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314B1 - 누수감지용 이중관 및 이를 이용한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누수감지용 이중관 및 이를 이용한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314B1
KR101787314B1 KR1020170033636A KR20170033636A KR101787314B1 KR 101787314 B1 KR101787314 B1 KR 101787314B1 KR 1020170033636 A KR1020170033636 A KR 1020170033636A KR 20170033636 A KR20170033636 A KR 20170033636A KR 101787314 B1 KR101787314 B1 KR 101787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age
leak
inner tube
pipe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일
Original Assignee
김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일 filed Critical 김성일
Priority to KR1020170033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18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tu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6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by means of cables or similar elongated devices, e.g. tap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수감지용 이중관 및 이를 이용한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부의 누수방지 및 구조적인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강성의 외관과 연성의 내관으로 구성된 배관용 이중관에,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누수감지용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누수의 예방과 더불어 누수발생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누수발생시 정확한 누수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이중관의 내부를 일정한 단위공간부로 분할하고, 누수발생시 흘러나온 유체가 인접된 단위공간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누수피해영역을 최소화하여 누수에 따른 보수작업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누수감지용 이중관 및 이를 이용한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배관이 시공된 구조물 및 건물 분야, 누수 방지 분야, 누수 탐지 분야 및 누수 모니터링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누수감지용 이중관 및 이를 이용한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Double pipe for leak detection and leakage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누수감지용 이중관 및 이를 이용한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부의 누수방지 및 구조적인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강성의 외관과 연성의 내관으로 구성된 배관용 이중관에,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누수감지용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누수의 예방과 더불어 누수발생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누수발생시 정확한 누수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이중관의 내부를 일정한 단위공간부로 분할하고, 누수발생시 흘러나온 유체가 인접된 단위공간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누수피해영역을 최소화하여 누수에 따른 보수작업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누수감지용 이중관 및 이를 이용한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오피스텔, 호텔 등의 건물에는 급수, 급탕수 및 난방수 공급 등을 위한 배관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배관들은 대부분 바닥이나 벽체에 매립되어 설치되어 있다.
한편, 건물에 매립되어 설치된 각종 배관들의 연결부위에서는, 수압의 변화나 배관의 노후화 등으로 인해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누수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누수탐지기를 이용하여 정기적으로 누수의 발생여부를 검사해야 하지만,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대부분의 배관들이 바닥이나 벽체에 매립되어 시공되기 때문에, 정확한 누수위치를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
이로 인해, 누수 초기에는 누수여부나 누수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에는 누수가 발생하여 그 피해가 외부로 나타나야만 누수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누수여부를 확인한다 하더라도, 누수에 의한 피해가 외부로 나타난 지점과 실제 누수가 발생한 지점이 다른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누수의 원인이 되는 지점을 찾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외부에서 누수가 확인된 지점을 중심으로 상당히 넓은 영역을 대상으로 누수지점을 찾아야 하기 때문에, 누수에 따른 개보수 작업의 시간적, 인적, 물적 소모가 크게 증가할 수 밖에 없었다.
특히, 상가건물의 경우 누수가 발생하면 그에 따른 개보수로 인해, 입주한 업체의 매출 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누수에 의한 직접적 피해뿐만 아니라, 2차적인 피해규모도 증가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배관의 연결부위에 대한 누수를 확인하는 방법의 일 예로는,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1762호 '액체 이송배관용 누수검지부재'(이하, '선행기술'이라 한다)가 있다.
