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831B1 -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 - Google Patents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831B1
KR101784831B1 KR1020160026429A KR20160026429A KR101784831B1 KR 101784831 B1 KR101784831 B1 KR 101784831B1 KR 1020160026429 A KR1020160026429 A KR 1020160026429A KR 20160026429 A KR20160026429 A KR 20160026429A KR 101784831 B1 KR101784831 B1 KR 101784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oring line
pawl
pair
line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6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4087A (ko
Inventor
신영일
조기용
홍영화
이창희
최철훈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6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831B1/ko
Publication of KR20170104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4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H04N5/22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4Illuminating
    • B63B2201/08Electric ligh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무어링 라인 또는 무어링 라인의 설치장치를 관측하는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에 있어서, 폴(Pole), 부유식 해상구조물 상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폴을 지지하되, 폴의 승강 및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캐리어, 폴의 하단에 연결되되 외측으로 확장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확장부 및 폴의 하단부 및 한 쌍의 확장부의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무어링 라인 또는 설치장치를 관측하는 복수개의 영상획득부를 포함하고, 폴은 가이드캐리어에 지지되는 제1폴부와, 제1폴부에 연결되어 수중에 잠겨 운용되는 제2폴부 및 제2폴부를 축으로 하여 자유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외측을 향할수록 단면의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에어포일(Airfoil) 부재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OBSERVATION APPARATUS FOR MOORING LINE}
본 발명은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어링 라인의 설치상태를 관측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무어링 라인의 설치공정을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또는 해상에 부유되어 운용되는 각종 부유식 해상구조물에는 일정한 위치에 정박을 목적으로 하는 앵커(Anchor)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으며, 선박을 계류시키기 위해서 앵커를 해저 측으로 하강시켜 해저면에 고정시킨다. 앵커는 그 사용목적상 풍랑이나 조류에도 선박 또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체가 안정적으로 일정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충분한 무게를 갖추면서 해저면에 용이하게 고정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선박 또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은 선체에 연결된 무어링 라인을 통해 해저면에 고정된 앵커에 지지됨으로써 풍랑이나 조류에 따라 유동하지 않고 일정한 위치에 정박됨으로써, 선박 또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이 표류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해상 작업의 어려움, 선체의 충돌 또는 좌초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무어링 라인은 앵커와 연결되어 앵커와 함께 선체의 파지력을 발생 및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무어링 라인은 선박 또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운항 시에는 선체 내에 권선되어 보관되다가, 일정한 위치에 정박하고자 하는 때에는 수중 페어리드 체인 스토퍼(Underwater Fairlead Chain Stopper) 등과 같은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에 의해 선체로부터 내어져 설치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무어링 라인의 설치공정 중에 파도나 돌풍 등에 의한 외력이 무어링 라인 또는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에 가해질 경우, 무어링 체인 또는 앵커가 파손될 위험 뿐만 아니라, 무어링 라인과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 간의 간섭이 발생하여 무어링 라인 또는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의 손상에 가해질 우려가 있다. 이에 종래에는 무어링 라인 설치공정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잠수부가 직접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에 근접하게 잠수하여 무어링 라인을 관측하는 방안 등이 이용되었으나, 조류가 강할 경우 잠수부의 안전사고 발생의 위험이 있으며, 잠수부의 작업을 지원하는 별도의 선박 등이 필요하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무어링 라인이 운용되는 환경이 심해의 수중이므로 무어링 라인을 관측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운용 시, 파도나 풍랑 등이 장치에 가해져 장치가 받는 유체저항이 매우 높다. 이러한 유체저항이 장치에 지속적으로 작용할 경우, 장치가 훼손 또는 파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무어링 라인의 관측 시 유체저항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이에 무어링 라인의 설치상태를 유체저항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면서 용이하게 관측하여 작업자에게 제공하고, 이를 통해 무어링 라인의 설치공정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072700호(2015. 06. 30. 공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안정적인 무어링 라인의 설치공정을 도모할 수 있는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유체저항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무어링 라인 및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의 관측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무어링 라인 및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를 실시간으로 관측하여 무어링 라인 설치공정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는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단순한 구조로서 무어링 라인의 설치상태를 촬영 및 확인할 수 있는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작업자의 작업 안정성을 도모하고 운용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강한 조류에서도 무어링 라인의 설치공정을 용이하게 관측하고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무어링 