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031B1 - 배전반 방재시스템 - Google Patents

배전반 방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031B1
KR100968031B1 KR1020090119981A KR20090119981A KR100968031B1 KR 100968031 B1 KR100968031 B1 KR 100968031B1 KR 1020090119981 A KR1020090119981 A KR 1020090119981A KR 20090119981 A KR20090119981 A KR 20090119981A KR 100968031 B1 KR100968031 B1 KR 100968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ntrol
panel
main control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철
Original Assignee
이승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철 filed Critical 이승철
Priority to KR1020090119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0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0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Abstract

배전반내 설치되는 디지탈콘트롤러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주제어부, 안전램프, 주의램프, 경보램프, 통신인터페이스모듈, 저주파검지모듈공판넬, 고주파검지모듈공판넬, 전기화재조기검지모듈공판넬, 안전점검모듈공판넬, 비디오서버모듈공판넬, 정격감도전류가변모듈공판넬, SMS문자발신기모듈공판넬, 온도검출모듈공판넬, 인체감지센서모듈공판넬 및 모니터로 구성되며; 배전반내 디지탈콘트롤러와 인터넷망으로 연결된 원격지의 제어서버 및 서버모니터로 구성되며; 통신인터페이스모듈은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주제어부와 원격지의 제어서버간에 유선네트워크망을 통해 원격제어 및 제어프로그램의 업로드를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이고; 배전반내 설치되는 디지탈콘트롤러내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주제어부는 연산부, 메모리부로 구성되어 유선네트워크망과 통신인터페이스모듈을 통해 원격지의 제어서버가 제어프로그램을 메모리부에 업로드하며, 메모리부에 업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은 연산부에서 업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배전반내 각 모듈을 원격 제어한다.
배전반, 메모리부, 연산부, 제어프로그램, 업로드

Description

배전반 방재시스템 {Power distributor system for preventing disaster}
본 발명은 건축물, 터널 등 건축, 토목 구조물 내에 설치되는 배전반의 방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원격지의 제어서버에서 배전반내 설치된 디지탈콘트롤러내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주제어부의 메모리부에 프로그램을 입력하고 연산부에서 메모리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여러 모듈을 원격 제어하는 방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우리나라 기술기준에 의하면, 배전반에 대한 내진대책을 요구하지 않고 있으나, 최근 빈번한 지진과 지진대의 이동 등에 따라 배전반에 내진대책을 적용하여 지진의 발생시 전기화재에 의한 2차 피해 발생에 대비하여야 한다.
또한, 배전반의 경우 화재발생을 검지하는 기술보다는 전기화재 발생 전 그 사전 징후를 검지하여 전기화재 발생 전에 안전대책을 강구하는 방향으로 기술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종래에 건축물, 구조물의 경우 지진이 발생할 경우 충격을 흡수하는 내진설계 위주로 기술이 개발되어 있으나, 건축물의 크랙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붕괴 전에 이를 검지하여 경보하는 기술은 일본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왔다.
국내의 경우 배전반 이상에 따른 화재, 누전 조기 검지 등을 실시간 온라인으로 원격감시하는 기술은 상용화되어 있으나, 건축물 및 구조물을 실시간 원격감시 기술은 기술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배전반의 실시간 원격감시 기능에 건축물의 구조결함 및 붕괴 사전 예보 기능을 배전반에 효과적으로 통합한다면 현재의 인력과 운영 시스템에 별도의 추가 없이 건축물, 구조물의 실시간 원격감시가 가능할 것이다.
건물의 진동 충격에 의해 각종 차단기 및 계전기의 결합력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진동을 흡수하는 전기배전반의 시공방법이 국내특허출원 제10-2006-0068196 에 제시되었다.
국내실용신안출원 제1980-0000576호에 의해 압전소자의 변형에 의해 구조물의 붕괴전 사전경보를 하는 기술이 제어되어 있다.
일본特開 제2003-154937호는 붕괴가능성이 있는 장소에 센서를 장착하여 센서에 의해 이상 징후가 검지될 경우 압전세라믹스의 변형에 의해 발전하는 압전 발전장치를 통해 급전시설이 없는 곳에서도 무선으로 이상 징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본特開 제2006-046938호는 지진이 발생 전 지각이 높은 압력을 받아 전기 전도도의 변화나 일부 암체의 용해에 의해서 지전류(地電流)변화 등의 전자기적인 이상이 발생하는 것을 검지하는 기술이 있어 왔으며, 이러한 이상징후 전류에 관한 연구가 電學高壓硏究會(HV-00-4,2000), 電學電磁環境硏究會(EMC-02-10,2002)에 발표되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자가수전설비 등은 전기사업법에 의한 안전점검을 자체 또는 위탁 용역업체에 의뢰하여 정기 안전점검을 하고 있다.
그러나, 위탁 용역업체에 의뢰할 경우 지식 부족 등에 의해 안전점검이 정확히 시행되는지, 안전검검의 유무, 근무자의 안전점검 유무를 원격지의 관리센터에서 쉽게 확인하기 힘들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지진과 전기화재 등의 재난에 대비한 배전반의 방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과제를 해결한다.
1. 지진 발생에 대비한 내진 및 선로차단과 복구에 있어 오작동의 발생을 최소화한다.
2. 전기화재 발생 전에 화재발생 징후를 검지하여 경보 및 선로차단과 복구에 있어 오작동의 발생을 최소화한다.
삭제
3. 건축물의 붕괴 전 징후를 검지하여 경보 및 선로차단과 복구에 있어 오작동의 발생을 최소화한다.
4. 자가 수배전반의 안전점검 유무 및 안전점검 항목을 원격지에서 쉽게 관리하게 한다.
5. 위험도 및 상황에 따라 배선차단기의 정격감도전류를 가변한다.
