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776B1 - 자전거 핸들의 폴딩 백 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 핸들의 폴딩 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776B1
KR101785776B1 KR1020150028296A KR20150028296A KR101785776B1 KR 101785776 B1 KR101785776 B1 KR 101785776B1 KR 1020150028296 A KR1020150028296 A KR 1020150028296A KR 20150028296 A KR20150028296 A KR 20150028296A KR 101785776 B1 KR101785776 B1 KR 101785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olding
lever
bicyc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5081A (ko
Inventor
이병환
Original Assignee
이병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환 filed Critical 이병환
Priority to KR1020150028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776B1/ko
Publication of KR20160105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50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3Bicycles; Tr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버를 젖히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좌우로 나눈 핸들 바가 뒤로 젖혀지면서 접을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누구든지 쉽게 레버 조작을 통해 핸들 바를 폴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자전거 핸들의 폴딩 백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퀵 릴리스 레버(Quick Release lever)를 채택하여 레버를 젖혀서 빼내는 간단한 동작으로 양쪽으로 나눈 두 개의 핸들 바를 쉽고 신속하게 폴딩하거나 원래대로 고정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자전거 핸들의 폴딩 백 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자전거 핸들의 폴딩 백 장치{APPARATUS FOR FOLDING BACK HANDLE OF BICYCLE}
본 발명은 자전거 핸들의 폴딩 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퀵 릴리스 레버를 이용하여 좌우로 분리한 핸들 바를 쉽고 신속하게 뒤로 젖혀서 핸들 바를 접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자전거는 사람이 안장에 올라앉아 두 손으로 핸들 바를 잡고 두 다리의 힘으로 바퀴를 돌려서 움직일 수 있게 한 것을 말한다. 그리고, 바퀴는 흔히 두 개이며 한 개나 세 개로 구성하기도 한다.
이러한 자전거는 최근 레저 붐이 일면서 자동차에 쉽게 싣고 다니거나 가정 등에서 보관할 때 보관 면적 등을 줄일 수 있도록 폴딩 가능한 구조로 제작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는 이러한 폴딩 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절첩식 수동 겸 전동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스쿠터는 단순히 핸들을 고정하는 프레임을 접을 수 있게 구성하거나, 스쿠터는 크기를 줄이기 위해서 프레임을 접고 다시 접은 프레임을 이동시켜 길이를 축소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여러 번의 작업을 통해서 크기를 줄이다 보니 신속성이 떨어지는 문제점과, 중량체인 스쿠터를 여러 번 작업하기에는 노약자가 작업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어 사용자에 한정이 따르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또한, 프레임을 접을 때, 안장에 의해 프레임이 간섭을 받아 접는 것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던 바, 페달을 이용한 수동 또는 전기모터를 이용한 전동의 동력원을 전달받아 주행하는 자전거를 주차 후, 부피를 최소로 줄여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앞바퀴부분과 뒷바퀴부분을 크게 분할하고, 그 사이에 연결링크를 개재시켜 앞바퀴부분과 뒷바퀴부분이 연결링크를 중심으로 회전 및 고정되게 하는 절첩식 수동 겸 전동 자전거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2는 자전거용 접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나사탭식 회전 잠금체 구조를 갖는 자전거용 접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용 접철 장치는, 일측 프레임에 접속되는 프레임 접속부와, 상측부에 하방향으로 고정체가 결합하는 고정체 체결 홈과, 측면으로 힌지축이 체결되는 힌지부로 이루어지는 제1 접철부재와; 타측 프레임에 접속되는 프레임 접속부와, 일측이 개구되고 회전 잠금체의 선단과 맞물려 잠금 작용을 하는 잠금체 체결 홈과, 측면으로 상기 힌지축이 체결되는 힌지부로 이루어지는 제2 접철부재와; 노브(Knob)와, 일단은 상기 노브와 요철 결합되고 타단의 중심은 탭 홀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체와 나사 결합하는 회전 잠금체와, 외주면으로 나사탭이 형성되며 일단은 상기 고정체 체결 홈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 잠금체와 연결되는 고정체로 이루어지는 잠금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지만, 기존의 폴딩(접철)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자전거를 타기 위해 양손으로 잡는 핸들 바가 돌출하지 않도록 폴딩할 수 있게 구성해야 하는 데 그 구조가 복잡하다.
(2) 이는 핸들 바를 폴딩하기 위한 폴딩 장치를 제조하는 데 어려움이 많을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이 많이 든다.
