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7040B1 - 카테터 결합 구조물 및 카테터 장치 - Google Patents

카테터 결합 구조물 및 카테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7040B1
KR101787040B1 KR1020150186492A KR20150186492A KR101787040B1 KR 101787040 B1 KR101787040 B1 KR 101787040B1 KR 1020150186492 A KR1020150186492 A KR 1020150186492A KR 20150186492 A KR20150186492 A KR 20150186492A KR 101787040 B1 KR101787040 B1 KR 101787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tubular tube
passage
opening
artifi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6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6909A (ko
Inventor
강태원
강정길
김동훈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86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7040B1/ko
Publication of KR20170076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7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7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3Tracheal tubes combined with suction tubes, catheters or the like; Outside connections
    • A61M1/00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Abstract

본 발명은 카테터 결합 구조물 및 카테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 결합 구조물은, 관형 튜브를 갖는 카테터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환자의 인공 호흡을 위한 인공호흡 연통부; 및 상기 관형 튜브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통로를 포함하되, 상기 인공호흡 연통부 내에 결합되면서 상기 관통 통로가 개폐되도록 하는 관통통로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통로 개폐부는, 상기 관통 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인공호흡 연통부 측으로 전진하는 상기 관형 튜브에 의해 상기 관통 통로가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관형 튜브가 상기 인공호흡 연통부로부터 후퇴 복귀될 때 복귀되는 상기 관형 튜브가 상기 관통 통로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관통 통로를 차단하여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카테터 결합 구조물 및 카테터 장치{STRUCTURE COMBINED CATHETER AND CATHETER DEVICE}
본 발명은 카테터 결합 구조물 및 카테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료 절차를 위해 카테터를 사람의 신체 속으로 삽입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는 다양한 상황들이 존재한다. 또한 사람이 그 호흡계 안으로 기관 삽입관과 같은 인공 기도를 위치시킬 필요가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 환자의 가래, 침, 기타 배액 등과 같은 기도 분비물 등을 정기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카테터를 이용하여 수행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테터가 환자의 인공 기도 속으로 들어가면, 석션기 등과 같은 진공원에 의해 진공압이 카테터 내부에 가해지게 되고 이를 통해 환자의 호흡계로부터 가래, 침, 기타 배액 등과 같은 기도 분비물 등을 빨아들여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중증 질환자 등의 경우 스스로 가래, 침 등을 제거하지 못하므로, 간호사나 간병인 또는 보호자가 환자의 가래나 침, 기타 배액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수동 작동하는 석션기 등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수동 석션기 등은 간호사, 간병인, 보호자 등의 직접적인 조작이 필요할 뿐 아니라 침, 가래 등의 기도 이물질 등은 수면 중에도 발생되어 환자의 기도를 막을 수도 있으므로, 간호사, 간병인, 보호자 등은 수시로 석션기를 구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게 된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가래 등의 위치를 자동으로 찾아 기관지 흡착으로 인한 환자의 고통을 해소 시켜주고, 간호사, 간병인, 보호자 등이 없어도 24시간 자동으로 카테터를 전진 및 후진시킬 수 있는 인공지능형 자동 석션 시스템 등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의 카테터 장치에서는, 카테터의 전진 및 후진 시 카테터 이동을 위해 간호사, 간병인, 보호자 등이 직접 수동으로 개폐하여야 하는 개폐 구조물만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개폐 구조물을 포함하는 현재의 카테터 장치에서는 카테터를 자동으로 전진 및 후진하는 인공지능형 자동 석션 시스템 등을 적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인공지능형 자동 석션 시스템 등의 적용을 위해서는, 카테터의 전진 및 후진 시 카테터 이동을 위해 간호사, 간병인, 보호자 등이 직접 수동으로 개폐할 필요 없이 카테터 이동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 카테터 결합형 개폐 구조물 및 카테터 장치의 개발이 무엇보다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카테터의 전진 및 후진 시 카테터 이동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 카테터 결합 구조물 및 및 카테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관형 튜브를 갖는 카테터에 결합되는 카테터 결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결합 구조물은, 환자의 인공 호흡을 위한 인공호흡 연통부; 및 상기 관형 튜브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통로를 포함하되, 상기 인공호흡 연통부 내에 결합되면서 상기 관통 통로가 개폐되도록 하는 관통통로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통로 개폐부는, 상기 관통 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인공호흡 연통부 측으로 전진하는 상기 관형 튜브에 의해 상기 관통 통로가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관형 튜브가 상기 인공호흡 연통부로부터 후퇴 복귀될 때 복귀되는 상기 관형 튜브가 상기 관통 통로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관통 통로를 차단하여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카테터 결합 구조물이 제공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카테터 결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관통통로 