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375B1 - 누수없이 정밀한 유량 검침이 가능한 수도계량기 - Google Patents

누수없이 정밀한 유량 검침이 가능한 수도계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375B1
KR101782375B1 KR1020160101680A KR20160101680A KR101782375B1 KR 101782375 B1 KR101782375 B1 KR 101782375B1 KR 1020160101680 A KR1020160101680 A KR 1020160101680A KR 20160101680 A KR20160101680 A KR 20160101680A KR 101782375 B1 KR101782375 B1 KR 101782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inlet
strainer
holes
tap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명철
Original Assignee
부경수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경수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부경수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1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3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05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 G01F1/1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mechanical effects using rotating vanes with axial admis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2Arrangement of flow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8Supports or connecting means for me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디(10)의 유입구(11)와 유로공간(12) 사이에는 격벽(15)이 마련되되, 상기 격벽(15)의 하부 일측에는 유입구(11)와 유로공간(12) 각각을 연결하는 관통공(16)이 형성되고; 상기 스트레이너(20)는, 일측에는 개구부(2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폐쇄된 헤드부(25)가 마련되고 측면부위에는 복수 개의 출수공(22)이 형성되되, 상기 개구부(21)는 상기 바디(10)의 유입구(11) 일단 부위에 밀착결합되고, 상기 헤드부(25)는 상기 격벽(15)의 일면 부위에 밀착되며, 상기 헤드부(25)의 상면에는 상기 격벽(15)의 관통공(16)과 연통되는 배출공(28)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25)의 측면에는 상기 배출공(28)과 연통되는 복수 개의 유입공(26)이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트레이너(20)의 개구부(21)로 유입되는 수돗물은 각 출수공(22)을 거쳐 각 유입공(26)으로 유입되어 합류한 상태로 상기 배출공(28)을 통해 격벽(15)의 관통공(16)으로 가이드되어 유로공간(12)에 설치되는 익차부(1)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없이 정밀한 유량 검침이 가능한 수도계량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누수없이 정밀한 유량 검침이 가능한 수도계량기{Water meter enable accuracy neasuring flow without water leakage}
본 발명은 수도계량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바디의 유입구로 유입되는 수돗물을 스트레이너를 통해 의도하는 특정 방향으로 가이드하여 바디에 설치되는 익차부로 배출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유입되는 수돗물 모두를 누수없이 익차부의 익차에 의해 정밀하게 계량할 수 있는 수도계량기에 관한 것이다.
수도계량기는 가정 또는 공장 등에 공급되는 수돗물의 유량을 측정하여 일정기간 동안 공급된 수돗물의 양의 계량하기 위한 장치로서, 수도계량기는 도 5에 개시된 것과 같이 좌우 각각에 유입구(20a) 및 배출구(20b)가 구비되고 중앙 부위에는 유입구(20a) 및 배출구(20b) 각각과 연결되는 유로공간(도면부호 미도시)이 마련되는 바디(20)와, 바디(20)의 유로공간에 설치되는 익차부(50) 및 검침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유입구(20a)에는 이물질 등의 필터링을 위한 스트레이너(21)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유입구(20a)로 수돗물이 유입되면, 유입되는 수돗물은 스트레이너(21)에 의해 필터링된 다음 익차부(50)의 익차(51)로 이동하면서 익차(51)를 회전시키게 되고, 익차(51)의 회전이 검침부(60)에 의해 카운트되어 기록되면서 일정기간 동안 바디(20)를 통한 수돗물의 이용량을 계량하게 된다. 이럴 경우 보다 정밀한 수돗물 계량을 위해서는 익차부(50)로 이동하는 수돗물이 익차부(50)의 각 익차(51) 방향으로 정확하게 가이드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 수도계량기의 유입구(20a)와 유로공간은 일정 단면적을 가지는 홀에 의해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유입구(20a)로 유입되는 수돗물은 익차부(50)의 각 익차(51) 방향으로 정확하게 가이드되지 않고 일정 단면적을 통해 동시에 배출된다는 점에서, 유입되는 수돗물의 유량과 익차의 회전이 정비례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 중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81700호가 있다.
