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380B1 - 자외선 경화장치 - Google Patents

자외선 경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380B1
KR101782380B1 KR1020160050095A KR20160050095A KR101782380B1 KR 101782380 B1 KR101782380 B1 KR 101782380B1 KR 1020160050095 A KR1020160050095 A KR 1020160050095A KR 20160050095 A KR20160050095 A KR 20160050095A KR 101782380 B1 KR101782380 B1 KR 101782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violet
irradiation
unit
illuminance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0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구
정육일
박민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케이
Priority to KR1020160050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3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involving 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H05B33/084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1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for treating before, during or after printing or for uniform coating or laminating the copy material before or after printing
    • B41J11/002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 B41J11/0021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using irradiation
    • B41J11/00214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using irradiation using UV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자외선 경화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장치는 내장된 자외선 엘이디를 통해 자외선 경화수지의 경화를 위한 자외선을 외부로 조사하는 조사유닛; 상기 자외선 엘이디의 구동 전원 및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제어하는 컨트롤유닛; 및 상기 조사유닛과 한 몸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자외선 엘이디를 통해 조사되는 자외선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측정기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외선 경화장치{ULTRA VIOLET CURING APPARATUS}
개시된 발명은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 경화수지를 경화시키는 자외선 경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 경호장치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자외선 잉크와 같은 자외선 경화수지를 경화시키는 장치로써, 반도체소자, 기판 등을 포함하는 전자부품의 표면처리, 접착, 코팅, 인쇄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외선 경화장치는 자외선 광원을 구비하여 자외선을 조사하는 조사유닛과, 자외선 광원의 전원 및 구동신호를 공급하고 제어하는 컨트롤유닛을 구비한다.
근래까지 자외선 경화장치에 채용되는 자외선 광원으로는 아크 램프가 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아크 램프는 발열량 및 소비전력이 크고, 수명이 짧으며, 자외선의 출력조절이 어려운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최근 자외선 경화장치 중에는 자외선 엘이디를 조사유닛의 자외선 광원으로 채용함으로써, 자외선의 출력조절이 용이하게 되도록 함은 물론, 자외선 광원의 수명 및 전력소비가 개선되도록 한 것들이 등장하고 있다.
한편, 자외선 엘이디는 장시간 사용할 경우, 입력 전류 대비 출력 값이 저하되면서 제대로 된 경화작용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자외선 경화장치의 사용 중에는 수시로 자외선 엘이디의 조도를 측정하여 그 이상유무를 판단함으로써, 자외선 엘이디를 교체 또는 보수하게 된다.
자외선 엘이디의 조도 측정에는 통상 휴대용 조도측정기가 이용되고 있다. 자외선 조도 측정시 작업자는 조도를 측정하고 하는 자외선 엘이디 쪽으로 휴대용 조도측정기를 위치시켜 자외선 엘이디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의 조도를 측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외선 경화장치의 조도 측정방식에서는 작업자 별로 조도 측정기와 자외선 엘이디 사이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조도 측정 오차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조도측정기를 별도의 고정지그에 설치하여 자외선 엘이디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볼 수도 있겠으나, 이때는 고정지그의 추가로 인해 자외선 경화장치의 시스템 구성이 늘어나게 되면서 자외선 경화장치의 구축에 따른 비용부담이 커질 우려가 높아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86133호
자외선 광원으로 사용되는 자외선 엘이디의 조도 측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외선 경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자외선 광원으로 사용되는 자외선 엘이디의 조도 측정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면서도 장치의 구축비용에 따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자외선 경화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장된 자외선 엘이디를 통해 자외선 경화수지의 경화를 위한 자외선을 외부로 조사하는 조사유닛; 상기 자외선 엘이디의 구동 전원 및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제어하는 컨트롤유닛; 및 상기 조사유닛과 한 몸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자외선 엘이디를 통해 조사되는 자외선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측정기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사유닛은 상기 자외선 엘이디 복수개를 구비하여 외부로 조사되는 자외선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라인형 빔을 이루도록 마련되고, 상기 조도측정기는 일부 자외선 엘이디의 자외선 조도를 측정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가 연결되고 상기 조사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조사유닛에 장착되는 몸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사유닛은 상기 자외선 엘이디가 내장되고 외부로의 자외선 조사를 위한 조사구멍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자외선 