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094B1 -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094B1
KR101787094B1 KR1020150159192A KR20150159192A KR101787094B1 KR 101787094 B1 KR101787094 B1 KR 101787094B1 KR 1020150159192 A KR1020150159192 A KR 1020150159192A KR 20150159192 A KR20150159192 A KR 20150159192A KR 101787094 B1 KR101787094 B1 KR 101787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ting
elected
candidates
candidat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9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5875A (ko
Inventor
이철성
Original Assignee
이철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성 filed Critical 이철성
Priority to KR1020150159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094B1/ko
Publication of KR20170055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4Referral reward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5Including financial accounts
    • G06Q30/0216Investment accou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방법 및 그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방법은 유저의 주식 보유수, 연령 및 상기 기업에 대한 활동 지수에 기반하여 상기 선출직의 입후보자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선별된 입후보자의 수가 일정수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유저들을 대상으로 상기 입후보자들에 대한 다단계 승패식 투표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유저의 레벨에 대응하여 표를 차등 적용함 -; 상기 투표결과에 따라 상기 선출직 당선자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당선자에게 선출직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선출직에 대한 임기 동안 평가를 수행하여 직원채용에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시스템{System of management marketing by multi-level vote}
본 발명은 경영 마케팅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업의 유저를 대상으로 기업 경영을 위한 선출직을 공모하여 경영자금 확보 및 유저의 관심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의 손안에서 모든 일들이 이루어지는 현시대에 수많은 사업모델이 초기 자금부족과 유저의 관심부족으로 사업을 지속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유저의 관심을 증대하기 위한 다양한 마케팅 방법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마케팅 방법 중 하나는 유저에게 기업의 이익을 공유하여 제공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대부분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많이 사용하는 것에 대한 보상으로서 제공되는 할인율 또는 적립금 형태에 불과하여, 타 기업에서 더 우수한 조건을 제시하는 경우 쉽게 이탈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의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더 효과적인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사업을 운영하는 기업의 입장에서, 자금의 확보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지만, 적정한 시기와 규모에 맞는 자금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주식을 공모할 수 없는 초기기업 또는 소규모 기업의 경우, 자금의 확보가 더 곤란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실정들을 감안하여, 자금의 확보와 유저의 관심을 지속시킬 수 있는 마케팅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KR 0589767 B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저를 통하여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동시에 유저의 지속적인 관심을 도모할 수 있는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유저를 대상으로 경영 참여를 위한 선출직 공모를 통한 경영 마케팅 방법으로서, 유저의 주식 보유수, 연령 및 상기 기업에 대한 활동 지수에 기반하여 상기 선출직의 입후보자를 선별하는 단계; 상기 선별된 입후보자의 수가 일정수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유저들을 대상으로 상기 입후보자들에 대한 다단계 승패식 투표를 진행하는 단계- 상기 유저의 레벨에 대응하여 표를 차등 적용함 -; 상기 투표결과에 따라 상기 선출직 당선자를 선정하는 단계; 상기 당선자에게 선출직 권한을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선출직에 대한 임기 동안 평가를 수행하여 직원채용에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방법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방법은 상기 선출직에 대한 공모 및 당선자 수를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방법은 상기 유저에 대한 인증 및 유저 성향을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방법은 상기 투표결과 탈락자 중 적어도 일부를 차기 선출직 입후보자로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활동 지수는 상기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이용횟수, 주기, 빈도, 홍보, 추천, 및 선행 지수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단계 승패식 투표의 결과에 따라 순위를 결정하되, 동급 레벨 최다 득표수, 총 득표수, 및 상기 입후보 조건을 기준으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표를 진행하는 단계는, 투표 개시부터 직전 당선자의 임기 전까지의 기간에 따라 상기 다단계 승패식 투표의 대진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투표의 대진을 추첨하는 단계; 및 대진별 투표를 실시하여 승자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최종 결승까지 상기 결정하는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추첨하는 단계는 상기 대진을 상기 선출직의 입후보자의 선별 순서 또는 무작위로 추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입후보자의 수 및 상기 투표 개시부터 직전 당선자의 임기 전까지의 기간에 따라 투표 