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187B1 - 조립형 부착생물 양식 장치 - Google Patents
조립형 부착생물 양식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6187B1 KR101786187B1 KR1020150108475A KR20150108475A KR101786187B1 KR 101786187 B1 KR101786187 B1 KR 101786187B1 KR 1020150108475 A KR1020150108475 A KR 1020150108475A KR 20150108475 A KR20150108475 A KR 20150108475A KR 101786187 B1 KR101786187 B1 KR 1017861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ype block
- block
- aquaculture
- wing
- cross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2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41000251511 Holothuroidea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1464 adhe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653 coastal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31 f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422 noctur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08340 Aral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891 Haliot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890 Halio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880 Haliotis cracherod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556 Polyaceta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21 Polyphenylene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036848 Porzana caroli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BZHJMEDXRYGGRV-UHFFFAOYSA-N Vinyl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C BZHJMEDXRYGGR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0106 biosimilar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51 biosynth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87 bubb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4 cultiv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51 engineering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49 favour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34 fra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35 gastrointestinal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816 gi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03 high density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00 high-density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66 juveni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86 lea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32 obsidia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24 polyoxym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80 polyphenylene 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4 s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431 wafe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87 whit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착생물 양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십자(+)형블럭과 티(T)형블럭이 번갈아 배치되어 종래의 양식용 쉘터보다 부착생물의 부착면적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며, 양식수조의 바닥과 양식장치의 접하는 면적이 적어 양식동물의 배설물과 잔존 먹이 등의 이물질 제거 및 청소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먹이 급이시 양식수조 내에 먹이를 고르게 배분할 수 있어 양식동물의 개체 쏠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적당한 조도의 양식환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부착생물 양식장치를 적층으로 구성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여 양식장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형 부착생물 양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십자(+)형 블럭과 상부 돌출된 티(T)형 블럭이 번갈아 배치되어 고정봉으로 고정됨으로써 양식생물의 부착면적을 증가시키고 청소를 용이하게 하며 분배된 먹이가 블록 상부에 체류할 시간을 연장시켜 먹이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조립형 부착생물 양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무분별한 남획과 연안 해역의 오염 등으로 전복, 소라 등의 복족류와 해삼 등의 해양생물의 자연 채취량이 크게 줄어 들고 있다. 이에 따라 이들 해양생물의 양식 기술도 크게 개선되고 있고, 고부가가치 어종으로 각광받고 있다.
전복은 전복과(Haliotidae), 전복속(Haliotis)에 속하는 연체동물로, 세계적으로 약 100여종 이상이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연안에는 참전복을 비롯하여, 말전복, 까막전복, 시볼트전복, 오분자기 및 마대오분자기 등이 분포한다.
전복의 양식은 전복의 치패를 대량으로 방류하거나, 채롱, 또는 파판 등에 전복의 치패를 부착시켜 수하식 또는 가두리 양식법으로 많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치패 방류방식은 전복의 생존률이 매우 낮고, 수확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채롱에 의한 수하식 또는 가두리 양식방법은 연안해역의 오염으로 인한 백화현상이나 태풍 등에 의한 유실, 또는 패각 주변에 부착하여 생육하는 부착생물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은 등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한편, 극피동물문 해삼강에 속하는 해삼은 조간대 수심 20m 내외의 내만 바닥이나 연안의 암초 및 자갈밭에 주로 서식하며, 우리나라 전 연안과 일본, 쿠릴, 사할린 등 온대 해역에서 한 대 해역까지 북동태평양 전역에 분포한다. '바다의 인삼'으로 불릴 만큼 식감과 영양 면에서 뛰어난 해삼은 최근 중국의 경제 발달로 해삼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고부가가치 자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해삼 양식은 자연상태의 씨뿌림, 또는 어린 해삼을 육상 수조에서 일정 크기 이상 성장시킨 후, 서해안과 같이 갯벌이 발달하거나, 연안의 축제 시설이 가능한 해역에서 축제 양식 방법으로 실시되고 왔다. 어린 해삼 또는 종묘 양식에 있어서는 수조 내부에 일정한 형상의 플레이트 타입 쉘터를 배치하고, 쉘터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쉘터와 직립되도록 다수의 파판을 설치하여 해삼의 서식처로 사용한다. 또한 해삼은 야행성으로 주간에는 쉘터 하부에서 은둔하다가 야간에는 쉘터 상부 또는 파판으로 올라와 먹이활동을 한다.