(3) 레버를 이용하여 양쪽으로 나눈 두 개의 핸들 바를 하나의 레버로 조작해야 하므로 레버가 차지하는 공간이 커진다. 이는 자전거를 접었을 때 차지하는 전체 공간이 커지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12392호 (공개일 : 2015.02.04)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95930호 (공개일 : 2013.08.29)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발명한 것으로, 레버를 젖히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좌우로 나눈 핸들 바가 뒤로 젖혀지면서 접을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누구든지 쉽게 레버 조작을 통해 핸들 바를 폴딩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자전거 핸들의 폴딩 백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퀵 릴리스 레버(Quick Release lever)를 채택하여 레버를 젖혀서 빼내는 간단한 동작으로 양쪽으로 나눈 두 개의 핸들 바를 쉽고 신속하게 폴딩하거나 원래대로 고정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자전거 핸들의 폴딩 백 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핸들의 폴딩 백 장치는, 핸들 스템(S)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삽입 구멍(110)과, 양쪽에 대응하여 형성한 두 개의 수납 공간(130)을 갖춘 보디(100); 한쪽에 각각 핸들 바(B1,B2)를 고정하여 지지하고, 상기 보디(100)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여 다른 한쪽이 각 공간(130)에 수납할 수 있게 설치한 제1회전 부재(200a)와 제2회전 부재(200b); 및 상기 제1회전 부재(200a)와 제2회전 부재(200b) 사이에 장착한 퀵 릴리스 레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삽입 구멍(110)은, 핸들 스템(S)을 끼울 수 있게 관통하여 형성하고, 한쪽에는 전체 길이에 걸쳐 절개 면(111)을 절개하며, 외부에는 상기 절개 면(111)의 맞붙으면서 핸들 스템(S)을 조여줄 수 있도록 조절 나사(112)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퀵 릴리스 레버(300)는, 한쪽이 상기 제2회전 부재(200b)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고 다른 한쪽이 상기 제1회전 부재(200a)에 끼워지고 빠질 수 있게 구성한 샤프트(310); 및 상기 샤프트(310)의 다른 한쪽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여 이 샤프트(310)와 마주 보게 회전함에 따라 제1회전 부재(200a)와 제2회전 부재(200b) 사이의 간격을 압박하여 고정하는 레버(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핸들의 폴딩 백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구조가 간단하여 누구든지 쉽게 조작하여 핸들 바를 폴딩할 수 있다.
(2) 특히, 핸들 바를 지지하는 두 개의 회전 부재를 고정하고 해제하는 레버를 퀵 릴리스 레버(Quick Release Lever)로 채택하므로, 이처럼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쉽게 누구든지 레버를 젖히는 동작을 통해 핸들 바를 폴딩할 수 있다.
(3) 구조가 간단하여 쉽게 제작할 수 있으며 그만큼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4) 또한, 이처럼 간단한 구조이므로 고장 수리를 할 수 있어 유지 보수를 쉽게 할 수 있다.
(5) 핸들 바를 쉽고 편리하게 접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폴딩 장치를 적용한 자전거를 쉽게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좁은 공간에서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장치를 적용한 자전거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 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장치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 장치를 이용하여 폴딩하는 상태를 차례로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핸들의 폴딩 백 장치는, [도 1] 내지 [도 6]과 같이, 핸들 스템(S)에 장착하는 보디(100), 이 보디(100)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고 한쪽에 각각 핸들 바(B1,B2)를 장착한 제1회전 부재(200a)와 제2회전 부재(200b), 그리고 이들 제1회전 부재(200a)와 제2회전 부재(200b)를 고정하여 핸들로 사용할 수 있게 하거나 핸들을 뒤로 접을 수 있게 고정하는 퀵 릴리스 레버(300)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은 이처럼 퀵 릴리스 레버(300)로 두 개의 제1회전 부재(200a)와 제2회전 부재(200b)를 고정과 해제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누구든지 쉽게 이들 회전 부재를 고정하거나 해제하여 폴딩 동작을 쉽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S"는 자전거의 바퀴를 회전하는 데 사용하는 핸들 스템(Stem)을, "B1"과 "B2"는 이 핸들 스템을 기준으로 좌우로 나눈 핸들 바를 각각 나타낸다.
