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521B1 - 초고압 차단기 - Google Patents

초고압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521B1
KR101786521B1 KR1020130077405A KR20130077405A KR101786521B1 KR 101786521 B1 KR101786521 B1 KR 101786521B1 KR 1020130077405 A KR1020130077405 A KR 1020130077405A KR 20130077405 A KR20130077405 A KR 20130077405A KR 101786521 B1 KR101786521 B1 KR 101786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ompression
movable
fixed
compression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7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4211A (ko
Inventor
연만승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77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6521B1/ko
Priority to US14/286,785 priority patent/US9147539B2/en
Priority to EP14171116.8A priority patent/EP2822017B1/en
Priority to ES14171116.8T priority patent/ES2567562T3/es
Priority to CN201410313209.3A priority patent/CN104282484B/zh
Publication of KR20150004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72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having stationary parts for directing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e.g. arc-extinguishing chamber
    • H01H33/74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having stationary parts for directing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e.g. arc-extinguishing chamber wherein the break is in g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88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 H01H33/9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 H01H33/905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the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being produced or increased by movement of pistons or other pressure-producing parts this movement being effected by or in conjunction with the contact-operating mechanism the compression volume being formed by a movable cylinder and a semi-mobile pis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70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 H01H33/7015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characterised by flow directing elements associated with contacts
    • H01H33/7084Switches with separate means for directing, obtaining, or increasing flow of arc-extinguishing fluid characterised by flow directing elements associated with contacts characterised by movable parts influencing the gas flow

Landscapes

  • Circuit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압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압부재에 의해 차단기 팽창실의 체적을 조절함으로써 차단성능을 향상시키고 내구성을 증진시키도록 하는 초고압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압 차단기 소호부 구조는 고정 아크접촉자와 고정접촉자를 포함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가동 아크접촉자와 가동접촉자를 포함하는 가동부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가동부는 고정실린더; 상기 고정실린더 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압축실린더; 상기 압축실린더에 관통 결합되어 조작기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가동로드; 상기 압축실린더의 내측 바닥부에 설치되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팽창실의 압력에 따라 상기 압축실린더 내에서 상하이동하는 압축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초고압 차단기{High Voltage Gas Circuit Breaker}
본 발명은 초고압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압부재에 의해 차단기 팽창실의 체적을 조절함으로써 차단성능을 향상시키고 내구성을 증진시키도록 하는 초고압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고압 차단기(High Voltage Gas Circuit Breaker) 혹은 초고압 가스절연개폐장치(High Voltage Gas Insulated Swichgear)는 전기계통의 전원측과 부하측간의 회로 사이에 설치되어 정상적인 전류상태에서 인위적으로 회로를 개폐하거나 회로상에 지락이나 단락 등 이상전류가 발생하였을 때 전류를 안전하게 차단하여 전력계통 및 부하기기를 보호하는 전기기기이다. 초고압 차단기는 외부에 연결된 조작기에서 전달되는 동력을 받아 전극을 분리하고 이때 접점 사이에서 발생하는 아크(Arc)는 SF6 등의 가스를 분사하여 차단 및 소호를 하게 된다.
초고압 차단기는 차단부(소호부)의 구성과 차단방식에 따라 크게 파퍼(Puffer) 방식과 복합소호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파퍼 방식은 압축된 열가스에 의해 아크를 소호하는 방식이며, 복합 소호 차단방식은 기존의 파퍼 방식과 열팽창 방식을 혼합한 차단방식이다. 복합 소호 차단방식에 있어서, 소전류 차단시는 압축된 가스로 아크를 소호하는 파퍼 방식과 동일하지만, 대전류 차단시는 아크 에너지에 의해 팽창된 열가스(heat gas)를 아크 소호에 활용하여 차단하게 된다.
도 1에 종래기술에 따른 파퍼방식 차단기의 작동 원리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다. 도 1(a)는 투입상태, 도 1(b)는 개극 직전 상태, 도 1(c)는 소호 상태, 도 1(d)는 개로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차단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아크 접촉자(1), 노즐(2), 고정 접촉자(3), 가동아크 접촉자(4), 압축실(5), 가동 접촉자(6), 고정 피스톤(7), 실린더 로드(8)가 구비된다.
