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896B1 -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 - Google Patents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896B1
KR101784896B1 KR1020160100490A KR20160100490A KR101784896B1 KR 101784896 B1 KR101784896 B1 KR 101784896B1 KR 1020160100490 A KR1020160100490 A KR 1020160100490A KR 20160100490 A KR20160100490 A KR 20160100490A KR 101784896 B1 KR101784896 B1 KR 101784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entration
carbon monoxide
gas
gas engine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업
이상민
이영덕
오승묵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100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8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9/00Electrical control of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2Treatment of plants with carbon dioxid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8Greenhouses for treating plants with carbon dioxide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101Three-way cataly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21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 F02D41/0235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the state of the exhaust gas treat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1/00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 F02M21/02Apparatus for supplying engines with non-liquid fuels, e.g. gaseous fuels stored in liquid form for gaseous fuels
    • F02M21/0218Details on the gaseous fuel supply system, e.g. tanks, valves, pipes, pumps, rails, injectors or mix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60/00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 F01N2560/02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the means being an exhaust gas sensor
    • F01N2560/022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the means being an exhaust gas sensor for measuring or detecting CO or CO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60/00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 F01N2560/02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the means being an exhaust gas sensor
    • F01N2560/025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the means being an exhaust gas sensor for measuring or detecting O2, e.g. lambda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560/00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 F01N2560/02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the means being an exhaust gas sensor
    • F01N2560/026Exhaust systems with means for detecting or measuring exhaust gas components or characteristics the means being an exhaust gas sensor for measuring or detecting NO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30Use of alternative fuels, e.g. biofu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엔진을 이용해 냉방, 난방 및 이산화탄소 시비에 활용하거나 가스엔진을 이용해 전기, 난방 및 이산화탄소 시비에 활용하는 트라이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스엔진의 배기관에 설치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가스들을 제거하는 제1삼원촉매; 상기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상기 제1삼원촉매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 산소센서와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 산소센서; 및 상기 가스엔진 및 산소센서들에 연결되어 가스엔진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스엔진으로는 0.03kPa 이하인 초저압의 가스연료가 공급되며, 상기 제어부에서는 가스엔진의 람다(λ)의 평균을 이론공연비보다 낮도록 리치 상태로 제어하되,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NOx)의 농도가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기준치 이하이면서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의 농도보다 낮게 유지되도록 제어하여, 시설원예용 하우스 등의 이산화탄소 시비에 안정적이며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초저압 저공해 가스엔진기술을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 {Tri-gen system for horticulture utilizing carbon monoxide sensor}
본 발명은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가스엔진을 이용해 냉방, 난방 및 이산화탄소 시비에 활용하거나 가스엔진을 이용해 전기, 난방 및 이산화탄소 시비에 활용하는 트라이젠 시스템에서, 가스엔진에서 연소된 후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의 유해가스 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설원예용 하우스에 이산화탄소 시비를 위해 공급되는 배기가스 중의 유해가스 농도를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기준치 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는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엔진을 사용한 발전기나 지에치피(GHP; Gas engine Heat Pump)를 이용한 트라이젠 시스템은 값싼 가스연료(천연가스, 도시가스 등)를 사용해 난방(급탕), 냉방 및 이산화탄소 시비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가스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발전기를 이용해 발전을 하여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종래의 발전기나 지에치피를 이용한 트라이젠 시스템은 도 1과 같이 가스엔진이나 가스터빈과 같은 연소기(101)가 구동됨으로써 발전기(102)가 발전을 하여 온실(200) 내의 조명장치(230)와 같은 전기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 공급 수단과, 연소기(101)가 작동함으로써 발생되는 배기열과 연소기를 냉각 한 후 승온된 냉각수를 이용해 열교환기(110)에서 열교환된 온수를 온실(200)의 난방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난방 공급 수단과, 연소기(101)기 작동함으로써 발생되는 배기가스 중의 이산화탄소를 온실의 이산화탄소 시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산화탄소 공급 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때, 이산화탄소는 난방용 온수에 용해된 상태로 통합배관시스템(130)을 통해 이동되어, 정제된 이산화탄소만이 온실의 이산화탄소 시비에 사용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발전기나 지에치피 시스템은 가스엔진(101)에서 연소 후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유해 배출가스인 탄화수소(HC), 일산화탄소(CO) 및 질소산화물(NOX) 등이 다량 포함되어 있으므로, 가스엔진의 배기관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비닐하우스나 대규모 시설원예단지 등의 농작물 재배에 필요한 이산화탄소 시비에 직접 활용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가스엔진의 배기관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비닐하우스나 대규모 시설원예단지 등에 직접 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농작물 생육에 필요한 유해가스 농도 이하로 배기가스를 제어하여, 시설원예단지에 안정적이며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트라이젠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이 필요하다.
