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494B1 - 이물질 포집용 진동장치 - Google Patents

이물질 포집용 진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494B1
KR101785494B1 KR1020170038532A KR20170038532A KR101785494B1 KR 101785494 B1 KR101785494 B1 KR 101785494B1 KR 1020170038532 A KR1020170038532 A KR 1020170038532A KR 20170038532 A KR20170038532 A KR 20170038532A KR 101785494 B1 KR101785494 B1 KR 1017854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raw material
plate
vibration plat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8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진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밀
Priority to KR1020170038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4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4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4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질 포집용 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쇄기를 통해 분쇄되는 분쇄원료에 포함된 이물질을 진동을 발생시켜 분쇄원료에서 분리하여 이물질을 포집하고, 걸러진 분쇄원료는 이후 공정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 이후 분쇄가공시 분쇄장치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질 포집용 진동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물질 포집용 진동장치{Vibrating equipment for collecting debris}
본 발명은 이물질 포집용 진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쇄기를 통해 분쇄되는 분쇄원료에 포함된 이물질을 진동을 발생시켜 분쇄원료에서 분리하여 이물질을 포집하고, 걸러진 분쇄원료는 이후 공정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물질을 제거함으로 이후 분쇄가공시 분쇄장치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질 포집용 진동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동식 선별장치는 분쇄기 또는 파쇄기 등의 장치에서 처리되는 분쇄원료에서 원료입자 크기가 크거나 이물질 등을 걸러내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진동식 선별장치는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케이스 내부에 스크린 망체를 설치하여 스크린 망체에 진동을 발생시켜 케이스 내부로 유입되는 분쇄원료에서 원료입자 크기가 크거나 타 이물질 등을 걸러내는 것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진동식 선별장치는 모터식 진동기를 이용하여 진동을 발생시켜 스크린 망체에 형성된 입도크기에 따라 분쇄원료를 통과시키며, 입도 크기가 크거나 타 이물질의 경우 통과되지 못하도록 하여 선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진동식 선별장치는 진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식 진동기가 무거워 장치의 규모가 커지며, 장치의 운반이 번거롭고 진동의 발생으로 주변의 타 장치에 진동이 전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선별장치는 대체적으로 타 장치에 설치하여 사용됨으로 진동발생시 주변 장치에 진동을 전달하여 장치에 대한 수명 또는 유격 발생이 심각하게 적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에어 진동기를 사용하여 선별장치에 사용하고 있지만, 진동의 효율이 미비해 대량의 분쇄원료를 선별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65087 진동분리장치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분쇄기를 통해 분쇄되는 분쇄원료에 포함된 이물질을 진동에 의해 분리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변형부재의 팽창으로 인해 분리되는 분쇄원료의 미세 분말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며, 진동이 원료이송관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감소시켜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진동증폭수단을 통해 진동수단에서 발생된 진동을 증폭시켜 걸름수단 측으로 전달하여 극대화된 진동율에 대해 분쇄원료 속에 포함된 이물질의 분리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진동전달수단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포집된 이물질을 쉽게 배출시킬 수 있으며, 걸름수단과 진동증폭수단의 수명에 따라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분쇄된 원료 중에서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이물질 포집용 진동장치(10)는,