상기 차단기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투입상태로부터 외부의 동력원으로부터 조작력에 의해 실린더로드(8)가 도 1(b)와 같이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실린더로드(8)와 가동접촉자(6) 및 노즐(2)도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압축실(5)내의 가스가 압축된다. 소호 상태(도 1(c))에서는 압축실(5)내에서 압축된 소호 가스(SF6)가 노즐(2)을 통해 분사되어 아크를 불어내어 냉각 소호하게 된다. 이후, 실린더로드(8)가 하방으로 더욱 이동하므로써 고정아크 접촉자(1)와 가동아크 접촉자(4)는 개리 상태로 된다(도 1(d)).
도 2에 종래기술에 따른 복합소호 방식 차단기의 작동원리가 도시되어 있다.
차단기는 조작기와 연결된 가동로드(11), 가동 주접점(12), 가동 아크접점(13), 주노즐(14), 보조노즐(15)으로 구성되는 가동 전극, 그리고 고정 주접점(16)과 고정 아크접점(17)으로 구성되는 고정 전극이 있다. 또한, 가동 전극이 이동함에 따라 소호용 가스를 압축하는 압축실(18)이 있으며 접점 분리시 발생하는 아크에 의한 가스의 팽창을 위한 팽창실(19)이 형성되어 있다. 주노즐(14)과 보조노즐(15) 사이에는 가동 아크접점(13)과 고정 아크접점(17)이 분리되고 주노즐(14)이 고정 아크접점(17)을 빠져나갈 때 팽창된 내부 열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유로(10)가 형성된다.
도 2(a)의 정상상태에서는 회로가 폐로상태로 접점을 통해 전류가 통전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상전류가 발생하여 도 2(b)과 같이 전극이 분리되면 가동 아크접점(13)과 고정 아크접점(17) 사이에는 아크가 발생하게 되며, 이때 아크의 팽창에너지는 팽창실(19)로 흘러들어가며 팽창실의 압력을 높이게 된다. 전류의 영점, 즉 가동 아크접점(13)과 고정 아크접점(17)이 분리되고 주노즐(14)도 고정 아크접점(17)으로부터 분리되면, 다시 팽창실(19)과 압축실(18)로부터 가동 아크접점(13)과 고정 아크접점(17)사이에 형성되는 유로(10)를 통해 주노즐(14)을 빠져나가는 고정 아크접점(17)에 소호용 가스가 분사되어 아크를 차단하게 된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파퍼 방식의 경우는 압축실(5)과 팽창실이 하나로 합쳐진 내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차단(트립동작) 시 가동 아크접점(4)과 고정 아크접점(1)이 분리될 때 발생되는 아크로 내부가스 압력을 상승시켜 고정 아크접점(1)이 주노즐(2)의 목(neck) 부분을 빠져나갈 때 충분히 압력이 상승된 열가스를 분사시켜 아크를 차단하는 방식이며, 복합소호 방식의 경우는 압축실(18)과 팽창실(19)이 구분되어 있어 파퍼방식보다 적은 조작에너지로 전류 차단을 할 수 있는 방식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파퍼방식과 복합호 방식 경우에 있어서 다음과 문제점이 있다. 첫째로, 파퍼 방식의 경우 대전류 차단 시 상승된 내부 압력이 차단 동작에 대한 반발력으로 작용하여 차단 속도를 떨어뜨리는 경향이 발생하여 다른 방식에 비해 큰 조작력을 필요로 한다.
둘째로, 복합소호 방식의 경우, 압축실(18)과 팽창실(19)이 구분 형성되어야 하므로 파퍼 방식에 비해 부품수가 많이 필요하게 된다. 한편, 파퍼 방식에서 발생되는 내부압력 상승에 따른 반발력이 감소되므로 파퍼 방식에 비해 작은 조작력으로 차단 동작이 가능하지만, 이는 피스톤 운동에 의한 압축실(18)의 압력 상승을 감소시킬 뿐 팽창실(19) 내부 압력에 대한 조절은 불가능하다.
