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591B1 - 범용 코드를 활용한 단체급식용 식자재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범용 코드를 활용한 단체급식용 식자재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591B1
KR101786591B1 KR1020160157907A KR20160157907A KR101786591B1 KR 101786591 B1 KR101786591 B1 KR 101786591B1 KR 1020160157907 A KR1020160157907 A KR 1020160157907A KR 20160157907 A KR20160157907 A KR 20160157907A KR 101786591 B1 KR101786591 B1 KR 101786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product
food material
information
gen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시스
Priority to KR1020160157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5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코드를 활용한 단체급식용 식자재 유통 관리 시스템은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로부터 업로드된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에 포함된 업체 고유 상품 코드에 대응되는 범용 코드(Universal Key)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범용 코드를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에 발급하는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 정보에 대한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상품 정보에 대한 업로드 요청에 따라 상기 범용 코드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상품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상품 홍보/주문 시스템; 및 상기 상품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범용 코드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각각의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에 배포하는 상품 정보 배포 시스템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범용 코드를 활용한 단체급식용 식자재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FOOD RESOURCE MARKETING SYSTEM AND METHOD FOR INSTITUTIONAL FOOD SERVICE USING UNIVERSAL KEY}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식자재 유통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범용 코드를 활용한 단체급식용 식자재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급식이라 함은 학교, 공장, 병원 등에서 학생, 종업원, 환자 등에 식사를 제공하는 일 또는 식사, 즉 가정 밖의 일정한 장소에서 비영리로 특정한 이용자를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식사를 제공하는 것을 말하는데, 학생들에게 영양적으로 균형을 이룬 음식물을 섭취하게 함으로써 심신의 건전한 발달을 도모하는 학교급식, 직장 종업원의 노동력 증진이나 직업병 예방을 고려한 음식을 준비하는 직장급식, 입원환자의 치료효과를 높이고 질병치료에 부합되는 음식을 제공하는 병원급식 등의 다양한 형태의 급식이 있다.
특히, 학교급식은 성장기 아동에게 균형적인 영양을 공급, 체력을 향상시켜 아동의 심신발달이 건전해지고 지역사회와 국민 식생활 개선에 도움이 되는 음식을 선택해야 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급식형태가 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며, 최근의 학교급식 실시율은 초등학교에서는 거의 100%에 육박하고 있다.
이러한 학교급식은 가정에서의 식사와는 달리 규모가 큰 대량급식으로 식단, 급식비, 시간과 일손, 시설과 설비 등의 제약과 위생관리의 문제점 등으로 인해 많은 결함을 내포하고 있으며, 그 예로서는 식단에 변화가 없거나 맛이 좋지 않을 경우가 있으며, 여름철에는 위생관리 및 식자재의 유통기한 이행을 철저히 하지 않을 경우 집단 식중독을 일으킬 염려가 있으므로 매우 주의를 요구한다.
영양사는 학교 급식 관리상 가장 중요한 영양면, 경제면, 조리면, 작업면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식단을 작성하되, 식단의 주기는 보통 8∼12일로 정하여 같은 요일에 같은 음식이 제공되지 않고 변화를 주어야 하며, '한국인 영양 권장량'에 의한 영양을 고려하여야 함은 물론, 식자재의 구입 및 관리를 철저히 하여 유통기한을 넘기거나 부패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그런데, 식자재가 유통되는 단계가 워낙 많고 복잡하여 종래에는 대기업의 경우 각자 단독 주문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타 시스템과의 호환이 되지 않았고, 중소기업들은 별도의 시스템이 없거나 전화/팩스/대면영업 등의 전통적인 방법으로 주문관리 및 상품홍보를 하였으며, 이는 매우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오류도 많았다.
