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4108B1 -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 - Google Patents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4108B1
KR101784108B1 KR1020160089320A KR20160089320A KR101784108B1 KR 101784108 B1 KR101784108 B1 KR 101784108B1 KR 1020160089320 A KR1020160089320 A KR 1020160089320A KR 20160089320 A KR20160089320 A KR 20160089320A KR 101784108 B1 KR101784108 B1 KR 101784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ear
audio output
ear tip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9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균택
최주석
경종수
Original Assignee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89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41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4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4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2Sanitary or hygienic devices for mouthpieces or earpieces, e.g. for protecting against inf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은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이어팁, 상기 이어팁과 결합되어서 상기 이어팁으로 음성을 전달하는 음성출력부, 상기 음성출력부를 수용하고 상기 이어팁이 통과되는 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음성출력부와 상기 이어팁이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이어팁과 상기 음성출력부는 동시에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이어팁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되어서 보관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EARPHONE WITH STRUCTURE FOR ACCOMMODATING EARTIP}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어폰의 하우징에 개구와 이어팁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고 하우징 내부의 이어폰 구조가 이동되어서 하우징 내부에 이어팁이 보관될 수 있는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이 개시된다.
이어폰은 이어폰 리시버의 약칭이며, 귀에 대거나 꽂아 사용하며 전기에너지를 음향에너지로 변환하는 변환기의 일종이다. 이어폰은 소리를 공간에 방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귀의 고막에 진동을 전하여 들을 수 있게 한 것이다. 귀 구멍에 꽂아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히 이어폰이라 하며, 머리에 걸어서 귀를 덮는 것은 헤드폰이라고 한다.
구조적으로는 영구자석과 음성 코일 및 진동판으로 이루어지는 전자형(마그네틱 형), 진동판에 가공 코일을 부착하는 동전형(다이내믹 형), 압전 소자를 사용하는 압전형(크리스털 형) 등이 있다.
또한 이어폰은 형태에 따라서 오픈형과 커널형, 귀걸이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오픈형 이어폰은 귓바퀴 장착형을 의미하며, 커널형 이어폰은 큇바퀴에서 고막으로 이어지는 외이도에 와인 마개와 같이 밀착시켜 장착하는 방식의 이어폰을 의미한다. 커널형 이어폰은 오픈형에 비해 귀 속으로 좀더 다가선 형태이며, '인이어 이어폰'이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귓속 피부에 닿는 부분은 젤리나 실리콘 등의 신축성 소재를 사용하여 오픈형에 비해 외부 차음 효과가 뛰어나다.
이어폰들은 신체에 직접 접촉이되는 물건이지만 전자제품으로써 세척이 어렵고 먼지나 이물질이 쉽게 달라붙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어폰에 청결을 유지하는 발명들이 종종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 2012년 6월 21일 출원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 10-1306202호 "보호커버를 구비한 이어폰"은 이어폰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하여 이어폰에 보호커버를 씌우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사용자의 귀 구멍에 삽입되는 이어폰의 이어팁을 청결하게 유지시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간단하게 이어폰의 형상을 가변시킬 수 있는 이어팁 수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은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이어팁, 상기 이어팁과 결합되어서 상기 이어팁으로 음성을 전달하는 음성출력부, 상기 음성출력부를 수용하고 상기 이어팁이 통과되는 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음성출력부와 상기 이어팁이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이어팁과 상기 음성출력부는 동시에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이어팁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되어서 보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음성출력부는 상기 하우징 방향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요소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 요소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음성출력부를 상기 개구에 반대방향으로 밀어내는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음성출력부의 상기 돌출요소는 상기 가이드 홈의 단부로 이동되어서 정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홈 부분과 개구방향단부에서 개구 반대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만곡하게 형성되는 홈 부분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돌출요소는 상기 가이드 홈의 길이방향 홈 부분의 개구 반대쪽 단부 및 상기 가이드 홈의 만곡한 홈 부분의 개구 반대쪽 단부에서 정지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 부분에는 상기 마개가 구비되어서, 상기 이어팁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면 상기 개구는 닫힐 수 있다.