KR 10-1398395 B1 (2014.05.16)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엔진을 이용해 냉방, 난방 및 이산화탄소 시비에 활용하거나 가스엔진을 이용해 전기, 난방 및 이산화탄소 시비에 활용하는 트라이젠 시스템에서, 가스엔진에서 연소된 후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의 유해가스 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시설원예용 하우스에 이산화탄소 시비를 위해 공급되는 배기가스 중의 유해가스 농도를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기준치 이하가 되도록 하되,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하여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가스 중의 하나인 질소산화물(NOx)의 농도가 0(zero) 또는 0에 가깝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은, 가스엔진을 이용해 냉방, 난방 및 이산화탄소 시비에 활용하거나 가스엔진을 이용해 전기, 난방 및 이산화탄소 시비에 활용하는 트라이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스엔진의 배기관에 설치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가스들을 제거하는 제1삼원촉매; 상기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상기 제1삼원촉매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 산소센서와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 산소센서 및 상기 후방 산소센서의 후방에 설치되는 일산화탄소 센서; 및 상기 가스엔진, 산소센서들 및 일산화탄소 센서에 연결되어 가스엔진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에서는 가스엔진의 람다(λ)의 평균을 이론공연비보다 낮도록 리치 상태로 제어하되, 상기 제어부에서는 일산화탄소 센서에서 측정되는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후방 산소센서에서 출력되는 값의 기준값을 설정하여,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NOx)의 농도가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기준치 이하이면서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의 농도보다 낮게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스엔진으로는 0.03kPa 이하인 초저압의 가스연료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 농도는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기준치 이하이면서 특정한 설정값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배기가스 중의 유해가스 농도 기준치는 50ppm이고, 상기 일산화탄소의 농도는 0.2ppm 내지 16.3ppm 으로 제어되며, 상기 질소산화물의 농도는 0ppm 내지 0.2ppm 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산화탄소의 농도는 가스엔진의 회전수 및 부하에 따라 제어되되, 상기 가스엔진의 회전수 및 부하가 낮으면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낮게 제어되고 상기 가스엔진의 회전수 및 부하가 높으면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높게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스엔진의 배기관에 설치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가스들을 제거하는 제2삼원촉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삼원촉매는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상기 후방 산소센서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산화탄소 센서는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제2삼원촉매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 미리 설정되어 입력되어 있는 기초 연료량에 전방 산소센서에서 측정되는 값에 의해 보정되는 연료량 및 후방 산소센서에서 측정되는 값에 의해 보정되는 연료량을 더해, 상기 가스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량이 보정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후방 산소센서의 후방에 설치되는 질소산화물 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질소산화물 센서는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제2삼원촉매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스엔진에는 공급되는 가스연료와 공기와의 혼합을 위한 믹서가 설치되며, 상기 믹서에는 가스연료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공연비 제어 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공연비 제어 밸브에 의해 가스연료의 공급량이 선형적으로 변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연비 제어 밸브는 가스연료가 공급되는 유로의 개구가 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연비 제어 밸브는 서보모터 또는 스텝모터에 연결된 조절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조절판이 개구의 단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개구의 개방된 면적이 선형적으로 변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믹서는,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 유로와 가스연료가 유동되는 연료 유로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공기와 가스연료가 혼합되어 혼합기가 유동되는 혼합기 유로가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된 공기 유로의 내주면에 밀착 결합되되, 상기 공기 유로와 연료 유로가 만나는 부분에 배치되는 코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코어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이 연료 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홈에는 내측을 향해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관통홀이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은,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가스의 농도가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농도 이하로 유지되면서 유해가스 중의 하나인 질소산화물(NOx)의 농도가 0(zero) 또는 0에 가깝게 유지될 수 있어, 시설원예용 단지의 이산화탄소 시비에 안정적이며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스엔진이 바뀌거나 가스엔진의 조건이 바뀌더라도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가스의 농도가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농도 이하로 유지되면서 유해가스 중의 하나인 질소산화물(NOx)의 농도가 0(zero) 또는 0에 가깝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발전기나 지에치피(GHP)를 이용해 온실에 이산화탄소 시비를 할 수 있는 트라이젠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및 개념도.
