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571B1 -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및 지진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및 지진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571B1
KR101782571B1 KR1020170054499A KR20170054499A KR101782571B1 KR 101782571 B1 KR101782571 B1 KR 101782571B1 KR 1020170054499 A KR1020170054499 A KR 1020170054499A KR 20170054499 A KR20170054499 A KR 20170054499A KR 101782571 B1 KR101782571 B1 KR 101782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board
key
earthquake
power
detection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피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피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피이
Priority to KR1020170054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5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G01V1/008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01Measuring or predicting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ophysics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개시된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및 지진 감시시스템은 배전반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배전반이 흔들리거나 충격파가 감지되는 등 지진 징후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지진 감시시스템은, 배전반과 관제센터가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네트워킹된 상태에서 배전반에 구성된 제어장치 및/또는 관제센터에 구성된 제어장치를 통해 배전반에 대한 지진여부를 판단하여 안전 사고를 방지를 위해 외부에 경보음을 발생시키거나 또는 전원을 차단하는 등 적절하게 조치하게 된다.

Description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및 지진 감시 시스템{Safety and earthquake monitoring system of switchboard equipped with safety key}
본 발명은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및 지진 감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활선 상태인 배전반에 대한 안전 대책으로는 충전 표시등 및 전기위험 표지판 등으로 경고를 하는 기술과, 잠금장치 및 보호망 등으로 접근이 용이하지 않게 하는 기술 등이 개발되어 있다.
또한, 활선상태 검전봉으로 점검을 하고, 접지장치로 접지한 후에 작업에 임하도록 하고 있으며, 일부 배전반은 전원 차단 후 도어를 열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는 등으로 안전 사고에 대비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안전 대책들이 실행된다 하더라도 원천적으로 전원을 차단하지 않을 경우 1차 모선은 활선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위험하다는 점에서 안전 사고를 보다 확실하게 예방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야 할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Bus-tie반 또는 Incoming반은 원천적으로 공급측 차단기를 오프하지 않으면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보다 확실한 안전 대책이 절실하게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종래기술로는 한국특허등록 제10-0733612호가 있다.
이 등록기술은, 배전반용 안전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배전반 내부에 발생되는 전자기장을 감지하고, 그 감지된 전자기장에 의해 배전반 도어에 설치된 표시수단을 통하여 작업자에게 배전반 내부의 통전 유무상태를 알려줌은 물론, 배전반 내부의 이상 발생으로 그 배전반 내부를 점검 또는 수리하고자 할 때에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위에서 언급된 안전 경보 장치 기술의 하나일 뿐, 보다 근본적인 안전 사고 방지 기술이라고 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았다.
한국특허등록 제10-073361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배전반에 관련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활선 상태에서는 주전원 배전반의 키홀더에 투입되어 있는 키의 인출이 불가능하도록 하여 다른 배전반의 도어를 개방할 수 없도록 한,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압 검출기 및 검전봉이 불필요하도록 한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전원을 차단시 주전원 차단기로부터 키를 인출하여 다른 배전반 보호망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고, 다른 배전반 보호망의 개방 상태에서는 주전원 차단기의 투입을 할수 없도록 한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전반에 대한 전원이 차단되어 작업자의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 즉 도어의 개방 상태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한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전반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게 키가 움직이거나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감지하여 적절하게 조치할 수 있도록 한 안전키기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전반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배전반이 흔들리거나 수배전반에 충격파 지진 징후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한 지진 감시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에 따라 유추 가능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전원 공급 및 배전반 도어 개방용 키의 투입 또는 인출이 가능하도록 주전원 배전반에 구성된 키홀더;
상기 키홀더에 대한 키의 투입에 따라 주전원 배전반 및 다른 배전반에 대하여 전원이 공급되면서 키홀더로부터의 키의 인출이 불가능하도록 하고, 주전원 배전반에 대한 전원이 차단되면 키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배전반 동작 제어부;
상기 키홀더에 대한 키의 투입에 따라 주전원 배전반 및 다른 배전반에 대하여 전원이 공급되고, 주전원 배전반 및 다른 배전반의 도어가 폐쇄되도록 작동되며, 주전원 배전반에 대한 전원이 차단되면 다른 배전반의 도어가 개방 가능하도록 작동되는 작동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를 록킹 또는 해제함에 따라 주전원 배전반 및 다른 배전반의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하도록 하는 록킹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키의 개수는 주 전원 수에 대응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은 단일 모선 배열 또는 부스 타이를 가진 단일 모선 배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일 모선 배열시 부하개폐기(LBS)에 주전원 공급 및 다른 배전반 도어 개방용 키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스 타이(Bus Tie)를 가진 단일 모선 배열시 부스 타이, 메인 1(Main 1), 메인 2(Main 2)에 각각 주전원 공급 및 다른 배전반 도어 개방용 키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Main 1, Main 2에 구성되는 각각의 키는 구조가 상이하도록 하고, Feeder 1은 Main 1과 Bus tie의 키만 투입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Bus tie는 Main 1과 Main 2의 