셋째로, 두 방식 모두 대전류 차단 시 평창실 내부 압력 상승이 과도하게 이루어져 고압의 열가스로 인해 소호부 내부 부품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고 접점 및 노즐의 용삭이 발생될 수 있다.
넷째로, 두 방식 모두 소전류 차단 시 팽창실 내부 압력 상승이 충분하지 않아서 차단 실패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가스절연개폐장치에 발생하는 가스 압력을 활용하는 것과 관련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02779호 '가스절연개폐장치용 복합 소호형 가스차단기'를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가압부재에 의해 차단기 팽창실의 체적을 조절함으로써 차단성능을 향상시키고 내구성을 증진시키도록 하는 초고압 차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압 차단기는 고정 아크접촉자와 고정접촉자를 포함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가동 아크접촉자와 가동접촉자를 포함하는 가동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동부는, 고정실린더; 상기 고정실린더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축실린더; 상기 압축실린더에 관통 결합되어 조작기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가동로드; 상기 압축실린더의 내측 바닥부에 설치되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팽창실의 압력에 따라 상기 압축실린더 내에서 상하이동하는 압축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실린터 내벽에는 상부돌기 및 하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압축플레이트가 상기 상부돌기에 접할 때 상기 팽창실의 체적이 최소로 되며, 상기 압축플레이트가 상기 하부돌기에 접할 때 상기 팽창실의 체적이 최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는 압축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로드와 상기 가동 아크접촉자 사이에는 가스수렴 격판이 형성되어 열가스의 손실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수렴 격판 하측에는 가스배출홈이 형성되어 상기 팽창실 내부에 형성된 열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동로드에는 상기 압축실린더 하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통기홈이 형성되어 가스가 유출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기홈에는 가스분산 격판이 구비되어 상기 가동로드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를 상기 통기홈 외부로 내보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압 차단기 소호부 구조에 의하면, 압축부재에 의해 차단기 팽창실의 체적을 조절함으로써 팽창실에 발생하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파단에 필요한 조작력을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단실패가 일어날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압축실이 별도로 형성되지 않으므로 부품수가 줄어들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생산비용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절한 압력조절이 가능해짐에 따라 부품의 내구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파퍼방식 차단기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것으로 (a) 투입상태, (b) 개극직전 상태, (c) 소호상태, (d) 개로상태 를 나타낸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복합소호 방식 차단기의 작동원리를 도시한 것으로 (a) 투입상태, (b) 차단상태 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투입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차단 동작 중 개극 직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차단 동작 중 소호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 대전류 차단 시 (b) 소전류 차단 시 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차단 동작이 완료된 상태(트립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압 차단기 소호부 구조는 고정 아크접촉자(20)와 고정접촉자(25)를 포함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가동 아크접촉자(30)와 가동접촉자(35)를 포함하는 가동부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상기 가동부는 고정실린더(40); 상기 고정실린더(40)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축실린더(45); 상기 압축실린더(45)에 관통 결합되어 조작기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가동로드(50); 상기 압축실린더(45)의 내측 바닥부(46)에 설치되는 가압부재(55); 상기 가압부재(55)에 의해 지지되며, 팽창실(A)의 압력에 따라 상기 압축실린더(45) 내에서 상하이동하는 압축플레이트(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투입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차단 동작 중 개극 직후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차단 동작 중 소호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a) 대전류 차단 시 (b) 소전류 차단 시 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차단 동작이 완료된 상태(트립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단기의 소호부는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크게 고정부와 가동부로 나누어지며, 고정부에는 고정 아크접촉자(20)와 고정접촉자(25)가 구비된다.