개폐부는, 상기 관통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 밸브; 및 상기 개폐 밸브의 상단에 접촉되며, 접촉된 상기 개폐 밸브가 상기 관통 통로를 개폐하도록 하는 개폐 밸브 작동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카테터 결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개폐 밸브 작동 부재는, 상기 관형 튜브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응하여, 접촉된 상기 개폐 밸브가 상기 관통 통로를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카테터 결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개폐 밸브 작동 부재는, 상기 관형 튜브가 상기 관통 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인공호흡 연통부 측으로 전진할 경우에는, 접촉된 상기 개폐 밸브가 상기 관통 통로를 개방하도록 하며, 상기 관형 튜브가 상기 인공호흡 연통부로부터 후퇴 복귀될 때 복귀되는 상기 관형 튜브가 상기 관통 통로를 통과하게 되면, 접촉된 상기 개폐 밸브가 상기 관통 통로를 차단하여 폐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카테터 결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개폐 밸브 작동 부재는, 상기 개폐 밸브의 상단에 접촉되는 개폐 밸브 접촉 부재; 및 상기 개폐 밸브 접촉 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관형 튜브가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개폐 밸브 접촉 부재를 이동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카테터 결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관형 튜브가 상기 관통 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인공호흡 연통부 측으로 전진할 경우에는, 상기 관형 튜브가 전진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개폐 밸브 접촉 부재를 이동시키며, 상기 관형 튜브가 상기 인공호흡 연통부로부터 후퇴 복귀될 때 복귀되는 상기 관형 튜브가 상기 관통 통로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관형 튜브가 복귀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개폐 밸브 접촉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카테터 결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인공호흡 연통부는, 환자의 인공 기도와의 연통을 위한 제1포트; 인공호흡기와의 연통을 위한 제2포트; 및 상기 관통통로 개폐부가 결합되는 제3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카테터 결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관통통로 개폐부는, 상기 관통 통로가 상기 제3포트 내에 위치됨과 함께 상기 제3포트를 완전 밀봉하도록 상기 인공호흡 연통부 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환자의 인공 기도 속으로 삽입되면서 진공원에 의한 진공압이 가해지는 관형 튜브를 갖는 카테터에 결합되는 카테터 결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결합 구조물은, 상기 관형 튜브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통로를 포함하되 상기 관통 통로가 개폐되도록 하는 관통통로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통로 개폐부는, 상기 관통 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인공 기도 측으로 전진하는 상기 관형 튜브에 의해 상기 관통 통로가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공 기도로부터 상기 진공원 측으로 상기 관형 튜브가 후퇴 복귀될 때 복귀되는 상기 관형 튜브가 상기 관통 통로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관통 통로를 차단하여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카테터 결합 구조물이 제공됨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카테터 결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관통통로 개폐부는, 상기 관통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 밸브; 및 상기 개폐 밸브의 상단에 접촉되며, 접촉된 상기 개폐 밸브가 상기 관통 통로를 개폐하도록 하는 개폐 밸브 작동 부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카테터 결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개폐 밸브 작동 부재는, 상기 관형 튜브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응하여, 접촉된 상기 개폐 밸브가 상기 관통 통로를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카테터 결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개폐 밸브 작동 부재는, 상기 관형 튜브가 상기 관통 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인공 기도 측으로 전진할 경우에는, 접촉된 상기 개폐 밸브가 상기 관통 통로를 개방하도록 하며, 상기 인공 기도로부터 상기 진공원 측으로 상기 관형 튜브가 후퇴 복귀될 때 복귀되는 상기 관형 튜브가 상기 관통 통로를 통과하게 되면, 접촉된 상기 개폐 밸브가 상기 관통 통로를 차단하여 폐쇄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카테터 결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개폐 밸브 작동 부재는, 상기 개폐 밸브의 상단에 접촉되는 개폐 밸브 접촉 부재; 및 상기 개폐 밸브 접촉 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관형 튜브가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개폐 밸브 접촉 부재를 이동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카테터 결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관형 튜브가 상기 관통 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인공 기도 측으로 전진할 경우에는, 상기 관형 튜브가 전진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개폐 밸브 접촉 부재를 이동시키며, 상기 인공 기도로부터 상기 진공원 측으로 상기 관형 튜브가 후퇴 복귀될 때 복귀되는 상기 관형 튜브가 상기 관통 통로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관형 튜브가 복귀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개폐 밸브 접촉 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환자의 인공 기도 속으로 삽입되는 관형 튜브를 가지며, 상기 관형 튜브에 진공압을 가하여 환자로부터 유체를 제거하는 카테터; 및 상기 카테터에 결합되는 상술한 카테터 결합 구조물;을 포함하는 카테터 장치가 제공됨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는, 상기 관형 튜브를 세척하는 세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재는, 상기 관통통로 개폐부에 의해 상기 