도 4는 전방 산소센서 만을 이용해 이론공연비로 제어한 상태에서의 배기가스 중의 유해가스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전방 산소센서 및 후방 산소센서를 이용해 이론공연비로 제어한 상태에서의 배기가스 중의 유해가스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삼원촉매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된 전방 산소센서 및 후방 산소센서를 이용해 람다의 평균을 이론공연비보다 낮게(리치 하게) 제어한 상태에서의 배기가스 중의 유해가스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한 설정값 이상으로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유지되도록 제어되지 않았을 경우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삼원촉매가 더 설치된 상태에서 특정한 설정값 이상으로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유지되도록 제어되었을 경우 가스엔진의 회전수 별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량 보정을 위한 제어 방법을 나타낸 그래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 산소센서에서 측정되는 전압값에 대한 스레숄드 값을 약간 리치하게 설정하여 제어하는 상태를 나타낸 그래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엔진에 설치된 믹서, 공연비 제어 밸브 및 가스연료 공급 라인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믹서 및 공연비 제어 밸브를 나타낸 사시도, A방향으로 본 우측면도 및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믹서로 유입되는 공연비 제어 밸브의 개구 면적이 선형적으로 조절되는 것을 나타낸 그래프.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코어를 나타낸 단면도 및 BB방향 단면도.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및 개념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삼원촉매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된 전방 산소센서 및 후방 산소센서를 이용해 람다의 평균을 이론공연비보다 낮게(리치 하게) 제어한 상태에서의 배기가스 중의 유해가스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은, 가스엔진(100)을 이용해 냉방, 난방 및 이산화탄소 시비에 활용하거나 가스엔진(100)을 이용해 전기, 난방 및 이산화탄소 시비에 활용하는 트라이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스엔진(100)의 배기관(110)에 설치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가스들을 제거하는 제1삼원촉매(410); 상기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상기 제1삼원촉매(410)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 산소센서(430)와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 산소센서(440) 및 상기 후방 산소센서(440)의 후방에 설치되는 일산화탄소 센서(450); 및 상기 가스엔진(100), 산소센서(430,440)들 및 일산화탄소 센서(450)에 연결되어 가스엔진(100)을 제어하는 제어부(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500)에서는 가스엔진(100)의 람다(λ)의 평균을 이론공연비보다 낮도록 리치 상태로 제어하되, 상기 제어부(500)에서는 일산화탄소 센서(450)에서 측정되는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후방 산소센서(440)에서 출력되는 값의 기준값을 설정하여,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NOx)의 농도가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기준치 이하이면서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의 농도보다 낮게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은, 가스엔진(100)을 구동시켜 가스엔진에서 발생되는 열과 구동력을 이용해 난방, 냉방 및 이산화탄소의 시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는 가스엔진(100)을 구동시켜 가스엔진의 구동력과 열을 이용해 전기, 난방 및 이산화탄소 시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난방은 가스엔진(100)의 냉각을 위한 냉각수가 순환되는 라디에이터(200)에 온수배관 통해 온수탱크와 연결하여 시설원예용 하우스(700)의 난방 및 온수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냉방은 가스엔진(100)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콤프레셔(300)를 이용해 냉매를 압축하여 이 압축된 냉매를 이용해 시설원예용 하우스(700)의 냉방에 활용할 수 있다. 또는 압축된 냉매를 이용한 히트펌프를 사용해 난방과 냉방을 전환하여 활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전기는 가스엔진(100)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발전기(600)를 통해 시설원예용 하우스(700)의 조명 등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는 가스엔진(100)에서 연소된 후 배기관(110)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에서 유해가스들을 제거하여 유해가스의 농도를 저감시킨 후 시설원예용 하우스(700)에 공급하여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가 활용될 수 있다.
가스엔진(100)은 비교적 값이 싼 액화석유가스(LPG), 천연가스, 도시가스, 바이오가스 및 신재생연료 등의 가스연료를 사용해 구동되는 엔진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라디에이터(200)는 가스엔진(100)에 연결되어 냉각수가 순환되면서 가스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때, 라디에이터(200)는 가스엔진(100)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쿨링팬에 의해 냉각될 수 있으며, 가열된 냉각수는 라디에이터(200)에 연결된 별도의 온수탱크로 보내져 난방 및 온수로 사용될 수 있고 라디에이터(200)에 차가운 냉각수가 공급되어 냉각수가 보충될 수 있다. 또한, 콤프레셔(300)는 가스엔진(100)의 구동축에 연결되며, 가스엔진(100)에 의해 콤프레셔(300)가 구동되어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삼원촉매(410)는 가스엔진(100)의 배기관(110)에 설치되어, 가스엔진(100)의 연소실에서 연소되어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가스들을 제거하여 배기가스 중의 유해가스 농도를 저감시키며, 배기관(110)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직접 시설원예용 하우스(700)에 공급하여 이산화탄소 시비에 활용할 수 있으며,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가 및 질소가 활용될 수 있다.
전방 산소센서(430) 및 후방 산소센서(440)는 제1삼원촉매(410)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제1삼원촉매(410)의 전방에 전방 산소센서(430)가 설치되어, 제1삼원촉매(410)를 거치기 전인 가스엔진(100)에서 연소된 후 배출된 배기가스 중의 산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제1삼원촉매(410)의 후방에 후방 산소센서(440)가 설치되어, 제1삼원촉매(410)를 거친 후 유해가스들이 제거된 상태에서의 배기가스 중의 산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일산화탄소 센서(450)는 제1삼원촉매(410)의 후방에 설치되어 유해가스들이 제거된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가스엔진(100)에 연결되어 가스엔진(100)을 제어하되, 산소센서(430,440)들 및 일산화탄소 센서(450)에 연결되어 산소센서(430,440)들에서 측정된 산소 농도 및 일산화탄소 센서(450)에서 측정된 일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가스엔진(100)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를 통해 가스엔진(100)의 람다(λ)의 평균을 이론공연비보다 낮도록 리치 상태로 제어하되,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NOx)의 농도가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기준치 이하이면서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의 농도보다 낮게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일례로 람다(λ)의 평균을 이론공연비보다 약간 낮은 리치 상태로 제어하여, 람다(λ)의 평균을 이론공연비로 제어할 때 보다 일산화탄소의 농도는 더 높게 나오지만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기준치 이하로 유지되며, 질소산화물의 농도도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기준치 이하로 유지되면서 농도가 많이 낮아질 수 있다. 