단계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투표 단계의 수에 따라 1:1 및 1:N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따라 상기 대진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추천하는 단계는 상기 당선자에 대한 평가가 저조한 경우 상기 직원채용에 추천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유저를 대상으로 경영 참여를 위한 선출직 공모를 통한 경영 마케팅 시스템으로서, 유저의 주식 보유수, 연령 및 상기 기업에 대한 활동 지수에 기반하여 상기 선출직의 입후보자를 선별하는 입후보자 선별부; 상기 선별된 입후보자의 수가 일정수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입후보자들에 대한 다단계 승패식 투표의 대진을 생성하는 대진 생성부; 상기 유저들을 대상으로 상기 생성된 대진에 따라 상기 다단계 승패식 투표를 수행하고, 상기 투표결과에 따라 상기 선출직 당선자를 선정하는 투표 수행부- 상기 유저의 레벨에 대응하여 표를 차등 적용함 -; 및 상기 당선자에게 선출직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선출직에 대한 임기 동안 평가를 수행하여 직원채용에 추천하는 선출직 평가부;를 포함하는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시스템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후보자 선별부는 상기 선출직에 대한 공모 및 당선자 수를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시스템은 상기 유저에 대한 인증 및 유저 성향을 등록하는 유저 인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후보자 선별부는 이전에 상기 선출직에 당선된 유저는 상기 입후보자에서 제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후보자 선별부는 상기 투표결과 탈락자 중 적어도 일부를 차기 선출직 입후보자로 선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후보자 선별부는 상기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이용횟수, 주기, 빈도, 홍보, 추천, 및 선행 지수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상기 활동 지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표 수행부는 상기 다단계 승패식 투표의 결과에 따라 순위를 결정하되, 동급 레벨 최다 득표수, 총 득표수, 및 상기 입후보 조건을 기준으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진 생성부는 투표 개시부터 직전 당선자의 임기 전까지의 기간에 따라 상기 다단계 승패식 투표의 대진표를 생성하고, 상기 투표의 대진을 추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진 생성부는 상기 대진을 상기 선출직의 입후보자의 선별 순서 또는 무작위로 추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진 생성부는 상기 입후보자의 수 및 상기 투표 개시부터 직전 당선자의 임기 전까지의 기간에 따라 투표 단계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대진 생성부는 상기 결정된 투표 단계의 수에 따라 1:1 및 1:N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따라 상기 대진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투표 수행부는 상기 대진별 투표를 실시하여 승자를 결정하며, 최종 결승까지 상기 대진별 투표를 반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출직 평가부는 상기 당선자에 대한 평가가 저조한 경우 상기 직원채용에 추천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방법 및 그 시스템은 유저에게 기업 경영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유저의 충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업 경영을 위한 선출직 입후보시 일정 수 이상의 주식을 보유한 유저를 선별함으로써, 유저로부터 자금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자금 확보가 용이하며, 기업의 초기 투자자금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 기업의 주주로서의 유저에 의해 선출한 당선자들이 기업 경영에 참여하도록 함으로써, 기업의 신뢰도, 투명성 및 공정성을 제고할 수 있으므로, 기업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업 경영에 유저들의 참여를 통하여 사회적 기업으로 전환되어 온 국민의 기업이 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양질의 유저들이 선거 토론 과정을 통하여 밴드화 세력을 구축하기 때문에, 자생적으로 소셜 비즈니스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고, 광고의 영업 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해당 기업이 경제적 또는 정치적 위기시 유저(동시에 주주)가 든든한 버팀목이 되므로, 기업 경영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방법의 승패식 투표 진행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방법의 투표 대진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방법의 직원채용 추천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서버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시스템(10)은 경영 마케팅 서버(100), 입후보대상 유저 단말(12) 및 투표대상 유저 단말(14)을 포함한다.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해당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유저를 대상으로 경영 참여를 위한 선출직을 공모하고, 유저 중에서 입후보자를 선정하며, 입후보자들에 대하여 유저로부터 승패식 투표를 진행하여 선출직을 선정하고, 선출직의 임기 만료시 평가를 통하여 특별 채용할 수 있도록 추천한다.
입후보대상 유저 단말(12)은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유저의 단말로서, 경영 마케팅 서버(100)에서 공모하는 선출직에 대한 입후보자의 단말이다.
투표대상 유저 단말(14)은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유저의 단말로서, 경영 마케팅 서버(100)에 의해 선별된 입후보자에 대한 선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선거권자의 단말이다.
이러한 입후보대상 유저 단말(12) 및 투표대상 유저 단말(14)은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정보 기기 및 개인용 P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후보대상 유저 단말(12) 및 투표대상 유저 단말(14)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유저 단말이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출직 공모 과정에 따라 구분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경영 마케팅 시스템(10)은 유저가 경영에 참여하면서 계속적인 이슈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게 하도록 선출직 선정을 위해 투표식 승패방법(토너먼트식)을 사용한다.