관통 통로가 차단 폐쇄될 때 상기 관형 튜브를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재는, 상기 관형 튜브의 일단부에 진공압을 가하여 상기 관형 튜브를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재는 상기 관형 튜브에 대하여 세척 용액을 분사하여 상기 관형 튜브를 세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카테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는, 상기 관형 튜브를 둘러싸는 튜브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결합 구조물 및 카테터 장치는, 카테터의 전진 및 후진 시 카테터 이동을 위해 간호사, 간병인, 보호자 등이 직접 수동으로 개폐할 필요 없이 카테터(보다 구체적으로는 카테터의 관형 튜브)의 전진 및 후진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결합 구조물 및 카테터 장치는, 간호사, 간병인, 보호자 등이 없어도 카테터를 자동으로 전진 및 후진시킬 수 있는 인공지능형 자동 석션 시스템 등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결합 구조물 및 카테터 장치는, 인공지능형 자동 석션 시스템 등에 적용할 수 있게 되므로, 침, 가래 등의 기도 분비물 등의 위치를 자동으로 찾아 이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기관지 흡착으로 인한 환자의 고통을 보다 현저히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결합 구조물 및 카테터 장치는, 카테터를 교체하거나 석션기 등의 진공원 측으로 카테터를 복귀시키는 동안에도, 인공호흡기로부터 여전히 환자에게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카테터의 교체, 복귀, 세척 등에도 공기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결합 구조물 및 카테터 장치는, 카테터의 전진 및 후진 시 카테터 이동을 위해 간호사, 간병인, 보호자 등이 직접 수동으로 개폐할 필요가 없으므로, 카테터 등에 부착된 기도 분비물 등으로 인한 간호사, 간병인, 보호자 등의 2차 감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범위가 상술한 효과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장치의 단면 입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카테터의 관형 튜브가 카테터 결합 구조물을 통과하여 인공 기도 측으로 전전진하는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장치의 단면 입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카테터의 관형 튜브가 카테터 결합 구조물로부터 진공원 측으로 복귀되는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결합 구조물의 분해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 결합 구조물 및 카테터 장치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시의 간략화 및 명료화를 위해, 도면은 일반적 구성 방식을 도시하고, 본 발명의 설명된 실시예의 논의를 불필요하게 불명료하도록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공지된 특징 및 기술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면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축척에 따라 그려진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는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유사한 참조부호는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장치(1000)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환자의 인공 호흡을 위한, 그리고 환자에 발생되는 기도 분비물 등의 유체를 제거하기 위한 카테터(100)를 포함하는 카테터 장치(1000)를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카테터 장치(1000)는, 카테터(100) 및 카테터 결합 구조물(2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인공 기도(10)를 갖는 환자를 나타내고 있으며, 카테터 결합 구조물(200)을 통해 인공 기도(10)와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카테터 결합 구조물(200)은, 복수개의 포트(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포트)를 포함하는 다지관(manifold)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인공호흡기(20)는 인공 기도(10)를 통해, 환자에게 공기를 공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환자로부터 공기를 제거할 수 있다.
만약 인공 기도(10)가 일정 시간 동안 환자에게서 분리될 경우, 환자의 가래나 침, 기타 배액 등(이하, "기도 분비물 등"이라 함)과 같은 유체가 환자의 폐, 기도 등에 차게 되며, 이 경우 환자의 적절한 폐 활동 유지를 위해 상기와 같은 기도 분비물 등을 제거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러한 기도 분비물 등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카테터(100)의 사용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카테터(100)는, 환자의 인공 기도(10) 속으로 삽입되는 관형 튜브(110)를 포함한다.
또한 진공원(30)은, 인공호흡기(20)와 연통될 수도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테터(100)와 연통될 수 있다. 아울러 간호사, 간병인, 보호자 등의 의료 케어 제공자들은 흡입 밸브(40)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관형 튜브(110)에 진공압을 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환자와 인공 기도(10) 안의 기도 분비물 등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카테터(100)는, 관형 튜브(110)를 둘러싸는 튜브 덮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튜브 덮개부(120)는, 카테터(100)의 관형 튜브(110)가 인공 기도(10)로부터 진공원(30) 측으로 복귀될 때, 카테터(100)의 관형 튜브(110)에 쌓이는 기도 분비물 등이 외부로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튜브 덮개부(120)는, 외부로 누출되는 기도 분비물 등으로 인한 의료 케어 제공자들의 2차 감염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튜브 덮개부(120)는, 카테터(100)에 튜브 덮개부(120)를 밀봉하여 부착시키기 위한 구성(미도시)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기도 분비물 등은, 카테터(100)의 관형 튜브(110)에 남아있을 수도 있고 인공호흡기(20) 등의 다른 부분들로 이동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도 분비물 등은, 의료 케어 제공자들 뿐만 아니라 환자에게도 유해할 수 있는 병원체들을 배양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카테터(100, 특히 관형 튜브) 및/또는 인공호흡기(20)를 구성하는 기타 부품들의 경우, 잔여 기도 분비물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 세척될 수도 있다.