삭제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각 과제를 조립식으로 모듈화한 디지털콘트롤러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방재시스템은,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주제어부, 안전램프, 주의램프, 경보램프, 통신인터페이스모듈, 저주파검지모듈공판넬, 고주파검지모듈공판넬, 전기화재조기검지모듈공판넬, 안전점검모듈공판넬, 비디오서버모듈공판넬, 정격감도전류가변모듈공판넬, SMS문자발신기모듈공판넬, 온도검출모듈공판넬, 인체감지센서모듈공판넬 및 모니터로 구성된 배전반내 설치되는 디지탈콘트롤러, 상기 디지털콘트롤러와 인터넷망으로 연결된 제어서버 및 상기 제어서버와 유선네크워크망으로 연결되어 제어프로그램을 업로드하는 통신인터페이스모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지진발생에 따른 내진설계의 적용 및 지진, 전기화재, 건축물 및 구조물의 붕괴를 사전에 검지하며 위험 정도에 따라 배선차단기의 정격감도전류를 가변하여 대응하며 자가수전설비 등의 법에 의한 안전점검을 자체 또는 위탁 용역업체에 의뢰하여 정기 안전점검을 하고 있으나, 위탁 용역업체에 의뢰할 경우 현장 관리자가 전기분야에 관련된 상식이 없을 경우 안전점검이 정확히 시행되는지, 안전검검을 했는지, 근무자의 안전점검 유무를 쉽게 알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해서 원격지의 관리센터에서 쉽게 확인이 되며, 안전점검 이력을 데이터화하여 관리할 수 있어, 특히 다수의 학교 같은 곳을 원격지의 교육청에서 일괄적으로 관리하기 쉽다.
또한, 휴지기 모드 작동시, 농어촌 공사의 수배전반과 같이 1년에 단 몇 달만 가동하는 수배전반의 경우 도난방지 효과가 부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방재시스템은, 제어서버에서 원격지의 배전반내 설치된 디지탈콘트롤러내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주제어부의 메모리부에 프로그램을 입력하고 연산부에서 메모리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여러 모듈을 원격 제어한다.
삭제
삭제
배전반내 설치되는 디지탈콘트롤러는 배전반 각부의 상태를 측정, 체크하고 비상시에는 인입전원을 차단하는 등 배전반의 메인 운영 컨트롤러로 현재 상용화 되어 있다.
현재 상용화된 메인 운영 콘트롤러에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본 발명의 메인 운영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주제어부, 안전램프, 주의램프, 경보 램프가 추가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운영체제와 제어체제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모듈을 끼워 사용할 수 있는 각 모듈별 공판넬과 주제어부와 상호 통신를 통하여 제어명령 등을 통신하기 위한 통신인터페이스모듈이 배전반내에 추가로 구성된다.
배전반내 설치되는 디지탈콘트롤러내 주제어부는 통신인터페이스모듈을 통하여 각종 제어명령과 데이터를 수신하는 해당 모듈을 끼워고정하는 저주파검지모듈공판넬, 고주파검지모듈공판넬, 전기화재조기검지모듈공판넬, 안전점검모듈공판넬, 비디오서버모듈공판넬, 정격감도전류가변모듈공판넬, SMS문자발신기모듈공판넬, 온도검출모듈공판넬, 인체감지센서모듈공판넬을 배전반에 추가로 구성된다.
원격지의 제어서버는 유선네트워크망(인터넷망)을 통하여 배전반내 디지탈콘트롤러내 주제어부에 제어프로그램을 업로드하여 배전반내 고유한 특성을 갖는 각각의 모듈을 제어하는 서버가 서버모니터와 함께 구성된다.
삭제
통신인터페이스모듈은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주제어부와 원격지의 제어서버간에 유선네트워크망을 통한 양방향 통신을 위한 LAN카드 모뎀 등으로 공지된 통신인터페이스모듈을 적용하여 원격지의 제어서버가 원격지의 배전반을 원격제어 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프로그램의 업로드를 통한 원격제어를 하기 위한 통신인터페이스이며 통상의 공지된 기술이다.
배전반내 설치되는 디지탈콘트롤러내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주제어부는 연산부, 메모리부로 구성되어 유선네트워크망과 통신인터페이스모듈을 통해 원격지의 제어서버가 제어프로그램을 메모리부에 업로드하며, 메모리부에 업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은 연산부에서 업로드된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배전반내 각 모듈을 원격 제어한다.
저주파검지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저주파검지모듈이 삽입되면 고정가이드로 고정된다.
고정가이드는 16인치 표준랙 1구(UNIT)안에 슬롯방식으로 꽃아 하우징내 구멍을 뚫어 나사로 고정하는 통상의 고정가이드와 고정가이드에 RJ-45잭, USB포트, 병렬포트와 같은 통신포트를 포함하여 저주파검지모듈공판넬에 저주파검지모듈을 삽입하면 고정가이드로 고정하고, 통신포트를 사용하여 디지탈콘트롤러내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주제어부와 통신을 한다.
삭제
삭제
통신포트는 디지탈콘트롤러내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주제어부와 연결되어 주제어부에 저주파검지 제어프로그램이 업로드되면, 저주파검지모듈내 미약(微弱) 지전류(地電流)검지센서를 통해 미약(微弱)한 지전류(地電流)신호를 검지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개인용 PC의 XP 윈도우 시스템은 새로운 하드웨어모듈이 검지하면 해당 하드웨어 모듈에 메모리된 셋업프로그램을 인식하여 윈도우 운영체계에 업로드하여 신규 하드웨어모듈을 손쉽게 인식 사용할 수 있다.
주제어부는 윈도우 XP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서버급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일 실시 구현 예가 가능하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관리자가 프로세서 내에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자신이 원하는 동작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서, 컴퓨터의 CPU처럼 명령을 내릴 수 있고 특정 명령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원격지에서 원격제어를 위한 제어부에 제어명령을 입력하여 입력된 제어명령(프로그램)에 따라 원격제어가 가능하며 원격지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제어명령(프로그램)을 쓰고 지울 수 있어, 원격지에서 프로그램의 변경에 따라 원격제어를 할 수 있는 것으로 전체제어 프로그램 및 운영을 위한 주제어부를 마더보드(MOTHERBOARD) 또는 메인보드(MAINBOARD)로 불린다.