즉, 람다(λ)의 평균을 이론공연비보다 낮게 리치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면 이론공연비로 연소되도록 제어될 때에 비해 상대적으로 혼합기 중의 가스연료량이 많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혼합기 중의 산소량이 적어지게 되어,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 농도 및 탄화수소(HC)의 농도는 약간 증가하지만 질소산화물(NOx)의 농도가 매우 낮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 이산화탄소 및 탄화수소의 각각의 농도는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기준치 이하로 유지될 수 있고, 질소산화물의 농도가 일산화탄소의 농도보다 낮게 유지되며, 일산화탄소의 농도와 탄화수소의 농도는 서로 유사하게 나타나며 일정한 농도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하여 일례로 도 4와 같이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기준치인 50ppm 이하로 유지되더라도, 전방 산소센서(430)만을 이용해 제어했을 경우에는 질소산화물의 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전방 산소센서(430)와 후방 산소센서(440)를 함께 이용하는 경우에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기준치인 50ppm 이하로 유지되더라도 질소산화물의 농도가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반면 도 6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방 산소센서(430), 후방 산소센서(440) 및 제1삼원촉매(410)를 이용하고 람다(λ)의 평균을 리치하게 제어하므로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 농도 및 질소산화물의 농도가 기준치 이하로 유지되고, 일산화탄소의 농도보다 질소산화물의 농도가 낮으면서 질소산화물의 농도가 낮은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0)에서는 가스엔진(100)의 람다의 평균을 이론공연비보다 낮도록 리치 상태로 제어하되, 제어부(500)에서는 일산화탄소 센서(450)에서 측정되는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후방 산소센서(440)에서 출력되는 값의 기준값을 설정하여 가스엔진(10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0)에서는 일산화탄소 센서(450)에서 측정되는 값에 따라서 후방 산소센서(440)에서 측정되어 출력되는 값의 기준값을 설정하고, 후방 산소센서(440)에서 측정되는 값이 상기 설정된 기준값이 되도록 가스엔진(100)을 제어하는 역 피드백 제어를 함으로서,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NOx)의 농도가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기준치 이하이면서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의 농도보다 낮게 유지되며 질소산화물의 농도가 매우 낮은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은,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가스의 농도가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농도 이하로 유지되면서 유해가스 중의 하나인 질소산화물(NOx)의 농도가 0(zero) 또는 0에 가깝게 유지될 수 있어, 시설원예용 단지의 이산화탄소 시비에 안정적이며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스엔진이 바뀌거나 가스엔진의 조건이 바뀌더라도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해 배기가스 중에 포함된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여 원하는 일산화탄소 농도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어,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가스의 농도가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농도 이하로 유지되면서 유해가스 중의 하나인 질소산화물(NOx)의 농도가 0(zero) 또는 0에 가깝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가스엔진으로는 0.03kPa 이하인 초저압의 가스연료가 공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스연료의 공급 압력은 2.5kPa 내지 2.8kPa 이며 보통 2.7kPa 로 공급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배기가스 중의 유해가스 저감을 위해 가스엔진(100)으로 0.03kPa 이하인 초저압의 가스연료가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압력이 -0.2kPa 내지 0.03kPa 인 가스연료가 믹서(180)로 공급되며, 믹서(180)에서 공기와 가스연료가 혼합되어 혼합기가 가스엔진(100)의 연소실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 농도는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기준치 이하이면서 특정한 설정값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도 7 및 도 8과 같이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 농도가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기준치 이하이면서 동시에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 농도보다 높게 유지되더라도, 실제로 가스엔진에서 연소 후 생성된 질소산화물의 농도가 연소 초기에는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기준치 이하이면서 일산화탄소의 농도보다 낮게 유지되다가, 점점 증가하여 질소산화물의 농도가 일산화탄소의 농도보다 높아져 결국에는 목표로 설정한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기준치를 초과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9 및 도 10과 같이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기준치 이하이면서 미리 설정된 특정한 설정값 이상으로 유지되어야 질소산화물의 농도가 일산화탄소의 농도보다 낮은 상태에서 일정한 농도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배기가스 중의 유해가스 농도 기준치는 50ppm이고, 상기 일산화탄소의 농도는 0.2ppm 내지 16.3ppm 으로 제어되며, 상기 질소산화물의 농도는 0ppm 내지 0.2ppm 으로 제어될 수 있다.
즉,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배기가스 중의 유해가스 농도 기준치는 50ppm일 수 있다. 그리고 이때 일산화탄소의 농도는 유해가스 기준치 보다 낮은 농도이면서 특정한 설정값 범위인 0.2ppm 내지 16.3ppm 로 제어되면, 질소산화물의 농도가 0ppm 내지 0.2ppm 으로 제어될 수 있어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 농도가 매우 낮은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산화탄소의 농도는 가스엔진(100)의 회전수 및 부하에 따라 제어되되, 상기 가스엔진(100)의 회전수 및 부하가 낮으면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낮게 제어되고 상기 가스엔진(100)의 회전수 및 부하가 높으면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높게 제어될 수 있다.
이는 가스엔진의 회전수 및 부하에 따라 배기가스 중의 유해가스 농도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가스엔진의 회전수 및 부하가 높은 조건에서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도록 제어되고, 반대로 회전수 및 부하가 낮은 조건에서는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도록 제어되어, 가스엔진의 회전수 및 부하가 변하더라도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낮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동시에 질소산화물의 농도도 매우 낮은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엔진(100)의 배기관(110)에 설치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가스들을 제거하는 제2삼원촉매(4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삼원촉매(420)는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상기 후방 산소센서(440)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즉,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삼원촉매(410)만을 이용하고 전방 산소센서(430) 및 후방 산소센서(440)를 통해 람다(λ)의 평균을 이론공연비보다 낮게 리치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면, 일산화탄소의 농도 및 질소산화물의 농도가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기준치 이하인 40ppm 과 10ppm으로 각각 유지될 수 있으나, 후방 산소센서(440)의 후방에 더 설치된 제2삼원촉매(420)를 이용해 한 번 더 배기가스 중의 유해가스들을 제거하면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7ppm으로 유지되고 질소산화물의 농도는 거의 0(zero)에 가깝게 일정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하여 가스엔진에서 연소 후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시설원예용 하우스(700)에 직접 공급하여 안정적으로 이산화탄소 시비에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아래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삼원촉매(410) 및 제2삼원촉매(42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어되었을 때의 가스엔진의 조건 별 제어표이다.