또한 환자 감염의 위험을 낮추기 위해서, 일정 설정 시간(예를 들어 24시간, 72시간 등)이 경과하게 되면, 기도 분비물 등을 흡입하는 카테터(100)를 교체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카테터(100)는 카테터 결합 구조물(2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카테터(100)를 교체하거나 관형 튜브(110)를 카테터 결합 구조물(200)로부터 진공원(30) 측으로 복귀시킨다 하더라도 카테터 결합 구조물(200)은 인공호흡기(20)와 인공 기도(10) 사이의 연통을 허용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카테터(100)가 제거되거나 관형 튜브(110)가 카테터 결합 구조물(200)로부터 진공원(30) 측으로 복귀되는 동안에도 여전히 환자(1)에게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아울러 새로운 호흡을 위한 카테터(100)는 동일한 카테터 결합 구조물(100)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100)는 다양한 형태의 카테터 결합 구조물(200)과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본 실시예의 경우, 카테터(1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지관 형태의 카테터 결합 구조물(20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카테터 결합 구조물(200)은 복수개의 포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중에는 인공 기도(10)에 연통되는 제1포트(211), 인공호흡기(20)에 연통되는 제2포트(21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포트(211)는 카테터 결합 구조물(200)과 인공 기도(10) 사이의 연통을 허용한다.
또한 인공호흡기(20)로부터의 공기는, 제2포트(212)를 거쳐 카테터 결합 구조물(200)로부터 인공 기도(1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제2포트(212)는 (도시되지 않은) 커넥터를 통해 인공호흡기(20)의 공기공급관들과 연결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장치(1000; 도 1)의 단면 입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 2는 카테터(100)의 관형 튜브(110)가 카테터 결합 구조물(200)을 통과하여 인공 기도(10) 측으로 전진하는 구성을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카테터(100)의 관형 튜브(110)가 카테터 결합 구조물(200)로부터 진공원(30; 도 1) 측으로 복귀되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결합 구조물(20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의 카테터 장치(1000)는 도 2 및 도 3에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의 카테터 결합 구조물(200)의 경우 도 4에 더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카테터 장치(1000)는, 임의의 적당한 방식으로 카테터(100)에 결합될 수 있는 카테터 결합 구조물(2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카테터 결합 구조물(2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공호흡 연통부(210) 및 관통통로 개폐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호흡 연통부(210)는 환자의 인공 호흡을 위한 구성으로서 복수개의 포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포트(211 내지 2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포트(211)는 앞서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환자의 인공 기도(10)와의 연통을 위한 포트이고, 제2포트(212)는 환자의 호흡을 위한 인공호흡기(20)와의 연통을 위한 포트이다.
또한 제3포트(213)는 후술할 관통통로 개폐부(220)가 결합될 수 있는 포트로서, 이때 본 실시예의 관통통로 개폐부(220)는 상기 제3포트(213)를 완전 밀봉하도록 상기 제3포트(213)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관통통로 개폐부(220)는 제3포트(213)에 강제 끼움(force fit)의 형태로 결합될 수도 있거나, 통합적으로 서로 하나로 주조될 수도 있거나, 서로 초음파 용접될 수도 있는 등 본 발명의 관통통로 개폐부(220)는 다양한 결합 방식으로 제3포트(213)에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관통통로 개폐부(22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공호흡 연통부(2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관통 통로(221)를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의 관통통로 개폐부(220)의 경우, 관통 통로(221)가 제3포트(213) 내에 위치되도록 인공호흡 연통부(210)에 결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관통통로 개폐부(220)는, 인공호흡 연통부(210)에 결합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공호흡 연통부(210)에 결합되지 않고 인공호흡 연통부(210)와는 별도의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구성의 관통통로 개폐부(220)를 채택함으로써, 카테터(100)의 관형 튜브(110)는 카테터 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관통 통로(221)를 통과하여 인공호흡 연통부(210) 측으로 전진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관통 통로(221)를 통과해 인공 기도(10) 측으로 전진하여 인공 기도(10)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아울러 카테터의 관형 튜브(110)는 카테터 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앞서 전진했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후퇴 복귀될 수 있다.
즉 인공 기도(10) 내에 삽입되었던 관형 튜브(110)는, 인공호흡 연통부(210)로부터 관통 통로(221)를 통과하여 후퇴 복귀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환자의 인공 기도(10)로부터 진공원(30; 도 1) 측으로 후퇴 복귀될 수 있다.