이에, 수만 가지의 식자재를 효율적으로 식별하고 이를 상품의 홍보 및 주문 시스템에 적용하여 상품 홍보 확대 및 주문 자동화를 가능하도록 하는 범용 코드 관리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0563호(발명의 명칭: 식자재 유통 시스템 및 방법, 공개일자: 2009.01.08)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범용 코드 관리 기술을 채용하여 수만 가지의 식자재를 효율적으로 식별하고, 이를 상품의 홍보 및 주문 시스템에 적용하여 상품 홍보 확대 및 주문 자동화를 가능하도록 하는 범용 코드를 활용한 단체급식용 식자재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코드를 활용한 단체급식용 식자재 유통 관리 시스템은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로부터 업로드된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에 포함된 업체 고유 상품 코드에 대응되는 범용 코드(Universal Key)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범용 코드를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에 발급하는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 정보에 대한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상품 정보에 대한 업로드 요청에 따라 상기 범용 코드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상품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상품 홍보/주문 시스템; 및 상기 상품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범용 코드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각각의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에 배포하는 상품 정보 배포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는 상기 상품 정보 각각에 포함된 해당 범용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에 접속하여 해당 식자재 공급업체의 업체 고유 상품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업체 고유 상품 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상기 상품 홍보/주문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은 상기 상품 정보에서 상기 업체 고유 상품 코드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들로 구성된 코드 매핑 테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범용 코드는 상기 코드 매핑 테이블을 구성하는 상기 나머지 정보들의 조합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은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 및 상기 각각의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와의 연동을 위한 오픈 API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각각의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로부터의 주문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주문 처리 시스템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 상기 각각의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는 상기 상품 정보 각각에 포함된 해당 범용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 홍보/주문 시스템에 접속하여 해당 식자재 공급업체의 업체 고유 상품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업체 고유 상품 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상기 상품 홍보/주문 시스템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범용 코드는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에서 신규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생성 시에 발급될 수 있다.
상기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은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신규 상품이 아닌 기존 상품에 관한 상품 정보인 경우, 해당 기존 상품의 가격 히스토리 정보를 활용하여 생성된 고유 키를 상기 각각의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업체 고유 상품 코드들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고유 키와 유사한 업체 고유 상품 코드에 대응되는 상품과 상기 해당 기존 상품을 동일 상품으로 상기 코드 매핑 테이블에 매핑할 수 있다.
상기 상품 홍보/주문 시스템은 상기 범용 코드를 이용하여 식자재 도매 쇼핑몰 사이트 및 단체급식 주문 사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타 온라인 사이트와 연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코드를 활용한 단체급식용 식자재 유통 관리 방법은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에서,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로부터 업로드된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에 포함된 업체 고유 상품 코드에 대응되는 범용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생성된 범용 코드를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에 발급하는 단계; 상품 홍보/주문 시스템에서,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 정보에 대한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 홍보/주문 시스템에서, 상기 상품 정보에 대한 업로드 요청에 따라 상기 범용 코드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상품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및 상품 정보 배포 시스템에서, 상기 상품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범용 코드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각각의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에 배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코드를 활용한 단체급식용 식자재 유통 관리 방법은 상기 각각의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에서, 상기 상품 정보 각각에 포함된 해당 범용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에 접속하여 해당 식자재 공급업체의 업체 고유 상품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에서, 상기 획득된 업체 고유 상품 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상기 상품 홍보/주문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용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 정보에서 상기 업체 고유 상품 코드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들로 코드 매핑 테이블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코드 매핑 테이블을 구성하는 상기 나머지 정보들의 조합을 통하여 상기 범용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범용 코드 관리 기술을 채용하여 수만 가지의 식자재를 효율적으로 식별하고, 이를 상품의 홍보 및 주문 시스템에 적용하여 상품 홍보 확대 및 주문 자동화를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식품 제조사나 대리점 등의 식자재 공급업체에서 최종 납품까지 이어지는 수많은 복잡한 유통 단계를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체급식의 획기적인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코드를 활용한 단체급식용 식자재 유통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코드 매핑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코드를 활용한 단체급식용 식자재 유통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코드를 활용한 단체급식용 식자재 유통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110)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코드 매핑 테이블(220)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코드를 활용한 단체급식용 식자재 유통 관리 시스템(100)은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110), 상품 홍보/주문 시스템(120), 및 상품 정보 배포 시스템(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110)은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101)로부터 업로드(upload)된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에 포함된 업체 고유 상품 코드에 대응되는 범용 코드(Universal Key)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110)은 상기 생성된 범용 코드를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101)에 발급한다.
여기서, 상기 상품 정보는 상기 업체 고유 상품 코드를 포함함과 더불어 상품명, 제조사(브랜드), 대리점(지역), 상품 가격, 상품 수량, 상품 규격, 원산지 등 상품에 대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101)는 서버 컴퓨터뿐만 아니라 일반 PC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범용 코드는 업체(식자재 공급업체: 제조사, 대리점 등)별로 상품 코드가 서로 달라 유통 과정에서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도입된 용어이다. 종래에는 식자재가 유통되는 단계가 워낙 많고 복잡하여 수만 가지의 식자재를 효율적으로 식별하고 유통하기에는 매우 비효율적인 면이 있었다.