엘이디의 광을 집광하여 외부로 조사하기 위해 상기 조사구멍에 설치되는 집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사구멍은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직선형의 슬릿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자외선 엘이디는 띠 형태로 배열된 복수개가 기판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조사구멍 안쪽의 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집광부재는 상기 조사구멍의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조도측정기의 몸체부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집광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조사구멍은 상기 하우징 하면에 마련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후면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며, 상기 센싱부는 상기 몸체부 저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하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전면 과 후면 중 어느 하나에는 양 측방으로 장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장착부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부착되는 부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장착부와 부착부는 어느 하나가 홈 형태로 마련되고 다른 하나가 돌기 형태로 마련되어 상호 분리 가능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그 사이에 자기적 인력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조사유닛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장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조사유닛은 내장된 자외선 엘이디를 통해 외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복수의 조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사모듈은 그 숫자에 대응하여 상기 조사유닛을 통해 조사되는 라인형 빔이 확장 또는 축소되도록 상호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조사모듈에는 상기 장착부 길이방향의 일부구간을 형성하는 모듈장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모듈장착부는 상기 조사모듈 간의 결합시 상호 연이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조사유닛은 자외선을 하방으로 조사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센싱부는 자외선 조도 측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조사유닛 하방으로 위치되는 제1자세와, 자외선 조사동작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조사유닛 하방으로부터 물러나는 제2자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 자세전환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장치에 의하면, 자외선 엘이디의 조도 측정을 위한 조도측정기가 자외선 엘이디가 내장된 조사유닛과 한 몸을 이룬 상태에서 자외선의 조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되므로, 자외선의 조도 측정오차를 줄여 자외선 엘이디의 조도 측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도측정기가 조사유닛과 한 몸을 이루는 자외선 경화장치는 별도의 고정지그 없이도 자외선 엘이디의 조도 측정 효율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조도측정 효율 향상에 따른 장치의 구축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사유닛의 단면도로, 조도측정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도측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도측정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도측정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조사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로, 조도측정기의 이동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장치에 있어서, 조사유닛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정면도로, 조도측정기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도 7의 저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장치에 있어서, 조도측정기의 일 변형 예를 도시한 측면도로, 센서부의 자세전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장치에 있어서, 조도측정기의 다른 변형 예를 도시한 측면도로, 센서부의 자세전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제시한 실시 예만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구성요소의 크기를 다소 과장하여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다른 자외선 경화장치(1)는 자외선 잉크와 같은 자외선 경화수지의 경화를 위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조사유닛(10)과, 컨트롤유닛(20)을 구비한다.
자외선 경화장치(1)를 통해 경화되는 경화대상물은 반도체소자, 기판과 같은 전자부품을 포함하고, 자외선 경화수지는 경화대상물에 접착, 코팅, 인쇄 등의 형태로 추가되는 경화부를 구성할 수 있다.
경화대상물이 이송되는 형태로 마련될 경우, 조사유닛(10)은 경화부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는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고정된 경화대상물을 경화시키고자 할 경우, 조사유닛(10)은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조사유닛(10)은 자외선 광원으로써 자외선 엘이디(11)를 구비한다. 자외선 엘이디(11)는 자외선의 출력 조절이 용이하고, 다양한 파장의 자외선 출력이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또 수명이 길고 전력 소모가 적은 자외선 일이디(11)는 경제적으로도 유리한 이점을 갖는다.
컨트롤유닛(20)은 전원부(21)와 제어부(22)를 구비하여 자외선 엘이디(11)의 자외선 조사에 따른 구동 전원 및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제어한다. 컨트롤유닛(20)과 조사유닛(10) 사이는 케이블(30)을 통해 접속된다. 케이블(30)은 전원선과 신호선이 하나로 묶인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자외선 엘이디(11)는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입력 전류 대비 출력 값이 저하되면서 제대로 된 경화작용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자외선 경화장치(1)의 사용도중에는 조도가 저하된 자외선 엘이디(11)를 확인하여 교체하거나 보수하기 위해 조사유닛(10)의 자외선 조도를 수시로 측정하게 된다.