이 기술은 도 6 및 도 7 각각과 같이 스트레이너(100) 내부에 유수면적가변부재(200)를 삽입하되, 유수면적가변부재(200)가 일측 단부로부터 타측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스트레이너(100)의 입구측으로 유입된 수돗물은 점차 축소되는 단면적을 따라 이동한 다음 최종적으로 스트레이너(100)의 출구측으로 배출되는 특징이 있다.
이럴 경우, 수돗물이 익차부의 익차가 위치하는 특정 방향으로 가이드되어 배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일정 범위 내에서 익차의 회전과 수돗물 유량 상호 간의 상관 관계를 담보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기술의 경우 도 7에서 알 수 있듯이, 스트레이너(100)의 입구측으로 유입되는 수돗물 모두가 스트레이너(100)의 출구측을 통해 배출되지 않고, 그 중 일부는 스트레이너(100)의 측면에 형성되는 관통공(120)들을 통해 곧 바로 익차부로 흘러 들어가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익차의 회전과 수돗물 유량 상호 간이 정확한 비례관계를 이루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81700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입되는 수돗물 모두를 특정 방향으로 가이드하여 익차로 유도함으로써 수돗물의 유량과 익차의 회전이 정확한 비례관계를 가질 수 있는 수도계량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측에는 수돗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수돗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3)가 마련되며 중앙 부위에는 유입구(11) 및 배출구(13) 각각과 연통되는 유로공간(12)이 마련되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유로공간(12)에 설치되는 익차부(1) 및 검침부(3)와, 상기 바디(10)의 유입구(11)에 삽입되는 스트레이너(20)를 포함하는 수도계량기로서, 상기 바디(10)의 유입구(11)와 유로공간(12) 사이에는 격벽(15)이 마련되되, 상기 격벽(15)의 하부 일측에는 유입구(11)와 유로공간(12) 각각을 연결하는 관통공(16)이 형성되고; 상기 스트레이너(20)는, 일측에는 개구부(2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폐쇄된 헤드부(25)가 마련되고 측면부위에는 복수 개의 출수공(22)이 형성되되 상기 개구부(21)에서 헤드부(25)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구부(21)는 상기 바디(10)의 유입구(11) 일단 부위에 밀착결합되고, 상기 헤드부(25)는 상기 격벽(15)의 일면 부위에 밀착되며, 상기 헤드부(25)의 상면에는 상기 격벽(15)의 관통공(16)과 연통되는 배출공(28)이 형성되되 상기 배출공(28)은 중앙 부위에서 하부 일측으로 편향되어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25)의 측면에는 상기 배출공(28)과 연통되는 복수 개의 유입공(26)이 환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각 유입공(26)은 개별 연결유로(27)에 의해 배출공(28)과 연결되며; 상기 스트레이너(20)의 개구부(21)로 유입되는 수돗물은 각 출수공(22)을 거쳐 각 유입공(26)으로 유입되어 합류한 상태로 상기 배출공(28)을 통해 격벽(15)의 관통공(16)으로 가이드되어 유로공간(12)에 설치되는 익차부(1)로 배출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바디의 유입구에 삽입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에는 상호 연결되는 유입공 및 배출공을 형성하고, 유입구의 출구 측에는 격벽을 마련하되 격벽의 하부에는 스트레이너의 배출공과 연결됨과 동시에 익차부의 익차가 위치하는 특정 방향으로 편향되어 위치하는 관통공을 형성하여 수돗물의 이동 경로를 제어함으로써, 수돗물의 유량과 익차의 회전이 정확한 비례 관계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계량기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도계량기에 있어 스트레이너의 개략적인 사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계량기에 있어 스트레이너의 개략적인 평면구성도.