키를 투입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Bus riser, feeder 2는 Bus tie와 Main 2의 키만 투입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른 배전반 도어는 볼팅 구조로서 볼팅이 해제되어도 주전원 배전반으로부터 인출된 키를 투입해야 개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전원 공급 및 배전반 도어 개방용 키의 투입 또는 인출이 가능하도록 주전원 배전반에 구성된 키홀더; 상기 키홀더에 대한 키의 투입에 따라 주전원 배전반 및 다른 배전반에 대하여 전원이 공급되면서 키홀더로부터의 키의 인출이 불가능하도록 하고, 주전원 배전반에 대한 전원이 차단되면 키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배전반 동작 제어부; 상기 키홀더에 대한 키의 투입에 따라 주전원 배전반 및 다른 배전반에 대하여 전원이 공급되고, 주전원 배전반 및 다른 배전반의 도어가 폐쇄되도록 작동되며, 주전원 배전반에 대한 전원이 차단되면 다른 배전반의 도어가 개방 가능하도록 작동되는 작동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를 록킹 또는 해제함에 따라 주전원 배전반 및 다른 배전반의 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하도록 하는 록킹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과 관제센터가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네트워킹된 상태에서 상기 배전반에 구성된 제어장치 및/또는 관제센터에 구성된 제어장치를 통해 배전반에 대한 지진여부를 판단하여 배전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전반은, 배전반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지진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토대로 배전반에 대한 전원차단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관제센터도 감지값을 공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관제센터부터 전송되어 오는 배전반 동작 제어를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배전반의 지진 감지값을 관제센터로 송신하는 송신부; 배전반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지진여부를 감지하는 지진센서; 배전반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배전반이 진동하는지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지진 감지값을 사용자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지진 감지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이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알람을 방출하는 경보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지진 감지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원격지 제어에 의해 배전반에 대한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부; 및 상기 지진 감지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지진센서는 진동센서 및/또는 충격파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배전반에 대한 전원차단은 지진등급에 따라 차등적으로 적용되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제센터는, 배전반의 송신부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지진 감지값을 처리하고, 이를 토대로 배전반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배전반으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지진 감지값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어 제어부에서 처리된 지진 감지값을 토대로 배전반에 대한 전원차단을 위한 제어신호를 배전반으로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지진 감지값이 기준치를 벗어나 전원차단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배전반을 원격 제어하도록 조작되는 조작부; 상기 지진 감지값을 토대로 지진의 세기를 구분 판단하는 지진강도판단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지진 감지값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지진 감지값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이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알람을 방출하는 경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지진 감지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에 따르면, 활선 상태에서는 주전원 배전반의 키홀더에 투입되어 있는 키의 인출이 불가능하여 다른 배전반의 도어를 개방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감전 사고 등 안전 사고를 확실하게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전압 검출기 등의 구성이 불필요하므로, 종래 전압 검출기의 동작 불량으로 인한 사용자의 착각 등에 따른 혼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검전봉이 불필요하므로, 종래 검전봉 사용 중 불량이 발생함에 따라 잘못 판단하는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더구나 인접한 배전반이 활선 상태일 경우에는 검전봉을 사용하더라도 만족스런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바, 본 발명은 검전봉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주전원이 차단되더라도 주전원 배전반으로부터 키를 인출하여 다른 배전반 도어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고, 다른 배전반 도어의 개방 상태에서는 주전원 배전반으로부터 키를 인출할 수 없도록 하여 보다 확실한 안전 사고 방지 대책 수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시스템에 따르면, 배전반에 대한 전원이 차단되어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작업자의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을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예를 들어 특정 배전반에 관련된 현재 상황을 고려하여 전력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시스템에 따르면, 배전반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게 키가 움직이거나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를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진 감시시스템에 따르면, 배전반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배전반이 흔들리거나 충격파가 전달되는 등 지진 징후를 감시하고, 그에 따라
표시 및 경보음을 발생하여 외부에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진 감시시스템에 따르면, 배전반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배전반이 흔들리거나 충격파가 전달되는 등 지진 징후를 감시하고, 그에 따라 전원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진 감시시스템에 따르면, 지진 강도에 따라 배전반에 대한 전원 차단을 차등적으로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수반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참고로 하는 도면일 뿐, 도면에 도시된데로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정해지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기본적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주전원 차단시 동작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주전원 공급시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단일 모선 배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부스 타이를 가진 단일 모선 배열도.