자외선 경화장치(1)는 자외선의 조도를 측정하기 위해 조도측정기(40)를 구비한다.
조도측정기(40)는 자외선 엘이디(11)의 조도 측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조사유닛(10)과 한 몸을 이룬 상태에서 자외선 엘이디(11)를 통해 조사되는 자외선의 조도를 측정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조도측정기(40)는 자외선 엘이디(11)의 자외선 조도를 측정하는 센싱부(41)와, 센싱부(41)가 연결되고 조사유닛(10)에 장착되도록 마련된 몸체부(42)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사유닛(10)과, 조사유닛(10)에 장착되는 조도측정기(40)의 상세한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조사유닛(10)은 자외선 조사를 위한 조사구멍(12a)을 구비하여 자외선 엘이디(11)가 내장되는 하우징(12)을 구비한다. 하우징(12)은 복수의 패널로 조립된 박스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30)의 접속을 위해 하우징(12) 일측으로는 접속부(19)가 마련될 수 있다.
자외선 엘이디(11)는 복수개가 기판(13)에 띠 형태로 배열되게 장착될 수 있고, 자외선 엘이디(11)들이 장착된 기판(13)은 조사구멍(12a) 상부의 하우징(12) 내부에 하우징(12)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자외선 엘이디(11)는 가시광을 발광하는 통상의 엘이디에 비해 자기발열량이 크다. 따라서 자외선 엘이디(11)의 구동시 발생하는 열기의 방열을 위해 기판(13) 상부에는 히트싱크(14)가 설치되고, 히트싱크(14) 상부 하우징(12)에는 히트싱크(14)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팬(15)이 설치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2b는 하우징(12) 내부공간의 통기를 위한 팬그릴을 가리킨다.
이와 달리, 히트싱크(14) 주변의 하우징(12)에 냉각유체의 유동을 위한 밀폐된 냉각유로(미도시)를 형성하고, 냉각유로(미도시)로 외부의 냉각유체를 공급시켜 순환시키는 방식을 채용할 경우, 냉각팬(15)은 삭제가 가능하다.
조사구멍(12a)에는 자외선 엘이디(11)의 광을 집광하여 외부로 조사하기 위한 집광부재(16)가 설치될 수 있다. 조사구멍(12a)은 하우징(12)의 하면에 하우징(12)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느다란 슬릿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집광부재(16)는 석영유리와 같이 자외선 집광이 가능한 소재를 통해 조사구멍(12a)의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자외선 엘이디(11)의 자외선은 집광부재(16)를 통해 라인 형태로 집광된 상태에서 하우징(12) 외부로 조사되며, 이에 따라 조사유닛(10)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의 조사영역은 라인 형태의 라인형 빔을 이루게 된다. 라인 형태로 조사되는 자외선은 경화대상물 표면을 스캔하듯이 이동하며 짧은 시간 내에 경화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유리하다.
그리고 조도측정기(40)의 센싱부(41)에는 자외선을 수광하도록 조도센서(43)가 마련되며, 몸체부(42)에는 조도센서(41a)를 통해 측정된 자외선 조도값을 표시하고 조도측정기(40)의 조작을 위한 디스플레이(44)와 조작버튼(45)이 마련될 수 있다. 또 몸체부(42) 상부에는 조도측정기(40)의 이동시 손으로 잡기 위한 손잡이(46)가 연결되고, 몸체부(42) 측면에는 컨트롤유닛(20)으로부터 전원이나 신호를 공급받기 위해 상기 케이블(30)의 접속을 위한 접속구(47,48)가 마련될 수 있다.
몸체부(42)는 조사유닛(10)의 전면에 장착되고, 센싱부(41)는 조도센서(43)에 자외선이 수광 될 수 있게 몸체부(42) 저부로부터 조사유닛(10)의 하면으로 연장되게 마련될 수 있다.