도 4a는 도 3에 있어 A-A라인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
도 4b는 도 1에 있어 B-B라인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
도 5는 종래 수도계량기의 개략적인 일 단면구성도.
도 6은 종래 수도계량기에 있어 스트레이너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도 7은 도 6에 개시된 스트레이너가 장착된 수도계량기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도계량기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바디(10) 및 스트레이너(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하 이들 각각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바디(10)에는 유입구(11) 및 배출구(13), 그리고 유로공간(12)이 마련된다. 유입구(11) 및 배출구(13) 각각은 수돗물이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부분으로서, 바디(10)의 일측 부위 및 타측 부위 각각에 형성된다. 유로공간(12)은 바디(10)의 중앙 부위에 일정 크기로 형성되며, 유입구(11) 및 배출구(13) 각각과 연통된다. 바디(10)는 금속주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로공간(12)의 하측 부위에는 익차부(1)가 설치되며, 익차부(1) 상측에는 검침부(3)가 설치된다. 익차부(1)에는 복수 개의 익차(도면 미도시)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익차의 회전축은 검침부(3)와 연결되어 그 회전이 카운트된다. 익차부(1) 및 검침부(3) 각각의 구체적인 구성은 관련 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바디(10)의 유입구(11)와 유로공간(12) 사이에는 격벽(15)이 마련되며, 격벽(15)에는 관통공(16)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관통공(16)이 격벽(15)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제안한다. 즉, 도 4b와 같이 관통공(16)을 격벽(15)의 하부에 형성하되 일측으로 치우쳐 편향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그것이다. 이는 관통공(16)을 통해 배출되는 수돗물을 익차부(1)의 익차가 위치한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함이다. 도면에는 원형구조의 관통공(16)이 개시되어 있으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스트레이너(20)는 유입구(11)를 통해 바디(10)에 삽입되며, 도 2 및 도 3 각각에 개시된 것과 같이, 일측에는 개구부(2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폐쇄된 헤드부(25)가 마련되는 특징이 있다. 이때, 개구부(21)에서 헤드부(25)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구부(21)와 헤드부(25) 사이의 측면 부위에는 복수 개의 출수공(22)이 형성된다. 출수공(22)은 수돗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등을 필터링하기 위한 수단으로 그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개구부(21)는 수돗물이 유입되는 부분으로서, 바디(10)의 유입구(11) 일단 부위에 밀착결합된다. 개구부(21)의 외측에는 단차진 삽입단(도면부호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단이 유입구(11) 내면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밀착 삽입되는 방식으로 바디(10)와 결합될 수 있다.
헤드부(25)는 격벽(15)의 일면 부위(유입구(11)와 면한 방향)에 밀착되며, 유입공(26)과 배출공(28)이 형성된다. 배출공(28)은 헤드부(25)의 상면에 형성되며, 격벽(15)의 관통공(16)과 연통된다. 이때, 배출공(28)은 도 4b와 같이 중앙 부위에서 하부 일측으로 편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배출공(28)은 격벽(15)에 형성되는 관통공(16)과 정확하게 연결될 수 있다.
유입공(26)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헤드부(25)의 측면을 따라 환형으로 배치되어 형성된다. 각 유입공(26)은 개별 연결유로(27)에 의해 배출공(28)과 연통된다. 이에 따라, 수돗물이 유입공(26)으로 유입되면 각 연결유로(27)를 이동한 다음 배출공(28)에서 합류되어 배출된다.
한편, 도면에는 배출공(28)과 상대적으로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유입공(26) 사이 간격은 좁고, 배출공(28)과 상대적으로 먼 위치에 형성되는 유입공(26) 사이 간격은 넓게 형성된 경우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배출공(28)이 헤드부(25)의 하부 일측으로 편향되게 형성되는 관계로, 배출공과 거리가 가까운 위치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유입공을 형성시켜 유입되는 수돗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함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와 달리 유입공이 헤드부의 측면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작동구성을 전술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바디(10)의 유입구(11)를 통해 수돗물이 유입되면(도 1의 ① 참조), 수돗물은 스트레이너(20)의 개구부(21)를 통해 스트레이너(20) 내부로 이동한 다음 스트레이너(20)의 출수공(22) 각각을 통해 스트레이너(20)와 유입구(11) 사이 공간으로 빠져나온다(도 3의 ② 참조).