특히, 대기업의 경우에는 각자 단독 주문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여 타 시스템과는 호환이 되지 않았고, 중소기업들은 별도의 시스템이 없거나 전화, 팩스, 대면영업 등의 전통적인 방법으로 주문 관리 및 상품 홍보를 하였으며, 이는 매우 비효율적이고 오류도 많았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업체별로 상품 코드가 서로 달라 수만 가지에 달하는 식자재의 식별이 어려워 유통 과정에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해소하기 위해, 업체별로 서로 다르게 사용하는 상품 코드인 업체 고유 상품 코드에 매칭하여, 모든 식자재 공급업체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품 코드인 상기 범용 코드를 생성하고 발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 API 인터페이스부(210), 코드 매핑 테이블(220), 범용 코드 생성부(230), 및 범용 코드 발급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픈 API 인터페이스부(210)는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101) 및 상기 각각의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102)와의 연동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102)는 서버 컴퓨터뿐만 아니라 일반 PC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오픈 API 인터페이스부(210)는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101) 및 상기 각각의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102)가 상기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110)과 연동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로서 작용함으로써, 상기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110)이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101) 및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102)에 다양한 유통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코드 매핑 테이블(220)은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101)로부터 업로드된 상품 정보에서 상기 업체 고유 상품 코드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110)은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101)로부터 상품 정보가 업로드되는 경우, 상기 업로드된 상품 정보에서 상기 업체 고유 상품 코드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들, 예를 들면 상품명, 제조사(브랜드), 대리점(지역), 상품 가격, 상품 수량, 상품 규격, 원산지 등의 상품 정보들로 상기 코드 매핑 테이블(22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범용 코드 생성부(230)는 상기 코드 매핑 테이블(220)을 구성하는 상기 나머지 정보들을 조합하여 상기 범용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범용 코드는 상기 코드 매핑 테이블(220)에 저장되어 있는 상품명, 제조사(브랜드), 대리점(지역), 상품 가격, 상품 수량, 상품 규격, 원산지 등의 상품 정보들의 조합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드 매핑 테이블(220)은 업체 고유 상품 코드, 제조사(브랜드), 대리점(지역), 상품 코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범용 코드 생성부(230)는 상기 업체 고유 상품 코드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들, 즉 상기 제조사(브랜드), 대리점(지역), 상품 코드 등의 조합을 통해 상기 범용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품 코드는 동일 상품에 대해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값으로서, 상기 코드 매핑 테이블(220)이 구성되기 전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도 3의 예시에서, 상기 코드 매핑 테이블(220)을 구성하는 업체 고유 상품 코드, 제조사(브랜드), 대리점(지역), 상품 코드 등의 정보가 각각 '001', '011', '012', '00121' 이므로, 상기 범용 코드 생성부(230)는 상기 업체 고유 상품 코드인 '001'을 제외하고 나머지 '011', '012', '00121'을 조합하여 범용 코드 '01101200121'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범용 코드 발급부(240)는 상기 범용 코드 생성부(230)에 의해 생성된 범용 코드를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101)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는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101)를 통해 상기 범용 코드를 발급받게 된다.
여기서, 상기 범용 코드는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101)에서 신규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생성 시에 발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101)는 신규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생성할 때 상기 오픈 API 인터페이스부(210)를 통해 상기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110)과 연동하여 신규 상품 정보의 생성 관련 신호를 상기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11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110)은 상기 신규 상품의 생성 관련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신규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가 생성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신규 상품의 업체 고유 상품 코드에 대응(매칭)되는 해당 범용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신규 상품이 아닌 기존 상품의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처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101)에 등록되어 있는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신규 상품이 아닌 기존 상품에 관한 상품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110)은 해당 기존 상품의 가격 히스토리 정보를 활용하여 고유 키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고유 키를 상기 각각의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102)에 등록되어 있는 업체 고유 상품 코드들과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 상품인 A 고추장의 8월 가격은 80원, 9월 가격은 90원, 10월 가격은 100원이라고 할 때, A 고추장의 가격 히스토리 정보인 80원, 90원, 100원을 활용하여 '8090100'의 고유 키를 생성하고 이를 상품 코드로 인식하며, 상기 각각의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102)에 등록되어 있는 A 고추장의 업체 고유 상품 코드를 상품 코드 '8090100'와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고유 키가 상기 각각의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102)에 등록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업체 고유 상품 코드와 유사하면, 상기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110)은 상기 고유 키와 유사한 업체 고유 상품 코드에 대응되는 상품과 해당 기존 상품을 동일 상품으로 상기 코드 매핑 테이블(220)에 매핑(mapping)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유 키와 상기 업체 고유 상품 코드 간의 유사성 여부는 미리 정해진 개수 이상의 키 값이 일치하는지 여부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고유 키와 상기 업체 고유 상품 코드 간에 키 값이 연속으로 3개 이상 동일한 경우, 상기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110)은 상기 고유 키와 상기 업체 고유 상품 코드가 서로 유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상품 홍보/주문 시스템(120)은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101)로부터 상기 상품 정보에 대한 업로드 요청을 수신한다. 상기 상품 홍보/주문 시스템(120)은 상기 상품 정보에 대한 업로드 요청에 따라 상기 범용 코드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상품 관리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등록한다.