가동부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실린더(40)는 고정접촉자(25)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정부에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압축실린더(45)는 고정실린더(4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가동접촉자(35)는 압축실린더(45)의 상단부에 형성되어, 압축실린더(45)가 이동함에 따라 고정접촉자(25)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주노즐(60)은 압축실린더(45)의 상단부 내측에 고정 결합되어, 압축실린더(45)가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한다.
가동로드(50)가 고정실린더(40) 및 압축실린더(45)를 관통하여 삽입되고, 압축실린더(45)에 고정결합된다. 가동로드(50)에는 조작기구(미도시)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압축실린더(45)를 움직이게 된다.
가동 아크접촉자(30)는 가동로드(50)의 상단부에 형성되며, 가동로드(50)가 이동함에 따라 고정 아크접촉자(20)에 접촉 또는 분리된다. 가동 아크접촉자(30)의 외부에는 보조노즐(65)이 형성될 수 있다.
가동로드(50)에는 압축실린더(45)의 하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통기홈(51)이 다수개 형성되어 가스가 유출입될 수 있다. 통기홈(51) 중에서 일정한 위치에는 가스분산 격판(52)이 설치된다. 가스분산 격판(52)은 원뿔 형태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가동로드(50)의 내부로 흘러들어오는 가스를 통기홈(51)을 통하여 외부로 내보내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가스의 압력을 받아 가동로드(50)의 움직임을 돕는 역할을 하게 된다.
가동로드(50)와 가동 아크접촉자(30) 사이에는 가스수렴 격판(33)이 형성되어 아크접점에서 발생하는 열가스의 손실을 방지하게 된다. 가스수렴 격판(33)은 'U'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재(55)는 압축실린더(45)의 바닥부(46)에 설치된다. 가압부재(55)의 일 실시예로 코일 압축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압축플레이트(56)가 압축실린더(45)의 내부에 상기 가압부재(55)의 지지를 받으며 설치된다. 압축플레이트(56)는 링모양으로 형성되며, 내측원은 가동로드(50)의 외경과 같게 형성되고 외측원은 압축실린더(45)의 내경과 같게 형성된다. 즉, 압축플레이트(56)는 압축실린더(45) 내에서 가동로드(50)를 감싼채 슬라이딩하며 상하이동하게 된다. 이때, 압축플레이트(56)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압축실린더(45) 내벽에 상부돌기(47)와 하부돌기(48)가 형성된다. 따라서, 압축플레이트(56)가 가압부재(55)의 힘만을 받을 때는 상부돌기(47)에 접촉하는 위치에 있게 되고, 후술하는 팽창실(A)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압력을 받는 경우에는 이 가스의 압력과 가압부재(55)가 힘의 균형을 이르는 지점에 위치하게 되며, 가스의 압력이 매우 큰 경우에 있어서는 하부돌기(48)에 접촉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압축실린더(45)의 내벽, 보조노즐(65), 압축플레이트(56)로 둘러쌓인 구역은 팽창실(A)을 이룬다. 팽창실(A)은 아크접점에서 발생하는 아크 가스에 의한 압력에 의해 팽창 가능하게 된다. 팽창실(A)이 가스 압력에 의해 확장되는 경우에는 압축플레이트(56)를 밀게 되며, 팽창실(A)의 체적이 가장 크게 형성되는 것은 압축플레이트(56)가 하부돌기(48)에 접촉되는 경우이다. 팽창실(A)의 체적이 가장 작게 형성되는 경우는 압축플레이트(56)가 상부돌기(47)에 접촉되는 경우이다.