도 6은 도 4를 구현하기 위한 기구적 구조도로서 도어 전면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4를 구현하기 위한 기구적 구조도로서 도어 후면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5를 구현하기 위한 기구적 구조도로서 도어 전면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시스템의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시스템의 배전반 제어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시스템의 배관제센터 제어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 동작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감시시스템의 배전반 제어 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감시시스템의 관제센터 제어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감시시스템의 제어 동작 흐름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동사 "포함한다" 및 그것의 활용형은 청구항 또는 설명에 나열되지 않은 요소들 또는 단계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구성요소 앞에 복수 표현이 없는 것은 그러한 구성요소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용어 제1, 제2 및 제3 등의 사용은 어떠한 순서도 나타내지 않는다. 이러한 용어들은 명칭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에 관련된 여러 가지 실시예를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예들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논의하기 위해 제시된 것들이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도어는 실질적으로 배전반 구성요소마다 구성되어 있는 후면 판넬의 커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 커버를 개방하여야만 예를들어, 고장난 배전반을 수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바, 이후 이를 모두 도어라고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주전원 배전반은, 주전원 배전반은 물론 다른 배전반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기준 배전반으로서, 주전원 공급을 위한 키의 투입 또는 인출이 가능하도록 키홀더가 구성된 배전반을 의미하며, 그 이외 다른 배전반들은 주전원 공급을 위한 키의 인출 또는 투입용 키홀더가 구성되지 않고 록킹장치만 구성된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다른 배전반이란, 주전원 배전반에 전원이 인가되어야만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배전반으로서, 예를 들어 고장난 배전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주전원 배전반과 다른 배전반 도어에는 모두 록킹장치가 구성되며, 이들 록킹장치는 주전원 베전반에 대한 전원 공급 또는 차단에 따라 동시에 작동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주전원 배전반에 대한 키 투입에 의해 주전원 공급이 가능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록킹장치가 완전히 록킹되어 그 상태에서는 키 인출이 불가능하므로 다른 배전반, 예를 들어 고장난 배전반의 도어 개방이 불가능하도록 하고, 주전원 배전반의 전원이 차단되면 주전원 배전반 및 다른 배전반의 록킹상태가 해제되어 주전원 배전반으로부터 키 인출이 가능함으로써 그 인출된 키를 가지고 예를 들어 고장난 배전반 도어를 개방하여 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일 모선 배열 및 부스 타이를 가진 단일 모선 배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일 모선 배열시에는 하나의 키를 이용하도록 하고, 부스 타입의 단일 모선 배열시에는 두 개의 키를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일 모선 배열일 경우에는 LBS(부하개폐기)의 동작 제어에 따라 주전원 배전반의 록킹상태가 유지 또는 해제됨으로써 고장난 배전반 도어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일 모선 배열일 경우에는 LBS 배전반을 제외한 다른 배전반의 도어에는 주전원 투입을 위한 키 투입 또는 인출용 키홀더를 구성하지 않고 단순 도어 개방용 키홀더 및 록킹장치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다른 배전반들의 도어가 볼팅 구조인 경우 볼트를 해체하더라도 주전원 배전반으로부터 인출된 키를 이용하여야만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부스 타이를 가진 단일 모선 배열일 경우에는 차단기 본체의 테스트 위치에서 키를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활선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주전원 배전반에 반드시 키가 투입되어야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활선 상태에서는 주전원 배전반으로부터 키를 인출할 수 없도록 구성하여 다른 배전반, 예를 들어 고장난 배전반의 도어 개방이 불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키와 연결되어 록킹장치에 대한 록킹 또는 해제를 위해 작동되는 부재가 구성되고,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주전원 배전반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동부재는 키에 연결된 구성으로 키의 회전에 의해 록킹장치에 대해 작동되며, 이 작동부재에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등으로 구성된 배전반 동작 제어부를 동작시켜 주전원 배전반 및 다른 배전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동작제어란 전원제어를 의미한다. 주전원이 차단되면 록킹장치에 록킹되어 있던 작동부재를 후퇴시켜 주전원 배전반의 록킹상태를 해제함으로써 그 키를 인출하여 고장난 배전반 도어 개방이 가능하도록 하고, 주전원 배전반에 다시 키를 투입하면 작동부재가 작동되어 주전원 배전반이 록킹되면서 주전원 배전반에 대한 전원공급 및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기본적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가 장착돈 배전반의 전원 차단시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전원 공급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은 주전원 배전반(200)의 키홀더에 대한 키(100)의 투입에 따라 작동부재(300)가 작동되어 록킹장치(400)에 록킹됨으로써 키(100)의 인출이 불가능하여 고장난 배전반 등 다른 배전반의 도어 개방이 불가능하도록 하고, 배전반 동작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주전원 배전반에 대한 전원 공급 및 동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는 다른 배전반에 대한 전원도 공급되는 상태이므로 이들 배전반들의 동작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상태는 주전원 배전반으로부터 키(100)의 인출이 불가능한 상태이며, 따라서 고장난 배전반 등 다른 배전반 도어의 개방이 불가능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차단되면, 배전반 동작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작동부재(300)가 록킹장치(400)로부터 해제됨에 따라 키(100)의 인출이 가능하여 고장난 배전반 등 다른 배전반 도어의 개방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전원 배전반(200)의 키홀더에 키(100)를 투입하면 작동부재(300)가 록킹장치(400)에 록킹되어 주전원 배전반(200)이 완전히 폐쇄되고, 배전반 동작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주전원 배전반(200)에 대한 주전원 공급 및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배전반의 단일 모선 배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배전반의 부스 타이를 가진 단일 모선 배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일 모선 배열에서는 부하개폐기(LBS), 계기용 변성기(PT), 계기용 변압변류기(MOF), 메인(MAIN), 피더 1(Feeder 1), 피더 2(Feeder 2)가 PT 배전반을 중심으로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단일 모선 배열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전원 배전반으로서 LBS에 키의 투입 및 인출이 가능한 키홀더(150)가 구성되며, 따라서 LBS에 대한 전원을 차단하면 배전반 동작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록킹장치(400)가 해제되면서 LBS 배전반으로부터 키(100)의 인출이 가능하게 되고, 고장난 배전반 등 다른 배전반의 도어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이 상태는 다른 배전반들의 록킹 상태도 해제된 상태이다.