몸체부(42)가 조사유닛(10)의 하우징(12) 전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몸체부(42) 이면에는 부착부(47)가 마련되고, 하우징(12) 전면에는 부착부(47)의 장착을 위한 장착부(17)가 마련될 수 있다.
조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자외선 엘이디(11)의 위치에 따라 조도측정기(4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몸체부(42)는 조사유닛(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조사유닛(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장착부(17)는 하우징(12) 전면에 하우징(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부착부(47)는 장착부(17)에 분리 가능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달리 장착부(17)의 위치는 하우징(12)의 후면으로도 변경이 가능하다.
장착부(17)는 돌기 형태로 돌출되고, 부착부(47)는 장착부(71)가 내부로 끼워지는 홈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범위 내에서 장착부(17)와 부착부(47)는 부착부(47)가 돌기 형태로 마련되고 장착부(17)가 홈 형태를 취하도록 그 형태가 뒤바뀔 수 있다.
장착부(17)는 집광부재(16)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그 일단이 집광부재(16) 측방으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이때는 필요시 조도측정기(40)를 집광부재(16)의 측방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조사유닛(10)에 장착된 조도측정기(40)가 조사유닛(10)의 자외선 조사동작에 간섭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조도측정기(40)가 장착부(17)를 따라 슬라이딩 하는 과정에서 조사유닛(10)으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없도록 부착부(47)와 장착부(17)는 그 사이에 자기적 인력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부착부(47)와 장착부(17) 사이에 자기적 인력이 형성되도록 장착부(17)는 강철과 같은 자성체로 마련하고, 장착부(17)와 접촉하는 부착부(47) 내면에는 자석부재(48)를 설치할 수 있다.
부착부(47)를 자성체로 구성하고, 장착부(17)에 자석부재(48)가 설치되도록 하거나, 자석부재(48)를 부착부(47)와 장착부(17) 양쪽 모두에 마련되도록 하는 등 부착부(47)와 장착부(17)는 그 사이에 자기적 인력이 형성되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일 변형 예를 도시한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사유닛(10A)은 복수의 조사모듈(100)로 구성되어 구비된 조사모듈(100)의 숫자에 대응하여 라인형 빔이 확장 또는 축소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이때 개별 조사모듈(100)들은 한 몸을 이룰 수 있도록 상호 결합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사유닛(10A)은 한 몸을 이루게 되는 조사모듈(100)의 숫자에 따라 라인형 빔을 형성하는 자외선의 조사영역이 확장되거나 축소되므로, 자외선 조사영역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자외선 조사영역이 서로 다른 다양한 조사유닛의 구현에 따른 비용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사유닛(10A)은 일부 조사모듈(100)만을 손쉽게 교체하거나 보수할 수 있어 부분적인 교체 및 보수에 따른 이용 편리성도 향상될 수 있다.
조사모듈(100)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일측의 조사모듈(100)에 장착된 조도측정기(40)가 타측의 조사모듈(100) 쪽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개별 조사모듈(100)에는 조도측정기(40)의 부착부(47)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모듈장착부(110)가 마련되고, 각 조사모듈(100)의 모듈장착부(110)는 조사모듈(100) 간의 결합시 상호 연이어지면서 조사유닛(10A)의 장착부(17A)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도측정기(40)는 조사유닛(10A)을 형성하는 조사모듈(100)의 숫자에 상관없이 조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조사모듈(100) 쪽으로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각각의 조사모듈(100)은 모듈하우징(120)을 구비하고, 모듈하우징(120)에는 자외선 엘이디(11)를 포함하는 전술한 상기 조사유닛(10)의 구성 품목들이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 조사모듈(100)은 조사모듈(100) 사이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한 쌍의 접속연결부(130)와, 조사모듈(100) 사이를 분리 가능한 상태로 결합시켜 한 몸을 이루도록 하는 한 쌍의 결합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접속연결부(130) 및 결합부(140)는 조사모듈(100) 사이의 결합을 위한 모듈하우징(120)의 결합면(121)에 마련될 수 있으며, 결합면은(121) 모듈 하우징(120)의 양쪽 측면을 통해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결합부(140)는 일측 결합면(121)에 돌기 형태로 마련된 제1결합부(141)와, 타측 결합면(121)에 제1결합부(141)가 끼워져 체결될 수 있는 홈 형태로 마련된 제2결합부(142)로 구분될 수 있다. 또 제1 및 제2결합부(141,142)는 각각 한 쪽 결합면(121)에 한 쌍씩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조사모듈(100)은 제1 및 제2결합부(141,142) 간의 결합구조를 통해 상호 연속적으로 결합되면서 한 몸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접속연결부(130)는 자외선 엘이디(11)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과 신호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로써, 제1접속연결부(131)와, 제1접속연결부(131)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된 제2접속연결부(132)를 포함하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접속연결부(131)와 제2접속연결부(132)를 한 쌍의 결합면(121)에 각각 구분하여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접속연결부(130)는 조사모듈(100) 사이를 물리적으로 결합시키는 결합부(140)의 기능을 보조할 수 있게 된다. 제1접속연결부(131)는 결합면(121)으로부터 돌출되고, 제2접속연결부(132)는 결합면(121) 안쪽으로 인입되게 마련될 수 있다.