라인 또는 상기 무어링 라인의 설치장치를 관측하는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에 있어서, 폴(Pole), 상기 부유식 해상구조물 상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폴을 지지하되, 상기 폴의 승강 및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캐리어, 상기 폴의 하단에 연결되되 외측으로 확장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확장부 및 상기 폴의 하단부 및 상기 한 쌍의 확장부의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무어링 라인 또는 상기 설치장치를 관측하는 복수개의 영상획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은 상기 가이드캐리어에 지지되는 제1폴부와, 상기 제1폴부에 연결되어 수중에 잠겨 운용되는 제2폴부 및 상기 제2폴부를 축으로 하여 자유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외측을 향할수록 단면의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에어포일(Airfoil) 부재를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캐리어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휠과, 상기 본체에 마련되되 상기 선체의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는 작업암 및 상기 작업암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마련되되 내측에 상기 제1폴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가이드브래킷을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에어포일 부재는 복수개가 마련되되 서로 다른 크기를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영상획득부는 상기 무어링 라인 또는 상기 설치장치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무어링 라인 또는 상기 설치장치에 빛을 비추는 조명을 각각 포함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확장부는 상기 제2폴부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는 안정적인 무어링 라인 설치공정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는 유체저항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무어링 라인 및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의 관측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는 무어링 라인 및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를 실시간으로 관측하여 무어링 라인 설치공정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는 단순한 구조로서 무어링 라인의 설치상태를 촬영 및 확인할 수 있으므로 운용비용을 저감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작업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는 강한 조류에서도 무어링 라인의 설치공정을 용이하게 관측하고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가 운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100)가 운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100)는 폴(Pole)(110), 폴(110)을 지지하되 폴(110)의 승강 및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캐리어(120), 폴(110)의 하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확장부(130) 및 폴(110)의 하단부와 한 쌍의 확장부(130)의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무어링 라인(10) 또는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20)를 관측하는 복수개의 영상획득부(140)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은 무어링 라인을 이용하여 해상의 일정한 위치에 계류 또는 정박하는 다양한 구조의 선박 및 부유식 구조물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어링 라인(10)은 선박 등을 포함하는 부유식 해상구조물이 일정한 위치에 정박할 수 있도록 단부에 앵커(Anchor, 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무어링 라인(10)은 부유식 해상구조물에 설치되는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20)에 의해 앵커와 함께 해저 측으로 공급 및 선체에 결속된다.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20)는 무어링 라인 스토퍼, 가이드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20)에 의해 해저 측으로 공급된 무어링 라인(10) 및 앵커는 앵커가 해저면에 정착되어 파지력을 발휘함으로써 부유식 해상구조물을 일정한 위치에 정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20)에 의한 무어링 라인의 설치공정 시, 파도 또는 풍랑 등에 의해 무어링 라인(10)이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20)와 간섭을 일으켜 무어링 라인(10) 또는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20)의 손상 또는 무어링 라인(10)의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하거나, 무어링 라인(10) 설치공정이 계획대로 수행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무어링 라인(10)이 무어링 라인(10)의 설치공정을 촬영하고 이를 작업자에게 제공하여 안정적인 무어링 라인 설치공정을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20)의 폴(Pole, 110)은 무어링 라인(10) 또는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20)의 광범위한 관측을 위해 막대형상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폴(110)의 하단부(도 1을 기준으로 하방향)에는 후술하는 한 쌍의 확장부(130) 및 복수개의 영상획득부(14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중단부는 후술하는 가이드캐리어(120)에 의해 지지 및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폴(110)은 후술하는 영상획득부(140)에 전력을 제공하거나 영상획득부(140)에 의해 관측된 정보를 작업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중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폴(110)은 후술하는 가이드캐리어(120)에 의해 지지되는 제1폴부(110a)와, 제1폴부(110a)의 하단에 연결되어 수중에 잠겨 운용되는 제2폴부(110b) 및 제2폴부(110b)를 축으로 하여 자유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외측을 향할수록 단면의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에어포일(Airfoil) 부재(110c)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폴부(110a)는 후술하는 가이드캐리어(120)의 수용부에 지지되어 마련되되 가이드브래킷(110)의 수용부에 수용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되, 제1폴부(110a)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작동될 수 있다. 제1폴부(110a)는 보관 및 운용의 효율성을 위해 일측의 폴대가 타측의 폴대의 내부로 인입 및 돌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텔리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이루어져, 제1폴부(110a)의 확장 및 축소를 구현할 수 있다.