분쇄기를 통해 분쇄된 분쇄원료를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원료이송수단(100)과;
진동수단(300)의 진동을 걸름수단(500)으로 전달하기 위해 원료이송수단(100) 일측에 형성되는 진동전달수단(200)과;
상기 진동전달수단(200)에 진동을 가하기 위해 진동전달수단(200) 일측에 설치되는 진동수단(300)과;
상기 진동전달수단(200)의 진동을 가하기 위해 진동전달수단(200) 일측에 설치되는 진동수단(300)과;
상기 진동전달수단(200)의 진동을 걸름수단(500) 측으로 전달되도록 하며, 진동 전달시 진동을 증폭시키기 위해 진동전달수단(200)과 걸름수단(500) 사이에 형성되는 진동증폭수단(400)과;
진동전달수단(200)에서 전달된 진동을 이용하여 상기 원료이송수단(100)을 통해 이동되는 분쇄원료에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걸름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분쇄기를 통해 분쇄되는 분쇄원료에 포함된 이물질을 진동에 의해 쉽게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변형부재의 팽창으로 인해 분리되는 분쇄원료의 미세 분말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며, 진동이 원료이송관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감소시켜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진동증폭수단을 통해 진동수단에서 발생된 진동을 증폭시켜 걸름수단 측으로 전달하여 극대화된 진동율에 대해 분쇄원료 속에 포함된 이물질의 분리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진동전달수단의 탈부착이 용이하여 포집된 이물질을 쉽게 배출시킬 수 있으며, 걸름수단과 진동증폭수단의 수명에 따라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이물질 포집용 진동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 이물질 포집용 진동장치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이물질 포집용 진동장치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이물질 포집용 진동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이물질 포집용 진동장치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이물질 포집용 진동장치에 대한 진동전달수단에 대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이물질 포집용 진동장치에 대한 진동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 이물질 포집용 진동장치의 진동증폭수단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이물질 포집용 진동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 분쇄된 원료 중에서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이물질 포집용 진동장치는,
분쇄기를 통해 분쇄된 분쇄원료를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원료이송수단(100)과;
진동수단(300)의 진동을 걸름수단(500)으로 전달하기 위해 원료이송수단(100) 일측에 형성되는 진동전달수단(200)과;
상기 진동전달수단(200)에 진동을 가하기 위해 진동전달수단(200) 일측에 설치되는 진동수단(300)과;
상기 진동전달수단(200)의 진동을 걸름수단(500) 측으로 전달되도록 하며, 진동 전달시 진동을 증폭시키기 위해 진동전달수단(200)과 걸름수단(500) 사이에 형성되는 진동증폭수단(400)과;
진동전달수단(200)에서 전달된 진동을 이용하여 상기 원료이송수단(100)을 통해 이동되는 분쇄원료에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걸름수단(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료이송수단(100)은 분쇄기 측에서 투입되는 분쇄된 분쇄원료에서 이물질을 걸러내어 이물질이 걸러진 분쇄원료를 외부수단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이송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료이송수단(100)은 일측이 분쇄기측과 연결 형성되고, 원료이송수단(100)의 타측은 이물질이 걸러진 분쇄원료가 외부의 이송수단 또는 배출구 측의 관과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원료이송수단(100)은 분쇄원료가 진동전달수단(200) 측으로 이동되도록 분쇄기 측과 연결 형성되는 제1원료이송관(110)과;
제1원료이송관(110)을 통해 이동되는 분쇄원료의 이물질 제거 후 걸러진 분쇄원료를 배출시키도록 형성되는 제2원료이송관(120)과;
상기 제1원료이송관(110)과 제2원료이송관(120)의 연결을 위해 제1원료이송관(110)과 제2원료이송관(120)의 일측에 형성되는 연결플랜지(130)와;
상기 제1원료이송관(110)에 형성된 연결플랜지(130)와 제2원료이송관(120)에 형성된 연결플랜지(130)를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연결수단(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원료이송관(110)은 일측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기측과 플랜지연결 되며, 상기 제1원료이송관(110)으로 분쇄기에서 분쇄된 분쇄원료가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에서 분쇄원료는 이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분쇄원료이다.
