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395B1 - 수돗물의 역류 방지 및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 방지를 위한 수도계량기 조립체 - Google Patents

수돗물의 역류 방지 및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 방지를 위한 수도계량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395B1
KR102368395B1 KR1020190149318A KR20190149318A KR102368395B1 KR 102368395 B1 KR102368395 B1 KR 102368395B1 KR 1020190149318 A KR1020190149318 A KR 1020190149318A KR 20190149318 A KR20190149318 A KR 20190149318A KR 102368395 B1 KR102368395 B1 KR 102368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 water
outlet
flow
condui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8395B9 (ko
KR20210061587A (ko
Inventor
조철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호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호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호정밀
Priority to KR1020190149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395B1/ko
Publication of KR20210061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395B1/ko
Publication of KR10236839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39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8Supports or connecting means for meters
    • G01F15/185Connecting means, e.g. bypass cond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 방향 일단에 외부로부터 내부로 수돗물 유입을 위한 유입구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 다른 일단에 내부로부터 외부로 수돗물 유출을 위한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수돗물의 유동을 위한 관로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관로에 마련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유출구를 향하여 유동하는 수돗물의 양을 계량하는 계량부; 상기 계량부와 상기 유출구 사이의 상기 관로에 마련되어 상기 유출구 측으로부터 상기 유입구 측으로의 수돗물 유동을 차단하는 역류 단속부; 및 상기 역류 단속부와 상기 유출구 사이의 상기 관로에 마련되어 상기 유입구 측으로부터 상기 유출구 측으로의 미세유량 수돗물 유동을 차단하는 미세유량 단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돗물의 역류 방지 및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 방지를 위한 수도계량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돗물의 역류 방지 및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 방지를 위한 수도계량기 조립체{water meter assembly}
본 발명은 수도계량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돗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돗물의 역류 및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로 인한 수돗물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고 수돗물 계량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수돗물의 역류 방지 및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 방지를 위한 수도계량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수돗물의 사용 요금은 사용량에 따라 차등을 두고 부과되는 것이 합당하다.
이러한 이유로 수돗물을 사용하는 각 가정 및 업소 등지의 수도공급라인에 수도계량기가 설치되고 있다.
일반 수도계량기(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 일단에 외부로부터 내부로 수돗물 유입을 위한 유입구(11')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 다른 일단에 내부로부터 외부로 수돗물 유출을 위한 유출구(12')가 형성되며, 유입구(11')와 유출구(12') 사이에 관로(13')가 형성되는 몸체(10'); 및 관로(13')에 마련되어 유입구(11')로부터 유출구(12')를 향하여 유동하는 수돗물의 양을 계량하는 계량부(20');를 구비하는바, 계량부(20')에서 유입구(11')로부터 유출구(12') 사이의 관로(13)를 통과하는 수돗물의 양이 계량됨으로써 이를 통해 수돗물 사용량에 따른 요금 부과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일반 수도계량기는 수돗물의 역류로 인하여 수돗물의 품질이 저하되고, 계량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일반 수도계량기에는 유출구 측으로부터 유입구 측으로 향하는 수돗물 유동을 차단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단수 등으로 인하여 유입구에 연결되는 수도공급라인 측의 내부 압력이 관로 내부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하될 때 관로 내의 수돗물이 유출구 측으로부터 유입구 측으로 유동, 다시 말해 수도계량기 측으로부터 수도공급라인 측으로 역류할 수 있어, 배관 부식 등으로 인한 오염물을 포함하는 수돗물이 수도공급라인으로 역류함에 따라서는 수돗물의 품질이 저하되고, 계량부가 역으로 작동함에 따라서는 계량치가 이전에 비해 낮아져 계량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반 수도계량기는 미세유량의 수돗물 유출로 인하여 계량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일반 수도계량기는 미세유량, 다시 말해 계량부에서 계량될 수 없는 미미한 유량의 수돗물이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이 지속되더라도 이를 계량할 수 없어 계량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수돗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돗물의 역류 및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로 인한 수돗물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고 수돗물 계량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7952호(2008. 