이때, 선출직은 고객(유저_선거포함)/아이디어 공모담당 계약직[연봉 대략 3,000만~4,000만]으로서, 승패식 투표를 통하여 선출한다. 여기서, 선출방식은 1:1 토너먼트 방식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모든 선거식 투표형태를 갖춘 승패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런 승패식 투표 과정에서, 유저가 원하는 상품과 서비스를 파악할 수가 있으며, 선출된 유저가 경영에 참여하게 하여 기업 경영의 투명성과 공정성이 좀 더 향상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의 지속적인 관심을 유지할 수 있고, 투표 과정에서 서로의 댓글 및 의견을 교환하면서 자연히 후보를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선출직에 공모하는 유저는 기업의 주식을 일정 수 이상 보유하도록 함으로써 유저를 통한 펀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기업의 선출직 입후보조건으로서, 주식을 N주[예: 10주]이상 보유하게 하면, 기업 운영 자금을 확보할 수 있어, 기업주의 실제 투자 자금을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후보인원이 2048명이상(211)인 경우, 10주를 5만원으로 책정하면, 2048×50,000=102,400,000원으로 대략 1억원의 펀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승패식 선출 방식은 기본적으로 1:1 대진 방식으로 진행되며, 입후보 인원이 16,384명(214) 이상이 되면 최소 14승이 되어야 선출직 당선이 가능하며 10주를 5만원으로 책정하면, 16,384×50,000=819,200,000원으로 대략 8억원의 펀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선출직 임기 종료 후 임기 동안의 업무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추천을 통해 특별 채용함으로써 인재 채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유저의 확대에 따라, 사회적 기업화, 전 국민의 기업화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 가능하며, 선행 지수를 반영하여 확실한 사회적 기업이 되고 사회를 더 좋고 밝게 만드는 역할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선출직은 2년의 임기를 수행하면서, 그 중 일부는 사외 이사직을 겸임함으로써 유저의 대표자로서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도록 제도화한다. 이때, 최종 선출자가 기존의 직장에 근무하는 경우에는 사회 이사직만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기업 경영을 위한 선출직이 다양한 유저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그 임기를 단임제로 한정할 수 있다.
이때, 선출직 공모는 유저의 관심이 지속될 수 있도록 매년 선출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이를 위해, 선출직 대상 인원의 1/2을 매년 교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런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선출직의 입후보자가 당선을 위한 활동을 통하여 해당 기업의 사업 모델을 홍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입후보자가 당선될 수 있도록 자신의 세력을 확장하기 위해 주변 친구들을 유저 가입으로 추천함으로써, 유저의 확대를 유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시스템(10)은 기업 경영을 위한 선출직 공모, 입후보, 승패식 투표 과정에서, 유저의 가입을 증가시키고, 기존의 유저에 대한 높은 충성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방법(200)은 유저 등록 및 선출직 공모 단계(S201 및 S202), 선출직 입후보자 선별 단계(S203), 승패식 투표 진행에 따라 당선자 선정 단계(S204 내지 S206), 및 탈락자 차기 투표 입후보 및 당선자 직원채용 추천 단계(S207 내지 209)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경영 마케팅 서버(100)에서, 유저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단계 S201). 즉, 유저 단말(12,14)이 경영 마케팅 서버(100)에 접속하여 유저로서 등록한다. 이때,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유저의 성향을 파악할 수 있는 질문 사항을 제공하여 유저 단말(12,14)로부터 해당 유저의 성향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유저의 가입시 성향이나 나이를 파악하고, 유저의 상태에 따라 선거권 및 피선거권을 부여할 수 있다. 즉,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기업 경영을 위한 선출직 입후보 조건에 적합한 경우, 선거권 및 피선거권을 모두 부여할 수 있지만, 적합하지 않은 경우, 선거권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유저가 해당 기업의 주식을 보유하지 않거나, 미성년자인 경우에는 입후보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므로, 피선거권은 제한되지만, 선택적으로 선거권은 부여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경영 마케팅 서버(100)가 선출직에 대한 공모를 개재한다(단계 S202). 여기서, 상기 선출직 공모는 당선자 수 및 임기가 기재될 수 있다. 이때, 당선자 수는 기업의 성장 속도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될 수 있으며, 이를 반영하여 당선자 수를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당선자 수는 총 선출직의 임기를 고려하여 매년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분배하여 결정되며, 선출직 임기가 2년인 경우, 매년 당선자 수는 총 선출직 수의 1/2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홈페이지를 통하여 공모를 개재하거나, 유저 단말(12)로 공모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유저는 입후보대상 유저 단말(12)을 통하여 경영 마케팅 서버(100)에 접속하여 선출직 공모를 확인하거나, 자신의 단말로 전송된 정보를 통하여 선출직 공모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선출직 공모는 매년 단위로 이루어지며, 직전 선출직 당선자 결정된 직후에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투표 기간 등을 고려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선출직의 입후보를 신청한 유저에 대하여 입후보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여 선출직의 입후보자를 선별한다(단계 S203). 이때,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유저의 주식 보유수, 연령 및 상기 기업에 대한 활동 지수에 기반하여 유저가 선출직에 입후보 조건에 해당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선출직의 입후보자를 선별한다.
