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415B1 - 벨트앵커장치 및 이를 갖춘 안전벨트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앵커장치 및 이를 갖춘 안전벨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415B1
KR101782415B1 KR1020160112989A KR20160112989A KR101782415B1 KR 101782415 B1 KR101782415 B1 KR 101782415B1 KR 1020160112989 A KR1020160112989 A KR 1020160112989A KR 20160112989 A KR20160112989 A KR 20160112989A KR 101782415 B1 KR101782415 B1 KR 101782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link member
support shaft
stopper por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2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4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85Anchoring devices with stopping means for acting directly up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by clamping or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85Anchoring devices with stopping means for acting directly up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by clamping or friction
    • B60R22/1855Anchoring devices with stopping means for acting directly up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by clamping or friction the means being sensitive to belt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5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 B60R22/1951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in vehicle or relative to seat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5Pelv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벨트앵커장치 및 이를 갖춘 안전벨트장치를 개시한다. 실시 예에 따른 벨트앵커장치는 차체에 고정된 제1지지축; 제1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연결부와, 이 회전연결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갖춘 제1링크부재; 및 제1지지축과 축선이 교차하는 제2지지축에 의해 한쪽이 제1링크부재의 연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쪽이 탑승자를 결속하는 벨트와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벨트앵커장치 및 이를 갖춘 안전벨트장치{BELT ANCHOR UNIT AND SAFETY BELT ASSEMBLY HAVING THE SAME}
사고 시 벨트의 지지점을 아래로 이동시켜 벨트가 탑승자의 골반을 결속하도록 함으로써 서브마린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앵커장치 및 이를 갖춘 안전벨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전벨트장치는 차량에서 탑승자를 시트에 결속해 운행 중 발생하는 충격이나 사고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는 장치다.
통상의 안전벨트장치는 웨빙(webbing)이라 불리는 벨트와, 차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벨트의 한쪽 단을 감거나 풀어주는 리트렉터와, 벨트의 다른 쪽 단을 차체에 고정시키는 고정앵커를 구비한다. 또 벨트의 중간부분에 이동 가능하게 걸린 상태로 고정앵커 반대편에 마련된 버클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안전벨트장치는 복부 쪽을 결속하는 벨트가 탑승자의 골반에 걸리도록 착용할 때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탑승자가 부정확하게 결속하거나 탑승자 체형으로 인해 벨트가 골반에 걸리지 않도록 착용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충돌 사고가 발생할 경우, 탑승자의 신체가 벨트 아래로 내려가는 서브마린현상(Submarining)이 발생할 수 있다. 서브마린현상이 생기면, 골반으로부터 이탈된 벨트가 탑승자의 복수의 조여 탈장, 장파열 등 복부 상해를 일으킬 수 있다.
사고 시 벨트의 지지점을 아래로 이동시켜 벨트가 탑승자의 골반을 결속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서브마린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앵커장치 및 이를 갖춘 안전벨트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측면에 따른 벨트앵커장치는 차체에 고정된 제1지지축; 상기 제1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연결부와, 이 회전연결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갖춘 제1링크부재; 및 상기 제1지지축과 축선이 교차하는 제2지지축에 의해 한쪽이 상기 제1링크부재의 연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쪽이 탑승자를 결속하는 벨트와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축은 축선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지지축은 축선이 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벨트앵커장치는 상기 제1지지축에 설치되며, 상기 제1링크부재의 회전연결부가 초기위치에서 걸려 구속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연결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스토퍼부를 갖춘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부재의 회전연결부는 상기 제1지지축에 회전 및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면에 상기 스토퍼부에 걸리는 걸림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1지지축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걸림홈이 상기 스토퍼부에 걸린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부재는 상기 벨트의 장력이 설정값 이상일 때 상기 회전연결부가 상승하여 걸림이 해제되고, 걸림 해제 후 상기 벨트가 