제2폴부(110b)는 제1폴부(110a)의 하단에 연결되어 마련되되 무어링 라인(10) 또는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20)의 관측을 위해 수중에 잠겨 운용될 수 있다. 제2폴부(110b)는 관측의 용이성을 위해 무어링 라인(10) 또는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20)에 근접할 수 있도록 제1폴부(110a)에 대하여 무어링 라인(10) 또는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20) 측으로 소정의 각도 굽어져 마련될 수 있다. 제2폴부(110b)의 하단에는 후술하는 한 쌍의 확장부(130)가 연결되어 마련되고, 하단부에는 후술하는 영상획득부(140)가 마련되어 무어링 라인(10) 또는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20)를 관측할 수 있다.
에어포일(Airfoil) 부재(110c)는 제2폴부(110b)의 외측에 제2폴부(110b)를 축으로 하여 자유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에어포일 부재(110c)는 그 단면 형상이 외측으로 향할수록 단면의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의 익형으로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수중에 잠겨 운용되는 제2폴부(110b)는 파도나 풍랑 등의 조류가 끊임없이 가해져, 제2폴부(110b)가 받는 유체저항이 매우 높다. 이에 제2폴부(110b)의 외측에 익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에어포일 부재(110c)가 자유회전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해수 등의 유체로부터 가해지는 유체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어포일 부재(110c)는 조류가 흘러오는 방향(유체저항이 가해지는 방향)과 나란하게 에어포일 부재(110c)의 단면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로 자율적으로 배치되어, 에어포일 부재(110c)의 전방측 및 후방측 간의 유체의 압력차이를 감소시켜 제2폴부(110b)에 가해지는 유체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에어포일 부재(110c)는 유체저항의 효과적인 저감을 위해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저 측을 향할수록 에어포일 부재(110c)는 더 작은 단면 크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당해 크기 및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2에서는 에어포일 부재(110c)가 3개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2폴부(110b)의 크기 및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100)가 운용되는 수심의 깊이에 따라 그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가이드캐리어(120)는 선체, 일 예로 선체의 갑판(1) 상에서 선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되 폴(110)의 지지, 승강 및 회전을 안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캐리어(120)는 본체(121)와, 본체(121)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휠(122)과, 본체(121)에 마련되되 선체의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는 작업암(123) 및 작업암(123)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내측에 폴(110)을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가이드브래킷(124)을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본체(121)는 육면체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되 선체의 갑판(1) 상에서 구름 운동할 수 있도록 사방에 복수개의 휠(122)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복수개의 휠(122)은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력을 받거나, 전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자동적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작업암(123)은 본체(121)에 연결되어 마련되되 폴(110)의 승강 및 회전 시 폴(110)과 선체 외면의 접촉을 방지하고, 폴(110)의 원활한 승강 및 회전을 구현할 수 있도록 선체의 외측방향으로 확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작업암(123)의 최외측 단부에는 가이드브래킷(124)이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도 5에서는 작업암(123)이 본체(121)의 상측에 고정되어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폴(110)의 승강 및 회전의 다양성을 위해 작업암(123)이 본체(121)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가이드브래킷(124)은 작업암(123)의 외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폴(110)의 제1폴부(110a)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브래킷(124)은 내측에 제1폴부(110a)를 폴의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수용부과 제1폴부(110a)가 접하는 부분에는 마찰저감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브래킷(124)은 작업암(123)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작업암(123)과 힌지결합되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확장부(130)는 단부에 후술하는 영상획득부(140)가 각각 마련되되, 무어링 라인(10) 또는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20)를 다각도에서 관측할 수 있도록 폴(110)의 하부, 구체적으로 제2폴부(110b)의 하단에 외측으로 확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확장부(130)는 무어링 라인(10) 또는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20)의 원활한 관측을 위해 점차적으로 내측으로 좁아지는 형상으로 굽어져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확장부(130)는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100)가 무어링 라인(10) 또는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20)의 너비 등 다양한 규격에 대응하여 호환성 있게 이용되거나, 필요에 따라 근접촬영 또는 원거리촬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2폴부(110b)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작은 너비를 갖는 무어링 라인(10) 또는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20)를 관측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자세한 관측을 위해 영상획득부(140)의 근접촬영이 필요한 경우에는 한 쌍의 확장부(130)가 내측으로 폴딩(Folding)되어 운용되도록 하고, 큰 너비를 갖는 무어링 라인(10) 또는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20)를 관측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설치공정의 전반적인 상태의 관측을 위해 영상획득부(140)의 원거리촬영이 필요한 경우에는 한 쌍의 확장부(130)가 외측으로 언폴딩(Unfolding)되어 운용될 수 있다.