또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은 상기 음성출력부의 후측에 배치되는 캠 바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파이프부, 상기 캠 바디의 후측에는 배치되는 플런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음성출력부를 상기 개구에 반대방향으로 밀어내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파이프부는 내측에 멈춤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플런저가 이동되어서, 상기 캠 바디가 상기 음성출력부를 밀고, 상기 음성출력부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캠 바디와 상기 멈춤부재가 맞물려서 정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은 상기 파이프부와 상기 플런저 사이에서, 상기 플런저를 상기 개구의 반대방향을 향하게 밀어내는 탄성을 생성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나사산 또는 나사골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음성출력부의 상기 하우징과 접촉되는 면은 상기 하우징의 나사산 또는 나사골과 대응되는 나사산, 나사골 또는 돌출요소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음성출력부는 상기 하우징의 나사산 또는 나사골을 따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전진 및 후퇴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이어팁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수용되거나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음성출력부의, 상기 이어팁과 반대되는 방향에는 버튼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버튼은 상기 하우징의 개구가 형성된 일 단부에 반대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홀을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버튼의 상기 홀 통과에 의해 상기 음성출력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이동되어서, 상기 이어팁은 돌출 또는 인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에 의하면, 사용자의 귀 구멍에 삽입되는 이어폰의 이어팁을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에 의하면, 간단하게 이어폰의 형상을 가변시킬 수 있는 이어팁 수용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의 이어팁이 돌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의 이어팁이 하우징 내로 인입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의 작동방법을 도시한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의 이어팁 수용구조를 도시한다.
도 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의 작동방법을 도시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의 이어팁이 돌출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의 이어팁이 하우징 내로 인입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의 작동방법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은 이어팁(110), 음성출력부(120), 하우징(130), 마개 및 버튼(190)을 포함한다.
상기 이어팁(110)은 오픈형 이어폰 또는 커널형 이어폰 등의 이어폰에 구비되는 음성 전달 부분 또는 음성 전달 부분을 감싸는 실리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어팁(110)은 사용자의 귀 구멍에 삽입 또는 귓바퀴에 접촉되는 이어폰의 일부일 수 있다.
상기 음성출력부(120)는 상기 이어팁(110)과 결합되어서 상기 이어팁(110)으로 음성을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이어폰(100)을 이용할 때 상기 이어팁(110)에 전달된 상기 음성은 상기 사용자의 고막으로 전달된다.
상기 이어팁(110)과 상기 음성출력부(120)는 서로 결합되어서 동시에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30)은 내부에 상기 음성출력부(120)와 상기 이어팁(110)이 수용될 수 있는 크기의 공간을 구비하여서, 상기 음성출력부(120)가 상기 하우징(130) 내부에서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음성 출력부(120)와 상기 이어팁(110)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30)은 상기 이어팁(110)이 내부로 인입 또는 방출되도록 통과되는 개구(132)를 구비할 수 있고, 그 반대편에는 홀(13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구(132)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의 일 단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개구의 반대편에는 상기 버튼(19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30)의 상기 개구(132) 부근에는 상기 마개가 구비되어서 상기 이어팁(110)이 상기 하우징(130)의 내로 인입되었을 때, 상기 개구(132)를 닫을 수 있다. 상기 마개는 상기 개구(132)의 둘레를 따라서 상기 개구(132)를 덮도록 설치되는 절개된 고무 막일 수 있어서, 상기 이어팁(110)이 상기 개구(132)를 지나가면 자동으로 닫힐 수 있다.
상기 버튼(190)은 상기 음성출력부(120)를 중심으로 상기 이어팁(110)과 반대되는 부분인,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 상기 홀(134)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튼(190)은 상기 음성출력부(120)에 의해 상기 하우징(130)의 홀(136)에 걸려서, 상기 버튼(190)이 상기 하우징(13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버튼(190)이 상기 홀(134)을 통과함 인해 상기 음성출력부(120)는 상기 하우징(130)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이어팁(110)은 상기 하우징(130)의 상기 개구(132)를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130)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도 3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의 이어팁이 하우징의 내부에 인입되어서 고정된 상태이고, 도3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의 이어팁이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상태이며, 도 3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의 이어팁이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어서 고정된 상태이다.