상기 제1원료이송관(110) 타측은 제2원료이송관(12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결플랜지(130)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플랜지(130)는 제1원료이송관(110)과 용접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원료이송관(120)은 일측이 걸러진 분쇄원료가 외부의 이송수단 측으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이송관과 플랜지연결 되며, 상기 제2원료이송관(120)을 통해 걸러진 분쇄원료가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원료이송관(120) 타측은 제1원료이송관(110)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결플랜지(130)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플랜지(130)는 제2원료이송관(120)과 용접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플랜지(130)는 제1원료이송관(110)과 제2원료이송관(120) 일측에 형성되어 제1원료이송관(110)과 제2원료이송관(120)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플랜지(130)에는 플랜지연결수단(140)을 통해 연결할 수 있도록 복수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랜지연결수단(140)은 제1원료이송관(110)과 제2원료이송관(120)에 형성되는 연결플랜지(130)를 연결 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연결핀 또는 볼트와 너트 등의 연결수단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일측에서 볼트를 삽입시켜 타측에서 너트를 조여줌으로 결합 되는 볼트와 너트 방식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동전달수단(200)은 진동수단(300)에서 발생된 진동을 진동증폭수단(400)을 통해 걸름수단(500) 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전달수단(200) 일측 또는 양측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형성되는 진동수단(3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원형의 판으로 형성된 진동전달수단(200)에 전달되며, 진동전달수단(200) 측으로 전달된 진동을 진동증폭수단(400)을 통해 진동을 증폭시켜 진동전달수단(200)의 내부 중앙에 형성된 걸름수단(500)에 전달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동전달수단(200)은 진동수단(300)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중공부 내측에 형성되는 진동증폭수단(400)에 전달하고, 상부와 하부에 변형부재(250)가 형성되는 중공부를 갖는 원형의 진동플레이트(210)와;
상기 진동플레이트(210) 상부에 형성되는 변형부재(250)를 고정하기 위해 진동플레이트(210)의 상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링 형상인 상부고정플레이트(220)와;
상기 진동플레이트(210) 하부에 형성되는 변형부재(250)를 고정하기 위해 진동플레이트(2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링 형상인 하부고정플레이트(230)와;
상기 상부고정플레이트(220)와 하부고정플레이트(230)를 진동플레이트(210)에 고정시키기 위해 복수개 형성되는 플레이트고정수단(240)과;
외부에서 공기주입시 팽창되어 상부고정플레이트(220)와 하부고정플레이트(230)에 형성되는 연결플랜지(130)에 밀착되고, 외부로 이물질이 유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연결플랜지(130)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링 형상의 변형부재(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플레이트(210)는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원료이송관(110)과 제2원료이송관(120)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부를 갖는 원형의 판 형상인 것으로, 진동수단(3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진동플레이트(210) 내주면에 형성되는 진동증폭수단(400) 측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플레이트(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수단(300)이 안착되도록 진동플레이트(210) 일측으로 형성되는 진동수단안착부(211)와;
진동플레이트(210)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되는 변형부재(250)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진동플레이트(210)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변형부재안착홈(212)과;
진동플레이트(210)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유로(214)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진동플레이트(210)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공기공급관(213)과;
상기 공기공급관(213)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변형부재(250)와 진동플레이트(210)의 사이에 주입되도록 진동플레이트(210)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유로(214)와;
진동증폭수단(400)에 삽입 수용되도록 진동플레이트(210) 내주면 둘레에 형성되는 삽입고정단(2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수단안착부(211)는 진동수단(300)이 안착되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플레이트(2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진동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진동수단(300)을 복수개 설치시 진동플레이트(210)에 일측 또는 양측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진동수단(3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진동수단안착부(2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진동수단안착부(211)는 진동플레이트(210) 양측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형부재안착홈(212)은 진동플레이트(210)에 변형부재(250)를 안착 