상기 상품 홍보/주문 시스템(120)은 상기 범용 코드를 이용하여 식자재 도매 쇼핑몰 사이트 및 단체급식(학교급식, 병원급식 등) 주문 사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타 온라인 사이트(103)와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상품 정보 배포 시스템(130)은 상기 상품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범용 코드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각각의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102)에 배포한다.
이에 따라, 상기 각각의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102)는 상기 상품 정보 각각에 포함된 해당 범용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110)에 접속하여 해당 식자재 공급업체의 업체 고유 상품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업체 고유 상품 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상기 상품 홍보/주문 시스템(1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상품(단체급식용 식자재)에 대한 주문 처리 등이 상기 범용 코드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단체급식용 식자재의 유통 관리에 대한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101)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각각의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102)로부터의 주문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주문 처리 시스템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는 주로 전화, 팩스, 대면영업 등의 전통적인 방법을 이용하는 중소기업 등이 해당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각각의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102)는 상기 상품 정보 각각에 포함된 해당 범용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 홍보/주문 시스템(120)에 접속하여 해당 식자재 공급업체의 업체 고유 상품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업체 고유 상품 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상기 상품 홍보/주문 시스템(12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범용 코드를 활용한 단체급식용 식자재 유통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단계(410)에서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101)는 상품 정보를 식자재 유통 관리 시스템(100)에 업로드한다.
다음으로, 단계(420)에서 상기 식자재 유통 관리 시스템(100)의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110)은 상기 업로드된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에 포함된 업체 고유 상품 코드에 대응되는 범용 코드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단계(510)에서 상기 식자재 유통 관리 시스템(100)의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110)은 상기 상품 정보에서 상기 업체 고유 상품 코드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들로 코드 매핑 테이블을 구성한다. 이후, 단계(520)에서 상기 식자재 유통 관리 시스템(100)의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110)은 상기 코드 매핑 테이블을 구성하는 상기 나머지 정보들의 조합을 통하여 상기 범용 코드를 생성한다.
다음으로, 단계(430)에서 상기 식자재 유통 관리 시스템(100)의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110)은 상기 생성된 범용 코드를 상기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101)에 발급한다. 참고로, 도 4의 단계(410) 내지 단계(430)은 도 6의 ①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단계(440)에서 상기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101)는 상기 상품 정보에 대한 업로드를 요청한다(도 6의 ② 참조). 이에 따라, 상기 식자재 유통 관리 시스템(100)의 상품 홍보/주문 시스템(120)은 상기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101)로부터 상기 상품 정보에 대한 업로드 요청을 수신한다.
다음으로, 단계(450)에서 상기 식자재 유통 관리 시스템(100)의 상품 홍보/주문 시스템(120)은 상기 상품 정보에 대한 업로드 요청에 따라 상기 범용 코드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상품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
다음으로, 단계(460)에서 상기 식자재 유통 관리 시스템(100)의 상품 정보 배포 시스템(130)은 상기 상품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범용 코드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상기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102)에 배포한다(도 6의 ③ 참조).
다음으로, 단계(470)에서 상기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102)는 상기 상품 정보 각각에 포함된 해당 범용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식자재 유통 관리 시스템(100)의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110)에 접속한다.
다음으로, 단계(480)에서 상기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102)는 해당 식자재 공급업체(101)의 업체 고유 상품 코드를 획득한다. 참고로, 도 4의 단계(470) 내지 단계(480)은 도 6의 ④에 해당한다.
다음으로, 단계(490)에서 상기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102)는 상기 획득된 업체 고유 상품 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상기 식자재 유통 관리 시스템(100)의 상품 홍보/주문 시스템(120)에 전송하여 해당 상품을 주문한다(도 6의 ⑤ 참조).