01. 14.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수돗물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돗물의 역류 및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로 인한 수돗물의 품질 저하를 방지하고 수돗물 계량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수도계량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 방향 일단에 외부로부터 내부로 수돗물 유입을 위한 유입구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 다른 일단에 내부로부터 외부로 수돗물 유출을 위한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수돗물의 유동을 위한 관로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관로에 마련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유출구를 향하여 유동하는 수돗물의 양을 계량하는 계량부; 상기 계량부와 상기 유출구 사이의 상기 관로에 마련되어 상기 유출구 측으로부터 상기 유입구 측으로의 수돗물 유동을 차단하는 역류 단속부; 및 상기 역류 단속부와 상기 유출구 사이의 상기 관로에 마련되어 상기 유입구 측으로부터 상기 유출구 측으로의 미세유량 수돗물 유동을 차단하는 미세유량 단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돗물의 역류 방지 및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 방지를 위한 수도계량기 조립체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 의한 수돗물의 역류 방지 및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 방지를 위한 수도계량기 조립체는, 역류 단속부를 포함하는바, 역류 단속부가 유출구 측으로부터 유입구 측으로의 수돗물 유동을 차단함에 따라 단수 등으로 인하여 수도공급라인 측의 내부 압력이 관로 내부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하되더라도 수도계량기 측으로부터 수도공급라인 측으로의 수돗물 역류가 방지되므로 역류로 인한 수돗물의 품질 저하 및 계량 신뢰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돗물의 역류 방지 및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 방지를 위한 수도계량기 조립체는, 미세유량 단속부를 포함하는바, 미세유량 단속부가 유입구 측으로부터 유출구 측으로의 미세유량 수돗물 유동을 차단함에 따라 유출구를 통한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이 방지되므로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로 인한 계량 신뢰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돗물의 역류 방지 및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 방지를 위한 수도계량기 조립체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돗물의 역류 방지 및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 방지를 위한 수도계량기 조립체에서 역류 단속부의 일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돗물의 역류 방지 및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 방지를 위한 수도계량기 조립체에서 역류 단속부의 다른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돗물의 역류 방지 및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 방지를 위한 수도계량기 조립체에서 미세유량 단속부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일반 수도계량기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돗물의 역류 방지 및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 방지를 위한 수도계량기 조립체(A)는, 몸체(10); 계량부(20); 역류 단속부(30); 및 미세유량 단속부(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몸체(10)는, 길이 방향 일단에 외부로부터 내부로 수돗물 유입을 위한 유입구(11)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 다른 일단에 내부로부터 외부로 수돗물 유출을 위한 유출구(12)가 형성되며, 유입구(11)와 유출구(12) 사이에 수돗물의 유동을 위한 관로(13)가 형성된다.
따라서, 몸체(10)에서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수돗물이 관로(13)를 따라 유동한 후 유출구(12)를 통해 유출된다.
본 발명의 계량부(20)는 관로(13)에 마련되어 유입구(11) 측으로부터 유출구(12) 측으로 향하여 유동하는 수돗물의 양을 계량한다.
따라서, 계량부(20)의 계량 수치를 통해 수돗물 사용량이 확인된다.
이때, 계량부(20)는 유입구(11) 측으로부터 유출구(12) 측으로 유동하는 수돗물의 양을 계량할 수 있는 것이라면 통상의 어떠한 구조 및 방식의 것이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역류 단속부(30)는 계량부(20)와 유출구(12) 사이의 관로(13)에 마련되어 유출구(12) 측으로부터 유입구 측으로의 수돗물 유동을 차단한다.
따라서, 역류 단속부(30)에 의한 수돗물의 유동 차단에 의해 수돗물의 역류가 방지된다.
이때, 역류 단속부(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13)에서의 수돗물 유동 방향에 따른 정방향 회동 또는 역방향 회동을 통해 관로(13)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1차단부재(31)를 구비할 수 있다.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동이 이루어지는 제1차단부재(31)는, 수돗물이 유입구(11) 측으로부터 유출구(12) 측으로 유동하게 되면 정방향 회동(도면상 반시계방향)하여 관로(13)를 개방하나, 수돗물이 유출구(12) 측으로부터 유입구(11) 측으로 유동하게 되면 정방향 회동 상태로부터 역방향 회동(도면상 시계방향)하여 관로(13)를 폐쇄하므로 이에 의해 유출구(12) 측으로부터 유입구(11) 측으로 향하는 수돗물의 역류가 방지된다.
또한, 역류 단속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13)에서의 수돗물 유동 방향에 따른 사선 방향 상승 또는 하강을 통해 관로(13)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제1차단부재(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승 또는 하강이 이루어지는 제1차단부재(31')는, 수돗물이 유입구(11) 측으로부터 유출구(12) 측으로 유동하게 되면 사선 방향으로 상승하여 관로(13)를 개방하나, 수돗물이 유출구(12) 측으로부터 유입구(11) 측으로 유동하게 되면 상승 상태로부터 사선 방향으로 하강하여 관로(13)를 폐쇄하므로 이에 의해 유출구(12) 측으로부터 유입구(11) 측으로 향하는 수돗물의 역류가 방지된다.