이때, 스트레이너(20)의 헤드부(25)는 관통공(16)이 형성되는 격벽(15)의 일면과 밀착된 상태로서, 수돗물은 격벽(15)을 통해 유로공간(12)으로 이동할 수가 없다. 때문에, 스트레이너(20)의 각 출수공(22)을 빠져나온 수돗물은 헤드부(25)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각 유입공(26)으로 유입된다(도 3의 ③ 참조). 헤드부(25)의 각 유입공(26)으로 유입된 수돗물은 연결유로(27)를 따라 이동하면서 합류되고(도 4a의 ④ 참조), 합류된 수돗물은 스트레이너(20)의 배출공(28)을 통해 스트레이너(20)를 빠져나간다(도 3의 ⑤ 참조).
한편, 헤드부(25)는 격벽(15)과 밀착되어 있으며, 헤드부(25)의 배출공(28)은 격벽(15)의 관통공(16)과 연결된 상태로서, 배출공(28)을 빠져나온 수돗물은 격벽(15)의 관통공(16)을 통해 익차부(1)가 설치되어 있는 유로공간(12)으로 진입한다(도 1의 ⑥ 참조). 이때, 관통공(16)은 익차부(1)의 익차가 위치하고 있는 방향으로 편향되어 있기 때문에, 관통공(16)으로 배출되는 수돗물은 정확하게 익차 방향으로 유도되어 익차를 회전시키게 된다.
익차의 회전은 검침부(3)에 의해 카운트되며 이에 따라 이동한 수돗물이 정확하게 계량되어 기록된다. 익차부(1)를 통과한 수돗물은 배출구(13)를 통해 이동한 다음(도 1의 ⑦ 참조), 검침부(3)에 계량된 만큼의 양이 배출구(13)와 연결되어 있는 배관을 통해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유입되는 수돗물을 익차부로 공급함에 있어, 유입구에 삽입 설치되는 스트레이너에는 상호 연결되는 유입공 및 배출공을 형성하고, 유입구의 출구 측에는 격벽을 마련하되 격벽의 하부에는 스트레이너의 배출공과 연결됨과 동시에 익차부의 익차가 위치하는 특정 방향으로 편향되어 위치하는 관통공을 형성함으로써, 유입되는 수돗물 모두가 누수없이 익차부의 익차로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 바디 11 : 유입구
12 : 유로공간 13 : 배출구
15 : 격벽 16 : 관통공
20 : 스트레이너 21 : 개구부
22 : 출수공 25 : 헤드부
26 : 유입공 27 : 연결유로
28 : 배출공

Claims (2)

  1. 일측에는 수돗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1)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수돗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3)가 마련되며 중앙 부위에는 유입구(11) 및 배출구(13) 각각과 연통되는 유로공간(12)이 마련되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유로공간(12)에 설치되는 익차부(1) 및 검침부(3)와, 상기 바디(10)의 유입구(11)에 삽입되는 스트레이너(20)를 포함하는 수도계량기로서,
    상기 바디(10)의 유입구(11)와 유로공간(12) 사이에는 격벽(15)이 마련되되, 상기 격벽(15)의 하부 일측에는 유입구(11)와 유로공간(12) 각각을 연결하는 관통공(16)이 형성되고;
    상기 스트레이너(20)는, 일측에는 개구부(2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폐쇄된 헤드부(25)가 마련되고 측면부위에는 복수 개의 출수공(22)이 형성되되 상기 개구부(21)에서 헤드부(25)로 갈수록 내경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구부(21)는 상기 바디(10)의 유입구(11) 일단 부위에 밀착결합되고, 상기 헤드부(25)는 상기 격벽(15)의 일면 부위에 밀착되며, 상기 헤드부(25)의 상면에는 상기 격벽(15)의 관통공(16)과 연통되는 배출공(28)이 형성되되 상기 배출공(28)은 중앙 부위에서 하부 일측으로 편향되어 형성되고, 상기 헤드부(25)의 측면에는 상기 배출공(28)과 연통되는 복수 개의 유입공(26)이 환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각 유입공(26)은 개별 연결유로(27)에 의해 배출공(28)과 연결되며;
    상기 스트레이너(20)의 개구부(21)로 유입되는 수돗물은 각 출수공(22)을 거쳐 각 유입공(26)으로 유입되어 합류한 상태로 상기 배출공(28)을 통해 격벽(15)의 관통공(16)으로 가이드되어 유로공간(12)에 설치되는 익차부(1)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없이 정밀한 유량 검침이 가능한 수도계량기.