한 쌍의 확장부(130)와 제2폴부(110b) 사이에는 한 쌍의 확장부(130)를 안정적으로 각각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부(150)가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부(150)는 일단이 한 쌍의 확장부(130)의 중단부에 연결되어 마련되고 타단이 제2폴부(110b)의에 마련되어 한 쌍의 확장부(130)의 강성을 확보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한 쌍의 확장부(130)의 원활한 지지를 위해 한 쌍의 지지부(150)의 일단과 타단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영상획득부(140)는 무어링 라인(10) 또는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20)의 관측을 위해 폴(110)의 하단부 및 한 쌍의 확장부(130)의 단부에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개의 영상획득부(140)는 무어링 라인(10) 또는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20)를 촬영하는 카메라(미도시) 및 카메라의 원활한 촬영을 위해 무어링 라인(10) 또는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20)에 빛을 비추는 조명을 각각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카메라는 장비의 소형화를 위해 소형 카메라 모듈(CCM)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조명은 전력소비의 절감과 경량화를 위해 발광 다이오드(LE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개의 영상획득부(140)는 폴의 하단, 구체적으로 제2폴부(110b)의 하단부와 한 쌍의 확장부(130)의 외측 단부에 마련되어, 무어링 라인(10) 또는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20)를 다각도로 촬영하여 작업자에게 무어링 라인(10) 또는 무어링 라인의 설치공정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영상획득부(140)는 무어링 라인(10)의 파손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레이저 스캐너(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1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1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100)를 이용하여 무어링 라인(10),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20) 또는 무어링 라인 설치공정을 관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가이드캐리어(120)을 관측하고자 하는 무어링 라인(10) 또는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20)가 위치한 곳까지 선체의 갑판(1)을 따라 이동시킨다. 그 후, 폴(110)을 무어링 라인(10) 또는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20)에 근접하게 하강시키되 무어링 라인(10) 또는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20)의 다각도 관측을 위해 무어링 라인(10) 또는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20)가 한 쌍의 확장부(130) 사이에 놓여지도록 배치시킨다. 수중에 잠겨져 운용되는 폴(110)의 제2폴부(110b)는 외측에 복수개의 에어포일 부재(110c)가 조류의 흐름에 따라 자율적으로 배치되어 제2폴부(110b)에 가해지는 유체저항을 저감시킨다.(도 3 참조)
더 하측의 무어링 라인(10),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20) 또는 무어링 라인 설치공정을 관측하고자 하는 경우, 제1폴부(110a)를 가이드캐리어(120)의 가이드브래킷(124)을 따라 선체의 하측으로 하강시킬 수 있으며, 가이드브래킷(124)은 가이드캐리어(120)의 작업암(123)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바, 무어링 라인의 설치 각도와 나란하게 폴(110) 및 한 쌍의 확장부(130)를 하강하여 영상획득부(140)의 용이한 촬영이 가능해질 수 있다.(도 4 참조)
한편 파도나 풍랑 등의 조류에 의해 무어링 라인(10) 또는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20)의 각도가 변경되거나, 무어링 라인(10) 또는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20)의 설치각도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가이드브래킷(124)을 작업암(123) 상에서 회전하여 폴(110) 및 한 쌍의 확장부(130)를 무어링 라인(10) 또는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20)에 계속해서 근접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작업환경에서도 영상획득부(140)의 관측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도 5 참조)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100)는 무어링 라인(10), 무어링 라인 설치장치(20) 또는 무어링 라인 설치상태를 용이하게 촬영 및 확인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무어링 라인(10) 설치공정을 도모하고, 설치공정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단면이 익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에어포일 부재(110c)가 수중에 잠겨 운용되는 폴(110)의 제2폴부(110b) 외측에 자유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제2폴부(110b)에 가해지는 유체저항을 저감시켜줌으로써, 강한 조류에서도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100)의 안정적인 운용 및 관측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설비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단순한 구조로서 구조로서 무어링 라인의 설치상태를 연속적으로 촬영 및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잠수부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운용비용을 저감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 110: 폴
110a: 제1폴부 110b: 제2폴부
110c: 제2폴부 120: 가이드캐리어
121: 본체 122: 휠
123: 작업암 124: 가이드브래킷
130: 확장부 140: 영상획득부
150: 지지부

Claims (5)

