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845B1 - Multi hole clamp structure - Google Patents

Multi hole clamp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845B1
KR101784845B1 KR1020160038038A KR20160038038A KR101784845B1 KR 101784845 B1 KR101784845 B1 KR 101784845B1 KR 1020160038038 A KR1020160038038 A KR 1020160038038A KR 20160038038 A KR20160038038 A KR 20160038038A KR 101784845 B1 KR101784845 B1 KR 101784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seating
passage
vesse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0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병권
최승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8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84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8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ramps, gangways or outboard ladders ; Pilot li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2Fenders integral with waterborne vessel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enders forming part of the hull or incorporated in the hull; Rubbing-st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24Bridges or similar structures, based on land or on a fixed structure and designed to give access to ships or other floating structures
    • B63B2701/1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연결구조물은 안벽 또는 제1선박에 안착되는 제1안착부, 상기 안벽 또는 상기 제1선박과 이격된 제2선박에 안착되는 제2안착부 및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 사이의 이동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에 각각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통로부를 포함한다.The ship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eating portion seated on the seam or the first ship, a second seating portion seated on the seam or the second ship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hip, And a passage portion which is provided in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up, down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Description

선박 연결구조물{MULTI HOLE CLAMP STRUCTURE}{MULTI HOLE CLAMP STRUCTURE}

본 발명은 선박 연결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을 안벽 또는 선박에 고정하고, 그 사이의 이동통로를 제공할 수 있는 선박 연결구조물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p connect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ip connecting structure capable of fixing a ship to a quay or ship and providing a moving path therebetween.

일반적으로, 건조 작업 진행중인 선박은 안벽 또는 인접한 선박에 정박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박이 바람 또는 파도 등 조류 환경에 의해 흔들리거나 떠내려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general, ships undergoing a drying operation may be anchored at the quay or adjacent vessel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hip from being shaken or floated by the bird environment such as wind or waves.

이와 같이, 선박을 안벽 또는 인접한 선박에 고정할 수 있는 연결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way, a connecting structure capable of fixing the vessel to the seafloor or the adjacent vessel can be formed.

이러한 연결구조물은 선행문헌(공개특허 제10-2015-0047870호)에서와 같이, 인접한 선박 사이게 구비될 수 있으며, 두 선박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Such a connection structure can be provided between adjacent vessels, as in the prior art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2015-0047870), and can maintain a constant gap between the two vessels.

하지만, 두 선박을 연결하는 구조물이 두 선박에 각각 고정되어 있으면 파도, 바람 등 외력에 의해 두 선박이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여 변위가 발생하게 되면 연결구조물이 파손되거나, 두 선박이 충돌될 우려가 있다.However, if the structure connecting the two ships is fixed to two ships, if two ships move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due to external forces such as waves and winds, displacement will occur,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will be damaged or the two ships will collide. have.

따라서, 선박과 안벽 또는 선박과 인접한 선박 사이를 안정적으로 연결하고, 외력에 의한 상대적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파손되지 않는 선박 연결구조물이 필요할 수 있다.Therefore, it may be necessary to connect the vessel to the ship's stern, or to the vessel adjacent to the ship, and to the vessel connection structure which is not damaged even if relative displacement occurs due to external force.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5-0047870호 (공개일: 2015.05.06)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5-0047870 (Publication date: May 5, 2015)