서버란, 네트워크상에서 다른 컴퓨터에 대하여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또는 소프트웨어를 서버라 한다. 서버가 제공하는 기능을, 이용하는 측의 컴퓨터 또는 소프트웨어를 가리켜 클라이언트(client, 본 발명에서는 단말서버)라고 한다. 예를 들면, 웹서버는 웹페이지(홈페이지) 정보를 보존하며, 요청이 있을 때는 사용자의 컴퓨터에 그 데이터를 송신한다. 웹서버로부터 보내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클라이언트소프트가 웹 브라우저(web browser)이다. 인터넷에는 그 밖에도 메일서버(전자메일), DNS서버(도메인 네임), FTP서버(파일전송용), 통신서버, 웹카메 라로 촬영된 실시간 동영상 및 VOD(Video On Demand) 컨텐츠를 네트워크상에 전송하는 비디오서버 등 여러 가지 종류의 서버가 무수히 접속되어 서로 유대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개발되어 나오는 서버들은 아날로그/디지탈 상호변환을 위한 인코더/디코더의 기능이 서버내에 기본적으로 내장되며 통신을 위한 통신모뎀 및 압축변환하여 전송데이터와 통신속도를 향상하는 데이터 압축프로그램이 기본 내장되는 추세이며, 비디오(동영상, 정지영상)에 관련하여 MPEG 압축방식 등을 주로 사용한다.
주제어부에 저주파검지 제어프로그램이 업로드되면, 저주파검지모듈내 미약(微弱) 지전류(地電流)검지센서를 통해 미약한 지전류신호를 검지하는 것으로서 미약 지전류검지센서는 화산활동이 잦은 일본에서 개발된 다양한 지전류검지센서를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것으로, 배전반의 목적과 용도에 따라 필요로 하는 기능을 보유한 하드웨어 모듈을 추가로 삽입하면 사용할 수 있는 기본 시스템이며, 이하 미약 지전류센서를 통해 측정된 데이터를 가공하는 것은 본 발명만의 또 하나의 주요한 특징이다.
미약 지전류신호를 10초단위로 검지하여 카운트 누계하는데, 이는 지진이라는 특수성 때문에 정확한 데이터 산출을 위한 정보처리 방법이다.
예를 들어, 0에서 10초동안 지진이 검지되지 않으면 카운트는 0, 10에서 20초동안 지진이 검지되지 않으면 카운트는 0, 20에서 30초동안 지진이 1초간 검지 되면 카운트는 1, 30에서 40초동안 지진이 9초간 검지되면 카운트는 2로 총 40초간 카운트 누계는 2회가 된다.
지진이 일어날 가능성을 시간에 비중을 두는 종래의 방식이 아닌 횟수를 주요 데이터로 정보 가공하여 사용하는 차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카운트 누계 방법으로 864,000초당 미약 지전류신호입력이 43,200회이상 64,800회 이하일 경우 지진주의, 64,800회 초과할 경우 지진위험 이벤트 신호를 통신인터페이스모듈과 유선네트워크망을 통해 원격지의 제어서버로 전송한다.
삭제
고주파검지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고주파검지모듈이 삽입되면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통신포트는 디지탈콘트롤러내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주제어부와 연결되어 주제어부에 고주파검지 제어프로그램이 업로드되면, 고주파검지모듈내 초고주파검지센서를 통해 초고주파신호를 검지하여 초고주파신호를 10초단위로 검출하여 카운트 누계하며, 86,400초당 초고주파신호입력이 2,160회이상 4320회 이하일 경우 구조물 붕괴주의, 4,320회를 초과할 경우 구조물 붕괴위험 이벤트 신호를 통신인터페이스모듈과 유선네트워크망을 통해 원격지의 제어서버로 전송한다.
초고주파검지센서는 역시 일본에서 건축물의 붕괴전 발생하는 초고주파를 검지하는 센서로 동물들이 지진이나 건물의 붕괴전 나는 초고주파를 검지하여 재난을 예측하는데서 개발된 초고주파센서이다.
초고주파(SHF파, Super High Frequency, 3,000~30,000MHz)는 건축물 붕괴 사전 징후로 사용하여 죽음의 소리(DEADLY SONIC)로 불린다.
전기화재조기검지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전기화재조기검지모듈이 삽입되면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통신포트는 디지탈콘트롤러내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주제어부와 연결되어 주제어부에 전기화재조기검지 제어프로그램이 업로드되면, 전기화재조기검지모듈내 대기오염센서의 통전전류량을 통해 대기오염물질을 검출하여 대기오염물질의 농도에 따라 안전, 주의, 경보, 전원차단의 제어신호가 주제어부 연산부에 입력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디지탈컨트롤러는 안전, 주의, 경보램프를 점등하며 전원차단 제어신호일 경우 배전반 인입전원을 차단 및 주의, 경보, 전원차단 이벤트 신호를 통신인터페이스모듈과 유선네트워크망을 통해 원격지의 제어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대기오염센서의 일 실시 예로, VOCs Sensor는 주로 실내오염공기 중 유기용제, 다이옥신,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벤젠, 자일렌 등의 인체피해 한계치 이하에서 감지가 가능한 고감도(0.005 ∼ 20%obs/m) 센서로 오감테크놀로지(Ogam Technology; http://www.ogamtech.com/)의 GSBT11 센서를 활용하는 일 실시 예가 가능하나, 상기 VOCs Sensor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종래에 레이져를 사용하여 화재연기에 의해 레이져광원이 산란되는 원리를 이용한 화재검지기가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대기 환경오염 센서를 사용하여 배전반의 버스바의 과전류에 따른 전기 열화가 진행됨에 따라 절연피복에서 발생하는 유기용제, 다이옥신, 포름알데히드를 검출하여 화재 조기검지를 하며, 유입식 변압 기의 절연유 열화, 건식변압기의 절연물 열화 등 기기에서 과열에 따른 대기오염물질을 검지하여 이상발열을 검지하여 화재징후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MS문자발신기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SMS문자발신기모듈이 삽입되어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통신포트는 디지탈콘트롤러내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주제어부와 연결되어 주제어부에 SMS문자발신기 제어프로그램이 업로드되면 주의, 경보, 전원차단 메시지를 SMS문자발신기를 통하여 지정된 담당자의 휴대폰으로 SMS문자 메시지를 발송한다.
안전점검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안전점검모듈이 삽입되면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상기 통신포트는 상기 주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제어부에 안전점검 제어프로그램을 업로드하고, 안전점검 시작버튼이 작동되면 상기 주제어부는 현재 안전점검 시작시간을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한다.