Figure 112016076555021-pat00001
또한, 상기 일산화탄소 센서(450)는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제2삼원촉매(420)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일산화탄소 센서(450)는 후방 산소센서(440)의 후방에 설치되되 제2삼원촉매(420)의 후방에 설치됨으로써, 시설원예용 하우스(700)로 공급되기 전에 촉매들에 의해 유해가스 성분이 제거된 후의 일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에 미리 설정되어 입력되어 있는 기초 연료량에 전방 산소센서(430)에서 측정되는 값에 의해 보정되는 연료량 및 후방 산소센서(440)에서 측정되는 값에 의해 보정되는 연료량을 더해, 상기 가스엔진(100)으로 공급되는 연료량이 보정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제어부(500)에는 가스엔진(100)의 람다를 이론공연비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는 기초 연료량에 대한 맵 데이터(map data)가 미리 설정되어 입력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에서는 전방 산소센서(430)에서 측정된 값에 의해 보정되는 연료량과 후방 산소센서(440)에서 측정되는 값에 의해 보정되는 연료량을 더해 가스엔진(100)의 믹서(180)로 공급되는 가스연료의 연료량이 보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도 11과 같이 전방 산소센서(430)에서 측정된 값을 통해 I 게인(gain) 적분제어를 하고, 리치(rich) 상태 및 린(lean) 상태에서 딜레이(delay) 제어를 하며, P 게인(gain) 비례제어를 하여 연료량의 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하여 리치 딜레이 시간과 린 딜레이 시간을 조절하여 후방 산소센서(440)의 출력이 원하는 스레숄드(threshold) 값 근처에서 피드백(feedback) 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기준점인 스레숄드 값을 조금 높게 설정하여 일산화탄소의 농도를 약간 증가시키고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0(zero) 또는 0에 가까운 상태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2와 같이 후방 산소센서(440)에서 측정되어 출력되는 전압값이 미리 설정된 이론공연비에 해당되는 기준값(0.45V)보다 약간 높게 설정된 값(0.48V)이 되도록 제어하여 일산화탄소의 발생량을 약간 증가시키고 질소산화물 발생을 제로화 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일산화탄소 센서(450)에서 측정된 일산화탄소의 농도에 따라 후방 산소센서(440)에서 측정되어 출력되는 전압값의 설정된 스레숄드 값(0.48V)에서 보정된 값으로 제어될 수 있다. 즉, 측정된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미리 정해진 값보다 높으면 상기 설정된 스레숄드 값을 약간 낮추고 반대로 측정된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미리 정해진 값보다 낮으면 상기 설정된 스레숄드 값을 약간 높여, 원하는 일산화탄소 농도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산소센서(440)의 후방에 설치되는 질소산화물 센서(4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질소산화물 센서(460)를 이용해 배기가스 중의 유해가스 성분이 제거된 후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하여 일산화탄소 센서(450)에서 측정되는 일산화탄소 농도보다 측정된 질소산화물의 농도가 낮으면서 농작물의 생육에 적합한 기준치보다 낮게 유지되는지를 정확히 알 수 있다. 또한, 질소산화물 센서(460)에서 측정되는 값에 따라 제어부에서 가스엔진을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질소산화물 센서(460)는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제2삼원촉매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질소산화물 센서(460)는 후방 산소센서(440)의 후방에 설치되되 제2삼원촉매(420)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으며, 질소산화물 센서(460)는 일산화탄소 센서(450)와 동일한 위치 또는 일산화탄소 센서(450)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시설원예용 하우스(700)로 공급되기 전에 촉매들에 의해 유해가스 성분이 제거된 후의 질소산화물의 농도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세부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엔진에 설치된 믹서, 공연비 제어 밸브 및 가스연료 공급 라인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엔진(100)에는 공급되는 가스연료와 공기와의 혼합을 위한 믹서(180)가 설치되며, 상기 믹서(180)에는 가스연료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공연비 제어 밸브(170)가 설치되며, 상기 공연비 제어 밸브(170)에 의해 가스연료의 공급량이 선형적으로 변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즉, 가스엔진(100)에는 연소실 내로 공급되는 혼합기의 공연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믹서(180) 및 믹서(180)에 설치된 공연비 제어 밸브(17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공연비 제어 밸브(170)는 제어부(500)에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 그리하여 믹서(180)에 설치된 공연비 제어 밸브(170)를 이용해 연소실로 공급되는 혼합기 중의 가스연료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공연비 제어 밸브(170)에 의해 가스연료량이 선형적으로 변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그리하여 믹서(180)에서 공기와 혼합되는 가스연료의 연료량이 선형적으로 조절되도록 제어할 수 있어 보다 정밀하게 공연비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기가스 중의 유해가스 농도를 낮출 수 있다.