본 발명은 선박과 안벽 또는 선박과 인접한 선박을 연결하는 이동통로를 제공하고, 외력에 의한 상대적 변위에도 파손되지 않는 선박 연결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ip connecting structure that provides a moving passage for connecting a ship, a ship or a ship adjacent to the ship, and is not damaged by relative displacement due to external force.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other problem that i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안벽 또는 제1선박에 안착되는 제1안착부, 상기 안벽 또는 상기 제1선박과 이격된 제2선박에 안착되는 제2안착부 및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 사이의 이동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에 각각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통로부를 포함하는 선박 연결구조물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hip comprising a first seat portion seated on a seam or a first ship, a second seat portion seated on the seam or a second ship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hip, And a passageway for providing a movement path between the seating parts and being coupled to the first seating part and the second seating part so as to be rotatable in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선박 연결구조물은 상기 제1안착부 및 상기 통로부 사이에 연결되며, 상하방향의 제1중심축을 통해 상기 제1안착부에 결합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안착부 및 상기 통로부 사이에 연결되며, 상하방향의 제2중심축을 통해 상기 제2안착부에 결합되는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hip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eating portion and the passage portion and coupled to the first seating portion through a first vertical axi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connected between the passage part and coupled to the second seat part via a second central axis in the up-and-down direction.

또한, 상기 통로부는 수평방향의 제3중심축과 제4중심축을 통해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The passage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through a third central axis and a fourth central ax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respectively.

또한, 상기 제1안착부 및 상기 제2안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may be movably provided.

또한, 상기 안벽과 상기 제2선박 사이 또는 상기 제1선박과 상기 제2선박 사이를 연결하는 로프가 구비되고, 상기 제1안착부 및 상기 제2안착부에는 상기 로프가 얽히지 않도록 상기 로프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가 설치될 수 있다.A rope is provided for connecting between the sidewall and the second vessel or between the first vessel and the second vessel, and the rope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so that the rope is not entangled. A guide for guiding can be installed.

또한, 상기 로프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안벽과 상기 제2선박 사이의 이격거리 또는 상기 제1선박과 상기 제2선박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for adjusting a length of the rope to adjust a distance between the sidewall and the second vessel or a distance between the first vessel and the second vessel.

또한, 상기 통로부에 연결되며, 상기 안벽 또는 상기 제1선박과 상기 제2선박 사이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상기 안벽 또는 상기 제1선박과 상기 제2선박 사이로 배치되는 펜더구조물 및 상기 펜더구조물과 상기 통로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펜더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fender structure connected to the passage portion and disposed between the seawall or between the first vessel and the second vessel to prevent collision between the seam or the first vessel and the second vessel, And a fender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passages.

또한,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 사이에는 전력공급 라인 또는 유틸리티 라인이 통과하는 연결통로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nnection passage through which a power supply line or a utility line passes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seating portion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또한, 상기 통로부의 상측에는 안전펜스가 구비될 수 있다.Further, a safety fence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ssage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연결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ship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통로부가 제1안착부 및 제2안착부에 상하 및 좌우로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제1안착부와 제2안착부의 상대적 변위로 인한 연결구조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안벽 또는 제1선박에 제2선박을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First, since the passage portio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so as to b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rotatable, breakage of the connection structure due to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can be prevented, The second ship can be stably connected to the ship.

둘째, 제1안착부 및 제2안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안벽 또는 제1선박과 제2선박 사이의 이격거리가 가변 되더라도 연결구조물이 파손되지 않고 안벽 또는 제1선박에 제2선박을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Second, even i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eats is movable, even if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am or the first ship and the second ship is variable, the connection structure is not damaged, 2 The ship can be stably connected.

셋째, 안벽 또는 제1선박과 제2선박 사이에 펜더구조물이 형성되어 안벽 또는 제1선박과 제2선박이 서로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ird, a fender structure may be formed between the seam or the first vessel and the second vessel to prevent the collision between the first vessel and the second vessel.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연결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연결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연결구조물의 통로부가 제1안착부 및 제2안착부에 각각 연결되는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연결구조물의 거리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연결구조물의 펜더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side view of a ship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hip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views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passage portion of a ship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first seating portion and a second seating portion, respectively.
6 and 7 are views for explaining distance adjustment of a ship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fender structure of a ship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drawings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ore easi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You will know.

본 발명은 선박 연결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ip connecting structure,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연결구조물은 제1안착부(100), 제2안착부(200) 및 통로부(300)를 포함한다.The ship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eating part 100, a second seating part 200, and a passage part 300.