구체적으로, 선행기술은 파이프의 연결부위를 감싸도록 설치된 누수검지부재를 이용하여 액체누수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관리자가 시각적으로 쉽게 누수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선행기술과 같은 방식은 건물의 바닥이나 벽체에 매립된 배관들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1762호 '액체 이송배관용 누수검지부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건물에 매립되는 배관을 강성의 외관과 연성의 내관으로 구성된 이중관으로 구성하여, 용접부의 누수방지 및 구조적인 안정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그 내부에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누수감지용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누수의 예방과 더불어 누수발생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누수발생시 정확한 누수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누수감지용 이중관 및 이를 이용한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중관의 내부를 일정한 단위공간부로 분할하고, 누수발생시 흘러나온 유체가 인접된 단위공간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누수피해영역을 최소화하여 누수에 따른 보수작업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누수감지용 이중관 및 이를 이용한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관의 내부에 전원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패시브형 RFID를 구성하며, 누수발생시 패시브형 RFID가 손상되어 동작되지 않도록 하고, RFID리더를 이용하여 통신이 불가능한 RFID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누수여부 및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반영구적으로 누수감지가 가능하도록 한 누수감지용 이중관 및 이를 이용한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용 이중관은, 용접에 의해 연결되는 외관; 상기 외관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내관;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의 공간을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차단하여 단위공간부로 분할하는 복수 개의 유체이동방지부; 및 상기 유체이동방지부로 구획된 각 단위공간부에 구성되어 내관의 누수여부를 감지하는 누수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이동방지부는, 상기 내관의 외측면에 형성된 링형 2중판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중판막은, 두 개의 판막 중 어느 하나의 단면형상이 내관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중판막은, 두 개의 판막 중 다른 하나가 모헤어로 구성된 모헤어판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체이동방지부는, 상기 내관의 외측면을 따라 부착된 링형 모헤어판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수감지부는, 상기 유체이동방지부에 의해 구획된 단위공간부마다 구성된 누수감지센서; 및 상기 유체이동방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내관의 외측면에 구성되며 상기 누수감지센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데이터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수감지부는, 상기 유체이동방지부에 의해 구획된 단위공간부마다 구성되며, 평상시 정상상태를 유지하고 누수발생시 손상되는 누수감지센서; 및 상기 누수감지센서와 연동되며 상기 누수감지센서의 상태를 전송하는 패시브형 RFI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용 이중관을 이용한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중관으로 구성되며 내관과 외관 사이의 공간을 분할한 단위공간부마다 내관의 누수발생여부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누수감지부가 구성된 누수감지용 이중관; 및 상기 누수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누수감지부의 고유식별정보와 해당 누수감지부에 대한 위치를 매칭하여 등록하고, 적어도 하나의 누수감지부에 이상이 발생되면 해당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각방제어기;를 포함한다.
또한, 복수 개의 방마다 구성된 복수 개의 상기 각방제어기와 연동되어 각 방별 누수여부를 모니터링하고, 누수발생시 해당 각방제어기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중앙제어기; 및 상기 중앙제어기와 연동되며, 누수발생시 상기 누수감지용 이중관이 시공된 설계정보에 상기 위치정보를 매칭하여 누수알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누수알림정보를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원격관리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용 이중관을 이용한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은, 이중관으로 구성되며 내관과 외관 사이의 공간을 분할한 단위공간부마다 내관의 누수발생여부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누수감지부가 구성된 누수감지용 이중관; 및 상기 누수감지부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모니터링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누수감지부는, 평상시 정상상태를 유지하고 누수발생시 쇼트(Short)되어 동작불능상태가 되며, 상기 모니터링단말기는, 상기 단위공간부마다 설치된 복수 개의 누수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누수감지부와의 무선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해당 누수감지부가 구성된 단위공간부에서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음성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건물에 매립되는 배관을 강성의 외관과 연성의 내관으로 구성된 이중관으로 구성하고 내관을 통해 급수, 급탕수 및 난방수 공급 등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외관의 용접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성의 내관 외부에 강성의 보호용 외관을 구성함으로써, 배관 시공시 연성의 내관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구조적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외관과 내관 사이에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누수감지용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누수의 예방과 더불어 누수발생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누수발생시 정확한 누수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중관의 내부를 일정한 단위공간부로 분할하고, 누수발생시 흘러나온 유체가 인접된 단위공간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누수 영역이 확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누수에 의한 피해영역을 최소화하여, 누수에 따른 보수작업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수작업에 따른 시간적, 인적 및 물적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관과 내관 사이에 센서를 설치함에 있어, 별도의 전원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는 패시브형 RFID로 구성한 후, 누수발생시 패시브형 RFID가 손상되어 동작되지 않으면, RFID리더와의 통신이 불가능한 RFID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누수여부 및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반영구적으로 누수감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배관이 시공된 구조물 및 건물 분야, 누수 방지 분야, 누수 탐지 분야 및 누수 모니터링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누수감지용 이중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분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누수감지용 이중관을 이용한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난 모니터링단말기를 이용하여 누수여부를 표시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감지용 이중관 및 이를 이용한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누수감지용 이중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누수감지용 이중관(100)은 외관(110), 내관(120), 유체이동방지부(130) 및 누수감지부(140)를 포함한다.