수온 15~18℃에서 성장이 왕성하나, 수온이 높은 시기에는 먹이를 거의 먹지 않는다. 따라서 소화관은 퇴화되며, 국내 연안이 고수온기에 접어드는 여름철에 하면기(夏眠期)를 거친다. 이러한 생리학적 특성 외에도 우리나라에서는 산란기인 7월 한 달간은 금어기로 지정되어 있으며, 세계적인 기후의 변화, 무분별한 채취와 연안해의 오염 등으로 해삼 또한 채취량이 급감함에 따라 해삼의 인공 양식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전복과 해삼등의 부착성생물 육상양식에서,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1) 양식공간에 대한 부착면적의 비율은 증가시키고, (2) 충분한 산소를 함유한 사육수를 순환시켜 주며, (3) 사육 중 발생하는 노폐물과 소비되지 못한 먹이를 신속히 제거하고, (4) 양식수조 내에 균일하게 먹이를 배분하여 개체의 쏠림을 방지해야 한다. 그 이외에 부착생물의 성장에 따라 적당한 크기의 쉘터를 제공하여 먹이활동을 위해 이동하는 거리를 단축시키고, 부착생물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적정량의 조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최근 육상 양식장에서 전복양식이 주목받고 있다. 육상 양식은 바다에서 끌어들인 해수를 여과하여 육상에서 배양함으로써 적조 등의 우려가 없고, 태풍과 해일에 따른 피해 걱정이 없을 뿐만 아니라 여름철 고수온이나 겨울철 저수온 등의 수온문제를 조절할 수 있으며, 밀집에 따른 집단 폐사의 염려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전복, 해삼 등의 부착성 생물의 육상 양식에서 빛의 영향을 받지 않는 음지에서 은둔할 수 있는 수 있는 차양막을 구비하며, 잔류 먹이와 배설물을 신속히 제거하고, 사육수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여 충분한 산소를 공급할 수 있고, 사료를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는 부착생물의 양식장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육상 양식장에서 사용하는 부착성 생물의 쉘터 등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료의 불균등한 급이, 양식생물 개체의 특정 구역으로 몰림 및 먹이판에 사료의 체재시간이 짧아 양식장 내의 양식환경이 나빠지는 것을 개선하고, 배설물과 잔존먹이 등의 이물질이 적체되는 문제를 해결하며, 부착성 양식생물의 부착면적을 획기적으로 증가시켜 사료 경비를 절감하고 양식장의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부착생물 양식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정 두께와 넓이를 갖는 판상체가 십자(+)형으로 교차되어 측면 날개를 형성하는 십자(+)형블럭과, 일정두께와 넓이를 갖는 판상체가 상부 돌출된 티(T)형으로 교차되어 측면날개를 형성하는 상부돌출 티(T)형블럭이 교차로 배치되고, 상기 십자(+)형블럭 또는 상부 돌출된 티(T)형블럭의 상부면 측면날개 가장자리와 상부면 측면날개 전후면의 가장자리에는 일정 높이로 먹이턱이 형성되며, 상기 십자(+)형블럭과 상부돌출된 티(T)형블럭 하부에는 고정통공이 형성되고 상기고정 통공을 관통하여 십자(+)형블럭과 상부돌출 티(T)형블럭을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우는 고정봉으로 이루어진 부착생물 양식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십자(+)형 블럭의 상부날개는 길이방향으로, 측면날개와 같은 높이로 이루어진 블록부분과 상부돌출된 티(T)형블럭의 상부날개와 같은 높이로 이루어진 오목부분이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양식생물이 측면날개의 좌우로 이동이 용이하고 십자(+)형 블럭 또는 상부돌출된 티(T)형블럭의 길이방향 전후부에는 수조 이격용 돌출판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십자(+)형 블럭 하부날개와 상부돌출된 티(T)형블럭 하부날개의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오목홈이 형성되어 부착생물이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부착생물 양식장치의 상부에는 다각형의 수직판이 일렬로 복수 개 연결된 파판이 적층되어 상방향이 개구되고 전후좌우방향으로 정방형으로 일정한 높이와 길이를 갖고, 측벽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높이를 갖고 수조 내측으로 "ㄱ" 형상으로 돌출된 거치대부가 형성되며, 측벽 상면 둘레에는 측벽보강을 위한 요철부가 형성되고, 바닥에는 상부면이 평평한 사다리꼴 요철부와 삼각형 요철부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육상 