제1안착부(100)는 안벽 또는 제1선박(10)에 안착될 수 있다.The first seat portion 100 may be seated on the seam or the first ship 10.

제2안착부(200)는 안벽 또는 제1선박(10)과 이격된 제2선박(50)에 안착될 수 있다.The second seat 200 may be seated on the seam or the second ship 5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hip 10.

제1안착부(100)와 제2안착부(200)는 일측이 타측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높이가 높은 일측은 안벽 또는 제1선박(10) 및 제2선박(50)의 외측을 향하는 일측일 수 있다.The first seating part 100 and the second seating part 200 may have one side higher than the other side. And one side having a higher height may be one side facing the outside of the seam or the first vessel 10 and the second vessel 50.

본 발명의 제1안착부(100)와 제2안착부(200)는 작업자의 이동 및 자재의 이송 편의를 위하여 계단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안착부(100)와 제2안착부(200)는 계단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first seating part 100 and the second seating par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stepwise manner for the convenience of movement of the operator and transportation of the material. However, the first seating portion 100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200 are not limited to the stepped structure.

통로부(300)는 제1안착부(100)와 제2안착부(200) 사이의 이동통로를 제공하고, 제1안착부(100)와 제2안착부(200)에 각각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passageway 300 provides a path of moveme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arts 100 and 200 and is provided with a first seating part 100 and a second seating part 200, As shown in Fig.

통로부(300)는 앞서 설명한 제1안착부(100)와 제2안착부(200)의 높이가 높은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The passage part 300 can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seat 100 and the second seat 200, which are described above.

따라서, 안벽 또는 제1선박(10) 및 제2선박(50)의 상측 둘레에 돌출된 구조물(미도시) 등 장애물에 의해 통로부(300)의 설치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stallation of the passage part 300 from being obstructed by obstacles such as a structure (not shown) protruding from the top wall of the quay wall or the first vessel 10 and the second vessel 50.

본 발명에서 통로부(300)는 제1안착부(100) 및 제2안착부(200)에 상하 및 좌우로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파도, 바람 등 외력에 의해 제2선박(50)이 안벽 또는 제1선박(1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통로부(300), 제1안착부(100) 또는 제2안착부(2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ssage part 30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arts 100 and 200 so as to be rotatable up and down and right and left. Therefore, even if the second ship 50 is displaced relative to the seam or the first ship 10 due to an external force such as waves, winds or the like, the passage portion 300, the first seating portion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of the battery 200.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변위에 따른 통로부(300)의 동작을 살펴본다.3 to 5, the operation of the passage portion 300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통로부(300)는 제1안착부(100) 및 제2안착부(200)와 각각 제1연결부(400) 및 제2연결부(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passage part 30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arts 100 and 200 by a first connection part 400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not shown).

제1연결부(400)는 제1안착부(100) 및 통로부(300) 사이에 연결되며, 상하방향(X)의 제1중심축(410)을 통해 제1안착부(100)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400 is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eating part 100 and the passage part 300 and is coupled to the first seating part 100 through a first central axis 410 in the vertical direction X .

제1중심축(410)은 제1안착부(100)에 상하방향(X)으로 형성되며, 제1연결부(400)의 중심을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연결부(400)는 제1중심축(41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first central axis 410 is formed in the first seating part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X and can pass through the center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400. [ Accordingly, the first connection part 400 can rotate about the first central axis 410.

제2연결부는 제2안착부(200) 및 통로부(300) 사이에 연결되며, 상하방향(X)의 제2중심축(미도시)을 통해 제2안착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seating part 200 and the passage part 300 and can be coupled to the second seating part 200 through a second central axis (not shown) in the vertical direction X .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통로부(300)와 제1안착부(100)를 연결하는 제1연결부(400)를 설명한다. 제2연결부의 구조는 제1연결부(400)의 구조와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3 and 4, the first connection part 400 connecting the passage part 300 and the first seating part 100 will be described. The structure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is the same as or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structure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400,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1연결부(400)가 제1중심축(410)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2연결부가 제2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통로부(300)는 제1안착부(100) 및 제2안착부(200)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400 rotates around the first central axis 41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rotates about the second central axis so that the passage part 300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arts 100, Can rotate with respect to the part (200).