외관(110)은 용접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용접부(w)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어져 구성되며, 건물의 바닥이나 벽체에 매립되어 설치됨에 있어 내부의 구성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충분한 강성을 갖는 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관(110)은 내관(120)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급수나 급탕수, 난방수 등은 내관(120)을 통해 이동하게 되므로, 용접부(w)에 손상이나 크랙이 발생한다 하더라도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내관(120)은 외관(110)의 일측으로부터 삽입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이음부가 없도록 삽입되어 구성됨으로써, 누수가 발생하는 가장 큰 요인 중에 하나인 이음부를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물이 이동하는 내관에는 이음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누수의 방지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이때, 내관(120)은 연성의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외관(110)의 일측에서 내부로의 삽입이 원활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삽입과정에서 내관(120)과 외관(110) 간에 과도한 물리적 충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중구조에도 불구하고, 내관(120) 자체가 불량품인 경우, 시공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에 의해 내관(120)에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장기간 사용시 수압변화에 따른 압력변화에 의해 내관(120)에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등에 의해 누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생한 누수는 외관(110)의 용접부(w)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거나, 외관(110) 내부를 이동하여 연결된 외관(110)의 끝단에서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관(120)과 외관(110) 사이에 복수 개의 유체이동방지부(130)를 구성할 수 있다.
유체이동방지부(130)는 내관(120)과 외관(110) 사이의 공간을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차단하여 단위공간부(111)로 분할함으로써, 흘러나온 누수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누수감지부(140)는 유체이동방지부(130)로 구획된 각 단위공간부(111)에 구성되어, 해당 단위공간부(111)에 구성된 내관(120)의 누수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관(120)의 외측면에 구성되거나 외관(130)의 내측면 또는 유체이동방지부(130)의 일측면에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나타난 각 구성들 간의 결합관계 및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분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누수감지부(140)는 누수감지센서(141) 및 데이터케이블(142)을 포함할 수 있다.
누수감지센서(141)는 유체이동방지부(130)에 의해 구획된 단위공간부마다 구성되며, 데이터케이블(142)과의 연결을 고려하여 내관(120)의 외부면에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데이터케이블(142)은 외부와 누수감지센서(141) 간의 데이터통신을 위한 것으로, 단위공간부(111) 마다 구성된 누수감지센서(141)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유체이동방지부(130)를 관통하여 내관(120)의 외부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유체이동방지부(130)는 외관(110)과 내관(120)의 형상에 대응하는 막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관(120)을 외관(110)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외관(110)의 용접부(w)에 손상을 유발시키지 않도록 연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와 같이 데이터케이블(142)을 구성할 경우, 누수감지용 이중관(100)의 매설이 완료되면, 외부의 장치와 데이터케이블(142)을 연결하는 과정을 별도로 수행해야 하는 다소간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내관(120)의 외부면에 데이터케이블(142)을 구성하는 별도의 과정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시공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데이터케이블(142)에 손상이 발생하게 되면, 누수여부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데이터케이블(142)을 사용하지 않고, 누수감지센서(141)와 패시브형 RFID가 연동되도록 구성하거나, 누수감지센서(141) 자체를 패시브형 RFID로 구성함으로써, 데이터케이블(142)의 구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패시브형 RFID는 자체적으로 배터리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평상시에는 슬립모드를 유지하고, RFID리더기가 접근하게 되면 RFID리더기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액티브모드로 동작되는 것으로, 한번 설치하면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누수감지센서(141)와 패시브형 RFID가 연동되는 경우, RFID리더기가 접근하게 되면, 패시브형 RFID는 누수감지센서(141)에 의해 확인된 누수여부 등의 상태정보를 RFID리더기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누수감지센서(141) 자체를 패시브형 RFID로 구성하는 경우, 패시브형 RFID의 손상여부를 확인하여 누수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패시브형 RFID를 누수감지센서(141)로 사용하는 경우, 누수가 발생하지 않으면 패시브형 RFID는 액티브모드에서 정상적으로 RFID리더기와 통신할 수 있다.
만약, 특정 단위공간부(111)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해당 단위공간부(111)에 구성된 패시브형 RFID에 쇼트(Short, 단락) 등에 의한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RFID리더기가 접근해도 해당 패시브형 RFID는 통신을 수행할 수 없다.