또한 관통통로 개폐부(220)는, 관통 통로(221)를 통과하여 인공호흡 연통부(210) 측으로 전진하는 관형 튜브(110)에 의해 관통 통로(221)가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궁극적으로 관통통로 개폐부(220)는, 관통 통로(221)를 통과하여 인공 기도(10) 측으로 전진하는 관형 튜브(110)에 의해 관통 통로(221)가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관통통로 개폐부(220)는, 관통 통로(221)를 통과하는 관형 튜브(110)의 전진에 의해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관통통로 개폐부(220)는, 관형 튜브(110)가 인공호흡 연통부(210)로부터 후퇴 복귀될 때, 복귀되는 관형 튜브(110)가 관통 통로(221)를 통과하게 되면 관통 통로(221)를 차단하여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궁극적으로 관통통로 개폐부(220)는, 관형 튜브(110)가 환자의 인공 기도(10)로부터 진공원(30; 도 1) 측으로 후퇴 복귀될 때, 복귀되는 관형 튜브(110)가 관통 통로(221)를 통과하게 되면 관통 통로(221)를 차단하여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관통 통로(221)의 개폐를 위해 본 실시예의 관통통로 개폐부(22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밸브(222) 및 개폐 밸브 작동 부재(223)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 밸브(222)는 관통 통로(221)를 개폐하는 구성으로서, 도 2 내지 도 4에서는 관통 통로(221) 상단부에 위치한 결합 구성에 결합되는 내용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면들에 도시된 개폐 밸브(222)는 하나의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에 따라 다양한 형태, 수, 결합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복수개로 구성될 수도 있고, 결합 구성 없이 관통 통로(222)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개폐 밸브 작동 부재(223)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밸브(222)의 상단에 접촉될 수 있으며, 접촉된 개폐 밸브(222)가 관통 통로(221)를 개폐하도록 하는 구성으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 밸브 접촉 부재(223-1) 및 탄성 부재(223-2)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 밸브 접촉부재(223-1)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 밸브(222) 상단 및 탄성부재(223-2)의 일단에 접촉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223-2)로부터 제공된 탄성력에 따라 직선 왕복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탄성부재(223-2)는 개폐 밸브 접촉 부재(223-1)에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관형 튜브(110)가 관통 통로(221)를 통해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개폐 밸브 접촉 부재(223-1)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탄성부재(223-2)는, 관형 튜브(110)가 관통 통로(221)를 통과하여 인공호흡 연통부(210) 측으로 전진할 경우, 다시 말해 궁극적으로는 관형 튜브(110)가 관통 통로(221)를 통과하여 인공 기도(10) 측으로 전진할 경우, 관형 튜브(110)가 전진하는 방향(화살표 A)과 반대방향(화살표 B)으로 개폐 밸브 접촉 부재(223-1)를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개폐 밸브(222)는 상기와 같은 개폐 밸브 접촉 부재(223-1) 및 탄성부재(223-2)의 동작에 따라, 관통 통로(221)를 통과하여 인공호흡 연통부(210) 측으로 전진(결국 인공 기도(10) 측으로 전진)하는 관형 튜브(110)에 의해 관통 통로(221)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3을 참조하면 탄성부재(223-2)는, 관형 튜브(110)가 인공호흡 연통부(210)로부터 후퇴 복귀될 때 복귀되는 관형 튜브(110)가 관통 통로(221)를 통과하게 되면, 다시 말해 궁극적으로는 관형 튜브(110)가 환자의 인공 기도(10; 도 1)로부터 진공원(30; 도 1) 측으로 후퇴 복귀될 때 복귀되는 관형 튜브(110)가 관통 통로(221)를 통과하게 되면, 관형 튜브(110)가 복귀되는 방향(화살표 C)과 반대방향(화살표 D)으로 개폐 밸브 접촉부재(223-1)를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환자의 인공 기도(10; 도 1)로부터 인공호흡 연통부(210)를 거쳐 진공원(30; 도 1) 측으로 관형 튜브(110)를 후퇴 복귀할 때 복귀되는 관형 튜브(110)가 관통 통로(221)를 통과하게 되면, 개폐 밸브(222)는 상기와 같은 개폐 밸브 접촉 부재(223-1) 및 탄성부재(223-2)의 동작에 따라 관통 통로(221)를 차단하여 폐쇄하게 된다.