즉, 제2안착부(200)와 제1안착부(100)는 수평방향에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seating portion 200 and the first seating portion 100 can relatively rot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한편, 통로부(300)는 수평방향의 제3중심축(480)과 제4중심축(미도시)을 통해 제1연결부(400) 및 제2연결부(미도시)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the passage portion 30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400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not shown) through the third central axis 480 and the fourth central axis (not show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respectively.

도 4의 제1연결부(400)와 통로부(300)의 연결을 살펴보면, 통로부(300)는 제3중심축(48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unit 400 and the passage unit 300 of FIG. 4, the passage unit 300 may rotate about the third center axis 480.

통로부(300)와 제2연결부의 결합구조는 통로부(300)와 제1연결부(400)의 결합구조와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passage portion 300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be the same or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passage portion 300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400. [

이와 같이, 통로부(300)가 제1연결부(400) 및 제2연결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안착부(100)와 제2안착부(200)가 상하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passage part 300 is hinged to the first connection part 400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arts 100 and 200 can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 ≪ / RTI >

즉,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제2선박(50)이 안벽 또는 제1선박(10)보다 높이가 높을 경우, 제2안착부(200)에 연결된 통로부(300)의 일단은 제1안축부(100)에 연결된 통로부(300)의 타단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3 to 5, when the second ship 50 is higher than the seam or the first ship 10, one end of the passageway 300 connected to the second seating part 200 And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other end of the passage portion 300 connected to the first axis 100.

또한, 제2안착부(200)가 제1안착부(10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할 경우 통로부(300)는 제2안착부(200)가 회전함에 따라 제1안착부(100 및 제2안착부(200)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seating part 200 relatively mov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seating part 100, the passage part 300 moves to the first seating part 100 and the second seating part 100 as the second seating part 200 rotates. And can relatively rotat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seat portion 200.

따라서, 파도, 바람 등 외력에 의해 제2선박(50)과 안벽 또는 제1선박(10) 사이에 변위가 발생하더라도 통로부(300), 제1안착부(100) 또는 제2안착부(2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a displacement occurs between the second ship 50 and the seam or the first ship 10 due to an external force such as waves, wind or the like, the passage portion 300, the first seating portion 100 or the second seating portion 2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연결구조물의 제1안착부(100) 및 제2안착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arts 100 and 200 of the ship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vably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안착부(200)의 저면에 바퀴(570)가 구비될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where the wheel 570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seat 2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따라서, 제2선박(50)과 안벽 또는 제1선박(10)에 상대적 변위가 발생할 경우 제2안착부(200)가 제2선박(50) 상에서 이동할 수 있어 제1안착부(100)와 제2안착부(200) 사이의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변위로 인한 통로부(3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a relative displacement occurs between the second ship 50 and the seam or the first ship 10, the second seating portion 200 can move on the second ship 50, 2 The distance between the seating portions 200 can be maintained. Therefore, breakage of the passage portion 300 due to displacement can be prevent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연결구조물은 로프(500) 및 가이드(51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hip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rope 500 and the guide 510.

로프(500)는 안벽(10)과 제2선박(50) 사이 또는 제1선박(10)과 제2선박(5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The rope 500 may connect between the seawall 10 and the second ship 50 or between the first ship 10 and the second ship 50.

로프(500)는 안벽 또는 제1선박(10)으로부터 연장되어 제2선박(50)에 설치된 계선주(55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로프(500)는 제2선박(50)이 파도와 같은 외력에 의해 안벽 또는 제1선박(10)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rope 500 may be connected to a quay 550 or a quay 550 extending from the quay or the first vessel 10 to the second vessel 50. Therefore, the rope 500 can prevent the second ship 50 from moving away from the seam or the first ship 10 by an external force such as a wave.