안전점검항목 입력버튼이 작동되면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모니터에 절연저항, 누설전류, 피크전압, 통전전류 및 외관 안전점검항목을 각각 양호, 점검, 불량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안전점검 종료버튼이 작동되면 주제어부는 현재 안전점검 종료시간을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한다.
안전점검 리포트 출력버튼이 작동되면 안전점검 시작시간, 종료시간, 안전점 검 항목별 점검결과가 감열지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한다.
안점점검 리포트 전송버튼 작동시 통신인터페이스모듈과 유선네트워크망(인터넷)을 통해 원격지의 제어서버로 안전점검 시작시간, 종료시간, 안전점검 항목별 점검결과가 전송된다.
비디오서버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비디오서버모듈이 삽입되면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통신포트는 디지탈콘트롤러내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주제어부와 연결되어 주제어부에 비디오서버모듈이 업로드되면, 네트워크디지탈감시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통신인터페이스모듈, 유선네트워크망을 통해 원격지의 제어서버로 전송하며, 제어서버에서 통신인터페이스모듈과 유선네트워크망을 통해 모션캡쳐모드 제어신호를 주제어부 메모리부에 전송하면, 촬영되는 영상에 변화가 있을 경우만 이벤트신호와 함께 촬영되는 카메라의 ID와 촬영되는 영상을 제어서버로 전송하며, 제어서버는 전송된 영상의 ID와 현재 프로그램 셋팅 값을 비교하여 휴지기 셋팅 값일 경우 알람을 발생과 함께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한다.
종래에 모션캡쳐는 카메라로 촬영되는 영상에 변화가 있을 경우에만 디지탈녹화저장장치(DVR)에 저장하여 메모리를 절약하는 기술로 공지된 화면캡쳐를 사용하나, 모션캡쳐 모드신호를 수신하여 모션캡쳐 기능이 구동되면 영상의 변화가 있을 경우에만 이벤트 신호를 발생하여 본 발명에 활용한다.
특히, 휴지기 셋팅 값을 본 발명에서 차별적으로 사용하는데, 농업유통공사에서 설치한 저수지의 경우 1년 중 농번기를 중심으로 3 - 4개월만 배전반을 가동 하고 나머지는 휴지기로 가동을 중지한다.
이 휴지기 기간을 주제어부에 입력(셋팅)하여 휴지기 기간에 사람의 움직임임이 검지될 경우 이벤트신호가 발생하는 것을 본 발명의 주요 요지로 활용한 기술분야이다.
인체감지센서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인체감지센서모듈이 삽입되면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통신포트와 연결되어 주제어부에 안전점검모듈이 업로드되면, 인체감지센서에서 인체를 검지할 경우 다수의 배전반에 각각 설치된 디지탈콘트롤러를 구별하기 위하여 미리 지정된 ID와 이벤트신호를 전송하며, 제어서버는 전송되어 오는 이벤트신호와 ID를 현재 프로그램 셋팅 값을 비교하여 휴지기 셋팅 값일 경우 알람을 발생한다.
온도검출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온도검출모듈이 삽입되면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통신포트는 디지탈콘트롤러내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주제어부와 연결되어 주제어부에 온도검출모듈이 업로드되면, 디지탈콘트롤러의 ID와 현재온도를 통신인터페이스모듈, 유선네트워크망(인터넷망)을 통해 원격지의 제어서버로 전송하며; 검출된 온도에 따라 안전, 주의, 경보, 전원차단으로 이벤트신호를 발생하여 디지탈콘트롤러의 ID와 이벤트신호를 제어서버로 전송하며, 제어서버는 전송되어 오는 이벤트신호가 주의, 경보, 전원차단일 경우 알람을 발생한다.
정격감도전류가변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정격감도전류선택버튼을 포함하는 정격감도전류가변모듈이 삽입되면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통신포트는 디지탈콘트롤러내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주제어부와 연결되어 주제어부에 정격감도전류가변모듈이 업로드되면, 정격감도전류가변모듈내 선택된 정격감도전류선택버튼에 따라 주제어부는 제어선을 통해 배선된 변류기에서 검지된 전류량과 영상변류기에서 검지된 누설전류량이 허용전류량 및 허용누설전류량을 초과할 경우 마그네틱스위치를 구동하여 전원을 차단한다.
정격감도전류가변모듈은 과전압계전기, 마그네틱스위치, 변류기, 영상변류기, 주제어부, AP(Ampere Trip)선택단자로 구성되어, 과전압계전기는 설정된 과전압 이상에서 작동하여 전로를 차단하는 과전압 계전기이다.
AP(Ampere Trip)선택단자는 전로(電路)의 허용전류량 및 허용누설전류량을 선택하는 AP(Ampere Trip)선택단자로 종래에 배선차단기의 차단특성이 100AF/50AT일 경우 트립차단 전류량이 50암페어(A)인 50A를 선택하는 것으로 선택단자가 25A, 50A, 100A등으로 선택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주제어부에서 변류기를 통해 검지된 전류량이 선택된 전류량을 초과할 경우 마그네틱스위치를 구동하여 전로를 차단한다.
주제어부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어 변류기에서 검지된 전류량, 영상변류기에서 검지된 누설전류량이 AP(Ampere Trip)선택단자를 통해 선택된 허용전류량 및 허용누설전류량을 초과할 경우 마그네틱스위치를 구동하여 전원을 차단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주제어부는 안전램프, 주의램프, 경보램프의 점소등 및 통신인터페이스모듈을 통한 데이터통신 및 저주파검지모듈공판넬, 고주파검지모듈공판넬, 전기화재조기검지모듈공판넬, 안전점검모듈공판넬, 비디오서버모듈공판넬, 정격감도전류가변모듈공판넬, SMS문자발신기모듈공판넬, 온도검출모듈공판넬, 인체감지센서모듈공판넬에 각각의 해당 모듈이 삽입될 경우 통신인터페이스모듈을 통하여 해당 모듈을 제어한다.