  1.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선체에 연결된 무어링 라인 또는 상기 무어링 라인의 설치장치를 관측하는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에 있어서,
    폴(Pole);
    상기 부유식 해상구조물 상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폴을 지지하되, 상기 폴의 승강 및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캐리어;
    상기 폴의 하단에 연결되되 외측으로 확장되어 마련되는 한 쌍의 확장부; 및
    상기 폴의 하단부 및 상기 한 쌍의 확장부의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무어링 라인 또는 상기 설치장치를 관측하는 복수개의 영상획득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은
    상기 가이드캐리어에 지지되는 제1폴부와, 상기 제1폴부에 연결되어 수중에 잠겨 운용되는 제2폴부 및 상기 제2폴부를 축으로 하여 자유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되 외측을 향할수록 단면의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에어포일(Airfoil) 부재를 포함하는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캐리어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휠과, 상기 본체에 마련되되 상기 선체의 외측으로 확장 형성되는 작업암 및 상기 작업암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마련되되 내측에 상기 제1폴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수용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가이드브래킷을 포함하는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포일 부재는
    복수개가 마련되되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영상획득부는
    상기 무어링 라인 또는 상기 설치장치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무어링 라인 또는 상기 설치장치에 빛을 비추는 조명을 각각 포함하는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확장부는
    상기 제2폴부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어 마련되는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
KR1020160026429A 2016-03-04 2016-03-04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 KR101784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429A KR101784831B1 (ko) 2016-03-04 2016-03-04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6429A KR101784831B1 (ko) 2016-03-04 2016-03-04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087A KR20170104087A (ko) 2017-09-14
KR101784831B1 true KR101784831B1 (ko) 2017-10-13

Family

ID=59926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6429A KR101784831B1 (ko) 2016-03-04 2016-03-04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8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3595A (ja) 2003-11-21 2005-06-16 Shin Kurushima Dockyard Co Ltd 係船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3595A (ja) 2003-11-21 2005-06-16 Shin Kurushima Dockyard Co Ltd 係船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4087A (ko) 2017-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6049B2 (en) Power generating equipment
ES2688074T3 (es) Sistema de trabajo para estructura flotante, estructura flotante, barco de trabajo y método de trabajo para la estructura flotante
KR101908914B1 (ko) 신축 붐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잠수정 진회수 장치
WO2007051968A1 (en) Deployment apparatus for submerged power plant
US201401163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A Submarine Vehicle
WO200912434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ploying and retrieving a wave energy converter
RU2517634C2 (ru) Якорная система
KR101854223B1 (ko) 무어링 라인 관리로봇
EP3558810A1 (en) Device and method for paying out an elongated flexible article from a vessel
AU2008201744A1 (en) Lifting device suitable for submersibles
US201101550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ploying and retrieving a wave energy converter
KR101702516B1 (ko) 앵커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101784831B1 (ko)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
CN108884650B (zh) 用于在海洋的海床中安装单柱平台的定位设备和装置、以及安装和拆卸单柱平台的方法
GB2515011A (en) Power generating equipment
JP2010195541A (ja) フローティングクレーン
KR20170062036A (ko) 무어링 라인 관측장치
CN217227844U (zh) 一种多用途浮体锚泊装置
KR101524666B1 (ko) 해상구조물의 라이저 홀딩 장치
KR101936145B1 (ko) 해양관측 표류부이용 이동식 인양장치
KR101774924B1 (ko) 선박 방오 장치
KR20190127251A (ko) 스토퍼가 구비된 선박용 완충장치
KR20140002178U (ko) 인양용 선박의 4점 계류장치
US20180105237A1 (en) Watercraft lift
CN112236359B (zh) 用于将漂浮式风能设备紧固在水体底部处的漂浮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