구체적으로, 도 6의 ⑤에서와 같이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101)가 당사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102)(당사 및 타사 포함)는 상기 상품 정보 각각에 포함된 해당 범용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 홍보/주문 시스템(120)에 접속하여 당사 식자재 공급업체의 업체 고유 상품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업체 고유 상품 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상기 상품 홍보/주문 시스템(120)에 전송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101)가 타사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102)(당사 및 타사 포함)는 타사의 해당 상품에 대한 업체 고유 상품 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상기 타사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101)에 직접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1: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
102: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
103: 타 온라인 사이트
110: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
120: 상품 홍보/주문 시스템
130: 상품 정보 배포 시스템
210: 오픈 API 인터페이스부
220: 코드 매핑 테이블
230: 범용 코드 생성부
240: 범용 코드 발급부

Claims (11)

  1.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로부터 업로드된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에 포함된 업체 고유 상품 코드에 대응되는 범용 코드(Universal Key)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범용 코드를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에 발급하는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 정보에 대한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상품 정보에 대한 업로드 요청에 따라 상기 범용 코드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상품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상품 홍보/주문 시스템; 및
    상기 상품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범용 코드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각각의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에 배포하는 상품 정보 배포 시스템
    을 포함하고,
    상기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은
    동일 상품에 대하여 각 업체별로 서로 다르게 사용하는 상품 코드인 상기 업체 고유 상품 코드에 매칭하여, 모든 식자재 공급업체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품 코드로서 상기 범용 코드를 생성하고 발급하며,
    상기 각각의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는
    상기 상품 정보 각각에 포함된 해당 범용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에 접속하여 해당 식자재 공급업체의 업체 고유 상품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업체 고유 상품 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상기 상품 홍보/주문 시스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코드를 활용한 단체급식용 식자재 유통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은
    상기 상품 정보에서 상기 업체 고유 상품 코드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들로 구성된 코드 매핑 테이블
    을 포함하고,
    상기 범용 코드는
    상기 코드 매핑 테이블을 구성하는 상기 나머지 정보들의 조합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코드를 활용한 단체급식용 식자재 유통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은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 및 상기 각각의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와의 연동을 위한 오픈 API 인터페이스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코드를 활용한 단체급식용 식자재 유통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각각의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로부터의 주문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주문 처리 시스템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
    상기 각각의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는
    상기 상품 정보 각각에 포함된 해당 범용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 홍보/주문 시스템에 접속하여 해당 식자재 공급업체의 업체 고유 상품 코드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업체 고유 상품 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상기 상품 홍보/주문 시스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코드를 활용한 단체급식용 식자재 유통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코드는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에서 신규 상품에 대한 상품 정보를 생성 시에 발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코드를 활용한 단체급식용 식자재 유통 관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은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상품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신규 상품이 아닌 기존 상품에 관한 상품 정보인 경우, 해당 기존 상품의 가격 히스토리 정보를 활용하여 생성된 고유 키를 상기 각각의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업체 고유 상품 코드들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개수 이상의 키 값이 일치하는지 여부에 의해 상기 고유 키와 상기 업체 고유 상품 코드 간의 유사성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고유 키와 유사한 업체 고유 상품 코드에 대응되는 상품과 상기 해당 기존 상품을 동일 상품으로 코드 매핑 테이블에 매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코드를 활용한 단체급식용 식자재 유통 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홍보/주문 시스템은
    상기 범용 코드를 이용하여 식자재 도매 쇼핑몰 사이트 및 단체급식 주문 사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타 온라인 사이트와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코드를 활용한 단체급식용 식자재 유통 관리 시스템.
  9.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에서,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로부터 업로드된 상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품 정보에 포함된 업체 고유 상품 코드에 대응되는 범용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생성된 범용 코드를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에 발급하는 단계;
    상품 홍보/주문 시스템에서,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로부터 상기 상품 정보에 대한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품 홍보/주문 시스템에서, 상기 상품 정보에 대한 업로드 요청에 따라 상기 범용 코드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상품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단계;
    상품 정보 배포 시스템에서, 상기 상품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상기 범용 코드를 포함하는 상품 정보를 각각의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에 배포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에서, 상기 상품 정보 각각에 포함된 해당 범용 코드를 이용하여 상기 범용 코드 관리 시스템에 접속하여 해당 식자재 공급업체의 업체 고유 상품 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식자재 납품업체 서버에서, 상기 획득된 업체 고유 상품 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상품에 대한 주문 정보를 상기 상품 홍보/주문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범용 코드를 상기 각각의 식자재 공급업체 서버에 발급하는 단계는
    동일 상품에 대하여 각 업체별로 서로 다르게 사용하는 상품 코드인 상기 업체 고유 상품 코드에 매칭하여, 모든 식자재 공급업체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품 코드로서 상기 범용 코드를 생성하고 발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코드를 활용한 단체급식용 식자재 유통 관리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범용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품 정보에서 상기 업체 고유 상품 코드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들로 코드 매핑 테이블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코드 매핑 테이블을 구성하는 상기 나머지 정보들의 조합을 통하여 상기 범용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코드를 활용한 단체급식용 식자재 유통 관리 방법.