그리고 믹서(180)로는 외부의 공기가 에어 클리너를 통해 여과된 후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LPG 등의 연료 공급원(120)에서 제1압력조절기(130)를 통해 약 2.7kPa 의 압력으로 조절되어 공급되는 가스연료가 솔레노이드 밸브(150)들과 제로 거버너(160)로 구성되는 제로 거버너 어셈블리(Zero Governor Assembly)를 거치면서 -0.2kPa 내지 0.03kPa 의 압력으로 조절되어 믹서(18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급되는 가스연료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연료필터(140)가 설치될 수 있고, 솔레노이드 밸브(150)들에 의해 연료의 공급 및 차단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스연료의 압력이 조절된 후 엔진측으로 공급되는 가스연료의 압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압력게이지(16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압력조절기(130), 연료필터(140), 솔레노이드 밸브(150)들, 제로 거버너(160) 및 압력게이지(161)가 순차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관(162)으로 공연비 제어 밸브(17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연비 제어 밸브(170)는 가스연료가 공급되는 유로의 개구(173)가 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연비 제어 밸브(170)는 서보모터 또는 스텝모터(171)에 연결된 조절판(172)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조절판(172)이 개구(173)의 단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개구(173)의 개방된 면적이 선형적으로 변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즉, 도 14 내지 도 17과 같이 공연비 제어 밸브(170)는 가스연료가 믹서(180)로 공급되는 유로의 개구(173) 단면적이 선형적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믹서(180)로 유입되는 가스연료의 연료량이 선형적으로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가스연료가 통과되는 개구(173)의 단면(수평방향으로 본 개구의 형태)이 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스텝모터(171)에 연결되어 개구(173)를 개폐하는 조절판(172)의 하단이 수평방향의 직선 형태로 형성되어, 스텝모터(171)에 의해 변위가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는 조절판(172)에 의해 개구(173)의 개방된 면적이 선형적으로 변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믹서(180)는,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 유로(182)와 가스연료가 유동되는 연료 유로(183)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공기와 가스연료가 혼합되어 혼합기가 유동되는 혼합기 유로(185)가 형성되는 몸체(181); 및 상기 몸체(181)에 형성된 공기 유로(182)의 내주면에 밀착 결합되되, 상기 공기 유로(182)와 연료 유로(183)가 만나는 부분에 배치되는 코어(186);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코어(186)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오목한 홈(187)이 형성되어 상기 홈(187)이 연료 유로(183)와 연결되며, 상기 홈(187)에는 내측을 향해 다수의 관통홀(188)이 형성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관통홀(188)이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믹서(180)는 몸체(181)의 일측으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공기 유로(182)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 유로(182)에 연결되도록 연료 유로(18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81)의 타측으로 공기 유로(182)와 나란하게 연결되도록 혼합기 유로(18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연료 유로(183)는 공기 유로(182) 및 혼합기 유로(185)에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코어(186)는 공기 유로(182)의 내주면에 밀착 결합되되 공기 유로(182)와 연료 유로(183)가 만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코어(186)는 중앙이 관통된 링 형태로 형성되어 외주면이 공기 유로(182)를 형성하는 몸체(181)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18 및 도 19와 같이 코어(186)는 외주면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오목하게 홈(187)이 형성되되, 원주방향 둘레 전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홈(187)의 외주면과 코어(186)의 내주면을 관통하도록 관통홀(188)이 형성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다수개의 관통홀(188)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홈(187)이 연료 유로(183)와 연결되도록 몸체(181)에 코어(186)가 결합되어, 연료 유로(183)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연료가 코어(186)의 홈(187)을 따라 유동되어 관통홀(188)들을 통해 공기 유로(182)로 유입되어 공기와 가스연료가 혼합된 후 혼합기 유로(185)를 통해 가스엔진의 연소실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하여 믹서(18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가스연료가 균일하게 혼합된 후 가스엔진의 연소실로 유입될 수 있어 연소 후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의 유해가스 농도가 더욱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에 의해 부하 변동 및 공연비 변동에 대한 배기가스 중의 유해가스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일례로 부하 및 회전수 변동 저감을 위해 ETC(Electric Throttle Chamber) 제어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믹서(180)와 흡기덕트(191) 사이에 설치되며 제어부(500)에 연결된 ECT(190)의 제어를 통해 가스엔진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배기가스 중의 유해가스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삼원촉매(410) 및 제2삼원촉매(420)는 일례로 팔라듐(Pd)과 로듐(Rh)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제1삼원촉매(410)는 2개의 셀이 직렬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셀은 팔라듐으로만 0.5리터부피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셀은 팔라듐과 로듐이 9:1로 혼합되어 0.5리터부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삼원촉매(420)는 2개의 셀이 직렬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두 개의 셀 모두 팔라듐과 로듐이 9:1로 혼합되어 각각 0.7리터씩의 부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팔라듐은 백금(Pt)보다 가격이 저렴하고 열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며, 팔라듐은 탄화수소와 일산화탄소를 산화시켜 저감시킬 수 있다. 