아래에서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진 이어폰의 작동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진 이어폰(100)은 스프링(14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우징(130)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136)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음성출력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요소(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가이드 홈(136)은 상기 하우징(130)의 내측 면에 음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상기 돌출요소(122)는 상기 음성출력부(120)의 외면에서 돌출, 즉 상기 하우징(130)의 내측 면과 접촉되는 부분에서 상기 하우징(130)의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돌출요소(122)는 상기 가이드 홈(136)을 따라서 움직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 내지 도 3b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홈(136)은 상기 하우징(13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 부분과 상기 홀(134)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만곡하게 형성되는 홈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요소(122)는 상기 가이드 홈(136)의 길이방향 상기 홈 부분의 상기 홀(134)쪽 단부 및 상기 가이드 홈(136)의 상기 만곡한 홈 부분의 상기 홀(134)쪽 단부에서 상기 스프링(140)에 의해 정지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40)은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서 상기 음성출력부(120)를 상기 개구(132)에 반대되는 방향인 상기 홀(134)의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이때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음성출력부(120)는 외측에 구비된 상기 돌출요소(122)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130)의 상기 가이드 홈(136)을 따라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40)이 상기 음성출력부(120)를 상기 홀(134) 방향으로 밀어서, 상기 돌출요소(122)도 상기 스프링(140)의 탄성에 의해 상기 홀(134) 방향으로 밀릴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돌출요소(122)는 상기 가이드 홈(136)을 따라서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돌출요소(122)는 상기 가이드 홈(136)의 만곡한 홈부분 및 길이방향 홈 부분에 각각의 홀(134) 방향 단부에서 정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140)에 의해 상기 음성출력부(120)는 상기 하우징(130) 내에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돌출요소(122)가 정지될 때의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다.
상기 음성출력부(120)의 이동 또는 정지에 따라서, 상기 이어팁(110)도 이동 또는 정지될 수 있고, 상기 돌출요소(122)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이어팁(110)은 상기 하우징(130)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만곡한 홈 부분의 단부가 상기 길이방향 홈 부분의 단부보다 상기 홀(134)에서 멀리 떨어져 있을 때, 상기 돌출요소(122)가 상기 만곡한 홈 부분의 단부에 위치되면, 상기 이어팁(110)은 상기 하우징(13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정지되고, 상기 돌출요소가(120) 상기 길이방향 홈 부분의 단부에 위치되면, 상기 이어팁(110)은 상기 하우징(130)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정지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만곡한 홈 부분의 단부가 상기 길이 방향 홈 부분의 단부보다 상기 홀(134)에서 가까울 때, 상기 돌출요소(122)가 상기 만곡한 홈 부분 위치에 있으면 상기 이어팁(110)은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돌출요소(122)가 상기 길이방향 홈 부분에 위치되면 상기 이어팁(110)은 상기 하우징(13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만곡한 홈 부분의 단부 및 상기 길이방향 홈 부분의 단부의 길이방향 거리 차이가 상기 이어팁(110)의 길이보다 클 때 상기 이어팁(110)의 전체가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음성출력부(120)는 상기 홀(134)과 접촉되게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돌출요소(122)는 상기 가이드 홈(136)의 길이방향 홈 부분 상에 또는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어팁(110)은 상기 하우징(13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여, 상기 돌출요소(122)가 상기 가이드 홈(136)의 상기 개구(132)방향 단부에 위치되면, 상기 이어팁(110)이 상기 하우징(13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개구(132) 방향의 단부는 만곡하게 형성되어서 도 3b의 상태 이후에 상기 돌출요소(122)는 상기 가이드 홈(136)을 따라서 상기 길이방향 홈 부분의 단부 또는 상기 만곡한 홈 부분 단부로 선택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돌출요소(122)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길이방향 홈 부분의 단부 또는 상기 만곡한 홈 부분 단부로 진행될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여, 상기 돌출요소(122)가 상기 만곡한 홈 부분의 단부에서 정지되어서 상기 이어팁(110)은 상기 하우징(130)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정지될 수 있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의 이어팁 수용구조를 도시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200)은 일 실시예의 구성인 이어팁(210), 음성출력부, 하우징(230), 버튼(290), 상기 하우징(230)의 개구 및 홀을 포함할 수 있고, 캠 바디(260), 파이프부(270), 플런저(280) 스프링(240), 및 탄성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캠 바디(260)는 상기 음성출력부의 후측 또는 음성출력부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톱니 모양들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캠 바디는 도4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성출력부의 둘레 외표면에 사선의 단부로 형성되는 음각톱니(2604)와, 두 층의 사선의 단부로 형성되는 제1 양각톱니(260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부(270)는 상기 하우징(230)의 내측 및 상기 음성출력부의 외측에서 상기 홀을 구비하는 상기 하우징(230)의 후측면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파이프 부(270)는 내측에 멈춤부재(27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멈춤부재(272)는 상기 음성출력부 방향으로, 상기 제1 양각톱니(2602)에 대응되는 형상인, 사선의 단부로 형성되는 제2 양각톱니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플런저(280)는 상기 캠 바디(260)의 후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음성출력부의 방향으로, 상기 제1 양각톱니(2602)에 대응되는 형상인, 사선의 단부로 형성되는 제3 양각톱니(280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플런저(280)는 상기 버튼(290)과 결합되어서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240)은 상기 하우징(230)의 내부에서 상기 음성출력부를 상기 홀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250)는 상기 파이프부(270)와 상기 플런저(280)의 이격된 위치 사이에 위치되어서, 상기 플런저(280)를 상기 홀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상기 버튼(290)의 이동에 따라서 상기 음성출력부는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음성출력부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이어팁(210)은 상기 하우징(230)의 외부 또는 내부로 이동될 수 있다.