KR1020160157907A 2016-11-25 2016-11-25 범용 코드를 활용한 단체급식용 식자재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786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907A KR101786591B1 (ko) 2016-11-25 2016-11-25 범용 코드를 활용한 단체급식용 식자재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907A KR101786591B1 (ko) 2016-11-25 2016-11-25 범용 코드를 활용한 단체급식용 식자재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6591B1 true KR101786591B1 (ko) 2017-10-18

Family

ID=60296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907A KR101786591B1 (ko) 2016-11-25 2016-11-25 범용 코드를 활용한 단체급식용 식자재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59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911B1 (ko) 2018-04-09 2019-05-08 주식회사 우리요 빅데이터를 활용한 식자재 유통시스템
KR102125188B1 (ko) 2020-03-31 2020-06-22 곽양윤 식당에게 추천 축산물 및 축산물 견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38017B1 (ko) * 2019-05-16 2020-07-27 이원석 식자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83043B1 (ko) 2020-03-18 2020-11-25 주식회사 니즈 식자재의 유통기한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20131779A (ko) 2021-03-22 2022-09-29 김다인 음식 식자재 이력과 조리 유통 과정의 실시간 영상 확인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911B1 (ko) 2018-04-09 2019-05-08 주식회사 우리요 빅데이터를 활용한 식자재 유통시스템
KR102138017B1 (ko) * 2019-05-16 2020-07-27 이원석 식자재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83043B1 (ko) 2020-03-18 2020-11-25 주식회사 니즈 식자재의 유통기한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125188B1 (ko) 2020-03-31 2020-06-22 곽양윤 식당에게 추천 축산물 및 축산물 견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220131779A (ko) 2021-03-22 2022-09-29 김다인 음식 식자재 이력과 조리 유통 과정의 실시간 영상 확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591B1 (ko) 범용 코드를 활용한 단체급식용 식자재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70293984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consumer profiling in support of food-related activities
US20230169461A9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Managing Inventory Associated With a Facility
Kretser et al. A partnership for public health: USDA branded food products database
KR102000788B1 (ko) 인테리어 상품 실시간 견적 방법
US8010375B2 (en) Object model for global trade applications
AU2015101887A4 (en) Online shopping system and method
CN104008198A (zh) 一种套餐比价的实现方法
KR101230019B1 (ko) 인터넷 쇼핑몰의 상품 정보 연동 시스템 및 그 방법
US7870008B2 (en) System for commercial food management
CN105631589A (zh) 基于Android学校餐饮定量管理方法
KR20190050304A (ko) 판촉물 쇼핑몰 운용 방법 및 그 서버
Chen et al. Ebook record management at The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US20020111880A1 (en) Method of facilitating electronic commerce over a computer network
Chen et al. Applying dramaturgy theory in computer maintenance services
KR20210128824A (ko) 식재료 가공 음식의 온라인 판매 방법 및 시스템
Faulkner et al. Local food procurement by hospitals: a scoping review
Van Birgelen et al. The added value of web innovation for customer satisfaction: Experiences with a barbeque catering service
KR102585096B1 (ko) 제품 컨텐츠 제작 기법을 활용한 쇼핑몰 광고 시스템
WO2024109558A1 (zh) 推荐数据的处理方法、推荐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Jeon et al. Customers’ Cue Utilization in Delivery Restaurant Selection and Its Changes With Different Health Risks
KR20090000765A (ko) 음반의 비 타이틀 곡의 온라인 사이트 유통 촉진시스템
CN108960471B (zh) 一种数字菜盘开发方法及系统
Branch et al. A Whirlwind of Change Data: How Libraries and Vendors Translate Data Into Discovery and Access
Bukie Repositioning the Logistic Industry for Effective Service Delivery in Nigeria: A Case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