가동로드(50)에는 가스수렴 격판(33) 바로 아래에 가스배출홈(53)이 중앙하방으로 경사를 이루며 다수개 형성된다. 팽창실(A)의 체적이 최대로 확장되어 압축플레이트(56)가 하부돌기(48)에 접촉하여 위치하는 경우(도 5a 참조)에는 팽창실(A)에 형성된 가스가 가스배출홈(53)을 통하여 흘러나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고압 차단기의 작동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정상상태에서는 도 3과 같은 투입상태에 있다. 이때, 단락이나 과전류 등 이상전류 발생시에는 조작기구가 작동하여 가동로드(50)가 하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가동로드(50)가 하방으로 움직임에 따라 이에 결합되어 있는 압축실린더(45)도 함께 움직이게 되며, 가동로드(50)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가동 아크접촉자(30) 및 압축실린더(45)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가동접촉자(35)도 하방으로 움직이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아크접촉자(30)가 고정 아크접촉자(20)와 분리되게 되고 이에 따라 가동 아크접촉자(30)가 고정 아크접촉자(20) 사이에서는 아크가 발생하면서 열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이 열가스는 주노즐(60)에 의해 분산 팽창되면서 급격하게 팽창실(A) 내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열가스의 팽창에너지는 팽창실(A) 내에서 압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후 과정은 대전류와 소전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먼저 대전류에 의한 차단의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대전류에 의한 차단의 경우 도 5a를 참조하면, 압력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팽창실(A) 내부에 형성되는 압력은 압축플레이트(56)를 누르게 되며 가압부재(55)는 압축이 된다. 압축플레이트(56)는 하방으로 움직이게 되고, 하부돌기(48)에 이를 정도로 압력이 작용되는 경우에는 팽창실(A)의 체적이 최대로 확장된다. 이때, 팽창실(A) 하부에 가스배출홈(53)이 개방되는 상태에 놓이므로 열가스는 가스배출홈(53)을 통하여 빠져나가게 된다. 가스배출홈(53)을 빠져나간 열가스는 가스분산 격판(52)을 밀게 되어 가동로드(50)는 더 빠르게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가동로드(50)가 이동함에 따라 주노즐(60)은 고정 아크접촉자(20)로부터 분리되며, 이에 따라 팽창실(A)의 상부로부터 주노즐(60) 사이를 거쳐 고정 아크접촉자(20) 주변으로 흘러나가는 유로(B)가 형성된다. 팽창실(A) 내부에 팽창에너지를 가진 채 존재하던 열가스는 상기 유로(B)를 따라 상방으로 분사된다. 이때, 팽창실(A) 내에 존재하던 SF6 가스도 함께 분사되어 아크를 소호하게 된다. 한편, 가스수렴 격판(33)은 주노즐(60) 방향으로 열가스가 분사되는 것을 돕게 된다. 여기서, 팽창실(A)의 최대 팽창 체적은 종래 복합소호방식의 팽창실의 체적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유로(B)를 통해 열가스가 분사되어 팽창실(A) 내부 압력은 줄어들게 되면 가압부재(55)의 복원력에 의해 압축플레이트(56)는 도 6과 같이 상부돌기(47)에 접촉하는 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차단 동작을 완료하게 된다. 즉, 대전류 차단의 경우에는 도 3의 상태에서 도 4 및 도 5a를 거쳐 도 6의 상태에 이르게 된다.
소전류에 의한 차단 동작의 경우 도 5b를 참조하면, 압력 상승률이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팽창실(A) 내부에 형성되는 압력은 가압부재(55)의 저항을 받아 압축플레이트(56)는 움직이지 않게 된다. 주노즐(60)이 고정 아크접촉자(20)로부터 분리되고, 이에 따라 유로(B)가 형성됨에 따라 팽창실(A) 내에 팽팡에너지를 가진 채 존재하던 열가스 및 소호용 SF6 가스는 유로(B)를 따라 분사되며 아크를 소호하게 된다. 이때, 열팽창실(A) 체적이 최소로 형성되게 되므로 팽창실(A) 내에 형성되는 열가스에 의한 압력은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즉, 종래 복합소호 방식에서 일어날 수 있었던 차단실패가 발생할 가능성이 줄어들게 된다. 더불어, 가스수렴 격판(33)에 의해 열가스의 분사력이 증대되므로 차단 실패의 가능성은 훨씬 감소하게 된다. 즉, 소전류에 의한 차단 동작의 경우 도 3에서 도 4 및 도 5b를 거쳐 도 6의 상태에 이르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0 고정 아크접촉자 25 고정접촉자
30 가동 아크접촉자 33 가스수렴 격판
35 가동접촉자 40 고정실린더
45 압축실린더 46 바닥부
47 상부돌기 48 하부돌기
50 가동로드 51 통기홈
52 가스분산 격판 53 가스배출홈
55 가압부재 56 압축플레이트
60 주노즐 65 보조노즐

Claims (6)

  1. 고정 아크접촉자와 고정접촉자를 포함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가동 아크접촉자와 가동접촉자를 포함하는 가동부로 이루어진 초고압 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고정실린더;
    상기 고정실린더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압축실린더;
    상기 압축실린더에 관통 결합되어 조작기의 조작력을 전달하는 가동로드;
    상기 압축실린더의 내측 바닥부에 설치되어 압축실린더와 함께 움직이는 가압부재;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지지되며, 팽창실의 압력에 따라 상기 압축실린더 내에서 상하이동하는 압축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압축실린더 내벽에는 상부돌기 및 하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압축플레이트가 상기 상부돌기에 접할 때 상기 팽창실의 체적이 최소로 되며, 상기 압축플레이트가 상기 하부돌기에 접할 때 상기 팽창실의 체적이 최대로 되고,