따라서, 누수발생시 관리자는 RFID리더기와 통신을 수행하지 않는 패시브형 RFID를 확인함으로써, 내관(120)의 누수여부 및 누수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난 유체이동방지부(130)의 경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연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웃하는 두 단위공간부(111)를 완전히 차단시키지 못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도 2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체이동방지부(130)는 링형의 2중판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2에 나타난 유체이동방지부(130)를 2중으로 구성함으로써, 이웃 하는 두 단위공간부(111) 간의 차단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유체이동방지부(130)를 2중구조로 적용할 경우, 내관(120)을 외관(110)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마찰력이 높아지므로, 원활하게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유체이동방지부(130)의 2중판막 중 적어도 하나의 판막을 경사판막(131)으로 형성함으로써, 내관(120)이 보다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경사판막(131)은 내관(120)을 기준으로 평면형상이나,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은 곡면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난 평면형태의 유체이동방지부(130)나, 도 3에 나타난 경사판막(131)의 경우, 내관(120)이 외관(11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마찰력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게 되면 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틈은 2중판막의 경우에 두 개의 판막이 모두 발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웃 하는 두 개의 단위공간부(111) 간의 차단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구성한 2중판막이 그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2중판막의 유체이동방지부(130) 중 어느 하나를 모헤어로 이루어진 모헤어판막(132)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느 하나의 판막을 모헤어판막(132)으로 구성할 경우, 내관(120)이 외관(110)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마찰력에 의해 모헤어에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모헤어의 복원력으로 인해 이웃 하는 두 개의 단위공간부(111) 간의 차단효과를 향상 및 유지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일 판막의 유체이동방지부(130)를 링형의 모헤어판막(132)으로 구성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모헤어판막(132)의 장점을 유지할 수 있다.
다만, 모헤어판막(132)의 경우 모헤어가 서로 분리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모헤어간의 틈새를 통해 누수가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일 구조의 판막과 모헤어판막(132)을 모두 구성하는 경우가 가장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한 누수감지용 이중관(100)을 이용하여 누수를 모니터링하고 누수발생시 누수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누수감지용 이중관을 이용한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S)은 누수감지용 이중관(100) 및 각방제어기(200)를 포함한다.
각방제어기(200)는 개별 방마다 설치되어, 해당 방의 온도 등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주로 보일러와 연동하여 난방수 및 급탕수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각방제어기(200)는 급수 등과 같이 보일러와 무관한 배관에 대한 모니터링도 동시에 수행하거나, 부엌 등에 급수 등에 대한 모니터링을 위한 별도의 각방제어기(20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5에서, 각방제어기(200)는 누수감지용 이중관(100)의 누수감지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누수감지부(140)에 이상이 발생되면 해당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누수감지용 이중관(100)이 매설되는 과정에서, 누수감지용 이중관(100)에 구성된 누수감지부(140)의 고유식별정보 및 위치정보를 각방제어기(200)에 등록할 수 있다.
이때, 누수감지부(140)의 위치정보는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거나, 설계정보에 매칭되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수감지부(140)가 동일한 간격으로 구성되면, 설계정보에 나타난 배관설치정보로부터 어느 지점에 누수감지부(140)가 위치하게 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가 각방제어기(200)를 확인하게 되면, 누수여부 및 누수위치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는 관리자가 일일이 해당 방들을 이동하면서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S)은, 원격지에서 누수여부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앙제어기(300) 및 원격관리서버(400)를 더 구성할 수 있다.
중앙제어기(300)는 복수 개의 방마다 구성된 복수 개의 각방제어기(200)와 연동되어 각 방별로 누수여부를 모니터링하고, 누수발생시 해당 각방제어기(200)로부터 누수가 발생한 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제어기(300)는 이와 같이 수신된 위치정보를 원격관리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원격관리서버(400)는 중앙제어기(300)와 연동될 수 있으며, 누수발생시 중앙제어기(300)로부터 누수가 발생한 지점에 대한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원격관리서버(400)는 누수감지용 이중관(100)이 시공된 설계정보에 수신된 위치정보를 매칭하여 누수알림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누수알림정보는 설계도면에 누수지점을 표시한 형태의 이미지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누수알림정보가 생성되면, 원격관리서버(400)는 생성된 누수알림정보를 관리자단말기(도시하지 않음)로 전송하여, 담당 관리자가 누수발생여부 및 누수발생위치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앞서도 살펴본 바와 같이, 누수감지용 이중관(100)의 누수감지부(140)는 패시브형 RFI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하기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5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누수감지용 이중관(100)의 누수감지부(140)는 패시브형 RFID를 포함할 수 있으며,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휴대한 단말기(이하, '모니터링단말기'라 한다)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단말기는 스마트폰, PD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전용단말기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패시브형 RFID를 포함하는 누수감지부(140)는, 평상시 정상상태를 유지하고 누수발생시 쇼트(Short)되어 동작불능상태가 될 수 있다.