또한, 주전원 배전반인 LBS에 다시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키홀더(150)에 키(100)를 투입하면 작동부재(300)가 록킹장치(400)에 록킹되고, 배전반 동작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LBS에 전원이 공급되면서 동작이 가능하게 되고, 아울러 다른 배전반들에도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LBS 배전반의 키홀더(150)로부터의 키(100) 인출이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LBS 배전반의 키홀더(150)에 대한 키(100)의 투입에 따라 록킹장치(400)가 록킹되고, 다른 배전반인 PT, MOF, MAIN, Feeder 1 및 Feeder 2도 활선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단일 모선 배열에서는 LBS 배전반을 제외한 PT, MOF, MAIN, Feeder 1, Feeder 2의 모선부 도어에는 LBS 배전반과는 달리 주전원 공급을 위한 키의 투입 또는 인출용 키홀더가 구성되지 않고 록킹장치만 구성된다. 이들 구성들에 대한 각각의 도어는 LBS 배전반에 대한 전원 차단시 록킹장치(400)가 모두 동시에 해제되어 LBS 배전반으로부터 키의 인출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개방될 수 있다.
LBS 배전반은 전원측, 즉 배전반 고압개폐기(RMU) 또는 옥외 가대에 설치된 LBS를 오프한 후 위에 언급된 바와 동일한 원리로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다른 배전반의 도어가 볼팅 구조인 경우, 볼트를 풀더라도 상기 LBS 배전반의 키홀더(150)로부터 인출된 키(100)를 이용해야만 도어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어떠한 경우라도 활선 상태에서는 키(100)를 LBS 배전반의 키홀더(150)로부터 인출할 수 없으므로 고장난 배전반 등, 다른 배전반의 도어 개방이 불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도 4를 구현하기 위한 기구적 구조도로서 도어 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4를 구현하기 위한 기구적 구조도로서 도어 후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일 모선 배열시에는 하나의 키(100)로서 고장난 배전반 등, 다른 배전반의 도어 개방 및 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어, 주전원 배전반인 LBS 배전반의 동작이 차단된 경우, 배전반 동작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작동부재(300)가 록킹장치(400)의 걸쇄(410)로부터 해제되어 LBS 배전반의 키홀더(150)로부터 키(100)의 인출이 가능해지고, 인출된 키를 가지고 고장난 배전반 등, 다른 배전반의 도어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고장난 배전반을 포함한 다른 배전반들도 록킹상태가 해제되므로 상기 인출된 키를 이용하여 도어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LBS 배전반을 다시 동작시키기 위해서 키(100)를 키홀더(150)에 투입하면 배전반 동작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다시 LBS 배전반에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되고, 작동부재(300)가 록킹장치(400)의 걸쇄(410)에 걸려 LBS 배전반이 완전히 폐쇄됨은 물론, 다른 배전반들의 도어도 록킹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LBS 배전반의 키홀더(150)로부터 키(100)의 인출이 불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스 타이(Bus tie)를 가진 단일 모선으로 배열된 경우에는, 메인(Main) 및 부스 타이(Bus tie) 배전반내의 차단기 스케레톤(skeleton)에 단일 모선과 같은 구조의 1구용 키가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스 타이를 가진 단일 모선 배열에서는 메인 1(Main 1), 피더 1(Feeder 1), 버스 타이(Bus Tie), 버스 라이저(Bus Rizer), 피더 2(Feeder 2), 메인 2(Main 2)가 모두 공통적으로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부스 타이를 가진 단일 모선 배열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Main 1, Bus Tie, Main 2 배전반에 각각 키홀더가 구성되며, Main 1, Bus Tie, Main 2 배전반들에 대한 전원을 차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키홀더(150)(160)에 키를 투입하면 Main 1, Bus Tie, Main 2 배전반 및 다른 배전반에 대한 전원이 모두 차단되면서 모든 도어 록킹장치가 해제되어 다른 배전반의 도어 개방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이들 배전반으로부터 키 인출도 가능하다. 즉 주전원 배전반으로서 Main 1, Bus Tie, Main 2에 키의 투입 및 인출이 가능한 키홀더(150)(160)가 구성되며, 따라서 Main 1, Bus Tie, Main 2에 대한 전원을 차단하면, 배전반 동작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록킹장치(400)가 해제되면서 Main 1, Bus Tie, Main 2의 키홀더(150)(160)으로부터 키(100)의 인출이 가능하게 되고, 인출된 키를 가지고 고장난 배전반 등, 다른 배전반의 도어 개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스 타이를 가진 단일 모선 배열에서는 Feeder 1, Bus tie, Bus riser는 키를 2 개 투입해야만 도어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Main 1, Main 2 각각의 키 구조는 상이하도록 구성되며, Feeder 1은 Main 1과 Bus tie의 키만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Bus tie는 Main 1 과 Main 2 의 키를 투입할 있도록 구성된다.