한편, 역류 단속부(30)는 계량부(20)와 별도 제작되어 계량부(20)에 결합됨으로써 제작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량부(20) 또는 역류 단속부(30)를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때, 역류 단속부(30)는 나선물림방식에 의해 계량부(20)에 결합됨으로써 계량부(20)와 역류 단속부(30)의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세유량 단속부(40)는 역류 단속부(30)와 유출구(12) 사이의 관로(13)에 마련되어 유입구(11) 측으로부터 유출구(12) 측으로의 미세유량 수돗물 유동을 차단한다.
따라서, 미세유량 단속부(40)에 의한 수돗물의 유동 차단에 의해 유출구(12)를 통한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이 방지된다.
이때, 미세유량 단속부(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13)에서의 수돗물 유동량에 따른 전진 또는 후진을 통해 관로(13)를 개폐하는 제2차단부재(41); 및 제2차단부재(41)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42);를 구비한다.
전진 또는 후진이 이루어지는 제2차단부재(41)는 관로(13) 내의 수돗물 유동량이 상대적으로 커져 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42)가 수축되면 전진, 더욱 구체적으로 유입구(11) 측으로부터 유출구(12) 측으로 진행하여 관로(13)를 개방하나, 관로(13) 내에서의 수돗물 유동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져 이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42)가 수축 상태로부터 신장되면 전진 상태로부터 후진, 더욱 구체적으로 유출구(12) 측으로부터 유입구(11) 측으로 진행하여 관로(13)를 폐쇄하므로 이에 의해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이 방지된다.
한편, 미세유량 단속부(40)는 역류 단속부(30)와 별도 제작되어 역류 단속부(30)에 결합됨으로써 제작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류 단속부(30) 또는 미세유량 단속부(40)를 선택적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때, 미세유량 단속부(40)는 나선물림방식에 의해 역류 단속부(30)에 결합됨으로써 단속부(30)와 미세유량 단속부(40)의 분리가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돗물의 역류 방지 및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 방지를 위한 수도계량기 조립체(A)를 통한 역류 단속 및 미세유량 유출 단속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몸체(10)의 관로(13)에는 계량부(20)가 마련되는바, 계량부(20)에 의해 유입구(11) 측으로부터 유출구(12) 측으로 유동하는 수돗물의 양이 계량된다.
다만, 본 발명에서 관로(13)는 유입구(11)와 유출구(12) 사이에 이어지는바, 단수 등으로 인하여 유입구(11)에 연결되는 수도공급라인(도면상 미도시) 내부 압력이 관로(13) 내부 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하되면 수돗물이 유입구(11) 측으로부터 유출구(12) 측으로 유동하지 않고 반대로 유출구(12) 측으로부터 유입구(11) 측으로 유동, 즉 역류할 수 있어 이로 인해 수돗물의 품질 및 계량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동이 이루어지는 제1차단부재(31) 또는 상승 또는 하강이 이루어지는 제1차단부재(31')를 구비하는 역류 단속부(30)를 포함하는바, 수돗물이 유출구(12) 측으로부터 유입구(11) 측으로 유동할 때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동이 이루어지는 제1차단부재(31)가 정방향 회동 상태로부터 역방향 회동하여 관로(13)를 폐쇄하거나, 상승 또는 하강이 이루어지는 제1차단부재(31')가 사선 방향으로 상승상태로부터 하강하여 관로(13)를 폐쇄하므로 이에 의해 유출구(12) 측으로부터 유입구(11) 측으로 향하는 수돗물의 유동, 즉 역류가 방지될 수 있어 수돗물의 역류로 인한 수돗물의 품질 저하 및 계량 신뢰도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동이 이루어지는 제1차단부재(31)는 역류 이외의 상황, 즉 수돗물이 유입구(11) 측으로부터 유출구(12)측으로 유동할 때 정방향 회동하여 관로(13)를 개방하므로 수돗물이 정상적으로 유출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승 또는 하강이 이루어지는 제1차단부재(31')는 역류 이외의 상황, 즉 수돗물이 유입구(11) 측으로부터 유출구(12) 측으로 유동할 때 사선 방향으로 상승하여 관로(13)를 개방하므로 정상적으로 유출되는 것은 물론이다
한편, 유출구(12)를 통해 미세유량의 수돗물 유출이 이루어지면 계량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진 또는 후진을 통해 관로(13)를 개폐하는 제2차단부재(41); 및 제2차단부재(41)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42);를 구비하는 미세유량 단속부(40)를 포함하는바, 관로(13) 내에서의 수돗물 유동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할 때, 즉 미세유량 수돗물이 유동할 때 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42)가 수축 상태로부터 신장됨에 따라 후진, 더욱 구체적으로 유출구(12) 측으로부터 유입구(11) 측으로 진행하여 관로(13)를 폐쇄하므로 이에 의해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이 방지될 수 있어 미세유량의 수돗물 유출로 인한 계량 신뢰도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전진 또는 후진이 이루어지는 제2차단부재(41)는 관로(13) 내에서의 수돗물 유동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할 때, 즉 다량의 수돗물이 유동할 때 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42)가 수축됨에 따라 전진, 더욱 구체적으로 유입구(11) 측으로부터 유출구(12) 측으로 진행하여 관로(13)를 개방하므로 다량의 수돗물이 정상적으로 유출되는 것은 물론이다.