보디(10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핸들 스템(S)에 끼울 수 있게 장착한다. 이를 위하여 보디(100)에는 이 핸들 스템(S)을 끼울 수 있도록 삽입 구멍(110)을 형성한다. 이때, 삽입 구멍(110)은 한쪽이 막히게 형성할 수도 있고, 관통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 구멍(110)은 한쪽에 전체 길이에 걸쳐 절개 면(111)을 형성하고, 외부에는 이 절개 면(111)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게 체결할 수 있는 조절 나사(112)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조절 나사(112)를 체결함에 따라 삽입 구멍(110)의 안지름이 작아지면서 핸들 스템(S)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보디(100)에는 양쪽에 각각 지지 부분(120)을 형성한다. 이들 지지 부분(120)은 후술할 제1회전 부재(200a)와 제2회전 부재(200b)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지지 부분(120)은 핸들 바(B1,B2)에 힘이 가해지더라도 이 힘을 견딜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두 개의 지지 부분(120)은 보디(100)를 핸들 스템(S)에 장착하였을 때, 제1회전 부재(200a)와 제2회전 부재(200b)가 뒤를 향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디(100)에는 두 개의 수납공간(130)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납공간(130)은, [도 2] 및 [도 4]와 같이, 핸들 바(B1,B2)를 사용하기 위해 나란하게 펼쳤을 때, 각 제1회전 부재(200a)와 제2회전 부재(200b)의 한쪽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말한다. 이때, 각 수납공간(130)은 [도 4]와 같이 제1회전 부재(200a)와 제2회전 부재(200b)를 수납하였을 때, 두 개의 핸들 바(B1,B2)가 대칭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나란하게 대칭인 상태를 보여준다.
제1회전 부재(200a)와 제2회전 부재(200b)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지지 부분(120)에 핀(210)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게 형성한다. 이때, 각 핀(110)은 서로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지지 부분(120)에 장착하여, 이들 제1회전 부재(200a)와 제2회전 부재(200b)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1회전 부재(200a)와 제2회전 부재(200b)는 한쪽이 상술한 수납공간(130)에 수납할 수 있게 형성하고, 다른 한쪽에는 각각 핸들 바(B1,B2)를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장착 구멍(220)을 형성한다. 이때, 각 장착 구멍(220)에는 핸들 바(B1,B2)를 강제 끼움 방식으로 끼우거나 삽입한 다음 볼트 등으로 체결하여 빠지지 않게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 구멍(220)은, [도 4]에서 두 개의 핸들 바(B1,B2)가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형성한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서 핸들 스템(S)의 중심을 지나는 가로 방향을 기준으로 미리 정한 각도가 되도록 다양한 각도로 핸들 바(B1,B2)를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퀵 릴리스 레버(300)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제1회전 부재(200a)와 제2회전 부재(200b) 사이를 고정하여 핸들 바(B1,B2)를 사용할 수 있게 하거나, [도 5] 및 [도 6]과 같이 고정을 해제할 때 사용한다. 이러한 퀵 릴리스 레버(300)는 "Quick release lever"로 많이 알려진 손으로 잠그거나 풀 수 있게 제작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퀵 릴리스 레버(300)는, 예시적으로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한쪽이 제2회전 부재(200b)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 샤프트(310)와, 이 샤프트(310)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 레버(32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샤프트(310)는, [도 2]와 같이, 한쪽을 핀(311)을 기준으로 제2회전 부재(200b)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고, 다른 한쪽을 제1회전 부재(200a)에 형성한 절개 면(230)을 끼워지게 설치한다. 이때, 상기 샤프트(310)는 이 절개 면(230)을 통해 한쪽이 제1회전 부재(200a) 바깥쪽으로 돌출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샤프트(310)는 핀(311)에 체결 방식으로 장착하여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여, 절개 면(230)까지의 거리 조절을 통해 고정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버(320)는, [도 2]와 같이, 한쪽을 이처럼 제1회전 부재(200a)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한 샤프트(310) 끝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다. 이때, 레버(320)는 샤프트(320)를 향해 회전하면 회전 부분이 제1회전 부재(200a)를 압박하여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반대로 마주 보던 샤프트(320)에서 멀어지게 회전시키면 제1회전 부재(200a)의 압박을 해제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처럼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 핸들의 폴딩 백 장치는, [도 4]와 같이, 잠금 상태 즉 핸들 바를 사용하는 상태에서, 폴딩하기 위해서는 [도 5]와 같이 샤프트(310)와 나란하게 있던 레버(320)를 바깥쪽으로 젖힌다. 이에, 샤프트(310)가 제1회전 부재(200a)에 형성한 절개 면(230)에서 빠지게 되어 [도 6]과 같이 제1회전 부재(200a)와 제2회전 부재(200b)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폴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퀵 릴리스 레버를 이용하여 쉽고 신속하게 핸들 바를 폴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100 : 보디 110 : 삽입 구멍