동일한 원리로 Bus riser, feeder 2는 Bus tie와 Main 2의 키만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부스 타이를 가진 단일 모선 배열에서는, Main 1의 모선부 도어는 Main 1의 공급차단기 스케리톤(Skeleton), Main 2의 모선부 도어는 Main 2의 공급차단기 스케레톤에 있는 키를 이용하여 전원 차단 후 도어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스 타이를 가진 단일 모선 배열시에는 두 개의 키로서 주전원 배전반에 대한 전원 공급 및 차단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어, 주전원 배전반인 Main 1 및 Bus Tie에 대한 전원이 차단된 경우, 배전반 동작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작동부재(300)가 록킹장치(400)의 걸쇄(410)로부터 해제되어 키홀더(150)(160)로부터 키(100)의 인출이 가능하여 고장난 배전반 등, 다른 배전반의 도어 개방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주전원 배전반인 Main 1 및 Bus Tie에 다시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키홀더(150)(160)에 키(100)를 투입하면 배전반 동작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주전원이 Main 1 및 Bus Tie에 공급되고, 작동부재(300)는 록킹장치(400)의 걸쇄(410)에 걸려 주전원 베전반이 완전히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키홀더(150)(160)로부터의 키 인출이 불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시스템의 배전반 제어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시스템의 관제센터 제어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 동작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 제어시스템은, 배전반(1)과 관제센터(2)가 유무선 인터넷망(N)을 통해 네트워킹된 상태에서 배전반(1)에 구성된 제어장치 및/또는 관제센터(2)에 구성된 제어장치를 통해 도어의 개방에 따른 작업 상황을 외부에 인지시키거나 의도하지 않은 키의 움직임 및/또는 도어의 개방여부를 판단하여 전원차단 또는 도어 폐쇄 등 적절하게 조치하게 된다.
배전반(1)에는 도어가 개방되어 작업이 이루어지는 상황을 외부에 인지시키거나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상술한 키가 움직이거나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감지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등의 제어가 자체적으로 가능하도록 하며, 관제센터(2) 역시 상기 배전반(1)으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작업자의 작업 상황을 외부에 인지시키거나 또는 의도하지 않은 키 유동값 및/또는 도어 개방값을 토대로 배전반에 대한 원격지 제어에 의해 전원을 차단하는 등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관제센터(2)는 원격지에 구성된 서버일 수 있고, 관리자의 스마트폰일 수도 있다. 또한 관제센터(2)와 스마트폰이 무선 인터넷망으로 네트워킹되어 관제센터(2)로부터 감지값이 스마트폰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자가 언제 어디서나 배전반에 대한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 제어시스템의 배전반 제어 구성은, 제어부(11), 수신부(12), 송신부(13), 키센서(14), 도어센서(15), 촬영부(16), 표시부(17), 경보부(18), 전원차단부(19) 및 메모리(20)로 구성된다.
제어부(11)는, 배전반에 대한 전원이 차단되어 도어가 개방됨으로써 작업이 이루어지는 상황을 외부에 인지시키거나 또는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은 키 움직임 및/또는 도어 개방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토대로 배전반에 대한 전원차단 및/또는 도어 폐쇄가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관제센터(2)도 감지값을 공유하도록 제어한다.
수신부(12)는, 상기 관제센터(2)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배전반 동작 제어(예를 들어, 전원차단 등)를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송신부(13)는, 배전반에 대한 작업으로 인한 도어 개방상태 또는 의도하지 않은 키 유동값 및/또는 도어 개방값을 관제센터(2)로 송신하는 것이다.
키센서(14)는, 배전반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키가 움직이는가를 감지하는 것이다. 키센서(14)는 배전반 내외부 어느 곳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배전반 내부에 설치된 경우에는 예를 들어 키홀더의 움직임을 감지할 것이고, 배전반 외부에 설치할 경우에는 키의 움직임을 감지할 것이다.
도어센서(15)는 배전반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도어가 개방되는지를 감지하는 것이다. 도어센서(15)는 배전반 내외부 어느 곳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센서(14)(15)는 예를 들어, 자석센서 또는 초음파센서일 수 있다. 즉 도어에 부착된 자석센서를 이용하여 키의 움직임 및/또는 도어 개방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센서를 이용하여 키의 움직임 및/또는 도어 개방을 감지하되,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키의 움직임 및/또는 도어의 개방을 판단하면 될 것이다. 이때, 키의 움직임은 도어가 개방될 정도의 움직임인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그 기준값을 설정함은 물론이다.
촬영부(16)는 배전반에 대한 작업을 위해 도어가 개방되었거나 또는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게 키가 움직이거나 도어가 개방되는지를 촬영하는 것이다. 촬영부(16)는 배전반 내외부 어느 곳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이때에도, 키의 움직임은 도어가 개방될 정도의 움직임인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그 기준값을 설정함은 물론이다.