당기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지지축에 결합되며 상기 스토퍼부가 마련된 하판; 상기 하판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지지축에 결합되는 상판; 및 상기 하판과 상판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벨트앵커장치는 차체에 회전 및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링크부재; 한쪽이 상기 제1링크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쪽이 탑승자를 결속하는 벨트와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 및 상기 벨트에 작용하는 장력이 설정값 미만일 때 상기 제1링크부재가 걸려 구속되도록 하고, 상기 벨트에 작용하는 장력이 설정값 이상일 때 상기 제1링크부재의 걸림이 해제되어 회전하도록 하는 걸림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장치는, 상기 제1링크부재에 마련된 걸림홈; 상기 제1링크부재가 초기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이 걸릴 수 있는 스토퍼부; 및 상기 제1링크부재를 상기 스토퍼부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벨트앵커장치를 포함하는 안전벨트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벨트앵커장치는 사고 시 벨트의 지지점이 전방 하측으로 이동해 벨트가 탑승자의 골반을 결속하기 때문에 탑승자의 서브마린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벨트앵커장치가 적용된 안전벨트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벨트앵커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벨트앵커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벨트앵커장치의 횡방향 단면도로, 제1링크부재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벨트앵커장치가 적용된 안전벨트장치를 탑승자가 평소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벨트앵커장치가 적용된 안전벨트장치를 탑승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 사고 시 벨트앵커장치의 벨트 지지점이 변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벨트앵커장치의 사시도로, 벨트에 설정한 힘 이상의 장력이 작용할 때 제1링크부재가 들리면서 걸림이 해제되는 동작을 보여준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벨트앵커장치의 사시도로, 제1링크부재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 벨트의 당김에 의해 제1링크부재가 회전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벨트앵커장치의 사시도로, 제2링크부재가 전방으로 회전하여 벨트의 지지점이 전방 하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며, 여기서 제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할 수 있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벨트앵커장치(100)가 적용된 안전벨트장치를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안전벨트장치는 시트(10)에 앉은 탑승자를 결속하는 벨트(20)와, 시트(10) 후방 상측의 차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벨트(20)의 한쪽 단을 감거나 풀어주는 리트렉터(30)와, 벨트(20)의 다른 쪽 단을 차체에 고정시키는 벨트앵커장치(100)와, 벨트(20)의 중간부분에 이동 가능하게 걸린 상태에서 벨트앵커장치(100) 반대편에 설치된 버클(5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60)를 포함한다.
이러한 안전벨트장치는 탑승자가 시트(10)에 앉은 상태에서 체결부재(60)를 당겨 버클(50)에 체결하면, 도 5에 도시한 예처럼 벨트(20) 하측부분이 탑승자의 하측 골반부분을 결속하고, 벨트(20) 상측부분이 탑승자의 한쪽 어깨 상측으로부터 대각방향 하측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탑승자의 가슴 전면을 결속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벨트앵커장치(100) 사시도이고, 도 3은 벨트앵커장치(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벨트앵커장치(10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10) 하측 측후방의 차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제1지지축(110)과, 제1지지축(110)에 회전 및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부재(120)와, 한쪽이 제2지지축(130)에 의해 제1링크부재(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쪽이 탑승자를 결속하는 벨트(20)의 단부와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140)와, 제1지지축(110)의 설치에 의해 차체에 고정되며 제1링크부재(120)의 회전 및 승강범위를 한정하도록 제1링크부재(12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50)를 포함한다.
제1지지축(11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에 체결되는 나사부(111)를 갖춘 볼트형태일 수 있다. 제1지지축(110)은 지지부재(150)를 상하로 관통하여 차체에 체결됨으로써 지지부재(150)를 차체에 고정시킨다. 또 제1지지축(110)은 지지부재(150)와 아울러 지지부재(150) 내측으로 진입하여 설치되는 제1링크부재(120) 일측을 관통함으로써 제1링크부재(120)를 회전 및 승강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3과 도 4을 참조하면, 지지부재(150)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상판(151)과 하판(152), 상판(151)과 하판(152)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153,154)를 구비한다. 상판(151)과 하판(152)에는 제1지지축(110)이 관통하는 축결합공(156)이 각각 형성된다.
복수의 연결부(153,154)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판(151)과 하판(152)의 대각방향 양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판(151)과 하판(152)을 연결한다. 또 복수의 연결부(153,154)는 상판(151)과 하판(152)을 연결하는 기능 외에도 상판(151)과 하판(152) 사이의 제1지지축(110)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하는 제1링크부재(120)의 회전범위를 한정하는 기능도 한다.