결국 상술한 구성의 개폐 밸브 작동 부재(223)는, 관형 튜브(110)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응하여, 접촉된 개폐 밸브(222)가 관통 통로(221)를 개폐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관통 통로 개폐부(220)의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관형 튜브(110)를 인공 기도(10)로부터 인공호흡 연통부(210)를 거쳐 진공원(30; 도 1) 측으로 후퇴 복귀할 때 복귀되는 관형 튜브(110)가 관통 통로(221)를 통과하게 되면, 관통 통로(221)를 차단하여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카테터(10)를 교체하거나 관형 튜브(110)를 인공 기도(10; 도 1)로부터 관통 통로(221)를 통과하여 진공원(30; 도 1) 측으로 복귀시키는 동안에도, 인공호흡기(20; 도 1)로부터 여전히 환자에게 공기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의 관통통로 개폐부(220)는, 카테터(10)를 교체하거나 관형 튜브(110)가 인공 기도(10)로부터 관통 통로(221)를 통과하여 진공원(30; 도 1) 측으로 복귀될 때, 관통 통로(221)를 폐쇄시킴으로써 카테터 결합 구조물(200)을 밀봉시킬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카테터(100)를 제거(교체, 복귀 등을 포함)하는 동안에도 공기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으로 돌아와, 본 실시예의 카테터 장치(1000)에는 카테터의 관형 튜브(110)를 세척할 수 있는 세척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세척부재(300)은, 카테터(100)의 임의의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카테터(100)의 관형 튜브(110)는, 진공원(30; 도 1) 측으로 연장되는 일단부(111)와 타단에 개구가 형성된 타단부(112)를 포함하고 있으며, 진공원(30; 도 1)에 의해 상기 일단부(111)에 진공압을 가함으로써 개구를 통하여 기도 분비물 등이 이동하게 된다.
즉 세척부재(300)는 관형 튜브(110)에 대하여, 관형튜브(110)의 일단부(111)에 진공압을 가하거나 래비지(lavage) 또는 다른 세척 용액을 분사하여, 기도 분비물 등이 이동하는 카테터의 관형 튜브(110)를 세척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관형 튜브(110)는 그 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개구(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개구(113)는 래비지 용액 등으로 관형 튜브(110)를 세척할 때에 세척 구역 내에 형성되는 난류를 허용하므로, 래비지 용액이 관형 튜브(110) 위에 존재하는 임의의 기도 분비물 등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 및 분해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세척부재(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비지 용액을 관형 튜브(110)에 분사하기 위한 분사 포트(P)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래비지 용액 등을 저장하는 저장조(미도시)는 분사 포트(P) 내로 삽입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카테터 장치(1000)의 경우, 카테터(100)의 관형 튜브(110)와 분사 포트(P)에서의 분사구(T) 사이에 좁은 공간(S)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간(S)이 실질적으로 0.005인치 내지 0.015인치 크기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S) 확보로 인하여 관형 튜브(110)가 진공원(30; 도 1) 측으로 복귀할 때에 관형 튜브(110)와 분사구(T) 사이를 근접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관형 튜브(110)에 존재하는 기도 분비물 등의 두꺼운 층을 보다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세척부재(300) 등에 의한 세척은, 관통통로 개폐부(220)에 의해 관통 통로(221)가 차단 폐쇄될 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관통통로 개폐부(220)가 복귀하는 관형 튜브(110) 부분을 인공호흡 연통부(210)로부터 고립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인공호흡기(20; 도 1)로부터의 공기 손실을 유발하지 않고 세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관통통로 개폐부(22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인공호흡 연통부(2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인공호흡 연통부(220)에 결합되는 결합단부(224)를 포함하게 된다.
이때 관통통로 개폐부(220)의 결합단부(224)는, 인공호흡 연통부(210)의 제3포트(21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이는 카테터(100)와 카테터 결합 구조물(200) 사이의 고정적 결합을 제공할 수도 있고, 카테터(100)를 교체할 필요가 있을 때 카테터(100)와 카테터 결합 구조물(200)의 분리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한편 도면들에는 관통통로 개폐부(220)의 결합단부(224)가 제3포트(213) 내부로 삽입되는 내용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통통로 개폐부(220)의 결합단부(224)가 제3포트(213) 주위로 끼워지도록 구성될수도 있다.