양식수조에 거치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 있는 부착생물 양식장치는 십자(+)형블럭과 상부돌출 된 티(T)형블럭이 번갈아 배치되어 부착생물의 부착면적을 종래의 양식용 쉘터보다 40% 이상 증가시킬 수 있으며, 양식수조의 바닥과 양식장치의 접하는 면적이 적어, 양식동물의 배설물과 잔존 먹이 등의 이물질 제거 및 청소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먹이 급이시 양식수조 내에 먹이를 고르게 배분할 수 있어 양식생물의 개체 쏠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적당한 조도의 양식환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부착생물 양식장치를 적층으로 구성하여 공간활용도를 높여 양식장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생물 양식장치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생물 양식장치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생물 양식장치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생물 양식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생물 양식장치의 측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생물 양식장치에 타 부착장치를 적층시킨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쉘터를 수용할 수 있는 육상수조의 외측바닥면, 내측바닥면 및 측면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쉘터가 수용된 육상수조가 설치된 양식장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생물 양식장치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생물 양식장치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생물 양식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생물 양식장치의 측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생물 양식장치에 타 부착장치를 적층시킨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쉘터를 수용할 수 있는 육상수조의 외측바닥면, 내측바닥면 및 측면부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쉘터가 수용된 육상수조가 설치된 양식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동일 공간에서 부착성 양식생물이 부착할 수 있는 부착면적의 비율은 크게 증가시키는 한편, 사육수의 소통을 원활히 하고, 이물질 제거를 용이하게 하며, 사료손실을 최소한으로 하여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부착생물 양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생물 양식장치의 상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일정 두께와 넓이를 갖는 판상체 2개가 십자(+)형으로 교차된 형태로 이루어진 십자(+)형블럭(100), 십자(+)형블럭(100)과 교차로 배치되며 일정 두께와 넓이를 갖는 판상체 2개가 상부돌출된 티자(T)형으로 부착된 형태를 가진 티(T)형블럭(200), 십자(+)형블럭 하부날개(130)에 형성된 십자(+)형블럭 고정통공(150)과 티(T)형블럭 하부날개(230)에 형성된 티(T)형블럭 고정통공(250)을 관통하여 십자(+)형블럭과 티(T)형블럭을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우는 고정봉(300)으로 구성된다.
십자(+)형블럭(100)과 티(T)형블럭(200)을 구성하는 판상체는 아크릴, 플라스틱 등의 강도가 높고 부착성 양식생물이 안착하여 이동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하며, 사육하려는 양식동물의 크기 및 성장속도를 고려하여 넓이를 결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는 전복치패를 사육하는 경우, 십자(+)형블럭(100)은 두께 0.1~0.5cm로 하였으며, 교차중심을 기준으로 상부날개(110), 측면날개(120) 및 하부날개(130)는 각각 3~6cm로 제작하였다. 티(T)형블럭(200)은 상부날개(210)는 0.5~2cm, 측면날개(220)는 3~6cm, 하부날개(230)는 6~8cm로 제작하였으며, 십자(+)형블럭(100)과 티(T)형블럭(200)을 교차로 배치했을 경우 수직높이가 동일하도록 조정하였다.