여기서, 주식 보유수는 유저를 통해 확보하고자 하는 자금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때, 단순 투자의 목적을 배제하기 위해 소액 주주로 한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식 보유 조건은 10주 이상 1000주 미만일 수 있다.
또한, 연령은 기업의 채용을 고려하여 예를 들면, 만 20세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활동 지수는 해당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이용횟수, 주기, 빈도, 홍보, 추천, 및 선행 지수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활동 지수는 댓글, 광고게임수행, 친구추첨, 광고열람 등 기업에 대한 활동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선행 지수는 헌혈, 기부, 재난구조, 정치 헌금 등 사회적 기여에 대한 지수로서 산정된다.
또한, 선출직 입후보 조건으로서 전과 사실 유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유저에 대하여 전과 사실을 검찰청 등의 정부 기관을 통해 조회하여 선출직 입후보 조건에 반영할 수 있다.
여기서,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활동 지수에 따라 유저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출직 입후보 조건은 유저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저 레벨 3 이상만 입후보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입후보 신청자 중에서 상기 선출직 입후보 조건을 만족하는 유저를 입후보자로서 선별한다.
이때,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선출직의 임기제에 따라 이전에 선출직에 당선된 유저는 입후보자에서 제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출직이 단임제인 경우, 이전에 선출직에 당선된 유저는 입후보 신청을 제한하거나, 입후보 신청한 경우에 선별시 제외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선별된 입후보자의 수가 일정수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204), 입후보자의 수가 일정 수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단계 S203으로 복귀하여 일정 수에 도달할 때까지, 입후보자의 선별을 반복 수행한다. 이때, 입후보 등록 기간을 사전에 설정할 수 있으며, 입후보 등록 기간에 입후보자의 수가 일정 수에 도달하지 않으면,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월 정도의 입후보 등록 기간을 설정하고, 2048명의 입후보자가 선별되지 않는 경우, 2048명의 입후보자가 선별될 때까지 입후보 등록 기간을 연장하여 승패식 투표를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입후보 등록 기간이 경과하기 전에 입후보자가 일정 수에 도달한 경우에는 일정 수 다음의 입후보자는 차기 공모로 전환시킨다. 예를 들면, 입후보자가 2048명으로 한정된 경우, 2049번째 입후보자는 차기 선출직 공모에 1번으로 입후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입후보자가 일정 수에 도달한 후 잔여 입후보 등록 기간은 차기 입후보자 등록 기간으로 전환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입후보 기간 경과 후에 투표를 진행할 수 있다. 즉, 미리 설정된 입후보자 수가 장기간 달성되지 않는 경우, 투표 진행 기간 및 선출직 임기를 고려하여, 해당 기간 동안 입후보된 인원만을 대상으로 투표를 진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입후보자 선별을 투표 진행을 위한 후보자 수 및 입후보 등록 기간에 대하여 각각 한정하도록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두 가지 조건을 조합하여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유저들을 대상으로 입후보자들에 대한 다단계 승패식 투표를 진행한다(단계 S205). 이때, 투표는 차등식 투표로서, 유저의 레벨에 대응하여 표를 차등 적용한다. 즉, 모든 유저는 한 표를 투표하지만 자기 레벨의 수만큼의 표를 행사한 것과 동일하다. 예를 들면, 레벨 3인 유저가 특정 입후보자에게 한 표를 행사하면 해당 입후보자는 3표를 획득한 것으로 계수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투표 개시부터 직전 당선자의 임기 전까지의 기간에 따라 다단계 승패식 투표의 대진표를 생성한다(단계 S301).