표시부(17)는, 상기 제어부(11)에서 처리된 배전반에 대한 작업 상황(도어 개방상태) 또는 의도하지 않은 키 유동값 및/또는 도어 개방값을 사용자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외부로 표시하는 것이다. 표시부(17)는 감지값을 표시하는 대신에, 키의 유동 및/또는 도어의 개방을 미리 약속된 단어 또는 기호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경보부(18)는 상기 제어부(11)에서 처리된 작업에 따른 도어 개방 상태을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경보음을 방출하거나 또는 의도하지 않은 키 유동값 및/또는 도어 개방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즉 키가 움직였거나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알람을 방출하는 것이다.
전원차단부(19)는 상기 제어부(11)에서 처리된 의도하지 않은 키 유동값 및/또는 도어 개방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즉 키가 움직였거나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다.
메모리(18)는, 상기 작업에 따른 도어 개방값과, 의도하지 않은 키 유동 및/또는 도어 개방값을 저장하는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제센터(2)는, 제어부(21), 수신부(22), 송신부(23), 조작부(24), 표시부(25), 경보부(26) 및 메모리(27)로 구성된다.
제어부(21)는, 상기 배전반의 송신부(13)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배전반의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값과, 의도하지 않은 키의 유동값 및/또는 도어의 개방값을 처리하고, 이를 토대로 작업 상황을 외부에 인지시키거나 또는 배전반에 대한 전원 차단 등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수신부(22)는, 상기 배전반으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값과 의도하지 않은 키의 유동값 및/또는 도어의 개방값을 수신하는 것이다.
송신부(23)는, 상기 수신부(22)에 의해 수신되어 제어부(21)에서 처리된 의도하지 않은 키의 유동값 및/또는 도어의 개방값을 토대로 배전반에 대한 전원차단 등을 위한 제어신호를 배전반 쪽으로 송신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21)에서 처리된 결과는, 키의 유동값 및/또는 도어의 개방값이 배전반에 대한 전원차단에 필요한 범위내인지를 판단한 결과이다. 이를 위해 관제센터(2)는 배전반의 전원차단을 위한 기준값을 메모리(27)에 저장 관리하게 된다.
조작부(24)는, 상기 의도하지 않은 키의 유동값 및/또는 도어의 개방값이 기준치를 벗어나 전원차단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배전반을 원격 제어하도록 조작되는 구성이다. 조작부(24)에 의한 조작신호는 제어부(21)에서 처리되고, 제어부(21)에서는 조작부(24)에 의한 조작신호에 부합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배전반을 원격 제어한다.
표시부(25)는, 상기 제어부(21)에서 처리된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상태와 의도하지 않은 키 유동값 및/도는 도어 개방값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외부로 표시하는 것이다.
경보부(26)는 상기 제어부(21)에서 처리된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상태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알람을 발생하거나 또는 의도하지 않은 키 유동값 및/또는 도어 개방값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즉 키가 움직였거나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알람을 방출하는 것이다.
메모리(27)는, 상기 제어부(21)에서 처리된 작업을 위한 도어 개방값과 의도하지 않은 키 유동값 및/또는 도어 개방값을 저장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에 따른 도어 개방상태와, 의도하지 않게 키가 움직이거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실시간으로 외부에 인지시킴으로써 배전반에 대한 작업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의도하지 않은 도어 개방에 대해서는 배전반에 대한 전원을 차단하는 등, 감전 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지진 감시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감시시스템의 배전반 제어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감시시스템의 관제센터 제어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진 감시시스템의 제어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지진은 자연재해에 따른 지진뿐만 아니라, 다른 외부 충격으로 인한 배전반 흔들림(진동) 등도 해당하는 개념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또한, 임의의 수치를 적용하여 지진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경보음을 발생하는 등 적절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지진등급 역시 국가에서 정한 등급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에서 복수 배전반에 대한 전원 차단을 차등 적용하기 위해 임의로 정한 것임을 이해하면 될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진 감시시스템은, 배전반(1)과 관제센터(2)가 유무선 인터넷망(N)을 통해 네트워킹된 상태에서 배전반(1)에 구성된 제어장치 및/또는 관제센터(2)에 구성된 제어장치를 통해 배전반에 대한 지진여부를 판단하여 전원을 차단하는 등 적절하게 조치하게 된다.
배전반(1)에는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배전반에 대한 지진(진동 및 충격파)이 감지되는 것을 감지하여 경보음을 발생함으로써 외부에서 인지하도록 하거나 또는 전원을 차단하는 등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며, 관제센터(2) 역시 상기 배전반(1)으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지진 감지값을 토대로 경보음을 발생함으로써 외부에서 인지하도록 하거나 또는 원격지 제어에 의해 전원을 차단하는 등의 동작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관제센터(2)는 원격지에 구성된 서버일 수 있고, 관리자의 스마트폰일 수도 있다. 또한 관제센터(2)와 스마트폰이 무선 인터넷망으로 네트워킹되어 관제센터(2)로부터 감지값이 스마트폰으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자가 언제 어디서나 배전반에 대한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진 감시시스템의 배전반 제어 구성은, 제어부(51), 수신부(52), 송신부(53), 지진센서(54), 촬영부(55), 표시부(56), 경보부(57), 전원차단부(58) 및 메모리(59)로 구성된다.
제어부(51)는, 배전반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지진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토대로 외부에 경보음을 발생하여 주의하도록 하거나 또는 배전반에 대한 전원차단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관제센터(2)도 감지값을 공유하도록 제어한다.