삭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저주파검지모듈, 고주파검지모듈,전기화재조기검지모듈, 안전점검모듈, 비디오서버모듈, 정격감도전류가변모듈, SMS문자발신기모듈, 온도검출모듈, 인체감지센서모듈과 같이 기능별로 모듈화된 각각의 모듈을 조합하여 해당 공판넬에 삽입 구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10)

  1. 배전반내 설치되는 디지탈콘트롤러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주제어부, 안전램프, 주의램프, 경보램프, 통신인터페이스모듈, 저주파검지모듈공판넬, 고주파검지모듈공판넬, 전기화재조기검지모듈공판넬, 안전점검모듈공판넬, 비디오서버모듈공판넬, 정격감도전류가변모듈공판넬, SMS문자발신기모듈공판넬, 온도검출모듈공판넬, 인체감지센서모듈공판넬 및 모니터로 구성되고,
    상기 디지탈콘트롤러는 원격지의 제어서버에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며,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모듈은 상기 제어서버와 유선네트워크망을 연결되어 원격제어 및 제어프로그램을 업로드하고,
    상기 주제어부는 연산부, 메모리부로 구성되어, 제어프로그램을 메모리부에 업로드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업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은 연산부에서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배전반내 모듈을 원격제어하고,
    상기 저주파검지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저주파검지모듈이 삽입되면 상기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상기 통신포트는 상기 주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제어부에 저주파검지 제어프로그램이 업로드되면, 상기 저주파검지모듈내 미약(微弱) 지전류(地電流)검지센서를 통해 미약(微弱) 지전류(地電流)신호를 10초 단위로 검지하여 카운트 누계하여 상기 주제어부에 전송입력하며, 864,000초당 미약(微弱) 지전류(地電流) 신호입력 누계가 43,200회 이상 64,800회 이하이면 지진주의, 64,800회를 초과할 경우 지진위험 이벤트 신호를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모듈 및 유선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고주파검지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고주파검지모듈이 삽입되면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상기 통신포트는 상기 주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제어부에 고주파검지 제어프로그램이 업로드되면, 상기 고주파검지모듈내 초고주파검지센서를 통해 초고주파신호를 10초 단위로 검지하여 카운트 누계하여 상기 주제어부에 전송입력하며, 86,400초당 초고주파신호입력이 2,160회 이상 4320회 이하 입력시 구조물 붕괴주의, 4,320회를 초과할 경우 구조물 붕괴위험 이벤트 신호를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모듈 및 유선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전기화재조기검지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전기화재조기검지모듈이 삽입되면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상기 통신포트는 상기 주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제어부에 전기화재조기검지 제어프로그램이 업로드되면, 상기 전기화재조기검지모듈내 대기오염센서의 통전 전류량을 통해 대기오염물질을 검출하여 대기오염물질의 농도에 따라 안전, 주의, 경보, 전원차단의 제어신호가 주제어부 연산부에 입력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탈컨트롤러는 상기 안전, 주의, 경보램프를 점등하며 전원차단 제어신호일 경우 배전반 인입전원을 차단하고, 주의, 경보, 전원차단 이벤트 신호를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모듈 및 유선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SMS문자발신기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SMS문자발신기모듈이 삽입되어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상기 통신포트는 상기 주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제어부에 SMS문자발신 제어프로그램이 업로드되면, 주의, 경보, 전원차단 메시지를 상기 SMS문자발신기를 통하여 지정된 담당자의 휴대폰으로 SMS문자 메시지를 발송하고,
    상기 안전점검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안전점검모듈이 삽입되면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상기 통신포트는 상기 주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제어부에 안전점검 제어프로그램이 업로드되고, 안전점검 시작버튼이 작동되면 상기 주제어부는 현재 안전점검 시작시간을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며, 안전점검항목 입력버튼이 작동되면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모니터에 절연저항, 누설전류, 피크전압, 통전전류 및 외관 안전점검항목을 각각 양호, 점검, 불량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안전점검 종료버튼이 작동되면 상기 주제어부는 현재 안전점검 종료시간을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며, 안전점검 리포트 출력버튼이 작동되면 안전점검 시작시간, 종료시간 및 안전점검 항목별 점검결과가 감열지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고, 안점점검 리포트 전송버튼이 작동되면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모듈과 유선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제어서버로 안전점검 시작시간, 종료시간 및 안전점검 항목별 점검결과를 전송하고,
    상기 비디오서버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비디오서버모듈이 삽입되면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상기 통신포트는 상기 주제어부와 연결되어 주제어부에 비디오서버 제어프로그램이 업로드되면, 네트워크디지탈감시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모듈과 유선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서버에서 통신인터페이스모듈과 유선네트워크망을 통해 모션캡쳐모드 제어신호를 상기 주제어부 메모리부에 전송하면, 촬영되는 영상에 변화가 있을 경우만 이벤트신호와 함께 촬영되는 카메라의 ID와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서버는 전송된 영상의 ID와 현재 프로그램 셋팅 값을 비교하여 휴지기 셋팅 값일 경우 알람을 발생과 함께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인체감지센서모듈이 삽입되면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상기 통신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주제어부에 인체감지 제어프로그램이 업로드되면, 인체감지센서에서 인체를 검지할 경우 디지탈콘트롤러의 ID와 이벤트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어서버는 전송되어 오는 이벤트신호와 ID를 현재 프로그램 셋팅 값을 비교하여 휴지기 셋팅 값일 경우 알람을 발생하고,
    상기 온도검출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온도검출모듈이 삽입되면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상기 통신포트는 상기 주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제어부에 온도검출 제어프로그램이 업로드되면, 상기 디지탈콘트롤러의 ID와 현재온도를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모듈과 유선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며, 온도에 따라 안전, 주의, 경보, 전원차단으로 이벤트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디지탈콘트롤러의 ID와 이벤트신호를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서버는 전송되어 오는 이벤트신호가 주의, 경보, 전원차단일 경우 알람을 발생하고,