이에,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모니터링단말기(500)를 휴대한 상태에서, 해당 방을 이동하게 되면, 모니터링단말기(500)는 해당 방에 매설된 누수감지부(140)와 통신가능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모니터링단말기(500)는 단위공간부(111)마다 설치된 복수 개의 누수감지부(140) 중 적어도 하나의 누수감지부(140)와의 무선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해당 누수감지부(140)가 구성된 단위공간부(111)에서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음성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디스플레이)하여, 관리자나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단말기(500)는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중앙제어기(300) 및 원격관리서버(40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누수발생여부 및 누수발새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원격지에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난 모니터링단말기를 이용하여 누수여부를 표시하는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a)는 정상적인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모니터링단말기(5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설계정보에 기초하여 누수감지용 이중관(100)의 매설형태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일부의 누수감지부(140)에 의해 누수가 감지되면, 모니터링단말기(500)는 도 7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누수감지부(140)의 고유식별정보에 기초하여 누수가 발생한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누수의 발생여부 및 위치를 보다 쉽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누수감지용 이중관 및 이를 이용한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누수감지용 이중관
110 : 외관
120 : 내관
130 : 유체이동방지부
131 : 경사판막 132 : 모헤어판막
140 : 누수감지부
141 : 누수감지센서 142 : 데이터케이블
200 : 각방제어기
300 : 중앙제어기
400 : 원격관리서버
500 : 모니터링단말기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용접에 의해 연결되는 외관;
    상기 외관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내관;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의 공간을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차단하여 단위공간부로 분할하는 복수 개의 유체이동방지부; 및
    상기 유체이동방지부로 구획된 각 단위공간부에 구성되어 내관의 누수여부를 감지하는 누수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이동방지부는,
    단면형상이 내관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막을 포함하여, 상기 내관의 외측면에 형성된 링형 2중판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용 이중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2중판막은,
    두 개의 판막 중 다른 하나가 모헤어로 구성된 모헤어판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용 이중관.
  5. 용접에 의해 연결되는 외관;
    상기 외관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내관;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의 공간을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마다 차단하여 단위공간부로 분할하는 복수 개의 유체이동방지부; 및
    상기 유체이동방지부로 구획된 각 단위공간부에 구성되어 내관의 누수여부를 감지하는 누수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이동방지부는,
    상기 내관의 외측면을 따라 부착된 링형 모헤어판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용 이중관.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부는,
    상기 유체이동방지부에 의해 구획된 단위공간부마다 구성된 누수감지센서; 및
    상기 유체이동방지부를 관통하여 상기 내관의 외측면에 구성되며 상기 누수감지센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데이터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용 이중관.
  7.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수감지부는,
    상기 유체이동방지부에 의해 구획된 단위공간부마다 구성되며, 평상시 정상상태를 유지하고 누수발생시 손상되는 누수감지센서; 및
    상기 누수감지센서와 연동되며 상기 누수감지센서의 상태를 전송하는 패시브형 RF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용 이중관.