이러한 지지부재(15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지지축(110)의 체결에 의해 하판(152)이 차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는 지지부재(150)가 제1지지축(110)의 체결에 의해 차체에 고정되는 경우를 예시하지만, 지지부재(150)의 결합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재(150)는 용접이나 별도의 고정나사 체결에 의해서도 차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제1링크부재(120)가 지지부재(150) 사이에 진입한 상태에서 제1지지축(110)의 체결에 의해 장착되는 경우를 제시하고 있으나, 제1링크부재(120)는 지지부재(150)를 배제한 상태에서 제1지지축(110)을 체결하는 것만으로도 차체에 회전 및 승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 지지부재(150)는 제1링크부재(120)의 회전범위를 한정할 수 있는 형태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제1링크부재(1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지지축(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연결부(121)와, 회전연결부(121)의 한쪽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된 후 소정길이 연장된 연장부(122)를 구비한다. 회전연결부(121)에는 제1지지축(110)이 관통하는 축결합공(123)이 형성된다. 회전연결부(121)는 지지부재(150)의 상판(151)과 하판(152) 사이에 진입한 상태에서 축결합공(123)에 제1지지축(110)이 결합됨으로써 제1지지축(110)에 회전 및 승강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링크부재(140)는 도 3에 도시한 예처럼 소정길이를 가진 평판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그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막대형태일 수도 있다.
제2링크부재(140)는 제1지지축(110)과 축선 방향이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제2지지축(130)에 의해 한쪽이 제1링크부재(120)의 연장부(120)에 형성된 축결합공(12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쪽이 탑승자를 결속하는 벨트(20)와 연결된다. 즉 제2지지축(130)은 제1링크부재(120)의 축결합공(124)과 제2링크부재(140)의 한쪽 단부에 형성되는 축결합공(141)을 관통하도록 체결된다.
도 3에 도시한 예처럼 제1지지축(110)은 축선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2지지축(130)은 축선이 제1지지축(110)의 축선방향과 교차하는 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링크부재(120)가 제1지지축(110)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2링크부재(140)가 제2지지축(13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벨트(20)에 설정한 함 이상으로 장력이 작용할 때 제1링크부재(120)와 제2링크부재(140)가 순차 회전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2지지축(130)은 볼트형태일 수 있고 외면에 너트(131)가 체결됨으로써 제1링크부재(120)와 제2링크부재(14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지지축(130)은 리벳과 같은 체결수단으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벨트(20)와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140) 단부에는 벨트(20)의 연결을 위해 좁고 긴 슬롯형태의 벨트결합홈(142)이 형성된다.
제2링크부재(14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탑승자를 결속하는 벨트(20)에 장력이 작용하면 전방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벨트(20)가 연결된 지지점이 전방 하측으로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제2링크부재(140)가 회전함으로써 벨트(20)의 지지점이 도 9의 A지점에서 B지점으로 변경될 수 있다.
벨트앵커장치(100)는 벨트(20)에 작용하는 장력이 설정값 미만일 경우 도 2에 도시한 예처럼 제1링크부재(120)가 초기위치에 걸려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고, 벨트(20)에 작용하는 장력이 설정값 이상일 때 도 8에 도시한 예처럼 제1링크부재(120)의 걸림이 해제되면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장치를 구비한다.
걸림장치는 도 3과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링크부재(120)의 회전연결부(121)에 마련된 걸림홈(161)과, 제1링크부재(120)가 초기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걸림홈(161)이 걸릴 수 있도록 지지부재(150)의 하판(152) 상면에 돌출하도록 마련된 스토퍼부(162)와, 제1링크부재(120)를 스토퍼부(162) 쪽으로(하방으로) 가압해 걸림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부재(163)를 포함한다.
탄성부재(163)는 도 3에 도시한 예처럼 지지부재(150)의 상판(151)과 제1링크부재(120) 회전연결부(121) 사이의 제1지지축(110) 외면에 결합되어 회전연결부(121)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탄성부재(163)는 제1지지축(110) 외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가 지지부재(150)의 상판(151) 하면에 지지되고 하부가 제1링크부재(120)의 회전연결부(121) 상면에 지지됨으로써 제1링크부재(120)의 회전연결부(121)를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링크부재(120)는 초기위치에 놓인 상태(도 2의 상태)에서 회전연결부(121)가 탄성부재(163)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므로 회전연결부(121)의 걸림홈(161)이 스토퍼부(162)에 걸려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초기위치에서 회전이 제한된 상태로 유지되는 제1링크부재(12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20)의 장력이 설정값 이상으로 작용할 경우, 벨트(20)가 당기는 힘에 의해 제1링크부재(120)의 회전연결부(121)가 탄성부재(163)의 탄성을 이기고 상승하여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 값이란 탄성부재(163)가 회전연결부(121)를 가압하는 힘으로 설정될 수 있으므로, 탄성부재(163)의 변경을 통해 쉽게 조절할 수 있다.