도 4a는 상기 이어팁(210)이 상기 하우징(230) 내로 인입된 상태를 도시하며, 상기 멈춤부재(272)가 상기 캠 바디(260)의 상기 음각톱니(2604)로 맞물린 상태를 도시한다.
도 4b는 상기 이어팁(210)이 상기 하우징(230) 외부로 돌출된 상태를 도시하며, 상기 멈춤부재(272)가 상기 캠 바디(260)의 상기 제1 양각톱니(2602)로 맞물린 상태를 도시한다.
도 4a에서 도시된 상태 이후에 상기 버튼(290)을 누르면, 상기 스프링(240)과 상기 탄성부(250)가 압축되며 상기 음성출력부가 상기 개구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 양각톱니(2602)사선을 따라서 상기 멈춤부재(272)의 상기 제2 양각톱니(2722) 및 상기 제3 양각톱니(2802)가 맞물리면서 상기 캠 바디(260)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캠 바디(260)가 회전되고 상기 제1 양각톱니(2602)와 상기 제2 양각톱니(2722) 및 상기 제3 양각톱니(2802)가 맞물리게 되면, 상기 스프링(240)은 압축되고, 상기 탄성부(250)는 상기 버튼(290)을 밀 수 있다. 상기 버튼(290)이 밀리면 상기 제1 양각톱니(2602)와 상기 제3 양각톱니(2802)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상기 제2 양각톱니(2722)의 사선과 상기 탄성부(250) 및 상기 스프링(240)의 탄력으로 상기 캠 바디(260)가 회전되어서, 상기 도 4b에서 도시된 상기 이어팁(210)이 상기 하우징(230)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또한, 도 4b에서 도시된 상태 이후에는, 상기 버튼(290)을 누르면, 상기 스프링(240)과 상기 탄성부(250)가 압축되며, 상기 음성출력부가 상기 개구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때 상기 제3 양각톱니(2802)가 상기 제1 양각톱니(2602)의 두 사선 부분 중 하나의 사선 부분을 밀게되고, 상기 캠 바디(260)는 상기 개구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캠 바디(260)가 이동된 후, 상기 제2 양각톱니(2722)의 사선과 상기 제3 양각톱니(2802)의 사선이 연속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양각톱니(2722)및 상기 제3 양각톱니(2802)는 상기 제1 양각톱니(2602)의 사선을 따라서 진행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캠 바디(260)는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캠바디(260)가 회전된 후에 상기 제3 양각톱니(2802)는 상기 음각톱니(2604)의 부근의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버튼(290)이 상기 탄성부(250)에 의해 상기 홀 방향으로 이동되게 되면, 상기 제1 양각톱니(2602)의 사선 및 상기 제2 양각톱니(2722)의 사선과 상기 스프링(240)의 탄성으로 인해 상기 캠 바디(260)를 추가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캠 바디(260)가 회전되면 상기 멈춤부재(272)는 상기 음각톱니(2602)로 들어가게 되어서, 상기 도 4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어팁(210)이 상기 하우징(230)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5는 제3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의 작동방법을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300)은 일 실시예의 구성인 이어팁(310), 음성출력부(320), 하우징(330), 버튼(390) 상기 음성출력부(320)의 돌출요소(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30)의 내측면에는 나사산 또는 나사골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음성출력부(320)의 상기 하우징(330)과 접촉되는 면은 상기 하우징(330)의 나사산 또는 나사골과 대응되는 나사산, 나사골 또는 돌출요소(32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330)의 내측에는 나사골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음성출력부(320)의 돌출요소(32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나사골의 골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버튼(190)을 누르거나 회전시키면 상기 음성출력부(320)는 상기 하우징(330)의 나사골을 따라서 상기 개구의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고, 상기 이어팁(310)은 상기 하우징(330)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어팁(310)을 밀거나 상기 이어팁(310)을 회전시키면 상기 이어팁(310)은 상기 하우징(33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본 원의 실시예들은 이어폰의 구조로만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원에서 기술되고 도시된 실시예들에 이용된 구조들은 이어폰의 외측에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 1에서 상기 음성출력부(120)는 종래 이어폰의 하우징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30) 및 구성요소들은 별개의 케이스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이어폰의 외측에 상기 스프링, 하우징, 버튼 등의 구성요소들이 포함된 케이스를 덮는다면, 본 원과 동일한 기능을 하는 이어폰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이어폰