한편, 위에서는 미세유량 단속부(40)의 제2차단부재(41)가 탄성부재(42)의 수축에 따라 전진하고 탄성부재(42)의 신장에 따라 후진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례일 뿐 탄성부재(42)의 위치 등에 따라서는 제2차단부재(41)가 탄성부재(42)의 신장에 따라 전진하고 탄성부재(42)의 수축에 따라 후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경은 이하 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10' : 몸체 11, 11' : 유입구
12, 12' : 유출구 13, 13' : 관로
20, 20' : 계량부 30 : 역류 단속부
31, 31' : 제1차단부재 40 : 미세유량 단속부
41 : 제2차단부재 42 : 탄성부재
43 : 관로 A : 수도계량기 조립체
A' : 수도계량기

Claims (4)

  1. 길이 방향 일단에 외부로부터 내부로 수돗물 유입을 위한 유입구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 다른 일단에 내부로부터 외부로 수돗물 유출을 위한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수돗물의 유동을 위한 관로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관로에 마련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유출구를 향하여 유동하는 수돗물의 양을 계량하는 계량부;
    상기 계량부와 상기 유출구 사이의 상기 관로에 마련되되, 제1차단부재의 회동 또는 승강을 통해 상기 계량부와 상기 유출구 사이 상기 관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여 상기 유출구 측으로부터 상기 유입구 측으로의 수돗물 유동을 차단하는 역류 단속부; 및
    상기 역류 단속부와 상기 유출구 사이의 상기 관로에 마련되되, 제2차단부재의 전진 또는 후진을 통해 상기 역류 단속부와 상기 유출구 사이 관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여 상기 유입구 측으로부터 상기 유출구 측으로의 미세유량 수돗물 유동을 차단하는 미세유량 단속부;를 포함하는 수도계량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역류 단속부는, 상기 계량부와 별도 제작되어 상기 계량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동을 통해 상기 계량부와 상기 유출구 사이 상기 관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상기 제1차단부재는 상기 관로에서의 수돗물 유동 방향에 따른 정방향 회동 또는 역방향 회동을 통해 상기 관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며,
    상기 미세유량 단속부는, 상기 역류 단속부와 별도 제작되어 상기 역류 단속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진 또는 후진을 통해 상기 관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상기 제2차단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전진 또는 후진을 통해 상기 관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상기 제2차단부재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 사이 상기 관로 진행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유출구 측으로부터 상기 유입구 측으로 진행하며 전방 부위와 후방 부위가 맞닿는 연결 부위 전면 둘레의 빗면이 상기 역류 단속부로부터 상기 미세유량 단속부의 내측으로 이어지는 상기 관로 일단 둘레의 빗면에 접촉하여 상기 빗면 간의 접촉에 의해 상기 관로 중앙으로 유도되며 상기 관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돗물의 역류 방지 및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 방지를 위한 수도계량기 조립체.