    상기 가압부재는, 하단부가 상기 압축실린더의 내측 바닥부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상기 압축플레이트를 지지하고,
    외력이 없는 경우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압축플레이트를 상기 상부돌기에 접촉하는 위치에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압축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차단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로드와 상기 가동 아크접촉자 사이에는 가스수렴 격판이 형성되어 열가스의 손실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차단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수렴 격판 하측에는 가스배출홈이 형성되어 상기 팽창실 내부에 형성된 열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차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로드에는 상기 압축실린더 하측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통기홈이 형성되어 가스가 유출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차단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홈에는 가스분산 격판이 구비되어 상기 가동로드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를 상기 통기홈 외부로 내보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차단기.
KR1020130077405A 2013-07-02 2013-07-02 초고압 차단기 KR101786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405A KR101786521B1 (ko) 2013-07-02 2013-07-02 초고압 차단기
US14/286,785 US9147539B2 (en) 2013-07-02 2014-05-23 High voltage gas circuit breaker
EP14171116.8A EP2822017B1 (en) 2013-07-02 2014-06-04 High voltage gas circuit breaker
ES14171116.8T ES2567562T3 (es) 2013-07-02 2014-06-04 Disyuntor de gas de alta tensión
CN201410313209.3A CN104282484B (zh) 2013-07-02 2014-07-02 高压气体断路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7405A KR101786521B1 (ko) 2013-07-02 2013-07-02 초고압 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211A KR20150004211A (ko) 2015-01-12
KR101786521B1 true KR101786521B1 (ko) 2017-10-18

Family

ID=50842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7405A KR101786521B1 (ko) 2013-07-02 2013-07-02 초고압 차단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47539B2 (ko)
EP (1) EP2822017B1 (ko)
KR (1) KR101786521B1 (ko)
CN (1) CN104282484B (ko)
ES (1) ES2567562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923B1 (ko) 2019-03-29 2019-09-02 선도전기주식회사 이산화탄소 혼합 가스를 이용한 가스 절연 개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01575B1 (fr) * 2013-01-29 2015-03-20 Alstom Technology Ltd Disjoncteur pourvu de moyens reduisant l'arc de commutation entre contacts permanents
US9305726B2 (en) * 2014-08-27 2016-04-05 Eaton Corporation Arc extinguishing contact assembly for a circuit breaker assembly
FR3032059B1 (fr) * 2015-01-28 2017-03-03 Alstom Technology Ltd Disjoncteur equipe d'un capot d'echappement extensible
KR102484701B1 (ko) * 2020-10-07 2023-01-04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복합 소호형 가스 차단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065B1 (ko) * 2002-03-21 2005-03-10 엘지산전 주식회사 가스절연 차단기의 소호장치
KR100770330B1 (ko) * 2006-04-26 2007-10-25 한국전기연구원 팽창실과 파퍼실이 일체형으로 된 복합소호형 가스차단부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6183A (en) * 1974-04-05 1976-03-23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Puffer piston gas blast circuit interrupter with insulating nozzle member
DE3322597A1 (de) * 1983-05-31 1984-12-06 BBC Aktiengesellschaft Brown, Boveri & Cie., Baden, Aargau Druckgasschalter
ATE32286T1 (de) 1983-11-15 1988-02-15 Sprecher Energie Ag Druckgasschalter.