110 : 이어팁
120 : 음성출력부
122 : 돌출요소
130 : 하우징
132 : 개구
134 : 홀
136 : 가이드 홈
140 : 스프링
190 : 버튼
200 : 이어폰
210 : 이어팁
230 : 하우징
240 : 스프링
250 : 탄성부
260 : 캠 바디
2602 : 제1 양각톱니
2604 : 음각톱니
270 : 파이프부
272 : 멈춤부재
2722 : 제2 양각톱니
280 : 플런저
2802 : 제3 양각톱니
290 : 버튼
300 : 이어폰
310 : 이어팁
320 : 음성출력부
322 : 돌출요소
330 : 하우징
390 : 버튼

Claims (9)

  1.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이어팁;
    상기 이어팁과 결합되어서 상기 이어팁으로 음성을 전달하는 음성출력부; 및
    상기 음성출력부를 수용하고 상기 이어팁이 통과되는 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음성출력부와 상기 이어팁이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이어팁과 상기 음성출력부는 동시에 이동되고,
    상기 이어팁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되어서 보관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음성출력부는 상기 하우징 방향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요소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 요소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는,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음성출력부를 상기 개구에 반대방향으로 밀어내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음성출력부의 상기 돌출요소는 상기 가이드 홈의 단부로 이동되어서 정지되는,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은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홈 부분과 개구방향단부에서 개구 반대방향으로 이어지도록 만곡하게 형성되는 홈 부분으로 구성되어서,
    상기 돌출요소는 상기 가이드 홈의 길이방향 홈 부분의 개구 반대쪽 단부 및 상기 가이드 홈의 만곡한 홈 부분의 개구 반대쪽 단부에서 정지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음성출력부도 정지되는,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 부분에는 마개가 구비되어서,
    상기 이어팁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인입되면, 상기 마개는 상기 개구를 닫는,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
  6.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이어팁;
    상기 이어팁과 결합되어서 상기 이어팁으로 음성을 전달하는 음성출력부; 및
    상기 음성출력부를 수용하고 상기 이어팁이 통과되는 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음성출력부의 후측에 배치되는 캠 바디;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파이프부;
    상기 캠 바디의 후측에 배치되는 플런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상기 음성출력부를 상기 개구의 반대방향으로 밀어내는 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음성출력부와 상기 이어팁이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이어팁과 상기 음성출력부는 동시에 이동되고,
    상기 이어팁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되어서 보관되며,
    상기 파이프부는 내측에 멈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플런저가 이동되어서, 상기 캠 바디가 상기 음성출력부를 밀고, 상기 음성출력부는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캠 바디와 상기 멈춤부재가 맞물려서 정지되는,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부와 상기 플런저 사이에서, 상기 플런저를 상기 개구의 반대방향을 향하게 밀어내는 탄성을 생성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
  8.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이어팁;
    상기 이어팁과 결합되어서 상기 이어팁으로 음성을 전달하는 음성출력부; 및
    상기 음성출력부를 수용하고 상기 이어팁이 통과되는 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음성출력부와 상기 이어팁이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이어팁과 상기 음성출력부는 동시에 이동되고,
    상기 이어팁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되어서 보관되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는 나사산 또는 나사골이 형성되고,