수용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진동플레이트(21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변형부재(250)는 상부고정플레이트(220)와 하부고정플레이트(230)에 의해 가압 눌려져 진동플레이트(210)의 상기 변형부재안착홈(212)에 삽입됨으로 진동플레이트(210) 상에서 변형부재(250)가 쉽게 빠지지지 않게 하거나, 공기주입에 의한 변형부재(250) 팽창시 공기의 유출이 발생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공급관(213)은 진동플레이트(210)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진동플레이트(210) 내부에 형성된 공기유로(214) 측으로 공기를 주입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공급관(213)은 외부에서 공기주입을 위해 형성된 공기주입 수단이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유로(214)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공급관(213)을 통해 외부에서 주입되는 공기가 변형부재(250)와 진동플레이트(210) 사이의 공간(A)에 주입되도록 진동플레이트(210) 일측 내부에서 상부와 하부 측으로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면에서 공기공급관(213)을 통해 주입되는 공기가 공기유로(214)를 따라 진동플레이트(210)와 변형부재(250) 사이(도8의 공간 A)로 주입되어 변형부재(250)가 팽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에 도시 된 화살표는 외부에서 주입되는 공기가 공기유로(214)를 통해 변형부재(250)와 진동플레이트(210) 사이의 공간(A)에 주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삽입고정단(215)은 진동플레이트(210) 내주면에 위치되는 진동증폭수단(400)과 진동플레이트(210)의 연결을 위해 진동플레이트(210) 내주면 둘레에 형성되는 것으로, 진동증폭수단(400)의 제1삽입홈(420)에 상기 삽입고정단(215)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링 형상인 상부고정플레이트(220)는 진동플레이트(210) 상부 측으로 위치되는 변형부재(250)를 진동플레이트(210)의 변형부재안착홈(212)에 가압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플레이트고정수단(240)을 통해 진동플레이트(210)와 고정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상부고정플레이트(220)중 하나는 진동플레이트(210)의 외주면 측에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진동플레이트(210)의 내주면측에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상부고정플레이트(220)는 원형의 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고정플레이트(220)에 의해 진동플레이트(210)에 가압 고정된 변형부재(250)는 공기주입에 의한 팽창시 팽창압력이 가해져도 진동플레이트(21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상부고정플레이트(220)가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진동플레이트(210)의 상부 내주면 측과 외주면 측에는 상부고정플레이트(220)의 두께만큼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링 형상인 하부고정플레이트(230)는 진동플레이트(210) 하부 측으로 위치되는 변형부재(250)를 진동플레이트(210)의 변형부재안착홈(212)에 가압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플레이트고정수단(240)을 통해 진동플레이트(210)와 고정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하부고정플레이트(230)중 하나는 진동플레이트(210)의 외주면 측에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진동플레이트(210)의 내주면 측에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하부고정플레이트(230)는 원형의 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고정플레이트(230)에 의해 진동플레이트(210)에 가압 고정된 변형부재(250)는 공기주입에 의한 팽창시 팽창압력이 가해져도 진동플레이트(21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하부고정플레이트(230)가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진동플레이트(210)의 하부 내주면 측과 외주면 측에는 하부고정플레이트(230)의 두께만큼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고정수단(240)은 진동플레이트(210)에 상부고정플레이트(220)와 하부고정플레이트(230)를 고정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상기 플레이트고정수단(240)은 공기주입시 진동플레이트(210)와 상,하부고정플레이트(220,230)에 발생되는 틈으로 공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형부재(250)는 진동플레이트(210)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을 갖는 링 형상의 것으로, 외부의 공기 주입시 팽창하여 제1원료이송관(110)의 연결플랜지(130)와 제2원료이송관(120)의 연결플랜지(130)에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외부의 공기 주입시 변형부재(250)의 팽창은 진동플레이트(210)에 대해 제1원료이송관(110)과 제2원료이송관(120)을 물리적으로 이격시키게 되어 진동수단(300)에 의해 진동플레이트(210) 측으로 전달된 진동이 제1원료이송관(110)과 제2원료이송관(120) 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진동을 감소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변형부재가 없는 경우, 진동플레이트의 진동은 그대로 제1원료이송관(110)과 제2원료이송관(120)에 전달되어 기계적 마모나 파손을 유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팽창된 변형부재는 진동플레이트(210)에 대해 제1원료이송관(110)과 제2원료이송관(120)을 물리적으로 이격시켜 진동이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변형부재(250)는 팽창되어 제1원료이송관(110)과 제2원료이송관(120)에 밀착됨으로 진동플레이트와 제1원료이송관(110) 또는 진동플레이트와 제2원료이송관(120)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지 않게 되어 걸름수단(500)을 통해 걸러지는 분쇄원료의 미세분진이나 원료가 진동플레이트와 제1원료이송관(110) 또는 진동플레이트와 제2원료이송관(120) 사이의 공극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제공한다.