아울러, 관통통로 개폐부(220)의 결합단부(224)를 인공호흡 연통부(210)의 제3포트(213)에 결합시키는 다양한 방법들이 본 발명에 따라 가능하며, 여기에 개시된 결합방법은 단지 예시적 실시예에 불과하는 것임은 너무나도 자명하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의 카테터 결합 구조물 및 카테터 장치에 따르면, 카테터(특히 관형 튜브)의 전진 및 후진 시 카테터 이동을 위해 의료 케어 제공자들이 직접 수동으로 개폐할 필요 없이 카테터의 전진 및 후진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 의료 케어 제공자들이 없어도 카테터를 자동으로 전진 및 후진시킬 수 있는 인공지능형 자동 석션 시스템 등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와 같은 인공지능형 자동 석션 시스템 등에 적용할 수 있게 되므로, 침, 가래 등의 기도 분비물 등의 위치를 자동으로 찾아 이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기관지 흡착으로 인한 환자의 고통을 보다 현저히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카테터를 교체하거나 석션기 등의 진공원 측으로 카테터를 복귀시키는 동안에도, 인공호흡기로부터 여전히 환자에게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카테터의 교체, 복귀, 세척 등에도 공기 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카테터의 전진 및 후진 시 카테터 이동을 위해 의료 케어 제공자들이 직접 수동으로 개폐할 필요가 없으므로, 카테터 등에 부착된 기도 분비물 등으로 인한 의료 케어 제공자들의 2차 감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제 1", "제 2", "제 3" 및 "제 4" 등의 용어는, 만약 있는 경우, 유사한 구성요소 사이의 구분을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특정 순차 또는 발생 순서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시퀀스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여기서 방법이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여기에 제시된 그러한 단계의 순서는 반드시 그러한 단계가 실행될 수 있는 순서인 것은 아니며, 임의의 기술된 단계는 생략될 수 있고/있거나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단계가 그 방법에 부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왼쪽", "오른쪽", "앞", "뒤", "상부", "바닥", "위에", "아래에" 등의 용어는, 만약 있다면,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반드시 불변의 상대적 위치를 기술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연결된"은 전기적 또는 비 전기적 방식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기술된 대상은, 그 문구가 사용되는 문맥에 대해 적절하게,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동일한 일반적 범위 또는 영역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일실시예에서"라는 문구의 존재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동일한 실시예를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연결된다', '연결하는', '체결된다', '체결하는', '결합된다', '결합하는'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를 통해 개시된 모든 실시예들과 조건부 예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이해하도록 돕기 위한 의도로 기술된 것으로, 당업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카테터 110 : 관형 튜브
200 : 카테터 결합 구조물 210 : 인공호흡 연통부
211 : 제1포트 212 : 제2포트
213 : 제3포트 220 : 관통통로 개폐부
221 : 관통 통로 222 : 개폐 밸브
223 : 개폐 밸브 작동 부재 223-1 : 개폐 밸브 접촉 부재
223-2 : 탄성 부재 224 : 결합단부
300 : 세척 부재 1000 : 카테터 장치

Claims (20)

  1. 관형 튜브를 갖는 카테터에 결합되는 카테터 결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결합 구조물은,
    환자의 인공 호흡을 위한 인공호흡 연통부; 및
    상기 관형 튜브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통로를 포함하되, 상기 인공호흡 연통부 내에 결합되면서 상기 관통 통로가 개폐되도록 하는 관통통로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통로 개폐부는,
    상기 관통 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인공호흡 연통부 측으로 전진하는 상기 관형 튜브에 의해 상기 관통 통로가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관통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 밸브의 상단에 접촉되며,
    상기 개폐 밸브의 상단에 접촉하는 개폐 밸브 접촉 부재와 상기 관통통로 개폐부의 결합 단부의 홈에서 상기 개폐 밸브 접촉 부재와 접촉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관형 튜브가 상기 인공호흡 연통부로부터 후퇴 복귀될 때 상기 개폐 밸브 접촉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복귀되는 상기 관형 튜브가 상기 관통 통로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관통 통로를 차단하여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개폐 밸브 작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단부는, 상기 인공호흡 연통부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인공호흡 연통부의 포트 주위로 끼워지도록 돌출되어 구성되고, 돌출된 결합 단부의 홈에서 상기 개폐 밸브 접촉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결합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관형 튜브가 상기 관통 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인공호흡 연통부 측으로 전진할 경우에는, 상기 관형 튜브가 전진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개폐 밸브 접촉 부재를 이동시키며,
    상기 관형 튜브가 상기 인공호흡 연통부로부터 후퇴 복귀될 때 복귀되는 상기 관형 튜브가 상기 관통 통로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관형 튜브가 복귀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개폐 밸브 접촉 부재를 이동시키는 카테터 결합 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호흡 연통부는,
    환자의 인공 기도와의 연통을 위한 제1포트;
    인공호흡기와의 연통을 위한 제2포트; 및
    상기 관통통로 개폐부가 결합되는 제3포트;
    를 포함하는 카테터 결합 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통로 개폐부는,
    상기 관통 통로가 상기 제3포트 내에 위치됨과 함께 상기 제3포트를 완전 밀봉하도록 상기 인공호흡 연통부 내에 결합되는 카테터 결합 구조물.
  9. 환자의 인공 기도 속으로 삽입되면서 진공원에 의한 진공압이 가해지는 관형 튜브를 갖는 카테터에 결합되는 카테터 결합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결합 구조물은,
    환자의 인공 호흡을 위한 인공호흡 연통부; 및
    상기 관형 튜브를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 통로를 포함하되 상기 관통 통로가 개폐되도록 하는 관통통로 개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통로 개폐부는,
    상기 관통 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인공호흡 연통부 측으로 전진하는 상기 관형 튜브에 의해 상기 관통 통로가 개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관통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 밸브의 상단에 접촉되며,
    상기 개폐 밸브의 상단에 접촉하는 개폐 밸브 접촉 부재와 상기 관통통로 개폐부의 결합 단부의 홈에서 상기 개폐 밸브 접촉 부재와 접촉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관형 튜브가 상기 인공호흡 연통부로부터 후퇴 복귀될 때 상기 개폐 밸브 접촉 부재와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복귀되는 상기 관형 튜브가 상기 관통 통로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관통 통로를 차단하여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개폐 밸브 작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단부는, 상기 인공호흡 연통부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상기 인공호흡 연통부의 포트 주위로 끼워지도록 돌출되어 구성되고, 돌출된 결합 단부의 홈에서 상기 개폐 밸브 접촉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결합 구조물.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관형 튜브가 상기 관통 통로를 통과하여 상기 인공 기도 측으로 전진할 경우에는, 상기 관형 튜브가 전진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개폐 밸브 접촉 부재를 이동시키며,
    상기 인공 기도로부터 상기 진공원 측으로 상기 관형 튜브가 후퇴 복귀될 때 복귀되는 상기 관형 튜브가 상기 관통 통로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관형 튜브가 복귀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개폐 밸브 접촉 부재를 이동시키는 카테터 결합 구조물.