    상기 음성출력부의 상기 하우징과 접촉되는 면은 상기 하우징의 나사산 또는 나사골과 대응되는 나사산, 나사골 또는 돌출요소가 형성되며,
    상기 음성출력부는 상기 하우징의 나사산 또는 나사골을 따라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전진 및 후퇴되고,
    따라서, 상기 이어팁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수용되거나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는,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
  9. 사용자의 귀에 삽입되는 이어팁;
    상기 이어팁과 결합되어서 상기 이어팁으로 음성을 전달하는 음성출력부; 및
    상기 음성출력부를 수용하고 상기 이어팁이 통과되는 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음성출력부와 상기 이어팁이 수용되는 공간이 구비되며,
    상기 이어팁과 상기 음성출력부는 동시에 이동되고,
    상기 이어팁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인입되어서 보관되며,
    상기 음성출력부의, 상기 이어팁과 반대되는 방향에는 버튼이 배치되고,
    상기 버튼은 상기 하우징의 개구가 형성된 일 단부에 반대방향 단부에 형성되는 홀을 통과하며,
    상기 버튼의 상기 홀 통과에 의해 상기 음성출력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서 이동되어서, 상기 이어팁은 돌출 또는 인입되는,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
KR1020160089320A 2016-07-14 2016-07-14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 KR101784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320A KR101784108B1 (ko) 2016-07-14 2016-07-14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9320A KR101784108B1 (ko) 2016-07-14 2016-07-14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4108B1 true KR101784108B1 (ko) 2017-10-10

Family

ID=60190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9320A KR101784108B1 (ko) 2016-07-14 2016-07-14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41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36646A (zh) * 2023-11-22 2024-01-02 惠州市拓谱智为科技有限公司 一种入耳式蓝牙耳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227Y1 (ko) * 2005-05-31 2005-08-22 (주)에버닉스 이어셋이 내장된 무선헤드셋
KR100725626B1 (ko) 2006-03-20 2007-06-07 (주)와이즈앤블루 음향기기
KR100760341B1 (ko) 2006-03-21 2007-09-20 (주)와이즈앤블루 음향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227Y1 (ko) * 2005-05-31 2005-08-22 (주)에버닉스 이어셋이 내장된 무선헤드셋
KR100725626B1 (ko) 2006-03-20 2007-06-07 (주)와이즈앤블루 음향기기
KR100760341B1 (ko) 2006-03-21 2007-09-20 (주)와이즈앤블루 음향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36646A (zh) * 2023-11-22 2024-01-02 惠州市拓谱智为科技有限公司 一种入耳式蓝牙耳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78542B2 (ja) イヤチップ用アタッチメント機構
USD808934S1 (en) Earbud
EP2071867B1 (en) Headset
JP6054317B2 (ja) 骨伝導イヤホン
WO2020158802A1 (ja) イヤピースおよびイヤホン
US10735847B2 (en) Earphone
JP2011082701A (ja) ヘッドホン
US9319771B2 (en) Earphone
US9380370B2 (en) Earphone and adapter for an earphone
JP2935747B2 (ja) 補聴器に使用するための耳あか用トラップおよびかかるトラップを備えた補聴器
JP4772930B1 (ja) 骨伝導イヤホン
US20150289068A1 (en) Hearing aid device having battery drawer
KR101742008B1 (ko) 이어 팁 및 이를 구비하는 이어 폰
KR20080073155A (ko) 이어폰
KR101784108B1 (ko) 이어팁 수용구조를 가지는 이어폰
US20120155691A1 (en) Wired earphone
KR101503327B1 (ko) 이어커널 적응형 가변 이어폰
JP2010016792A5 (ko)
WO2017043134A1 (ja) 簡易型補聴器具
TW201523578A (zh) 耳塞及應用該耳塞的電子裝置
US20110188691A1 (en) Tool for fitting and removing a receiver of a hearing aid
CN107708015B (zh) 耳机
JP3193854U (ja) カナル型イヤホンマイクアセンブリ
KR200478741Y1 (ko) 차음용 귀마개
KR102163066B1 (ko) 이어 팁 및 이를 갖춘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