즉, 입후보자가 일정 수에 도달한 후 직전 당선자의 임기 전까지의 기간 동안, 승패식 투표에 대한 각 후보별 유세 기간 및 유저들의 투표 기간을 고려하여 대진표를 생성한다. 이때, 직전 당선자의 임기가 종료되기 한 달 전까지 당선자를 선출하도록 한다.
여기서, 승패식 투표는 기본적으로 1:1 토너먼트 형식이루어지며, 그에 따른 토너먼트 대진이 생성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 토너먼트 대진인 경우, 2의 승수에 따른 투표 레벨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후보자가 2048명(211)인 경우, 11단계의 투표 단계가 생성된다.
이때,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입후보자의 수 및 투표 개시부터 직전 당선자의 임기 전까지의 기간에 따라 투표 단계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후보 인원이 많아지거나, 투표 진행 기간이 부족한 경우, 투표 단계의 수를 조정할 수 있다. 특히, 투표 단계를 감소시키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N(N=3)의 대결을 진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결정된 투표 단계의 수에 따라 1:1 및 1:N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따라 승패식 투표를 위한 대진을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선출직 투표의 대진을 추첨한다(단계 S302). 즉,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 S301에서 생성된 토너먼트 대진표에 입후보자를 배치하기 위해 추첨한다.
이때, 상기 대진 추첨은 무작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대진표의 위치별로 숫자를 지정하고, 각 입후보자에 대하여 숫자를 무작위로 추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대진 추첨은 입후보자의 선별 순서 또는 등록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서, 처음 입후보하거나 선별된 유저는 V1에 배치되고, 이어서 순차적으로 Vn까지 대진표 상에서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대진별 투표를 실시하여 승자를 결정한다(단계 S303). 즉,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투표대상 유저 단말(14)로부터 해당 대진에 대한 입후보자 선택을 입력받아 다득표 원칙에 따라 승자로 결정한다.
이때,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차등 투표를 적용하여 유저의 레벨에 대응하는 표를 차등 적용한다. 예를 들면, V1 입후보자에게 레벨 3인 유저가 투표한 경우, V1 입후보자는 3표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동일 투표 단계는 동일 기간에 이루어지며, 승패식 투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유저는 모든 대진에 대하여 선거권을 행사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승자가 결정된 투표가 결승 투표인지를 판단하여(단계 S304), 결승 투표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단계 S303으로 복귀하여 최종 결승까지 대진별 투표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투표결과에 따라 선출직 당선자를 선정한다(단계 S206). 이때,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대진별 투표 결과에 따라 순위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당선자 수가 2명인 경우, 결승 투표에 오른 입후보자가 모두 선출직에 당선될 수 있지만, 당선자 수가 2명을 초과하면, 예를 들면, 당선자 수가 3명인 경우, 3-4위를 결정해야 하고, 당선자 수가 5명인 경우, 5-8위를 결정해야 한다. 또한, 당선자 중 일부만을 사외 이사직을 겸직하도록 하기 위해서도 정확한 순위를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투표 단계별 순위 결정은 다단계 승패식 투표의 결과에 따라 이루어지되, 동급 레벨 최다 득표수, 총 득표수, 및 상기 입후보 조건을 기준으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5-8위는 토너먼트 8강에서 탈락한 동급 레벨의 4명 중 최다 득표자에 따라 순위를 결정한다. 이때, 동점자가 발생하는 경우, 1차전부터 8강전까지 획득한 총 득표수에 따라 순위를 결정한다.
이어서, 입후보 조건을 기준으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식 보유수, 연령, 활동 지수, 선행 지수에 따라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순위 결정을 위한 순서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당선자에게 선출직 권한을 부여한다(단계 S207). 이때, 선출직 중 일부는 사외 이사직을 겸임할 수 있다. 여기서, 사외 이사직은 상위부터 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출직이 4명이고, 사외 이사직이 2명인 경우, 1-2위는 선출직 및 사외 이사직을 겸임하고, 3-4위은 선출직만을 부여한다. 이때, 선출직 및 사외 이사직에 선출된 유저는 2년의 임기 동안 직무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선출직에 대한 임기 동안 평가를 수행하여 직원채용에 추천한다(단계 S208). 즉, 임기 동안 직무를 성실히 수행한 유저는 기업이 특별 채용할 수 있도록 직원 채용에 추천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면,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당선된 선출직에 임기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단계 S601), 임기가 종료될 때까지 선출직 임무 수행에 대한 자료를 수집한다.