    상기 정격감도전류가변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정격감도전류선택버튼을 포함하는 정격감도전류가변모듈이 삽입되면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상기 통신포트는 상기 주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제어부에 정격감도전류가변 제어프로그램이 업로드되면, 상기 정격감도전류 선택버튼이 작동됨에 따라 배선된 변류기에서 검지된 전류량과 영상변류기에서 검지된 누설전류량이 허용전류량 및 허용누설전류량을 초과될 경우 상기 주제어부는 마그네틱스위치를 구동하여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안전램프, 주의램프 및 경보램프의 점소등을 제어하고, 상기 저주파검지모듈공판넬, 고주파검지모듈공판넬, 전기화재조기검지모듈공판넬, 안전점검모듈공판넬, 비디오서버모듈공판넬, 정격감도전류가변모듈공판넬, SMS문자발신기모듈공판넬, 온도검출모듈공판넬 및 인체감지센서모듈공판넬에 각각의 해당 모듈이 삽입될 경우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모듈을 통하여 해당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방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검지모듈공판넬에 저주파검지모듈을 삽입하여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방재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검지모듈공판넬에 고주파검지모듈을 삽입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방재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화재조기검지모듈공판넬에 전기화재조기검지모듈을 삽입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방재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점검모듈공판넬에 안전점검모듈을 삽입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방재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격감도전류가변모듈공판넬에 정격감도전류가변모듈을 삽입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방재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서버모듈공판넬, SMS문자발신기모듈공판넬, 온도검출모듈공판넬 및 인체감지센서모듈공판넬에 각각 비디오서버모듈, SMS문자발신기모듈, 온도검출모듈 및 인체감지센서모듈을 삽입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방재시스템
  8. 배전반내 설치되는 디지탈콘트롤러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주제어부, 안전램프, 주의램프, 경보램프, 통신인터페이스모듈, 전기화재조기검지모듈공판넬, 안전점검모듈공판넬, 비디오서버모듈공판넬, 정격감도전류가변모듈공판넬, SMS문자발신기모듈공판넬, 온도검출모듈공판넬, 인체감지센서모듈공판넬 및 모니터로 구성되고,
    상기 디지탈콘트롤러는 원격지의 제어서버에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며,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모듈은 상기 제어서버와 유선네트워크망을 연결되어 원격제어 및 제어프로그램을 업로드하고,
    상기 주제어부는 연산부, 메모리부로 구성되어, 제어프로그램을 메모리부에 업로드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업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은 연산부에서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배전반내 모듈을 원격제어하고,
    상기 전기화재조기검지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전기화재조기검지모듈이 삽입되면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상기 통신포트는 상기 주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제어부에 전기화재조기검지 제어프로그램이 업로드되면, 상기 전기화재조기검지모듈내 대기오염센서의 통전전류량을 통해 대기오염물질을 검출하여 대기오염물질의 농도에 따라 안전, 주의, 경보, 전원차단의 제어신호가 주제어부 연산부에 입력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탈컨트롤러는 상기 안전, 주의, 경보램프를 점등하며 전원차단 제어신호일 경우 배전반 인입전원을 차단하고, 주의, 경보, 전원차단 이벤트 신호를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모듈 및 상기 유선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SMS문자발신기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SMS문자발신기모듈이 삽입되어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상기 통신포트는 상기 주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제어부에 SMS문자발신 제어프로그램이 업로드되어 있으면, 주의, 경보, 전원차단 메시지를 상기 SMS문자발신기를 통하여 지정된 담당자의 휴대폰으로 SMS문자 메시지를 발송하고,
    상기 안전점검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안전점검모듈이 삽입되면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상기 통신포트는 상기 주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제어부에 안전점검 제어프로그램이 업로드되고, 안전점검 시작버튼이 작동되면 상기 주제어부는 현재 안전점검 시작시간을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며, 안전점검항목 입력버튼이 작동되면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모니터에 절연저항, 누설전류, 피크전압, 통전전류 및 외관 안전점검항목을 각각 양호, 점검, 불량으로 디스플레이되며, 안전점검 종료버튼이 작동되면 상기 주제어부는 현재 안전점검 종료시간을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며, 안전점검 리포트 출력버튼이 작동되면 안전점검 시작시간, 종료시간, 안전점검 항목별 점검결과가 감열지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고, 안점점검 리포트 전송버튼이 작동되면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모듈과 유선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제어서버로 안전점검 시작시간, 종료시간 및 안전점검 항목별 점검결과를 전송하고,
    상기 비디오서버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비디오서버모듈이 삽입되면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상기 통신포트는 상기 주제어부와 연결되어 주제어부에 비디오서버 제어프로그램이 업로드되면, 네트워크디지탈감시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모듈과 유선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서버에서 통신인터페이스모듈과 유선네트워크망을 통해 모션캡쳐모드 제어신호를 상기 주제어부 메모리부에 전송하면, 촬영되는 영상에 변화가 있을 경우만 이벤트신호와 함께 촬영되는 카메라의 ID와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서버는 전송된 영상의 ID와 현재 프로그램 셋팅 값을 비교하여 휴지기 셋팅 값일 경우 알람을 발생과 함께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인체감지센서모듈이 삽입되면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상기 통신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주제어부에 인체감지 제어프로그램이 업로드되면, 인체감지센서에서 인체를 검지할 경우 디지탈콘트롤러의 ID와 이벤트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어서버는 전송되어 오는 이벤트신호와 ID를 현재 프로그램 셋팅 값을 비교하여 휴지기 셋팅 값일 경우 알람을 발생하고,
    상기 온도검출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온도검출모듈이 삽입되면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상기 통신포트는 상기 주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제어부에 온도검출 제어프로그램이 업로드되면, 상기 디지탈콘트롤러의 ID와 현재온도를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모듈과 유선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며, 온도에 따라 안전, 주의, 경보, 전원차단으로 이벤트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디지탈콘트롤러의 ID와 이벤트신호를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서버는 전송되어 오는 이벤트신호가 주의, 경보, 전원차단일 경우 알람을 발생하고,