수신부(52)는, 상기 관제센터(2)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배전반 동작 제어(예를 들어, 전원차단 등)를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송신부(53)는, 배전반의 지진 감지값을 관제센터(2)로 송신하는 것이다.
지진센서(54)는, 배전반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지진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지진 감지는 배전반의 진동 또는 충격파 등을 감지하는 것으로 구현되며, 이를 위해 지진센서(54)는 진동센서 및/또는 충격파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진센서(54)는 배전반 내외부 어느 곳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센서의 감지값은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되어 지진 여부를 판단하면 될 것이다.
또한, 지진센서(54)는 진동센서 및 충격파센서의 두 가지 감지값을 모두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지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선택적으로 하나의 감지값만 반영하여 지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만일 두 가지 감지값을 모두 종합적으로 반영할 경우에는, 예를 들어 진동값과 충격파값이 비례하여 커지는 경우 이를 지진으로 판단할 수 있고, 진동값 및 충격파값이 서로 반비례하여 변화될 경우에는 커지는 값을 반영하여 지진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촬영부(55)는 배전반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배전반이 진동하는지를 촬영하는 것이다. 촬영부(16)는 배전반 내외부 어느 곳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표시부(56)는, 상기 제어부(11)에서 처리된 지진 감지값, 즉 진동값 및/또는 충격파값을 사용자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외부로 표시하는 것이다. 표시부(17)는 감지값을 수치로 표시하는 대신에, 미리 약속된 단어 또는 기호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경보부(57)는 상기 제어부(11)에서 처리된 지진 감지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이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알람을 방출하는 것이다.
전원차단부(58)는 상기 제어부(11)에서 처리된 지진 감지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배전반에 대한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다. 여기서 전원 차단은 차등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지진의 강도(세기)에 비례하여 위험이 뒤따르는 배전반을 순차적으로 정하여 놓고, 지진 강도에 따라 해당하는 배전반에 대한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다
메모리(59)는, 상기 지진 감지값을 저장하는 것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관제센터(2)는, 제어부(61), 수신부(62), 송신부(63), 조작부(64), 지진강도판단부(65), 표시부(66), 경보부(67) 및 메모리(68)로 구성된다.
제어부(61)는, 상기 배전반의 송신부(53)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지진 감지값을 처리하고, 이를 토대로 외부에 알리거나 또는 배전반에 대한 전원 차단 등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수신부(62)는, 상기 배전반으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지진 감지값을 수신하는 것이다.
송신부(63)는, 상기 수신부(62)에 의해 수신되어 제어부(61)에서 처리된 지진 감지값을 토대로 배전반에 대한 전원차단 등을 위한 제어신호를 배전반 쪽으로 송신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61)에서 처리된 결과는, 지진 감지값이 배전반에 대한 전원차단에 필요한 범위내인지를 판단한 결과이다. 이를 위해 관제센터(2)는 배전반의 전원차단을 위한 기준값을 메모리(68)에 저장 관리하게 된다.
조작부(64)는, 상기 지진 감지값이 기준치를 벗어나 전원차단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배전반을 원격 제어하도록 조작되는 구성이다. 조작부(64)에 의한 조작신호는 제어부(61)에서 처리되고, 제어부(61)에서는 조작부(64)에 의한 조작신호에 부합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배전반을 원격 제어한다.
지진강도판단부(65)는 상기 지진 감지값을 토대로 지진의 세기를 구분 판단하는 것이다. 즉 지진 강도에 따라 배전반을 선택하여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것인데, 지진의 세기에 대한 구분 판단은, 예를 들어 지진의 등급에 따라 분류하면 될 것이다.
표시부(66)는, 상기 제어부(61)에서 처리된 지진 감지값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외부로 표시하는 것이다.
경보부(67)는 상기 제어부(61)에서 처리된 지진 감지값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이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알람을 방출하는 것이다.
메모리(68)는, 상기 제어부(61)에서 처리된 지진 감지값을 저장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진동 및/또는 충격파를 바탕으로 판단한 결과, 지진으로 판단되면 이를 표시부 및 경보부를 통해 외부에 알림으로써 안전사고방지에 만전을 기하도록 하고, 또한 필요시에는 지진등급에 따라 배전반에 대한 전원 차단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피해가 최소화하는 범위내에서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에 대한 안전 및 지진 감시시스템의 실시예가 기술되었다. 위에 기술된 실시예는 본원발명에 기술되는 원리를 나타내는 많은 구체적 실시예 중에서 일부분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함에 따라 당업자들이 본원발명의 청구항에 의해 정의된 범위 내에서 많은 다른 배열들을 쉽게 구현해낼 수 있을 것이다.