111 : 절개 면 112 : 조절 나사
120 : 지지 부분 130 : 수납공간
200a : 제1회전 부재 200b : 제2회전 부재
210 : 핀 220 : 장착 구멍
230 : 절개 면 300 : 퀵 릴리스 렙버
310 : 샤프트 320 : 레버

Claims (3)

  1. 핸들 스템(S)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삽입 구멍(110)과, 양쪽에 대응하여 형성한 두 개의 수납 공간(130)을 갖춘 보디(100); 한쪽에 각각 핸들 바(B1,B2)를 고정하여 지지하고, 상기 보디(100)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여 다른 한쪽이 각 공간(130)에 수납할 수 있게 설치한 제1회전 부재(200a)와 제2회전 부재(200b); 및 상기 제1회전 부재(200a)와 제2회전 부재(200b) 사이에 장착한 퀵 릴리스 레버(300);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 구멍(110)은, 핸들 스템(S)을 끼울 수 있게 관통하여 형성하고, 한쪽에는 전체 길이에 걸쳐 절개 면(111)을 절개하며, 외부에는 상기 절개 면(111)의 맞붙으면서 핸들 스템(S)을 조여줄 수 있도록 조절 나사(112)를 갖추며,
    상기 퀵 릴리스 레버(300)는, 한쪽이 상기 제2회전 부재(200b)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고 다른 한쪽이 상기 제1회전 부재(200a)에 끼워지고 빠질 수 있게 구성한 샤프트(310); 및 상기 샤프트(310)의 다른 한쪽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여 이 샤프트(310)와 마주 보게 회전함에 따라 제1회전 부재(200a)와 제2회전 부재(200b) 사이의 간격을 압박하여 고정하는 레버(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핸들의 폴딩 백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50028296A 2015-02-27 2015-02-27 자전거 핸들의 폴딩 백 장치 KR101785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296A KR101785776B1 (ko) 2015-02-27 2015-02-27 자전거 핸들의 폴딩 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296A KR101785776B1 (ko) 2015-02-27 2015-02-27 자전거 핸들의 폴딩 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081A KR20160105081A (ko) 2016-09-06
KR101785776B1 true KR101785776B1 (ko) 2017-10-16

Family

ID=56945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296A KR101785776B1 (ko) 2015-02-27 2015-02-27 자전거 핸들의 폴딩 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7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33900A1 (en) * 2001-08-17 2003-02-20 Yu-Hsueh Chu Least volume of folding handle bar for bicycle
JP2006193059A (ja) * 2005-01-14 2006-07-27 Jd Japan Kk ハンドルバーの折り畳み・固定機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5930A (ko) 2012-02-21 2013-08-29 염동환 자전거용 접철장치
KR101538215B1 (ko) 2013-07-25 2015-07-22 손영철 절첩식 수동 겸 전동 자전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33900A1 (en) * 2001-08-17 2003-02-20 Yu-Hsueh Chu Least volume of folding handle bar for bicycle
JP2006193059A (ja) * 2005-01-14 2006-07-27 Jd Japan Kk ハンドルバーの折り畳み・固定機構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120942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5081A (ko) 201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3185B1 (ko) 접이식 자전거
JP5719950B2 (ja) 折り畳み装置
KR101473181B1 (ko) 접이식 자전거
EP2612808B1 (en) Folding handlebar mechanism and folding vehicle having same
KR101785776B1 (ko) 자전거 핸들의 폴딩 백 장치
US7243573B2 (en) Folding handlebar
US9643633B2 (en) Front wheel folding structure of three-wheeled cart
KR101537923B1 (ko) 접이식 자전거
US8002302B1 (en) Bicycle kickstand having quick release function
KR20090091548A (ko) 다기능 운송장치
KR20160105077A (ko) 자전거 핸들의 폴딩 다운 장치
AU2010202964A1 (en) Folding apparatus for a bicycle frame
US20220274666A1 (en) Folding Bicycle
TW201332829A (zh) 腳踏車幹
JP2003170881A (ja) 自転車の折り畳み構造
JP2016043843A (ja) 車椅子兼用自転車
KR101473182B1 (ko) 접이식 자전거
EP2128005B1 (en) Bicycle kickstand having quick release function
KR20190104792A (ko) 소형 이동수단용 접이식 핸들장치 및 이를 이용한 킥보드
US20170259870A1 (en) Method to reduce bicycle shipping and storage width by the addition of a lockable second axis of rotation for the crank arm
KR102437885B1 (ko) 접이식 자전거
TWM545733U (zh) 自行車之輔助操控裝置
GB2528937A (en) A stroller assembly, a push bar device for a stroller, and a method of collapsing a stroller
TWI584991B (zh) Bicycle integrated frame assembly
US20190291807A1 (en) Foldable cycl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