    상기 정격감도전류가변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정격감도전류 선택버튼을 포함하는 정격감도전류가변모듈이 삽입되면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상기 통신포트는 상기 주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제어부에 정격감도전류가변 제어프로그램이 업로드되면, 상기 정격감도전류선택버튼이 작동됨에 따라 배선된 변류기에서 검지된 전류량과 영상변류기에서 검지된 누설전류량이 허용전류량 및 허용누설전류량을 초과될 경우 상기 주제어부는 마그네틱스위치를 구동하여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안전램프, 주의램프 및 경보램프의 점소등을 제어하고, 상기 전기화재조기검지모듈공판넬, 안전점검모듈공판넬, 비디오서버모듈공판넬, 정격감도전류가변모듈공판넬, SMS문자발신기모듈공판넬, 온도검출모듈공판넬 및 인체감지센서모듈공판넬에 각각의 해당 모듈이 삽입될 경우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모듈을 통하여 해당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방재시스템
  9. 배전반내 설치되는 디지탈콘트롤러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주제어부, 안전램프, 주의램프, 경보램프, 통신인터페이스모듈, 안전점검모듈공판넬, 비디오서버모듈공판넬, 정격감도전류가변모듈공판넬, 온도검출모듈공판넬, 인체감지센서모듈공판넬 및 모니터로 구성되고,
    상기 디지탈콘트롤러는 원격지의 제어서버에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며,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모듈은 상기 제어서버와 유선네트워크망을 연결되어 원격제어 및 제어프로그램을 업로드하고,
    상기 주제어부는 연산부, 메모리부로 구성되어, 제어프로그램을 메모리부에 업로드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업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은 연산부에서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배전반 내 모듈을 원격제어하고,
    상기 안전점검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안전점검모듈이 삽입되면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상기 통신포트는 상기 주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제어부에 안전점검 제어프로그램이 업로드되고, 안전점검 시작버튼이 작동되면 상기 주제어부는 현재 안전점검 시작시간을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며, 안전점검항목 입력버튼이 작동되면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모니터에 절연저항, 누설전류, 피크전압, 통전전류 및 외관 안전점검항목을 각각 양호, 점검, 불량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안전점검 종료버튼이 작동되면 상기 주제어부는 현재 안전점검 종료시간을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며, 안전점검 리포트 출력버튼이 작동되면 안전점검 시작시간, 종료시간, 안전점검 항목별 점검결과가 감열지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고, 안점점검 리포트 전송버튼이 작동되면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모듈과 유선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제어서버로 안전점검 시작시간, 종료시간 및 안전점검 항목별 점검결과를 전송하고,
    상기 비디오서버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비디오서버모듈이 삽입되면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상기 통신포트는 상기 주제어부와 연결되어 주제어부에 비디오서버 제어프로그램이 업로드되면, 네트워크디지탈감시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모듈과 유선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서버에서 통신인터페이스모듈과 유선네트워크망을 통해 모션캡쳐모드 제어신호를 상기 주제어부 메모리부에 전송하면, 촬영되는 영상에 변화가 있을 경우만 이벤트신호와 함께 촬영되는 카메라의 ID와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서버는 전송된 영상의 ID와 현재 프로그램 셋팅 값을 비교하여 휴지기 셋팅 값일 경우 알람을 발생과 함께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인체감지센서모듈이 삽입되면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상기 통신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주제어부에 인체감지 제어프로그램이 업로드되면, 인체감지센서에서 인체를 검지할 경우 디지탈콘트롤러의 ID와 이벤트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어서버는 전송되어 오는 이벤트신호와 ID를 현재 프로그램 셋팅 값을 비교하여 휴지기 셋팅 값일 경우 알람을 발생하고,
    상기 온도검출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온도검출모듈이 삽입되면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상기 통신포트는 상기 주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제어부에 온도검출 제어프로그램이 업로드되면, 상기디지탈콘트롤러의 ID와 현재온도를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모듈과 유선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며, 온도에 따라 안전, 주의, 경보, 전원차단으로 이벤트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디지탈콘트롤러의 ID와 이벤트신호를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서버는 전송되어 오는 이벤트신호가 주의, 경보, 전원차단일 경우 알람을 발생하고,
    상기 정격감도전류가변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정격감도전류선택버튼을 포함하는 정격감도전류가변모듈이 삽입되면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상기 통신포트는 상기 주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제어부에 정격감도전류가변 제어프로그램이 업로드되면, 상기 정격감도전류선택버튼이 작동됨에 따라 배선된 변류기에서 검지된 전류량과 영상변류기에서 검지된 누설전류량이 허용전류량 및 허용누설전류량을 초과될 경우 상기 주제어부는 마그네틱스위치를 구동하여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안전램프, 주의램프 및 경보램프의 점소등을 제어하고, 상기 안전점검모듈공판넬, 비디오서버모듈공판넬, 정격감도전류가변모듈공판넬, 온도검출모듈공판넬 및 인체감지센서모듈공판넬에 각각의 해당 모듈이 삽입될 경우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모듈을 통하여 해당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방재시스템
  10. 배전반내 설치되는 디지탈콘트롤러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주제어부, 안전램프, 주의램프, 경보램프, 통신인터페이스모듈, 안전점검모듈공판넬, 비디오서버모듈공판넬, 온도검출모듈공판넬, 인체감지센서모듈공판넬 및 모니터로 구성되고,
    상기 디지탈콘트롤러는 원격지의 제어서버에 인터넷망으로 연결되며,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모듈은 상기 제어서버와 유선네트워크망을 연결되어 원격제어 및 제어프로그램을 업로드하고,
    상기 주제어부는 연산부, 메모리부로 구성되어, 제어프로그램을 메모리부에 업로드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업로드된 제어프로그램은 연산부에서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배전반 내 모듈을 원격제어하고,
    상기 안전점검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안전점검모듈이 삽입되면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상기 통신포트는 상기 주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제어부에 안전점검 제어프로그램이 업로드되고, 안전점검 시작버튼이 작동되면 상기 주제어부는 현재 안전점검 시작시간을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며, 안전점검항목 입력버튼이 작동되면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모니터에 절연저항, 누설전류, 피크전압, 통전전류 및 외관 안전점검항목을 각각 양호, 점검, 불량으로 디스플레이되며, 안전점검 종료버튼이 작동되면 상기 주제어부는 현재 안전점검 종료시간을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며, 안전점검 리포트 출력버튼이 작동되면 안전점검 시작시간, 종료시간, 안전점검 항목별 점검결과가 감열지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되고, 안점점검 리포트 전송버튼이 작동되면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모듈과 유선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제어서버로 안전점검 시작시간, 종료시간 및 안전점검 항목별 점검결과를 전송하고,