100 : 키 150 : 키홀더
200 : 주전원 배전반 300 : 작동부재
400 : 록킹장치 500 : 배전반 동작 제어부

Claims (5)

  1. 주전원 공급 및 배전반 도어 개방용 키의 투입 또는 인출이 가능하도록 주전원 차단기에 구성된 키홀더;
    상기 키홀더에 대한 키의 투입에 따라 주전원 배전반 및 다른 배전반에 대하여 전원이 공급되면서 록킹장치에 의해 작동부재가 록킹되어 키홀더로부터의 키의 인출이 불가능하도록 하고, 주전원 배전반에 대한 전원이 차단되면 록킹장치에 의해 작동부재의 록킹이 해제되어 다른 배전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키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배전반 동작 제어부;
    상기 키홀더에 대한 키의 투입에 따라 록킹장치에 의해 작동부재가 록킹되어 주전원 배전반 및 다른 배전반에 대하여 전원이 공급되고, 주전원 배전반 및 다른 배전반의 도어가 폐쇄되도록 작동되며, 주전원 배전반에 대한 전원이 차단되면 록킹장치에 의해 작동부재의 록킹이 해제되어 다른 배전반의 도어가 개방 가능하도록 작동되는 작동부재; 및
    상기 작동부재를 록킹 또는 해제함에 따라 주전원 배전반 및 다른 배전반의 도어가 동시에 개방 또는 폐쇄 가능하도록 하는 록킹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과 관제센터가 유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네트워킹된 상태에서 상기 배전반에 구성된 제어장치 또는 관제센터에 구성된 제어장치를 통해 배전반에 대한 지진여부를 판단하여 이를 외부에 경보음을 발생하여 알리거나 또는 배전반 동작을 제어하도록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및 지진 감시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은,
    배전반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지진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토대로 배전반에 대한 전원차단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관제센터도 감지값을 공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관제센터부터 전송되어 오는 배전반 동작 제어를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배전반의 지진 감지값을 관제센터로 송신하는 송신부;
    배전반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에서 지진여부를 감지하는 지진센서;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지진 감지값을 사용자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지진 감지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이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알람을 방출하는 경보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지진 감지값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원격지 제어에 의해 배전반에 대한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부; 및
    상기 지진 감지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및 지진 감시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진센서는 진동센서 또는 충격파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및 지진 감시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에 대한 전원차단은 지진등급에 따라 차등적으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및 지진 감시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제센터는
    상기 배전반의 송신부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지진 감지값을 처리하고, 이를 토대로 배전반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배전반으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지진 감지값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되어 제어부에서 처리된 지진 감지값을 토대로 배전반에 대한 전원차단을 위한 원격제어신호를 배전반으로 송신하는 송신부;
    상기 지진 감지값이 기준치를 벗어나 전원차단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배전반을 원격 제어하도록 조작되는 조작부;
    상기 지진 감지값을 토대로 지진의 세기를 구분 판단하는 지진강도판단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지진 감지값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지진 감지값이 기준값 이상일 경우, 이를 외부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알람을 방출하는 경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 처리된 지진 감지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및 지진 감시시스템.

KR1020170054499A 2017-04-27 2017-04-27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및 지진 감시 시스템 KR101782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499A KR101782571B1 (ko) 2017-04-27 2017-04-27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및 지진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499A KR101782571B1 (ko) 2017-04-27 2017-04-27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및 지진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2571B1 true KR101782571B1 (ko) 2017-10-23

Family

ID=60298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499A KR101782571B1 (ko) 2017-04-27 2017-04-27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및 지진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57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0856A (ja) * 2005-03-16 2006-09-28 Hiroo Nonoshita キーによる一括電気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0856A (ja) * 2005-03-16 2006-09-28 Hiroo Nonoshita キーによる一括電気制御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01266B2 (en) Security system to prevent tampering with a server blade
US20200251297A1 (en) Bus plug including remotely operated circuit breaker and electrical system including the same
CN107078475B (zh) 空气绝缘中压开关柜以及用于空气绝缘中压开关柜的探针系统
CN201514870U (zh) 电弧监测器
KR101847864B1 (ko) Mems 가속도센서 기반 부분방전/결함 위치 검출 방법 및 검출시스템
KR101379501B1 (ko) Rfid를 이용한 수배전반 안전잠금장치
KR101782571B1 (ko)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및 지진 감시 시스템
KR101018865B1 (ko) 도어 선별개방이 가능한 배전반용 사용자 판별제어장치
KR101782568B1 (ko)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의 안전 제어시스템
US20150048814A1 (en) Absence of Voltage Indicator with Communication Network Based Secondary Power Source
CN105332735B (zh) 预防煤矿带电作业及瓦斯爆炸的方法及系统
KR101023533B1 (ko) 고속철도 에이티시의 실시간 원격복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7108511A (ja) 監視装置、監視方法、監視プログラム及び監視システム
KR100968031B1 (ko) 배전반 방재시스템
KR101764628B1 (ko) 안전키가 장착된 배전반
CN201910113U (zh) 地下室防盗报警系统
KR101055336B1 (ko) 수배전반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KR20120033637A (ko) 출입문 잠김 상태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050012909A (ko) 안전장치를 구비하는 변압기
KR101764009B1 (ko) 전기 장애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N100388139C (zh) 全自动五防控制系统
JP7118158B2 (ja) コンテナの密封及び開封をリモートでモニタリングするためのタンパリング防止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591923B1 (ko) Cctv 함체보안용 통합관리시스템
CN215343644U (zh) 一种高压开关柜五防装置
KR200465307Y1 (ko) 전력시설관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