단계 S601의 판단 결과, 선출직 임기가 종료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임무 수행에 대하여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임무수행 능력을 평가한다(단계 S602). 이때,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기업의 담당 관리직원으로부터 선출직 임무수행 평가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평가결과가 우수한지 판단하여(단계 S604), 평가결과가 우수하다고 판단한 경우, 기업이 해당자를 특별채용할 수 있도록 추천한다(단계 S604).
이와 같이, 유저의 투표에 의해서 선출된 자가 임기 후 기업이 특별 채용함으로써 인재선발과 인재육성의 장으로 활용될 수 있다.
단계 S604의 평가결과, 우수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직원 채용에 추천하지 않는다. 즉, 선출직 당선자에 대한 평가가 저조하거나, 임기 동안 자질이 부족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기업이 채용하지 않도록 추천하지 않는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투표결과 탈락자 중 적어도 일부를 차기 선출직 입후보자로 선정한다(단계 S209). 예를 들면, 유저가 선출직 투표에서 탈락하면 바로 차기 선출직에 입후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선출직 투표에 탈락한 모두가 차기 선출직에 입후보하면, 신규 또는 기존 유저에 대한 입후보 기회가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탈락자 중 일부만을 차기 입후보자로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탈락자중 상위 M명까지만 차기 입후보자로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상위 M명은 투표 단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출직이 4명인 경우, 8강에서 탈락한 4명의 유저가 차기 입후보자를 차기 입후보자로 등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많은 유저가 동참함으로써 사회적 기업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고, 추천 그룹 간 경쟁하는 과정에서 시장에서 필요한 요소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시장이 원하는 상품과 서비스 개발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경영 마케팅 서버(1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특히, 이러한 단계들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판독가능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일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영 마케팅 서버(1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경영 마케팅 서버(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인증부(110), 입후보자 선별부(120), 대진 생성부(130), 투표 수행부(140) 및 선출직 평가부(150)를 포함한다.
유저 인증부(110)는 경영 마케팅 서버(100)에 접속된 유저 단말(12,14)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유저의 성향을 파악하기 위한 질문 사항을 제공하여 유저의 성향을 등록한다.
입후보자 선별부(120)는 선출직에 대한 공모를 개재한다. 예를 들면, 입후보자 선별부(120)는 홈페이지를 통하여 공모를 개재하거나 유저 단말(12)로 선출직 공모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입후보자 선별부(120)는 기업의 성장 속도에 따라 점진적으로 당선자 수를 증가시켜 선출직 수를 조정한다.
또한, 입후보자 선별부(120)는 선축직의 입후보를 신청한 유저에 대하여 입후보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여 선출직의 입후보자를 선별한다. 이때, 입후보자 선별부(120)는 유저의 주식 보유수, 연령 및 상기 기업에 대한 활동 지수에 기반하여 상기 선출직의 입후보자를 선별할 수 있다.
여기서, 입후보자 선별부(120)는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이용횟수, 주기, 빈도, 홍보, 추천, 및 선행 지수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상기 활동 지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입후보자 선별부(120)는 승패식 투표결과 탈락자 중 적어도 일부를 차기 선출직 입후보자로 선정할 수 있다. 이때, 입후보자 선별부(120)는 해당 유저가 선출직 투표에서 탈락하면 바로 차기 선출직에 입후보시키거나, 탈락자 중 상위 M명을 투표 단계에 따라 결정하여 차기 입후보자로 등록할 수 있다.
또한, 입후보자 선별부(120)는 이전에 선출직에 당선된 유저는 상기 입후보자에서 제외할 수 있다. 특히, 선출직이 단임제로 이루어지는 경우, 입후보자 선별부(120)는 이전에 선출직에 당선된 유저는 입후보 신정을 제한할 수 있다.
대진 생성부(130)는 입후보자 선별부(120)에서 선별된 입후보자의 수가 일정수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여 입후보자들에 대한 다단계 승패식 투표의 대진을 생성한다.
이때, 대진 생성부(130)는 투표 개시부터 직전 당선자의 임기 전까지의 기간에 따라 다단계 승패식 투표의 대진표를 생성한다. 여기서, 대진 생성부(130)는 상기 입후보자의 수 및 상기 투표 개시부터 직전 당선자의 임기 전까지의 기간에 따라 투표 단계의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정된 투표 단계의 수에 따라 대진 생성부(130)는 1:1 및 1:N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따라 상기 대진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대진 생성부(130)는 생성된 대진표에서 각 투표의 대진을 추첨할 수 있다. 이때, 대진 생성부(130)는 상기 대진을 상기 선출직의 입후보자의 선별 순서 또는 무작위로 추첨할 수 있다.