한편, 본 발명은 구동부(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560)는 로프(5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안벽(50)과 제2선박(50) 사이의 이격거리(L)또는 제1선박(10)과 제2선박(50) 사이의 이격거리(L)를 조절할 수 있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560. The driving unit 560 adjusts the length of the rope 500 so that the distance L between the seam 50 and the second ship 50 or the distance L between the first ship 10 and the second ship 50, (L) can be adjusted.

즉, 구동부(560)에 의해 로프(500)의 길이가 조절되므로 제1안착부(100)와 제2안착부(200)의 상대적 이동을 줄이도록 제2선박(50)과 안벽 또는 제1선박(10) 사이의 이격거리(L)가 일정하도록 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rope 500 is adjusted by the driving unit 560 so that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units 100 and 200 can be reduced, The distance 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lates 10 can be made constant.

따라서, 변위에 따른 제1안착부(100), 제2안착부(200) 및 통로부(3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first seating portion 100, the second seating portion 200, and the passage portion 300 according to the displacement.

한편, 제1안착부(100) 및 제2안착부(200)에는 로프(500)가 얽히지 않도록 로프(50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510)가 설치될 수 있다.A guide 510 for guiding the rope 500 may be installed on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arts 100 and 200 so that the rope 500 is not entangled.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가이드(510)는 제1안착부(100) 및 제2안착부(2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guide 510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eating part 100 and the second seating part 200, respectively.

예를 들어, 제1안착부(100)와 제2안착부(200) 중 제2안착부(200)가 이동 가능할 경우 로프(500)는 제2안착부(200)의 양측에 설치된 일측 가이드(510)의 내측과 타측 가이드(5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cond seat portion 200 of the first seat portion 100 and the second seat portion 200 is movable, the rope 50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eat portion 200, 510 and the outer side of the other side guide 510.

이와 반대로, 로프(500)는 제1안착부(100)의 양측에 설치된 일측 및 타측 가이드(51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contrast, the rope 500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one side and the other side guide 51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eating part 100.

이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외력에 의해 안벽 또는 제1선박(10)과 제2선박(50) 사이에 상대적 변위가 발생할 경우 제1안착부(100) 및 제2안착부(200)의 양측에 연결되는 로프(500)가 서로 얽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relative displacement occurs between the first ship 10 and the second ship 50 due to the external force, the ropes 20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arts 100 and 200 (5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entangled with each other.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연결구조물은 펜더구조물(600) 및 펜더제어부(6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hip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ender structure 600 and a fender control unit 650.

펜더구조물(600)은 통로부(300)에 연결되며, 안벽 또는 제1선박(10)과 제2선박(50) 사이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안벽 또는 제1선박(10)과 제2선박(50) 사이로 배치될 수 있다.The fender structure 600 is connected to the passageway 300 and is connected to the seam or the first vessel 10 and the second vessel 50 to prevent collision between the vessel 10 and the second vessel 50 ). ≪ / RTI >

즉, 파도 등 외력에 의해 안벽 또는 제1선박(10)과 제2선박(50) 사이의 거리가 좁아질 경우 충돌되어 파손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wall 10 and the second wall 50 is narrowed due to an external force such as a wave, the wall may be collided and damaged.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1선박(10)과 제2선박(50) 사이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벽 또는 제1선박(10)과 제2선박(50) 사이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흡수하는 펜더구조물(600)을 배치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collision between the first vessel 10 and the second vessel 5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llision between the first vessel 10 and the second vessel 50, The structure 600 can be disposed.

또한, 펜더구조물(600)은 안벽 또는 제1선박(10)과 제2선박(5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도록 와이어(W) 등에 의해 통로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The fender structure 600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passageway 300 by a wire W or the like so as to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vessel 10 and the second vessel 50.

한편, 펜더제어부(650)는 펜더구조물(600)과 통로부(30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ender control unit 650 can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ender structure 600 and the passageway 300.