걸림이 해제된 제1링크부재(12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20)가 당기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2링크부재(140)가 연결된 연장부(122)의 위치가 측방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음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벨트앵커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평소에 탑승자가 벨트(20)를 체결할 때는 도 2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앵커장치(100)의 제1링크부재(120)가 초기위치(후방위치)로 회전한 상태에서 스토퍼부(162)에 걸려 회전이 제한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제1링크부재(120)의 연장부(122)에 결합된 제2링크부재(140)도 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대체로 직립을 유지한다.
이처럼 평소에 벨트(20)를 결속한 상태에서 운행할 때는 벨트앵커장치(100)에 결합되는 벨트(20)의 지지점(제2링크부재의 벨트결합홈)이 후방 쪽에 높게 위치하기 때문에 벨트(20)의 편안한 착용이 가능하다. 즉 평상시에는 제1링크부재(120)와 제2링크부재(140)가 도 2와 도 5에 도시한 상태대로 후방 쪽에 위치하여 벨트(20)의 지지점을 비교적 높게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충돌사고나 차량의 급제동 등으로 탑승자의 신체가 급격히 전방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반 쪽을 결속하는 하측 벨트(20)가 설정한 힘 이상으로 당겨지면서 제1링크부재(120)의 걸림이 해제되고, 제2링크부재(140)가 벨트의 당김에 의해 전방 하측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벨트(20)의 지지점도 전방 하측으로 이동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벨트(20)의 장력이 설정한 힘 이상으로 작용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제1링크부재(120)의 회전연결부(121)가 탄성부재(163)의 탄성을 이기고 약간 상승하게 되므로 제1링크부재(120)의 걸림홈(161)이 스토퍼부(162)로부터 이탈하여 걸림이 해제된다. 즉 제1링크부재(120)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제1링크부재(120)의 걸림이 해제된 후에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20)의 장력에 의해 제1링크부재(120)가 회전하여 제1링크부재(120)의 연장부(122) 및 이에 결합된 제2링크부재(140)가 시트(10)의 측방으로 이동한다. 이후 제2링크부재(14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벨트(20)의 당김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하여 벨트(20)의 지지점을 전방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즉 벨트(20)의 지지점이 A위치에서 B위치로 변경된다.
본 실시 예의 벨트앵커장(100)는 도 9의 예처럼 충돌사고나 급제동 시 벨트(20)의 지지점이 전방 하측으로 이동하면, 벨트(20)가 탑승자의 골반 아래 쪽을 결속할 수 있도록 하므로 탑승자의 신체가 벨트(20)의 아래로 내려가는 서브마린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설령 벨트(20)의 부정확한 착용으로 아래 쪽 벨트(20)가 골반 위쪽을 결속한 상태이더라도, 사고 시에는 벨트앵커장치(100)의 동작에 의해 벨트(20)의 지지점이 전방 하측으로 이동해 벨트(20)를 아래로 당겨주므로 벨트(20)의 결속위치를 골반 하측으로 유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탑승자 신체의 서브마린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탑승자가 벨트(20)를 풀 경우에는 리트렉터(30)에 의해 벨트(20)가 상방으로 당겨지므로 벨트앵커장치(100)의 제1링크장치(120)와 제2링크장치(140)가 후방 상측으로 당겨진다. 따라서 벨트앵커장치(1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기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100: 벨트앵커장치, 110: 제1지지축,
120: 제1링크부재, 130: 제2지지축,
140: 제2링크부재, 150: 지지부재,
161: 걸림홈, 162: 스토퍼부,
163: 탄성부재.