십자(+)형블럭(100)과 티(T)형블럭(200)은 판상체로 제작한 후, 조립할 수 있으며, 십자(+)형과 티(T)형의 금형으로 일체형 블럭을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단위 길이로 제작하여 양식장의 상황에 맞추어 단위 블럭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십자(+)형블럭(100)과 티(T)형블럭(200)의 크기는 양식동물에 따라 두께와 면적을 조절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양식동물의 성장에 따라 십자(+)형블럭(100)과 티(T)형블럭(200)의 고정통공(150, 250)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하부날개(130, 230)의 길이를 연장하여 양식동물의 크기에 맞는 양식장치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생물 양식장치의 하부 사시도이다. 십자(+)형블럭(100)과 티(T)형블럭(200)을 번갈아 배치하여 각 블록의 측면날개(120, 220)가 상하로 공간을 두고 겹치게 하였으며, 하부날개(130, 230)에 형성된 통공(150, 250)을 통하여 고정봉(300)을 삽입하여 각 블럭(100, 200)이 지면에 수직으로 설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부착생물 양식장치가 바닥과 접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하부날개(130,230)에는 하나 이상의 오목홈을 형성하여 부착생물이 바닥에서 좌우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양식 중 사육수조 바닥에 침적되는 양식동물의 배설물과 급이 후, 섭이되지 않고 남은 먹이는 양식환경을 악화시키는 주요 요인이 되기 때문에 가능한 신속하게 양식수조에서 제거해야 한다. 종래의 쉘터를 이용한 경우 쉘터가 양식수조와 닿는 면적이 넓거나, 쉘터 하부가 일정 각도를 가지고 양식수조의 바닥과 접하면서 쉘터와 양식수조 바닥 사이에 이물질이 침적되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양식생물을 양식중인 경우, 사육수의 순환이나, 물뿌림만으로는 이물질 완전한 제거가 어려워 장기적으로는 사육수질 악화의 요인이 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 있는 부착생물 양식장치는 사육수조와 직각을 이루며 접해 있고, 접하는 면적도 적어 이물질의 효과적인 제거에 용이하다.
물뿌림 청소시, 십자(+)형블럭 측면날개(120)에 부딪힌 물이 티(T)형블럭 측면날개(200)의 하면으로 이동하며 부딪혀 하부날개(230) 아래쪽으로 흐르고, 이 물은 다시 십자(+)형블럭 측면날개(120) 하면과 하부날개(130)를 따라 흐르게 되므로 연속적인 청소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부착생물 양식장치가 사육수조와 접하는 부분이 적으므로 하부에 블로어가 설치된 양식수조인 경우, 종래의 쉘터보다 양식수조 하부에 공기를 분출할 수 있는 공간이 더 많이 제공되므로 블로어의 기체 용해 능력을 향상시키고, 사육수의 상하 순환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블로어에서 방출된 공기는 십자(+)형 블록의 날개 하부에서 1차 분산되어 상부 돌출된 T형 블록의 날개 하부에서 2차 분산되어 상부 수면으로 이동함에 따라 수중에 체재하는 시간이 증가되어 용존산소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정봉(300)은 고정막대와 거리 이격용 외측 파이프로 형성되어 이격용 외측 파이프가 십자(+)형블럭 고정통공(150)과 티(T)형블럭 고정통공(250)에 번갈아 배치되고 난 후, 외측파이프 내측으로 고정막대가 통과하여 부착생물 양식장치를 고정하며, 고정봉(300)는 부착생물 양식장치의 길이에 따라 2개에서 수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십자(+)형블럭(100)과 티(T)형블럭(200)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고정봉(300)의 일면에 규칙적인 홈을 형성할 수 있다. 고정봉(300)의 양단은 고정캡(310)을 씌워 고정한다. 십자(+),T형 하부 날개 중앙에는 좌우 이동용 지면과 이격된 홈이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생물 양식장치의 상부 평면도이다. 