펜더구조물(600)의 위치는 안벽 또는 제1선박(10)과 제2선박(50)이 서로 마주 향하는 일면의 형태에 따라 다를 수 있다. The position of the fender structure 600 may differ depending on the form of one side of the seam or the first ship 10 and the second ship 50 facing each other.

예를 들어, 안벽 또는 제1선박(10)과 제2선박(50)이 서로 마주 향하는 일면의 돌출된 부위와 대응된 위치에 펜더구조물(600)이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ender structure 600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rotruding portion of one side of the seam or the first and second ships 10 and 50 facing each other.

따라서, 펜더제어부(650)는 와이어(W)의 길이 조절을 통해 펜더구조물(600)을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fender control unit 650 can move the fender structure 600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wire W.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연결구조물에는 연결통로(580)가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hip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necting passage 580.

연결통로(580)는 제1안착부(100)와 제2안착부(200) 사이에는 전력공급 라인 또는 유틸리티 라인이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ssage 580 may be formed to pass a power supply line or a utility lin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ortions 100 and 200.

즉, 연결통로(580)를 통해 제2선박(50)에서 진행될 작업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 라인 및 작업에 필요한 압축공기 등을 공급하는 유틸리티 라인을 제2선박(50)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That is, a power supply line for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the work to be performed by the second ship 50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580 and a utility line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necessary for the work can be extended to the second ship 50 have.

이러한 연결통로(580)는 통로부(300)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ssage 580 may be formed along the passage portion 300 and may be coupled to a position that does not disturb the movement of the operator.

한편,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통로부(300)의 상측에는 안전펜스(590)가 구비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safety fence 59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ssageway 300 for safety of the operator.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 연결구조물은 안벽 또는 제1선박(10)과 제2선박(50) 사이의 상대적 변위에도 연결구조물이 파손되지 않고 안벽 또는 제1선박(10)에 제2선박(50)을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hip connec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connection structure from being damaged even at the relative displacement between the seam or the first vessel 10 and the second vessel 50, The second ship 50 can be s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ship 1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 안벽 또는 제1선박 50: 제2선박
100: 제1안착부 200: 제2안축부
300: 통로부 400: 제1연결부
410: 제1중심축 480: 제3중심축
500: 로프 510: 가이드
550: 계선주 560: 구동부
570: 바퀴 580: 연결통로
590: 안전펜스 600: 펜더구조물
650: 펜더제어부 X: 상하방향
L: 이격거리 W: 와이어
10: seawall or first vessel 50: second vessel
100: first seat portion 200: second eccentric portion
300: passage portion 400: first connection portion
410: first central axis 480: third central axis
500: Rope 510: Guide
550: Stapler 560:
570: Wheel 580: Connection passage
590: Safety fence 600: Fender construction
650: Fender control section X: Up and down direction
L: separation distance W: wire

Claims (9)