투표 수행부(140)는 대진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대진에 따라 유저들을 대상으로 다단계 승패식 투표를 수행하고, 투표결과에 따라 상기 선출직 당선자를 선정할 수 있다. 이때, 투표 수행부(140)는 유저의 레벨에 대응하여 표를 차등 적용한다.
이러한 투표 수행부(140)는 상기 대진별 투표를 실시하여 다득표 원칙에 따라 승자를 결정하며, 최종 결승까지 상기 대진별 투표를 반복할 수 있다. 이때, 투표 수행부(140)는 투표대상 유저 단말(14)로부터 해당 대진에 대한 입후보자 선택이 입력된다.
이러한 투표 수행부(140)는 상기 다단계 승패식 투표의 결과에 따라 순위를 결정한다. 이때, 투표 수행부(140)는 동급 레벨 최다 득표수, 총 득표수, 및 상기 입후보 조건을 기준으로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선출직 평가부(150)는 당선자에게 선출직 권한을 부여하고, 상기 선출직에 대한 임기 동안 평가를 수행하여 직원채용에 추천할 수 있다. 이때, 선출직 평가부(150)는 상기 당선자에 대한 평가가 저조한 경우 상기 직원채용에 추천하지 않을 수 있다.
서버 DB(19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저 정보(192), 입후보자 정보(194), 투표진행 정보(196) 및 평가 정보(196)를 포함할 수 있다.
유저 정보(192)는 경영 마케팅 서버(100)를 통하여 등록된 유저의 정보로서, 유저의 성향, 연령, 주식 보유수, 및 기업에 대한 활동 지수, 선행 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입후보자 정보(194)는 입후보자 선별부(120)에 의해 선별되어 승패식 투표에 참여하는 유저의 정보로서, 투표 수행부(140)에서 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입후보자별 투표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투표진행 정보(196)는 투표 수행부(140)에서 이루어진 승패식 투표의 결과에 대한 정보로서, 생성된 대진표, 투표 진행 일정, 투표 단계, 및 대진별 투표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평가 정보(196)는 선출직에 당선되어 임기 동안 임무를 수행한 유저에 대한 평가 정보로서, 임무 수행별로 수집된 정보 및 기업 담당 관리직원이 작성한 평가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유저의 충성도를 크게 향상시키고, 유저로부터 자금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자금 확보가 용이하며, 기업의 초기 투자자금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업의 신뢰도, 투명성 및 공정성을 제고할 수 있으므로, 기업의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고, 사회적 기업으로 전환되어 온 국민의 기업이 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생적으로 소셜 비즈니스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고, 광고의 영업 영역을 확대시킬 수 있으며, 해당 기업이 경제적 또는 정치적 위기시 유저(동시에 주주)가 든든한 버팀목이 되므로, 기업 경영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시스템
12 : 입후보대상 유저 단말 14 : 투표대상 유저 단말
100 : 경영 마케팅 서버 110 : 유저 인증부
120 : 입후보자 선별부 130 : 대진 생성부
140 : 투표 수행부 150 : 선출직 평가부
190 : 서버 DB 192 : 유저 정보
194 : 입후보자 정보 196 : 투표진행 정보
198 : 평가 정보

Claims (2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유저를 대상으로 경영 참여를 위한 선출직 공모를 통한 경영 마케팅 시스템으로서,
    상기 유저에 대한 인증 및 유저 성향을 등록하며, 유저의 상태에 따라 선거권 및 피선거권을 부여하는 유저 인증부;
    유저의 주식 보유수, 연령 및 상기 기업에 대한 활동 지수에 기반하여 상기 선출직의 입후보자를 선별하되, 이전에 상기 선출직에 당선된 유저는 상기 입후보자에서 제외하며, 상기 선출직에 대한 공모 및 당선자 수를 조정하고, 투표결과 탈락자 중 적어도 일부를 차기 선출직 입후보자로 선정하여 입후보자를 선별하는 입후보자 선별부;
    상기 선별된 입후보자의 수가 일정수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는 대진 생성부;
    상기 유저들을 대상으로 상기 입후보자들에 대한 다단계 승패식 투표를 토너먼트 방식 및 선거식 투표형태로 진행하여 상기 유저의 레벨에 대응하여 표를 차등 적용하여, 상기 투표결과에 따라 상기 선출직 당선자를 선정하는 투표 수행부;및
    상기 당선자에게 선출직 권한을 부여하되, 상기 당선자에 대한 평가가 저조한 경우 직원채용에 추천하지 않고, 상기 선출직에 대한 임기 동안 평가를 수 행하여 직원채용에 추천하는 선출직 평가부;
    를 포함하는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입후보자 선별부는 상기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이용횟수, 주기, 빈도, 홍보, 추천, 및 선행 지수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조합에 의해 상기 활동 지수를 결정하는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시스템.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투표 수행부는 상기 다단계 승패식 투표의 결과에 따라 순위를 결정하되, 동급 레벨 최다 득표수, 총 득표수, 및 상기 입후보 조건을 기준으로 순위를 결정하는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시스템.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대진 생성부는 투표 개시부터 직전 당선자의 임기 전까지의 기간에 따라 상기 다단계 승패식 투표의 대진표를 생성하고, 상기 투표의 대진을 추첨하는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대진 생성부는 상기 대진을 상기 선출직의 입후보자의 선별 순서 또는 무작위로 추첨하는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시스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대진 생성부는 상기 입후보자의 수 및 상기 투표 개시부터 직전 당선자의 임기 전까지의 기간에 따라 투표 단계의 수를 결정하는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대진 생성부는 상기 결정된 투표 단계의 수에 따라 1:1 및 1:N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조합에 따라 상기 대진을 생성하는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시스템.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투표 수행부는 상기 대진별 투표를 실시하여 승자를 결정하며, 최종 결승까지 상기 대진별 투표를 반복하는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시스템.