그리고 로듐은 주로 질소산화물 중 NO를 환원시켜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며, 일산화탄소와 탄화수소의 산화도 일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제1삼원촉매는 MCC(Manifold Catalyst Converter)라고 하며, 주로 냉간 시동 시 일산화탄소와 탄화수소의 저감용으로 사용되며, 일부 질소산화물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2삼원촉매는 UCC(Underbody Catalyst Converter)라고 하며, 주 촉매로써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및 질산화물을 동시에 저감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가스엔진
110 : 배기관 120 : 연료 공급원
130 : 제1압력조절기 140 : 연료필터
150 : 솔레노이드 밸브 160 : 제로 거버너
161 : 압력게이지 162 : 연결관
170 : 공연비 제어 밸브
171 : 스텝모터(또는 서보모터) 172 : 조절판
173 : 개구
180 : 믹서
181 : 몸체 182 : 공기 유로
183 : 연료 유로
185 : 혼합기 유로 186 : 코어
187 : 홈 188 : 관통홀
190 : ETC 191 : 흡기덕트
200 : 라디에이터
300 : 콤프레셔
410 : 제1삼원촉매 420 : 제2삼원촉매
430 : 전방 산소센서 440 : 후방 산소센서
450 : 일산화탄소 센서 460 : 질소산화물 센서
500 : 제어부
600 : 발전기
700 : 시설원예용 하우스

Claims (13)

  1. 가스엔진을 이용해 냉방, 난방 및 이산화탄소 시비에 활용하거나 가스엔진을 이용해 전기, 난방 및 이산화탄소 시비에 활용하는 트라이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스엔진의 배기관에 설치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가스들을 제거하는 제1삼원촉매;
    상기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상기 제1삼원촉매의 전방에 설치되는 전방 산소센서와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 산소센서 및 상기 후방 산소센서의 후방에 설치되는 일산화탄소 센서; 및
    상기 가스엔진, 산소센서들 및 일산화탄소 센서에 연결되어 가스엔진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어부에서는 가스엔진의 람다(λ)의 평균을 이론공연비보다 낮도록 리치 상태로 제어하되, 상기 제어부에서는 일산화탄소 센서에서 측정되는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후방 산소센서에서 출력되는 값의 기준값을 설정하여, 배기가스 중의 질소산화물(NOx)의 농도가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기준치 이하이면서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CO)의 농도보다 낮게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엔진으로는 0.03kPa 이하인 초저압의 가스연료가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중의 일산화탄소 농도는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기준치 이하이면서 특정한 설정값 이상으로 유지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배기가스 중의 유해가스 농도 기준치는 50ppm이고, 상기 일산화탄소의 농도는 0.2ppm 내지 16.3ppm 으로 제어되며, 상기 질소산화물의 농도는 0ppm 내지 0.2ppm 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산화탄소의 농도는 가스엔진의 회전수 및 부하에 따라 제어되되, 상기 가스엔진의 회전수 및 부하가 낮으면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낮게 제어되고 상기 가스엔진의 회전수 및 부하가 높으면 일산화탄소의 농도가 높게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엔진의 배기관에 설치되어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가스들을 제거하는 제2삼원촉매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삼원촉매는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상기 후방 산소센서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일산화탄소 센서는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제2삼원촉매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미리 설정되어 입력되어 있는 기초 연료량에 전방 산소센서에서 측정되는 값에 의해 보정되는 연료량 및 후방 산소센서에서 측정되는 값에 의해 보정되는 연료량을 더해, 상기 가스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량이 보정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산소센서의 후방에 설치되는 질소산화물 센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산화물 센서는 배기가스의 유동방향으로 제2삼원촉매의 후방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엔진에는 공급되는 가스연료와 공기와의 혼합을 위한 믹서가 설치되며, 상기 믹서에는 가스연료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공연비 제어 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공연비 제어 밸브에 의해 가스연료의 공급량이 선형적으로 변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공연비 제어 밸브는 가스연료가 공급되는 유로의 개구가 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공연비 제어 밸브는 서보모터 또는 스텝모터에 연결된 조절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조절판이 개구의 단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개구의 개방된 면적이 선형적으로 변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믹서는,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 유로와 가스연료가 유동되는 연료 유로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공기와 가스연료가 혼합되어 혼합기가 유동되는 혼합기 유로가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된 공기 유로의 내주면에 밀착 결합되되, 상기 공기 유로와 연료 유로가 만나는 부분에 배치되는 코어;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코어는 링 형태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오목한 홈이 형성되어 상기 홈이 연료 유로와 연결되며, 상기 홈에는 내측을 향해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되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의 관통홀이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