안벽 또는 제1선박에 안착되는 제1안착부;
상기 안벽 또는 상기 제1선박과 이격된 제2선박에 안착되는 제2안착부; 및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 사이의 이동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에 각각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통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벽 또는 상기 제1선박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선박에 설치된 계선주에 연결되는 로프 및 상기 로프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안벽과 상기 제2선박 사이 또는 상기 제1선박과 상기 제2선박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구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안착부 및 상기 제2안착부에는 상기 통로부의 양측에 상기 로프가 얽히지 않도록 상기 로프를 가이드하는 가이드가 설치되는 선박 연결구조물.
A first seating part which is seated on the seam or the first ship;
A second seating part seated on the seawall or on a second ship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hip; And
And a passage portion that provides a movement passage between the first seat portion and the second seat portion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eat portion and the second seat portion in th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directions,
A rope extending from the sidewall or the first ship and connected to a cradle installed on the second ship and a rope extending from the sail and the second ship or between the first ship and the second ship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rope, A driving unit for adjusting the distance is provided,
Wherein the first seating portion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are provided with a guide for guiding the rope on both sides of the passage portion so that the rope is not entang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 및 상기 통로부 사이에 연결되며, 상하방향의 제1중심축을 통해 상기 제1안착부에 결합되는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안착부 및 상기 통로부 사이에 연결되며, 상하방향의 제2중심축을 통해 상기 제2안착부에 결합되는 제2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 연결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connection part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eating part and the passage part and coupled to the first seating part through a first central axis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d a second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seat portion and the passage portion and coupled to the second seat portion via a second central axis in the up-and-down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는 수평방향의 제3중심축과 제4중심축을 통해 상기 제1연결부 및 상기 제2연결부에 각각 결합되는 선박 연결구조물.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assage portion is coupled to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via a third central axis and a fourth central axi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 및 상기 제2안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선박 연결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seating portion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is movably provid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에 연결되며, 상기 안벽 또는 상기 제1선박과 상기 제2선박 사이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상기 안벽 또는 상기 제1선박과 상기 제2선박 사이로 배치되는 펜더구조물; 및
상기 펜더구조물과 상기 통로부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펜더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 연결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ender structure connected to the passage portion and disposed between the crest wall or the first vessel and the second vessel to prevent collision between the crane wall or the first vessel and the second vessel; And
And a fender control for adjusting a distance between the fender structure and the passag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 사이에는 전력공급 라인 또는 유틸리티 라인이 통과하는 연결통로가 구비된 선박 연결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nection passage through which a power supply line or a utility line passes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seating portion and the second seat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부의 상측에는 안전펜스가 구비되는 선박 연결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afety fence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ssage portion.
KR1020160038038A 2016-03-30 2016-03-30 Multi hole clamp structure KR1017848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038A KR101784845B1 (en) 2016-03-30 2016-03-30 Multi hole clamp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038A KR101784845B1 (en) 2016-03-30 2016-03-30 Multi hole clamp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4845B1 true KR101784845B1 (en) 2017-10-12

Family

ID=60141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038A KR101784845B1 (en) 2016-03-30 2016-03-30 Multi hole clamp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84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9548A1 (en) * 2019-05-13 2020-11-19 Mmg Welding A vessel-to-vessel gangwa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917B1 (en) * 2010-11-04 2012-09-20 한국과학기술원 Docking apparatus with a variable fend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4917B1 (en) * 2010-11-04 2012-09-20 한국과학기술원 Docking apparatus with a variable fend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9548A1 (en) * 2019-05-13 2020-11-19 Mmg Welding A vessel-to-vessel gangw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55825B2 (en) Equipment for stopping floating structures
KR20120097827A (en) Mooring apparatus with electromagnet for ship
KR101205344B1 (en) Floating structure
KR20150113007A (en) Crane with heave compensation
KR101784845B1 (en) Multi hole clamp structure
NL2006280C2 (en) Vessel comprising a stabilizing system.
KR20130070861A (en) Folding type supporter
JP4590442B2 (en) Equipment for laying long objects such as cables on the bottom of water
KR101599026B1 (en) Mooring apparatus for ship
KR101282772B1 (en) Active type rolling fender with considering hull form of vessel
KR20200053961A (en) Fender Davit Device
KR101456857B1 (en) Transfer Apparatus for Heavy Material
KR102484667B1 (en) Flexible cable delivery system for cable routing on both sides
CN113135263A (en) Automatic magnetic mooring device and automatic magnetic mooring system
KR101556268B1 (en) Method for installing canister guide apparatus
KR102632557B1 (en) Winch for docking of ships with catamarans
KR20140133336A (en) Canister-type thruster
JP2014196151A (en) Quay crane
KR101505799B1 (en) Canister-type thruster
KR20140032722A (en) Hook block
KR20160004164U (en) Apparatus for tilting mast
CN110536857B (en) Ship-to-shore crane
JP4939856B2 (en) Mooring system and mooring method
KR20230171284A (en) Vehicle roof mount type luggage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KR20240042777A (en) Wind load reduction structure for offshore structure and system for reducing wind load of offshore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