일반적으로 양식장치에서 전복 등의 부착성 양식생물이 부착할 수 있는 면은 동일 공간에서 양식가능한 양식생물의 수를 증가시키므로 양식장의 생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착생물 양식장치는 상부 평면도상에서 보이는 상부돌출된 티(T)형블럭 측면날개(220)와 그 아래쪽에 이격되어 겹쳐져 삽입되는 십자(+)형블럭 측면날개(120)뿐만 아니라, 각 블록의 상부날개(110, 210)와 하부날개(130, 230)의 각 면에 부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쉘터보다 부착면적을 40% 이상 증가시킬 수 있어 양식장의 생산성 증대에 획기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부착면적의 증가는 동일한 수의 양식생물을 양식할 경우에도 양식생물이 분산 부착할 수 있는 면이 넓어지기 때문에 양식환경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개시하고 있는 부착생물 양식장치는 십자(+)형블럭(100)과 상부돌출 티(T)형블럭(200)이 각각 측면날개(120, 220)가 외부 빛을 차단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므로 낮동안 별도의 차양막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수조로 입사되는 직사광선을 차단하여 양식장치의 하측면에는 빛이 도달되지 않도록 양식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부착성 양식생물의 대부분이 야행성이므로 'T'자형 또는 십자형 상부판으로 빛을 차단하여 어두운 환경을 만들어 개체의 몰림 현상을 줄이고 양식중인 생물에게 안정감을 주어 양식생물이 받는 스트레스를 줄인다. 이로써 낮에 휴식을 취하고 밤에 먹이활동을 하는 전복 등의 양식생물의 습성에 맞추어 양식장 내부공간의 명암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먹이활동을 원활하게 유도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부착면적과 조도 이외에 부착생물의 양식에 있어 양식수조 내에 양식개체가 쏠리는 현상 또한 양식장의 생산성과 관계가 있다. 예를 들어 먹이 급이 시, 먹이가 양식수조 내에 고르게 분포되지 않고 유수이동에 의해 한쪽으로 몰릴 경우, 양식생물 또한 한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양식수조 내의 환경이 부분적으로 달라져서 양식수조에서 개체가 몰리는 부분의 양식환경이 악화될 수 있다. 또한 먹이에 접근이 용이한 개체일수록 성장에 유리하게 되므로 같은 양식수조 내에서 성장하는 개체라 할지라도 성장률에서 차이를 보이게 되어 전 개체가 균일한 성장속도를 보이는 양식장보다 생산성이 하락할 수밖에 없다.
종래의 쉘터는 슬레이트형 파판으로 구성된 경우가 많아 먹이 급이 시에 골이 패인 부분으로 먹이가 몰리는 경우가 많아 양식수조 전체에 걸쳐 고른 분배를 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 있는 부착생물 양식장치는 먹이를 급이할 때 먹이가 십자(+)형블럭 측면날개(120)와 상부돌출된 티(T)형블럭 측면날개(220)에 안착되어 한쪽으로 몰리지 않고 분배가 용이하므로 개체의 밀도조절에 유리하다. 또한 측면날개 상부 가장자리에는 먹이턱(140, 240)이 형성되어 있어 측면날개(120, 220) 상부에 안착된 먹이가 바닥으로 흘러버리지 않고 양식생물의 접근이 용이한 위치에 머무르게 되기 때문에 먹이 이용률을 높일 수 있다. 먹이턱은 각각의 측면날개 상부면 가장자리에 일정 길이를 갖는 돌출부가 일정 간격을 갖고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착생물 양식장치의 돌출판과 측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부착생물 양식장치를 양식수조에 안착시켜 양식하는 경우, 양식수 유동이나 기포 발생 등의 힘에 의해 양식장치의 가장자리가 양식수조의 벽면과 접할 수 있다. 이때 어린 양식생물이 양식장치와 양식수조면에 끼어 죽거나 패각이 깨지는 등의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부착생물 양식장치의 십자(+)형 블럭 또는 상부돌출된 티(T)형블럭의 길이방향 전후부에는 수조 이격용 돌출판(112)을 형성시킴으로써, 양식장치가 수조벽면에 접하더라도 돌출판(112)의 돌출된 부분만큼 공간이 형성되어 치패나 치삼 등의 양식생물이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착생물이 먹이활동을 위해 이동하는 거리가 길어지고 이동이 용이하지 않으면 먹이활동이 둔화되어 성장이 늦어지며 개체 간 크기의 차이도 발생하기 때문에 양식생물의 먹이 접근성과 이동의 용이성 또한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 있는 부착생물 양식장치는 십자(+)형블럭(100)과 티(T)형블럭(200)이 번갈아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부착면적이 넓을 뿐만 아니라 섭이활동시 사방으로 이동이 자유롭다. 