또 조사유닛(10A)은 마감모듈(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감모듈(200)은 결합부(140)와 접속연결부(130)가 마련된 조사모듈(100)의 결합면(121)을 덮어 가림으로써, 조사유닛(10A)의 연장방향 양쪽 단부를 마감할 수 있다.
마감모듈(200)의 일 측면에는 제1결합부(141) 또는 제2결합부(142)와, 제1접속연결부(131) 또는 제2접속연결부(132)가 조사모듈(100)에 마련된 것과 동일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마감모듈(200)은 조사모듈(100) 사이를 결합시키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자외선 조사모듈(100)의 결합면(121)에 결합될 수 있다.
컨트롤유닛(20)으로부터 자외선 엘이디(11)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 및 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게 한 쌍의 마감모듈(20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케이블(30)의 접속을 위한 접속부(210)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조사유닛(10A)의 조립시에는 복수의 조사모듈(100)을 결합시켜 상호 한 몸을 이루도록 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한 쌍의 결합면(121)에 각각 마감모듈(200)을 체결하여 조사유닛(10A)의 양쪽 측방을 마감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접속부(210)에 상기 케이블(30)을 체결함에 따라 컨트롤유닛(20)을 통해 마감모듈(200)로 입력된 외부 전원 및 신호는 접속연결부(130)를 통해 각각의 조사모듈(100)로 인가된다. 이에 따라 조사모듈(100)들의 모든 자외선 엘이디(11)는 컨트롤유닛(20)에 의해 제어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또 복수의 조사모듈(100)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집광부재(16) 사이가 상호 접촉된 상태로 연이어지도록 집광부재(16)는 양쪽 끝단이 각각 한 쌍의 결합면(121)에 위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호 결합된 개별 조사모듈(100)의 각 집광부재(16)들이 상호 연이어지게 되면서 조사유닛(10A)을 통해 조사되는 자외선은 전체적으로도 끊어짐이 없이 연속된 라인형 빔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조도측정기의 변형 예를 도시한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부(41)는 자외선 조도 측정이 가능하도록 조사유닛(10) 하방으로 위치되는 제1자세와, 조사유닛(10)의 자외선 조사동작에 간섭되지 않도록 조사유닛(10) 하방으로부터 물러나는 제2자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몸체부(42)에 자세전환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9와 같이, 조도측정기(40A)는 센싱부(41A)가 제1회전결합(48)부를 통해 몸체부(42A) 저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조도측정기(40A)는 조도센서(43)가 집광부재(16) 직하방으로 위치되도록 일 측방으로 회전된 제1자세에서 자외선 엘이디(11)의 조도 측정이 가능하게 되고, 타 측방으로 회전된 제2자세에서 몸체부(42A) 외측으로 위치되면서 자외선 조사동작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도측정기(40B)는 센싱부(41B)가 제2회전결합부(49)를 통해 몸체부(42B) 저부에 수직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조도측정기(40B)는 조도센서(43)가 집광부재(16) 직하방으로 위치되도록 상부로 회전된 제1자세에서 자외선 엘이디(11)의 조도 측정이 가능하게 되고, 하부로 회전된 제2자세에서 몸체부(42B) 저부로 위치되면서 자외선 조사동작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센싱부(41A,41B)의 자세가 전환되는 조도측정기(40A,40B)는 조사유닛(10)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조사유닛(10)의 자외선 조사동작에 간섭될 우려가 없게 된다.