상기 변형부재(250)는 팽창 이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 원래 상태로 복귀되는 재질인 것으로, 팽창 및 복원이 가능한 재질인 고무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과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동수단(300)은 진동을 발생시켜 진동플레이트(210)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진동수단(300)은 진동플레이트(210) 일측(진동수단안착부(211))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수단(300)은 진동 효과를 높이기 위해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진동플레이트(210)의 양측으로 2개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상기 진동수단(300)에서 발생 된 진동은 진동플레이트(210)에 전달되고, 진동플레이트(210)에서 진동증폭수단(400)을 거쳐 걸름수단(500)으로 전달시킴으로 분쇄원료에서 이물질을 걸러 낼 수 있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동증폭수단(400)은 진동플레이트(210)에서 전달받은 진동을 증폭시켜 걸름수단(500) 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증폭수단(400)의 일측에는 진동플레이트(210)의 내주면 둘레로 형성되는 삽입고정단(215)이 삽입 수용되고, 타측에는 걸름수단(500)이 삽입 수용되어 상기 진동증폭수단(400)을 통해 진동플레이트(210)와 걸름수단(500)이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진동증폭수단(400)은 지지대에 의한 고정이 되지 않은 상태로 진동플레이트(210)와 걸름수단(500)을 연결하기 때문에 진동플레이트(210)에서 발생 되는 진동을 증폭시켜 걸름수단(500)에 제공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진동증폭수단(400)은,
진동플레이트(210)의 진동을 걸름수단(500) 측으로 전달시 진동이 증폭되도록 형성되는 진동증폭부재(410)와;
진동플레이트(210)의 삽입고정단(215)이 삽입 수용되도록 상기 진동증폭부재(410) 일측에 형성되는 제1삽입홈(420)과;
걸름수단(500) 외주면이 삽입 수용되도록 상기 진동증폭부재(410) 타측에 형성되는 제2삽입홈(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증폭부재(410)는 진동플레이트(210)에서 전달받은 진동을 증폭시켜 걸름수단(500) 측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진동증폭부재(410)의 재질은 유연성을 갖으며, 탄성력이 우수하여 진동 증폭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재질이면 본 발명에서는 충분하며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삽입홈(420)은 진동플레이트(210) 내주면 둘레로 형성되는 삽입고정단(215)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삽입고정단(215)이 제1삽입홈(420)에 끼워 맞춤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삽입홈(430)은 걸름수단(500) 외주면이 삽입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걸름수단(500)의 외주면이 제2삽입홈(430)에 끼워 맞춤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진동증폭수단(400)을 통해 진동의 증폭 정도를 화살표를 통해 나타내고 있으며, 진동수단(300)에서 발생 되는 진동은 진동플레이트(210)에 전달되며, 진동플레이트(210)에서 진동증폭수단(400)으로 전달되고, 진동증폭수단(400)에서 진동을 증폭시켜 걸름수단(500)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진동수단(300)에서 발생되는 진동의 수가 3인 경우 진동플레이트(210)에 전달되는 진동의 수는 3이고, 진동플레이트(210)에서 진동증폭수단(400)으로 전달되는 진동의 수가 3이며, 진동증폭수단(400)을 통해 진동수를 3 이상의 진동수로 증폭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걸름수단(500)은 분쇄기를 통해 이동되는 분쇄원료를 진동을 통해 분쇄원료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 상기 걸름수단(500)은 격자형태 망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름수단(500)의 격자 크기는 분쇄되는 분쇄원료의 입자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이물질포집용진동장치
100 : 원료이송수단 110 : 제1원료이송관
120 : 제2원료이송관 130 : 연결플랜지
140 : 플랜지연결수단
200 : 진동전달수단 210 : 진동플레이트
211 : 진동수단안착부 212 : 변형부재안착홈
213 : 공기공급관 214 : 공기유로
215 : 삽입고정단 220 : 상부고정플레이트
230 : 하부고정플레이트 240 : 플레이트고정수단
250 : 변형부재
300 : 진동수단
400 : 진동증폭수단 410 : 진동증폭부재
420 : 제1삽입홈 430 : 제2삽입홈