티(T)형블럭 상부날개(210)는 부착생물의 크기에 비하여 높지 않게 형성하여 이동에 제한이 없도록 하고, 십자(+)형블럭 상부날개(110)는 양면에 부착할 수 있는 공간을 주면서도 가운데에 홈이 형성되어 있어 먹이로의 접근을 용이하다. 이와 같은 형상의 구성은 먹이활동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먹이 안착에 도움이 되는 먹이턱(140, 240)으로, 먹이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부착생물 양식장치의 측부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부착생물 양식장치는 십자(+)형블럭(100)과 상부돌출된 티(T)형블럭(200)의 교차배치로 부착면적이 획기적으로 넓어지면서 아울러 먹이활동을 충분히 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는 형태이다. 또한 십자(+)형블럭(100)과 상부돌출된 티(T)형블럭(200)의 수직높이가 동일하므로 상부에는 조립된 또 다른 부착생물 양식장치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 부착장치를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층과 하층의 부착생물 양식장치를 서로 직각으로 배치하여 안정된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양식수조 내에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쉘터를 수용할 수 있는 육상수조의 외측바닥면, 내측바닥면 및 측면부를 나타낸 사진이다. 양식수조는 기존의 장방형이 아닌 정방형으로 구성함으로서 개체의 크기별로 사육할 수 있게 하였다. 양식수조는 육상 양식수조는 상방향이 개구되고 전후좌우 방향으로 정방형으로 일정한 높이와 길이를 갖고, 측벽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높이를 갖고 수조 내측으로 "ㄱ" 형상으로 돌출된 거치대부가 형성되며, 측벽 상면 둘레에는 측벽보강을 위한 요철부가 형성되고, 바닥에는 상부면이 평평한 사다리꼴 요철부와 삼각형 요철부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기존의 장방형의 경우, 수조 어느 한 쪽에 부착생물이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장방형이 아닌 분리된 정방형으로 구성함으로서 개체의 크기별로 사육할 수 있게 하였다.
도 7에서와 같이 정방형 수조로 분리하여 부착생물을 사육하는 경우, 각각의 수조별로 생육환경을 조성할 수 있고, 생육조건에 따른 먹이급이를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먹이 급이 시 장수조의 경우, 사육수 보충수의 물흐름에 따라 배수방향으로 먹이가 유동됨에 따라 부착생물이 쏠려 일부분의 밀도가 높아져 폐사에 이르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양식수조가 소형일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식을 사용하여 증가된 부착면적에 따라 개체 밀도를 높이고 성장속도를 증가시켜 소득 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십자(+)형블럭(100)과 티(T)형블럭(200)은 암프레임틀과 수프레임틀을 이용한 사출성형을 통해 제작할 수 있다. 사출(injection)성형이란 재료(사출물)를 밀어넣어서 성형하는 방법을 말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플라스틱 원재료를 호퍼에 넣어 열을 가하여 녹인 후 적절한 압력을 가하여 금형(프레임틀)안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제품을 생산하는 방법이다.
암프레임틀은 본 발명의 양식장치 프레임과 같은 구조로 홈이 파여 있는 틀이고, 수프레임이 암프레임의 홈으로 겹쳐짐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각 프레임틀 측면에는 외부에서 사출물을 주입시킬 수 있는 주입공이 형성되어 사출 재료를 고온, 고압의 상태에서 융용시켜 프레임틀 내부로 주입시킨다.