  2. 삭제
  3. 길이 방향 일단에 외부로부터 내부로 수돗물 유입을 위한 유입구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 다른 일단에 내부로부터 외부로 수돗물 유출을 위한 유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수돗물의 유동을 위한 관로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관로에 마련되어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유출구를 향하여 유동하는 수돗물의 양을 계량하는 계량부;
    상기 계량부와 상기 유출구 사이의 상기 관로에 마련되되, 제1차단부재의 회동 또는 승강을 통해 상기 계량부와 상기 유출구 사이 상기 관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여 상기 유출구 측으로부터 상기 유입구 측으로의 수돗물 유동을 차단하는 역류 단속부; 및
    상기 역류 단속부와 상기 유출구 사이의 상기 관로에 마련되되, 제2차단부재의 전진 또는 후진을 통해 상기 역류 단속부와 상기 유출구 사이 관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여 상기 유입구 측으로부터 상기 유출구 측으로의 미세유량 수돗물 유동을 차단하는 미세유량 단속부;를 포함하는 수도계량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역류 단속부는, 상기 계량부와 별도 제작되어 상기 계량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승강을 통해 상기 계량부와 상기 유출구 사이 상기 관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상기 제1차단부재는 상기 관로에서의 수돗물 유동 방향에 따른 사선 방향 상승 또는 하강을 통해 상기 관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며,
    상기 미세유량 단속부는, 상기 역류 단속부와 별도 제작되어 상기 역류 단속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진 또는 후진을 통해 상기 관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상기 제2차단부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전진 또는 후진을 통해 상기 관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상기 제2차단부재는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 사이 상기 관로 진행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배치되어 상기 유출구 측으로부터 상기 유입구 측으로 진행하며 전방 부위와 후방 부위가 맞닿는 연결 부위 전면 둘레의 빗면이 상기 역류 단속부로부터 상기 미세유량 단속부의 내측으로 이어지는 상기 관로 일단 둘레의 빗면에 접촉하여 상기 빗면 간의 접촉에 의해 상기 관로 중앙으로 유도되며 상기 관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돗물의 역류 방지 및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 방지를 위한 수도계량기 조립체.
  4. 삭제
KR1020190149318A 2019-11-20 2019-11-20 수돗물의 역류 방지 및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 방지를 위한 수도계량기 조립체 KR102368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318A KR102368395B1 (ko) 2019-11-20 2019-11-20 수돗물의 역류 방지 및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 방지를 위한 수도계량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318A KR102368395B1 (ko) 2019-11-20 2019-11-20 수돗물의 역류 방지 및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 방지를 위한 수도계량기 조립체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587A KR20210061587A (ko) 2021-05-28
KR102368395B1 true KR102368395B1 (ko) 2022-02-28
KR102368395B9 KR102368395B9 (ko) 2022-12-27

Family

ID=76140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318A KR102368395B1 (ko) 2019-11-20 2019-11-20 수돗물의 역류 방지 및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 방지를 위한 수도계량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395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7952Y1 (ko) 2007-03-09 2008-01-14 신한메카트로닉스(주) 정류기를 구비한 수도계량기
KR101003768B1 (ko) * 2008-06-09 2010-12-23 김태균 듀얼 체크밸브를 구비한 역류방지장치
KR101054501B1 (ko) * 2008-10-08 2011-08-04 김정춘 상하로 이동하는 수직 역류방지 캡을 내장한 구조의 수도계량기
KR20150005294A (ko) * 2013-07-05 2015-01-14 (주) 디케이금속 개폐밸브 일체형 수도미터기용 감압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395B9 (ko) 2022-12-27
KR20210061587A (ko) 2021-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0645B2 (en) Pressure sensor, pressure-differential flow rate meter, and flow rate controller
FI118742B (fi) Tilavuusvirtamittari
BRPI0314272B1 (pt) válvula, sistema e método para medição de fluido
KR101739892B1 (ko) 역류 방지용 수도 미터기
KR102368395B1 (ko) 수돗물의 역류 방지 및 미세유량 수돗물의 유출 방지를 위한 수도계량기 조립체
US20100089471A1 (en) Valve
RU168831U1 (ru) Расходомер газа
US20170219108A1 (en) Flow-controlling unit having function of limiting tilting angle of flow-controlling piece
KR20070097233A (ko) 개수로의 파마보라스 유량측정장치 및 그 유량측정방법
JP2008224646A (ja) 水道メータの逆流防止部品
JP3607206B2 (ja) 浮力可変型定流量越流堰及びその遠隔制御方法
KR101003768B1 (ko) 듀얼 체크밸브를 구비한 역류방지장치
CN106768122B (zh) 一体机芯复式水表
KR101310447B1 (ko) 유량측정장치
KR101519412B1 (ko) 용적식 유량 측정기
KR20110138834A (ko) 복합식 비만관 유량측정 장치 및 측정방법
KR101200040B1 (ko) 센서 일체형 수문
CN110686733B (zh) 一种不锈钢水表表壳及水表
US3686947A (en) Device for measuring the quantity of liquid passing through a pipe
KR100817310B1 (ko) 바이패스 유량계
US1057721A (en) Water-meter.
RU2485248C1 (ru) Водом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чета расхода воды в каналах оросительной системы
KR101074375B1 (ko) 계량 정밀도를 높인 수도계량기
CN219657223U (zh) 脱硫浆液ph计采样装置及脱硫系统
US11365993B2 (en) Venturi flowmeter having a replaceable tube insert and ring element inserted in the main orifice of the ventur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