  8. 이중관으로 구성되며 내관과 외관 사이의 공간이, 단면형상이 내관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막을 포함하여 상기 내관의 외측면에 형성된 링형 2중판막 또는 상기 내관의 외측면을 따라 부착된 링형 모헤어판막 중 어느 하나의 판막에 의해 분할된 단위공간부마다, 내관의 누수발생여부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누수감지부가 구성된 누수감지용 이중관; 및
    상기 누수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누수감지부의 고유식별정보와 해당 누수감지부에 대한 위치를 매칭하여 등록하고, 적어도 하나의 누수감지부에 이상이 발생되면 해당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각방제어기;를 포함하는 누수감지용 이중관을 이용한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방마다 구성된 복수 개의 상기 각방제어기와 연동되어 각 방별 누수여부를 모니터링하고, 누수발생시 해당 각방제어기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중앙제어기; 및
    상기 중앙제어기와 연동되며, 누수발생시 상기 누수감지용 이중관이 시공된 설계정보에 상기 위치정보를 매칭하여 누수알림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누수알림정보를 관리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원격관리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감지용 이중관을 이용한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
  10. 이중관으로 구성되며 내관과 외관 사이의 공간이, 단면형상이 내관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판막을 포함하여 상기 내관의 외측면에 형성된 링형 2중판막 또는 상기 내관의 외측면을 따라 부착된 링형 모헤어판막 중 어느 하나의 판막에 의해 분할된 단위공간부마다, 내관의 누수발생여부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누수감지부가 구성된 누수감지용 이중관; 및
    상기 누수감지부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모니터링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누수감지부는,
    평상시 정상상태를 유지하고 누수발생시 쇼트(Short)되어 동작불능상태가 되며,
    상기 모니터링단말기는,
    상기 단위공간부마다 설치된 복수 개의 누수감지부 중 적어도 하나의 누수감지부와의 무선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해당 누수감지부가 구성된 단위공간부에서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음성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출력하는 누수감지용 이중관을 이용한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70033636A 2017-03-17 2017-03-17 누수감지용 이중관 및 이를 이용한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87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636A KR101787314B1 (ko) 2017-03-17 2017-03-17 누수감지용 이중관 및 이를 이용한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636A KR101787314B1 (ko) 2017-03-17 2017-03-17 누수감지용 이중관 및 이를 이용한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314B1 true KR101787314B1 (ko) 2017-10-17

Family

ID=60298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636A KR101787314B1 (ko) 2017-03-17 2017-03-17 누수감지용 이중관 및 이를 이용한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3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035B1 (ko) * 2018-04-09 2019-09-10 주식회사 이엠아이 스마트 패시브 센서 태그에 의한 온도 또는 누설 탐지를 위한 감시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3031A (ja) * 2007-03-23 2008-10-02 Toda Constr Co Ltd 漏水検知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3031A (ja) * 2007-03-23 2008-10-02 Toda Constr Co Ltd 漏水検知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035B1 (ko) * 2018-04-09 2019-09-10 주식회사 이엠아이 스마트 패시브 센서 태그에 의한 온도 또는 누설 탐지를 위한 감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537B1 (ko) Rfid를 이용한 누수 차단 시스템
JP5284827B2 (ja) 管継手保護カバー、及び管継手管理システム
KR101787314B1 (ko) 누수감지용 이중관 및 이를 이용한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
EP2665993B1 (en) Automated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the efficacy and reliability of distributed temperature sensing systems
US9574949B2 (en) Automated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the efficacy and reliability of distributed temperature sensing systems
KR101562625B1 (ko) 지하매설관 특정위치 탐지시스템 및 방법
US20130014840A1 (en) Pressurised hot air duct of an aircraft equipped with a device for detecting air leakage
KR20090016332A (ko) 신축부의 원격 누설감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A3169109A1 (en) In line inspection strain device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n line joint inspections
KR101787315B1 (ko) Rfid를 이용한 누수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62614B1 (ko) 상수관로의 누수 여부 및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상수관로용 안전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관로 안전감시 방법
KR101643570B1 (ko) 소화용 스프링클러 배관 시공방법
US201201930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duit Reparation
KR20200073563A (ko) 상수관망 누수 정보 제공 시스템
KR100666405B1 (ko)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누수차단 및 동파방지 기능을 갖는 배관시스템
KR101089917B1 (ko) 콘크리트 공급 설비의 안전 운전 장치 및 안전 운전 방법
KR101895441B1 (ko) 이중지수 주철관 파이프의 누수감지 시스템 및 그 주철관파이프
KR102060075B1 (ko) 유류배관 누출 위치 탐지 방법
JP2013245741A (ja) 共同溝内の水素含有ガス供給システム
US10677494B2 (en) Leak detection system for water heaters
TW202040046A (zh) 配管系統、配管資訊系統以及管接頭系統
KR101910492B1 (ko)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의 위험감지 방법
KR102366015B1 (ko) 누수 차단 시스템
US20220156907A1 (en) Monitoring Of Pipeline Systems
KR102599517B1 (ko) 배관 시스템 및 배관 시스템의 누수 검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