500 : 걸름수단

Claims (4)

  1. 분쇄된 원료 중에서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이물질 포집용 진동장치(10)에 있어서,
    분쇄기를 통해 분쇄된 분쇄원료를 이동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원료이송수단(100)과;
    진동수단(300)의 진동을 걸름수단(500)으로 전달하기 위해 원료이송수단(100) 일측에 형성되는 진동전달수단(200)과;
    상기 진동전달수단(200)에 진동을 가하기 위해 진동전달수단(200) 일측에 설치되는 진동수단(300)과;
    상기 진동전달수단(200)의 진동을 걸름수단(500) 측으로 전달되도록 하며, 진동 전달시 진동을 증폭시키기 위해 진동전달수단(200)과 걸름수단(500) 사이에 형성되는 진동증폭수단(400)과;
    진동전달수단(200)에서 전달된 진동을 이용하여 상기 원료이송수단(100)을 통해 이동되는 분쇄원료에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걸름수단(500)을 포함하며,

    상기 진동전달수단(200)은,
    진동수단(300)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중공부 내측에 형성되는 진동증폭수단(400)에 전달하고, 상부와 하부에 변형부재(250)가 형성되는 중공부를 갖는 원형의 진동플레이트(210)와;
    상기 진동플레이트(210) 상부에 형성되는 변형부재(250)를 고정하기 위해 진동플레이트(210)의 상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링 형상인 상부고정플레이트(220)와;
    상기 진동플레이트(210) 하부에 형성되는 변형부재(250)를 고정하기 위해 진동플레이트(2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한 쌍의 링 형상인 하부고정플레이트(230)와;
    상기 상부고정플레이트(220)와 하부고정플레이트(230)를 진동플레이트(210)에 고정시키기 위해 복수개 형성되는 플레이트고정수단(240)과;
    외부에서 공기주입시 팽창되어 상부고정플레이트(220)와 하부고정플레이트(230)에 형성되는 연결플랜지(130)에 밀착되고 외부로 이물질이 유출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연결플랜지(130)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링 형상의 변형부재(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포집용 진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이송수단(100)은,
    분쇄원료가 진동전달수단(200) 측으로 이동되도록 분쇄기 측과 연결 형성되는 제1원료이송관(110)과;
    제1원료이송관(110)을 통해 이동되는 분쇄원료의 이물질 제거 후 걸러진 분쇄원료를 배출시키도록 형성되는 제2원료이송관(120)과;
    상기 제1원료이송관(110)과 제2원료이송관(120)의 연결을 위해 제1원료이송관(110)과 제2원료이송관(120)의 일측에 형성되는 연결플랜지(130)와;
    상기 제1원료이송관(110)에 형성된 연결플랜지(130)와 제2원료이송관(120)에 형성된 연결플랜지(130)를 연결하기 위한 플랜지연결수단(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포집용 진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플레이트(210)는,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수단(300)이 안착되도록 진동플레이트(210) 일측으로 형성되는 진동수단안착부(211)와;
    진동플레이트(210)의 상부와 하부에 위치되는 변형부재(250)의 고정력을 높이기 위해 진동플레이트(210)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변형부재안착홈(212)과;
    진동플레이트(210)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유로(214)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진동플레이트(210)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공기공급관(213)과;
    상기 공기공급관(213)을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변형부재(250)와 진동플레이트(210)의 사이에 주입되도록 진동플레이트(210)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유로(214)와;
    진동증폭수단(400)에 삽입 수용되도록 진동플레이트(210) 내주면 둘레에 형성되는 삽입고정단(2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포집용 진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증폭수단(400)은,
    진동플레이트(210)의 진동을 걸름수단(500) 측으로 전달시 진동이 증폭되도록 형성되는 진동증폭부재(410)와;
    진동플레이트(210)의 삽입고정단(215)이 삽입 수용되도록 상기 진동증폭부재(410) 일측에 형성되는 제1삽입홈(420)과;
    걸름수단(500) 외주면이 삽입 수용되도록 상기 진동증폭부재(410) 타측에 형성되는 제2삽입홈(4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포집용 진동장치.