FR2628259A1 (fr) * 1988-03-01 1989-09-08 Merlin Gerin Disjoncteur electrique a autosoufflage par pistonnage ou expansion de gaz isolant
US5079391A (en) * 1989-11-11 1992-01-07 Hitachi, Ltd. Puffer type gas circuit breaker, contact cover and insulated nozzle of the breaker
JP2003197076A (ja) 2001-12-27 2003-07-11 Mitsubishi Electric Corp 圧縮ガス遮断器
KR100475066B1 (ko) * 2002-03-21 2005-03-10 엘지산전 주식회사 가스절연 차단기의 소호장치
US6787725B2 (en) * 2002-03-21 2004-09-07 Lg Industrial Systems Co., Ltd. Switching mechanism of circuit breaker for gas insulted switchgear
JP2008210710A (ja) * 2007-02-27 2008-09-11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力用ガス遮断器
KR101456317B1 (ko) 2010-07-01 2014-11-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절연개폐장치용 복합 소호형 가스차단기
KR101786518B1 (ko) * 2011-04-27 2017-10-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스 절연 차단기용 소호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065B1 (ko) * 2002-03-21 2005-03-10 엘지산전 주식회사 가스절연 차단기의 소호장치
KR100770330B1 (ko) * 2006-04-26 2007-10-25 한국전기연구원 팽창실과 파퍼실이 일체형으로 된 복합소호형 가스차단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923B1 (ko) 2019-03-29 2019-09-02 선도전기주식회사 이산화탄소 혼합 가스를 이용한 가스 절연 개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82484A (zh) 2015-01-14
KR20150004211A (ko) 2015-01-12
ES2567562T3 (es) 2016-04-25
CN104282484B (zh) 2016-08-24
US9147539B2 (en) 2015-09-29
EP2822017A1 (en) 2015-01-07
US20150008214A1 (en) 2015-01-08
EP2822017B1 (en) 2016-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521B1 (ko) 초고압 차단기
EP3157036B1 (en) Gas circuit breaker
US8030590B2 (en) Gas-circuit breaker
KR101496903B1 (ko) 차단성능이 향상되는 복합 소호형 가스 차단기
JP6289856B2 (ja) ガス遮断器
CN101300654A (zh) 具有两个压缩腔室的中断腔室
CN101404229A (zh) 具有两个压缩体积的断路器灭弧室
KR100940312B1 (ko) 가스 절연 개폐장치
KR101048005B1 (ko) 압축실 분출가스 제어형 복합 소호 차단기
JP2009129867A (ja) パッファ形ガス絶縁遮断器
KR101501636B1 (ko) 체크밸브를 가지는 복합소호방식 가스 차단기
JP2016201170A (ja) ガス遮断器
KR101386134B1 (ko) 열팽창실 압력 조절형 복합 소호 가스차단기
JP2018113189A (ja) ガス遮断器
JP2016173900A (ja) パッファ形ガス遮断器
KR20220052169A (ko) 가스 차단기
KR102466213B1 (ko) 가스절연 차단기
CN112289628B (zh) 一种双压力膨胀室灭弧室
KR102021865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용 가스 차단기
CA1098942A (en) Circuit interrupter using dielectric liquid with energy storage
JP2018181501A (ja) ガス遮断器
WO2019092861A1 (ja) ガス遮断器
KR200457544Y1 (ko) 가스절연 차단기
KR20160038265A (ko) 체크밸브 연계형 배출구 면적 가변형 가스차단기
WO2019092862A1 (ja) ガス遮断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