  25. 삭제
KR1020150159192A 2015-11-12 2015-11-12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시스템 KR101787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192A KR101787094B1 (ko) 2015-11-12 2015-11-12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9192A KR101787094B1 (ko) 2015-11-12 2015-11-12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875A KR20170055875A (ko) 2017-05-22
KR101787094B1 true KR101787094B1 (ko) 2017-10-17

Family

ID=59050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9192A KR101787094B1 (ko) 2015-11-12 2015-11-12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0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7954A1 (ko) * 2017-05-10 2018-11-15 이철성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175496B1 (ko) * 2020-01-13 2020-11-06 최영락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469B1 (ko) 2000-11-09 2005-01-13 가부시끼가이샤 고나미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스튜디오 네트 게임 시스템, 네트 게임 진행 처리 방법 및 네트게임 진행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469B1 (ko) 2000-11-09 2005-01-13 가부시끼가이샤 고나미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스튜디오 네트 게임 시스템, 네트 게임 진행 처리 방법 및 네트게임 진행 처리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875A (ko) 2017-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78614A1 (en) Synchronous and asynchronous electronic voting terminal system and network
Bendickson et al. Operational performance: The mediator between human capital developmental programs and financial performance
Archak et al. Optimal design of crowdsourcing contests
Vojnović Contest theory: Incentive mechanisms and ranking methods
Benbya et al. How to find answers within your company
Greig Propensity to negotiate and career advancement: Evidence from an investment bank that women are on a “slow elevator”
Jung et al. The double‐edged sword of public‐resource dependence: The impact of public resources on autonomy and legitimacy in Korean cultural nonprofit organizations
Testa Is polarization bad?
US20130266927A1 (en) Immersive Video Game Features
Parente et al. Visibility and reputation of new entrepreneurial projects from academia: the role of start-up competitions
Casey et al. An experiment in candidate selection
Kerr et al. Immigrant networking and collaboration: Survey evidence from CIC
KR101787094B1 (ko)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시스템
Feltus et al. Inside campaigns: elections through the eyes of political professionals
Stracke et al. Incentives and selection in promotion contests: Is it possible to kill two birds with one stone?
Gibson et al. Does cyber campaigning win votes? Online communication in the 2004 Australian election
US20140095399A1 (en) Competition-based method of ranking job candidates
Kaltenegger The intra-party bargain over ministerial appointments: how party leader performance affects the ‘partyness’ of government
García-Fernández et al. Government and commercial alliance in sport
Frisch Who's in the room?: how great leaders structure and manage the teams around them
WO2018207954A1 (ko) 다단계 차등 투표 선출에 의한 경영 마케팅 방법 및 그 시스템
Rocks Houston
Eriksen et al. Tournaments with Prize‐setting Agents
Formánková et al. Achieving quality and sustainability in the Czech business environment
KR101614334B1 (ko) 다수 응모작에 대한 토너먼트를 진행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