  15. 환자의 인공 기도 속으로 삽입되는 관형 튜브를 가지며, 상기 관형 튜브에 진공압을 가하여 환자로부터 유체를 제거하는 카테터;
    상기 카테터에 결합되는 제1항 및 제6항 내지 제9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카테터 결합 구조물; 및
    상기 관형 튜브를 세척하는 세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카테터는 상기 카테터의 관형 튜브와 분사 포트의 분사구 사이에 상기 관형 튜브가 복귀시 상기 분사구에 근접하도록 소정의 크기의 공간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는,
    상기 관형 튜브를 세척하는 세척부재를 더 포함하는 카테터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재는, 상기 관통통로 개폐부에 의해 상기 관통 통로가 차단 폐쇄될 때 상기 관형 튜브를 세척하는 카테터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재는, 상기 관형 튜브의 일단부에 진공압을 가하여 상기 관형 튜브를 세척하는 카테터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재는, 상기 관형 튜브에 대하여 세척 용액을 분사하여 상기 관형 튜브를 세척하는 카테터 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는, 상기 관형 튜브를 둘러싸는 튜브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카테터 장치.
KR1020150186492A 2015-12-24 2015-12-24 카테터 결합 구조물 및 카테터 장치 KR101787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492A KR101787040B1 (ko) 2015-12-24 2015-12-24 카테터 결합 구조물 및 카테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6492A KR101787040B1 (ko) 2015-12-24 2015-12-24 카테터 결합 구조물 및 카테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909A KR20170076909A (ko) 2017-07-05
KR101787040B1 true KR101787040B1 (ko) 2017-10-19

Family

ID=59352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6492A KR101787040B1 (ko) 2015-12-24 2015-12-24 카테터 결합 구조물 및 카테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70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9861B1 (ko) * 2018-05-30 2020-05-1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두 개의 분리된 근위부를 가진 광간섭성 브레인 카테터, 및 그 이용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2361A (en) 1997-09-12 2000-07-04 Morejon; Orlando Endotracheal tube cleaning apparatus
JP2004525669A (ja) 2000-12-21 2004-08-26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抗菌チャンバをもつ呼吸用の吸引カテーテル装置
KR100701116B1 (ko) 1999-12-23 2007-03-29 발라드 메디컬 프로덕츠 시일과 밸브를 구비한 기관내 카테테르와 다기관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2361A (en) 1997-09-12 2000-07-04 Morejon; Orlando Endotracheal tube cleaning apparatus
KR100701116B1 (ko) 1999-12-23 2007-03-29 발라드 메디컬 프로덕츠 시일과 밸브를 구비한 기관내 카테테르와 다기관 조립체
JP2004525669A (ja) 2000-12-21 2004-08-26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ワールドワイ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抗菌チャンバをもつ呼吸用の吸引カテーテ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909A (ko) 2017-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2703B1 (ko) 인공 기도 구조물과 분리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 호흡을 위한 흡입 카테터 장치
KR101055132B1 (ko) 기구도입부와 매니폴드를 구비한 호흡장치
KR101092805B1 (ko) 호흡기구와 해제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형성된 도입부를 구비한 호흡장치
US6543451B1 (en) Endotracheal catheter and manifold assembly with improved seal and valve
EP3151898B1 (en) Clean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5139018A (en) Patient ventilating apparatus with aspirating catheter
RU2506962C2 (ru) Адаптер для отсасывающего катетера закрытого типа с промывочным приспособлением
CN107921228B (zh) 正压面罩及相关接合器、设备和方法
US5664594A (en) Cleaning device for ventilator manifold and method of use thereof
CN110312492A (zh) 人造气道管理设备、系统和方法
KR101723969B1 (ko)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
KR101787040B1 (ko) 카테터 결합 구조물 및 카테터 장치
KR101729027B1 (ko) 착탈식 카테터 구조체
KR20170113381A (ko) 카테터 가이드 구조체
JPH04802Y2 (ko)
KR20180033039A (ko) 착탈식 카테터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