본 발명의 성형과정에서 주입되는 사출물은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 옥시드, 폴리브티렌 테레프타레이트, 고밀도 폴리에틸렌, 염화비닐·경질 수지와 같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Engineering plastic)중에서 하나 이상 선택되는 재료이고, 용융물이 경화됨으로써 본 발명의 양식장치 프레임이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시하고 있는 부착생물 양식장치는 십자(+)형블럭과 상부돌출 된 티(T)형블럭이 번갈아 배치되어 종래의 양식용 쉘터보다 부착생물의 부착면적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며, 양식수조의 바닥과 양식장치의 접하는 면적이 적어 양식동물의 배설물과 잔존 먹이 등의 이물질 제거 및 청소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먹이 급이 시 양식수조 내에 먹이를 고르게 배분할 수 있어 양식동물의 개체 쏠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적당한 조도의 양식 환경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부착생물 양식장치를 적층으로 구성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여 양식장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 십자(+)형블럭 110 : 십자(+)형블럭 상부날개 112: 돌출판
120 : 십자(+)형블럭 측면날개 130 : 십자(+)형블럭 하부날개
140 : 십자(+)형블럭 먹이턱 150 : 십자(+)형블럭 고정통공
200 : 상부돌출된 티(T)형블럭 210 : 상부돌출된 티(T)형블럭 상부날개
220 : 상부돌출된 티(T)형블럭 측면날개 230 : 상부돌출된 티(T)형블럭 하부날개
240 : 상부돌출된 티(T)형블럭 먹이턱 250 : 상부돌출된 티(T)형블럭 고정통공
300 : 고정봉 310 : 고정캡
120 : 십자(+)형블럭 측면날개 130 : 십자(+)형블럭 하부날개
140 : 십자(+)형블럭 먹이턱 150 : 십자(+)형블럭 고정통공
200 : 상부돌출된 티(T)형블럭 210 : 상부돌출된 티(T)형블럭 상부날개
220 : 상부돌출된 티(T)형블럭 측면날개 230 : 상부돌출된 티(T)형블럭 하부날개
240 : 상부돌출된 티(T)형블럭 먹이턱 250 : 상부돌출된 티(T)형블럭 고정통공
300 : 고정봉 310 : 고정캡
Claims (5)
- 일정 두께와 넓이를 갖는 판상체가 십자(+)형으로 교차되어 측면 날개를 갖는 십자(+)형블럭과, 일정두께와 넓이를 갖는 판상체가 상부 돌출된 티(T)형으로 교차되어 측면날개를 형성하는 상부돌출 티(T)형블럭이 교차로 배치되고,
십자(+)형블럭의 상부 날개와 하부 날개는 교차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지고, 상부돌출된 티(T)형블럭의 하부 날개는 교차중심을 기준으로 상부 날개보다 길게 형성되어 십자(+)형블럭과 티(T)형블럭을 교차로 배치했을 때, 수직높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십자(+)형블럭의 상부날개는 양식생물이 측면날개의 좌우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측면날개와 같은 높이로 이루어진 블록부분과 상부 돌출된 티(T)형블럭의 상부날개와 같은 높이로 이루어진 오목부분이 반복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십자(+)형블럭과 상부돌출된 티(T)형블럭 하부에는 고정통공이 형성되어 고정 통공을 관통하여 십자(+)형블럭과 상부돌출 티(T)형블럭을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우는 고정봉으로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십자(+)형블럭 또는 상부 돌출된 티(T)형블럭의 상부면 측면날개 가장자리와 상부면 측면날개 전후면의 가장자리에는 일정 높이로 먹이턱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돌출된 티(T)형블럭의 길이방향 전, 후부의 상부날개와 측면날개와 하부날개가 교차하는 중심부에는 수조 이격용 돌출판이 형성되고,
상기 십자(+)형 블럭 하부날개와 상부돌출된 티(T)형블럭 하부날개의 하부에는 부착생물이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의 오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부착생물 양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생물 양식장치의 상부에는 다각형의 수직판이 일렬로 복수 개 연결된 파판이 적층되어 상방향이 개구되고 전후좌우방향으로 정방형으로 일정한 높이와 길이를 갖고, 측벽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높이를 갖고 수조 내측으로 "ㄱ" 형상으로 돌출된 거치대부가 형성되며, 측벽 상면 둘레에는 측벽보강을 위한 요철부가 