1: 자외선 경화장치 10: 조사유닛
11: 자외선 엘이디 12: 하우징
13: 기판 14: 히트싱크
15: 냉각팬 16: 집광부재
17: 장착부 20: 컨트롤유닛
30: 케이블 40: 조도측정기
41: 센싱부 42: 몸체부
43: 조도센서 47: 부착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내장된 자외선 엘이디를 통해 자외선 경화수지의 경화를 위한 자외선을 외부로 조사하는 조사유닛; 상기 자외선 엘이디의 구동 전원 및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제어하는 컨트롤유닛; 및 상기 조사유닛과 한 몸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자외선 엘이디를 통해 조사되는 자외선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측정기를 포함하되,
    상기 조사유닛은 상기 자외선 엘이디 복수개를 구비하여 외부로 조사되는 자외선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라인형 빔을 이루도록 마련되고,
    상기 조도측정기는 일부 자외선 엘이디의 자외선 조도를 측정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가 연결되고 상기 조사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조사유닛에 장착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사유닛은 상기 자외선 엘이디가 내장되고 외부로의 자외선 조사를 위한 조사구멍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자외선 엘이디의 광을 집광하여 외부로 조사하기 위해 상기 조사구멍에 설치되는 집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사구멍은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직선형의 슬릿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자외선 엘이디는 띠 형태로 배열된 복수개가 기판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조사구멍 안쪽의 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집광부재는 상기 조사구멍의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조도측정기의 몸체부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집광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조사구멍은 상기 하우징 하면에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면과 후면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센싱부는 상기 몸체부 저부로부터 상기 하우징 하면으로 연장된 자외선 경화장치.
  5. 내장된 자외선 엘이디를 통해 자외선 경화수지의 경화를 위한 자외선을 외부로 조사하는 조사유닛; 상기 자외선 엘이디의 구동 전원 및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제어하는 컨트롤유닛; 및 상기 조사유닛과 한 몸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자외선 엘이디를 통해 조사되는 자외선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측정기를 포함하되,
    상기 조사유닛은 상기 자외선 엘이디 복수개를 구비하여 외부로 조사되는 자외선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라인형 빔을 이루도록 마련되고,
    상기 조도측정기는 일부 자외선 엘이디의 자외선 조도를 측정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가 연결되고 상기 조사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조사유닛에 장착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사유닛은 상기 자외선 엘이디가 내장되고 외부로의 자외선 조사를 위한 조사구멍을 구비하는 하우징과, 상기 자외선 엘이디의 광을 집광하여 외부로 조사하기 위해 상기 조사구멍에 설치되는 집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사구멍은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직선형의 슬릿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자외선 엘이디는 띠 형태로 배열된 복수개가 기판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조사구멍 안쪽의 하우징에 내장되고, 상기 집광부재는 상기 조사구멍의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조도측정기의 몸체부는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집광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 과 후면 중 어느 하나에는 양 측방으로 장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장착부에 이동 가능한 상태로 부착되는 부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장착부와 부착부는 어느 하나가 홈 형태로 마련되고 다른 하나가 돌기 형태로 마련되어 상호 분리 가능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되, 그 사이에 자기적 인력이 형성되도록 마련된 자외선 경화장치.