Claims (9)

  1. 시트 하측 측후방의 차체에 고정되며 축선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제1지지축;
    상기 제1지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연결부와, 이 회전연결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갖춘 제1링크부재; 및
    상기 제1지지축의 축선과 교차하도록 그 축선이 횡방향으로 배치된 제2지지축에 의해 한쪽이 상기 제1링크부재의 연장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쪽이 탑승자를 결속하는 벨트와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링크부재는 초기에 직립을 유지하다가 상기 벨트에 장력이 작용할 때 상기 벨트의 지지점이 전방 하측으로 변경되도록 회전하는 벨트앵커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축에 설치되며, 상기 제1링크부재의 회전연결부가 초기위치에서 걸려 구속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연결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스토퍼부를 갖춘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벨트앵커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재의 회전연결부는 상기 제1지지축에 회전 및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하면에 상기 스토퍼부에 걸리는 걸림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1지지축에 설치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걸림홈이 상기 스토퍼부에 걸린상태로 유지되는 벨트앵커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부재는 상기 벨트의 장력이 설정값 이상일 때 상기 회전연결부가 상승하여 걸림이 해제되고, 걸림 해제 후 상기 벨트가 당기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벨트앵커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지지축에 결합되며 상기 스토퍼부가 마련된 하판;
    상기 하판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제1지지축에 결합되는 상판; 및
    상기 하판과 상판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를 포함하는 벨트앵커장치.
  7. 차체에 회전 및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링크부재;
    한쪽이 상기 제1링크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쪽이 탑승자를 결속하는 벨트와 연결되는 제2링크부재; 및
    상기 벨트에 작용하는 장력이 설정값 미만일 때 상기 제1링크부재가 걸려 구속되도록 하고, 상기 벨트에 작용하는 장력이 설정값 이상일 때 상기 제1링크부재의 걸림이 해제되어 회전하도록 하는 걸림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장치는,
    상기 제1링크부재에 마련된 걸림홈;
    상기 제1링크부재가 초기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이 걸릴 수 있는 스토퍼부; 및
    상기 제1링크부재를 상기 스토퍼부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벨트앵커장치.
  8. 삭제
  9. 제1항,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벨트앵커장치를 포함하는 안전벨트장치.
KR1020160112989A 2016-09-02 2016-09-02 벨트앵커장치 및 이를 갖춘 안전벨트장치 KR101782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989A KR101782415B1 (ko) 2016-09-02 2016-09-02 벨트앵커장치 및 이를 갖춘 안전벨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989A KR101782415B1 (ko) 2016-09-02 2016-09-02 벨트앵커장치 및 이를 갖춘 안전벨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2415B1 true KR101782415B1 (ko) 2017-09-28

Family

ID=60035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989A KR101782415B1 (ko) 2016-09-02 2016-09-02 벨트앵커장치 및 이를 갖춘 안전벨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41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4902B2 (en) 2005-12-22 2011-06-07 Intier Automotive Seating Systems Gmbh Seat belt fitting for a reversible sea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4902B2 (en) 2005-12-22 2011-06-07 Intier Automotive Seating Systems Gmbh Seat belt fitting for a reversible se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1274B2 (en) Child safety seat
US82568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ttaching a child safety seat to a vehicle seat
EP3326859B1 (en) Child car seat
US9809193B2 (en) Shock absorbing height adjusters for restraint system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DE60021053T2 (de) Rutschhemmendes Oberkörperrückhaltesystem
US7971908B2 (en) Guide assembly for a safety belt
US9586505B2 (en) Harness tensioner for child safety seat
CN105936255B (zh) 安全带安装系统
KR20100029718A (ko) 아동용 카시트
US10953847B2 (en) Height adjusters with anti-cinch features for occupant restraint systems
WO2005102112A2 (en) Adjustable height vehicle seat bottom
EP2492158A1 (en) Seat belt assembly
WO2013061308A2 (en) Child restraint system
KR101755993B1 (ko) 자동차 시트벨트 버클의 서브마린 방지 장치
KR101782415B1 (ko) 벨트앵커장치 및 이를 갖춘 안전벨트장치
WO2005115192A1 (en) A safety-belt tongue and a safety-belt arrangement
US20060017275A1 (en) Cross-car adjustable strap buckle
WO2006134393A1 (en) Belt tension indicator
JP2016097869A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KR101840194B1 (ko) 버클앵커장치 및 이를 갖춘 안전벨트장치
US1118620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taining a crotch buckle
DE60223320T2 (de) Kindersicherheitssitz
US20050044671A1 (en) Safety belt web adjuster
KR102139422B1 (ko) 버스시트의 선택형 3점식 벨트 장치
JP2010280337A (ja) アンカ位置調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