KR1020160100490A 2016-08-08 2016-08-08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 KR101784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490A KR101784896B1 (ko) 2016-08-08 2016-08-08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490A KR101784896B1 (ko) 2016-08-08 2016-08-08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4896B1 true KR101784896B1 (ko) 2017-10-12

Family

ID=60139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490A KR101784896B1 (ko) 2016-08-08 2016-08-08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89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455B1 (ko) * 2017-11-06 2018-11-06 유니시스인터내셔날 주식회사 Dme 보일러를 이용하는 스마트 팜의 통합 제어를 위한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991260B1 (ko) * 2019-05-07 2019-09-30 주식회사 가센 초저공해 가스엔진 및 그 연료량 제어방법
KR102085056B1 (ko) * 2019-08-05 2020-03-05 (주)바이오프랜즈 Dme 트라이젠 시스템
KR102291722B1 (ko) 2020-05-18 2021-08-23 한국기계연구원 이산화탄소 시비용 엔진의 시동 후 시비시작시간 단축용 제어방법
KR102379857B1 (ko) * 2020-12-30 2022-03-30 가센 저공해 가스엔진히트펌프(ghp) 개조시스템
KR102385201B1 (ko) * 2020-12-30 2022-04-15 가센 저공해 가스엔진히트펌프 시스템
KR20230094277A (ko) 2021-12-21 2023-06-28 한국기계연구원 계통연계 및 최적운전을 위한 청정가스발전기의 제어방법 및 상기 청정가스발전기
KR20240019556A (ko) 2022-08-04 2024-02-14 한국기계연구원 온실용 저공해 다중발전 시스템의 co2 공급시간 단축용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6475A (ja) 2007-02-27 2008-09-11 Sanwa System Kk 植物栽培用ハウスにおける二酸化炭素ガスの供給方法、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装置及び植物栽培用ハウス
JP5073264B2 (ja) 2006-10-17 2012-11-14 株式会社トヨタタービンアンドシステム 温室栽培システム
KR101569677B1 (ko) 2015-02-04 2015-11-17 한국기계연구원 고희박연소를 이용한 트라이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3264B2 (ja) 2006-10-17 2012-11-14 株式会社トヨタタービンアンドシステム 温室栽培システム
JP2008206475A (ja) 2007-02-27 2008-09-11 Sanwa System Kk 植物栽培用ハウスにおける二酸化炭素ガスの供給方法、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装置及び植物栽培用ハウス
KR101569677B1 (ko) 2015-02-04 2015-11-17 한국기계연구원 고희박연소를 이용한 트라이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5455B1 (ko) * 2017-11-06 2018-11-06 유니시스인터내셔날 주식회사 Dme 보일러를 이용하는 스마트 팜의 통합 제어를 위한 에너지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991260B1 (ko) * 2019-05-07 2019-09-30 주식회사 가센 초저공해 가스엔진 및 그 연료량 제어방법
KR102085056B1 (ko) * 2019-08-05 2020-03-05 (주)바이오프랜즈 Dme 트라이젠 시스템
WO2021025223A1 (ko) * 2019-08-05 2021-02-11 (주)바이오프랜즈 Dme 트라이젠 시스템
US11767810B2 (en) 2019-08-05 2023-09-26 Bio Friends Inc. Trigeneration system using DME
KR102291722B1 (ko) 2020-05-18 2021-08-23 한국기계연구원 이산화탄소 시비용 엔진의 시동 후 시비시작시간 단축용 제어방법
KR102379857B1 (ko) * 2020-12-30 2022-03-30 가센 저공해 가스엔진히트펌프(ghp) 개조시스템
KR102385201B1 (ko) * 2020-12-30 2022-04-15 가센 저공해 가스엔진히트펌프 시스템
KR20230094277A (ko) 2021-12-21 2023-06-28 한국기계연구원 계통연계 및 최적운전을 위한 청정가스발전기의 제어방법 및 상기 청정가스발전기
KR20240019556A (ko) 2022-08-04 2024-02-14 한국기계연구원 온실용 저공해 다중발전 시스템의 co2 공급시간 단축용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4896B1 (ko) 일산화탄소 센서를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
EP3097288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combustion process in a gas turbine operating with exhaust gas recirculation
US11293359B2 (en) Method and systems for airflow control
AU2019200381B2 (en) Method and systems for egr control
JP2017508093A (ja)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8507974A (ja) 排気再循環を有するガスタービン内の燃焼当量比を推定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9856770B2 (en) Method of increasing volumetric throughput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ed in vapor destruction applications
KR101807753B1 (ko) 발전기 또는 가스엔진히트펌프용 점화 착화 타입 초저공해 가스엔진 및 그의 제어 방법
US10907497B2 (en) Method and systems for a variable geometry turbocharger for an engine
JP4223696B2 (ja) デュアルフューエル・ディーゼルエンジン
KR101769438B1 (ko) 초저압 저공해 가스엔진기술을 이용한 시설원예용 트라이젠 시스템
KR101784878B1 (ko) 트라이젠 기술을 이용한 에너지 독립형 시설원예 에너지 공급 모듈
US20130167549A1 (en) Compressor guide vane and pilot control for gas turbine engine
JP2010071220A (ja) 発電システムに用いるガス混合装置
KR101914981B1 (ko) 저공해 산업용 엔진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시설 원예 시스템과 엔진 제어 방법
KR101712904B1 (ko) 액화석유가스 및 천연가스 공용 엔진을 이용한 트라이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0730862B (zh) 燃料混合系统和方法
KR101203161B1 (ko) 개질 가스와 천연가스를 사용하는 엔진의 제어 장치
KR101466157B1 (ko) 예혼합 압축착화 엔진 시스템
KR101487014B1 (ko) 바이오가스를 이용하는 혼소 엔진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N214304085U (zh) 一种燃气发电机组分路进气装置
US20090223494A1 (en) Internal combustion oxygen injection process
KR20170049064A (ko) 슈퍼 차져를 이용한 예혼합 압축착화 엔진 시스템
JP2010059900A (ja) 発電システムに用いるガス混合装置
CN116220958A (zh) 一种基于重整机制的氨氢发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