형성되고, 바닥에는 상부면이 평평한 사다리꼴 요철부와 삼각형 요철부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육상 양식수조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부착생물 양식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8475A KR101786187B1 (ko) | 2015-07-31 | 2015-07-31 | 조립형 부착생물 양식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8475A KR101786187B1 (ko) | 2015-07-31 | 2015-07-31 | 조립형 부착생물 양식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4698A KR20170014698A (ko) | 2017-02-08 |
KR101786187B1 true KR101786187B1 (ko) | 2017-10-17 |
Family
ID=58155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8475A KR101786187B1 (ko) | 2015-07-31 | 2015-07-31 | 조립형 부착생물 양식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6187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6365B1 (ko) * | 2013-06-08 | 2013-10-08 | 이하송 | 복수의 거푸집을 이용한 이종생물 복합양식용 수조 제작방법 및 복합양식용 수조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77292B1 (ko) | 1998-03-21 | 2001-01-15 | 배평암 | 전복양식용구조물 |
KR200333173Y1 (ko) | 2003-08-12 | 2003-11-12 | 주식회사 대운 | 전복 부착면적의 가변이 가능한 전복양식집 |
KR20140056688A (ko) | 2012-10-31 | 2014-05-12 | 박송범 | 해삼 및 전복 양식용 수조 |
KR101563333B1 (ko) | 2013-01-25 | 2015-10-26 | 최영태 | 전복 양식용 구조물 |
-
2015
- 2015-07-31 KR KR1020150108475A patent/KR10178618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16365B1 (ko) * | 2013-06-08 | 2013-10-08 | 이하송 | 복수의 거푸집을 이용한 이종생물 복합양식용 수조 제작방법 및 복합양식용 수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14698A (ko) | 2017-0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06673B1 (ko) | T자형 굴곡을 갖는 전복 양식용 쉘터 | |
CN103004666B (zh) | 一种花鳗苗种标粗培育的养殖方法 | |
KR101728224B1 (ko) | 부유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해마 양성용 사육수조 | |
KR102044634B1 (ko) | 육상수조를 이용한 전복 및 해삼양식장 | |
KR101786186B1 (ko) | 일체형 부착생물 양식장치 | |
WO2006036989A2 (en) | Method for raising aquatic animals | |
CN1729763A (zh) | 一种头足类苗种培育的方法及所用的装置 | |
JP2012120480A (ja) | カワニナ類の飼育方法およびカワニナ類飼育水槽 | |
CN113179985A (zh) | 一种海洋牧场增殖放流幼苗培育塔式人工鱼礁及培育方法 | |
KR101657774B1 (ko) | 육상 수조용 부착생물 육성 장치 | |
KR101573606B1 (ko) | 수조식 양식장용 전복쉘터 | |
KR101806085B1 (ko) | 해삼용 침하식 복합 양식장치 | |
CN106359208B (zh) | 一种禾虫半人工育苗滩涂养殖方法 | |
KR101611132B1 (ko) | 육상 전복 양식 수조용 먹이 급이 쉘터 | |
KR102030965B1 (ko) | 해삼의 유집과 중간육성 및 어패류 산란조성을 위한 수중복합 양식장치 | |
CN103798119B (zh) | 池塘多功能浮萍培育网箱 | |
KR102624052B1 (ko) | 육상용 해삼 양식장 | |
KR20160001443A (ko) | 전복 중간육성용 고밀도 입체형 셀터 | |
CN203708986U (zh) | 池塘多功能浮萍培育网箱 | |
KR101786187B1 (ko) | 조립형 부착생물 양식 장치 | |
KR20180119370A (ko) | 전복 양식용 쉘터 | |
JP3669968B2 (ja) | 蟹類の養殖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 |
CN204540385U (zh) | 一种自逸式网箱型鲆鲽类鱼苗分级筛 | |
KR102200440B1 (ko) | 해상용 해삼 양식장치 | |
Soltan | Aquaculture system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