KR1020170038532A 2017-03-27 2017-03-27 이물질 포집용 진동장치 KR1017854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532A KR101785494B1 (ko) 2017-03-27 2017-03-27 이물질 포집용 진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532A KR101785494B1 (ko) 2017-03-27 2017-03-27 이물질 포집용 진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5494B1 true KR101785494B1 (ko) 2017-10-17

Family

ID=60297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532A KR101785494B1 (ko) 2017-03-27 2017-03-27 이물질 포집용 진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4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730B1 (ko) 2020-03-11 2020-06-03 주식회사 삼밀 진동증폭 및 차폐 구조를 가지는 이물질 포집용 진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553Y1 (ko) * 1997-10-20 2000-01-15 김형벽 철망 필터가 장착된 용접용 파이프 플랜지 구조
JP2005506170A (ja) 2001-02-23 2005-03-03 クオリティー リサーチ、デベロップメント アンド コンサルティング、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ふるい機
KR100606403B1 (ko) * 2003-07-31 2006-08-02 서재호 진동스크린
US7909172B2 (en) * 2006-09-29 2011-03-22 M-I L.L.C. Composite screen with integral inflatable se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5553Y1 (ko) * 1997-10-20 2000-01-15 김형벽 철망 필터가 장착된 용접용 파이프 플랜지 구조
JP2005506170A (ja) 2001-02-23 2005-03-03 クオリティー リサーチ、デベロップメント アンド コンサルティング、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ふるい機
KR100606403B1 (ko) * 2003-07-31 2006-08-02 서재호 진동스크린
US7909172B2 (en) * 2006-09-29 2011-03-22 M-I L.L.C. Composite screen with integral inflatable se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730B1 (ko) 2020-03-11 2020-06-03 주식회사 삼밀 진동증폭 및 차폐 구조를 가지는 이물질 포집용 진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494B1 (ko) 이물질 포집용 진동장치
EP2783761A1 (fr) Crible comprenant une pluralité de plateaux empilés, et des moyens d'écartement vertical des plateaux les uns par rapport aux autres
JPS63185484A (ja) デイスクスクリーン等の回転軸組立体
CN213102415U (zh) 一种用于道路维修的石子快速粉碎设备
KR101163442B1 (ko) 고추분쇄기의 고추씨 분리장치
SE8406261D0 (sv) Malningsanordning
CN210935854U (zh) 一种砂轮磨料多层筛分装置
KR101269655B1 (ko) 고추가루 선별장치
JPS6175894A (ja) デイスクスクリーン装置
KR102118730B1 (ko) 진동증폭 및 차폐 구조를 가지는 이물질 포집용 진동장치
CN107755249A (zh) 一种多功能的鸡精筛料装置
US114467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ly filtering abrasive particles for a waterjet cutter
KR102113194B1 (ko) 발전소용 석탄 분급기
CN210171943U (zh) 一种大米加工用的精细原粮清理装置
JP2004188339A (ja) 木質材の粉砕装置
JP2010194464A (ja) フィンガー装置、及びフィンガー装置を有する自走式スクリーン
KR200334483Y1 (ko) 플라스틱 재생장치
KR20060025539A (ko) 분쇄기로부터의 입자 배출 장치 및 방법
US2192279A (en) Fine screen
CN219596851U (zh) 一种集尘式气流粉碎机
CN220941804U (zh) 一种粉末过滤机
CN219424586U (zh) 一种片式过筛装置
CN116422422B (zh) 一种高效率球磨机
CN221580837U (zh) 一种粉碎细度高的粉碎机
JP4316220B2 (ja) 樹脂積層品粉砕物分別回収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