  2. 삭제
KR1020160101680A 2016-08-10 2016-08-10 누수없이 정밀한 유량 검침이 가능한 수도계량기 KR101782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680A KR101782375B1 (ko) 2016-08-10 2016-08-10 누수없이 정밀한 유량 검침이 가능한 수도계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680A KR101782375B1 (ko) 2016-08-10 2016-08-10 누수없이 정밀한 유량 검침이 가능한 수도계량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2375B1 true KR101782375B1 (ko) 2017-09-27

Family

ID=60036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680A KR101782375B1 (ko) 2016-08-10 2016-08-10 누수없이 정밀한 유량 검침이 가능한 수도계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3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403B1 (ko) 2021-08-05 2022-02-14 예영동 수도 스트레이너 막힘감지장치
KR102557224B1 (ko) 2022-09-07 2023-07-21 주식회사 정이노베이션 수도계량기 관리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1416B2 (ja) * 2004-02-16 2010-10-27 リコーエレメックス株式会社 流量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71416B2 (ja) * 2004-02-16 2010-10-27 リコーエレメックス株式会社 流量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403B1 (ko) 2021-08-05 2022-02-14 예영동 수도 스트레이너 막힘감지장치
KR102557224B1 (ko) 2022-09-07 2023-07-21 주식회사 정이노베이션 수도계량기 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375B1 (ko) 누수없이 정밀한 유량 검침이 가능한 수도계량기
WO2012014633A1 (ja) 流量測定用構造体、および流量測定装置
CN104897669A (zh) 水质在线监测仪的三通阀计量装置
CN112088290A (zh) 流体流量测量器
EP3063507B1 (en) Flow meter
JP5022511B1 (ja) 羽根車式水道メータ用インナーケース、羽根車式水道メータ用計量装置、及び、羽根車式水道メータ
JP2013186032A (ja) 流量計測ユニット
KR101310447B1 (ko) 유량측정장치
US3815415A (en) Rotary flowmeter
ITUB20155897A1 (it) Dispositivo per la misurazione e/o il controllo volumetrico di un fluido
JPH11173896A (ja) 流量計
JPS5826370Y2 (ja) 脱泡分流器
SU114793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рени средней температуры потока жидкости или газа
SU83248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мерени скорости потока
SU1717716A1 (ru) Парциальный водомер дл открытого канала
US512849A (en) Compound intermittent water-meter
CN111168959B (zh) 气液分离结构与流体进出口连接装置
US20210096009A1 (en) Ultrasonic flow meter path layout configuration
KR20110077747A (ko) 유량계 교정용 기준 체적관
JPS622497Y2 (ko)
RU1778530C (ru) Счетчик жидкости
SU17775A1 (ru) Измерительный прибор дл жидкостей
RU2323414C1 (ru) Турбинный расходомер
JP2003083781A (ja) 羽根車式水道メータ
KR200456406Y1 (ko) 수도계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