양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48024A1 (ko) 2018-03-15
US11624040B2 (en) 2023-04-11
US20180072965A1 (en) 201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7540B1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자동점화 양초 및 그 제어 시스템
US9929396B2 (en) Power battery cap structure and power battery
EP3230425B1 (en) Remotely-controlled candle
WO2016074481A1 (zh) 一种带有储热部件的吸烟装置和组合式吸烟系统
CN103363544A (zh) 一种电弧点烟器
US20150159869A1 (en) Portable, solar rechargeable, battery powered, flameless igniting device
CN103877688A (zh) 一种受热发电自启动装置
US20160040877A1 (en) Electronic candle lighter
CN212458139U (zh) 电子烟花棒、手持式电子烟花及远程烟花燃放系统
US20060166154A1 (en) Overheat prevention apparatus and gas range having the overheat prevention apparatus
ES2206068B1 (es) Composiciones para encendedores ceramicos.
KR102248857B1 (ko) 무접촉 자동점화 양초 시스템
CN203744298U (zh) 一种自供电的燃气炉具电子点火装置
KR101935554B1 (ko) 버튼식 배터리 기동형 에어로졸 소화장치 및 버튼식 배터리 기동형 에어로졸 소화장치의 형성방법
CN202118945U (zh) 新型实验用点火测温装置
KR20180085369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203539948U (zh) 高温灭火自动启动装置
CN215771048U (zh) 断电器
KR102248859B1 (ko) 심지 화염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심지 화염 감지 양초
WO2020159186A2 (ko) 자동점화 양초 및 이를 위한 심지 화염 감지 장치
KR101593393B1 (ko) 소화기용 기폭장치 및 이에 의한 소화기
CN203869085U (zh) 一种电子点火器
CN212257558U (zh) 一种无源火焰触发装置
CN106765305A (zh) 用以实现点燃功能的装置及方法
CN211651394U (zh) 电子电光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