    상기 비디오서버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비디오서버모듈이 삽입되면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상기 통신포트는 상기 주제어부와 연결되어 주제어부에 비디오서버 제어프로그램이 업로드되면, 네트워크디지탈감시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모듈과 유선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서버에서 통신인터페이스모듈과 유선네트워크망을 통해 모션캡쳐모드 제어신호를 상기 주제어부 메모리부에 전송하면, 촬영되는 영상에 변화가 있을 경우만 이벤트신호와 함께 촬영되는 카메라의 ID와 촬영되는 영상을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서버는 전송된 영상의 ID와 현재 프로그램 셋팅 값을 비교하여 휴지기 셋팅 값일 경우 알람을 발생과 함께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인체감지센서모듈이 삽입되면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상기 통신포트와 연결되어 상기 주제어부에 인체감지 제어프로그램이 업로드되면, 인체감지센서에서 인체를 검지할 경우 디지탈콘트롤러의 ID와 이벤트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제어서버는 전송되어 오는 이벤트신호와 ID를 현재 프로그램 셋팅 값을 비교하여 휴지기 셋팅 값일 경우 알람을 발생하고,
    상기 온도검출모듈공판넬은 통신포트 및 고정가이드로 구성되어, 온도검출모듈이 삽입되면 고정가이드로 고정되며, 상기 통신포트는 상기 주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주제어부에 온도검출 제어프로그램이 업로드되면, 상기 디지탈콘트롤러의 ID와 현재온도를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모듈과 유선네트워크망을 통해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며, 온도에 따라 안전, 주의, 경보, 전원차단으로 이벤트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디지탈콘트롤러의 ID와 이벤트신호를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제어서버는 전송되어 오는 이벤트신호가 주의, 경보, 전원차단일 경우 알람을 발생하고,
    상기 주제어부는 상기 안전램프, 주의램프 및 경보램프의 점소등을 제어하고, 상기 안전점검모듈공판넬, 비디오서버모듈공판넬, 온도검출모듈공판넬 및 인체감지센서모듈공판넬에 각각의 해당 모듈이 삽입될 경우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모듈을 통하여 해당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 방재시스템
KR1020090119981A 2009-12-04 2009-12-04 배전반 방재시스템 KR100968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981A KR100968031B1 (ko) 2009-12-04 2009-12-04 배전반 방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981A KR100968031B1 (ko) 2009-12-04 2009-12-04 배전반 방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8031B1 true KR100968031B1 (ko) 2010-07-07

Family

ID=42645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981A KR100968031B1 (ko) 2009-12-04 2009-12-04 배전반 방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03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525B1 (ko) * 2010-09-06 2011-05-11 주식회사 에너테크 재난 방지용 수배전반
KR101033673B1 (ko) * 2010-09-29 2011-05-12 박훈양 다기능 수배전반
KR101149367B1 (ko) * 2010-11-11 2012-05-30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모듈형 통합 전력 감시 장치
KR101263302B1 (ko) 2011-08-22 2013-05-13 (주)마루지앤에스 대규모 물품저장랙의 개별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랙환경모니터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20363B1 (ko) 2015-03-20 2016-05-12 이승철 내진 장치가 적용된 고압반, 저압반, 모터콘트롤반, 분전반을 포함하는 내진 대응 배전반 및 내진 대응 배전반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234U (ko) * 1998-08-11 1998-11-25 박양원 전기 배전반 및 패널(panel)용 자동 소화장치
KR100679305B1 (ko) 2005-01-21 2007-02-06 박기주 방재형 분전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234U (ko) * 1998-08-11 1998-11-25 박양원 전기 배전반 및 패널(panel)용 자동 소화장치
KR100679305B1 (ko) 2005-01-21 2007-02-06 박기주 방재형 분전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525B1 (ko) * 2010-09-06 2011-05-11 주식회사 에너테크 재난 방지용 수배전반
KR101033673B1 (ko) * 2010-09-29 2011-05-12 박훈양 다기능 수배전반
KR101149367B1 (ko) * 2010-11-11 2012-05-30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모듈형 통합 전력 감시 장치
KR101263302B1 (ko) 2011-08-22 2013-05-13 (주)마루지앤에스 대규모 물품저장랙의 개별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랙환경모니터링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20363B1 (ko) 2015-03-20 2016-05-12 이승철 내진 장치가 적용된 고압반, 저압반, 모터콘트롤반, 분전반을 포함하는 내진 대응 배전반 및 내진 대응 배전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8031B1 (ko) 배전반 방재시스템
CN106997648A (zh) 一种基于物联网的远程火灾监控电表系统
CN103066703B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spd设备
KR102057494B1 (ko) 스마트 전기사고 예방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CN104155959A (zh) 变电站无人值守综合监控系统
KR20140073043A (ko) 변전설비 감시를 위한 스마트 단말기의 앱 서비스 시스템
CN101782611A (zh) 一种浪涌保护器的在线检测装置
CN104035424A (zh) 一种远程监控系统
KR20140035016A (ko)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전력설비 오조작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N104777398A (zh) 包括警报诊断显示器的绝缘监测的方法及设备
KR102043441B1 (ko) IoT 기반 이동통신용 스마트 분전반 제어 장치
CN107590935B (zh) 数字摄像机入侵检测与防卫系统
CN108512304A (zh) 一种施工现场临电智能管理监测系统及方法
CN102847260A (zh) 一种消防水压监控系统
Sankaranarayanan et al. Smart home monitoring using android and wireless sensors
CN103530973A (zh) Gprs无线智能电气安全监管系统
KR20200059388A (ko) 전기정보 관리시스템
KR20200080033A (ko) 지능형 진동 감지 전원 공급 차단 장치
KR20210001515A (ko) 스마트 전기사고 예방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CN114745615A (zh) 工业设备运行数据采集监控方法及装置
KR102252262B1 (ko) 접지선 도난방지 및 이상유무 감시 시스템
CN204669079U (zh) 一种用于居民配电的安全控制装置
CN203056695U (zh) 一种基于物联网的智能spd设备
CN103368256A (zh) 一种可检测的浪涌保护器
CN207559282U (zh) 配电装置和配电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