  6. 내장된 자외선 엘이디를 통해 자외선 경화수지의 경화를 위한 자외선을 외부로 조사하는 조사유닛; 상기 자외선 엘이디의 구동 전원 및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제어하는 컨트롤유닛; 및 상기 조사유닛과 한 몸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자외선 엘이디를 통해 조사되는 자외선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측정기를 포함하되,
    상기 조사유닛은 상기 자외선 엘이디 복수개를 구비하여 외부로 조사되는 자외선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라인형 빔을 이루도록 마련되고,
    상기 조도측정기는 일부 자외선 엘이디의 자외선 조도를 측정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가 연결되고 상기 조사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조사유닛에 장착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사유닛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몸체부에는 상기 장착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조사유닛은 내장된 자외선 엘이디를 통해 외부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복수의 조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사모듈은 그 숫자에 대응하여 상기 조사유닛을 통해 조사되는 라인형 빔이 확장 또는 축소되도록 상호 결합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조사모듈에는 상기 장착부 길이방향의 일부구간을 형성하는 모듈장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모듈장착부는 상기 조사모듈 간의 결합시 상호 연이어지도록 마련된 자외선 경화장치.
  7. 내장된 자외선 엘이디를 통해 자외선 경화수지의 경화를 위한 자외선을 외부로 조사하는 조사유닛; 상기 자외선 엘이디의 구동 전원 및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제어하는 컨트롤유닛; 및 상기 조사유닛과 한 몸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자외선 엘이디를 통해 조사되는 자외선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측정기를 포함하되,
    상기 조사유닛은 상기 자외선 엘이디 복수개를 구비하여 외부로 조사되는 자외선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라인형 빔을 이루도록 마련되고,
    상기 조도측정기는 일부 자외선 엘이디의 자외선 조도를 측정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가 연결되고 상기 조사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조사유닛에 장착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사유닛은 자외선을 하방으로 조사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센싱부는 자외선 조도 측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조사유닛 하방으로 위치되는 제1자세와, 자외선 조사동작에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조사유닛 하방으로부터 물러나는 제2자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에 자세전환 가능하게 결합된 자외선 경화장치.



KR1020160050095A 2016-04-25 2016-04-25 자외선 경화장치 KR101782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095A KR101782380B1 (ko) 2016-04-25 2016-04-25 자외선 경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0095A KR101782380B1 (ko) 2016-04-25 2016-04-25 자외선 경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2380B1 true KR101782380B1 (ko) 2017-09-27

Family

ID=60036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0095A KR101782380B1 (ko) 2016-04-25 2016-04-25 자외선 경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38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3146A (ja) * 2001-06-25 2003-01-08 Canon Inc 光学部材の接着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3146A (ja) * 2001-06-25 2003-01-08 Canon Inc 光学部材の接着方法及び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4155A (ko) 신속한 프로토타이핑 장치의 개량
JP5230875B2 (ja) 光照射装置の光照射方法及び光照射装置
US20050023488A1 (en) Ultraviolet irradiating device
KR20140114470A (ko) 자외선 경화 시스템
KR20170121530A (ko) 자외선 조사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장치
JP5035272B2 (ja) 光照射装置
KR101782380B1 (ko) 자외선 경화장치
KR101374863B1 (ko) 자외선 경화기용 광학 유닛
JP2022191212A (ja) フォトポリマー露光で使用するためのuv led放射光源
KR20220103688A (ko) 잉크젯 다파장 경화기
KR101257801B1 (ko) 실런트 경화장치 및 실런트 경화장치 제어방법
CN107364226A (zh) 光照射装置
KR20130022448A (ko) 광측정기 교정 장치
TWI802626B (zh) 紫外線固化裝置
US10948422B2 (en) Device for emitt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particular UV radiation
JP2016193505A (ja) 長尺筐体、長尺筐体の支持機構、及び光照射装置
KR101550305B1 (ko) Uv를 이용한 가경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28824B1 (ko) 조립편의성이 향상된 조명등 어셈블리
KR101003189B1 (ko) 발광다이오드의 신뢰성 평가방법 및 장치
KR101826891B1 (ko) 자외선 경화 장치
JP2011039754A (ja) 照明装置及びデータセンター内の照明システム
KR101595564B1 (ko) Led를 이용한 자외선 경화기
JP2007289391A (ja) 光照射装置
WO2018025389A1 (ja) 不良箇所検出器具及び不良箇所検出方法
JP6779344B2 (ja) 不良箇所検出器具及び不良箇所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